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825Y1 - 볼트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볼트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825Y1
KR200173825Y1 KR2019970034897U KR19970034897U KR200173825Y1 KR 200173825 Y1 KR200173825 Y1 KR 200173825Y1 KR 2019970034897 U KR2019970034897 U KR 2019970034897U KR 19970034897 U KR19970034897 U KR 19970034897U KR 200173825 Y1 KR200173825 Y1 KR 200173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locking
he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400U (ko
Inventor
노희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4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825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4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8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럭 캡을 차체프레임에 마운팅할 때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서 스패너로 볼트를 고정시키고 하부에서 임팩트 투울(impact tool)을 이용하여 너트를 체결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하부에서 임팩트 투울만으로 너트를 체결할수 있도록 하여 트럭 캡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볼트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볼트체결구조는 볼트머리(21)와, 상기 볼트머리(21)의 하부에 두개의 걸림홈(22a)이 가장자리에 대칭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22)와, 나사부(23)로 구성된 볼트(20)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20)의 나사부(23)가 관통하는 볼트공(31)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트(30)에는 상기 볼트(20)의 플랜지(22)의 걸림홈(22a)에 삽입되는 두 개의 걸림돌기(32)를 형성하여 너트(7)를 조일 때 볼트(20)가 상기 걸림돌기(32)에 의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볼트체결구조
본 고안은 볼트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 캡(truck cab)을 차체프레임에 마운팅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를 체결함에 있어서 상부에서 스패너로 볼트를 고정시키고 하부에서 임팩트 투울(impact tool)을 이용하여 너트를 체결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하부에서 임팩트 투울만으로 너트를 체결할수 있도록 하여 트럭 캡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볼트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트럭 캡 마운팅용 볼트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톤 트럭에서 운전사 및 조수가 탑승하는 캡을 차체 프레임에 조립하는 종래 볼트체결구조는 캡(1)의 브라켓트(2)를 차체프레임(3) 위에 상부 마운팅 인슐레이터(mounting insulator)(4)를 게재하여 배치시키고 볼트(5)를 상기 브라켓트(2), 상부 마운팅 인슐레이터(4), 차체 프레임(3)을 관통시킨 후 하부에서 하부 마운팅 인슐레이터(6)을 볼트(5)에 끼운후 너트(7)를 볼트(5)의 나사부에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5)의 머리부와 브라켓트(2)사이, 그리고 너트(7)와 하부 마운팅 인슐레이터(6)사이에는 와샤(10)가 게재된다.
상기 상부 마운팅 인슐레이터(4)와 하부 마운팅 인슐레이터(6)는 도로사정에 의해서 발생하는 차체프레임(3)의 진동을 흡수하여 캡(1)에 전달되는 것을 가능한 방지하기 위해서 구성된 것이다.
종래에 상기 볼트(5)의 나사부에 너트(7)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부에서 볼트(5)의 머리를 스패너(8)로 고정한후 하부에서 임팩트 투울(9)로 너트(7)를 조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볼트체결구조는 볼트의 머리부를 상부에서 고정하고 하부에서 너트를 회전하면서 볼트(5)와 너트(7)를 체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너트체결작업이 어렵고 작업성이 떨어지며 그에 따라 체결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에 캡을 마운팅할 때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체결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한 볼트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볼트체결구조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기재(基材)에 부착물을 고정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머리부에 회전방지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걸릴수 있도록 걸림부재를 회전방지부재 근방의 부착물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트럭 캡 마운팅용 볼트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트럭 캡 마운팅용 볼트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볼트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브라켓트의 일부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 2 : 브라켓트
3 : 차체 프레임 4 : 상부 마운팅 인슐레이터
5 : 볼트 6 : 하부 마운팅 인슐레이터
7 : 너트 8 : 스패너
9 : 임팩트 투울 10 : 와샤
20 : 볼트 21 : 볼트머리
22 : 플랜지 22a : 걸림홈
23 : 나사부 30 : 브라켓트
31 : 볼트공 32 : 걸림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볼트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볼트의 평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브라켓트의 일부사시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볼트체결구조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기재에 부착물을 고정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20)의 머리부(21)에 회전방지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걸릴수 있도록 걸림부재가 회전방지부재 근방의 부착물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기재는 차체프레임(3)이고, 부착물은 트럭 캡(1)이 된다.
그리고 볼트(20)의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머리부(21)의 하부에 두 개의 걸림홈(22a)이 가장자리에 머리부(2)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22)이고, 볼트(20)는 나사부(2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물, 즉 트럭 캡(1)의 회전방지부재 근방에 설치된 걸림부재는 상기 볼트(20)의 플랜지(22)의 걸림홈(22a)에 삽입되는 두 개의 걸림돌기(32)로서 볼트의 머리부(21)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브라켓트(3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20)의 플랜지(22)는 볼트를 제작할 때 동시에 제작할수도 있으나 중앙에 관통공이 있고 대칭적인 가장자리부에 두 개의 걸림홈(22a)이 있는 플랜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통상의 볼트에 용접하여서 제작할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20)의 나사부(23)가 관통하는 볼트공(31)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트(30)에는 두 개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7)를 조일 때 볼트(20)가 상기 걸림돌기(32)에 의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두 개의 걸림돌기(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 ㄱ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플랜지(22)의 걸림홈(22a)에 삽입될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각각의 걸림돌기(32)의 수평부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플랜지(22)의 걸림홈(22a)에 삽입되고 플랜지(22)가 회전한 후에는 플랜지(22)가 걸림돌기(32)의 수평부에 걸려 빠져 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20)는 플랜지(22)가 상기 걸림돌기(32)에 걸린후에도 약간의 유동은 가능하다.
상기 두 개의 걸림돌기(32)는 브라켓트(30)를 제조할 때 프레스에 의해서 동시에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와 같이 차체 프레임(3)의 상하부에는 상부 마운팅 인슐레이터(4)와 하부 마운팅 인슐레이터(6)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인슐레이터(6)와 너트(7)사이에 와샤(10)가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볼트(20)의 플랜지(22)가 와샤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볼트머리(21)와 브라켓트(30)사이에 별도의 와샤는 필요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볼트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이 볼트와 너트가 체결된다.
캡(1)의 브라켓트(30)를 차체프레임(3)위에 상부 마운팅 인슐레이터(4)를 게재하여 배치시키고 볼트(20)의 나사부(23)를 상기 브라켓트(30), 상부 마운팅 인슐레이터(4), 차체 프레임(3)에 관통시킨다. 이 때 볼트(20)의 플랜지(22)의 걸림홈(22a)에 브라켓트(30)의 걸림돌기(32)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차체 프레임(3)의 하부에서 하부 마운팅 인슐레이터(6)을 볼트(20)의 나사부(23)에 끼운후 와샤(10)를 게재하여 너트(7)를 볼트(20)의 나사부(23)에 체결한다.
너트(7)를 체결할 때에는 일단 손으로 너트(7)를 나사부(23)에 대략적으로 체결하고 임팩트 투울(9)를 이용하여 너트(7)를 강하게 체결하는데, 이 때 볼트(20)는 플랜지(22)가 브라켓트(30)의 걸림돌기(32)에 의하여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부에서 스패너(8)를 이용하여 볼트머리(21)를 고정하지 않아도 너트(7)를 체결할수 있다.
따라서 볼트(20)에 너트(7)를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볼트체결구조는 차체 프레임에 캡을 마운팅할 때 하부에서 임팩트 투울을 이용하여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면 되므로 볼트체결작업이 용이하고 그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고 체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기재에 부착물을 고정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머리부에 회전방지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걸릴수 있도록 걸림부재를 회전방지부재 근방의 부착물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차체프레임이고, 상기 부착물은 트럭 캡임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결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두 개의 걸림홈이 가장자리에 볼트머리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결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볼트의 머리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걸림돌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결구조.
KR2019970034897U 1997-11-29 1997-11-29 볼트체결구조 KR200173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97U KR200173825Y1 (ko) 1997-11-29 1997-11-29 볼트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97U KR200173825Y1 (ko) 1997-11-29 1997-11-29 볼트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400U KR19990021400U (ko) 1999-06-25
KR200173825Y1 true KR200173825Y1 (ko) 2000-04-01

Family

ID=1951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897U KR200173825Y1 (ko) 1997-11-29 1997-11-29 볼트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8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400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3825Y1 (ko) 볼트체결구조
US6932410B2 (en) Instrument-panel mounting system
JPH0743951Y2 (ja) 車両用バッテリの保持装置
JPS63134382A (ja) 自動車における樹脂製外板の取付構造
KR970000902Y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좌우유동방지용 스토퍼
JPH05105042A (ja) ブレーキ導風板
KR100191025B1 (ko) 자동차의 도어 스트라이커 취부구조
JPH0747204Y2 (ja) タイヤ圧センサのねじ緩み防止具
KR200329716Y1 (ko) 볼트, 너트 안전 조임 판
JP2505027Y2 (ja) バンパ―サイドの固定構造
JPH0319458Y2 (ko)
KR100320840B1 (ko) 자동차용 루프 판넬의 워셔 호스 체결구조
JPH0564246U (ja) オペレータキャビンの支持装置
KR0126054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KR0136338Y1 (ko) 플라스틱제의 마운팅 리브 강성보강용 클립
KR19990015921A (ko) 차량의 스포일러 장착구조
KR0132936Y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구조
KR100279775B1 (ko) 버스의 에어탱크 마운팅 구조
KR200205821Y1 (ko) 차량의 카울 사이드 트림 마운팅 브라켓 구조
KR19980040699U (ko) 자동차의 플라스틱 부품 조립용 인서트 볼트
JPS5821787Y2 (ja) ミラ−の取付装置
KR20000033679A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볼트 체결장치
JPS6117216Y2 (ko)
KR0118281Y1 (ko) 자동차의 엔진 취부구조
JP2601865Y2 (ja) 電動ミラーアーム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