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798B1 -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 Google Patents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798B1
KR100673798B1 KR1020040089324A KR20040089324A KR100673798B1 KR 100673798 B1 KR100673798 B1 KR 100673798B1 KR 1020040089324 A KR1020040089324 A KR 1020040089324A KR 20040089324 A KR20040089324 A KR 20040089324A KR 100673798 B1 KR100673798 B1 KR 10067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rt
neck
collar
button
se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668A (ko
Inventor
고지 가토
Original Assignee
고지 가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 가토 filed Critical 고지 가토
Publication of KR20050043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41B1/12Neckbands
    • A41B1/16Adjustable neck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41B1/18Shirt-fronts
    • A41B1/22False shirt-fronts, e.g. dickeys, with or without attached collars; Means for attaching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3/00Collars
    • A41B3/02Closures, e.g. ta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3/00Collars
    • A41B3/04Collars fastening to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와이셔츠(1)의 옷깃대(3)의 아래쪽 앞의 위쪽 옷감(3a)에는 제 2 단추구멍(6)이 형성되고, 아래쪽 옷감(3b)에는 고무테이프(8)의 왼쪽 끝단이 꿰매 붙여지고, 오른쪽 끝단에는 심(7a)의 왼쪽 끝단이 꿰매 붙여지고, 심(7a)의 오른쪽 끝단에는 안감(7b)이 꿰매 붙여지고, 안감(7b)의 오른쪽 끝단은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내에 꿰매 넣어지고, 심(7a)에는 최상부의 단추(4)가 확실히 꿰매 붙여져 있다. 심(7a)의 아래에는 세로테이프(9)가 상하 끝단을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여지고, 사이에는 가로방향 테이프(10)가 통과되어 양 끝단은 심(7a)과 안감(7b)의 뒷편에 각각 꿰매 붙여지고, 세로테이프(9)가 심(7a)과 안감(7b)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포와 가로방향 테이프(10)로 끼워지는 구조가 되고, 최상부의 단추(4)를 위쪽 옷감(3a)의 제 2 단추구멍(6)에 걸어 고무테이프(8)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기호의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SHIRTS HAVING NECK SIZE ADJUSTING FUNCTION}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조인 상태를 나타내는 상부 정면도, (b)는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으로부터 벗겨, 옷깃대에 형성된 제 2 단추구멍이 보이도록 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탄성재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탄성재가 인장되고 신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탄성재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탄성재가 인장되고 신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형성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에 열어 나타내는 도면, (b)은 '〈'자형의 테이프의 앞끝단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c)는 최상부의 단추가 이동하였을 때의 '〈'자형의 테이프의 앞끝단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솟구침이 일어나는 경우와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옷깃대의 단면으로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옷깃대의 앞끝단부분을 위에서 본 도면,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옷깃대의 앞끝단부분을 위에서 본 도면,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심(芯)만을 빼내어 본 도면, (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옷깃대의 앞끝단부분을 열어 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b)는, 어느 것이나 2개의 탄성재를 최상부의 단추(4)를 부착하는 심(7a)에 꿰매 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관해서 나타내는 도면, (b)는 그 변형예에 관한 최 상부의 단추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관해서 나타내는 사시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옷깃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옷깃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옷깃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옷깃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d)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옷깃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 (b),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 및 제 1 변형예 및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이동포의 구조 및 탄성체와 스토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 (b), (c), (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이동포에 있어서의 심을 천으로 둘러싸는 여러 가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b),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이동포에 있어서, 탄성재의 위에 심을 두고 천으로 둘러싸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이동포로서의 심이 접촉하는 단단한 심에 천을 붙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 (b), (c), (d), (e), (f)는 그 제 1∼제 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이동포 대신의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b)는 내열성 플라스틱판에 스토퍼를 붙인 곳을 나타내는 평면도, (c)는 더욱 탄성재를 붙인 곳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7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이동포를 긴 탄성재에 설치한 곳을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이동포 대신의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긴 탄성재에 부착한 곳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가장 목둘레를 짧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목둘레를 조금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딱 맞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목둘레를 보다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조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e)는 목둘레를 더욱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더욱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f)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 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g)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가장 목둘레를 짧게 하여 바깥옷깃이 딱 맞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목둘레를 조금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조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목둘레를 보다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더욱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e)는 목둘레를 더욱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크게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f)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바깥옷깃을 열고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가장 목둘레를 짧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목둘레를 조금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딱 맞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목둘레를 보다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조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e)는 목둘레를 더욱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더욱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f)는 목둘레를 더욱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크게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g)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고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0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 및 걸어맞춤기구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0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고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d)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e)는 제 4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f)는 제 5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고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옷깃대 앞쪽 밑을 관통하여 형성된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앞쪽 위와 앞쪽 밑을 겹쳐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에 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3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와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c)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d)는 제 4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e)는 제 5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f)는 제 6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아래쪽 밑의 위쪽 옷감에 형성된 단추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b)는 (a)를 뒤집어서 옷깃대 앞쪽 밑의 아래쪽 옷감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c)는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졌을 때의 꿰매 붙이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4의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에 형성된 제 2 단추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b)는 (a)를 뒤집어서 옷깃대 앞쪽 밑의 아래쪽 옷감에 형성된 변형예에 관한 관통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c)는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졌을 때의 꿰매 붙이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5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사용되는 최상부의 단추로서의 관통바늘부착 플라스틱단추를 이동포에 돌출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정면도, (b)는 관통바늘부착 플라스틱단추를 관통시킨 후, 관통바늘부분을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2 : 옷깃
3 : 옷깃대 3b :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
4 : 단추 6 : 제 2 단추구멍
7a, 7b : 이동포 8 : 탄성재
8a, 8b, 8c, 8d : 2개의 탄성재 9 : 세로테이프
10, 13 : 가로방향테이프 11 : 가로로 긴 테이프
12, 18 : 세로방향 테이프 14 : 접어서 갠 테이프
15, 16, 17 : 단단한 심 19, 19a, 19b : 가로테이프
20 :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 21, 24, 25, 27 : 플라스틱판
22 : 엘라스토머판 26 : 가이드판
26a : 타원형의 홈 26b : 직사각형의 홈
본 발명은 정장, 예복 등의 윗도리의 안에 착용하여 넥타이를 조이는 와이셔츠를 비롯하여 목둘레를 단추로 조이는 셔츠(블라우스 등도 포함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관이 전혀 손상되지 않고 목둘레를 편안히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관한 것이다.
정장·예복 등의 윗도리의 안에 착용하는 와이셔츠는, 목둘레에 넥타이를 조이는 것을 전제로 하여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목둘레의 최상부까지 단추로 잠겨지도록 되어 있고, 소매점에서는 목둘레와 소매길이를 각각 1cm간격으로 준비하여, 착용하는 사람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래도, 목둘레에 딱 맞는 와이셔츠를 입고 그 위에 넥타이를 조인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는 것은 불편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일본국 특허공개개공보 평5-302201호에 있어서는, 목둘레의 길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넥타이를 어느 정도 헐렁하게 조이더라도 위화감을 주지 않는 옷깃의 구조를 갖는 커터셔츠(와이셔츠)에 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단추 구멍 대신에 스토퍼부의 슬라이드 패스너를 사용하거나, 단추 대신에 후크 또는 일본식 버선에 사용하는 코하제(일본식 버선 뒤에 부착하는 후크)를 부착하여, 단추 구멍 대신에 복수의 후크아이 (hookeye)(멘칸)(일본식 버선 뒤에 부착하는 후크를 연결하는 고리) 또는 코하제 걸이(멘칸과 동일, 일본식 버선 뒤에 부착하는 후크를 연결하는 고리)를 부착하거나, 1쌍의 면패스너(접착포)로 커터셔츠의 최상부를 멈추는 구조로 하거나 함으로써, 커터셔츠의 목둘레의 길이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커터셔츠의 목둘레길이를 가장 짧게 하였을 때에 옷깃의 중앙부가 겹치도록 옷깃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커터셔츠의 목둘레 길이를 길게 하였을 때에 정확히 커터셔츠의 양 옷깃의 중앙부가 합쳐져, 보는 사람에게 목둘레를 느슨하게 한다고 하는 인상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판처리장치에서는, 카세트(3)의 덮개체(32)를 열기 전에 카세트(3)의 내부와 로딩영역(S2) 내를 연통시키고, 카세트(3) 내와 로딩영역(S2) 내의 차압을 해소하고, 차압이 없어지고 나서 덮개체(32)를 연다. 이 때문에 덮개체(32)를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일없이 스무스하게 열 수 있어, 이에 따라 덮개체(32)를 떼어 내기 위한 도어개폐기구(7)의 구동력이 작아도 된다. 또한 양자간에 차압이 없기 때문에, 덮개체(32)를 열었을 때에 기체가 급격하게 카세트(3) 내에 흘러 들어오는 것이 억제되고, 파티클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이 기술에 있어서는, 옷깃의 아래쪽에 닿는 옷깃대(통상의 와이셔츠에 있어서 최상부의 단추와 단추구멍이 각각 설정되는 부분)의 표면에 직접 슬라이드 패스너나 접착포·복수의 멘칸·복수의 코하제 걸이라고 하는 딱딱한 부품을 부착하기 때문에, 옷깃으로 숨기더라도 바랜 부분이 나오거나, 무의식중에 옷깃이 올라가게 보이거나 할 우려가 있어, 돋보임이 손상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옷깃에 기구 등의 바랜 부분이 나오거나 옷깃이 올라와서 기구 등이 보이거나 하는 일 없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옷깃대(옷깃이 있는 셔츠에서는 옷깃의 아래에 숨기는 목둘레의 부분, 바깥옷깃이 있는 셔츠에서는 바깥옷깃의 밑으로 숨는 목둘레의 부분)에 부착한 제 2 단추구멍 내부의 이동포(移動布)에 설치하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목둘레 방향에 상기 제 2 단추구멍안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따라서, 단추가 제 2 단추구멍의 통상의 단추구멍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는 목둘레가 가장 조여진 상태로부터, 단추가 제 2 단추구멍의 가장 통상의 단추구멍측에 있는 가장 목둘레가 느슨해진 상태까지,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에 걸은 채로 셔츠의 옷깃 언저리를 약간 양쪽으로, 또는 한쪽 손의 손끝으로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원하는 조임 상태로 조절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옷깃에 치구(治具) 등의 바랜 부분이 나오거나 옷깃이 올라와서 치구 등이 보이거나 하는 일 없이, 추울 때는 조이고, 더울 때는 넓힐 수 있어, 주위의 온도변화에 재빨리 대응할 수가 있고, 또한 바깥옷깃의 사이를 크게 넓힌 러프한 상태로부터 바깥옷깃을 딱 맞춘 포멀한 상태로 재빨리 바 꿀 수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재에 직접 또는 상기 탄성재의 앞끝단에 상기 이동포를 꿰매 붙여서 상기 이동포에 설치하고, 상기 탄성재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인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여기서, '탄성재'로서는, 고무판, 고무테이프, 망 고무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에 건 상태로 목이 조이는 방향으로 탄성재로 힘을 가함으로써, 탄성재로서 고무판, 고무테이프와 같은 강력한 인장력을 갖는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조금 목둘레에 바람을 넣으려고 양손으로 양 목 언저리를 느슨하게 하더라도, 손을 떼면 탄성재의 가하는 힘에 의해서 다시 원래의 딱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탄성재로서 망 고무테이프와 같은 인장력이 약한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둘레가 꼭 끼어져 온다고 느낀 경우에, 양손으로 양 옷깃언저리를 잡고 최상부의 단추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느슨하게 하면, 탄성재의 가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제 2 단추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과의 마찰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는 곧바로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지 않고, 천천히 시간을 걸려 그것을 모를 정도의 움직임으로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기 때문에, 착용자는 목둘레가 편한 상태를 잠시 유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장례식 등에 참석할 때에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주위에 눈에 띄지 않도록 목둘레를 편안히 하고 있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탄성재의 가하는 힘을 선택함으로써 바로 다시 원래의 딱 조여진 상태로 복귀시키거나, 잠시 목둘레를 느슨하게 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할 수가 있어, 옷깃에 치구 등의 바랜 부분이 나오거나 옷깃이 올라와서 치구 등이 보이거나 하는 일도 없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하면, 상기 탄성재 또는 상기 이동포의 상하방향으로의 흔들림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세로 테이프를 부착하여 상기 탄성재 또는 상기 이동포의 뒷편에 가로방향 테이프를 상기 세로테이프의 아래를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통과시켜 꿰매 붙인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서, 탄성재 또는 이동포가 목둘레를 따라 이동할 때에 상하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순간 목둘레를 느슨하게 할 수 있어, 남의 눈에 뜨일 우려가 없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이렇게 해서 카세트(36) 내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해당 카세트(36)를 가스치환용 재치대(93)로부터 들어 올리고, 다음공정 예를 들면 열처리공정에 들어 옮긴다. 이 때 가스도입구멍(91)의 도입밸브(91a)와 가스배출구멍(92)의 배출밸브 (92a)는 카세트(36)를 들어 올림에 의해서 가스도입관(94) 및 가스배출관 (95)이 벗겨졌을 때에 절결홈 면이 접합되어 닫혀지기 때문에, 카세트(36)는 기밀성이 유지된 상태로 다음공정으로 옮겨진다. 이어서 다음공정의 열처리공정에서, 해당 카세트(36)를 카세트재치부(6) 상에 재치하고, 여기에서 가스도입구멍(91) 및 가스배출구멍(92)은 연통구멍으로서 작용한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밸브(5,55)는 절결홈(5a)을 넣는 대신에 2이상으로 분할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용수철 등에 의해 보통은 닫히도록 가압되어 있고, 스테이지(61)에 카세트가 재치된 때에 통기관(51)에 의해 눌려 열리는 구성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통기관(51,56)에 제어밸브(52)나 필터(53)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탄성재를 오래 쓰게 할 수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의하면, 상기 탄성재 또는 상기 이동포에 '〈'자 형 으로 구부린 테이프를 구부림선에서 꿰매 붙이고, 상기 테이프의 양단은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이고, 상기 꿰매 붙여진 구부림선의 좌우의 남은 테이프는 턱에 접어 개어진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가 제 2 단추구멍안에서 목둘레가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졌을 때, 테이프의 중앙의 턱이 상하로 분산되기 때문에, 여분이 적어진다. 따라서, 최상부의 단추를 무리하게 제 2 단추구멍 밖으로 잡아당기더라도, 또한 한쪽으로 당겨져 오그라져서 최상부의 단추가 멈춰진 이동포나 탄성재의 일부가 제 2 단추구멍의 밖으로 튀어 나가는, 소위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테이프의 중앙부분이 턱에 접어서 개어져 있기 때문에, 탄성재의 인장력이 강한 경우의 복귀가 좋아진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상기 세로테이프 및/또는 상기 가로로 긴 테이프 혹은 '〈'자형으로 구부린 테이프를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의 안쪽에 꿰매 붙여지는 안감만으로 꿰매 붙이더라도 좋다. 따라서, 이들 부재의 꿰매 붙이는 실이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의 표면에 나타나는 일이 없고, 나타나는 것은 탄성재의 다른 끝단을 꿰매 붙인 실만(탄성재만은 안감에만 꿰매 붙이는 것만으로는 유지되지 않는다)이기 때문에, 돋보임이 좋아진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또한 돋보임이 좋은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의하면, 상기 탄성재 또는 상기 이동포에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적당한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단추의 실기둥에 단단하게 감겨져서 멈춘 것)을 갖게 하여 꿰매 붙여서, 안쪽으로부터 상기 제 2 단추구멍의 주위에 상기 제 2 단추구멍 부분에 긴 구멍을 연 단단한 심을 붙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상기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나온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여기서, '단단한 심'으로서는, 바이린 심(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심으로 여러 가지의 두께의 것이 있다.), 인벨 심(벨트 심이라고도 단순히 심이라고도 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물 심으로 촉감은 소프트한 것부터 하드한 것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 2 단추구멍의 주위에 붙여진 단단한 심(芯)이 있기 때문에, 제 2 단추구멍은 자유롭게 변형할 수 없고, '솟구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상기 이동포는 심을 셔츠의 천과 같은 천 또는 그 밖의 천으로 둘러싸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심'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바이린 심, 인벨 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심의 표면에는 큰 요철이 있고, 천의 표면의 요철은 작다. 그래서, 이동포로서 심을 천으로 둘러싼 것을 사용하면, 특히 안쪽으로부터 제 2 단추구멍의 주위에 제 2 단추구멍부분에 긴 구멍을 연 단단한 심을 붙인 경우에는, 이동포의 표면이 작은 요철을 갖는 천과, 단단한 심의 표면의 큰 요철이 딱 좋은 마찰력을 발생하여, 제 2 단추구멍이 적당한 위치에서 이동포를 멈추거나, 또는 움직이거나 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상기 이동포는 단단한 심에 천을 접착하여 상기 이동포의 형상에 레이저커트 또는 히트 커트로 잘라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서, 이동포의 주위는 레이저 커트 또는 히트 커트에 의한 열로 단단해지기 때문에 풀리는 일이 없고, 이동포를 제작하는 데 재봉틀로 꿰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이동포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제작이 용이하고,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의하면, 옷깃대 속에 옷깃대와는 분리하여 이동가능한 심만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포를 설치하여, 해당 이동포에 최상부의 단추를 적당한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이고, 옷깃대 위쪽 옷감 안 쪽으로부터 제 2 단추구멍이 형성되는 주위에 크고 단단한 심을 부착하고, 또는 더욱 그 위로부터 제 2 단추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에 제 2 단추구멍의 길이 정도로 자른 작고 단단한 심을 부착하고, 크고 단단한 심의 위로부터 전체를 덮는 크기의, 또는 제 2 단추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에 제 2 단추구멍의 길이 정도의 크기의 셔츠의 천과 같은 천 또는 그 밖의 천을 붙이고 또는 꿰매 붙이고, 혹은 작고 단단한 심의 위로부터 크고 단단한 심전체를 덮는 크기의, 또는 작고 단단한 심을 덮는 크기의 셔츠의 천과 같은 천 또는 그 밖의 천을 붙이고 또는 꿰매 붙여서, 제 2 단추구멍을 형성하여,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나온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심과 천과의 상생하는 장점을 이용하여, 반대로 제 2 단추구멍의 주위를 천표면으로 하고, 이동포를 심으로 한 것이다. 이에 의해서, 제 2 단추구멍 주위의 표면이 작은 요철을 갖는 천과, 이동포를 구성하는 심의 표면의 큰 요철이 딱 좋은 마찰력을 발생하여, 제 2 단추구멍이 적당한 위치에서 이동포를 멈추거나, 또한 움직이거나 할 수가 있다. 옷깃대 위쪽 옷감 안쪽에 크고 단단한 심을 부착한 위로부터 더욱 작고 단단한 심을 부착할 것인지 아닌지는, 셔츠의 소재 등에 맞춰서 가장 적절한 마찰력이 생기도록 결정하면 좋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의하면, 상기 옷깃대의 앞끝단 부분의 상기 제 2 단 추구멍측 전체에 상기 제 2 단추구멍 부분에 긴 구멍을 연 상기 단단한 심을 붙인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서, 옷깃대의 앞끝단부분의 제 2 단추구멍측 전체가 단단한 심으로 강화되기 때문에, 제 2 단추구멍은 자유롭게 변형할 수 없어, 보다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옷깃대의 앞끝단 부분을 당겨지게 함으로써 이동포와의 사이의 마찰을 증가하여,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의 원하는 위치로 멈추게 할 수 있어, 필요한 것이 있으면 손끝으로 잡고 조일 수 있고, 더욱 이동포의 이동범위에 주름이 생기거나 구부려지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포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더욱 일어나기 어렵고, 추울 때는 조이고, 더울 때는 넓힐 수 있어, 주위의 온도변화에 재빨리 대응할 수가 있고, 또한 바깥옷깃의 사이를 크게 넓힌 러프(rough)한 상태로부터 바깥옷깃을 딱 맞춘 포멀(formal)한 상태로 재빨리 바꿀 수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상기 이동포의 뒷편에 상기 단단한 심을 꿰매 붙인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서 이동포 전체의 경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더욱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려워지고, 또한 옷깃대의 앞끝단부분의 내부를 이동포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손끝으로 잡고 작은 힘으로 목둘레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더욱 일어나기 어렵고, 쾌적 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상기 단단한 심 대신에 얇은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사용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내열성 플라스틱이란 협의로는 약 200℃까지는 연화하지 않는 플라스틱재료를 말한다. 이러한 재료이면, 다림질하는 온도가 가장 높은(약 200℃) 목면제의 와이셔츠 등에도 단단한 심 대신에 사용할 수가 있다. 또, 광의로는, 연화온도가 더욱 낮은(약 100℃∼약 180℃) 플라스틱재료도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제의 와이셔츠 등에서는, 다림질하는 온도가 약 160℃∼약 180℃로 낮고, 더구나 내열성 플라스틱에 직접 다리미를 대는 것이 아니라 옷감을 끼우고 간접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내열성 플라스틱의 온도는 훨씬 낮은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더욱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상기 이동포 대신에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사용하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적당한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여서 상기 제 2 단추구멍로부터 밖으로 나온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내열성 플라스틱이란, 상술과 같이, 협의로는 약 200℃까지는 연화하지 않는 플라스틱재료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염화비닐리덴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과 폴리염화비닐(PVC)과의 공중합체나, 페트병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이 있다. 또, 광의로는, 연화온도가 더욱 낮은(약 100℃∼약 180℃) 플라스틱재료도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제의 와이셔츠 등에서는, 다림질하는 온도가 약 160℃∼약 180℃로 낮고, 더구나 내열성 플라스틱에 직접 다리미를 대는 것은 아니라 옷감을 끼우고 간접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내열성 플라스틱의 온도는 훨씬 낮은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와이셔츠의 옷감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서는, 폴리염화비닐(PVC)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내열성 플라스틱판은, 그다지 두껍지 않으면 재봉틀로 꿰맬 수 있기 때문에, 최상부의 단추를 손바느질이나 재봉틀로 꿰매 붙일 수 있다. 그리고, 이것들의 플라스틱판은 적절한 경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솟구침 방지를 위한 세로테이프나 가로테이프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솟구침이 일어나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더욱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의하면, 상기 이동포 대신의 내열성 플라스틱판에 천테이프를 꿰매 붙이고, 상기 천테이프 또는 해당 천테이프 및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에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적당한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여서 상기 제 2 단추구멍로부터 밖으로 나온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내열성 플라스틱판은, 그다지 두껍지 않으면 재봉틀로 꿰맬 수 있기 때문에, 최상부의 단추를 손바느질이나 재봉틀로 꿰매 붙일 수 있다. 그리고, 적절한 경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솟구침 방지를 위한 세로테이프나 가로테이프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솟구침이 일어나는 일은 없다고 하는 이점을 갖고 있지만, 최 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에는 일반 소비자에게는 다시 붙이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내열성 플라스틱판에 천테이프를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해,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에 일반 소비자라도 용이하게 다시 붙일 수 있다.
여기서, 이동포 대신의 내열성 플라스틱판에 천테이프를 양끝단만 꿰매 붙여서 중앙은 내열성 플라스틱판으로부터 뜨게 하고, 천테이프만 최상부의 단추를 꿰매 붙이더라도 좋고, 내열성 플라스틱판에 천테이프의 주위를 꿰매 붙여서 내열성 플라스틱판에 밀착시켜, 천테이프와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관통시켜서 최상부의 단추를 꿰매 붙이더라도 좋다. 전자의 경우는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에 소비자가 천테이프에만 최상부의 단추를 다시 꿰매 붙이는 것이 용이하지만, 천테이프가 뜨고 있는 분만큼 솟구침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는 천테이프가 내열성 플라스틱판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천테이프에만 최상부의 단추를 다시 꿰매 붙이는 것이 어려운 듯이 생각되지만, 내열성 플라스틱판으로 바늘 끝이 미끄러지기 때문에, 의외로 용이하게 천테이프에만 최상부의 단추를 다시 꿰매 붙일 수 있다.
또한, 긴 천테이프를 내열성 플라스틱판의 일끝단으로부터 밀려나오도록 꿰매 붙이는 것에 따라, 밀려나오는 부분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줄어 공정단축, 비용저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에도 용이하게 다시 붙일 수 있고, 동시에 스토퍼를 부착할 수도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9 관점에 의하면, 상기 이동포, 상기 뒷편에 단단한 심을 꿰매 붙인 이동포, 상기 뒷편에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꿰매 붙인 이동포, 또는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에 신축(伸縮)이 자유로운 탄성재를 꿰매 붙이고, 상기 탄성재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인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여기서, '탄성재'로서는, 고무판, 고무테이프, 망(網) 고무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에 건 상태로 목이 조이는 방향으로 탄성재로 힘을 가함으로써, 탄성재로서 고무판, 고무테이프와 같은 강력한 인장력을 갖는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조금 목둘레에 바람을 넣으려고 양손으로 양 목 언저리를 잡고 느슨하게 하더라도, 손을 떼면, 탄성재의 가하는 힘에 의해 다시 원래의 딱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탄성재로서 망 고무테이프와 같은 인장력이 약한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둘레가 심하게 끼어져 온다고 느낀 경우에, 양손으로 양 목 언저리를 잡고 최상부의 단추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느슨하게 하면, 탄성재의 가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제 2 단추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과의 마찰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는 곧바로는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가지 않고, 천천히 시간을 걸려 그것을 모를 정도의 움직임으로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기 때문에, 착용자는 목둘레가 편한 상태를 잠시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서, 장례식 등에 참석할 때에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주위에 눈에 띄지 않도록 목둘레를 편안히 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탄성재로서 망 고무테이프와 같은 인장력이 약한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둘레가 가장 조여진 상태로부터 목둘레를 임의의 위치까지 느슨하게 한 상태로 하면, 이동포 등, 특히 뒷편에 단단한 심을 꿰매 붙인 이동포나 뒷편에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꿰매 붙인 이동포와 같이 두꺼운 것과 제 2 단추구멍의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과의 마찰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를 그 위치에 멈추게 할 수도 있어, 원하는 조이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할 때는 손끝으로 잡는 것만으로 바깥옷깃과 바깥옷깃의 사이를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더욱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10 관점에 의하면, 상기 이동포, 상기 뒷편에 단단한 심을 꿰매 붙인 이동포, 상기 뒷편에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꿰매 붙인 이동포, 또는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의 일끝단에 신축 자유로운 탄성재를 꿰매 붙이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목둘레가 조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상기 탄성재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이고, 상기 이동포, 상기 뒷편에 단단한 심을 꿰매 붙인 이동포, 상기 뒷편에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꿰매 붙인 이동포, 또는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의 다른 끝단에 신축성이 없는 옷감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꿰매 붙이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의 목둘레가 조이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인 목둘레 조절기 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서, 탄성재로서 고무판, 고무테이프와 같은 강력한 인장력을 갖는 부재를 사용한 경우라도, 최상부의 단추가 지나치게 잡아당겨지는 일 없이 스토퍼에 의해서 균형이 잡힌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탄성재로서 망 고무테이프와 같은 인장력이 약한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스토퍼에 의해서 규제되는 목둘레가 가장 조여진 위치로부터 목둘레를 임의의 위치까지 느슨하게 한 상태로 하면, 이동포 등, 특히 뒷편에 단단한 심을 꿰매 붙인 이동포나 뒤편에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꿰매 붙인 이동포와 같이 두꺼운 것과 제 2 단추구멍의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과의 마찰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를 그 위치에 멈추게 할 수도 있고, 원하는 조이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에 의해서 솟구침이 한층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필요할 때는 손끝으로 잡는 것만으로 바깥옷깃과 바깥옷깃의 사이를 닫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더욱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상기 이동포, 상기 뒷편에 단단한 심을 꿰매 붙인 이동포, 상기 뒤편에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꿰매 붙인 이동포, 또는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신축 자유로운 긴 탄성재의 위에 꿰매 붙이고, 상기 탄성재의 양끝단을 각각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인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서, 탄성재의 한쪽이 스토퍼와 같은 움직임을 하기 때문에, 봉제가 간단하고 스토퍼를 꿰매 붙인 것과 같 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더욱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상기 탄성재의 끝단부를 직접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이지 않고, 심재(芯材)에 꿰매 붙여서 상기 심재를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접착하여,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과 위쪽 옷감을 꿰매 합칠 때에도 상기 심재의 상하끝단도 함께 꿰매 붙이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심재'로서는 바이린 심(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심으로 여러 가지의 두께의 것이 있다.), 인벨 심(벨트 심이라고도 단순히 말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물 심으로 촉감은 소프트한 것부터 하드한 것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이린 심에도 소프트 심과 하드 심이 있지만, 통상 소프트 심, 하드 심이라고 하면, 인벨 심의 소프트 심, 하드 심을 가리킨다.
이에 의해서, 탄성재의 끝단부의 꿰매 붙인 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통상의 셔츠와 같은 꿰맨 자리만이 외부에서 보이는 것으로 된다. 또한, 심재의 상하 끝단을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과 위쪽 옷감을 꿰매 합칠 때에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해, 몇 번이나 세탁하는 동안에 접착면이 벗겨지더라도 떨어지는 일이 없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더구나 쓸데없는 꿰맨 자리가 밖에서 보이지 않고 돋보임이 좋고,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상기 탄성재의 단부를 옷깃대 심에 꿰매 붙이고 나서 상기 옷깃대 심을 옷깃대 아래쪽 옷감의 안쪽에 접착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옷깃대 심'이란 옷깃대 아래쪽 옷감 전체 주위의 안쪽에 접착되어 있는 심재이다. 이 옷깃대 심을 옷깃대 아래쪽 옷감의 안쪽에 접착하기 전에, 소정의 위치에 탄성재의 끝단부를 꿰매 붙여 두면, 탄성재의 끝단부의 꿰매 붙인 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통상의 셔츠와 같은 꿰맨 자리만이 외부에서 보이는 것으로 된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더구나 쓸데없는 꿰맨 자리가 밖에서 보이지 않고 돋보임이 좋고,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천으로 둘러싼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서, 내열성 플라스틱판이 얇은 경우라도 구부리기 어려워지고, 또한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내열성 플라스틱판 부분이 보인 경우라도, 천으로 둘러 싸여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판 표면에서 빛이 반사하여 외관에 위화감을 줄 우려가 없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더욱 일어나기 어려우며, 외관으로도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붙인 구성으로 하더 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내열성 플라스틱판 부분이 보인 경우라도, 천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더라도 플라스틱판 표면에서 빛이 반사하지 않고, 외관에 위화감을 줄 우려가 없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더욱 일어나기 어렵고, 외관으로도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11 관점에 의하면, 상기 탄성재 또는 상기 이동포에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적당한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여서 상기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내보내고, 상기 제 2 단추구멍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여 열경화시킨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여기서,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수지,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우레탄수지 등이 있지만, 최상부의 단추를 꿰매 붙인 실이 제 2 단추구멍과 몇 번이나 서로 스치기 때문에, 너무 경도가 높은 수지로서는 실이 끊어져 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경화 후에도 탄력성을 갖는 수지 쪽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 단추구멍을 단단하게 함으로써,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상기 탄성재 또는 상기 이동포에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적당한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여서, 합성수지의 실로 구멍가장자리에 바 느질한 상기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상기 최상부가 단추를 밖으로 나오게 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최근, 적절한 당김이 있고 열에도 강한 합성수지의 실이 사용되기 시작하여, 이러한 합성수지의 실로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한 제 2 단추구멍은 크게 변형하기 어렵고, 따라서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렵고,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12 관점에 의하면, 상기 탄성재의 양끝단에 상기 탄성재의 늘어남을 규제하는 신장방지재를 꿰매 붙인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서, 어떠한 이유로 탄성재에 큰 인장력이 걸린 경우라도, 신장방지재의 길이까지 밖에 탄성재는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무리한 응력이 걸리는 일 없이, 탄성재의 수명을 멋대로 줄이는 일이 없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탄성재를 오래 쓰게 할 수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상기 옷깃대의 속에 상기 제 2 단추구멍의 위치에 상기 제 2 단추구멍보다 길게 가로테이프를 당겨 양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이고, 상기 가로테이프의 중공부분을 끼우도록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를 상기 가로테이프의 상하의 가장자리에 꿰매 붙이고, 상기 가로테이프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여, 상기 2 장의 세로방향테이프 중 겉쪽에 단추를 꿰매 붙이고 상기 제 2 단추구멍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서,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와 가로테이프의 사이의 마찰이 커져서, 최상부의 단추를 한번 이동시킨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탄성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히 되어 저비용화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와이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화할 수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상기 가로테이프를 2개로 하고, 상기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를 상기 2자루의 가로테이프의 상하의 가장자리에서 각각 꿰매 붙이고, 상기 2개의 가로테이프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서,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와 2개의 가로테이프의 사이의 마찰은 더욱 커지고, 최상부의 단추가 한번 이동시킨 위치로부터 더욱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필요할 때는 손끝으로 잡는 것만으로 바깥옷깃과 바깥옷깃의 사이를 닫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화 할 수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상기 가로테이프를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의 안쪽에 꿰매 붙여지는 안감에만 꿰매 붙인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서, 가로테이프의 양끝단의 꿰매 붙인 실이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의 표면에 나타나는 것은 없고, 또한 탄성 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의 표면에는 꿰매 붙인 실은 일체 나타나지 않고, 통상의 셔츠와 변하지 않는 외관이 되어, 돋보임이 대단히 좋아진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화할 수 있고, 또한 대단히 돋보임이 좋은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13 관점에 의하면, 상기 이동포 또는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의 일끝단에 통상은 상기 이동포 또는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스토퍼를 꿰매 붙이고, 상기 스토퍼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끝단에 꿰매 붙인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이동포 또는 내열성 플라스틱판은, 통상시에는 꿰매 붙여진 최상부의 단추에 의해서 제 2 단추구멍안에서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지만,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져 버린 경우에는 옷깃대의 안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토퍼를 부착해 두는 것에 의해, 스토퍼를 조절하면 이동포 또는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용이하게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어, 최상부의 단추를 다시 붙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라도 용이하게 다시 붙일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14 관점에 의하면, 상기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힘이 걸 리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최상부의 단추가 위치하는 옷깃대 뒷편의 아래쪽 옷감에 풀리지 않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이 관통구멍은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를 위해 형성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스스로 최상부의 단추를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에 다시 붙이는 경우에,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에 형성된 제 2 단추구멍을 약간 넓히고,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최상부의 단추가 있어야 할 위치를 재봉실을 붙인 바늘로 뜬다. 이 때, 깊게 뜨면 옷깃대 앞쪽 밑의 아래쪽 옷감까지 떠버려, 최상부의 단추를 옷깃대 앞쪽 밑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여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옷깃대 뒷편의 아래쪽 옷감에 풀리지 않은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아래쪽 옷감을 뜨지 않기 때문에 시작부터 뜨는 것이 아니라, 바늘을 관통구멍 속에 관통을 확인하여 그것을 몇 번 되풀이하는 것에 따라,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에 최상부의 단추를 꿰매 붙인다. 이에 의해서, 소비자가 틀림없이 간단히 최상부의 단추를 다시 붙일 수 있다. 여기서, 풀리지 않는 관통구멍으로는, 국화모양 구멍이나 금속·플라스틱 등의 링 구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라도 소비자가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최상부의 단추를 다시 붙일 수 있어,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상기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과 상기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과 양자를 접속하는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의 역할을 하지만 어느 한 쪽이 나 또는 전부가 금속제, 플라스틱제, 엘라스토머제, 고무제, 목제, 세라믹제, 유리제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이 금속제이더라도 좋고,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의 역할을 하는 것이 고무제의 실형상의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와 이동포와 양자를 접속하는 부분을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제로 하면, 대량생산이 가능해져서 대폭적인 비용저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 및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의 역할을 하는 것을, 금속제, 목제, 세라믹제, 유리제 등으로 하면, 외관도 아름답게 의장적으로도 뛰어난 셔츠가 된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거나, 의장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데다가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15 관점에 의하면, 최상부의 단추를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에 부착하고, 상기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를 옷깃대에 형성한 제 2 단추구멍을 통하게 하며, 상기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의 하단을 넓혀 플라스틱판에 접착하여, 더욱 해당 플라스틱판의 주위에 엘라스토머판을 접착하고, 해당 엘라스토머판을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인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엘라스토머판의 변형력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는 제 2 단추구멍 안에서 목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힘을 가하는 것을 멈추면 엘라스토머판의 탄성력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손을 떼면 다시 원래의 딱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를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에 부착하여, 상기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를 옷깃대에 형성한 제 2 단추구멍을 통해서, 상기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의 하단을 넓혀 플라스틱판에 접착하고, 더욱 해당 플라스틱판의 일끝단에 탄성재를 접착하여, 해당 탄성재를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인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탄성재의 신축력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는 제 2 단추구멍안에서 목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힘을 가하는 것을 멈추면 탄성재의 신축력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손을 떼면 다시 원래의 딱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를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에 부착하고, 상기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를 옷깃대에 형성한 제 2 단추구멍을 통하게 하며, 상기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의 하단을 소형의 얇은 플라스틱판에 접착하여, 상기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의 하단부가 슬라이드하는 타원형의 홈과 상기 소형의 얇은 플라스틱판이 슬라이드하는 직사각형의 홈을 갖는 가이드판을 씌우고, 해당 가 이드판의 뒷편을 얇은 플라스틱판 또는 단단한 심재로 막은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서, 슬라이드방향을 제 2 단추구멍의 길이방향에 합쳐서 옷깃대의 내부에 부착하면, 최상부의 단추는 제 2 단추구멍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의 하단부와 타원형의 홈과의 마찰에 의해서, 원하는 위치에서 멈출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할 때는 손끝으로 잡는 것만으로 바깥옷깃과 바깥옷깃의 사이를 닫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16 관점에 의하면, 상기 제 2 단추구멍은 상기 옷깃대의 안쪽 끝단측이 약간 내려져서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제 2 단추구멍의 주변에 단단한 심을 붙여 최상부의 단추와의 마찰을 조절하여, 탄성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등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가 제 2 단추구멍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멈추게 되더라도, 제 2 단추구멍이 수평으로 형성되면 최상부의 단추의 옷깃대 안쪽으로의 복귀가 좋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예의 실험연구의 결과, 제 2 단추구멍의 안쪽이 내려가 비스듬하게 되어 있으면 최상부의 단추의 옷깃대 안쪽으로의 복귀가 좋은 것을 발견하여, 이 발견에 기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단추구멍의 길이는 1.2cm∼2.0cm 정도이고, 이에 대하여 제 2 단추구멍의 안쪽 끝단이 약 2mm 정도 내려가 있으면 최상부의 단추 의 옷깃대 안쪽으로의 복귀가 좋다. 그리고, 필요할 때는 손끝으로 잡는 것만으로 바깥옷깃과 바깥옷깃의 사이를 닫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17 관점에 의하면, 상기 제 2 단추구멍은 상기 옷깃대와 상기 바깥옷깃에 붙은 밑동부분의 바로 아래로부터 상기 제 2 단추구멍 안쪽 끝단이 상기 옷깃대의 바깥쪽으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옷깃대와 바깥옷깃에 부착된 밑동부분의 바로 아래에 제 2 단추구멍 안쪽 끝단이 위치하고 있더라도,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 바깥끝단으로 이동시켜, 통상의 단추구멍의 바깥끝단에 거는 것에 의해, 바깥옷깃과 바깥옷깃의 사이를 열 수가 있다. 따라서, 제 2 단추구멍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바깥옷깃과 바깥옷깃의 사이를 보다 크게 열 수 있지만, 제 2 단추구멍을 너무 길게 하면 외관이 좋지 않게 되고, 제 2 단추구멍이 열기 쉽게 되어 솟구침도 일어나기 쉬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제 2 단추구멍을 바깥쪽으로 비키어 둔 것에 의해 최대 개방폭을 크게 하면, 제 2 단추구멍의 길이는 짧아도 되고, 외관도 좋아 솟구침도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18 관점에 의하면,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에 형성한 제 2 단추구멍을 적당한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관통시켜 정지기구에 꿰매 붙이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목둘레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추구멍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 다.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적절한 길이로 함으로써,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과 정지기구와의 마찰을 이용하여, 제 2 단추구멍안의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스토퍼나 탄성재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용이하게 또한 염가에 제조할 수가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를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에 형성한 제 2 단추구멍을 관통하는 다리부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을 목둘레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추구멍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이동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는 넥타이를 하면 최상부의 단추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단추 이외의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고, 넥타이를 하지 않은 경우라도, 금속 등의 광물이나 세라믹 등을 최상부의 단추 대신에 사용하면, 의장적으로도 뛰어난 것으로 된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를 접속하는 것도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길이와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스토퍼나 탄성재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어, 쾌 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19 관점에 의하면,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옷깃대 앞쪽 밑에 형성한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적당한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관통시켜 정지기구에 꿰매 붙이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목둘레 방향으로 상기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안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 2 단추구멍은, 어느 것이나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에 형성된 것이고, 옷깃대 앞쪽 밑의 아래쪽 옷감은 관통되지 않았기 때문에 옷깃대 앞쪽 밑의 내부에서의 작업이 필요하여, 소비자가 간단히 내부구조를 바꾸는 것은 곤란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옷깃대 앞쪽 밑을 관통한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형성하여, 최상부의 단추와 정지기구를 이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관통시킨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에 의해서 접속시키고 있다. 따라서, 옷깃대 앞쪽 밑의 내부에서의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되어 비용저감으로 이어지고, 또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서 최상부의 단추나 정지기구를 다른 것으로 교환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를 옷깃대 앞쪽 밑에 형성한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관통하는 다리부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을 목둘레방향으로 상기 옷깃대관통 단추구멍내에 원하는 위치에 이동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는 넥타이를 하면 최상부의 단추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단추 이외의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고, 넥타이를 하지 않는 경우라도, 금속 등의 광물이나 세라믹 등을 최상부의 단추 대신에 사용하면, 의장적으로도 뛰어난 것으로 된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를 접속하는 다리부도, 적당한 길이와 강도를 갖게 하고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스토퍼나 탄성재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어, 의장적으로도 뛰어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상기 정지기구는 상기 최상부의 단추보다 큰 단추인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정지기구로서의 단추를 사용하면, 최상부의 단추와의 접속도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에 의해서 간단히 할 수 있어, 최상부의 단추보다 큰 단추를 사용하면 제 2 단추구멍이나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빠져나가 벗어나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단추는 셔츠옷감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제 2 단추구멍안이나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안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상기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상기 정지기구와 상기 다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가 금속제, 플라스틱제, 엘라스토머제, 고무제, 목제, 세라믹제, 유리제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이 금속제이더라도 좋고, 다리부가 고무제의 실 형상의 것이나 경질의 플라스틱이더라도 좋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부분과 다리부와 정지기구의 부분을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제라고 하면,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대폭적인 비용저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 및 다리부를, 금속제, 목제, 세라믹제, 유리제 등으로 하면, 외관도 아름답고 의장적으로도 뛰어난 셔츠가 된다. 또한, 다리부를 엘라스토머제 또는 고무제로 하면, 신축이 자유롭게 된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거나, 의장적으로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는 데다가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제 20 관점에 의하면, 셔츠의 옷깃대의 앞쪽 상단에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를 부착하고, 상기 셔츠를 착용하였을 때에 상기 옷깃대의 앞쪽 밑의 상기 루프가 적당한 가하는 힘을 갖고 걸어맞춤하는 위치에 걸어맞춤기구를 부착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서,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 의 단추구멍에 최상부의 단추를 거는 동시에,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를 옷깃대의 아래쪽의 걸어맞춤기구에 거는 것에 의해, 통상의 단추구멍의 길이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 루프의 탄성력이 강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손을 떼면 자연스럽게 목 언저리가 조여지는 상태로 되돌아가고, 루프의 탄성력에 대하여 통상의 단추구멍과 최상부의 단추와의 마찰력이(실기둥·감긴 밑동을 짧게 함으로써) 강하게 되어 있으면, 통상의 단추구멍의 길이 범위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 임의의 위치에 머물러, 손끝으로 잡는 것에 의해 목 언저리가 조여지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 쪽의 걸어맞춤기구는 바깥옷깃의 밑에 숨기 때문에 외관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탄성재료'로서는, 고무 고무끈, 셔링(shirring)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기구'로서는, 단추, 후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 2 단추구멍이나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일없이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또한, 셔츠의 옷깃대의 앞쪽 하단에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를 부착하여, 상기 셔츠를 착용하였을 때에 상기 옷깃대의 앞쪽 위의 뒤편의 상기 루프가 적당한 가하는 힘을 갖고 걸어맞춤하는 위치에 걸어맞춤기구를 부착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서,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에 최상부의 단추를 거는 동시에,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를 옷깃대의 앞쪽 위의 뒷편의 걸어맞춤기구에 거는 것에 따라, 통상의 단추구멍의 길이 범위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 루프의 탄성력이 강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손을 떼면 자연스럽게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가고, 루프의 탄성력에 대하여 통상의 단추구멍과 최상부의 단추과의 마찰력이(실기둥·감긴 밑동을 짧게 함으로써) 강하게 되어 있으면, 통상의 단추구멍의 길이 범위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러, 손끝으로 잡는 것에 의해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 및 옷깃대의 앞쪽 위의 뒤편의 걸어맞춤기구는 옷깃대의 앞쪽 위의 뒷편에 숨기 때문에 외관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하여, 제 2 단추구멍이나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일없이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및 이익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료하게 나타내는 첨부도면과 같이,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면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를 주로 와이셔츠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다. 각 실시형태를 통하여, 동일한 부재 또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조인 상태를 나타내는 상부 정면도, (b)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으로부터 벗겨, 옷깃대에 형성된 제 2 단추구멍이 보이도록 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탄성재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은 탄성재가 인장되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각 실시형태를 통하여,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재 내지 부분에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인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셔츠(1)는, 외관은 정장 등의 안에 입는 통상의 긴 소매·바깥옷깃(2)이 부착된 와이셔츠이다. 그리고, 최상부의 단추(4)는 옷깃대(3)의 오른팔 쪽(도시하는 좌측)에 꿰매 붙여지고, 옷깃대(3)의 왼팔 쪽(도시하는 오른쪽)에 형성된 통상의 단추구멍(5)에 걸려 멈춰진다. 도 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4)를 통상의 단추구멍(5)으로부터 벗기면 제 2 단추구멍(6)이 나타나고, 최상부의 단추(4)는 이 제 2 단추구멍(6)안을, 가상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목둘레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4)를 제 2 단추구멍(6)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의 목둘레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일 수가 있 다.
다음에, 최상부의 단추(4)를 제 2 단추구멍(6)안에서 이동시키는 기구에 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간단히 하기 위해, 도 2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4)의 4개 또는 2개 있는 단추구멍과 그곳을 지나는 실은, 모두 도시를 생략한다. 도 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옷깃대(3)의 오른팔 쪽의 앞끝단 부분을 상하로 열면, 옷깃대(3)의 위쪽 옷감(3a)에는 제 2 단추구멍(6)이 형성되어 있고,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는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가 도시되지 않은 왼쪽 끝단에 꿰매 붙여지고 있다{또, 위쪽 옷감(3a)에도, 아래쪽 옷감(3b)에도, 강화를 위해 전면에 심재(芯材)가 붙여져 있다. 이 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모든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같다}. 한편, 고무테이프(8)의 오른쪽 끝단에는 이동포로서의 심(7a)의 왼쪽 끝단이 꿰매 붙여지고, 또한 심(7a)의 오른쪽 끝단에는 스토퍼로서의 안감(7b)이 꿰매 붙여지고, 안감(7b)의 오른쪽 끝단은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 내에 꿰매 붙여져 있다. 그리고, 심(7a)에는 최상부의 단추(4)가 적절한 길이의 감긴 밑동(단추의 실기둥에 단단히 감아 붙여서 멈춘 것)이 꿰매 붙여지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 1에서는, 감긴 밑동을 잡고 꿰매 붙였지만, 단추(4)를 적절한 길이의 실기둥으로 꿰매 붙이더라도 좋다. 특히, 셔츠의 단추의 경우에는 기계로 꿰매 붙여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기둥만의 경우도 많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옷깃대(3)의 앞끝단이 모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직사각형을 하고 있지만, 옷깃대(3)의 앞끝단은 유선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많고, 그 경우에는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옷깃대(3)의 앞끝단의 형상에 맞춰서 원모양을 띤 형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이동포로서의 심(7a)과 스토퍼로서의 안감(7b)을 별개로 하여 꿰매 붙이고 있지만, 이동포(7a)와 스토퍼(7b)를 일체의 통 형상의 천으로 하여, 이동포(7a)의 부분에만 내부에 심재를 꿰매 넣더라도 좋다. 또한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를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고 있지만, 옷깃대(3)의 위쪽 옷감(3a)에 꿰매 붙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도, 고무테이프(8)의 꿰매 붙인 실은 바깥옷깃(2)에서 숨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이점에 있어서는,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같다.
또한, 심(7a)의 아래에는 세로테이프(9)가 상하끝단을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여져 있고, 이 세로테이프(9)와 아래쪽 옷감(3b)의 사이에는 가로방향 테이프(10)가 통과하여, 이 가로방향 테이프(10)의 양 끝단은 심(7a)과 안감(7b)의 뒷편에 각각 꿰매 붙여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세로테이프(9)가 심(7a)과 안감(7b)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포 및 스토퍼와 가로방향 테이프(10)에 의해서 끼워지는 구조가 되어, 최상부의 단추(4)를 위쪽 옷감(3a)의 제 2 단추구멍(6)에 걸어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도 2(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하로 흔들거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을, 완성품으로서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에 대해서 보면, 도 1(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추를 최상부의 단추(4)까지 전부 조여서, 도시하지 않은 넥타이를 옷깃(2)밑, 옷깃대(3)의 둘레에 조여서, 관혼상제 등의 포멀한 자리에 임한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를 잡고 있어 목둘레가 낀다고 느낀 경우에는, 아무렇지도 않게 양손으로 좌우의 목 언저리를 잡고 바깥쪽으로 힘을 가하면, 통상의 단추구멍(5)의 단에서 최상부의 단추(4)가 잡아당겨지고, 도 2(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단추구멍(6)안을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목둘레가 신장하여 편하게 되어, 바람을 넣을 수가 있다.
그리고, 양손을 목 언저리로부터 떼면,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가 강력한 인장력을 갖는 경우에는, 고무테이프(8)의 가하는 힘에 의해서 다시 원래의 딱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고무테이프(8)로서 망(網) 고무테이프와 같은 인장력을 사용한 경우에는, 탄성재의 가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제 2 단추구멍(6)의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과의 마찰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4)는 곧바로는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가지 않고, 천천히 시간을 걸려 알지 못할 정도의 움직임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착용자는 목둘레가 편한 상태를 잠시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서, 장례식 등에 참석할 때에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주위에 눈에 띄지 않도록 목둘레를 편안히 하고 있을 수 있다.
또, 고무테이프(8)의 가하는 힘에 의해서 곧바로 원래의 딱 조여진 상태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에는 최상부의 단추(4)의 감긴 밑동(단추의 실기둥에 단단하게 감아 붙여서 멈춘 것)을 약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천천히 시간을 걸려 알지 못할 정도의 움직임으로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최상부의 단 추(4)의 감긴 밑동을 짧게 하여, 최상부의 단추(4)와 단추구멍(5)의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과의 마찰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의 변형예에 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는, 세로테이프(9)를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는 부분까지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와 같다. 다른 것은, 가로방향 테이프(10)를 사용하지 않고, 고무테이프(8)를 세로테이프(9)와 아래쪽 옷감(3b)사이를 통해서 최상부의 단추(4)의 이동스트로크{즉,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분만큼 사이를 비우고, 2개소를 심(7a)의 뒷편에 꿰매 붙인다. 이에 의해서, 세로테이프(9)가 심(7a)과 고무테이프(8)에 의해서 끼워지는 구조가 되어, 최상부의 단추(4)를 고무테이프(8)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하로 흔들리는 일없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방향 테이프(10)를 사용하지 않은 분만큼 구조가 보다 간단해진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옷깃대(3)의 앞끝단이 모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직사각형을 하고 있지만, 옷깃대(3)의 앞끝단은 유선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많고, 그 경우에는 이동포으로서의 심(7a)도 옷깃대(3)의 앞끝단의 형상에 맞춰서 원모양을 띠는 형상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탄성재의 가하는 힘을 선택함으로써 곧바로 원래의 딱 조여진 상 태로 복귀시키거나, 잠시 목둘레를 느슨하게 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어, 옷깃에 치구(治具) 등의 바랜 부분이 나오거나 옷깃이 올라와 치구 등이 보이거나 하는 일도 없고,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포로서의 심(7a)에는 스토퍼로서의 안감(7b)이 꿰매 붙여져 있기 때문에, 최상부의 단추(4)가 떨어진 경우라도 안감(7b)을 손으로 뽑는 것에 의해 심(7a)을 원래의 위치에 되돌릴 수 있어, 최상부의 단추(4)를 심(7a)에 다시 붙일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탄성재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탄성재가 잡아당겨져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최상부의 단추(4)를 제 2 단추구멍(6)내에서 이동시키는 기구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옷깃대(3)의 오른팔 쪽의 앞끝단 부분을 상하로 열면, 옷깃대(3)의 위쪽 옷감(3a)에는 제 2 단추구멍(6)이 형성되어 있고,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는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가 도시되지 않는 왼쪽 끝단에서 꿰매 붙여지고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위쪽 옷감(3a)에도, 아래쪽 옷감(3b)에도, 강화를 위해, 전면에 심재가 붙여져 있다. 한편, 고무테이프(8)의 오른쪽 끝단에는 이동포로서의 심(7a)의 왼쪽 끝단이 꿰매 붙여지고, 또한 심(7a)의 오른쪽 끝단에는 스토퍼로서의 안감(7b)이 꿰매 붙여지 고, 안감(7b)의 오른쪽 끝단은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내에 꿰매 붙여져 있다. 그리고, 심(7a)에는 최상부의 단추(4)가 적절한 길이의 감긴 밑동(단추의 실기둥에 단단히 감아 붙여서 멈춘 것)을 잡고 확실히 붙여져 있다. 또, 본 실시형태(2)에 있어서는 감긴 밑동을 잡고 꿰매 붙였지만, 단추(4)를 적절한 길이의 실기둥으로 꿰매 붙이더라도 좋다.
또한, 심(7a)의 아래에는 가로로 긴 테이프(11)가 제 2 단추구멍(6)에 해당하는 위치에 좌우 끝단을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여져 있고, 이 가로로 긴 테이프(11)와 아래쪽 옷감(3b)의 사이에는 세로방향 테이프(12)가 통해지고, 이 세로방향 테이프(12)의 상하단은 심(7a)의 뒷편에 각각 꿰매 붙여지고 있다. 이에 의해서, 가로로 긴 테이프(11)가 심(7a)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포와 세로방향 테이프(12)에 의해서 끼워지는 구조가 되어, 최상부의 단추(4)를 위쪽 옷감(3a)의 제 2 단추구멍(6)에 걸어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도 4(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하로 흔들리는 일없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도 4에 있어서는 옷깃대(3)의 앞끝단이 모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직사각형을 하고 있지만, 옷깃대(3)의 앞끝단은 유선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많고, 그 경우에는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옷깃대(3)의 앞끝단의 형상에 맞춰서 원모양을 띤 형상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 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과 같이, 목둘레를 느슨하게 하고 나서 양손을 목 언저리로부터 떼면 고무테이프(8)가 강력한 인장력을 갖는 경우에는 고무테이프(8)의 가하는 힘에 의해서 원래의 딱 조 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고무테이프(8)로서 망 고무테이프와 같은 인장력이 약한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탄성재의 가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제 2 단추구멍(6)의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과의 마찰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4)는 곧바로는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가지 않고, 천천히 시간을 걸려 모를 정도의 움직임으로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기 때문에, 착용자는 목둘레가 편한 상태를 잠시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서, 장례식 등에 참석할 때에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주위에 눈에 띄지 않도록 목둘레를 편안히 하고 있을 수 있다.
또, 고무테이프(8)의 가하는 힘에 의해서 곧바로 원래의 딱 조여진 상태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에는 최상부의 단추(4)의 감긴 밑동을 약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천천히 시간을 걸려 그것이라고 모를 정도의 움직임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최상부의 단추(4)의 감긴 밑동을 짧게 하여, 최상부의 단추(4)와 단추구멍(5)의 구멍 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과의 마찰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탄성재의 가하는 힘을 선택함으로써 곧바로 원래의 딱 조여진 상태로 복귀시키거나, 잠시 목둘레를 느슨하게 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어, 옷깃에 치구 등의 바랜 부분이 나오거나 옷깃이 올라와서 치구 등이 보이거나 하는 일이 없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다.
최상부의 단추(4)를 제 2 단추구멍(6)내에서 이동시키는 기구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3은, 상기 실시형태 1과 실시형태 2를 조합한 것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가로로 긴 테이프(11)가 왼쪽 끝단에서는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여지고, 세로방향의 테이프(12)가 이동포를 구성하는 심(7a)의 뒷편에 상하 끝단이 꿰매 붙여지고, 세로방향의 테이프(12)와 심(7a)으로 가로로 긴 테이프(11)를 끼운 상태가 되고 있는 데 대하여, 가로로 긴 테이프(11)의 오른쪽 끝단은 스토퍼를 구성하는 안감(7b)의 뒷편에 꿰매 붙여지고, 세로테이프(9)가 가로로 긴 테이프(11)의 위를 통과하여 상하 끝단이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여지고, 가로로 긴 테이프(11)와 안감(7b)으로 세로테이프(9)를 끼운 상태가 되고 있다.
이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4)를 제 2 단추구멍(6)내에서 이동시킬 때에, 보다 한층 흔들거리는 일없이 곧바로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할 때의 마찰이 커지기 때문에, 고무테이프(8)의 가하는 힘을 약하게 하는 동시에, 최상부의 단추(4)를 이동포를 구성하는 심(7a)에 꿰매 붙일 때의 감긴 밑동을 짧게 하여, 최상부의 단추(4)를 제 2 단추구멍(6)내의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켜 목둘레를 편안히 한 상태를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4)가 이동하는 범위가 2개의 세로 테 이프로 확실히 한정되기 때문에, 고무테이프(8)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일이 없어 수명이 길어진다.
또, 도 5에 있어서는 옷깃대(3)의 앞끝단이 모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직사각형을 하고 있지만, 옷깃대(3)의 앞끝단은 유선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많고, 그 경우에는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옷깃대(3)의 앞끝단의 형상에 맞춰서 원모양을 띤 형상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 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탄성재를 오래 쓰게 할 수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대해서, 도면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 (b)는 '〈'자형 테이프의 앞끝단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c)는 최상부의 단추가 이동하였을 때의 '〈'자형 테이프의 앞끝단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중앙부에 턱을 설치하여 '〈'자형으로 접어서 갠 테이프(14)의 상하를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고, 테이프(14)의 중앙선에 따라 이동포를 구성하는 심(7a)을 꿰매 붙이고, 심(7a)에 최상부의 단추(4)를 꿰매 붙이고, 심(7a)의 왼쪽 끝단에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를 꿰매 붙이고 있다. 도 6(b)의 확대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테이프(14)의 '〈'자형으로 접어서 갠 중앙부분은 턱으로 되어 있어, 최상부의 단추(4)가 목둘레가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면 6(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앙부분의 턱이 상하로 분산하여 테이프(14)의 여분이 작아지고, 최상부의 단추(4)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최상부의 단추(4)가 부착되어 있는 심(7a), 테이프(14), 고무테이프(8) 등의 내용물이 제 2 단추구멍(6)으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와 버리는 소위 '솟구침'이 어려워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 1∼3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4)가 부착되는 심(7a)이 세로방향의 테이프 혹은 가로방향의 테이프에 의해서 아래쪽 옷감(3b)에 눌러 붙여져 있었기 때문에, 최상부의 단추(4)가 잡아 당겨지더라도 솟구침은 일어나기 어려워지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 4와 같이 심(7a)을 눌러 붙이지 않는 경우라도, '〈'자형으로 접어서 갠 중앙부분을 턱으로 한 테이프(14)로 심(7a)을 아래쪽 옷감(3b)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4의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옷깃대 부분의 구조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심(7a)을 '〈'자형으로 접어서 개어 중앙부분을 턱으로 한 테이프(14)에서 아래쪽 옷감(3b)에 부착하는 동시에, 가로방향 테이프(13)를 테이 프(14)의 밑을 통과하여 양 끝단을 이동포와 스토퍼를 구성하는 심(7a)과 안감(7b)의 뒤편에 각각 꿰매 붙인다. 이에 의해서, 테이프(14)가 가로방향 테이프(13)와 심(7a), 안감(7b)에서 끼워지는 것으로 되고, 심(7a)에 꿰매 붙여진 최상부의 단추(4)의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는 동시에, 솟구침을 한층 일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도 7에 있어서는 옷깃대(3)의 앞끝단이 모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직사각형을 하고 있지만, 옷깃대(3)의 앞끝단은 유선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많고, 그 경우에는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옷깃대(3)의 앞끝단의 형상에 맞춰서 원모양을 띤 형상으로 한다.
여기서, 솟구침이 일어나는 경우와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솟구침이 일어나는 경우와 일어나지 않은 경우를, 옷깃대의 단면으로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탄성재(8)에 인장력이 걸리지 않고, 최상부의 단추(4)가 제 2 단추구멍(6)의 왼쪽 끝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도 8(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4)에 오른쪽 방향(목둘레가 느슨해지는 방향)에의 인장력이 걸리는 동시에 위쪽 방향으로 끌어올리는 힘이 걸린 경우라도,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심(7a)이 세로방향의 테이프 혹은 가로방향의 테이프에 의해서 아래쪽 옷감(3b)에 눌러 붙여져 있기 때문에, 솟구침은 일어나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무슨 대책도 취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도 8(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심(7a)이 제 2 단추구멍(6)으로부터 잡아 당겨져 나와, 더욱 탄성재(8), 안감(7b)도 끌어 내어져 버리는 소위 '솟구침'이 일어 나 버린다.
<실시형태 5>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솟구침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연구가 되어 있고,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옷깃대의 앞끝단 부분을 위에서 본 도면,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옷깃대의 앞끝단 부분을 위에서 본 도면,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심만을 집어내어 본 도면, (d)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옷깃대의 앞끝단 부분을 열어 본 도면이다.
도 9(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5에 있어서는, 옷깃대(3)의 위쪽 옷감(3a)의 제 2 단추구멍(6)의 주위에 뒷편으로부터 제 2 단추구멍(6)부분에 긴 구멍을 열 수 있는 단단한 심(15)이 붙여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최상부의 단추(4)에 위쪽에 인장력이 걸리더라도, 제 2 단추구멍(6)은 자유롭게 변형할 수가 없기 때문에 심(7a)은 제 2 단추구멍(6)으로부터 밖으로 튀어 나갈 수 없어, '솟구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 1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9(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옷깃대(3)의 위쪽 옷감(3a)의 앞끝단 부분 전체에 뒷편으로부터 제 2 단추구멍(6)부분에 긴 구멍을 열 수 있는 단단한 심(16)이 붙여지고 있다. 이에 의해서, 옷깃대(3)의 앞끝 단 부분의 제 2 단추구멍(6)측 전체가 단단한 심(16)으로 강화되기 때문에, 제 2 단추구멍(6)은 점점 더 자유롭게 변형할 수 없고, 보다 솟구침이 일어나 어렵게 된다.
또한,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9(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4)가 꿰매 붙여지고 옷깃대(3)의 내부에서 이동포를 구성하는 심(7a)의 뒤편 전체에 단단한 심(17)이 붙여지고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포의 심(7a) 부분의 경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려워지고, 또한 옷깃대(3)의 앞끝단 부분의 내부를 이동포의 심(7a)부분이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목둘레를 조절할 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도 동시에 얻어진다.
또한,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9(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옷깃대(3)의 위쪽 옷감(3a)의 제 2 단추구멍(6)의 주위에 뒷편으로부터 제 2 단추구멍(6)부분에 긴 구멍을 열 수 있는 단단한 심(15)이 붙여짐과 동시에, 최상부의 단추(4)가 꿰매 붙여지고 옷깃대(3)의 내부에서 이동포를 구성하는 심(7a)의 뒷편 전체에 단단한 심(17)이 붙여지고 있다. 또, 도 9(d)에 있어서는 심(7a)의 좌측의 고무테이프(8)와 오른쪽의 안감(7b)이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 5와 제 2 변형예의 상승효과에 의해서, 완전히 솟구침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 5와 그 변형예에 있어서의 단단한 심(15, 16, 17) 대신에 얇은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내열성 플라스틱과는 협의로는 약 200℃까지는 연화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료를 말한다. 이러한 재료이면, 다림질하는 온도가 가장 높은(약 200℃) 목면제의 와이셔츠 등에도 단단한 심(15, 16, 17) 대신에 사용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 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관해서, 도면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가 부착된 측의 옷깃대를 상하방향으로 열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6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를 이동포를 구성하는 심(7a)이 깊숙한 곳까지 꿰매 붙이고, 제 2 단추구멍(6)의 위치에 제 2 단추구멍(6)보다도 길게 사이를 두고 아래쪽 옷감(3b)에 양 끝단을 꿰매 붙여진 가로로 긴 테이프(11)를 그 밑을 통과시킨 세로방향 테이프(12)의 상하 끝단을 심(7a)에 꿰매 붙이고, 가로방향으로 이동포(7a) 및 스토퍼(7b)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무테이프(8)를 심(7a)이 깊숙한 곳까지 넣어지게 함으로써, 최상부의 단추(4)를 이동시키는 기구가 줄어들어, 눈에 띄지 않게 되어 통상의 와이셔츠와 전혀 변함 없이 보인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도 10에 있어서는, 옷깃대(3)의 앞끝단이 모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직사각형을 하고 있지만, 옷깃대(3)의 앞끝단은 유선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많아, 그 경우에는 이동포로서의 심(7a)도 옷깃대(3)의 앞끝단의 형상에 맞춰서 원모양을 띤 형상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 6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를 비롯한 셔 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통상의 셔츠와 교대하지 않는 외관으로,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를 강력한 것으로 하여 최상부의 단추(4)의 감긴 밑동(단추의 실기둥에 단단하게 감아 붙여서 멈춘 것)을 약간 길게 하면, 손끝으로 목둘레를 느슨하게 하여 바람을 넣고 손을 떼면 곧바로 목둘레에 딱 맞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고무테이프(8)를 탄력성이 약한 것으로 하여 최상부의 단추(4)의 감긴 밑동을 짧게 하면, 원하는 위치까지 최상부의 단추(4)를 이동시켜 손을 떼더라도 곧바로는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가지 않고, 목둘레가 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항상 딱 맞는 상태를 계속 될 수 있는 셔츠로 하기 위해서, 탄성재를 강력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면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 (b)는, 어느 것이나 2개의 탄성재를 최상부의 단추(4)를 부착하는 심(7a)에 꿰매 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V자형으로 조합한 고무테이프(8a, 8b 혹은 8c, 8d)를 최상부의 단추(4)를 부착하는 심(7a)의 왼쪽 끝단에 꿰매 붙이고, 도시되지 않은 고무테이프(8a, 8b 혹은 8c, 8d)의 왼쪽 끝단을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면, 2개의 고무테이프(8a, 8b 혹은 8c, 8d)에 의해서 보다 강력한 탄성력이 얻어져서, 손끝으로 목둘레를 느슨하게 하여 바람을 넣고 손을 떼면 즉시 목둘레에 딱 맞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실시형태 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 (b)는 그 변형예에 관한 최상부의 단추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1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7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탄성재를 사용하지 않고,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최상부의 단추(4)의 이동 스트로크{즉,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분 이상 떨어져서 굵은 가로테이프(19)의 양 끝단을 꿰매 붙이고, 이 가로테이프(19)를 안팎에서 끼워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18)를 가로테이프(19)의 상하의 가장자리에서 꿰매 붙이고, 이 세로방향 테이프(18)를 가로테이프(19)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여,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18) 중 겉에 최상부의 단추(4)를 꿰매 붙이고, 도시하지 않은 제 2 단추구멍(6)으로부터 밖으로 내보내고 있다. 이에 의해서,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18)와 가로테이프(19)의 사이의 마찰이 커지고, 최상부의 단추(4)가 한번 이동시킨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탄성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비용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7의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도면 12(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2개의 가로테이프(19a, 19b)를 사용하여 이들을 평행하게 당겨 양 끝단을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고, 이것 들의 가로테이프(19a, 19b)를 안팎에서 끼워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18)를 2개의 가로테이프(19a, 19b)의 상하의 가장자리에서 각각 꿰매 붙이고, 이 세로방향 테이프(18)를 2개의 가로테이프(19a, 19b)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하여,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18)중 겉에 최상부의 단추(4)를 꿰매 붙이고, 도시하지 않은 제 2 단추구멍(6)으로부터 밖으로 내보내고 있다. 이에 의해서,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와 2개의 가로테이프의 사이의 마찰은 더욱 커져, 최상부의 단추(4)가 한번 이동시킨 위치로부터 더욱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 7과 그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화할 수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 7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가로테이프(19, 19a, 19b)의 양 끝단을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고 있지만, 아래쪽 옷감(3b)의 안감에만 꿰매면 아래쪽 옷감(3b)의 겉에는 재봉실이 전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은 통상의 셔츠와 전혀 변하지 않는 것이 되어, 돋보임이 좋은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실시형태 8>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 부의 단추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1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4)를 실로 심에 꿰매 붙이는 것이 아니라,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20)의 앞끝단에 부착하고 있다.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20)의 하단은 원형의 플라스틱판(21)에 접착하여, 원형의 플라스틱판(21)의 주위는 도시하지 않은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에 대응하는 약 직사각형의 엘라스토머판(22)으로 덮여져 있다. 그리고, 도 13(b)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엘라스토머판(22)이 바깥둘레에 따라 재봉실(23)로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여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엘라스토머판(22)의 변형력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4)는 제 2 단추구멍안에서 목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힘을 가하는 것을 멈추면 엘라스토머판(22)의 탄성력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4)는 즉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 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느슨하게 할 수 있어, 손을 떼면 또 원래의 딱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가 딱 맞는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 9>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도, 최상부의 단추(4)를 실로 심에 꿰메 붙이는 것은 아니고, 막대 형상의 엘라스토머(20)의 앞끝단에 부착하고 있다. 막대 형상의 엘라스토머(20)의 하단은 대략 직사각형의 플라스틱판(24)에 접착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의 플라스틱판(24)의 측면에는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가 접착되어, 고무테이프(8)의 왼쪽 끝단은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여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의 신축력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4)는 도시하지 않은 제 2 단추구멍(6)내에서 목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킬수 있고, 힘을 가하는 것을 멈추면 고무테이프(8)의 신축력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4)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 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지 않고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손을 뗀 채로 원래의 딱 조인 상태로 되돌아가 딱 맞는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 10>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 의 단추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0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도, 최상부의 단추(4)를 실로 심에 꿰매 붙이는 것은 아니고, 막대 형상의 엘라스토머(20)의 앞끝단에 부착하고 있다. 막대 형상의 엘라스토머(20)의 하단은 대략 정방형의 얇은 소형의 플라스틱판(25)에 접착되어 있으며, 이 플라스틱판(25) 위에는, 막대 형상의 엘라스토머(20)가 슬라이드 가능한 타원형의 홈(26a)과, 대략 정방형의 얇은 소형의 플라스틱판(25)이 막대 형상의 엘라스토머(20)와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직사각형의 홈(26b)을 가진 가이드판(26)에 의해서 덮여져 있으며, 가이드판(26)의 뒷편에는 얇고 튼튼한 플라스틱판(27)이 붙여져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방향을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 방향에 맞추어 옷깃대(3)의 내부에 설치하면, 최상부의 단추(4)는 제 2 단추구멍(6)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고, 짧은 막대 형상의 엘라스토머(20)의 하단부와 타원형의 홈(26a)과의 마찰에 의해서, 바람직한 위치에서 멈출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 10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지 않고 바람직한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 1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1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상기 이 동포로서의 심(7a) 대신에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판을 심(7a)과 같은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여, 최상부의 단추(4)를 꿰매 붙이고, 한쪽 끝단에는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8)를 꿰매 붙이고, 다른 쪽 끝단에는 스토퍼로서의 안감(7b)을 꿰매 붙여, 고무테이프(8)와 안감(7b)의 다른 끝단은 각각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꿰매 붙인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연화점이 약 260℃이고, 약 200℃의 다리미질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두꺼운 판이 아니면 재봉틀로 꿰맬 수 있기 때문에, 최상부의 단추(4)를 손재봉 바늘이나 단추가 붙은 재봉틀로 꿰매 붙일 수 있다. 대량생산을 고려한 경우에는, PET 판의 최상부의 단추(4)를 붙이는 위치에 작은 구멍을 2개 이상 열어 두면 손재봉바늘 및 재봉틀바늘을 통과시키기 쉽고, 바늘이 구부러지기 어려워, 바늘끝이 찌부러지기 어렵고, 바늘끝이 꺾이기 어렵다.
그리고, PET판은 적절한 경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분출 방지를 위한 세로 테이프나 가로 테이프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분출이 일어나는 경우는 없다. 또, PET판의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형성하여 두면, 제 2 단추구멍(6)의 사이로부터 PET 판의 표면이 보이더라도 빛을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눈으로 보아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PET판을 천으로 둘러싸 놓으면, PET판이 얇아도 구부림이 어려워지고,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빛을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눈으로 봤을 때 위화감을 주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 1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이동포 대신에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사용함에 따라, 특별한 연구를 하지 않더라도 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 11에 있어서는, 내열성 플라스틱으로서 PET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그 외에도 폴리 ·염화비닐리덴(연화점 185℃∼200℃),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과 폴리염화비닐(PVC)과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열성 플라스틱에는, 광의로는, 더욱 연화온도가 낮은(약 100℃∼약 180℃) 플라스틱재료도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제의 와이셔츠 등으로서는, 다리미질 온도가 약 160℃∼약 180℃로 낮고, 더구나 내열성 플라스틱에 직접 다리미를 대는 것은 아니고 생지(生地)를 끼워 간접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내열성 플라스틱의 온도는 더욱 낮은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셔츠의 생지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서는, 폴리염화비닐(PVC)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옷깃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 1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탄성재를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이는 꿰맨 자리가 바깥에서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4)를 이동포(30)에 적절한 길이의 밑동을 감아 확실하게 꿰매 붙이고, 이동포(30)의 오른쪽 끝단에는 스토퍼로서의 신축성이 없는 천 테이프(31)가 꿰매 붙여지고, 이동포(30)의 왼쪽 끝단에는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32)가 꿰매 붙여져 있다. 또, 본 실시형태 12에 있어서는 단추(4)를 밑부분을 감아 꿰매 붙였으나, 단추(4)를 적절한 길이의 실로 꿰매 붙여도 좋다. 그리고, 고무테이프(32)의 왼쪽 끝단을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3b)의 폭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가진 코어재료로서의 바이린 심(33)에 강고하게 꿰매 붙이고, 바이린 심(33)을 접착제로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3b)에 붙인다.
그리고,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3b)을 도시하지 않은 위쪽 옷감과 서로 꿰매는 실(34)에 의해서 서로 꿰매면, 스토퍼로서의 신축성이 없는 천 테이프(31)의 오른쪽 끝단도, 코어재료로서의 바이린 심(33)의 상하 끝단도 함께 꿰매 붙여지고, 최상부의 단추(4)의 이동기구가 완성한다. 여기서, 탄성재로서의 고무테이프(32)의 왼쪽 끝단은 바이린 심(33)에 꿰매 붙여지고 있기 때문에,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3b)을 꿰맨 자리가 관통하지 않고 고무테이프(32)의 꿰맨 자리가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표면에서 일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매우 외관이 좋아진다.
<실시형태 1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옷깃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옷깃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옷깃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d)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옷깃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옷깃대(3)의 위쪽 옷감(3a)의 앞끝단 부분에는, 전체면에 딱딱한 심으로서의 소프트심(35)이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되어 있고, 소프트 심(35)의 중앙부분에는 제 2 단추구멍(6)이 위쪽 옷감(3a)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는,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4)의 이동기구가 설치되고, 이동포 등에 최상부의 단추(4)가 적절한 길이의 감긴 밑동 또는 실기둥을 잡고 확실히 꿰매 붙여지고, 제 2 단추구멍을 통해서 밖으로 내보내진다. 그리고,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3b)을 위쪽 옷감(3a)과 서로 꿰매는 실(34)에 의해서 서로 꿰매는 것에 따라, 소프트심(35)도 함께 꿰매 붙여지기 때문에 반복하여 세탁하더라도 소프트 심(35)이 떨어지는 일이 없어, 언제까지나 형태가 망가지지 않는다.
이에 의해서, 옷깃대(3)의 앞끝단 부분의 제 2 단추구멍(6)측 전체가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으로 강화되기 때문에, 제 2 단추구멍(6)은 자유롭게 변형할 수 없고, 보다 솟구침이 일어나 어려워진다. 또한, 옷깃대(3)의 앞끝단 부분에 당김을 갖게 하는 것에 따라 이동포 등과의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최상부의 단추(4)를 제 2 단추구멍(6)의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어, 더욱 이동포 등의 이동범위에 주름이 생기거나 구부러지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포 등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단지, 최상부의 단추(4)를 제 2 단추구멍(6)의 원하는 위치에서 멈춰지도록 되더라도, 그 대신에 되돌아감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동포 등의 종류(이동포의 뒷편에 단단한 심을 꿰매 붙인 것, 내열플라스틱판, 레이저커트 또는 히트커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동포 등)와 탄성재의 강도를 선택하여, 최상부의 단추(4)를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되고, 또한 되돌아감도 원활하게 되도록 조절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를, 제 2 단추구멍(6)내의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4)를, 도시하지 않은 옷깃대 겉섶의 통상의 단추구멍(5)에 거는 것에 의해 착용하면, 도 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옷깃대 앞쪽 밑쪽이 조금 '〈'자형으로 구부려져서 둥그스름하게 부착되고, 도 1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3a)과 아래쪽 옷감(3b)을 꿰매어 맞춰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져서, 이동포 등과의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여 목 언저리를 넓혔을 때 최상부의 단추(4)를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커트 또는 히트커트에 의해 되는 이동포'란, 단단한 심에 천을 접착하여 이동포의 형상으로 레이저커트 또는 히트커트로 잘라내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이동포의 주위는 레이저커트 또는 히트커트에 의한 열로 굳어지기 때문에 풀리는 일이 없고, 이동포를 제작하는 데 재봉틀로 꿰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이동포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13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17(b)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3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17(a)에 있어서의 소프트 심(35) 대신에 단단한 심으로서 하드 심(36)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다를 뿐, 그 밖의 구조에 있어서는 같다. 이와 같이, 단단한 심의 종류를 바꾸는 것에 의해서도, 최상부의 단추(4)의 되돌아감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를, 제 2 단추구멍(6)내의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4)를, 도시하지 않은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5)에 거는 것에 따라 착용하면,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옷깃대 앞쪽 밑이 약간'〈'자형으로 구부러지고 둥그스름하게 부착되고, 도 1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3a)과 아래쪽 옷감(3b)을 꿰매어 맞춰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져서, 이동포 등과의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여 목 언저리를 넓혔을 때 최상부의 단추(4)를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13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17(c)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3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17(a)에 있어서의 소프트 심(35) 대신에 비교적 단단한 심으로 하여 바이린 심(37)을 사용하고, 더욱 제 2 단추구멍(6)의 주위에만 하드 심(38)을 겹쳐 붙인 것이다. 여기서, '바이린 심'이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부직포의 심으로 여러 가지의 두께의 것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 13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는, 얇고 부드러운 것을 사용하여 옷깃대(3)의 앞끝단 부분의 제 2 단추구멍(6)측 전체를 단단한 심으로서의 바이린 심(37)으로 부드럽게 강화하고, 제 2 단추구멍(6)의 주위만은 하드 심(38)으로 단단하게 강화함으로써, 최상부의 단추(4)의 되돌아감을 조절함과 동시에 솟구침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를, 제 2 단추구멍(6)안의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4)를, 도시하지 않은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5)에 거는 것에 따라 착용하면,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옷깃대 앞쪽 밑측이 약간 '〈'자형으로 구부러지고 둥그스름하게 부착되어, 도 17(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옷깃대 앞쪽 아래의 위쪽 옷감(3a)과 아래쪽 옷감(3b)을 꿰매어 맞춰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져서, 이동포 등과의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여 목 언저리를 넓혔을 때 최상부의 단추(4)를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13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17(d)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3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면 17(a)에 있어서의 소프트 심(35)의 위에 제 2 단추구멍(6)의 주위에만 하드 심(38)을 겹쳐 붙인 것이다. 이에 의해서, 옷깃대(3)의 앞끝단 부분의 제 2 단추구멍(6)측 전체를 바이린 심(37)보다는 단단하게 하드 심(36)보다는 부드럽게 강화하고, 제 2 단추구멍(6)의 주위만은 하드 심(38)으로 단단하게 강화함으로써, 최상부의 단추(4)의 되돌아감을 조절함과 동시에 솟구침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를, 제 2 단추구멍(6)내의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4)를, 도시하지 않은 옷깃대 앞쪽 밑의 통상의 단추구멍(5)에 거는 것에 따라 착용하면,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옷깃대 앞쪽 밑측이 약간 '〈'자형으로 구부러져 둥그스름하게 부착되어, 도 17(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옷깃대 밑의 위쪽 옷감(3a)과 아래쪽 옷감(3b)을 꿰매어 맞춰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져서, 이동포 등과의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여 목 언저리를 넓혔을 때 최상부의 단추(4)를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1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a), (b),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 및 제 1 변형예 및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이동포의 구조 및 탄성체와 스토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 (b), (c), (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이동포에 있어서의 심을 천으로 둘러싸는 여러 종류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b), (c)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이동포에 있어서, 탄성재의 위에 심을 두고 천으로 둘러싸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이동포(80)는, 심(80a)을 셔츠의 천과 같은 천(80b)에 의해서 둘러싸서 주위를 실로 꿰매 붙인 것이다. 여기서, 심(80a)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바이린 심, 인펠 심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 14에 있어서는, 이 이동포(80)의 양 끝단에 탄성재로서의 파워넷(81)을 각각 꿰매 붙여, 오른쪽의 파워넷(81)에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심(80a)을 셔츠와 같은 천(80b)으로 둘러싸서 이동포(80)를 구성하고 있는 것은, 상기 실시형태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옷깃대(3)의 앞끝단 부분의 제 2 단추구멍(6)측에 단단한 심(35, 36)을 붙여 강화하면, 이들 단단한 심(35, 36)의 표면에는 큰 요철이 있기 때문에, 최상부의 단추의 이동에 따라서 이들의 단단한 심(35, 36)의 표면과 서로 스치는 이동포(80)로서 심(80a)을 천(80b)으로 둘 러싼 것을 사용하면, 작은 요철을 갖는 천(80b)과, 단단한 심(35, 36)의 표면의 큰 요철이 딱 좋은 마찰력이 생겨, 제 2 단추구멍(6)이 적당한 위치에서 이동포를 멈추거나, 움직이거나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도 18(b)에 나타나는 것은, 본 실시형태 1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셔츠의 이동포(80)의 부착방법의 제 1 변형예이고, 심(80a)을 셔츠의 천과 같은 같은 천(80b)에 의해서 둘러싸서 주위를 실로 꿰매 붙인 이동포(80)의 왼쪽 끝단에 탄성재로서의 파워넷(81)을 꿰매 붙이고, 오른쪽 끝단에는 스토퍼로서의 탄성이 없는 천 테이프(82)를 꿰매 붙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이동포가 설치하는 방법의 제 2 변형예로서, 도 18(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동포(83)의 왼쪽 끝단에는 탄성재로서의 파워넷(81)을 꿰매 붙이고, 오른쪽 끝단은 심(80a)을 둘러싸는 셔츠의 천과 같은 같은 천(83a)을 그대로 통 형상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고 있다. 즉,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는, 심(80a)을 둘러싸는 천과 스토퍼가 일체화하고 있다.
다음에, 심(80a)을 천(80b)으로 둘러싸는 방법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80b)을 중심으로 꿰매 가르는 것에 따라 심(80a)을 둘러싸는 방법을 비롯하여, 도 19(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80b)을 중심으로 재단하여 겹쳐 꿰매는 바느질하는 방법, 도 19(c)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장의 천(80b)을 겹쳐 상하를 꿰매 붙인 것을 뒤집어서 안에 심(80a)을 넣은 방법, 도 19(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맞닿는 부분을 한쪽에 가까이 하여 한쪽만 꿰매는 방법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어느 쪽의 방법에 의하더라도, 셔츠의 천과 같은 같은 천(80b) 또는 그 밖의 천으로 심(80a)을 둘러싸는 것에 의해, 이동포(80, 83)의 표면을 매끄러운 모양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1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이동포의 제 3 변형예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20(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탄성재로서의 파워넷(81)의 위에 심(80a)을 얹고 그 위로부터 같은 천(80b)으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 이동포(80A)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우선, 도 2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1개의 파워넷(81)의 위에 심(80a)을 얹고, 한편 도 2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80b)의 양 끝단의 시접을 접어 둔다. 그리고, 도 20(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80b)을 심(80a)의 위로부터 감아 붙여서 밑에서 구부려서, 심(80a)의 주위를 꿰맨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 14에 관한 이동포(80, 80A, 83)에 의하면, 적절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어,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지 않고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솟구침이 일어나기 어려워,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실시형태 1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이동포로서의 심이 접촉하는 단단한 심에 천을 붙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 (b), (c), (d), (e), (f)는 그 제 1∼제 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 15에 있어서는, 이동포로서 심만을 사용하여, 이 심에 최상부의 단추(4)를 적당한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여서 제 2 단추구멍(6)으로부터 나오게 하여 이동시킨다. 이 때에, 솟구침이 일어나지 않도록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3a)의 안쪽에 단단한 심(35)(소프트 심) 또는 (36)(하드 심)을 붙이지만, 그대로는 표면에 큰 요철을 갖는 이동포로서의 심과 단단한 심(35, 36)이 서로 스치는 것으로 되어 마찰이 커져 버린다. 그래서, 역전의 발상으로서 이동포측에 천을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3a)의 안쪽에 단단한 심의 위로부터 천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실시형태 14와 같은 적절한 마찰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도 2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옷깃대(3)의 앞쪽 밑의 위쪽 옷감(3a) 안쪽에 위쪽 옷감(3a)의 앞끝단 전체를 덮도록 크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이고, 더욱 제 2 단추구멍(6)이 형성되는 부분에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 정도로 잘라낸 작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이고, 더욱 그 위로부터 크고 단단한 심(35)(36) 전체를 덮는 크기의 같은 천(셔츠 천)(85)을 꿰매 붙이고 있다. 그리고, 제 2 단추구멍(6)의 관통구멍을 열어 천(85)도 포함하여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하여 제 2 단추구멍(6)을 형성하고, 도시하지 않은 이동포로서의 심에 꿰매 붙인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으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한다.
이에 의해서, 제 2 단추구멍(6)을 형성함으로써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에서 천(85)의 중앙부분도 고정된다. 그리고, 최상부의 단추가 이동포로서의 심과 일체로 제 2 단추구멍(6)내를 이동할 때에, 큰 요철을 갖는 심과 천(85)이 서로 스치기 때문에, 적절한 마찰을 얻을 수 있다.
도 21(b)에 나타나는 제 1 변형예로서는, 크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인 위로부터,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 정도로 잘라낸 작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같은 천(86)으로 둘러싸고 나서 꿰매 붙이고 있다. 그 후, 제 2 단추구멍(6)을 형성하고 있다.
도 21(c)에 나타나는 제 2 변형예로서는, 크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인 위로부터,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 정도로 자른 작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이고, 더욱 그 위로부터 작고 단단한 심(35)(36)의 크기로 자른 같은 천(86)을 전체 둘레에 꿰매 붙여서, 그 위로부터 제 2 단추구멍(6)을 형성함으로써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에서 천(86)의 중앙부분도 고정하고 있다.
도 21(d)에 나타나는 제 3 변형예로서는, 크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인 위로부터,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정도에 잘라낸 작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이고, 더욱 그 위로부터 옷깃대 위쪽 옷감(3a)의 위로부터 아래까지 걸치는 길이의 같은 천(87)을 꿰매 붙이고, 천(87)의 좌우의 가장자리는 잠금처리하고 있다. 그 후, 제 2 단추구멍(6)을 형성하고 있다.
도 21(e)에 나타나는 제 4 변형예로서는, 크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인 위로부터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 정도로 자른 작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이고, 더욱 그 위에서 같은 천(88)을 붙여, 작고 단단한 심의 형상을 따라 히트커트하고 있다. 그 후, 제 2 단추구멍(6)을 형성하고 있다.
도 21(f)에 나타나는 제 5 변형예로서는, 크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인 위로부터,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 정도로 자른 작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이고, 더욱 그 위로부터 같은 천(89)을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로 접착하고 있다. 그 위로부터 제 2 단추구멍(6)을 형성함으로써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으로 천(89)의 중앙부분도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15 및 그 제 1∼제 5 변형예에 있어서는, 어느 것이나 크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인 위로부터,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 정도로 자른 작고 단단한 심으로서의 소프트 심(35) 또는 하드 심(36)을 꿰매 붙이고 있지만, 셔츠의 소재, 기타에 따라서는 크고 단단한 심(35)(36)만을 꿰매 붙이고, 작고 단단한 심은 꿰매 붙이지 않고 직접 같은 천(85, 86, 87, 88, 89)을 부착하더라도 좋다. 또한, 천(85, 86, 87, 88, 89)으로서는, 셔츠와 같은 천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그 밖의 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1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이동포 대신의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b)는 내 열성 플라스틱판에 스토퍼를 붙인 곳을 나타내는 평면도, (c)는 탄성재를 더욱 붙인 곳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실시형태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포 대신에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사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지만,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에는 일반 소비자로서는 다시 붙이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도 2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내열성 플라스틱(PET)판(40)에 천 테이프(41)를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해, 최상부의 단추(4)가 떨어진 경우에 일반 소비자라도 용이하게 다시 붙일 수 있다. 여기서, 이동포 대신의 내열성 플라스틱판(40)에 천 테이프(41)를 양 끝단만큼 꿰매 붙이고 중앙은 내열성 플라스틱판(40)으로부터 뜨게 하여, 천 테이프(41)만큼 최상부의 단추(4)를 꿰매 붙이더라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 16에 있어서는 내열성 플라스틱판(40)에 천 테이프(41)의 주위를 재봉실(42)로 꿰매 붙여서 내열성 플라스틱판에 밀착시켜, 천 테이프(41)와 내열성 플라스틱판(40)을 관통시켜서 최상부의 단추(4)를 꿰매 붙이고 있다.
전자의 경우는 최상부의 단추(4)가 떨어진 경우에 소비자가 천 테이프(41)에만 최상부의 단추(4)를 다시 꿰매는 것이 용이하지만, 천 테이프(41)의 중간부가 떠 있는 분만큼 솟구침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 16의 경우는 천 테이프(41)가 내열성 플라스틱판(40)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천 테이프(41)에만 최상부의 단추(4)를 다시 꿰매 붙이는 것이 어려운 듯이 생각되지만, 내열성 플라스틱판(41)으로 바늘끝이 미끄러지기 때문에, 의외로 용이하게 천 테이프(41)에만 최상부의 단추(4)를 다시 꿰매 붙일 수 있다.
또한, 도 22(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약간 긴 천 테이프(41A)를 내열성 플라스틱판(40)의 오른쪽 끝단으로부터 밀려나오도록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해, 밀려나온 부분(41a)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줄어 공정단축, 비용저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2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열성 플라스틱판(40)의 왼쪽 끝단에 탄성재로서의 망 고무테이프(43)를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해, 최상부의 단추(4)를 도시하지 않은 제 2 단추구멍(6)의 안에서 이동시키는 구조가 완성된다. 본 실시형태 14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4)를 임의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멈추게 되도록, 탄성재로서 인장력이 그다지 강하지 않은 망 고무테이프(43)를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지 않고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에도 용이하게 다시 붙일 수 있고, 동시에 스토퍼를 부착할 수도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가 된다.
<실시형태 1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7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7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이동포를 긴 탄성재에 부착한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이동포대신의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긴 탄성재에 부착한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7에 있어서는, 이동포(45)의 양 끝단이 긴 탄성재로서의 망 고무테이프(44)의 위에 재봉실(46)로 꿰매 붙여지고, 그 위로부터 최상부의 단추(4)가 이동포(45) 및 망 고무테이프(44)를 관통하여 꿰매 붙여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긴 탄성재로서의 망 고무테이프(44)의 오른쪽이 스토퍼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봉제가 간단하여 스토퍼를 꿰매 붙인 것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7의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 16과 같은 내열성 플라스틱판(40)에 천 테이프(41)를 꿰매 붙인 것의 양 끝단이 긴 탄성재로서의 망 고무테이프(44)의 위에 재봉실(46)로 꿰매 붙여지고, 그 위로부터 최상부의 단추(4)가 천 테이프(41), 내열성 플라스틱판(40) 및 망 고무테이프(44)를 관통하여 꿰매 붙여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긴 탄성재로서의 망 고무테이프(44)의 오른쪽이 스토퍼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봉제가 간단하여 스토퍼를 꿰매 붙인 것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18>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가장 목둘레를 짧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목둘레를 조금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딱 맞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목둘레를 보다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조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e)는 목둘레를 더욱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더욱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f)는 본 발명 의 실시형태 18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g)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A)는 옷깃대(3)의 끝이 실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둥글게 되어 있지만, 가상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이 져 있는 경우라도, 이하에 서술하는 작용효과는 완전히 동일하다.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A)가 가게에서 판매되는 경우, 목둘레와 소매길이가「39(cm)-78(cm)」와 같이 1cm간격으로 표시되어, 소비자는 이들의 숫자를 기준으로 하여 자신에게 맞는 치수의 것을 구입하지만, 목둘레는 도 24(a), (f), (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옷깃대(3)의 앞쪽 위에 형성된 통상의 단추구멍(5)의 중간점 β으로부터 옷깃대(3)의 앞쪽 밑에 형성된 제 2 단추구멍(6)의 안단(δ)까지의 길이로 나타낸다.
여기서, 제 2 단추구멍(6)은 도 24(a)에 있어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안쪽끝단(δ)측이 약 2mm 내려가 오른쪽이 올라가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바깥끝단(ε)측으로 이동한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가 되돌아가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제 2 단추구멍(6)을 수평으로 형성하면, 최상부의 단추가 되돌아가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본 실시형태 1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A)는 목둘레가 41cm이고,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를 걸어 목 주위의 치수가 가장 작아지는 것은, 도 2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키고,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안쪽끝단(γ)에 건 경우이고, 목 주위의 치수는 40.4cm가 된다. 바깥옷깃(2)이 딱 합쳐지는 것은, 도 24(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켜 통상의 단추구멍(5)의 중간점(β)에 건 경우에, 목의 주위의 치수는 41cm의 목둘레 치수가 된다.
또한, 도 24(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켜 통상의 단추구멍(5)의 바깥끝단(α)에 건 경우에는, 바깥옷깃(2)이 조금 열려 목 주위의 치수는 41.6cm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 18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A)의 목 주위의 치수가 가장 커지는 것은, 도 24(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바깥끝단(ε)으로 이동시켜 통상의 단추구멍(5)의 바깥끝단(α)에 건 경우이고, 목 주위의 치수는 42.8cm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18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A)에서는, 목 주위의 치수가 최소 40.4cm에서 최대 42.8cm까지 2.4cm의 범위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추울 때는 조이고, 더울 때는 넓힐 수 있어, 주위의 온도변화에 재빨리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바깥옷깃(2)의 사이를 크게 확대한 도24(e)가 러프한 상태로부터, 바깥옷깃(2)을 딱 맞춘 도 24(c)의 포멀한 상태로 재빨리 바꿀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18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24(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f)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B)는 바깥옷깃(2)이 부착된 밑동으로부터 옷깃대(3)의 좌우로의 돌출길이가 2.5cm이고, 0.5cm 증가하고 있다. 그 만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위치도 바깥쪽으로 어긋나 있고, 또한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도 1.5cm로 길어져 있다. 이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B)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최상부의 단추를 걸어 목 주위의 치수가 가장 작아지는 것은,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안쪽끝단(γ)에 건 경우이고, 목 주위의 치수는 40.4cm가 된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6)에 위치시켜 통상의 단추구멍(5)의 중간점(β)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41cm의 목둘레 치수가 되지만, 바깥옷깃(2)의 사이가 조금 열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B)의 목 주위의 치수가 가장 커지는 것은,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바깥끝단(ε)으로 이동시켜 통상의 단추구멍(5)의 바깥끝단(α)에 건 경우이고, 목 주위의 치수는 43.1cm가 된다. 이와 같이, 제 1 변형예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B) 에서는, 목의 주위의 치수가 최소 40.4cm에서 최대 43.1cm까지 2.7cm의 범위에서 변화한다.
여기서, 제 2 단추구멍(6)은 도 24(f)에 있어서도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역시 안쪽끝단(δ)측이 약 2mm 내려가 오른쪽이 올라가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바깥끝단(ε)측으로 이동한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가 되돌아가기 쉽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18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24(g)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g)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C)는 바깥옷깃(2)이 부착된 밑동으로부터의 옷깃대(3)의 좌우로의 돌출길이가 3.0cm이고, 0.5cm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만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위치도 더욱 바깥쪽으로 어긋나고 있고, 또한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도 1.8cm로 길어져 있다. 이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C)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를 걸어 목 주위의 치수가 가장 작아지는 것은,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안쪽끝단(γ)에 건 경우이고, 목 주위의 치수는 40.4cm가 된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켜 통상의 단추구멍(5)의 중간점(β)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41cm의 목둘레치수가 되지만, 바깥옷깃(2)의 사이가 조금 열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C)의 목 주위의 치수가 가장 커지는 것은,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바깥끝단(ε)으로 이동시켜 통상의 단추구멍(5)의 바깥끝단(α)에 건 경우이고, 목 주위의 치수는 43.4cm가 된다. 이와 같이, 제 2 변형예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C) 에서는, 목 주위의 치수가 최소 40.4cm에서 최대 43.4cm까지 3.0cm의 범위에서 변화한다.
여기서, 제 2 단추구멍(6)은 도 24(g)에 있어서도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역시 안쪽끝단(δ)측이 약 2mm 내려가 오른쪽이 올라가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바깥끝단(ε)측으로 이동한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가 되돌아가기 쉽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 18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A, 1B, 1C)에서는, 목 주위의 치수가 2.4cm∼3.0cm의 범위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추울 때는 조이고, 더울 때는 넓힐 수 있어, 주위의 온도변화에 재빨리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바깥옷깃(2)의 사이를 크게 넓힌 러프한 상태로부터 바깥옷깃(2)을 딱 맞춘 포멀한 상태로 재빨리 바꿀 수 있다.
<실시형태 19>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가장 목둘레를 짧게 하여 바깥옷깃이 딱 맞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목둘레를 조금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조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목둘레를 보다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더욱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e)는 목둘레를 더욱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크게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f)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가장 목둘레를 짧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목둘레를 조금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딱 맞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목둘레를 보다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조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e)는 목둘레를 더욱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더욱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f)는 목둘레를 더욱 길게 하여 바깥옷깃이 크게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g)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제 2 단추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5(a), (b), 도 26(a), (g)에 있어서도, 제 2 단추구멍(6)은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역시 안쪽끝단(δ)측 혹은 안쪽끝단(ε측)이 약 2mm 내려가 오른쪽이 올라가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바깥끝단(ε)측 혹은 바깥끝단(ζ)측으로 이동한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가 되돌아가기 쉽게 된다.
도 25(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A)는 목둘레가 41.5cm이고,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를 걸어 목 주위의 치수가 가장 작아지는 것은, 도 25(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안쪽끝단(γ)에 건 경우이고, 목 주위의 치수는 40.9cm가 되어 바깥옷깃(2)이 딱 맞춰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목둘레가 41cm의 사람이라도 착용할 수가 있어, 가게에서 판매할 때에는 「목둘레 41cm」의 셔츠로서 판매하더라도 좋다.
도 25(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중간위치(β)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41.5cm(목둘레 치수)가 되고, 바깥옷깃(2)의 사이가 조금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도 25(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바깥끝단(α)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42.1cm가 되어, 바깥옷깃(2)의 사이가 보다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도 25(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바깥끝단(ε)으로 이동시키고,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바깥끝단(α)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최대 43.3cm가 되어 바깥옷깃(2)의 사이가 크게 열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19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A)에서는, 목 주위의 치수가 최소 40.9cm에서 최대 43.3cm까지 2.4cm의 범위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추울 때는 조이고, 더울 때는 넓힐 수 있어, 주위의 온도변화에 재빨리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바깥옷깃(2)의 사이를 크게 넓힌 도 25(e)의 러프한 상태로부터 바깥옷깃(2)을 딱 맞춘 도 25(b)의 포멀한 상태로 재빨리 바꿀 수 있다. 또한, 통상에 착용하였을 때{도 25(c)의 상태}, 목 언저리가 0.5cm 열려 있기 때문에, 와이셔츠 등에서는 넥타이를 하기 쉽고 적당한 맞는 느낌을 만들기 쉽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8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1A)에서는, 바깥옷깃(2)의 최대 열린 폭이 1.8cm인 것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 19의 목둘레 조절기능부 착 셔츠(51A)에서는, 제 2 단추구멍(6)을 바깥쪽으로 0.5cm 어긋나게 하였기 때문에, 앞쪽 위의 단추구멍(5)의 길이도,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도 1.2cm로 동일하면서 바깥옷깃(2)의 최대 열린 폭이 2.3cm로 커지고 있다.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를 길게 하면 최대 열린 폭을 크게 하는 것은 할 수 있지만, 제 2 단추구멍(6)을 너무 길게 하면 외관이 나빠져서, 제 2 단추구멍(6)이 열리기 쉬워져서 솟구침도 일어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제 2 단추구멍(6)을 바깥쪽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최대 열린 폭을 크게 하면,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는 짧은 채로도 되고, 외관도 좋아 솟구침도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19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25(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f)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B)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A)와 같이 제 2 단추구멍(6)을 바깥쪽으로 0.5cm 어긋나게 하고, 더욱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를 1.5cm로 조금 길게 하고 있다.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B)도 목둘레가 41.5cm이고,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를 걸어 목 주위의 치수가 가장 작아지는 것은,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켜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안쪽끝단(γ)에 건 경우이고, 목 주위의 치수는 40.9cm 이(로) 되어 바깥옷깃(2)이 딱 맞춰진 상태가 된다.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δ)에 위치시켜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중간위치(β)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41.5cm(목둘레치수)가 되어, 바깥옷깃(2)의 사이가 조금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바깥끝단(ε)으로 이동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바깥끝단(α)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최대의 43.6cm가 되어 바깥옷깃(2)의 사이가 2.6cm로 크게 열린 상태가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19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26(a)∼(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C)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A)와 같이 제 2 단추구멍(6)을 바깥쪽으로 0.5cm 어긋나게 하고, 또한 통상의 단추구멍(5)을 0.5cm 안쪽으로 늘려서 길이를 1.7cm로 길게 하고 있다.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C)도 목둘레가 41.5cm이고,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를 걸어 목 주위의 치수가 가장 작아지는 것은, 도 26(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ε)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안쪽끝단(δ)에 건 경우이고, 목 주위의 치수는 40.4cm가 되어 바깥옷깃(2)의 앞끝단이 조금 겹쳐진 상태가 된다.
다음에,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ε)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중간 오른쪽에서부터 γ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41.0cm가 되고, 도 26(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바깥옷깃(2)의 앞끝단이 딱 맞춰진 상태가 된다.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ε)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중간 왼쪽으로부터 β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41.5cm(목둘레 치수)가 되어, 도 26(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깥옷깃(2)의 사이가 조금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의 안쪽끝단(ε)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바깥끝단(α)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42.1cm가 되어, 도 26(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깥옷깃(2)의 사이가 더욱 열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바깥끝단(ζ)으로 이동시키고,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바깥끝단(α)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최대의 43.3cm가 되어, 도 26(f)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깥옷깃(2)의 사이가 2.3cm로 크게 열린 상태가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19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26(g)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g)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D)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A)와 같이 제 2 단추구멍(6)을 바깥쪽으로 0.5cm 어긋나게 하고, 또한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를 1.5cm로 조금 길게 하고 있다.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D)도 목둘레가 41.5cm이고,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를 걸어 목 주위의 치수가 가장 작아지는 것은,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ε)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안쪽끝단(δ)에 건 경우이고, 목 주위의 치수는 40.4cm가 되어 바깥옷깃(2)이 조금 겹쳐진 상태가 된다.
다음에,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ε)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중간 오른쪽으로부터 γ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41.0cm가 되어, 바깥옷깃(2)의 앞끝단이 딱 맞춰진 상태가 된다.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6)의 안쪽끝단(ε)에 위치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중간 왼쪽으로부터 β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41.5cm(목둘레 치수)가 되어, 바깥옷깃(2)의 사이가 조금 열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최상부의 단추를 제 2 단추구멍의 바깥끝단(ζ)으로 이동시켜,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5)의 바깥끝단(α)에 건 경우에는, 목 주위의 치수는 최대의 43.6cm가 되고, 바깥옷깃(2)의 사이가 2.6cm로 크게 열린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 1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A, 51B, 51C, 51D)에서는, 목 주위의 치수가 최소로부터 최대까지 2.4cm∼3.2cm의 범위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추울 때는 조이고, 더울 때는 넓힐 수 있어, 주위의 온도변화에 재빨리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바깥옷깃(2)의 사이를 크게 넓힌 러프한 상태로부터, 바깥옷깃(2)을 딱 맞춘 포멀한 상태로 재빨리 바꿀 수 있다. 또한, 통상에 착용하였을 때의 목 언저리가 0.5cm 열려 있기 때문에, 와이셔츠 등에서는 넥타이를 하기 쉽고 적절한 맞는 느낌을 만들기 쉽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8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A)에서는, 바깥옷깃(2)의 최대 열린 폭이 1.8cm인 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 19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1A, 51B, 51C, 51D)에서는, 제 2 단추구멍(6)을 바깥쪽으로 0.5cm 어긋나게 하였기 때문에, 바깥옷깃(2)의 최대 열린 폭이 2.3cm 혹은 2.6cm으로 커지고 있다.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를 길게 하면 최대 열린 폭을 크게 할 수는 있지만, 제 2 단추구멍(6)을 너무 길게 하면 외관이 나빠지고, 제 2 단추구멍(6)이 열리기 쉬워져서 솟구침도 일어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제 2 단추구멍(6)을 바깥쪽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에 의해 최대 열린 폭을 크게 하면, 제 2 단추구멍(6)의 길이는 짧은 채로 되고, 외관도 좋아 솟구침도 일어나지 않는다.
<실시형태 20>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0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관해서,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0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 및 걸어맞춤기구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0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고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d)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e)는 제 4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f)는 제 5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0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 셔츠(52A)는, 상기 실시형태 1∼실시형태 19와 달리 옷깃대 앞쪽 밑(3B)에 제 2 단추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최상부의 단추(4)는 옷깃대 앞쪽 밑(3B)의 돌출부에 꿰매 붙여져 고정되어 있다. 그 대신에, 옷깃대 앞쪽 위(3A)의 돌출부 끝단에 탄성재료로서의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4)가 꿰매 붙여지고 있고 옷깃대 앞쪽 밑(3B)의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4)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어맞춤기구로서의 단추(53)가 꿰매 붙여지고 있다.
이에 의해서, 옷깃대 앞쪽 위(3A)의 통상의 단추구멍(5)에 최상부의 단추(4)를 거는 동시에,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4)를 옷깃대의 앞쪽 밑의 단추(53)에 걸음으로써, 통상의 단추구멍(5)의 길이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 루프(54)의 탄성력이 강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손을 떼면 자연스럽게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가고, 루프(54)의 탄성력에 대하여 통상의 단추구멍(5)와 최상부의 단추(4)와의 마찰력이 강하게 되어 있으면, 통상의 단추구멍(5)의 길이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는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러, 손끝으로 잡음으로써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형태 20에 있어서는, 실기둥을 0.2cm로 짧게 함으로써 루프(54)의 탄성력에 대하여 통상의 단추구멍(5)와 최상부의 단추(4)와의 마찰력이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단추구멍(5)의 길이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는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러, 손끝으로 잡음으로써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0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 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2B)는, 통상의 단추구멍(5)이 바깥옷깃(2)의 붙은 밑동을 중심으로 하여 1.2cm의 길이를 갖고 있고, 실기둥을 0.2cm로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1.2cm의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러 손끝으로 잡음으로써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2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0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2C)는, 통상의 단추구멍(5)이 바깥옷깃(2)의 붙은 밑동을 넘어 1.7cm의 길이를 갖고 있고, 역시 실기둥을 0.2cm로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1.7cm 보다 넓은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러, 손끝으로 잡음으로써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2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0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2D)는, 통상의 단추구멍(5)이 바깥옷깃(2)의 붙은 밑동으로부터 밖으로 1.5cm의 길이를 갖고 있고, 감긴 밑동을 0.2cm로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1.5cm의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러, 손끝으로 잡음으로써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2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0의 제 4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2E)는, 통상의 단추구멍(5)이 바깥옷깃(2)의 붙은 밑동으로부터 떨어져 밖으로 1.2cm의 길이를 갖고 있고, 감긴 밑동을 0.2cm로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1.2cm의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러, 손끝으로 잡음으로써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27(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0의 제 5 변형예에 관한 목둘 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2F)는, 통상의 단추구멍(5)이 바깥옷깃(2)의 붙은 밑동으로부터 밖으로 1.7cm의 길이를 갖고 있고, 감긴 밑동을 0.2cm로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1.7cm의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러, 손끝으로 잡음으로써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단, '탄성재료'로서는, 고무, 고무 끈, 셔링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기구'로서는, 단추, 후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형태 20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2, 52A, 52B, 52C, 52D, 52E, 52F)는, 제 2 단추구멍(6)이나, 후술하는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일 없이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어,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4) 및 옷깃대 앞쪽 밑의 단추(53)는 바깥옷깃(2)의 밑에 숨기 때문에 외관의 손상 없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관해서,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옷깃대 앞쪽 밑측에는 도 27(a)과 같이 걸어맞춤기구로서의 단추(53)가 꿰매 붙여져 있고, 옷깃대 앞쪽 밑에 최상부의 단추(4)가 꿰매 붙여지고 있는 것도 동일하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1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2G)가 도 27에 나타나는 실시형태 20과 다른 것은, 옷깃대 앞쪽 위(3A)의 돌출부 끝단에 꿰매 붙여져 있는 탄성재료로서의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5)가, 루프(54)와 비교해서 세로로 길게 되어 있고, 따라서 가하는 힘도 강해지고 있는 점이다. 이에 의해서, 옷깃대 앞쪽 위(3A)의 통상의 단추구멍(5)에 최상부의 단추(4)를 거는 동시에,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5)를 옷깃대의 앞쪽 밑의 단추(53)에 걸음으로써, 통상의 단추구멍(5)의 길이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 루프(55)의 탄성력이 강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손을 떼면 자연스럽게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 19)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2G)는, 제 2 단추구멍(6)이나, 후술하는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일 없이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 없이 목 언저리를 넓힐 수 있고, 손을 떼면 자연스럽게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가고,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5) 및 옷깃대 앞쪽 밑의 단추(53)는 바깥옷깃(2)의 밑에 숨기 때문에 외관의 손상 없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관해서,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6)가 도 27에 나타나는 실시형태 20과 다른 것은, 탄성재료로서의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8)가, 옷깃대 앞쪽 위(3A)가 아니고 옷깃대 앞쪽 밑(3B)의 돌출부 끝단에 꿰매 붙여지고 있는 점과, 옷깃대 앞쪽 위(3A)의 뒷편(안쪽)의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8)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어맞춤기구로서의 단추(57)가 꿰매 붙여져 있는 점이다.
이에 의해서,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8)를 옷깃대의 앞쪽 위 뒷편의 단추(57)에 걸음과 동시에, 옷깃대 앞쪽 위(3A)의 통상의 단추구멍(5)에 최상부의 단추(4)를 걸음으로써, 통상의 단추구멍(5)의 길이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 루프(58)의 탄성력이 강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손을 떼면 자연스럽게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에 되돌아가고, 루프(58)의 탄성력에 대하여 통상의 단추구멍(5)와 최상부의 단추(4)와의 마찰력이 강하게 되어 있으면, 통상의 단추구멍(5)의 길이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러, 손끝으로 잡음으로써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에 되돌아간다.
본 실시형태 22에 있어서는, 실기둥을 0.2cm로 짧게 함으로써 루프(58)의 탄성력에 대하여 통상의 단추구멍(5)과 최상부의 단추(4)와의 마찰력이 강해지고 있어, 통상의 단추구멍(5)의 길이 범위 내에서 목 언저리를 넓힌 경우에는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러, 손끝으로 잡음으로써 목 언저리가 조여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단,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8) 및 옷깃대의 앞쪽 위 뒷편의 단추(57)는 옷깃대의 앞쪽 위(3A) 뒷편에 숨기 때문에 외관의 손상 없이, 통상의 셔츠로 보인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 22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56)는, 제 2 단추구멍(6)이나, 후술하는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일없이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고무 끈으로 이루어지는 루프(58) 및 옷깃대 앞쪽 밑의 뒷편의 단추(57)는 숨겨지기 때문에 외관의 손상 없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관해서,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위의 통상의 단추구멍과 옷깃대 앞쪽 밑을 관통하여 형성된 옷깃대관통 단추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앞쪽 위와 앞쪽 밑을 겹쳐 최상부의 단추를 통상의 단추구멍에 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3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와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c)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d)는 제 4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e)는 제 5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f)는 제 6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 착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과 정지기구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단추구멍(6)으로서 도 2∼도 10, 도 16∼도 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3a)만을 관통하여 아래쪽 옷감(3b)은 관통하지 않은 구조에 관해서 설명하여 왔다. 즉, 지금까지 설명한 제 2 단추구멍(6)은 어느 것이나 옷깃대 앞쪽 밑(3B)의 위쪽 옷감(3a)에 형성된 것으로, 옷깃대 앞쪽 밑(3B)의 아래쪽 옷감(3b)은 관통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옷깃대 앞쪽 밑(3B) 내부에서의 작업이 필요하여, 소비자가 간단히 내부구조를 바꾸는 것은 어려웠다
그러나 도 3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60)에 있어서는, 옷깃대 앞쪽 밑(3B)의 아래쪽 옷감(3b)을 관통한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을 형성하여, 최상부의 단추(4)와 정지기구로서의 한 둘레 큰 단추(62)를 이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을 관통시킨 감긴 밑동(63)에 의해서 접속시키고 있다. 따라서, 옷깃대 앞쪽 밑(3B) 내부에서의 작업이 필요 없게 되고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되어 비용 경감으로 이어지고, 또한 소비자들의 기호에 따라 최상부의 단추(4)나 정지기구(62)를 다른 것으로 교환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 2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60)에 있어서는,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고,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으며,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2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60)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4)와 정지기구로서의 한 둘레 큰 단추(62)를 이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을 관통시킨 감긴 밑동(63)에 의해서 접속시키고 있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도 31(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3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4)와 정지기구로서의 한 둘레 큰 단추(62)를 이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을 관통시킨 다리부로서의 고무발(64)에 의해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도 3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의 금속제 원판(65)과 정지기구로서의 한 둘레 큰 금속제 원판(67)을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을 관통시킨 다리부로서의 한 쌍의 수나사·암나사(66)에 의해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도 31(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의 오목한 쪽 후크(68)와 정지기구로서의 한 둘레 큰 볼록한 쪽 후크(69)를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을 관통시킨 다리부로서의 볼록한 쪽 후크 볼록부(69a)에 의해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도 31(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4 변형예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4)를 다리부로서의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20)의 끝단에 부착하고 있다. 막대 형상의 엘라스토머(20)의 하단은 원형의 플라스틱판(21)에 접착하고, 원형의 플라스틱판(21)의 주위는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의 길이에 대응하는 약 직사각형의 엘라스토머판(22)으로 덮여져 있다. 그리고, 이 엘라스토머판(22)이 바깥둘레에 따라 재봉실로 옷깃대 앞쪽 밑(3B)의 아래쪽 옷감(3b)의 뒷편에 꿰매 붙여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엘라스토머판(22)의 변형력에 의해 최상부의 단추(4)는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내에서 목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힘을 가하는 것을 멈추면 엘라스토머판(22)의 탄성력에 의해서 최상부의 단추(4)는 곧바로 원래위치로 되돌아간다.
또, 도 31(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5 변형예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의 금속제 원판(70)과 금속제 다리부(70a)와 정지기구로서의 금속제의 가늘고 긴 타원형 판(71)이 일체로 제작되어 있고 가늘고 긴 타원형 판(71)은 금속제 다리부(70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늘고 긴 타원형 판(71)을 실선으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에 평행하게 관통시킨 뒤, 가상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약 90도 회동시키면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31(f)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6 변형예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의 원판 부분(72a)과 다리부(72b)와 정지기구로서의 큰 원판 부분(72c)이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으로 일체 성형되고, 한 개의 플라스틱부품(72)이 되고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대폭 비용경감으로 이어진다.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는 넥타이를 하면 최상부의 단추(4)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단추 이외의 것을 사용해도 좋고, 넥타이를 하지 않는 경우라도, 금속 등이나 목재, 세라믹, 유리 등을 최상부의 단추 대신에 사용하면, 외관적으로도 아름답고 의장적으로도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 과 정지기구를 접속하는 다리부도, 적당한 길이와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를 엘라스토머제 또는 고무제로 하면, 신축이 자유롭게 된다. 더구나, 스토퍼와 탄성재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 2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가 있어,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23에 있어서는 도 30(a), (b), 도 31(a)∼(f)에 나타나는 정지기구에만 의한 슬라이드기구를 옷깃대관통 단추구멍(61)에 사용한 경우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들을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2 단추구멍(6)을 갖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즉, 옷깃대 앞쪽 밑 위쪽 옷감(3a)과 아래쪽 옷감(3b)과의 사이에 정지기구를 끼우고, 제 2 단추구멍(6)을 따라 최상부의 단추(4)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스토퍼나 탄성재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형태 2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관해서,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 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에 형성된 제 2 단추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b)는 (a)를 뒤집어 옷깃대 앞쪽 밑의 아래쪽 옷감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c)는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졌을 때의 꿰매 붙이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a)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4의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의 바깥옷깃을 열어 옷깃대 앞쪽 밑의 위쪽 옷감에 형성된 제 2 단추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b)는 (a)를 뒤집어 옷깃대 앞쪽 밑의 아래쪽 옷감에 형성된 변형예에 관한 관통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c)는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졌을 때의 꿰매 붙이는 방법을 나다낸 도면이다.
도 3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으로서의 국화모양 구멍(75)은 도시하지 않은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소비자가 스스로 최상부의 단추를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붙이려는 경우에, 도 3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옷깃대 앞쪽 밑(3B)의 위쪽 옷감에 형성된 제 2 단추구멍(6)을 약간 넓혀,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에 힘이 가하지 않은 상태로 최상부의 단추가 있어야 된 위치를 재봉실을 붙인 바늘(N)로 뜬다. 이 때, 깊게 뜨면 옷깃대 앞쪽 밑(3B)의 아래쪽 옷감까지 떠버리고, 최상부의 단추를 옷깃대 앞쪽 밑(3B)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일 우려가 있다.
그래서, 옷깃대 앞쪽 밑(3B)의 뒤편 아래쪽 옷감에 풀리지 않은 관통구멍으로서의 국화모양 구멍(75)을 형성하여, 아래쪽 옷감을 뜨지 않기 위해 처음부터 뜨지 않고, 바늘(N)을 국화모양 구멍(75) 속에 관통된 것을 확인하고 그것을 몇 번 되풀이함으로써,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에 최상부의 단추를 꿰매 붙인다. 이에 의해서, 소비자가 틀림없이 간단하게 최상부의 단추를 다시 붙일 수 있다.
또한, 도 3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4의 변형예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제 2 단추구멍(6)의 왼쪽 끝단이, 바깥옷깃(2)이 붙은 밑동에 위치하고 있어,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에 힘이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상부의 단추가 있어야 할 위치도 바깥옷깃(2)이 붙은 밑동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 33(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풀리지 않는 관통구멍으로서의 금속제의 링 구멍(76)도 바깥옷깃(2)이 붙은 밑동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33(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바늘(N)을 링 구멍(76) 속에 관통된 것을 확인하고 그것을 몇 번 되풀이함으로써,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에 최상부의 단추를 꿰매 붙인다. 이에 의해서, 소비자가 틀림없이 간단하게 최상부의 단추를 다시 붙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 24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가 떨어진 경우라도 소비자가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최상부의 단추를 다시 붙일 수 있고,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실시형태 2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5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대해서,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3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사용되는 최상부의 단추로서의 관통바늘부착 플라스틱단추를 이 동포에 푹 찌르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정면도이며, (b)는 관통바늘부착 플라스틱단추를 관통시킨 뒤에, 관통바늘부분을 접어 뺀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정면도이다.
도 34(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5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사용되는 최상부의 단추로서의 관통바늘부착 플라스틱단추(77)는, 단추부분(77a), 축부분(77b), 한 쌍의 빠짐방지부(77c), 잘록한 부분(77d), 관통바늘부분(77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통바늘부분(77e)의 끝단은 날카롭게 뾰족하여 이동포(30)에 푹 찔러 힘을 가하면, 한 쌍의 빠짐 방지부(77c)까지의 부분을 관통시킬 수 있다. 그 뒤에, 잘록한 부분(77d)에 있어서 관통바늘부분(77e)을 접어 뺌으로써, 도 34(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최상부의 단추로서의 단추부분(77a)이 이동포(30)에 한 쌍의 빠짐방지부(77c)에 의해서 떨어지지 않도록 강고히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 25에 관한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에 있어서는, 최상부의 단추(77a)를 지극히 용이하게 이동포(30)에 부착할 수 있고 관통바늘부착 플라스틱단추(77)도 일체 성형으로 제조되고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대폭 비용을 경감할 수 있고,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를 주로 와이셔츠에 적용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는 옷깃대에 단추가 붙은 셔츠 전반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캐쥬얼 셔츠, 여자 남방, 바깥옷깃이 없는 셔츠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옷깃대의 폭이 통상의 크기의 경우에 관 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옷깃대의 폭이 넓은 특수한 경우에는, 통상의 단추구멍(5) 및 제 2 단추구멍(6)을 상하 2단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세로 테이프(9), 가로방향 테이프(10), 가로로 긴 테이프(11), 세로방향 테이프(12) 등을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였지만, 이들의 테이프류를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의 안감에만 꿰매 붙이면, 아래쪽 옷감(3b)의 표면 쪽에는 고무테이프(8)를 꿰매 붙이는 실의 꿰맨 자리밖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아주 돋보임이 좋아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단추구멍을 통상의 실로 구멍가장자리를 바느질하고 있지만, 단추구멍의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된 부분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여 열경화시키거나 합성수지제 실로 구멍가장자리를 바느질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제 2 단추구멍이 변형되기 어려워져서, 솟구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토퍼로서 이동포(7a)와 같은 폭의 안감(7b)을 사용하고 있지만, 스토퍼의 재질은 그 외에도 옷감, 천 테이프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며, 폭도 이동포(7a)보다도 가늘더라도 상관없다.
또, 단추(4)를 부착한 단추구멍(6)을 관통시키는 짧은 막대형상의 엘라스토머(20)의 단면형상은, 단추구멍(6)안을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하도록, 단추구멍의 길이방향에 긴 단면타원 또는 타원의 기둥형상체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항에 나타나 있고, 그들 청구항의 범 위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예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셔츠를 비롯한 셔츠의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옷깃에 치구(治具) 등의 바랜 부분이 나오거나 옷깃이 올라와서 치구 등이 보이거나 하는 일 없이, 추울 때는 조이고, 더울 때는 넓힐 수 있어, 주위의 온도변화에 재빨리 대응할 수가 있고, 또한 바깥옷깃의 사이를 크게 넓힌 러프한 상태로부터 바깥옷깃을 딱 맞춘 포멀한 상태로 재빨리 바꿀 수 있어, 쾌적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다.

Claims (45)

  1.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4)를 옷깃대(3)에 형성한 제 2 단추구멍(6) 내부의 이동포(7a)에 부착하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목둘레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추구멍(6)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재(8)에 직접, 또는 상기 탄성재(8)의 끝단에 상기 이동포(7a)를 꿰매 붙여서 상기 이동포(7a)에 부착하고, 상기 탄성재(8)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고, 상기 탄성재(8) 또는 상기 이동포(7a)의 상하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세로테이프(9)를 부착하고, 상기 탄성재(8) 또는 상기 이동포(7a)의 뒷편에 가로방향 테이프(10)를 상기 세로테이프(9)의 밑을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통과시켜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 삭제
  3. 삭제
  4.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4)를 옷깃대(3)에 형성한 제 2 단추구멍(6) 내부의 이동포(7a)에 부착하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목둘레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추구멍(6)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재(8)에 직접, 또는 상기 탄성재(8)의 끝단에 상기 이동포(7a)를 꿰매 붙여서 상기 이동포(7a)에 부착하고, 상기 탄성재(8)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고, 상기 탄성재(8) 또는 상기 이동포(7a)의 아래의 상기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의 상기 제 2 단추구멍(6)에 해당하는 위치에 가로로 긴 테이프(11)를 상기 제 2 단추구멍(6) 길이분만큼 비운 양 끝단을 꿰매 붙이고, 상기 탄성재(8) 또는 상기 이동포(7a)의 뒤편에 상기 가로로 긴 테이프(11)가 비워진 부분에 세로방향 테이프(12)를 통해서 상하끝단을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5.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4)를 옷깃대(3)에 형성한 제 2 단추구멍(6) 내부의 이동포(7a)에 부착하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목둘레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추구멍(6)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재(8)에 직접, 또는 상기 탄성재(8)의 끝단에 상기 이동포(7a)를 꿰매 붙여서 상기 이동포(7a)에 부착하고, 상기 탄성재(8)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고, 상기 탄성재(8) 또는 상기 이동포(7a)의 아래의 상기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의 상기 제 2 단추구멍(6)에 해당하는 위치에 가로로 긴 테이프(11)를 왼쪽 끝단만 꿰매 붙이고, 상기 탄성재(8) 또는 상기 이동포(7a)의 뒤편에 상기 가로로 긴 테이프(11)의 아래쪽에 세로방향 테이프(12)를 통해서 상하끝단을 꿰매 붙이고, 상기 제 2 단추구멍(6)의 오른쪽 끝단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세로테이프(9)를 부착하고 상기 탄성재(8) 또는 상기 이동포(7a)의 뒤편에 상기 가로로 긴 테이프(11)의 오른쪽 끝단을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6.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4)를 옷깃대(3)에 형성한 제 2 단추구멍(6) 내부의 이동포(7a)에 부착하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목둘레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추구멍(6)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재(8)에 직접, 또는 상기 탄성재(8)의 끝단에 상기 이동포(7a)를 꿰매 붙여서 상기 이동포(7a)에 부착하고, 상기 탄성재(8)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고, 상기 탄성재(8) 또는 상기 이동포(7a)에 '〈'자형으로 구부린 테이프(14)를 구부림선에서 꿰매 붙이고, 상기 테이프(14)의 양 끝단은 상기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이고, 상기 꿰매 붙여진 구부림선의 좌우의 남은 테이프는 턱으로 접어 포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7. 제 1 항, 제 4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테이프(9) 또는 상기 가로로 긴 테이프(11) 혹은 '〈'자형으로 구부린 테이프(14)를 상기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의 안쪽에 꿰매 붙여지는 안감에만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옷깃대(3)속에 상기 옷깃대(3)와는 분리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포(7a)를 설치하고, 해당 이동포(7a)에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소정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단추의 실기둥에 단단하게 감겨져서 멈춘 것)을 갖게 하여 꿰매 붙이고, 안쪽으로부터 상기 제 2 단추구멍(6)의 주위에 상기 제 2 단추구멍(6) 부분에 긴 구멍을 연 단단한 심(15)을 붙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상기 제 2 단추구멍(6)으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9.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는 심(芯)을 셔츠의 천과 같은 천 또는 그 밖의 천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0. 셔츠의 최상부의 단추(4)를 옷깃대(3)에 형성한 제 2 단추구멍(6) 내부의 이동포(7a)에 부착하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목둘레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추구멍(6)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옷깃대의 속에 상기 옷깃대와는 분리하여 이동 가능한 심만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포를 부착하고, 상기 이동포에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적당한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이고,
    상기 옷깃대 위쪽 옷감 안쪽으로부터 상기 제 2 단추구멍이 형성되는 주위에 크고 단단한 심을 부착하고, 또는 그 위로부터 상기 제 2 단추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 2 단추구멍의 길이 정도로 자른 작고 단단한 심을 더욱 부착하며,
    상기 크고 단단한 심의 위로부터 전체를 덮는 크기의, 또는 상기 제 2 단추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 2 단추구멍의 길이 정도의 크기의 셔츠의 천과 같은 천 또는 그 밖의 천을 붙이거나 꿰매 붙이고,
    혹은 상기 작고 단단한 심의 위로부터 상기 크고 단단한 심 전체를 덮는 크기의, 또는 상기 작고 단단한 심을 덮는 크기의 셔츠의 천과 같은 천 또는 그 밖의 천을 붙이거나 꿰매 붙이고,
    상기 제 2 단추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상기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1.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는 단단한 심에 천을 접착하여 상기 이동포의 형상으로 레이저컷 또는 히트컷으로 잘라내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2.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옷깃대(3)의 앞끝단 부분의 상기 제 2 단추구멍(6)측 전체에 상기 제 2 단추구멍(6) 부분에 긴 구멍을 연 상기 단단한 심(16)을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3.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7a)의 뒷편에 단단한 심(17)을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단한 심은 얇은 내열성 플라스틱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는 내열성 플라스틱판이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소정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여서 상기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40)에 천 테이프(41)를 꿰매 붙이고, 상기 천 테이프(41) 또는 상기 천 테이프(41) 및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40)에 상기 최상부의 단추(4)를 소정의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여서 상기 제 2 단추구멍(6)으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7. 제 8 항,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7a)에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재를 꿰매 붙이고, 상기 탄성재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8.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의 일끝단에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재를 꿰매 붙이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목둘레가 조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상기 탄성재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끝단에 꿰매 붙이고, 상기 이동포의 다른 끝단에 신축성이 없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꿰매 붙이고, 상기 최상부의 단추의 목둘레가 조이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19.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를 신축이 자유로운 긴 탄성재의 위에 꿰매 붙이고, 상기 탄성재의 양 끝단을 각각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0.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의 끝단부를 직접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이지 않고, 심재에 꿰매 붙여서 상기 심재를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접착하고,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과 위쪽 옷감을 꿰매어 맞출 때에 상기 심재의 상하끝단도 함께 꿰매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1.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의 끝단부를 옷깃대 심에 꿰매 붙이고 나서 상기 옷깃대 심을 옷깃대 아래쪽 옷감의 안쪽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을 천으로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4. 제 4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 또는 상기 이동포에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소정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여서 상기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하고, 상기 제 2 단추구멍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여 열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5. 제 4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 또는 상기 이동포에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소정 길이의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을 갖게 하여 꿰매 붙이고, 합성수지제 실로 구멍가장자리에 바느질한 상기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상기 최상부의 단추를 밖으로 나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6. 제 4 항 내지 제 6 항, 제 22항 및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의 양 끝단에 상기 탄성재의 신장을 규제하는 신장방지재를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옷깃대 속에 상기 제 2 단추구멍의 위치에 상기 제 2 단추구멍보다 길게 가로테이프를 당겨 양 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에 꿰매 붙이고, 상기 가로테이프의 중공부분을 끼우도록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를 상기 가로테이프의 상하 가장자리에서 꿰매 붙여서, 상기 가로테이프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 중 겉쪽에 단추를 꿰매 붙여서 상기 제 2 단추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테이프를 2개로 하고, 상기 2장의 세로방향 테이프를 상기 2개의 가로테이프의 상하 가장자리에서 각각 꿰매 붙이고, 상기 2개의 가로테이프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테이프를 상기 옷깃대의 아래쪽 옷감의 안쪽에 꿰매 붙여지는 안감에만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30.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제 23 항, 제 27 항 및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 또는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의 일끝단에 상기 이동포 또는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판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은 스토퍼를 꿰매 붙이고, 상기 스토퍼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옷깃대의 끝단에 꿰매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31.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제 23 항, 제 27 항 및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최상부의 단추가 위치하는 옷깃대 뒷편의 아래쪽 옷감에 풀리지 않는 관통구멍(75, 7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32.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제 23 항, 제 27 항 및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의 단추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과 상기 이동포 또는 그 역할을 하는 것과 양자를 접속하는 실기둥 또는 감긴 밑동의 역할을 하는 것 중의 하나 또는 전부가 금속제, 플라스틱제, 엘라스토머제, 고무제, 목제, 세라믹제, 유리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제 23 항, 제 27 항 및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추구멍(6)은 상기 옷깃대(3)의 안쪽끝단측이 약간 내려가 비스듬히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37.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제 23 항, 제 27 항 및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추구멍(6)은 상기 옷깃대(3)와 상기 바깥옷깃(2)이 붙은 밑동 부분의 바로 아래로부터 상기 제 2 단추구멍(6)안쪽끝단이 상기 옷깃대(3)의 바깥쪽으로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둘레 조절기능부착 셔츠.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KR1020040089324A 2003-11-04 2004-11-04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KR100673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4174 2003-11-04
JP2003374174 2003-11-04
JPJP-P-2003-00381648 2003-11-11
JP2003381648 2003-11-11
JPJP-P-2004-00007829 2004-01-15
JP2004007829 2004-01-15
JP2004130611 2004-04-27
JPJP-P-2004-00130611 2004-04-27
JP2004140826 2004-05-11
JPJP-P-2004-00140826 2004-05-11
JPJP-P-2004-00292584 2004-10-05
JP2004292584A JP4585826B2 (ja) 2003-11-04 2004-10-05 首回り調節機能付シャ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668A KR20050043668A (ko) 2005-05-11
KR100673798B1 true KR100673798B1 (ko) 2007-01-24

Family

ID=3354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324A KR100673798B1 (ko) 2003-11-04 2004-11-04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512994B2 (ko)
EP (1) EP1529452B1 (ko)
JP (1) JP4585826B2 (ko)
KR (1) KR100673798B1 (ko)
CN (1) CN1613393B (ko)
AU (1) AU2004226949B2 (ko)
CA (1) CA2486749C (ko)
DE (1) DE602004027876D1 (ko)
GB (1) GB2408914B (ko)
HK (1) HK1076585A1 (ko)
TW (1) TWI2666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5826B2 (ja) * 2003-11-04 2010-11-24 好司 加藤 首回り調節機能付シャツ
USRE44271E1 (en) * 2004-05-11 2013-06-11 Capital Mercury Apparel, Ltd. Finished slot and adjustable shirt coll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065747B2 (en) * 2004-05-11 2011-11-29 Capital Mercury Apparel, Ltd. Finished slot and adjustable shirt coll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585827B2 (ja) * 2004-06-21 2010-11-24 好司 加藤 首回り調節機能付シャツ
US8205270B2 (en) * 2006-08-16 2012-06-26 Koji Kato Garment having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US8065746B2 (en) * 2006-08-24 2011-11-29 Capital Mercury Apparel, Ltd. Multi-scored winged collar support
JP4787203B2 (ja) 2007-04-27 2011-10-05 好司 加藤 Lポケット付きボトムズ
GB2453436B (en) * 2007-10-05 2010-07-28 Koji Kato A pair of trousers stretchable around a waist
CA2729843C (en) 2011-01-31 2011-09-13 Patrizia Angela Casubolo Garment fastening systems
KR200458061Y1 (ko) * 2011-05-02 2012-01-18 정연창 간격 조절 기능이 구비된 의류
KR200470161Y1 (ko) * 2012-02-21 2013-12-05 조한규 이중기능옷깃
JP6180216B2 (ja) * 2012-07-23 2017-08-16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 連結具を有する上衣及び下衣を含む衣服
US20140041093A1 (en) * 2012-08-08 2014-02-13 Ezekiel Korobkin Shirt collar liner
ES2478140B1 (es) * 2013-01-18 2015-10-13 Saloua RAQUI N'GHIMI Botón de contención en ojales de cierres para prendas de vestir
CN104013118A (zh) * 2014-05-27 2014-09-03 昆山佑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polo衫
CN104256902A (zh) * 2014-10-13 2015-01-07 江苏红豆实业股份有限公司 可调式衬衫
US20170325511A1 (en) * 2016-05-16 2017-11-16 Peacock Apparel Group, Inc. Elastic shirt collar button
MX2018002187A (es) 2018-02-20 2018-04-03 Victor Manuel Gonzalez Torres Dispositivo para brindar rigidez y caída a cuellos tejidos.
US20210353008A1 (en) * 2020-05-14 2021-11-18 Amy Campbell Decorative Covering
CN117147302B (zh) * 2023-10-31 2023-12-22 南通宏大实验仪器有限公司 一种领口面料抗撑开测试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89320C (de) 1930-01-16 Alexander Bodenheimer Vorrichtung zum Anbringen eines Kragenknopfes an Halsbuenden, die nicht mehr schliessen
DE114484C (ko)
DE240147C (ko)
GB191024459A (en) * 1910-10-21 1911-06-21 Joseph Hirsch Vineberg Improvements in Shirts or the like.
GB191124459A (en) 1911-01-17 1912-01-17 John Cameron Grant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votal Type-casting Machines.
US1569988A (en) 1921-11-18 1926-01-19 Albert W Land Collar-band attachment
US1496380A (en) * 1923-02-26 1924-06-03 Ryan James Henry Neckband for shirts
US1603482A (en) 1925-03-31 1926-10-19 Jesse R Marquisee Neckband for shirts
US1616258A (en) 1925-12-23 1927-02-01 Charles C Bogle Automatically adjustable neck band
US1789422A (en) 1927-02-21 1931-01-20 Howard H Askey Wearing apparel
US1814760A (en) 1929-10-16 1931-07-14 Jr James A Miller Fastening means
DE549832C (de) * 1930-05-13 1932-05-04 Fritz Beinhoff Vorrichtung zur Verlaengerung von Oberhemdbuendchen
GB387708A (en) 1930-08-11 1933-02-13 Adess And S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lars for shirts and like garments
US1963004A (en) * 1933-11-21 1934-06-12 Commercial Shirt Corp Man's shirt
US2025485A (en) * 1933-11-21 1935-12-24 Commercial Shirt Corp Man's shirt
GB468299A (en) 1936-02-21 1937-07-02 Clifford Walsh A device for fastening or securing the neck-band of a shirt and the collar worn therewith
FR1031328A (fr) * 1951-01-24 1953-06-23 Nouveau dispositif de fermeture invisible sans bouton ni boutonnière
GB854589A (en) 1959-06-30 1960-11-23 Kaynee Company Expansible shirt collars
US3142843A (en) 1963-09-16 1964-08-04 Berger Samuel Shirt with improved adjustable collar button
JPS4813221U (ko) * 1971-06-29 1973-02-14
DE8218346U1 (de) 1982-06-26 1985-09-26 Schlesinger, Willy, 8700 Würzburg Oberhemd
US4825472A (en) * 1987-10-05 1989-05-02 Garafano Ronald D Shirt construction and adapter
JPH05302201A (ja) 1992-04-21 1993-11-16 Masahiko Sonoyama カッターシャツ
JP2772238B2 (ja) * 1994-04-08 1998-07-02 株式会社悠久 シャツ
FR2747893B1 (fr) * 1996-04-30 1998-06-19 Picardie Lainiere Col a support textile de renforcement
US7146647B2 (en) * 1998-10-14 2006-12-12 Krause Arthur A Expandable, no-shrink shirt collar
US6081926A (en) * 1998-10-14 2000-07-04 Krause; Arthur A. Expandable shirt collar
DE20007322U1 (de) 2000-04-20 2000-10-05 Bock Helmut W Hemdartiges Kleidungsstück
US6339848B1 (en) * 2000-05-19 2002-01-22 Malinda L. Mayhood Belt sleeve system and method
FR2827484B1 (fr) * 2001-07-20 2003-12-05 Rossignol Sa Pantalon equipe d'une sangle de serrage
US6874164B2 (en) * 2003-03-18 2005-04-05 Forsyth Of Canada, Inc. Expandable shirt collar
US6986165B2 (en) * 2003-07-30 2006-01-17 Designs Apparel, Inc. Extendable collar
JP4585826B2 (ja) * 2003-11-04 2010-11-24 好司 加藤 首回り調節機能付シャツ
US20050210561A1 (en) * 2004-03-26 2005-09-29 Robinson Steven J Expandable garment closure
US20050251891A1 (en) * 2004-05-11 2005-11-17 Capital Mercury Apparel, Ltd. Adjustable shirt coll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3393B (zh) 2010-04-28
GB2408914B (en) 2006-05-24
GB2408914A (en) 2005-06-15
EP1529452A2 (en) 2005-05-11
AU2004226949B2 (en) 2010-04-22
JP2005350841A (ja) 2005-12-22
TW200518688A (en) 2005-06-16
JP4585826B2 (ja) 2010-11-24
KR20050043668A (ko) 2005-05-11
TWI266615B (en) 2006-11-21
US7512994B2 (en) 2009-04-07
EP1529452B1 (en) 2010-06-30
CN1613393A (zh) 2005-05-11
CA2486749A1 (en) 2005-05-04
CA2486749C (en) 2008-04-01
EP1529452A3 (en) 2005-11-23
US20050125876A1 (en) 2005-06-16
AU2004226949A1 (en) 2005-05-19
DE602004027876D1 (de) 2010-08-12
HK1076585A1 (en) 2006-01-20
GB0424441D0 (en)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798B1 (ko)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KR100664873B1 (ko)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CN104334041B (zh) 受到柔韧支撑的手套结构
EP3426083B1 (en) Waistband for article of apparel
US8146172B2 (en) Method for creating garment cuffs with stretch and recovery characteristics
JP2008274462A (ja) Lポケット付きボトムズ
US8205270B2 (en) Garment having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JP2002339106A (ja) 伸縮性インナーウエストベルト
JP2001226804A (ja) 被服のウエストサイズ伸縮自在構造
JP2005171477A (ja) 伸縮性インナーウエストベルト
CN100438787C (zh) 带颈围调节功能的衬衫
KR200489753Y1 (ko) 신축성 바지
JP6557399B1 (ja) ボトムス
KR20160126585A (ko) 디자인 테이프 라이닝 벨트
JP6140380B1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JP6546779B2 (ja) 裾丈調節機能付き衣服
KR101381991B1 (ko) 점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점퍼
JP2021003244A (ja) 調節体
JP4547295B2 (ja) ウエストサイズ調節機構付衣服
JP2020066817A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JP2020066816A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JP2009074199A (ja) 伸縮機構露出防止ウエスト周り伸縮自在ボトムズ
JP2017115274A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JP2017115272A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JP2001172804A (ja) 被服ベルトの伸縮自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