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760B1 - 카매트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카매트 고정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760B1
KR101047760B1 KR1020090118639A KR20090118639A KR101047760B1 KR 101047760 B1 KR101047760 B1 KR 101047760B1 KR 1020090118639 A KR1020090118639 A KR 1020090118639A KR 20090118639 A KR20090118639 A KR 20090118639A KR 101047760 B1 KR101047760 B1 KR 101047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mat
fixing member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059A (ko
Inventor
이진형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7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매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플로어판넬에 고정되며, 일측면에 플로어판넬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는 설정면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설정면의 상부에 놓여지는 카페트; 상기 카페트 상부에 놓여지는 카매트; 상기 카매트 및 카페트를 상부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설정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설정면의 하부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카매트는 카페트와 함께 플로어판넬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에 함께 고정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서 유동되지 않으며, 그 결과 카매트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브레이크 페달 등의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카매트, 카페트, 플로어판넬, 고정부재

Description

카매트 고정구조{Car-mat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플로어 판넬의 상부에 장착되는 카매트(car-mat)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매트가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밀려서 이동된 카매트에 의해서 페달이 오조작되는 방지할 수 있는 카매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전면에 위치하는 플로어 판넬의 상부에는 플로어 카페트가 설치되며, 그 상부에 카매트가 놓여진다. 하지만 카매트가 고정되지 않으면 운전자의 발에 의해서 카매트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브레이크 페달 등의 하부에 놓이게 되고, 이로 인해서 운전 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발로 밟을 경우 충분히 밟혀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자동차가 제대로 제동되지 않아 큰 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최근 플로어 카페트에 카매트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카매트 고정구조가 제안되었다. 도 1은 플로어 카페트에 카매트를 고정시키는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카매트 고정구조에서는, 플로어판넬(110)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120)에서 상부로 돌출하는 돌출부 재(121)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카페트(150)가 놓여지며, 돌출부재(121)에 나사결합되는 카매트락(130)에 의해서 카페트(150)가 고정된다. 또한 카매트(160)는 원형고리형상의 카매트링(140)의 외주를 따라서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카매트링(140)이 카매트락(130)에 끼워짐으로써 카매트(160)가 카페트(150)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카매트 고정구조는, 베이스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돌출부재(121), 카매트락(130), 카매트링(140) 등 여러 가지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들 여러 가지 부품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서 부품들 사이에 유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이들에 고정된 카매트(160)가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카매트 고정구조는 카매트(160)가 유연한 카페트(150)에 고정되기 때문에 카페트(150)의 변형에 의해서 카매트(160)가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매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절감하고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카매트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는, 플로어판넬에 고정되며, 일측면에 플로어판넬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는 설정면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설정면의 상부에 놓여지는 카페트; 상기 카페트 상부에 놓여지는 카매트; 상기 카매트 및 카페트를 상부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설정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설정면의 하부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카매트는 카페트와 함께 플로어판넬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에 함께 고정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서 유동되지 않으며, 그 결과 카매트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브레이크 페달 등의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플로어판넬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구비하며, 상기 설정면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기본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설정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부품수 및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하부에 플로어판넬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구비하며, 상기 설정면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구조물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고정부재의 형상의 변경으로 인해서 고정부재의 강성이 저하되는 경우에 고정부재의 강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는 카매트를 카페트와 함께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고정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카매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카매트의 이동으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의 오작동 등을 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는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카매트 및 카페트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카매트 고정구조에 적용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는 차량의 플로어판넬(1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10)에 카페트(150) 및 카매트(160)가 하나의 체결수단(30)에 의해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플로어판넬(1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는, 예를 들면 시트를 장착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형상으로 플로어판넬(110)에 고정되는 시트장착부재로, 두개의 고정면(11a, 11b)을 구비한다. 또한 고정부재(10)는, 양 고정면(11a, 11b)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양 측면(12a, 12b)과, 양 측면(12a, 12b)을 연결하는 상면(13)을 구비하고 있다. 두개의 고정면(11a, 11b)은 용접 등에 의해서 플로어판넬(110)에 고정되며,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0)는 플로어판넬(110)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한다.
고정부재(10)에는 후술하는 체결수단(30)이 체결되기 위한 설정면(2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정면(20)은 고정부재(10)의 일측면(12a 또는 12b, 이하는 하나의 측면(12a)에 설정면(20)이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에 형성되며, 고정면(11a)으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H)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설정면(20)에는 체결수단(30)이 관통되는 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설정면(20)이 형성되는 높이(H)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전자에게 안락감을 주기 위해서 플로어판넬110)에 놓여지는 흡음재(170) 등과 동일한 높이로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페트(150) 및 카매트(160)가 설정면(20)에 고정되더라도 흡음재(170)의 상부로 놓여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평평한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한편, 설정면(20)은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부재(10)의 일측면(12a)을 설계변경함으로써 고정부재(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0)를 사출제작 등의 방법으로 제작할 때 일측면(12a)에 높이(H) 지점에서 수평으로 연장하는 설정면(20)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정면(20)은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부재(10)의 일측면(12a)에 설치되는 브라켓구조물(4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b)와 같이 설정면(20)을 구비하는 브라켓구조물(40)을 제작하여 고정부재(10)의 일측면(12b)에서 높이(H) 위치에 설정면(2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브라켓구조물(40)을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3의 (a)와 같이 고정부재(10)의 구조를 변경할 경우 고정부재(10)에 요구되는 강성이 저하될 수 있는 경우, 고정부재(10)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설정면(2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a) 및 (b)의 구조에 의해서 설정면(20)은 고정부재(10)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부재(10)에 대해서 외력에 의해서 요동되지 않으며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30)는 머리부(31a)와, 머리부(31a)로부터 하부로 연장하는 몸체(31b)를 포함하는 보스(31)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스(31)의 몸체(31b) 하부에는 너트(32)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체결부재(30)는, 설정면(20)의 상부 카페트(150)가 놓여지고 카페트(150)의 상부 카매트(160)가 놓여진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카매트(160) 및 카페트(150)를 통 과하고 설정면(20)의 체결공(21)을 통과한 후, 설정면(20)의 하부에서 너트(32) 등에 의해서 체결된다. 이때 너트(32)를 조임에 의해서 보스(31)의 머리부(31a)와 설정면(20) 사이에 카매트(160) 및 카페트(150)가 끼워진 상태로 압착되어 카매트(160)가 고정부재(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카매트(160)가 외력에 의해서 요동되지 않으며 고정부재(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체결부재(30)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30')는 머리부(31a') 및 몸체(31b')로 이루어진 보스(31')와, 보스(31')에 체결되는 볼트(33')로 구성된다. 보스(31')의 머리부(31a')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31b')의 내측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된 홀(3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트(33')는 고정부재(10)의 설정면(20) 하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된 볼트(33)에 카페트(150) 및 카매트(160)를 얹혀 놓고 상부에서 보스(31)를 회전시켜 볼트(33)와 체결함으로써 카페트(160)를 고정부재(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매트 고정구조에서 카매트는 카페트와 함께 플로어판넬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에 함께 고정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서 유동되지 않으며, 그 결과 카매트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브레이크 페달 등의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는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카매트 및 카페트가 함께 고정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카매트 및 카페트를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부품수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플로어 카페트에 카매트를 고정시키는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카매트 고정구조에 적용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카매트 고정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부재 11a, 11b : 고정면
20 : 설정면 21 : 체결공
30 : 고정부재 31 : 보스
32 : 너트 33 : 볼트
40 : 브라켓 구조물

Claims (3)

  1. 플로어판넬에 고정되며, 일측면에 플로어판넬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는 설정면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설정면의 상부에 놓여지는 카페트,
    상기 카페트 상부에 놓여지는 카매트,
    상기 카매트 및 카페트를 상부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설정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설정면의 하부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매트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플로어판넬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구비하며, 상기 설정면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매트 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하부에 플로어판넬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구비하며, 상기 설정면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구조물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매트 고정구조.
KR1020090118639A 2009-12-02 2009-12-02 카매트 고정구조 KR101047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39A KR101047760B1 (ko) 2009-12-02 2009-12-02 카매트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39A KR101047760B1 (ko) 2009-12-02 2009-12-02 카매트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059A KR20110062059A (ko) 2011-06-10
KR101047760B1 true KR101047760B1 (ko) 2011-07-07

Family

ID=4439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639A KR101047760B1 (ko) 2009-12-02 2009-12-02 카매트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41651B1 (es) * 2014-01-22 2016-04-26 Illinois Tool Works Inc. Dispositivo de fijación de alfombrillas en un vehícul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952A (ko) * 2000-10-06 2002-04-15 이계안 자동차의 카매트 고정 구조
JP2005289273A (ja) * 2004-04-02 2005-10-20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自動車のフロアマットの留め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952A (ko) * 2000-10-06 2002-04-15 이계안 자동차의 카매트 고정 구조
JP2005289273A (ja) * 2004-04-02 2005-10-20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自動車のフロアマットの留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059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22835A1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の取付構造
JP5873408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KR101047760B1 (ko) 카매트 고정구조
JP5303569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CN105882552B (zh) 磁性紧固夹
JP5604328B2 (ja) 鞍乗り型車両のスクリーン取付構造
US7497473B2 (en) Shoulder adjuster
KR100917568B1 (ko) 스티어링휠과 리모콘의 결합구조
US20120119559A1 (en) Method for obtaining a ready-to-fit seat module and module obtained
JP6094515B2 (ja) 自動車のオーバフェンダ構造
KR200453487Y1 (ko)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JP5768730B2 (ja) エアバッグ組付構造
JP2011161996A (ja) 乗用車のフロントバンパ
JP5307526B2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KR101388473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101886351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KR101905567B1 (ko) 차량의 언더 커버 장착유닛
KR101919352B1 (ko) 자동차 실내바닥패널 제조용 발포 금형
JP6531557B2 (ja) フェンダーステップ構造
JP6750428B2 (ja) 車両用乗降グリップ取付構造
JPH0858498A (ja) 車両用バンパの支持構造
KR200462683Y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JP5138841B2 (ja) キャブ取付方法
KR102659243B1 (ko) 차량용 혼 플레이트 조립체
CN111098761B (zh) 一种集成座椅固定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