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487Y1 -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487Y1
KR200453487Y1 KR2020080016174U KR20080016174U KR200453487Y1 KR 200453487 Y1 KR200453487 Y1 KR 200453487Y1 KR 2020080016174 U KR2020080016174 U KR 2020080016174U KR 20080016174 U KR20080016174 U KR 20080016174U KR 200453487 Y1 KR200453487 Y1 KR 200453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vehicle
screw head
fastener assembl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035U (ko
Inventor
김상유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6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48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4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panel fasteners, i.e. permanent attachments allowing for quick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체결하기 위한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를 개시한다. 패스너 조립체는 스크류 헤드와 상기 스크류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며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 몸체를 갖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결합하여 자동차 부품을 고정하는 암나사형 보스를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스크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다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 돌기, 보스, 자동차, 패스너

Description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FATENER ASSEMBLY FOR VEHICLES}
본 고안은 자동차의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체결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에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스크류의 헛돌기를 방지할 수 있는 패스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부품 및 구성요소를 조립할 때 볼트, 너트, 스크류 및 파스너(fastener)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각종 부품 및 구성요소를 자동차에 체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자동차의 부품 및 구성요소들은 제조 공차로 인하여 각 부품을 조립할 때 부품사이에 갭이 발생된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갭이 형성된 부품 체결부에 전달되면, 부품 체결부의 갭에 의하여 부품사이에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을 운행할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체결된 부품끼리 유동하여, 차량의 운행중 소음이 발생하여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있다.
또한, 자동차 부품 및 구성요소를 체결할 때 과도한 힘이 스크류의 체결부에 가해지면, 너트의 나사산부가 파손되어 스크류가 너트 내부에서 공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 및 구성요소를 체결할 때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 공개 제1999-14045호(99년 4월26일 공개)에 스크류 체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 공보에 개시된 스크류 체결 구조는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톱니부와 스크류헤드의 안착면이 되는 제 1부품의 상면에 돌출되는 걸림부에 걸려 체결되어 강압적인 힘을 가하여 풀지 않으면 풀리지 않게되어, 분해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자동차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조립하기 위하여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헤드의 안착면에 다수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자동차 부품 및 구성요소의 유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예에 따르면, 자동차의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체결하기 위한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에 있어서, 스크류 헤드와 상기 스크류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며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 몸체를 갖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결합하여 자동차 부품을 고정하는 암나사형 보스를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스크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다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가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헤드의 안착면에는 다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조립할 때 스크류 체결력이 증가하고, 진동에 의하여 부품이 유동 하는 것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는 스크류(10)와, 암나사형 보스(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20)와, 스크류 홀(32)이 형성된 지지부재(30)를 포함한다.
스크류(10)는 원판 또는 접시모양의 헤드(10)와 상기 헤드(10)의 중심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몸체(14)를 구비한다. 헤드(10)는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12)가 형성된다. 몸체(14)의 원주면에는 나사산(16)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부품을 조립할 때 고정부재(20)의 암나사형 보스(22)와 체결된다.
고정부재(20)의 암나사형 보스(22)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파손되지 않으며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보스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4개이상의 플랜지(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10)가 고정부재(20)의 암나사형 보스(22)와 체결될 때 스크류(10)의 몸체는 지지부재(30)의 스크류 홀(32)을 통과한다. 상기 스크류 홀(32)의 둘레에 다수의 오목부(34)가 형성 되므로, 고정부재(20)와 지지부재(30)를 체결할 때, 암 나사형 보스(22)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여 보스(22)의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0)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34)는 차량의 운행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스크류(10)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다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부품을 조립할 때, 스크류(10)의 돌기(12)가 지지부재(30)의 오목부(34) 내부에 안착된다. 즉, 지지부재(30)가 스크류(10)와 고정부재(20) 사이에 개재되므로, 지지부재(30)는 스크류(10)의 체결력이 고정부재(20)의 암나사형 보스(22)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실용신안 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스크류
12; 돌기
14; 스크류 몸체
16; 나사산
20; 고정부재
22; 암나형 보스
24; 플랜지
30; 지지부재
32; 스크류 홀
34; 오목부

Claims (1)

  1. 자동차의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체결하기 위한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에 있어서,
    스크류 헤드와 상기 스크류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며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 몸체를 갖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결합하여 자동차 부품을 고정하는 암나사형 보스를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스크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헤드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다수의 오목부가 형성되되,
    상기 암나사형 보스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4개 이상의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KR2020080016174U 2008-12-05 2008-12-05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KR200453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174U KR200453487Y1 (ko) 2008-12-05 2008-12-05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174U KR200453487Y1 (ko) 2008-12-05 2008-12-05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035U KR20100006035U (ko) 2010-06-15
KR200453487Y1 true KR200453487Y1 (ko) 2011-05-09

Family

ID=4445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174U KR200453487Y1 (ko) 2008-12-05 2008-12-05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4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387B1 (ko) 2014-03-31 2015-04-0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3개 부품의 체결구조
KR101775020B1 (ko) * 2016-09-07 2017-09-05 황태문 그레이팅 판넬 고정장치
KR20180109161A (ko) * 2017-03-27 2018-10-08 디케이락 주식회사 브레이크어웨이 커플링용 케이싱 및 브레이킹 볼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7086A (ja) * 1993-02-10 1994-08-23 Nippon Motorola Ltd 携帯用電子機器
JP2001165124A (ja) * 1999-11-02 2001-06-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スクリュー式固定機構
JP2008267492A (ja) * 2007-04-20 2008-11-06 D & M Holdings Inc 部材のネジ固定構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7086A (ja) * 1993-02-10 1994-08-23 Nippon Motorola Ltd 携帯用電子機器
JP2001165124A (ja) * 1999-11-02 2001-06-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スクリュー式固定機構
JP2008267492A (ja) * 2007-04-20 2008-11-06 D & M Holdings Inc 部材のネジ固定構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387B1 (ko) 2014-03-31 2015-04-0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3개 부품의 체결구조
KR101775020B1 (ko) * 2016-09-07 2017-09-05 황태문 그레이팅 판넬 고정장치
KR20180109161A (ko) * 2017-03-27 2018-10-08 디케이락 주식회사 브레이크어웨이 커플링용 케이싱 및 브레이킹 볼트
KR101949323B1 (ko) * 2017-03-27 2019-02-18 디케이락 주식회사 브레이크어웨이 커플링용 케이싱 및 브레이킹 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035U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7887B2 (ja) エンジンブラケット
JP2806193B2 (ja) 樹脂カバーの締着構造
KR200453487Y1 (ko)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US6390533B1 (en) Synthetic resin vehicle door outer panel
JP3724357B2 (ja) 車両用ホイールの加飾体
JPH057915Y2 (ko)
KR101754001B1 (ko) 프레임 타입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 결합구조
JP2001140964A (ja) 車両懸架装置におけるスプリングシートラバーの取付構造
JP5206340B2 (ja) 自動車の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KR101563174B1 (ko) 차체 조립용 스터드 볼트유닛
KR101905567B1 (ko) 차량의 언더 커버 장착유닛
KR101047760B1 (ko) 카매트 고정구조
CN220180923U (zh) 一种固定前挡泥板的纵梁总成结构及车辆
JPH06179337A (ja) シートスライドのレール用キャップ
KR200334084Y1 (ko) 투피스 플랜지 너트
JPH1111101A (ja) ホイールキャップの取付構造
KR20180068183A (ko) 차체 멤버 체결구조
JPH0249047Y2 (ko)
KR100356654B1 (ko) 프레임 타입 차량의 차체 마운팅
JP3951458B2 (ja) 車体の前部構造
KR101966943B1 (ko) 엔진마운팅 인슐레이터와 차체멤버의 조립장치
KR970002213Y1 (ko) 자동차의 휠가드 마운팅 클립
KR200173825Y1 (ko) 볼트체결구조
KR200146469Y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팅구조
KR200161451Y1 (ko) 저상버스의 파워스티어링 유닛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