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413Y1 -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 Google Patents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413Y1
KR200454413Y1 KR2020110000830U KR20110000830U KR200454413Y1 KR 200454413 Y1 KR200454413 Y1 KR 200454413Y1 KR 2020110000830 U KR2020110000830 U KR 2020110000830U KR 20110000830 U KR20110000830 U KR 20110000830U KR 200454413 Y1 KR200454413 Y1 KR 200454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oil
temperature sensor
temperature
f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엄현화
Original Assignee
엄현화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현화, 김정훈 filed Critical 엄현화
Priority to KR2020110000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4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튀김과정에 생성된 이 물질 및 동물성 기름 등의 슬러지가 자중 및 튀김기름의 하부에 적층된 냉각수의 냉각에 의해 튀김기름의 하부로 분리되도록 한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부 수용부에는 튀김기름의 온도를 계측하는 제 1 온도센서가 형성되고, 하부 수용부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제 2 온도센서가 형성되어, 제어부는 제 1 온도센서에서 계측된 온도에 따라 히터를 구동시켜 튀김기름의 가열을 도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 2 온도센서를 통해 계측된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 값 보다 높으면 히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냉각수의 이상 가열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Fryer}
본 고안은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튀김과정에 생성된 이 물질 및 동물성 기름 등의 슬러지가 자중 및 튀김기름의 하부에 적층된 냉각수의 냉각에 의해 튀김기름의 하부로 분리되도록 한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튀김 요리는 끓는 기름에 채소나 육류를 밀가루에 묻혀 튀겨낸 요리를 가리키며, 튀김 요리에 있어 튀김 기름이 깨끗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기름 온도의 조절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육류는 180℃~190℃, 채소류는 170℃~180℃로 튀기면 음식의 풍미와 질감이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가열된 튀김기름에 반복적으로 튀김재료를 튀기면 튀김기름에는 청결성과 위생성을 해치는 이물질이나 동물성 기름 등의 슬러지가 불가피하게 다량 발생된다.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새로운 튀김기름으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롭기도 하고 잦은 튀김기름의 교체에 의해 부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튀김닭의 제조과정에서 더욱 심화된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 제 440640호 등에서는 히터가 내설된 튀김조 내에 튀김 기름과 냉각수를 상하 적층되게 형성하여, 튀김기름에서 생성된 슬러지가 가라앉아 튀김기름에서 분리되도록 한 유수 분리형 튀김기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유수 분리형 튀김기는, 튀김기름에서 생성된 슬러지가 튀김기름에 혼입되지 아니하고 하부에 형성된 냉각수로 분리하여 배출되므로, 튀김기름의 청결 및 위생상태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 유수 분리형 튀김기는, 냉각수의 상부에 형성된 튀김기름의 온도에 따라 히터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구성한 관계로, 반복적인 튀김기름의 가열에 의해 하부에 형성된 냉각수가 가열되면 가열된 냉각수가 튀김기름에 혼입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튀김기름에 냉각수가 혼입되면, 튀김기름이 튀김조의 외부로 마구 튀게 되므로 튀김작업의 수행이 어려울 뿐 아니라, 화상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 소지를 갖게 되고, 또 튀김조 주위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튀김조 내에 튀김 기름과 냉각수를 상하 적층되게 형성한 유수 분리형을 구성함에 있어, 가열된 튀김기름에 의해 냉각수가 이상 과열되어, 튀김기름에 혼입되는 현상을 예방하도록 구성한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는,
튀김기름이 수용되는 상부 수용부와 냉각수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부가 상하 연통되게 형성된 튀김조와; 상기 튀김조에 장입되어 튀김기름의 가열을 도모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수 분리형 튀김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용부에는 튀김기름의 온도를 계측하는 제 1 온도센서가 형성되고, 하부 수용부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제 2 온도센서가 형성되어, 제어부는 제 1 온도센서에서 계측된 온도에 따라 히터를 구동시켜 튀김기름의 가열을 도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 2 온도센서를 통해 계측된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 값 보다 높으면 히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냉각수의 이상 가열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수가 투입되는 하부 수용부의 내벽에는, 배출구가 상부 수용부 보다 위상이 높게 형성된 방열관의 유입구가 연결되어, 하부 수용부에 수용된 냉각수는 방열관으로 유입되어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냉각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온도센서는 자체 비중에 의해 냉각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는 플로터에 고정되어, 냉각수의 수위가 변경되더라도 제 2 온도센서는 냉각수에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튀김조 내에 튀김기름과 냉각수를 상하 적층되게 수용시킨 유수 분리형 튀김기를 구현함에 있어, 제 1 온도센서와 제 2 온도센서를 통해 튀김기름과 냉각수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계측하도록 구성하여, 냉각수의 이상과열이 방지되면 히터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상 과열된 냉각수가 튀김기름에 혼입됨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제 1 온도센서와 제 2 온도센서를 플로터에 고정하여, 튀김기름과 냉각수의 투입량이 가변되더라도 제 1 온도센서는 튀김기름에 함침된 상태를 유지하여 튀김기름의 온도를 계측하고, 또 2 온도센서는 냉각수에 함침된 상태를 유지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므로, 제어부는 제 1 온도센서와 제 2 온도센서를 통해 계측된 튀김기름의 온도값과 냉각수의 온도값을 통해 히티의 구동상태를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수용부에 수용된 냉각수는 유입구를 통해 방열관으로 유입되어 공냉을 통해 방열되므로, 장시간 튀김기름을 가열시켜 튀김요리를 하더라도 냉각수가 이상 과열되는 현상이 지연, 또는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외형 및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에 있어, 튀김기름과 냉각수의 투입량의 변화에 따른 제 2 온도센서의 위상의 변경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외형 및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에 있어, 튀김기름과 냉각수의 투입량의 변화에 따른 제 2 온도센서의 위상의 변경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튀김기름(O)이 수용되는 상부 수용부(11)와 냉각수(W)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부(12)가 상하 연통되게 형성된 튀김조(10)와; 상기 튀김조(10)에 장입되어 상부 수용부(11)에 수용된 튀김기름(O)의 가열을 도모하는 히터(20); 및 상기 히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상부 수용부(11)의 하부에는 중공의 파이프(30)가 설치되어, 튀김기름(O)의 하부와 이 튀김기름(O)의 하부에 적층된 냉각수(W)가, 중공 파이프(30)로 유입되는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용부(11)와 하부 수용부(12) 경계부에는, 음식물의 튀김과정에서 생성되어 튀김기름(O)의 하부에 잔류되는 슬러지(S)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15)가 형성되고, 튀김조(10)의 하부에는 적층하여 수용된 튀김기름(O)과 냉각수(W)를 배출하는 메인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히터(20)에 의해 가열된 튀김기름(O)에 튀김재료를 투입시켜 튀기면, 이물질 및 동물성 기름 등의 슬러지(S)가 다량 발생되고, 이러한 슬러지(S)는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이때, 냉각수(W) 보다 비중이 높은 이 물질은 하부 수용부(12)의 바닥에 가라앉고 상대적으로 냉각수(W) 보다 비중이 낮은 동물성 기름 등은 냉각되어 냉각수(W)와 튀김기름(O)의 경계부위에 잔류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슬러지 배출구(15)를 주기적으로 개방시켜 슬러지(S)를 배출하면 슬러지에 의한 튀김기름(O)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수용부(11)에 튀김기름(O)의 온도를 계측하는 제 1 온도센서(41)를 배치하고, 하부 수용부(12)에는 냉각수(W)의 온도를 계측하는 제 2 온도센서(42)를 배치하여, 제어부(40)는 제 1 온도센서(41)와 제 2 온도센서(42)를 통해 계측된 온도값에 따라 히터(20)의 구동여부를 제어하여 튀김기름(O)의 가열을 도모함과 동시에, 냉각수(W)의 이상 가열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제 1 온도센서(41)에서 계측된 온도에 따라 히터(20)를 구동시켜 튀김기름(O)의 가열을 도모하되, 제 2 온도센서(42)를 통해 계측된 냉각수(W)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 가열되면 히터(20)의 구동을 정지시켜 냉각수(W)의 이상 가열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냉각수(W)가 히터(20) 및 가열된 튀김기름(O)으로부터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설정 온도값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이 예방되므로, 종래 냉각수(W)가 이상 과열되어 튀김기름(O)에 혼입됨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튀김조(10)에 투입되는 냉각수(W)과 튀김기름(O)의 투입량은 가변적이며, 냉각수(W)의 투입량이 적게 되면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기 위해 설치된 제 2 온도센서(42)는 냉각수(W)에 잠기지 아니하고 튀김기름(O)에 잠긴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반대로, 냉각수(W)의 투입량이 많게 되면 튀김기름(O)의 온도를 계측하기 위해 설치된 제 1 온도센서(41)는 튀김기름(O)에 잠기지 아니하고, 냉각수(W)에 잠긴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가변되는 튀김기름(O)과 냉각수(W)의 투입량에 따라 튀김기름(O)의 온도를 계측하기 위해 설치된 제 1 온도센서(41)는 냉각수(W)의 온도를 계측하고, 냉각수(W)의 온도를 계측하기 위해 설치된 제 2 온도센서(42)는 튀김기름(O)의 온도를 계측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제어부(40)는 튀김기름(O)과 냉각수(W)의 온도를 오 계측하여 히터(20)의 구동상태를 정상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온도센서(41)와 제 2 온도센서(42)를, 비중에 의해 튀김기름(O)에 잠기는 플로터(51)와, 자체 비중에 의해 냉각수(W)에 잠기는 플로터(52)에 각각 설치하여, 튀김기름(O)과 냉각수(W)의 투입량이 변경되더라도 제 1 온도센서(41)는 튀김기름(O)에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고, 제 2 온도센서(42)는 냉각수(W)에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 플로터(51, 52)를, 상부 수용부(11), 또는 하부 수용부(12)에 힌지 브라켓(53)을 통해 힌지구조로 고정된 회전암(54)에 고정하여, 온도센서(41, 42)가 설치된 각 플로터(51, 52)가 튀김기름(O)과 냉각수(W)의 투입량에 따라 힌지 회동하여 튀김기름(O)와 냉각수(W)의 일지점에 각각 위치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형 튀김기(1)는 튀김기름(O)과 냉각수(W)의 투입량이 가변되더라도, 제 1 온도센서(41)는 튀김기름(O)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여 튀김기름(O)의 온도를 계측하고, 또 제 2 온도센서(42)는 도 3과 같이 냉각수(W)에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여 냉각수(W)의 온도를 계측하므로, 결과적으로 제어부(40)는 제 1 온도센서(41)와 제 2 온도센서(42)를 통해 계측된 튀김기름(O)의 온도값과 냉각수(W)의 온도값에 따라 히터(20)의 구동상태를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공냉을 통해 냉각수(W)를 냉각하는 냉각구조를 형성하여, 이 냉각구조에 의해 가열되는 냉각수(W)의 공냉이 도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시간 튀김기름(O)을 가열시켜 튀김요리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수(W)가 투입되는 하부 수용부(12)의 내벽에, 배출구(13b)가 튀김기름(O)이 수용된 상부 수용부(11) 보다 위상이 높게 형성된 방열관(13)의 유입구(13a)를 연결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수용부(12)에 수용된 냉각수(W)는 유입구(13a)를 통해 방열관(13)으로 유입되고, 하부 수용부(12)에 수용된 냉각수(W)의 열기는 방열관(13)을 통한 외부로 방출되므로, 장시간 튀김기름(O)을 가열시켜 튀김요리를 하더라도 냉각수(W)가 이상 과열되는 현상이 지연, 또는 예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관(13)은 하부 수용부(12)에 수용된 냉각수(W)를 보충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고, 또 상기 방열관을 투명관체로 구성하거나 투명창을 형성하면 냉각수(W)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1. 유수 분리형 튀김기
10. 튀김조 11. 상부 수용부
12. 하부 수용부 13. 방열관
13a. 유입구 13b. 배출구
15. 슬러지 배출구
16. 메인 배출구 17. 수위관
20. 히터 30. 중공 파이프
40. 제어부 41. 제 1 온도센서
42. 제 2 온도센서 51.52. 플로터
53. 힌지 브라켓 54. 회전암
O. 튀김기름 W. 냉각수
S. 슬러지

Claims (3)

  1. 튀김기름이 수용되는 상부 수용부와 냉각수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부가 상하 연통되게 형성된 튀김조와; 상기 튀김조에 장입되어 튀김기름의 가열을 도모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수 분리형 튀김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용부에는 튀김기름의 온도를 계측하는 제 1 온도센서가 형성되고, 하부 수용부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제 2 온도센서가 형성되어, 제어부는 제 1 온도센서에서 계측된 온도에 따라 히터를 구동시켜 튀김기름의 가열을 도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 2 온도센서를 통해 계측된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 값 보다 높으면 히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냉각수의 이상 가열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가 투입되는 하부 수용부의 내벽에는, 배출구가 상부 수용부 보다 위상이 높게 형성된 방열관의 유입구가 연결되어, 하부 수용부에 수용된 냉각수는 방열관으로 유입되어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냉각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센서는 비중에 의해 냉각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는 플로터에 고정되어, 냉각수의 수위가 변경되더라도 제 2 온도센서는 냉각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KR2020110000830U 2011-01-28 2011-01-28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KR200454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830U KR200454413Y1 (ko) 2011-01-28 2011-01-28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830U KR200454413Y1 (ko) 2011-01-28 2011-01-28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413Y1 true KR200454413Y1 (ko) 2011-07-01

Family

ID=4929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830U KR200454413Y1 (ko) 2011-01-28 2011-01-28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41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23B1 (ko) * 2011-12-19 2014-01-23 이진평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온도 과열방지장치
KR101508193B1 (ko) * 2014-08-19 2015-04-09 주식회사 채움산업 유수식 튀김기
KR101508194B1 (ko) * 2014-08-19 2015-04-09 주식회사 채움산업 유수식 튀김기
WO2016028017A1 (ko) * 2014-08-19 2016-02-25 주식회사 채움산업 유수식 튀김기
KR20200020161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오성주방설비 튀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281A (ko) * 1997-08-14 1999-03-05 류제택 수유식 튀김조리기 및 그 제어회로
JPH11299659A (ja) 1998-04-24 1999-11-02 Ryoichi Saito 揚物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281A (ko) * 1997-08-14 1999-03-05 류제택 수유식 튀김조리기 및 그 제어회로
JPH11299659A (ja) 1998-04-24 1999-11-02 Ryoichi Saito 揚物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23B1 (ko) * 2011-12-19 2014-01-23 이진평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온도 과열방지장치
KR101508193B1 (ko) * 2014-08-19 2015-04-09 주식회사 채움산업 유수식 튀김기
KR101508194B1 (ko) * 2014-08-19 2015-04-09 주식회사 채움산업 유수식 튀김기
WO2016028017A1 (ko) * 2014-08-19 2016-02-25 주식회사 채움산업 유수식 튀김기
KR20200020161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오성주방설비 튀김장치
KR102085020B1 (ko) * 2018-08-16 2020-03-05 주식회사 오성주방설비 튀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413Y1 (ko)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CN101896101B (zh) 具有自动过滤和加注能力的低油量炸炉
CN110279314B (zh) 烹饪系统
US20120211028A1 (en) Commercial kitchenware washers and related methods
US20140150900A1 (en) Automatic top-off for deep fat fryers
KR102289485B1 (ko) 자동 튀김 장치
KR101341281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전기식 튀김기
KR101523183B1 (ko) 수유식 튀김 장치
CN204232162U (zh) 具有自动供水及过升防止功能的水油混合油炸机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CA2605638C (en) Commercial kitchenware washers and related methods
KR200451291Y1 (ko) 전기튀김기
KR20120119666A (ko) 순환식 위생 튀김기
KR101373908B1 (ko) 진공방식의 열매체유 혼입방지기능을 갖는 음식물 조리장치
KR101355023B1 (ko)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온도 과열방지장치
KR101901860B1 (ko) 적외선 튀김기
KR20140028982A (ko) 튀김 장치 제어 방법
KR200456047Y1 (ko) 전기튀김기
KR20130049282A (ko)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KR200479653Y1 (ko) 수유식 튀김기
JP2004008253A (ja) フライヤ
CN209186324U (zh) 一种慢煮机
KR20190070031A (ko) 유수 분리식 전기 튀김 장치
CN213850078U (zh) 一种智能煮锅
KR20120015459A (ko) 수유식 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