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683Y1 -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683Y1
KR200462683Y1 KR2020100012181U KR20100012181U KR200462683Y1 KR 200462683 Y1 KR200462683 Y1 KR 200462683Y1 KR 2020100012181 U KR2020100012181 U KR 2020100012181U KR 20100012181 U KR20100012181 U KR 20100012181U KR 200462683 Y1 KR200462683 Y1 KR 200462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bracket
height adjustment
wash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904U (ko
Inventor
강원석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8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9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assembled from readily detach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켓의 하면에 높이 조절용 와셔가 장착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장부품의 공차에 따라 바디에 체결되는 면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외관 갭을 얻을 수 있고,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공차의 조정을 금형수정을 통하지 않고, 높이 조절용 와셔의 조절을 통해 바디와의 공차를 파악하여 금형수정량을 미리 분석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BODY MOUNTING BRACKET OF VEHICLE}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동력시스템과 구동시스템이 장착된 프레임과 승객이 거주하는 바디로 구성된다.
프레임에는 바디와 장착되도록 그 외측을 따라 다수개의 브라켓이 용접된다.
브라켓에는 바디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체결홀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끼워져 브라켓과 바디가 체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브라켓은 외장부품의 공차를 흡수할 수가 없고, 외장부품의 공차에 따라 브라켓의 공차를 조정하기 위해 금형 자체를 수정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은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단차지도록 높이 조절 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높이 조절 홈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 돌기가 형성되는 높이 조절용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를 회전시켜 주면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회전하여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높이 조절 홈의 높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는 몸통부, 높이 조절을 위한 레버, 상기 브라켓의 상기 체결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 홈이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은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경사면을 갖도록 높이 조절 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높이 조절 홈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 돌기가 형성되는 높이 조절용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를 회전시켜 주면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회전하여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높이 조절 홈의 높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는 몸통부, 높이 조절을 위한 레버, 상기 브라켓의 상기 체결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 홈이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외장부품의 공차에 따라 바디에 체결되는 면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외관 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공차의 조정을 금형수정을 통하지 않고, 높이 조절용 와셔의 조절을 통해 바디와의 공차를 파악하여 금형수정량을 미리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높이 조절 돌기가 높이 조절 홈의 첫 번째 단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높이 조절 돌기가 높이 조절 홈의 두 번째 단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높이 조절 돌기가 높이 조절 홈의 세 번째 단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높이 조절 홈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도 4,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단계별로 높이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도 5, 도 7은 각각 도 2, 도 4, 도 6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의 높이 조절 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1)은 자동차의 바디(미도시)와 프레임(미도시)을 연결시키는 브라켓(10), 브라켓(10)의 하면에 장착되는 높이 조절용 와셔(20)로 구성된다.
자동차는 바디(미도시)의 저면에 프레임(미도시)이 장착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자동차의 바디(미도시)와 프레임(미도시)은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바디 마운팅 브라켓(1)에 의해 연결된다.
브라켓(10)에는 자동차의 바디(미도시)와 프레임(미도시)을 연결시키기 위한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체결홀(11)이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10)에는 하기할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몸통부(21)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높이 조절 돌기(2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홈(13)이 형성된다.
브라켓(10)에 형성되는 높이 조절 홈(13)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높이 조절 홈(13)에 하기할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몸통부(21)에 형성된 높이 조절 돌기(25)가 삽입되고, 레버(23)를 회전시켜 높이 조절 돌기(25)가 높이 조절 홈(13)의 첫 번째 단(13a), 두 번째 단(13b), 세 번째 단(13c)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여 바디 마운팅 브라켓(1)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도면상에서 높이 조절 홈(13)은 3개로 구성되고, 체결홀(11)에 인접하여 타원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 되어 있지만, 높이 조절 홈(13)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형상 또한 타원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는 높이 조절 홈(13)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3개의 단차진 면(13a, 13b, 13c)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단차진 면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단차진 면 간의 높이 차이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에 형성되는 높이 조절 홈(13')은 단차진 면이 아닌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 홈(13')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경우, 원하는 높이에 따라 좀 더 세밀하게 바디 마운팅 브라켓(1)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의 하면에는 브라켓(1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용 와셔(20)가 장착된다.
높이 조절용 와셔(20)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몸통부(21), 높이 조절을 위한 레버(23), 몸통부(21)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높이 조절 돌기(25)로 구성된다.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몸통부(21)에는 브라켓(10)과의 체결을 위한 돌출부(27)가 형성되고, 돌출부(27)가 브라켓(10)의 체결홀(11)에 끼워져 높이 조절용 와셔(20)와 브라켓(10)이 결합되게 된다.
레버(23)는 몸통부(21)의 테두리상에 몸통부(21)와 일체로 형성되고, 레버(23)를 회전시켜주면 높이 조절용 와셔(20)가 회전되면서 브라켓(1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높이 조절 돌기(25)는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몸통부(21)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몸통부(21)에 형성되는 돌출부(27)에 인접하도록 돌출부(27)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높이 조절 돌기(25)는 상기한 브라켓(10)의 높이 조절 홈(13)에 삽입되게 된다.
브라켓(10)의 높이 조절 홈(13)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 돌기(25)는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레버(23)를 회전시켜 높이 조절 돌기(25)가 높이 조절 홈(13)의 첫 번째 단(13a), 두 번째 단(13b), 세 번째 단(13c)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여 바디 마운팅 브라켓(1)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외장부품의 공차에 따라 바디(미도시)에 체결되는 면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외관 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1)의 공차의 조정을 금형수정을 통하지 않고,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조절을 통해 바디(미도시)와의 공차를 파악하여 금형수정량을 미리 분석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높이 조절 돌기(25)가 3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높이 조절 돌기(25)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높이 조절 돌기(25)의 개수에 맞도록 브라켓(10)에 형성되는 높이 조절 홈(13)이 구성된다.
도 1 및 도 8에서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1)의 브라켓(10)에 높이 조절 홈(13)이 형성되고, 높이 조절용 와셔(20)에 높이 조절 돌기(25)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라켓(10)에 높이 조절 돌기(25)가 형성되고, 높이 조절용 와셔(20)에 높이 조절 홈(13)이 형성되도록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1)이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1)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용 와셔(20)는 몸통부(21)에 형성된 돌출부(27)가 브라켓(10)의 체결홀(11)에 끼워지도록 하여 브라켓(10)의 하면에 장착된다.
높이 조절용 와셔(20)가 브라켓(10)의 하면에 장착될 때,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높이 조절 돌기(25)가 브라켓(10)에 형성된 높이 조절 홈(13)의 가장 깊게 파인 부분인 첫 번째 단(13a)에 삽입되도록 하여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이 브라켓(1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이 브라켓(10)의 하면에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이 밀착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브라켓(1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될 경우 높이 조절용 와셔(20)와 브라켓(10) 사이에 갭이 생기도록 높이 조절용 와셔(20)를 브라켓(10)과 분리시킨다.
이때, 브라켓(10)과 높이 조절용 와셔(20)는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고,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몸통부(21)에 형성된 돌출부(27)가 브라켓(10)의 체결홀(11)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브라켓(10)의 하면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하여 분리된다.
브라켓(10)의 하면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분리된 상태에서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레버(23)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높이 조절 돌기(25)가 브라켓(10)에 형성된 높이 조절 홈(13)의 두 번째 단(13b)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시킨 후, 높이 조절 돌기(25)가 높이 조절 홈(13)의 두 번째 단(13b)에 삽입되도록 높이 조절용 와셔(20)를 브라켓(10)에 장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용 와셔(20)에 형성된 높이 조절 돌기(25)가 브라켓(10)에 형성된 높이 조절 홈(13)의 첫 번째 단(1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두 번째 단(13b)에 삽입되도록 조절하여 주면 높이 조절 홈(13)의 첫 번째 단(13a)과 두 번째 단(13b) 사이의 높이 차이(t1)만큼 브라켓(10)의 하면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 사이에 갭(t1)이 형성되어 브라켓(10)의 높이가 브라켓(10)의 하면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 사이의 갭(t1) 만큼 조절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의 하면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이 높이 조절 홈(13)의 첫 번째 단(13a)과 두 번째 단(13b) 사이의 높이 차이(t1)만큼 갭이 형성된 상태에서 브라켓(1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될 경우 높이 조절용 와셔(20)와 브라켓(10) 사이에 높이 조절 홈(13)의 첫 번째 단(13a)과 두 번째 단(13b) 사이의 높이 차이(t1)만큼의 갭보다 더 큰 갭이 생기도록 높이 조절용 와셔(20)를 브라켓(10)과 분리시킨다.
이때, 브라켓(10)과 높이 조절용 와셔(20)는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고,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몸통부(21)에 형성된 돌출부(27)가 브라켓(10)의 체결홀(11)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브라켓(10)의 하면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 사이에 갭이 높이 조절 홈(13)의 첫 번째 단(13a)과 두 번째 단(13b) 사이의 높이 차이(t1)만큼의 갭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분리된다.
브라켓(10)의 하면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 사이에 갭이 높이 조절 홈(13)의 첫 번째 단(13a)과 두 번째 단(13b) 사이의 높이 차이(t1)만큼의 갭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분리된 상태에서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레버(23)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높이 조절 돌기(25)가 브라켓(10)에 형성된 높이 조절 홈(13)의 세 번째 단(13c)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시킨 후, 높이 조절 돌기(25)가 높이 조절 홈(13)의 세 번째 단(13c)에 삽입되도록 높이 조절용 와셔(20)를 브라켓(10)에 장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용 와셔(20)에 형성된 높이 조절 돌기(25)가 브라켓(10)에 형성된 높이 조절 홈(13)의 두 번째 단(13b)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 번째 단(13c)에 삽입되도록 조절하여 주면 높이 조절 홈(13)의 첫 번째 단(13a)과 세 번째 단(13c) 사이의 높이 차이(t2)만큼 브라켓(10)의 하면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 사이에 갭(t2)이 형성되어 브라켓(10)의 높이가 브라켓(10)의 하면과 높이 조절용 와셔(20)의 상면 사이의 갭(t2) 만큼 조절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1)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10 : 브라켓 11 : 체결홀
13, 13' : 높이 조절홈 13a : 높이 조절 홈의 첫 번째 단
13b : 높이 조절 홈의 두 번째 단 13c : 높이 조절 홈의 세 번째 단
20 : 높이 조절용 와셔 21 : 몸통부
23 : 레버 25 : 높이 조절 돌기
27 : 돌출부
t1 : 높이 조절 홈의 첫 번째 단과 두 번째 단 사이의 높이 차이
t2 : 높이 조절 홈의 첫 번째 단과 세 번째 단 사이의 높이 차이

Claims (6)

  1.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단차지도록 높이 조절 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높이 조절 홈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 돌기가 형성되는 높이 조절용 와셔;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를 회전시켜 주면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회전하여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높이 조절 홈의 높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는 몸통부, 높이 조절을 위한 레버, 상기 브라켓의 상기 체결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 홈이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4.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경사면을 갖도록 높이 조절 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높이 조절 홈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 돌기가 형성되는 높이 조절용 와셔;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를 회전시켜 주면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회전하여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높이 조절 홈의 높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는 몸통부, 높이 조절을 위한 레버, 상기 브라켓의 상기 체결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돌기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 홈이 상기 높이 조절용 와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KR2020100012181U 2010-11-25 2010-11-25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KR200462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181U KR200462683Y1 (ko) 2010-11-25 2010-11-25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181U KR200462683Y1 (ko) 2010-11-25 2010-11-25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904U KR20120003904U (ko) 2012-06-04
KR200462683Y1 true KR200462683Y1 (ko) 2012-09-27

Family

ID=4661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181U KR200462683Y1 (ko) 2010-11-25 2010-11-25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8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633A (ja) 2004-07-27 2006-03-09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KR100599486B1 (ko) 2004-01-26 2006-07-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틸트컬럼의 캠타입 틸트로킹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86B1 (ko) 2004-01-26 2006-07-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틸트컬럼의 캠타입 틸트로킹장치
JP2006062633A (ja) 2004-07-27 2006-03-09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904U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5717B (zh) 机动车的翼子板支架和将发动机盖铰链固定到机动车结构元件的方法
CN103085891B (zh) 车辆挡泥板
US8708379B2 (en) Vehicle bumper structure
JP2006219068A (ja) マウント装置の取付構造
KR102017463B1 (ko) 차량용 에어가드 유닛과 그 제조방법
KR200462683Y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브라켓
KR101754001B1 (ko) 프레임 타입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 결합구조
KR101961083B1 (ko) 마운팅 브래킷
US9944219B2 (en) Headlamp module slip plane bracket
GB2513829A (en)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a bumper on a vehicle body as well as method for assembling a bumper covering a vehicle body
KR101886351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KR101905567B1 (ko) 차량의 언더 커버 장착유닛
JPH0858498A (ja) 車両用バンパの支持構造
KR100588307B1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CN111098761B (zh) 一种集成座椅固定架
KR20130002782A (ko) 펜더 조립 구조 및 방법
KR101712239B1 (ko)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KR102357721B1 (ko) 댐핑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가동부 조절용 서보모터
KR20110062059A (ko) 카매트 고정구조
KR10133843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JP6531557B2 (ja) フェンダーステップ構造
JP2019107986A (ja) 車体前部の構造
KR101374523B1 (ko) 시트 모니터 장착기구
JP6729230B2 (ja) スペーサおよびバンパ構造
KR101858978B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