KR20210043229A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229A
KR20210043229A KR1020190126151A KR20190126151A KR20210043229A KR 20210043229 A KR20210043229 A KR 20210043229A KR 1020190126151 A KR1020190126151 A KR 1020190126151A KR 20190126151 A KR20190126151 A KR 20190126151A KR 20210043229 A KR20210043229 A KR 20210043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r
hanger
link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준
박정연
윤지현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229A/ko
Publication of KR2021004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6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complete outf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2Siz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센터부와, 센터부의 양단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한 쌍의 지지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연장부의 하측에서 연장부의 내부로 삽입되고 연장부에 대해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 프레임; 센터부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회전바; 회전바의 하측에서 회전바의 내부로 삽입되고 회전바에 대해 승강하며 회전바와 함께 회전하는 승강바; 한 쌍의 연장부 각각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바에 대해 서로 반대편을 지나는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 한 쌍의 승강 프레임 각각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바에 대해 서로 반대편을 지나는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 회전바에 체결되며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어퍼 링크; 및 승강바에 체결되며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로어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옷걸이{HANGER}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옷걸이는 의류를 걸어두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옷장 등의 거치대에 걸려 매달릴 수 있고, 상기 걸이부에는 의류가 걸려 지지될 수 있다.
기능성 옷걸이는 사용의 편의성 또는 의류의 손상방지를 위해 옷걸이의 구조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문헌 1(KR10-1811318B1)에 개시된 옷걸이는 어깨 걸이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선행문헌 2(KR10-2017-0009479A)에 개시된 옷걸이는 어깨걸이부 및 펼침 지지부가 각도 조절될 수 있다.
KR10-1811318B1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2017.12.15 등록) KR10-2017-0009479A (다기능 옷걸이, 2017.01.2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의류에 전후 방향으로 기계력을 인가하여 의류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양한 크기의 의류에 사용 가능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전후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 및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가 의류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는 어퍼 링크에 의해 회전바와 함께 회전하고,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는 로어 링크에 의해 승강바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승강바는 회전바에 대해 승강할 수 있고, 회전바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 사이의 상하 거리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의류를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단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서 상기 연장부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에 대해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 프레임; 상기 센터부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하측에서 상기 회전바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바에 대해 승강하며 상기 회전바와 함께 회전하는 승강바;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에 대해 서로 반대편을 지나는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승강 프레임 각각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승강바에 대해 서로 반대편을 지나는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 상기 회전바에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어퍼 링크; 및 상기 승강바에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로어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에 연결된 한 쌍의 텔레스코픽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링크는, 상기 회전바의 외둘레를 감싸며 상기 회전바에 체결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링크는, 상기 승강바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승강바에 체결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의 전방 또는 후방을 지나며 상기 의류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연장부에 힌지 연결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플레이트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의 전방 또는 후방을 지나며 상기 의류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승강 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어퍼 링크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링크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 연결부에는, 상기 어퍼 링크의 단부에서 상하로 돌출된 연결핀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로어 링크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링크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 연결부에는, 상기 로어 링크의 단부에서 상하로 돌출된 연결핀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 및 로어 플레이트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링크 및 로어 링크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복수개의 아우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에는 상기 복수개의 아우터홀 중 일 아우터홀을 향하는 이너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홀과 상기 일 아우터홀에 걸리는 걸림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승강바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홀과 상기 일 아우터홀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바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바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바디에는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회전 바디의 저면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바의 외둘레를 둘러싸며 하측을 향하는 어퍼 요철바디; 및 상기 어퍼 요철바디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바의 외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어퍼 요철바디와 치합되는 로어 요철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요철바디 및 로어 요철바디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직면; 및 일 수직면의 상단과 상기 일 수직면과 이웃한 타 수직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어퍼 요철바디를 리턴시키는 토션 스프링; 상기 로어 요철바디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 및 상기 로어 요철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센터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릴리즈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리즈 스위치는, 상기 회전 바디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센터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수직하게 형성된 스위치 본체; 상기 센터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로어 요철바디의 외둘레와 상기 스위치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어퍼 플레이트와 상기 로어 플레이트가 전후로 오버랩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플레이트가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 및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가 의류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승강바 및 승강 프레임에 의해,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 사이의 상하 거리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의류를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회전바디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 및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를 한꺼번에 외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옷걸이를 전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어퍼 플레이트 및 로어 플레이트의 형상에 의해 의류의 내면을 외측으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가 걸리는 복수개의 아우터 홀은 회전바의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요철바디 및 로어 요철바디에 의해, 옷걸이의 전후 확장 정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릴리즈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옷걸이를 초기 상태로 간단하게 원상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프레임에 의해 옷걸이의 높이의 가변 범위가 커질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가 상하 방향에 대해 컴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어퍼 플레이트 및 로어 플레이트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어퍼 플레이트 및 로어 플레이트는 의류의 형상 및 재질에 따라 적절히 탄성변형되며 의류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바디에는 그립부가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회전 바디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옷걸이의 전후 확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옷걸이가 하측으로 연장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옷걸이가 전후로 확장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릴리즈 스위치가 하측으로 눌러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바디와, 어퍼 요철바디와, 로어 요철바디와, 릴리즈 스위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옷걸이가 전후로 확장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링크와 어퍼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 링크와 로어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부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옷걸이가 하측으로 연장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옷걸이가 하측으로 연장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옷걸이가 전후로 확장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메인 프레임(10), 승강 프레임(15), 회전바(21), 승강바(22), 어퍼 플레이트(30), 로어 플레이트(40), 어퍼 링크(50) 및 로어 링크(6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0)은 옷걸이의 뼈대를 구성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0)의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내부 단면적은 일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프레임(10)은 센터부(11)와, 한 쌍의 지지부(12)와, 한 쌍의 연장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부(11)와, 한 쌍의 지지부(12)와, 한 쌍의 연장부(13)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센터부(11)와, 한 쌍의 지지부(12)와, 한 쌍의 연장부(13)의 각 내부공간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센터부(11)는 대략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센터부(11)는 메인 프레임(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10)의 가장 높은 부분일 수 있다.
센터부(11)에는 후술할 릴리즈 스위치(90)가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센터부(11)의 상측에는 후술할 회전 바디(20) 및 후크(20A)가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2)는 센터부(11)의 양단에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2)는 센터부(11)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2)는 의류(미도시)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지지부(11)는 의류의 양 어깨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13)는 한 쌍의 지지부(12)의 각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승강 프레임(15)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승강 프레임(15)은 연장부(13)의 하측에서 연장부(1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승강 프레임(15)은 연장부(13)에 대해 승강할 수 있다.
승강 프레임(15)의 일부는 연장부(13)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연장부(13)의 하측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승강 프레임(15)이 상승할수록 연장부(13)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이 늘어나고, 승강 프레임(15)이 하강할수록 연장부(13)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이 줄어들 수 있다.
승강 프레임(15)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승강 프레임(15)은 메인 프레임(10)의 한 쌍의 연장부(13)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회전바(21)는 메인 프레임(10)의 센터부(11)를 수직하게 관통할 수 있다. 회전바(21)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센터부(11)의 상면 및 저면에는 회전바(21)가 통과하는 관통공(11A)(11B)(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센터부(11)의 상면에는 어퍼 관통공(11A)이 형성될 수 있고, 센터부(11)의 저면에는 로어 관통공(11B)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바(21)의 상부는 로어 관통공(11B)을 통과하여 센터부(11)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고, 어퍼 관통공(11A)을 통해 후술할 회전 바디(20)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바(21)는 좌우 방향에 대해 한 쌍의 지지부(12) 및 한 쌍의 연장부(13) 사이를 지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회전바(21)는 센터부(11)의 내부를 통과하여 회전바디(20)에 연결되는 제1파트와, 상기 제1파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부(12) 사이에 위치한 제2파트와, 상기 제2파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한 쌍의 연장부(13) 사이에 위치한 제3파트와, 상기 제3파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한 쌍의 승강 프레임(15)의 사이에 위치한 제4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바(21)는, 회전바(2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회전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바(21)는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바(21)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회전바(21)의 단면은 원형링 형상일 수 있다.
승강바(22)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승강바(22)은 회전바(21)의 하측에서 회전바(2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승강바(22)은 회전바(21)에 대해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승강바(22)는 회전바(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승강바(22)의 일부는 회전바(21)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회전바(21)의 하측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승강바(22)이 상승할수록 회전바(21)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이 늘어나고, 승강바(22)이 하강할수록 회전바(21)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승강바(22)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승강바(22)의 단면은 원형링 형상일 수 있다. 승강바(22)의 외경은 회전바(21)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회전바(21)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복수개의 아우터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아우터홀(23)은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홀(23)은 회전바(21)의 외둘레부터 내둘레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승강바(22)에는 이너홀(24)(도 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홀(24)은 승강바(22)의 외둘레부터 내둘레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너홀(24)은 복수개의 아우터홀(23) 중 어느 하나를 향할 수 있다. 이너홀(24)이 마주보는 아우터홀(23)은 회전바(21)에 대한 승강바(22)의 승강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승강바(22)의 내부에는 이너홀(24) 및 일 아우터 홀(24)에 걸리는 걸림 부재(25)(도 1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 부재(25)에 의해, 회전바에 대한 승강바(22)의 승강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바(22)에 일정 크기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기 전까지는 승강바(22)가 회전바(2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부재(25)에 의해 승강바(22)와 회전바(21)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걸림 부재(2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0)는 한 쌍의 연장부(13) 각각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플레이트(30)는 수직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연장부(13)에 대해 전후로 회전할 수 있다.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0)는 회전바(21)에 대해 서로 반대편을 지날 수 있다. 회전바(21)는 전후 방향에 대해 어퍼 플레이트(30)의 사이를 지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30)는 대략 'ㄱ'자 형상일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30)는 전후로 회전하여 의류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를 주름없이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30)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30)는 의류의 형상 및 소재에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0)는, 일 연장부(13)에 연결되며 회전바(21)의 전방을 지나는 제1어퍼 플레이트(30A)와, 타 연장부(13)에 연결되며 회전바(21)의 후방을 지나는 제2어퍼 플레이트(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어퍼 플레이트(30A)와 제2어퍼 플레이트(30B)는 회전바(21)에 대해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제1어퍼 플레이트(30A)는 상기 타 연장부(13)와 이격될 수 있다. 제2어퍼 플레이트(30B)는 상기 일 연장부(13)와 이격될 수 있다.
제1어퍼 플레이트(30A)는 전방으로 회동하여 의류의 전방측 내면을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제2어퍼 플레이트(30B)는 후방으로 회동하여 의류의 후방측 내면을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각 어퍼 플레이트(30)는, 가압부(31)와, 힌지부(32)와, 연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31)와, 힌지부(32)와, 연결부(33)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압부(31)는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31)는 회전바(21)의 전방 또는 후방을 지날 수 있다.
가압부(31)는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짐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히, 제1어퍼 플레이트(30A)의 가압부(31)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지고, 제2어퍼 플레이트(30B)의 가압부(31)는 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질 수 있다.
힌지부(32)는 메인 프레임(10)의 연장부(13)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연장부(13)에는 힌지 연결부(13A)가 형성될 수 있고, 힌지부(32)는 수직한 힌지축에 의해 힌지 연결부(13A)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 연장부(13)의 힌지 연결부(13A)는, 상기 일 연장부(13)의 전면과 연결되고 배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타 연장부(13)의 힌지 연결부(13A)는, 상기 타 연장부(13)의 배면과 연결되고 전면과 이격될 수 있다.
연결부(33)는 힌지부(32)와 가압부(31)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33)의 길이는 가압부(3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연결부(33)의 상하방향 폭은, 가압부(31)의 상하방향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연결부(33)는 가압부(3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어퍼 플레이트(30A)의 연결부(33)는 가압부(31)에서 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어퍼 플레이트(30A)가 전방으로 회동하면 제1어퍼 플레이트(30A)의 가압부(31)는 의류의 내면을 전방으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2어퍼 플레이트(30B)의 연결부(33)는 가압부(31)에서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어퍼 플레이트(30B)가 후방으로 회동하면 제2어퍼 플레이트(30B)의 가압부(31)는 의류의 내면을 후방으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40)는 한 쌍의 승강 프레임(15) 각각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플레이트(40)는 수직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승강 프레임(15)에 대해 전후로 회전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40)는 어퍼 플레이트(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40)는 승강바(22)에 대해 서로 반대편을 지날 수 있다. 승강바(22)는 전후 방향에 대해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40)의 사이를 지나거나, 승강바(22)의 하단부가 전후 방향에 대해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40)는 대략 'ㄱ'자 형상일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40)는 전후로 회전하여 의류의 하부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를 주름없이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40)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40)는 의류의 형상 및 소재에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40)는, 일 승강 프레임(15)에 연결되며 승강바(22)의 전방을 지나는 제1로어 플레이트(40A)와, 타 승강 프레임(15)에 연결되며 승강바(22)의 후방을 지나는 제2로어 플레이트(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승강 프레임(15)은 상기 일 연장부(13)에 삽입되어 승강할 수 있고, 상기 타 승강 프레임(15)은 상기 타 연장부(13)에 삽입되어 승강할 수 있다.
제1로어 플레이트(40A)는 제1어퍼 플레이트(30A)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로어 플레이트(40B)는 제2어퍼 플레이트(30B)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로어 플레이트(40A)와 제2로어 플레이트(40B)는 승강바(22)에 대해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제1로어 플레이트(40A)는 상기 타 승강 프레임(15)와 이격될 수 있다. 제2로어 플레이트(40B)는 상기 일 승강 프레임(15)와 이격될 수 있다.
제1로어 플레이트(40A)는 전방으로 회동하여 의류 하부의 전방측 내면을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제2로어 플레이트(40B)는 후방으로 회동하여 의류 하부의 후방측 내면을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각 로어 플레이트(40)는, 가압부(41)와, 힌지부(42)와, 연결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41)와, 힌지부(42)와, 연결부(43)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어퍼 플레이트(30)의 가압부(31)와, 힌지부(32)와, 연결부(33)는 각각 어퍼 가압부, 어퍼 힌지부 및 어퍼 연결부로 명명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40)의 가압부(41)와, 힌지부(42)와, 연결부(43)는 각각 로어 가압부, 로어 힌지부 및 로어 연결부로 명명될 수 있다.
가압부(41)는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1)는 승강바(22)의 전방 또는 후방을 지날 수 있다.
가압부(41)는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짐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히, 제1로어 플레이트(40A)의 가압부(41)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지고, 제2로어 플레이트(40B)의 가압부(41)는 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질 수 있다.
힌지부(42)는 승강 프레임(15)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승강 프레임(15)에는 힌지 연결부(15A)가 형성될 수 있고, 힌지부(42)는 수직한 힌지축에 의해 힌지 연결부(15A)와 연결될 수 있다.
힌지 연결부(15A)는 승강 프레임(15)의 하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 승강 프레임(15)의 힌지 연결부(15A)는, 상기 일 승강 프레임(15)의 전면과 연결되고 배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타 승강 프레임(15)의 힌지 연결부(15A)는, 상기 타 승강 프레임(15A)의 배면과 연결되고 전면과 이격될 수 있다.
연결부(43)는 힌지부(42)와 가압부(41)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3)의 길이는 가압부(4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연결부(43)의 상하방향 폭은, 가압부(41)의 상하방향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연결부(43)는 가압부(4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로어 플레이트(40A)의 연결부(43)는 가압부(41)에서 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로어 플레이트(40A)가 전방으로 회동하면 제1로어 플레이트(40A)의 가압부(41)는 의류 하부의 내면을 전방으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2로어 플레이트(40B)의 연결부(43)는 가압부(41)에서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로어 플레이트(40B)가 후방으로 회동하면 제2로어 플레이트(40B)의 가압부(41)는 의류 하부의 내면을 후방으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어퍼 링크(50)는 회전바(21)에 체결되며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어퍼 링크(50)는 회전바(21)의 회전력을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0)에 전달하여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0)를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다.
어퍼 링크(50)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링크(50)는 회전바(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어퍼 링크(50)의 일 단은 제1어퍼 플레이트(3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제2어퍼 플레이트(3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링크(50)의 일 단은 제1어퍼 플레이트(30A)의 가압부(3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제2어퍼 플레이트(30B)의 가압부(3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어퍼 링크(50)는 회전바(21)에 체결된 체결부(51)와, 상기 체결부(51)에 연결된 한 쌍의 로드(52)(53)(rod)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51)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체결부(51)는 회전바(21)의 외둘레를 감쌀 수 있다. 체결부(51)는 회전바(21)와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바(21)에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로드(52)(53)는 체결부(51)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로드(52)(53)는,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0)의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로드(52)(53)는 제1어퍼 플레이트(30A)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로드(52)와, 제2어퍼 플레이트(30B)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로드(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드(52)와 제2로드(53)는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부(31)는 제1로드(52)와 제2로드(5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로드(52)와 제2로드(53)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제1로드(52)와 제2로드(53)는 회전바(21)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한편, 로어 링크(60)는 승강바(22)에 체결되며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4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로어 링크(60)는 승강바(22)의 회전력을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40)에 전달하여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40)를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바(22)가 승강하면, 로어 링크(60)에 의해,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40) 및 한 쌍의 승강 프레임(15)이 승강바(22)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로어 링크(60)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링크(60)는 어퍼 링크(5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링크(60)는 어퍼 링크(50)와 나란할 수 있다.
로어 링크(60)는 승강바(2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로어 링크(60)는 승강바(22)의 하단부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로어 링크(60)의 일 단은 제1로어 플레이트(4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제2로어 플레이트(4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링크(60)의 일 단은 제1로어 플레이트(40A)의 가압부(4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제2로어 플레이트(40B)의 가압부(4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링크(60)는 승강바(22)에 체결된 체결부(61)와, 상기 체결부(61)에 연결된 한 쌍의 로드(62)(63)(rod)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링크(50)의 체결부(51) 및 로드(52)(53)는, 어퍼 체결부 및 어퍼 로드로 명명될 수 있다. 로어 링크(60)의 체결부(61) 및 로드(62)(63)는, 로어 체결부 및 로어 로드로 명명될 수 있다.
체결부(61)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체결부(61)는 승강바(22)의 외둘레를 감쌀 수 있다. 체결부(61)는 승강바(22)와 함께 회전하도록 승강바(22)에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로드(62)(63)는 체결부(61)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로드(62)(63)는,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40)의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로드(62)(63)는 제1로어 플레이트(40A)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로드(62)와, 제2로어 플레이트(40B)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로드(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드(62)와 제2로드(63)는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부(61)는 제1로드(62)와 제2로드(6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로드(62)와 제2로드(63)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제1로드(62)와 제2로드(63)는 승강바(22)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회전 바디(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20)는 메인 프레임(10)의 센터부(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수평 방향에 대해, 회전 바디(20)는 회전바(2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바(21)의 상단은 회전 바디(20)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바디(20)는 회전바(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바디(20)는 회전바(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로써 기능할 수 있다.
회전 바디(20)에는 후크(20A)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20A)는 옷장 등의 거치대에 걸려 옷걸이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후크(20A)는 회전 바디(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후크(20A)는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바디(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바디(20)가 회전하더라도 후크(20A)는 초기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텔레스코픽 프레임(14)(Telescopic fram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프레임(14)은 승강 프레임(15)에 연결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프레임(14)은 메인 프레임(10)의 연장부(13)에 대한 승강 프레임(15)의 가동범위를 늘릴 수 있다.
텔레스코픽 프레임(14)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상호 중첩된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프레임(14)은 단일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프레임(14)은 연장부(13)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승강 프레임(15)은 텔레스코픽 프레임(14)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는 상하 방향에 대해 컴팩트해질 수 있고, 연장부(13)에 대한 승강 프레임(15)의 가동범위를 늘릴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릴리즈 스위치가 하측으로 눌러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바디와, 어퍼 요철바디와, 로어 요철바디와, 릴리즈 스위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회전바디(20) 및 회전바(21)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키는 록킹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메커니즘은, 어퍼 요철바디(70), 로어 요철바디(80), 릴리즈 스위치(90), 토션 스프링(28) 및 가압 스프링(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요철바디(70)와 로어 요철바디(80)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요철바디(70)는 하측을 향할 수 있고, 로어 요철바디(80)는 상측을 향할 수 있다.
어퍼 요철바디(70)는 회전 바디(2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고, 회전 바디(7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어퍼 요철바디(70)는, 센터부(11)에 형성된 어퍼 관통공(11A)을 통해 센터부(11)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어퍼 요철바디(70)는 회전바(21)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요철바디(70)는 회전바(21)의 상단부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어퍼 요철바디(70)는 바디부(71) 및 요철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71)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고, 회전바(21)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바디부(71)는 회전 바디(2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어퍼 관통공(11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요철부(72)는 바디부(7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72)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직면(72A)과, 일 수직면(72A)의 상단과 상기 일 수직면(72A)과 이웃한 타 수직면(72A)의 하단을 연결하는 경사면(7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수직면(72A)과 복수개의 경사면(72B)은 원주 방향에 대해 교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요철바디(80)는 어퍼 요철바디(7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요철바디(80)는 센터부(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요철바디(80)는 회전바(21)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로어 요철바디(80)는 회전바(21)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로어 요철바디(80)는 상승하여 어퍼 요철바디(70)에 치합될 수 있다. 로어 요철바디(80)는 하강하여 어퍼 요철바디(70)와 분리될 수 있다.
로어 요철바디(80)는 바디부(81) 및 요철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요철바디(70)의 바디부(71) 및 요철부(72)는 어퍼 바디부 및 어퍼 요철부로 명명될 수 있다. 로어 요철바디(80)의 바디부(81) 및 요철부(82)는 로어 바디부 및 로어 요철부로 명명될 수 있다.
바디부(81)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고, 회전바(21)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요철부(82)는 바디부(8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82)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직면(82A)과, 일 수직면(82A)의 상단과 상기 일 수직면(82A)과 이웃한 타 수직면(82A)의 하단을 연결하는 경사면(8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수직면(82A)과 복수개의 경사면(82B)은 원주 방향에 대해 교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요철바디(70)와 로어 요철바디(80)가 치합되면, 어퍼 요철바디(70)의 경사면(72B)과 로어 요철바디(80)의 경사면(80B)은 상하 방향으로 접할 수 있고, 어퍼 요철바디(70)의 수직면(72A)과 로어 요철바디(80)의 수직면(82B)은 원주으로 접할 수 있다.
릴리즈 스위치(90)는 로어 요철바디(80)에 연결될 수 있다. 릴리스 스위치(90)는 로어 요철바디(80)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릴리즈 스위치(90)는 센터부(11)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센터부(11)에는 릴리즈 스위치(90)가 통과하는 개구(19)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9)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개구(19)는 어퍼 관통공(11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릴리즈 스위치(90)는 스위치 본체(91)와, 스위치 본체(91)와 로어 요철바디(80)를 연결하는 연결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본체(91)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본체(91)는 센터부(11)에 형성된 개구(19)를 통해 센터부(11)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센터부(11)의 상측으로 돌출된 스위치 본체(91)를 누를 수 있다.
스위치 본체(91)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 본체(91)는 회전 바디(20) 및 어퍼 요철바디(7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92)는 센터부(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92)는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92)는 로어 요철바디(80)의 외둘레와 스위치 본체(91)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연결부(92)는 로어 요철바디(80)의 바디부(81)의 외둘레와, 스위치 본체(91)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28)은 어퍼 요철바디(70)에 연결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28)은 센터부(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어퍼 요철바디(70)를 둘러쌀 수 있다.
토션 스프링(28)은 어퍼 요철바디(70)에 원주 방향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28)은 어퍼 요철바디(70)를 리턴(return)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요철바디(70)가 초기 위치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토션 스프링(28)은 어퍼 요철바디(70)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29)은 로어 요철바디(80) 또는 릴리즈 스위치(90) 중 적어도 하나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압 스프링(29)이 로어 요철바디(8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가압 스프링(29)은 센터부(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로어 요철바디(8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29)은 센터부(11)의 내측 바닥면과 로어 요철바디(80)의 저면 사이에서 상하로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바디(20)에는 그립부(2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20B)는 회전 바디(20)의 외둘레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립부(20B)는 바디부(20)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그립부(20B)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바디(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회전 바디(20)를 회전시키면, 그에 체결된 회전바(21) 및 어퍼 요철바디(70)가 회전 바디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록킹 메커니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릴리즈 스위치(90)를 누르지 않은 상태이면, 가압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로어 요철바디(80)는 어퍼 요철바디(70)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어 요철바디(80)와 어퍼 요철바디(70)가 치합된 상태이면, 어퍼 요철바디(70)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좀 더 상세히, 어퍼 요철바디(70)는, 어퍼 요철바디(70)의 수직면(72A)이 로어 요철바디(80)의 경사면(82B)을 타고 올라가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전바디(20)를 잡고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퍼 요철바디(70)의 수직면(72A)은 로어 요철바디(80)의 경사면(82B)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로어 요철바디(8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가압 스프링(29)은 압축될 수 있다.
이후, 어퍼 요철바디(70)의 수직면(72A)이, 로어 요철바디(80)의 경사면(82B)의 상단과 연결된 수직면(82A)을 지나면, 가압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로어 요철바디(80)가 상승할 수 있고, 어퍼 요철바디(70)와 로어 요철바디(80)가 다시 치합될 수 있다.
만일, 어퍼 요철바디(70)의 수직면(72A)이 로어 요철바디(80)의 경사면(82B)의 상단과 연결된 수직면(82A)에 도달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회전바디(20)를 놓으면, 토션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어퍼 요철바디는 상기 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어퍼 요철바디(70)는, 어퍼 요철바디(70)의 수직면(72A)이 로어 요철바디(80)의 경사면(82B)의 하단에 연결된 수직면(82A)에 접할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로어 요철바디(80)가 상승할 수 있고, 어퍼 요철바디(70)와 로어 요철바디(80)가 다시 치합될 수 있다.
만일 작업자가 어퍼 요철바디(70)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어퍼 요철바디(70)의 수직면(72A)은 로어 요철바디(80)의 수직면(82A)에 걸릴 수 있고, 어퍼 요철바디(70)의 회전력이 로어 요철바디(8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로어 요철바디(80)와 연결된 릴리즈 스위치(90)가 센터부(11)의 개구(19)에 걸리므로, 릴리즈 스위치(90) 및 로어 요철바디(80)는 회전하지 못한다. 즉, 로어 요철바디(80)에 치합된 어퍼 요철바디(70) 또한 회전하지 못한다.
정리하면, 어퍼 요철바디(7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어 요철바디(80)를 하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로어 요철바디(80)의 다음 단으로 이동하고, 이 때 가압 스프링(29)에 의해 로어 요철바디(80)가 상승하여 어퍼 요철바디(7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회전바디(20) 및 회전바(21)의 회전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릴리즈 스위치(90)를 누르면, 릴리즈 스위치(90) 및 릴리즈 스위치(90)에 연결된 로어 요철바디(80)가 하강할 수 있고, 가압 스프링(29)이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어퍼 요철바디(70)와 로어 요철바디(80)의 치합이 해제될 수 있고, 토션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어퍼 요철바디(70)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회전 바디(20) 및 회전바(21)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에 걸린 의류에 용이하게 기계력을 인가하여 의류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릴리즈 스위치(90)를 누름으로써 옷걸이를 초기 상태로 간단하게 원상 복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옷걸이가 전후로 확장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링크와 어퍼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 링크와 로어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회전 바디(2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바(21) 및 승강바(22)가 회전 바디(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회전바(21) 및 승강바(22)의 회전력이 어퍼 링크(50) 및 로어 링크(60)에 의해 어퍼 플레이트(30) 및 로어 플레이트(4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어퍼 플레이트(30A) 및 제1로어 플레이트(40A)는 전방으로 회동하며 의류의 전면을 전방으로 밀 수 있고, 제2어퍼 플레이트(30B) 및 제2로어 플레이트(40B)는 후방으로 회동하며 의류의 배면을 후방으로 밀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30)가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해, 어퍼 링크(50)의 단부는 어퍼 플레이트(30)의 단부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플레이트(30)의 단부에는, 어퍼 링크(50)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링크 연결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링크 연결부(34)에는, 어퍼 링크(50)의 단부에서 상하로 돌출된 연결핀(58)이 삽입되는 장공(35)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34)는 어퍼 플레이트(30)의 가압부(31)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링크 연결부(34)는 가압부(3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장공(35)은 한 쌍의 링크 연결부(34)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장공(35)은 링크 연결부(3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링크(50)의 단부는 한 쌍의 링크 연결부(3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 링크(50)의 단부에는 상하로 돌출된 한 쌍의 연결핀(58)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핀(58)은 한 쌍의 장공(35)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어퍼 링크(50)가 회전하면 연결핀(58)은 장공(35)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어퍼 플레이트(30)가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어퍼 링크(50)의 양 단부는 어퍼 플레이트(30)를 향해 휘어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링크(50)의 제1로드(52)의 단부에는 제1어퍼 플레이트(30A)를 향해 전방으로 휘어진 제1벤딩부(5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벤딩부(52A)는 제1어퍼 플레이트(30A)의 링크 연결부(34)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 링크(50)의 제2로드(53)의 단부에는 제2어퍼 플레이트(30B)를 향해 후방으로 휘어진 제2벤딩부(5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벤딩부(53A)는 제2어퍼 플레이트(30B)의 링크 연결부(3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어퍼 링크(50)의 회전력이 어퍼 플레이트(30)로 더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40)가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해, 로어 링크(60)의 단부는 로어 플레이트(40)의 단부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플레이트(40)의 단부에는, 로어 링크(60)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링크 연결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링크 연결부(44)에는, 로어 링크(60)의 단부에서 상하로 돌출된 연결핀(68)이 삽입되는 장공(45)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44)는 로어 플레이트(40)의 가압부(41)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링크 연결부(44)는 가압부(4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장공(45)은 한 쌍의 링크 연결부(44)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장공(45)은 링크 연결부(4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링크(60)의 단부는 한 쌍의 링크 연결부(4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링크(60)의 단부에는 상하로 돌출된 한 쌍의 연결핀(68)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핀(68)은 한 쌍의 장공(45)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로어 링크(60)가 회전하면 연결핀(68)은 장공(45)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로어 플레이트(40)가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로어 링크(60)의 양 단부는 로어 플레이트(40)를 향해 휘어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링크(60)의 제1로드(62)의 단부에는 제1로어 플레이트(40A)를 향해 전방으로 휘어진 제1벤딩부(6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벤딩부(62A)는 제1로어 플레이트(40A)의 링크 연결부(44)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링크(60)의 제2로드(63)의 단부에는 제2로어 플레이트(40B)를 향해 후방으로 휘어진 제2벤딩부(6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벤딩부(63A)는 제2로어 플레이트(40B)의 링크 연결부(4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로어 링크(60)의 회전력이 로어 플레이트(40)로 더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어퍼 링크(50)의 벤딩부(52A)(53A)는 어퍼 벤딩부로 명명될 수 있고, 로어 링크(60)의 벤딩부(62A)(63A)는 로어 벤딩부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부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바(22)의 상측 일부는 회전바(21)에 삽입될 수 있고, 승강바(22)는 회전바(21)에 대해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승강바(22)는 회전바(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바(21)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복수개의 아우터 홀(23)이 형성되고, 승강바(22)에는 복수개의 아우터 홀(23) 중 일 아우터홀(23)을 향하는 이너 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아우터 홀(23)은 회전바(21)에 대한 승강바(22)의 승강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승강바(22)의 내부에는, 상기 일 아우터홀(23)과 이너홀(24)에 걸리는 걸림부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재(25)는 회전바(21)에 대한 승강바(22)의 승강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25)는 회전바(21)의 회전력을 승강바(22)로 전달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걸림부재(25)는 고정부(25A)와, 바디부(25B)와, 후크부(25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5A)는 승강바(22)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5A)는 걸림부재(25)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25A)는 승강바(122)의 내둘레에 피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디부(25B)는 고정부(25A)에서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는 승강바(22)의 내둘레에 접할 수 있다. 바디부(25B)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디부(25B)는 고정부(25A)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후크부(25C)는 바디부(25B)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25C)는 바디부(25B)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후크부(25C)는 이너홀(24) 및 아우터홀(23)에 걸릴 수 있다. 후크부(25C)의 저면은 수평하고, 상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걸림부재(25)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후크부(25C)가 일 아우터 홀(23)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바(22)를 하측으로 충분히 강하게 당기면, 이너홀(24)의 내둘레는 후크부(25C)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후크부(25C)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바디부(25B)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후크부(25C)는 상기 일 아우터 홀(23)에서 이탈할 수 있다.
반대로, 후크부(25C)가 일 아우터 홀(23)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바(22)를 상측으로 충분히 강하게 밀면, 일 아우터 홀(23)의 내둘레는 후크부(25C)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후크부(25C)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바디부(25B)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후크부(25C)는 상기 일 아우터 홀(23)에서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바(22)는 후크부(25C)가 상기 일 아우터 홀(23)과 이웃한 타 아우터 홀(23)에 걸리기 전까지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다. 후크부(25C)가 상기 타 아우터 홀(23)에 도달하면, 바디부(25B)의 탄성에 의해 후크부(25C)는 상기 타 아우터 홀(23)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다양한 크기의 의류에 대해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옷걸이가 하측으로 연장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어퍼 플레이트(30`) 및 로어 플레이트(40`)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비해 상하 폭이 더 클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30`) 및 로어 플레이트(40`)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승강 프레임(15)은 제1위치(P1)와, 제1위치(P1)보다 하측에 위치한 제2위치(P2) 사이에서 승강할 수 있다.
승강 프레임(15)이 제1위치(P1)까지 상승하면, 어퍼 플레이트(30`)와 로어 플레이트(40`)는 전후로 오버랩될 수 있다. 승강 프레임(15)이 제2위치(P2)까지 하강하면, 로어 플레이트(40`)는 어퍼 플레이트(30`)의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승강 프레임(15)이 제1위치(P1)까지 상승하면, 어퍼 플레이트(30`)는 로어 플레이트(40`)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로어 플레이트(40`)를 가릴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플레이트(30`)의 가압부(31`) 및 연결부(33`)는 로어 플레이트(40`)의 가압부(41`) 및 연결부(43`)를 가릴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40`)의 힌지부(42`)는 가려지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의 외관이 더욱 심플해질 수 있다.
또한, 어퍼 플레이트(30`)는 로어 플레이트(40`)와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어퍼 플레이트(30`)와 로어 플레이트(40`)가 서로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30`)의 상하 방향 폭은, 로어 플레이트(40`)의 상하 방향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플레이트(30`)의 가압부(31`) 및 연결부(33`)의 상하방향 폭은, 로어 플레이트(40`)의 가압부(41`) 및 연결부(43`)의 상하방향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30`)의 힌지부(32`)의 상하"??* 폭은, 로어 플레이트(40`)의 힌지부(42`)의 상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30`)의 힌지부(32`)는 어퍼 플레이트(30`)의 연결부(33`)의 상측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30`)의 링크 연결부(34`)는 어퍼 플레이트(30`)의 단부의 상측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 링크(50`) 및 로어 링크(60`)의 상하 방향 폭은 로어 플레이트(40`)의 상하 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좁을 수 있다.
이로써, 승강 프레임(15)이 제1위치(P1)까지 상승하더라도 어퍼 링크(50`) 및 로어 링크(60`)가 서로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프레임(14`)은 상호 중첩된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프레임(15)의 가동 범위, 즉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의 높이차가 커질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상하 방향으로 더욱 컴팩트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메인 프레임 11: 센터부
12: 지지부 13: 연장부
20: 회전 바디 21: 회전바
22: 승강바 23: 아우터 홀
24: 이너 홀 25: 걸림부재
30: 어퍼 플레이트 40: 로어 플레이트
50: 어퍼 링크 60: 로어 링크
70: 어퍼 요철바디 80: 로어 요철바디
90: 릴리즈 스위치

Claims (19)

  1.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단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서 상기 연장부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에 대해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 프레임;
    상기 센터부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하측에서 상기 회전바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바에 대해 승강하며 상기 회전바와 함께 회전하는 승강바;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에 대해 서로 반대편을 지나는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승강 프레임 각각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승강바에 대해 서로 반대편을 지나는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
    상기 회전바에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어퍼 링크; 및
    상기 승강바에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로어 링크를 포함하는 옷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에 연결된 한 쌍의 텔레스코픽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링크는,
    상기 회전바의 외둘레를 감싸며 상기 회전바에 체결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로드를 포함하는 옷걸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링크는,
    상기 승강바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승강바에 체결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로어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로드를 포함하는 옷걸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의 전방 또는 후방을 지나며 상기 의류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연장부에 힌지 연결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옷걸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플레이트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의 전방 또는 후방을 지나며 상기 의류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승강 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옷걸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어퍼 링크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링크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 연결부에는, 상기 어퍼 링크의 단부에서 상하로 돌출된 연결핀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된 옷걸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로어 링크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링크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 연결부에는, 상기 로어 링크의 단부에서 상하로 돌출된 연결핀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된 옷걸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 및 로어 플레이트는 탄성 변형되는 옷걸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링크 및 로어 링크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옷걸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복수개의 아우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에는 상기 복수개의 아우터홀 중 일 아우터홀을 향하는 이너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홀과 상기 일 아우터홀에 걸리는 걸림 부재가 구비된 옷걸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승강바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홀과 상기 일 아우터홀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옷걸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바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바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바디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디에는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부가 형성된 옷걸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디의 저면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바의 외둘레를 둘러싸며 하측을 향하는 어퍼 요철바디; 및
    상기 어퍼 요철바디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바의 외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어퍼 요철바디와 치합되는 로어 요철바디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요철바디 및 로어 요철바디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직면; 및
    일 수직면의 상단과 상기 일 수직면과 이웃한 타 수직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옷걸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요철바디를 리턴시키는 토션 스프링;
    상기 로어 요철바디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 및
    상기 로어 요철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센터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릴리즈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스위치는,
    상기 회전 바디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센터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수직하게 형성된 스위치 본체;
    상기 센터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로어 요철바디의 외둘레와 상기 스위치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옷걸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어퍼 플레이트와 상기 로어 플레이트가 전후로 오버랩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플레이트가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옷걸이.
KR1020190126151A 2019-10-11 2019-10-11 옷걸이 KR20210043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151A KR20210043229A (ko) 2019-10-11 2019-10-11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151A KR20210043229A (ko) 2019-10-11 2019-10-11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229A true KR20210043229A (ko) 2021-04-21

Family

ID=7574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151A KR20210043229A (ko) 2019-10-11 2019-10-11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2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097A1 (ko) * 2022-02-17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479A (ko) 2015-07-17 2017-01-25 유병남 다기능 옷걸이
KR101811318B1 (ko) 2017-06-14 2017-12-26 박병선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479A (ko) 2015-07-17 2017-01-25 유병남 다기능 옷걸이
KR101811318B1 (ko) 2017-06-14 2017-12-26 박병선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097A1 (ko) * 2022-02-17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8540A1 (en) Laundry drying rack
JP6346287B2 (ja) 突出屈折洗濯物かけ乾燥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洗濯物干し台
US20220183490A1 (en) Clothes hanger
US20220117424A1 (en) Clothes hanger
KR20210043229A (ko) 옷걸이
KR20170009479A (ko) 다기능 옷걸이
JP6998124B2 (ja) 物干し用ハンガー
KR100766909B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210045756A (ko)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KR102079746B1 (ko) 다기능 옷걸이 건조대
US2107873A (en) Garment hanger
KR100317721B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100515154B1 (ko) 옷걸이
JPH0879Y2 (ja) 物掛け装置
CN109234986A (zh) 一种升降式晾晒架
KR100859421B1 (ko) 빨래의 날림방지용 협지수단을 갖는 접철식 빨래 건조대
RU2280723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сушки белья
KR200485117Y1 (ko) 피난구조용 완강기 거치대
KR101996148B1 (ko) 접이식 옷걸이
JP2021090545A (ja) 物干しハンガー
JP4580125B2 (ja) 物干し器
JP2006239019A (ja) 物干具
JP6233908B1 (ja) 物干し具、及び、物干しピンチ
KR101758019B1 (ko) 다림판
KR200362617Y1 (ko) 빨래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