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430A -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차량운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차량운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430A
KR20040103430A KR1020040038403A KR20040038403A KR20040103430A KR 20040103430 A KR20040103430 A KR 20040103430A KR 1020040038403 A KR1020040038403 A KR 1020040038403A KR 20040038403 A KR20040038403 A KR 20040038403A KR 20040103430 A KR20040103430 A KR 2004010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ound
vehicle
simulation engine
wireless communication
s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0839B1 (ko
Inventor
마부치테츠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차량(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동이륜차)에 탑재되어, 소정의 모의 엔진음(실제의 가솔린차의 엔진음의 시뮬레이션 또는 소정의 악곡 또는 멜로디의 재생음)을 재생발음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Bluetooth)방식 등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차량으로 구축되는 차량운행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제어신호를 교신함으로써, 자차량에서 재생발음되는 모의 엔진음과 다른 차량에서 재생발음되는 모의 엔진음을 자동적으로 동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차량에서 재생발음되는 모의 엔진음이 동기하고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는 운전자(또는, 탑승자)의 청각상의 불괘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특정 장소(철로의 건널목이나 학교 근방 등)에 별도 근거리 무선통신기를 설치함으로써, 그 특정 장소에 접근한 차량에서 재생발음되는 모의 엔진음을 자동제어(예를 들면, 음량을 저하시킨다)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상기 차량이 특정 장소에 접근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차량운행 시스템{PSEUDO ENGINE SOUND GENERATION DEVICE AND VEHICLE SERVICE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동이륜차(electric four-wheeled and two-wheeled vehicles) 등에 이용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pseudo engine sound generation device) 및 그 차량운행 시스템(vehicle service system)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동이륜차 등의 전동기(electric motors)로 구동되는 차량에 있어서는, 차량 자체의 소리가 조용하므로, 일반적인 가솔린차 등이 발생하는 엔진음을 모의(simulation)한 모의 엔진음(pseudo engine sound)을 인공적으로 발생시켜, 운전자(또는 탑승자)가 그 모의 엔진음을 듣는 것에 의해 스피드감을 체감시키는 시스템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또, 이 모의 엔진음을 단조로운 소리로서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외부환경에 따라서 모의 엔진음의 음량을 제어하는 장치도 고안되어 있다. 이 모의 엔진음 제어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속도나 전동기의 회전수 등의 파라미터로부터 차량의 주행상태나 정지상태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따라 음량을 증감시키거나, 또는 철로의 건널목(railroad crossing)이나 학교 근방과 같은 모의 엔진음을 억제해야할 장소에 있어서는, 그 상황을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으로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음량을 저하시킨다. 또, 소위 카오디오 시스템에서 발생시키는 음량이 증가한 경우, 운전자가 상기 오디오 시스템에서 발생시키는 (음악 등의) 소리를 듣기 쉽게 하고 싶다라는 의사를 자동인식하거나, 또는 VICS(교통정보)나 음성이 부여된 E-MAIL 등의 소정 정보센터나 인터넷 서버로부터의 외부정보의 수신시에 있어서 그 소리를 듣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음량을 저하시킨다. 또한, 교통규칙으로 규정된 제한속도 초과시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제한속도 초과상태를 인식시켜서 제한속도 이하로 차량을 제어시키기 위해서, 음량을 증가하는 제어도 행해진다. 이러한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2-233001호(특히, 단락 [0008]∼[0049] 및 도1∼도8 참조)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모의 엔진음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철로의 건널목이나 학교 근방 등의 모의 엔진음의 음량을 제어해야할 장소의 위치정보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검출하고 있으므로, 위치정보는 반드시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터널이나 지하도 등의 소리의 반향이 현저한 장소에 있어서는, 모의 엔진음을 억제해야함에도 불구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전파를 차량에서 수신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을 수 없고, 따라서, 모의 엔진음의 제어를 행할 수 없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의 기술에 있어서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차량에 탑재하지 않으면, 위치정보를 얻을 수 없고, 이 때문에, 모의 엔진음의 제어도 불가능하다라는 문제도 있다.
한편,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는, 교차점에 있어서의 신호대기상태에 있어서 가까이 주행 또는 정차하고 있는 차량이 발생하는 모의 엔진음과 상기 자동 이륜차에서 발생하는 모의 엔진음이 비동기로 되거나, 또는 양자의 모의 엔진음이 무질서하게 발생하고 있는 경우, 운전자에 따라서는 그것을 귀에 거슬리게 느끼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차량이 발생하는 모의 엔진음을 서로 동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모의 엔진음 제어장치에서는, 복수의 모의 엔진음을 서로 동기시키는 제어를 행할 수 없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 모의 엔진음을, 실재하는 엔진음을 단순히 모의한 음으로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모의 엔진음을 음악적인 음으로 가공해서 즐긴다라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 가깝게 위치하는 복수의 차량이 서로 비동기적으로 모의 엔진음을 발생하면, 운전자의 청각상의 불쾌감 또는 청취상의 문제가 현저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차량이 접근한 경우, 차량이 발생하는 모의 엔진음을 자동적으로 동기시켜서 운전자에게 듣는 기분을 좋게 할 수 있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그것을 위한 차량운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탑재할 필요가 없고, 또한, GPS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장소의 위치정보도 정확하게 얻어서 모의 엔진음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그것을 위한 차량운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2대의 차량이 근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도4는 2대의 차량에서 교대로 재생되는 악곡(멜로디)의 일례를 나타내는 악보이다.
도5는 2대의 차량에서 윤창형식으로 재생되는 악곡(멜로디)의 일례를 나타내는 악보이다.
도6은 제2실시예에 따른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도7은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차량에 대해서 제어를 행하는 차량운행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부에서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발음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의 소정 파라미터(음량, 음색, 음고 등)를 자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방식, 적외선 통신방식, 무선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방식, 및 그 외의 비교적 통신거리가 제한된 통신기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목적으로 한 각종의 통신방식이 채용된다.
상기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다른 차량에 탑재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근거리 무선통신부로부터의 제어신호뿐만 아니라, 교통로(도로)의 특정 장소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도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차량에 탑재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근거리 무선통신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자차량에 탑재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에서는 다른 차량에서 발음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자차량에서 발음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을 다른 차량에서 발음재생되는 모의 엔진음과 자동적으로 동기시킨다.
또, 특정 장소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차량에 탑재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에 의해 발음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은 자동적으로 제어(예를 들면, 음량을 자동적으로 저하시킨다)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운전자는 특정 장소에 근접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차량에 의해 차량운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모의 엔진음의 재생제어를 통해,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모의 엔진음으로서는, 실제의 가솔린차가 발생하는 엔진음을 모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의 악곡(또는 멜로디)에 따른 사운드를 설정해도 좋다. 또,상기의 모의 엔진음의 발음재생제어에 의해, 서로 근접한 차량에서 발음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이 동기하지 않는 것에 기인하는 운전자의(또는 탑승자의) 청각상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나타내며, 외부의 송신장치(도시생략)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수신·복조해서 버스라인(7)으로 보내고, 또, 버스라인(7)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외부의 수신장치(도시생략)로 발신한다. 또, 근거리 무선통신부(1)는 일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차량(이하, "자차량"이라고 함)의 접근을 주위에 통지하기 위한 링크신호를 전파에 의해 방사한다. 이 근거리 무선통신부(1)에는 블루투스규격에 의한 무선통신방식이 채용된다. 부호 2는 차량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의 회전수 등의 구동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나타내며, 그 검출결과를 제어 데이터로서 버스라인(7)으로 보낸다. 부호 3은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나타낸다. 이 CPU(3)가 실행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부호 4는 CPU(3)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는 기준파형을 기초로 여러가지의 파형처리를 행해서 생성한 합성파형, 및 실제의 엔진음의 녹음파형을 디지털 PCM(Pulse-Code Modulation) 데이터로 변환한 것에 상당한다. 부호 5는기억부(4)로부터 판독된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에 기초해서 모의 엔진음을 생성하는 음원을 나타내며, CPU(3)로부터 출력된 음량 레벨에 기초하여 그 음량조정이 행해진다. 부호 6은 음원(5)으로부터 출력되는 모의 엔진음 신호에 대응하는 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나타낸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차량(여기에서는, 전기 자동이륜차)(8,9)이 근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2대의 차량이 근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내는 전기 자동이륜차)을 구동하기 위해서, 전동기를 스타트시키면, 플로는 단계Sa1에서 Sa2로 이행하고, CPU(3)는 모의 엔진음의 재생을 실행한다. 즉, CPU(3)는 기억부(4)로부터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를 판독하여 음원(5)으로 출력한다. 음원(5)은 CPU(3)로부터 공급된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에 기초해서 모의 엔진음 신호를 형성해서 스피커(6)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스피커(6)로부터 모의 엔진음이 재생된다. 또, CPU(3)는 검출부(2)의 검출출력에 기초해서 전동기의 구동상태(예를 들면, 회전수 등)를 인지하여, 상기 구동상태에 따른 음량을 음원(5)에 대해서 지정한다. 단계Sa3에 있어서, CPU(3)는 검출부(2)의 검출출력에 기초해서 전동기가 정지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동기의 정지판정이 행해진 경우, 단계는 Sa3에서 Sa5로 이행하고, CPU(3)는 모의 엔진음의 정지를 음원(5)에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 모의 엔진음이정지된다.
단계Sa3의 판정결과가 「NO」인 경우, 단계는 Sa3에서 Sa4로 이행하고, 다른 차량으로부터의 링크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Sa4의 판정결과가 「NO」인 경우, 플로는 단계Sa2로 되돌아가고, 그 이후, CPU(3)는 단계Sa2∼Sa4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도1에 나타내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차량이 근접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에서는 자차량과 다른 차량(양자모두 전기 자동 이륜차)이 근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자차량과 마찬가지로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가 음원(5)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차량이 접근하고, 상기 다른 차량이 발신하는 링크신호를 자차량의 근거리 무선통신부(1)가 수신하면, 그 링크신호는 버스라인(7)을 통해 CPU(3)로 보내진다. 링크신호의 수신에 의해, CPU(3)는 단계Sa4에 있어서의 판정결과가 「YES」로 되고, 플로는 단계Sa7로 진행하고, 그래서 자차량이 마스터인지 슬레이브인지 판정된다. 이 경우,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2대의 차량이 접근한 경우, 양쪽의 차량으로부터 링크신호가 발신되지만, 최초로 링크신호를 수신한 쪽이 마스터로 되고, 다른 차량에 대해서 슬레이브신호를 발신한다. 예를 들면 링크신호를 수신해도마스터신호를 발신하기 전에 다른 차량으로부터 슬레이브신호를 수신한 차량은 슬레이브로 된다.
예를 들면, 자차량이 마스터인 경우, 플로는 단계Sa7에서 단계Sa8로 이행하지만, 이경우, CPU(3)는 음원(5)에 대해서 모의 엔진음 신호의 1주기의 스타트 타이밍신호를 요구한다.
음원(5)으로부터 스타트 타이밍신호를 받으면, 단계Sa8의 판정결과가 「YES」로 되고, CPU(3)는 동기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로 출력한다. 근거리 무선통신부(1)는 상기 동기신호를 전파에 의해 발신한다(단계Sa9).
한편, 자차량이 슬레이브인 경우, 플로는 단계Sa7에서 단계Sa10으로 이행하고, CPU(3)는 동기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동기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플로는 단계Sa2로 되돌아가고, 그 이후, CPU(3)는 단계Sa2, Sa3, Sa4, Sa7 및 Sa10의 처리를 반복한다. 동기신호를 수신하면, 단계Sa10의 판정결과가 「YES」로 되고, 플로는 단계Sa11로 이행하고, CPU(3)는 음원(5)에 대해서 동기지시를 출력한다. 음원(5)은 동기지시를 받아서, 모의 엔진음을 그 1주기의 스타트위치로부터 발생한다.
2대의 차량이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면, 근거리 무선통신부(1)는 링크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단계Sa4의 판정결과가 「NO」로 되고, 그 이후, CPU(3)는 다시 단계Sa2, Sa3 및 Sa4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2대의 차량이 일정 거리이내로 근접하면, 양 차량이 발생하는 모의 엔진음의 동기상태를 자동적으로 확립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들어서 기분좋은 모의 엔진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차량의 근거리 무선통신부 사이에서 보내지는 동기신호는, 모의 엔진음의 1주기의 스타트시마다 송신해도 좋거나, 또는 모의 엔진음의 최초의 스타트시에 있어서 1회만 송신해도 좋다. 또, 모의 엔진음의 1주기의 스타트시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1주기의 도중에 있어서 스타트시부터의 시간정보를 송신해서 상대차량의 CPU에 있어서 동기의 어긋남을 자동수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2대의 차량에 있어서의 모의 엔진음의 재생방법으로서는, 쌍방의 차량이 모의 엔진음의 1주기의 절반(즉, 전반부와 후반부)의 발음을 각각 담당하도록 해도좋다. 예를 들면, 모의 엔진음으로서 도4에 나타내어지는 악곡(멜로디)을 재생할 경우, 1주기에 대응하는 발음기간(M)(도4에서는 2소절)을 2개로 분할하고, A차량이 전반부, B차량이 후반부를 각각 교대로 발음하도록 해도 좋다. 재생되는 악곡이 복수의 파트를 갖는 경우(즉, polyphonic sound인 경우), 차량마다 다른 파트를 재생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A차량은 멜로디 파트의 재생을 실행하고, B차량은 반주파트의 재생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도5에 나타내듯이, 같은 발음기간(M)의 악곡(멜로디)을 2대의 차량(A차량 및 B차량)이 서로 일정 기간(예를 들면, 모의 엔진음에 상당하는 악곡의 1소절) 재생시간을 어긋나게 해서 윤창형식과 같이 발음하도록 해도 좋다. 즉, A차량의 재생이 악곡의 2소절째에 진입한 시점에서, B차량이 그 1소절째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동시에 3대이상의 차량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부 사이의 링크를 확립할 경우, 이들 차량 사이에서 모의 엔진음을 서로 동기재생하도록 해도 좋다.
복수의 차량에 탑재된 음원에 같은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들 차량 사이에서 모의 엔진음을 동기재생시킬 수 없으므로, 모든차량에서 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의 음량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슬레이브로 된 차량에서 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의 음량을 저하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복수의 차량에 탑재된 음원에 같은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황하에 있어서도, 각 차량의 기억부에 같은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각 차량의 근거리 무선통신부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의 인덱스 등의 정보를 교신하고, 이로써, 각 차량의 음원에 대해서 같은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가 설정되도록 해도 좋다. 각 차량의 기억부에 같은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각 차량의 근거리 무선통신부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자체를 교신하고, 이로써, 각 차량의 음원에 대해서 같은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를 자동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를 이용해서 각 차량에 있어서의 모의 엔진음의 재생제어를 행하도록 했지만, 본 발명을 제1실시예에 따른 모의 엔진음 제어방식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차량에 마이크로폰을 탑재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다른 차량에서 재생되고 있는 모의 엔진음을 수록하고, 그 수록음에 따라(예를 들면, 주기를 검출하거나 해서) 자차량에서 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2실시예에 따른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구성은 도1에 나타낸 구성과 같지만, CPU(3)에서 실행되는 처리내용이 제1실시예와는 다르다. 도6은 제2실시예에 따른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11)를 탑재한 차량 및 교통로(도로)의 소정 장소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0)로 이루어지는 차량운행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0)는 모의 엔진음의 재생제어를 행하고 싶은 장소, 즉, 도로의 요소(예를 들면, 철로의 건널목이나 학교 근방 등)나 소리를 반향하고 싶은 장소(예를 들면, 터널이나 지하 주차장 등)에 있어서 설치된다. 또,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0)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규격의 무선통신기를 내장하고, 통상, 작은 전력으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신하고 잇다.
도7에 있어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11)를 탑재한 차량이 소정 장소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장소에 있을 경우, CPU(3)는 도6에 나타내는 단계Sb1, Sb2 및 Sb3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는 도3에 나타낸 단계Sb1, Sb2 및 Sb3의 처리와 같다. 단계Sb3에 있어서 차량의 전동기가 정지되어 있지 않다라고 판정된 경우(즉, 차량이 주행중이다라고 판정된 경우), 플로는 단계Sb4로 진행하고, CPU(3)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판정결과가 「NO」인 경우, 플로는 단계Sb2로 되돌아가고, 그 이후, CPU(3)는 상기의 단계Sb2, Sb3, 및 Sb4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 후, 단계Sb3에 있어서 차량의 전동기의 정지가 검출된 경우, 플로는 단계Sb6으로 진행하고, 모의 엔진음의 발음재생을 정지한다.
다음에, 차량이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0)에 대해서 일정 거리이내에 근접하면, 차량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부(1)(도1참조)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해서, CPU(3)로 보낸다. 제어신호의 수신을 받아서 도6에 나타내는 단계Sb4의 판정결과가 「YES」로 되고, 플로는 단계Sb5로 진행한다. 단계Sb5에 의해, CPU(3)는 모의 엔진음의 재생음량을 저하하는 지시를 음원(5)으로 출력한다. 음원(5)은 이 지시를 받아서 모의 엔진음 신호의 음량레벨을 저하시킨다.
차량이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0)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떨어지면, 차량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부(1)에 있어서 제어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단계Sb4의 판정결과가 「NO」로 되고, CPU(3)는 음원(5)으로의 음량저하 지시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 이후, 차량에서 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의 음량이 통상의 음량으로 되돌아온다.
또,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0)로부터 송신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하는 파라미터는 모의 엔진음의 음량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차량에서 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의 음색, 템포, 음고(pitch) 등을 적절히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제2실시예에 의하면, 모의 엔진음의 재생을 제어해야할 장소에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0)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에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탑재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것에 의해, GPS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장소의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취득해서 차량에서 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의 자동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여러가지 기술적 특징 및 효과가 잇으며 이하에 이들을 열거한다.
(1)본 발명에 따른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설치하고,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모의 엔진음을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상기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차량에서 발생되는 모의 엔진음을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다.
(2)근거리 무선통신부는, 교통로(도로) 등의 특정 장소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로써, 모의 엔진음을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차량은 모의 엔진음이 외부로부터 강제적으로 제어된 것을 검지하고, 이로써, 그 모의 엔진음을 제어해야할 장소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특정 장소(철로의 건널목이나 학교 근방 등)에 있어서 확실하게 모의 엔진음을 제어할 수 있다.
(3)또, 복수의 차량에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하고, 또한, 양 차량이 접근한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부에 의해 다른 차량으로부터의 제어신호(또는 링크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차량이 접근했을 때, 양 차량의 관계(슬레이브·마스터 관계)에 따라 적절히 모의 엔진음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4)상기에 있어서, 자차량에 탑재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다른 차량에 탑재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의 근거리 무선통신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다른 차량에서 발음되는 모의 엔진음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자차량에서 발음되는 모의 엔진음을 다른 차량에서 발음되는 모의 엔진음과 자동적으로 동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근한 복수의 차량 사이에 있어서도, 서로 청각상 기분좋은 모의 엔진음을 발음할 수 있게 된다. 즉, 모의 엔진음 패턴 데이터는, 일정 주기의 음을 반복해서 발음시키는 것이며, 접근한 복수의 차량에서 발음되는 모의 엔진음이 서로 동기하고 있지 않으면, 운전자(또는, 탑승자)에게는 모의 엔진음을 듣는 기분이 악화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차량에서 발음재생되는 모의 엔진음 사이에서의 동기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모의 엔진음은 실제의 가솔린차가 발생하는 엔진음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소정의 악곡(또는, 멜로디)에 따른 음악적인 음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차량에서 발음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이 서로 동기하고 있지 않으면, 청각상의 불쾌감이 증대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모의 엔진음 사이의 동기제어는 유효하게 작용하게 된다.
(5)또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차량으로 구성되는 차량운행 시스템에서는, 자차량에서 발음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이 다른 차량에서 발음재생되는 모의 엔진음에 따라 자동제어되므로, 자차량의 운전자는 다른 차량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다라는 효과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발명의 범위내의 설계변경·개조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2)

  1. 차량에 탑재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에 있어서,
    모의 엔진음을 재생해서 발음하는 모의 엔진음 발생수단;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의 엔진음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은, 특정의 장소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은, 다른 차량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수산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다른 차량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에서 재생발음되는 모의 엔진음과 다른 차량해서 재생해서 발음되는 모의 엔진음을 동기하도록 동기신호를 다른 차량에 발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다른 차량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에서 재생발음되는 모의 엔진음을 다른 차량에서 재생해서 발음되는 모의 엔진음과 자동적으로 동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방식에 의해 무선통신을 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엔진음을 소정 주기로 반복해서 발생하는 엔진음 패턴으로 설정한 경우, 복수의 차량에서 재생해서 발음되는 모의 엔진음을 특정 시간마다, 또는, 특정 시간 재생개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해서 서로 상기 모의 엔진음을 재생발음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의 엔진음의 음량, 음색, 및 음고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9.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1개이상의 차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엔진음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그 음량을 자동조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시스템.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차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 사이의 제어신호의 교신에 의해, 각 차량에서 재생해서 발음되는 모의 엔진음을 다른 차량에서 재생발음되는 모의 엔진음과 자동적으로 동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시스템.
KR20040038403A 2003-05-30 2004-05-28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차량운행 시스템 KR100620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55845A JP3966227B2 (ja) 2003-05-30 2003-05-30 模擬エンジン音発生装置および車両運行システム
JPJP-P-2003-00155845 2003-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430A true KR20040103430A (ko) 2004-12-08
KR100620839B1 KR100620839B1 (ko) 2006-09-14

Family

ID=3405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8403A KR100620839B1 (ko) 2003-05-30 2004-05-28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차량운행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66227B2 (ko)
KR (1) KR100620839B1 (ko)
TW (1) TWI25524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9018B2 (en) 2010-09-29 2014-03-11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sound source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a fuel cell stack
EP2866225A2 (en) 2013-10-25 2015-04-29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engine sound in response to auto-cruise speed sett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7997A1 (ja) * 2005-01-19 2006-07-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車両の警報装置
JP4548173B2 (ja) * 2005-03-24 2010-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警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JP4529701B2 (ja) * 2005-01-19 2010-08-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警報装置
JP2006213283A (ja) * 2005-02-07 2006-08-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警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2009040317A (ja) * 2007-08-10 2009-02-26 Toyota Motor Corp 車両接近告知装置
KR101161613B1 (ko) * 2009-03-31 2012-07-03 이정용 전기자동차의 주행모드 제어방법
JP5299308B2 (ja) * 2010-02-09 2013-09-25 株式会社デンソー 擬似走行音発生装置および擬似走行音発生システム
EP2540600B1 (en) * 2010-02-23 2020-07-01 Honda Motor Co., Ltd. Vehicle approach notification device of saddle-ridden electric-powered vehicle
DE102011111422A1 (de) * 2011-08-23 2013-02-28 Audi Ag Multifunktionsband für ein Kraftfahrzeug
KR101427624B1 (ko) * 2012-12-20 2014-08-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6222001B2 (ja) * 2014-02-19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1592750B1 (ko) * 2014-08-13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상 엔진음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69728B1 (ko) 2014-10-30 2016-10-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CN110901562B (zh) * 2019-10-11 2021-11-23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噪音遮蔽方法及系统
US11858418B2 (en) * 2020-12-10 2024-01-02 CRAFTS & MEISTER CO., Ltd System for generating pseudo driving soun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1100A (ja) * 1991-01-25 1992-08-28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間通信を利用した走行支援装置
JP3923292B2 (ja) * 2000-10-03 2007-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車間通信装置
JP3566646B2 (ja) * 2000-10-31 2004-09-15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音楽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
JP2002141860A (ja) * 2000-11-02 2002-05-17 Denso Corp 狭域無線用自動車搭載通信装置
JP2002233001A (ja) * 2001-01-31 2002-08-16 Fujitsu Ten Ltd 擬似エンジン音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9018B2 (en) 2010-09-29 2014-03-11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sound source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a fuel cell stack
US8859159B2 (en) 2010-09-29 2014-10-1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sound source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a fuel cell stack
EP2866225A2 (en) 2013-10-25 2015-04-29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engine sound in response to auto-cruise speed set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57487A (ja) 2004-12-16
TW200503908A (en) 2005-02-01
KR100620839B1 (ko) 2006-09-14
JP3966227B2 (ja) 2007-08-29
TWI255243B (en) 2006-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839B1 (ko)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차량운행 시스템
CN102291653B (zh) 车辆存在通知装置
JP4961807B2 (ja) 車載装置、音声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発話速度調整方法
WO2006075606A1 (ja) 音案内装置、音案内方法および音案内プログラム
JP2002233001A (ja) 擬似エンジン音制御装置
JP4387973B2 (ja) エンジン音合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ならびにエンジン音合成方法
JP2013198065A (ja) 音声提示装置
JP2017153083A (ja) 自動車でオーディオ信号を再生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8203338A (ja) 楽音発生装置及び楽音発生方法
CN103575288A (zh) 语音播报情境的导航方法及其装置
JP2008071058A (ja) 音声再生装置、音声再生方法、プログラム
JP2023126871A (ja) 車両向けの空間インフォテインメントレンダリングシステム
JP200601050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76981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fferentiated voice output
JP3465734B2 (ja) 音声信号変形接続方法
JPH0549998B2 (ko)
JP2001337690A (ja)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並びに記憶媒体
WO2002097372A1 (fr) Appareil de soutien aux operations
JPH1021049A (ja) 音声合成装置
JP5781233B2 (ja) 車両接近報知音発生装置
JP4760249B2 (ja) スピーカアレイ装置
JP2001157300A (ja) 移動体仮想音響空間形成装置
JP406779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JP4468716B2 (ja) 音声データ出力制御装置
JPH11224095A (ja) 音声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