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161A -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튀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161A
KR20200020161A KR1020180095531A KR20180095531A KR20200020161A KR 20200020161 A KR20200020161 A KR 20200020161A KR 1020180095531 A KR1020180095531 A KR 1020180095531A KR 20180095531 A KR20180095531 A KR 20180095531A KR 20200020161 A KR20200020161 A KR 20200020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emperature
water
uni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020B1 (ko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주방설비
김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주방설비, 김종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주방설비
Priority to KR102018009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0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기름을 가열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가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측으로 상기 몸체부 내부의 찌꺼기를 밀어내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을 수용하는 몸체부 내부의 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튀김장치{APPARATUS OF FRIED FOOD}
본 발명은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을 수용하는 몸체부 내부의 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몸체부에 수용된 용액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유식 튀김장치는 기름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마련된 것으로, 튀김통 내부에 물과 기름을 함께 수용한다.
튀김통은 내부에 물과 기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튀김통 내부에 함께 수용된 물과 기름은 비중차에 의해, 물이 튀김통 저부에 위치하고, 기름이 물의 상부에 위치하여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된다. 이에 따라 튀김통 내부는 물이 위치하는 물층과, 물층 상부의 기름이 위치하는 기름층으로 구분된다. 튀김통 내부에서 기름은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다.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면, 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이 기름층 하부의 물에 의해 용해되고,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찌꺼기는 기름층 하부의 물층 쪽으로 가라앉는다. 따라서, 지방산이나 찌꺼기로 인해 기름이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름을 신선한 상태로 비교적 오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름의 소모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물층으로 침전된 찌꺼기가 부패되면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물층에서 발생한 기포는 기름층으로 상승하여 터질 수 있다. 이에, 터지는 기포에 의해 기름이 주위로 튀면서, 작업자가 튀는 기름에 의해 화상을 입게 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물층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12-0033851 A
본 발명은 몸체부 내부에 발생하는 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튀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에 수용된 용액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튀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튀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기름을 가열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가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측으로 상기 몸체부 내부의 찌꺼기를 밀어내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바닥면의 최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액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메인 분사부재; 및 액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메인 분사부재와 연결되는 공급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메인 분사부재에서 액체를 분사하는 방향과 교체하는 방향으로 액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보조 분사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분사부재는 상기 바닥면의 중간 영역으로 액체를 분사한다.
상기 메인 분사부재에서 분사되는 액체의 압력이, 상기 보조 분사부재에서 분사되는 액체의 압력보다 크다.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제1 온도 측정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제2 온도 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기름을 가열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가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제1 온도 측정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제2 온도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온도 측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용액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상하방향 중심부에 위치한다.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기름 및 용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온도 측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지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냉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값은 25~60℃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측으로 상기 몸체부 내부의 찌꺼기를 밀어내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이 수용되는 몸체부 내부로 공급되는 액체가, 몸체부 내부의 찌꺼기를 배출구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몸체부 바닥에 침전된 찌꺼기가 몸체부로 공급되는 액체에 의해 배출구 측으로 밀어져 용이하게 몸체부 내부에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찌꺼기가 몸체부 내부에서 부패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는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용액의 온도가 찌꺼기에서 기포가 발생하기 쉬운 온도까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액층에서 발생한 기포가 기름층에서 터져, 작업자가 튀는 기름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튀김장치(100)는, 몸체부(110), 가열부(120), 및 분사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튀김장치(100)는 제1 온도 측정부(150),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된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내부에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몸체부(110)의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 배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튀김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용액은 물일 수 있다. 그러나 용액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름과 비중 차로 분리될 수 있는 다양한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 내부에서 바닥면(111)의 적어도 일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배출구(112)는 바닥면(111)의 최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의 바닥면(111)은, 제1 경사면(111a), 제2 경사면(111b), 및 제1 경사면(111a)과 제2 경사면(111b) 사이에 위치하는 평면(111c)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111c)은 제1 경사면(111a)과 제2 경사면(111b)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평면(111c)의 중심부에 배출구(112)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발생한 찌꺼기 바닥면(111)으로 침전되면, 경사면들을 따라 배출구(112)가 위치한 평면(111c)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바닥면(111)의 구조 및 구비되는 경사면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배출구(112)는 용액인 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관(113)과 연결될 수 있고, 배출관(113)에는 밸브(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밸브(114)로 배출관(113)을 개폐하여 배출구(112)를 통해 몸체부(110) 내부의 물을 저장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114)는 배출관(113)이 형성하는 경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114)를 조절하여 분사부(130)가 몸체부(110)에 공급하는 물의 양보다 배출관(11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키면, 물층(F1)의 물의 양이 감소할 수 있다. 밸브(114)를 조절하여 분사부(130)가 몸체부(110)에 공급하는 물의 양보다 배출관(11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면, 물층(F1)의 물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밸브(114)를 조절하여 배출관(113)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분사부(130)가 몸체부(110)에 공급하는 물의 양과 동일하게 하면, 물층(F1)에서 물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몸체부(110) 내에서 물층(F1)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몸체부(110) 내부의 물을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배출관(113)을 통해 물과 함께 몸체부(110) 내부에 존재하는 찌꺼기도 함께 배출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하우징에는 튀김장치(100)의 전반적인 조작을 위한 조작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패널은 다수의 조작 스위치, 및 튀김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스위치로 가열부(120)의 온오프, 기름을 가열하는 정도, 구동시간 등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하부 측 모서리들에는 복수개의 지지대(117)가 각각 연결되고, 지지대(117)의 하단에는 바퀴(118)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튀김장치(100) 전체가 바퀴(118)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바퀴(118)에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바퀴(118)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몸체부(1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는 함께 수용된 물과 기름은 비중이 다르다. 따라서, 물과 기름은 비중차에 의해 몸체부(110) 내부에서 물층(F1)과 기름층(F2)으로 분리된다. 이에, 몸체부(110) 내에서 비중이 큰 물층(F1)이 저부에 위치하고, 비중이 작은 기름층(F2)이 물층(F1)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0)에 보조 배출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보조 배출부는 배출공간 및 보조 배출관을 포함한다.
배출공간은 몸체부(110)의 내벽에서 내측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간은 기름층(F2)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배출공간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기름층(F2)의 온도가 높아져 기름이 튀는 경우, 기름이 배출공간 내부로 튈 수 있다.
보조 배출관은 배출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배출관은 배출공간에서 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배출공간을 튀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기름이 보조 배출관 상부로 모여질 수 있다. 기름은 보조 배출관 내로 유입되어 몸체부(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름이 튀어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열부(120)는 기름을 가열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몸체부(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20)는 전기식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몸체부(110) 내에서 히터가 상하방향으로 기름층(F2)의 중간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면 가열부(120)에서 열을 발생시켜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가 기름층(F2)의 중간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히터에서 발생시키는 열이 기름층 전체로 균일하고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열부(120)는, 가스버너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열을 통해 가열되는 가열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가열부(120)의 상부 쪽 기름층(F2)에는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튀김망(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열부(120)에는 손잡이(12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손잡이(121)는 일단이 가열부(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손잡이(121)를 잡고, 가열부(120)를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0) 내부를 청소할 때, 가열부(12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냉각부(140)는 물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분이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냉각부(140)는 몸체부(1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냉각관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관은 가열부(120)와 물층(F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내부를 지나는 공기의 대류형상을 이용하여 물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냉각부(140)의 위치 및 냉각부(140)가 기름이나 물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분사부(130)는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배출구(112) 측으로 몸체부(110) 내부의 찌꺼기를 밀어내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배출구(112) 측으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분사부(130)는, 메인 분사부재(131), 및 공급라인(132)을 포함한다. 또한, 분사부(130)는, 보조 분사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체는 물일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130)는 몸체부(110) 내부의 찌꺼기를 제거하면서 물층(F1)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액체와 용액이 동일한 성분이기 때문에, 분사부(130)가 몸체부(110) 내부의 수용된 용액인 물을 보충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0) 내부의 물을 보충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별도의 물을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액체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으며, 용액과 다른 물질의 액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액체로 용액과 다른 물질의 액체가 사용되는 경우, 액체는 기름이나 용액보다 비중이 큰 액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액체가 몸체부(110) 내부에서 최하층에 위치할 수 있고, 배출구(112)를 통해 액체만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액체로 용액과 다른 물질의 액체가 사용되는 경우, 몸체부(110) 내부의 용액을 보충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별도의 용액 공급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 분사부재(13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분사부재(131)는 몸체부(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 분사부재(131)의 일면에는 바닥면(111)의 경사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액체인 물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구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구를 경사를 따라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메인 분사부재가 노즐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 분사부재는 몸체부(110) 바닥면(111)의 경사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액체인 물을 분사하도록 몸체부(110)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설치되고, 경사면을 따라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분사부재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를 참조하면, 바닥면(111)의 제1 경사면(111a)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몸체부(110)의 벽체의 하부에 메인 분사부재(13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메인 분사부재(131)에서 분사되는 물이 제1 경사면(111a) 전체 영역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고, 제1 경사면(111a)에 침전된 찌꺼기가 물에 의해 배출구(112) 측으로 밀어질 수 있다.
또는, 도 3의 (b)와 같이, 바닥면(111)의 제1 경사면(111a)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몸체부(110)의 벽체의 하부, 및 제2 경사면(111b)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몸체부(110)의 벽체의 하부 각각에 메인 분사부재(13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메인 분사부재(131)에서 분사되는 물이 제1 경사면(111a)과, 제2 경사면(111b) 전체 영역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고, 제1 경사면(111a)과 제2 경사면(111b) 사이의 평면(111c)으로 찌꺼기들이 밀어질 수 있다.
이때, 평면(111c)의 양측에서 물이 분사되기 때문에, 찌꺼기가 평면(111c)의 중심부에 위치한 배출구(112)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찌꺼기가 배출구(112)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찌꺼기들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분사부재(131)가 설치되는 위치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공급라인(132)은 액체인 물을 공급하도록 메인 분사부재(131)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급라인(132)은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파이프나 호스일 수 있다. 이에, 공급라인(132)을 따라 이동하는 물이 메인 분사부재(131)에 공급되고, 메인 분사부재(131)에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분사부재(131)가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공급라인(132)은 메인 분사부재(131)와 연결되어 메인 분사부재(131) 내부로 물을 공급해줄 수 있다. 이에, 메인 분사부재(131) 내부에서 각 분사구들로 물이 분배되어 분사될 수 있다.
또는, 메인 분사부재가 노즐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공급라인(132)은 각각의 메인 분사부재(131)들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분사부재(131)들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경우, 공급라인(132)은 메인 분사부재(13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라인(132)에는 공급밸브(1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공급밸브(133)의 작동을 제어하여 메인 분사부재(131)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해줄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분사부재(131)에 물이 공급되는 시점이나, 물 공급이 중단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고, 메인 분사부재(131)로 공급되는 물의 양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보조 분사부재(133)는 노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보조 분사부재(133)는, 메인 분사부재(131)에서 물을 분사하는 방향과 교체하는 방향으로 액체인 물을 분사하도록 몸체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분사부재(131)가 평면상으로 전후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경우, 보조 분사부재(133)는 평면상으로 좌우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111)의 제1 경사면(111a)의 양측과 연결되는 몸체부(110)의 벽체의 하부에 복수개의 보조 분사부재(133)가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조 분사부재(133)는 배치되는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고, 제1 경사면(111a)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보조 분사부재(133)들에서 분사되는 물이 바닥면(111)의 중간 영역으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분사부재(133)에서 분사되는 물이, 메인 분사부재(131)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이동하는 찌꺼기는 중간영역으로 밀어낼 수 있다. 배출구(112)가 바닥면(111)의 평면(111c)의 중심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조 분사부재(133)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찌꺼기가 배출구(112) 측으로 더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보조 분사부재(133)는, 메인 분사부재(131)와 연결되는 공급라인(132)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별도의 보조 공급라인(134)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보조 분사부재(133)가 별도의 보조 공급라인(134)과 연결되는 경우, 메인 분사부재(131)와 다르게 물의 분사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분사부재(131)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이, 보조 분사부재(133)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분사부재(133)에서 분사되는 물이, 메인 분사부재(131)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찌꺼기가 배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찌꺼기를 바닥면(111)의 중간영역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분사부재(133)는 몸체부(110) 벽체에 형성되는 분사홀, 및 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어 표면에 분사홀이 형성되는 파이프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보조 분사부재(133)가 설치되는 위치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온도 측정부(150)는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제1 온도 측정부(150)는 온도 센서일 수 있고,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온도 측정부(150)는 기름층(F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온도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결과는, 몸체부(110) 하우징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조리자가 기름의 온도를 확인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튀김장치(100)에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측정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온도 측정기는 물층(F1)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측정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가열부(120)나 냉각부(140)의 작동을 제어하여, 물이 기포가 발생하는 온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물과 기름이 수용되는 몸체부(11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몸체부(110) 내부의 찌꺼기를 배출구(112)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몸체부(110) 바닥에 침전된 찌꺼기가 몸체부(110)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배출구(112) 측으로 밀어져 용이하게 몸체부(110) 내부에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찌꺼기가 몸체부(110) 내부에서 부패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튀김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튀김장치(100)는, 몸체부(110), 가열부(120), 제1 온도 측정부(150), 및 제2 온도 측정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튀김장치(100)는, 냉각부(140), 제어부(170), 분사부(130), 및 제2 온도 측정부(160)와 연결되어 가열부(120)와 냉각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내부에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가열부(120)는 기름을 가열하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된다. 냉각부(140)는 용액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된다. 냉각부(140)는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된 기름 및 용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와 가열부(120) 및 냉각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110), 가열부(120) 및 냉각부(140)와 동일한 구조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용액은 물일 수 있고, 분사부(130)에서 분사하는 액체는 물일 수 있다. 그러나 용액 및 액체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름과 비중 차로 분리될 수 있는 다양한 용액과 액체가 사용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는 함께 수용된 물과 기름은 비중이 다르다. 따라서, 물과 기름은 비중차에 의해 몸체부(110) 내부에서 물층(F1)과 기름층(F2)으로 분리된다. 이에, 몸체부(110) 내에서 비중이 큰 물층(F1)이 저부에 위치하고, 비중이 작은 기름층(F2)이 물층(F1)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분사부(130)는, 물층(F1)의 상부로 액체인 물을 분사하는 메인 분사부재(131), 및 메인 분사부재(131)와 연결되어 액체인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13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분사부재(131)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물층(F1)과 기름층(F2) 사이의 경계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물층(F1)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메인 분사부재(131)로 공급되는 물이 기름층의 열이 흡수하여 물층(F1)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물층(F1)이 기름층(F2)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새로 공급되는 물이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분사부(130)는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배출구(112) 측으로 몸체부(110) 내부의 찌꺼기를 밀어내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배출구(112) 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111)의 제1 경사면(111a)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몸체부(110)의 벽체의 하부에 복수개의 메인 분사부재(131)가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메인 분사부재(131)들에서 분사되는 물이 제1 경사면(111a) 전체 영역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고, 제1 경사면(111a)에 침전된 찌꺼기가 물에 의해 배출구(112) 측으로 밀어질 수 있다. 그러나 분사부(13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13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온도 측정부(150)는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제1 온도 측정부(150)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고, 몸체부(110) 내부에서 기름층(F2)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 측정부(150)는 몸체부(110)의 내부 벽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온도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결과는, 몸체부(110) 하우징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조리자가 기름의 온도를 확인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온도 측정부(15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온도 측정부(160)는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제2 온도 측정부(160)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고, 몸체부(110)에서 물층(F1)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온도 측정부(160)는 몸체부(110)의 내부 벽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온도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결과는,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고, 몸체부(110) 하우징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온도 측정부(160)는 몸체부(110)의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상하방향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온도 측정부(160)는 물층(F1)의 상하방향 중심부에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제2 온도 측정부(160)는 물층(F1) 전체의 평균적인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물층(F1)의 상부는 기름층(F2)과 접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쉽게 온도가 상승하고, 물층(F1)의 하부는 기름층(F2)에서 원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 이에, 물층(F1)의 상부나 하부에서 온도를 측정하면, 물층(F1) 전체의 평균적인 온도를 측정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물층(F1)의 중심부에서 온도를 측정하여 물층(F1) 전체의 평균적인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평균적인 온도를 기준으로 물층(F1)의 온도를 제어해야 물층(F1)의 온도를 관리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나 제2 온도 측정부(16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온도 측정부(160)의 측정결과에 따라 물층(F1)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기(172)는 제2 온도 측정부(160)와 연결되고, 가열부(120) 및 냉각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비교기(171)와 제어기(172)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171)는 제2 온도 측정부(160)와 연결되어, 물층(F1)의 온도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비교기(171)는 제2 온도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값은 25~60℃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에, 제2 온도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물층(F1)이 기포가 발생하기가 쉬운 온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물층(F1)에서 기포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층(F1)의 온도가 설정값보다 작으면 물층(F1)이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운 온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설정값을 더욱 최적화하면 40~45℃ 범위 내에서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물층(F1) 내의 온도가 40~45℃ 이상이 되면, 물층(F1) 내의 찌꺼기가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물층(F1) 내의 찌꺼기가 기포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정값을 40~45℃ 범위 내에서 선택하고, 물층(F1)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인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물층(F1)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비교기(171)는 물층(F1)에 기포가 발생하기가 쉬운 상태이기 때문에, 물층(F1)의 온도를 낮춰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층(F1)의 온도가 설정값보다 작으면 물층(F1)에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에 물층(F1)의 온도를 낮추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172)는 비교기(171)와 연결되고, 가열부(120) 및 냉각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172)는 비교기(171)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가열부(120) 및 냉각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기(171)가 물층(F1)의 온도를 낮춰야 한다고 판단하면, 제어기(172)는 가열부(120)가 기름층을 가열하는 온도를 낮추거나 가열부(12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에, 기름층(F2)에서 물층(F1)으로 전달되는 열에너지의 크기가 감소하여 물층(F1)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기(172)가 냉각부(140)를 작동시키거나, 냉각부(140)가 기름층이나 물층을 냉각하는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물층(F1)이 냉각되면서 온도가 설정값 아래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물층(F1)이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비교기(171)가 물층(F1)의 온도를 낮추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하면, 제어기(172)는 가열부(120)나 냉각부(140)의 작동을 제어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별도로 물층(F1)의 온도를 낮추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물의 온도가 찌꺼기에서 기포가 발생하기 쉬운 온도까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층(F1)에서 발생한 기포가 기름층(F2)에서 터져, 작업자가 튀는 기름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서 실시예들 사이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튀김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튀김장치(100)의 몸체부(110) 내부에 물과 기름을 넣고, 물층(F1)과 기름층(F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조리사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기름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가열부(120)가 열을 발생시키면서 기름층(F2)의 온도를 조리사가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음식물이 기름층(F2)에서 튀겨지면서 발생하는 찌꺼기가 하부로 가라앉으면서 물층(F1)을 지나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침전될 수 있다.
침전된 찌꺼기는 부패하면서 물층(F1)에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기포는 기름층으로 상승하여 터질 수 있다. 이에, 터지는 기포에 의해 기름이 주위로 튀면서, 작업자가 튀는 기름에 의해 화상을 입게 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물층(F1) 내 찌꺼기를 제거하거나, 물층(F1)의 온도를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온도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바닥면(111)으로 침전된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배출구(112) 측으로 몸체부(110) 내부의 찌꺼기를 밀어내도록, 몸체부(110)의 하부에서 배출구(112) 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물에 의해 바닥면(111)의 찌꺼기가 밀려 배출구(112)로 이동하여 제거될 수 있다.
물을 공급하여 찌꺼기를 배출하는 과정은, 튀김장치(100)로 조리를 시작하기 전이나 후에 시작될 수 있다. 이에, 이전 조리 중에 발생한 찌꺼기나 조리 후에 발생한 찌꺼기를 제거하여, 다음 조리를 시작하기 전에 물층(F1) 내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조리 중에도 몸체부(110)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찌꺼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즉, 분사부(130)로 물을 공급하면서, 배출구(112)를 개방하여 물층(F1)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물층(F1) 내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찌꺼기가 신속하게 제거되어 물층(F1) 내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물층(F1)의 온도를 조절하여 물층(F1)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침전된 찌꺼기는 물층(F1)의 온도가 40~45℃ 이상으로 상승하면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에, 조리 중 물층(F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물층(F1)의 온도가 40~45℃로 상승하기 전에, 가열부(120)의 작동을 중단시키거나 냉각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층(F1)의 온도가 40~45℃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물층(F1) 내 찌꺼기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몸체부(110) 내부의 찌꺼기를 제거하는 작업, 및 몸체부(110) 내부에서 물층(F1)의 온도를 제어하는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물층(F1)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물과 기름이 수용되는 몸체부(11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몸체부(110) 내부의 찌꺼기를 배출구(112)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0) 바닥에 침전된 찌꺼기가 몸체부(110)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배출구(112) 측으로 밀어져 용이하게 몸체부(110) 내부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물의 온도가 찌꺼기에서 기포가 발생하기 쉬운 온도까지 상승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튀김장치 110: 몸체부
120: 가열부 130: 분사부
131: 메인 분사부재 132: 공급라인
133: 보조 분사부재 140: 냉각부
150: 제1 온도 측정부 160: 제2 온도 측정부
170: 제어부

Claims (14)

  1. 내부에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기름을 가열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가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측으로 상기 몸체부 내부의 찌꺼기를 밀어내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튀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바닥면의 최하측에 위치하는 튀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액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메인 분사부재; 및
    액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메인 분사부재와 연결되는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튀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메인 분사부재에서 액체를 분사하는 방향과 교체하는 방향으로 액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보조 분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튀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사부재는 상기 바닥면의 중간 영역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튀김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분사부재에서 분사되는 액체의 압력이, 상기 보조 분사부재에서 분사되는 액체의 압력보다 큰 튀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제1 온도 측정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제2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튀김장치.
  8. 내부에 기름 및 기름보다 비중이 큰 용액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기름을 가열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가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제1 온도 측정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제2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튀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 측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용액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상하방향 중심부에 위치하는 튀김장치.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기름 및 용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튀김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 측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튀김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지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냉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튀김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25~60℃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튀김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측으로 상기 몸체부 내부의 찌꺼기를 밀어내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튀김장치.
KR1020180095531A 2018-08-16 2018-08-16 튀김장치 KR10208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31A KR102085020B1 (ko) 2018-08-16 2018-08-16 튀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31A KR102085020B1 (ko) 2018-08-16 2018-08-16 튀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61A true KR20200020161A (ko) 2020-02-26
KR102085020B1 KR102085020B1 (ko) 2020-03-05

Family

ID=6963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531A KR102085020B1 (ko) 2018-08-16 2018-08-16 튀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0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677A (ja) * 2009-01-28 2010-08-12 Daisuke Yamada 駆動装置を用いずに揚げカスを分離回収するフライヤー
KR200454413Y1 (ko) * 2011-01-28 2011-07-01 엄현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KR20120033851A (ko)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아코폰 수유식 튀김장치
JP2016041173A (ja) * 2014-08-18 2016-03-31 神崎 芳比古 フライヤ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677A (ja) * 2009-01-28 2010-08-12 Daisuke Yamada 駆動装置を用いずに揚げカスを分離回収するフライヤー
KR20120033851A (ko)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아코폰 수유식 튀김장치
KR200454413Y1 (ko) * 2011-01-28 2011-07-01 엄현화 냉각수의 가열방지 기능을 갖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
JP2016041173A (ja) * 2014-08-18 2016-03-31 神崎 芳比古 フライヤ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020B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2288B (zh) 加热烹调器及加热烹调器用的蒸汽产生装置
US7847220B2 (en) Steam generator and heating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125978B2 (en) Steam generator
US10835072B2 (en) Steam generator
US9743794B2 (en) Steam generator
JP3876267B1 (ja) 加熱調理器
US20150233572A1 (en) Steam generator
US6131564A (en) Watering means for a fryer
KR101734407B1 (ko) 열에너지 하방분사형 조리장치
KR102085020B1 (ko) 튀김장치
CN109124325B (zh) 烹饪设备
CN116058681A (zh) 油炸器
KR100848463B1 (ko) 스팀발생장치
KR101567300B1 (ko)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JP4610530B2 (ja) 加熱調理器
KR102024060B1 (ko) 유수 분리식 가스 튀김 장치
KR102180808B1 (ko) 부침조리기
KR101450861B1 (ko) 튀김기
JP2010038403A (ja) 蒸気調理器
JP2003319877A (ja) 加熱用調理器
JP2012102917A (ja) 蒸気調理器
CN109124344B (zh) 烹饪设备
KR101538769B1 (ko)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JP4182481B2 (ja) 麺茹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