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107A -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이 있는 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이 있는 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107A
KR20040102107A KR10-2004-7016507A KR20047016507A KR20040102107A KR 20040102107 A KR20040102107 A KR 20040102107A KR 20047016507 A KR20047016507 A KR 20047016507A KR 20040102107 A KR20040102107 A KR 20040102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hrink
yarn
pleat
shr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스마크로드비크
Original Assignee
루드빅 스벤손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드빅 스벤손 비.브이. filed Critical 루드빅 스벤손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4010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10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 Y10T428/24669Aligned or parallel nonplanarities
    • Y10T428/24686Pleats or otherwise parallel adjacent 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구 주름을 하나 이상 구비하도록 고안된 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주름 형성 구간(6) 중에서 한 방향으로 수축재를 고정시켜, 처리 결과 상기 방향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수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이 있는 천 및 이의 제조 방법{CLO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LOTH WITH AT LEAST ONE PERMANENT FOLD}
본 발명은 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영구 주름을 하나 이상 갖도록 고안된 천에 관한 것이다.
일부 경우에 천에는 하나 또는 수 개의 주름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필요하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지그재그형의 주름이 있는 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천을 편평하게 짜고, 나중에만 주름을 형성한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천을 짠 경우에는, 예를 들어 열처리하여 영구 주름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항상 괜찮은 주름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주름이 빈번하게 펴졌다 닫혔다 하는 경우에는 주름이 너무 빨리 손상된다.
본 발명은 단순하면서도 신속한 방법으로 천에 영구 주름을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는 천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천 내 적어도 하나의 주름 형성 구간(folding zone) 중에서 한 방향으로 수축재를 고정시켜, 처리 결과 상기 방향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수축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실현된다.
Unitika Ltd.의 이름으로 등록되고, 1997년 1월 28일에 공개된 일본 특허 제09-023967호에 따라, 삶은 후에 수축하는 수축가능한 실로 짠 리본이 알려져 있다. 이 수축가능한 실은 리본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국부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리본을 커튼에 꿰매고, 커튼을 물에 넣고 삶는다. 수축사가 수축함에 따라, 리본 내에 루프가 형성되어 커튼 후크를 형성한다.
이 천은 직물, 예컨대 거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름 형성 구간 내 수축재는 날실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름 형성 구간도 날실 방향을 향하게 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수축재는 바람직하게는 주름 형성 구간 내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제공되는, 예컨대 직물 내에 결합된 하나의 수축사를 보유한다.
상기 주름 형성 구간 내에서 하나 또는 수 개의 주름 형성용 실을 천 중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구 주름이 하나 이상 있는 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주름에 수직인 방향으로 처리하여 수축시킬 수 있는 상기 구체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천, 즉 모든 주름 형성 구간에 수축재를 함유하는 천, 다시 말하면 주름을 형성하고자 하는 천을 기재로 하고, 상기 천에 상기 언급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날실 방향으로 수축재가 구비되어 있는 직조 천 또는 편성 천을 기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축재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날실 방향으로 짜진 모든 주름을 위한 하나 이상의 수축사를 포함하는 천을 기재로 할 수 있다.
수축재가 구비된, 예컨대 수축사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모든 주름 형성 구간 내에 주름 형성용 실을 하나 이상 보유할 수 있는 천을 기재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이 있는 천과 이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하기 구체예들이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실시예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주름이 있는 천의 개략적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F3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면들에 제시된 천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 직물 재료 조각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도 3과 유사한 직물 재료 조각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들을 참조한 것이다.
도 1 및 2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힌 방충망(1)의 쇠그물(wire gauze) 조각을 나타내며, 서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위치한 영구 주름(2)은 다음 방법으로 얻는다:
날실(5)과 결합된 씨실(4)로부터 통상적인 방식으로 짜진 천(3), 이 경우에는 더욱 정밀하게 짜진 거즈를 기재로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2)을 형성하고자 하는 주름 형성 구간(6)에서, 파상의 날실 방법에 따라 직조한 수축사(8)에 의해 날실로서 주름 형성용 실(7)을 직조한다.
용어 "실(또는 사(絲))"은 광범위한 의미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단필라멘트뿐 아니라 방사(yarn) 또는 이의 혼합물도 의미하는 것이다. 방사는 텍스쳐화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방적사 또는 필라멘트사이고, 심지어 탄성사일 수 있다. 실은 천연 재료뿐 아니라 합성 재료 또는 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날실과 씨실을 다른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수축사(8)는 열, 기계/열, 초음파, 고주파수 또는 다른 적절한 처리 하에 영구적인 세로 수축, 바람직하게는 최소 5%의 수축을 나타내는 실이다.
이 수축사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나 또는 수 개의 합성 섬유로 구성된 방적사, 하나 또는 수 개의 합성 필라멘트로 구성된 연속 필라멘트사, 하나 또는 수 개의 합성 기재로 구성된 단필라멘트 또는 탄성사나 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조된 그 자체의 상기 수축사(8)는 지그재그 형태의 중간의 한 면 상에서 주름 형성 구간(즉, 주름이 생기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한 면에서 수축사(8)에 의해 둘러싸인 주름 형성용 실(7) 위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날실 방향으로 연정된다. 수축하는 경우에, 수축사(8)는 주름 형성 구간(6)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주로 수축하여 주름(2)을 형성한다.
상기 언급한 "실" 재료로 형성된 상기 주름 형성용 실(7)은 주름의 형성을 보강 또는 지원하며, 바람직하게는 날실(5)보다 직경이 더 크다. 이러한 주름 형성용 실(7)은 보통 날실(5)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주름 형성용 실(7)이 제공되는 경우에 날실(5)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천(3)을 처리하여 수축사(8)를 수축시켰다. 수축 결과, 씨실(4)의 일부가 상기 주름 형성용 실(7)의 한면 위에서 서로를 향해 인발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실(4)이 접히는 것은 분명하다. 수축은 비가역적이다. 즉 형성된 주름(2)이 영구적임을 나타낸다.
천(3)의 한면 또는 다른 면을 향한 씨실(4)의 접힘은 수축사(8)가 직조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주어진 구체예에서, 주름 형성용 실(7)에 걸쳐 수축사(8)가 구비되어 있고, 주름(2)의 방향은 씨실(4)과 수축사(8)에 따라 상기 주름 형성용 실(7)이 어느 측면에 위치하는 지에 따라 달라진다.
방충망(1)의 쇠그물에서, 연속 주름(2)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수축사(8)를 천(3)의 어느 한 면 상에서 주름 형성용 실(7)에 걸쳐 교대로 직조하여, 천(3)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주름이 생기도록 한다.
수축사(8)의 수축 범위와 지그재그 이동 크기는 주름(2)의 개구, 다시 말하면, 주름 형성용 실(7) 다음에 위치하는 씨실(4)의 일부가 서로를 향해 얼마나 강하게 인발되는지, 그리고 이에 따라 자유롭게 분기되는 경우 인접하는 부분 사이의 각 A의 크기를 결정한다.
주름(2)을 함께 압박하여 연속 주름 형성용 실(7) 사이에 위치한 방충망(1)의 쇠그물의 일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언급한 각 A를 거의 0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직조하는 대신에 직조 후에 수축사(8)를 꿰매거나, 또는 다른 고정 기법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주름 형성용 실(7)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수축사(8)에 대해 언급한 바와 같이 처리할 때 십자형으로 수축하고, 바람직하게는 직조 후에 꿰매기, 아교를 이용한 부착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다른 고정 방법에 의해 천(3)에 고정되는 수축 스트림을 수축사(8) 대신에 사용한다.
변형예에 따르면, 모든 주름 형성 구간(6)에서 하나 이상의 주름 형성용 실(7)를 갖는 천(3)을 기재로 한다. 도 5는 서로 인접하여 직조한 3개의 주름 형성용 실(7)를 갖는 천(3)을 나타낸다. 수축사(8)는 중앙의 주름 형성용 실(7) 위에서만 직조되지만, 다른 변형예에 따라서 수축사(8)를 3개의 주름 형성용 실(7) 위에서 직조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주름 형성 구간(6) 내 하나 이상의 주름 형성용 실(7)이 있을 수도 있지만, 어디에도 주름 형성용 실(7)이 없을 수도 있다. 이 주름 형성용 실(7)의 기능은, 예컨대 보통 날실(5)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천(3)을 기재로 한다. 주름이 형성되는 모든 주름 형성 구간(6)에서, 대향한 지그재그 방식으로 2개의 수축사(8)를 주름 형성용 실(7) 위에서 직조한다는 점에서, 도 6의 천(3)은 도 4의 천(3)과는다르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천(3)을 기재로 한다. 이 천(3)은 2개의 수축사(8)가 상이한 방식으로 직조된다는 점에서 도 6에 도시된 천(3)과는 다르다. 실제로, 이들 수축사(8)는 주름 형성용 실(7) 다음에 위치한 날실(5) 주변에서 씨실(4)로 결합되어 있다.
수축사(8)를 수축시키는 처리를 가하여 상기 개시된 방식으로, 천(3)의 상기 개시된 변형예에 따라 영구 주름(2)을 갖는 천(3)을 얻는다.
상기 개시된 모든 구체예들에서, 날실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요성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는 형태를 유지하는 주름(2)을 갖는 방충망의 쇠그물을 얻는다.
천(3)은 반드시 거즈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날실(5)과 씨실(4) 사이에서 임의로 직조된, 임의의 다른 직물일 수 있다. 천(3)은 직물일 필요는 없다. 편물이거나 부직물일 수도 있다. 부직물의 경우, 수축사(8) 및 가능한 주름 형성용 실(7)은 부직물이 제조된 후에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주름(2)이 구비된 천(3)은 방충망(1)의 쇠그물일 필요는 없다. 햇빛차단막, 커튼, 포장재, 캐리어백, 소형 서류가방 또는 그 일부, 여행가방의 안감, 여과용 천, 사실상 하나 또는 수 개의 영구 주름이 구비된 직물로 제조된 임의의 물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에 제시된 상기 개시된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을 갖는 천과 그러한 천의 제조 방법은 모든 종류의 변형예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Claims (19)

  1. 영구 주름을 하나 이상 구비하도록 고안된 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주름 형성 구간(6) 중에서 한 방향으로 수축재(8)를 고정시켜, 처리 결과 상기 방향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수축재(8)를 수축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천.
  2.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인 것이 특징인 천.
  3. 제2항에 있어서, 주름 형성 구간(6) 내에 수축재(8)가 날실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천.
  4. 제1항에 있어서, 편물인 것이 특징인 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축재가 주름 형성 구간(6)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수축사(8)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천.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수축사(8)가 직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천.
  7.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파상(staggering) 날실 방법에 따라 수축사(8)가 직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름 형성용 실(7)이 주름 형성 구간(6)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천.
  9. 제3항, 제5항 및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언급한 주름 형성 구간(6)에서 하나 또는 수 개의 주름 형성용 실(7)이 날실 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들 주름 형성용 실(7) 중 하나 이상의 실 위에서 수축사(8)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천.
  10. 천(3)에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2)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천(3)을 기재로 한 것이 특징인 방법.
  11. 천(3)에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2)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모든 주름 형성 구간(6), 즉 주름(2)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주름(2)에 대한 대각선 방향으로 처리에 의해 수축시킬 수 있는 수축재(8)를 포함하는 천(3)을 기재로 하고, 상기 천(3)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직조 천(3)을 기재로 한 것이 특징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축재(8)가 날실(5) 방향으로 구비된 천(3)을 기재로 한 것이 특징인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모든 주름 형성 구간(6)에서 수축재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축사(8)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축재(8)가 구비되어 있는 모든 주름 형성 구간(6) 내의 하나 이상의 주름 형성용 실(7)을 갖는 천(3)을 기재로 한 것이 특징인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거즈를 형성하는 천(3)을 기재로 한 것이 특징인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서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위치한 수 개의 주름 형성 구간(6)을 갖는 천(3)을 기재로 하고, 이들 주름 형성 구간(6) 내의 수축재(8)의 수축을 유발하는 처리를 한 결과 지그재그 방식으로 주름진 천이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방충망의 쇠그물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천(3)을 열, 기계/열, 초음파 또는 고주파수 처리하여 수축재(8)를 수축시키는 것이 특징인 방법.
KR10-2004-7016507A 2002-04-18 2003-04-16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이 있는 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01021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02/0267A BE1014784A3 (nl) 2002-04-18 2002-04-18 Doek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oek met minstens een permanente vouw.
BE2002/0267 2002-04-18
PCT/BE2003/000066 WO2003087449A1 (en) 2002-04-18 2003-04-16 Clo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loth with at least one permanent fo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107A true KR20040102107A (ko) 2004-12-03

Family

ID=2922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507A KR20040102107A (ko) 2002-04-18 2003-04-16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이 있는 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50229368A1 (ko)
EP (1) EP1495172B1 (ko)
JP (1) JP2005522595A (ko)
KR (1) KR20040102107A (ko)
CN (1) CN1646749A (ko)
AT (1) ATE362006T1 (ko)
AU (1) AU2003221644A1 (ko)
BE (1) BE1014784A3 (ko)
BR (1) BR0308883A (ko)
CA (1) CA2481418A1 (ko)
DE (1) DE60313764D1 (ko)
EC (1) ECSP045435A (ko)
MX (1) MXPA04010264A (ko)
RU (1) RU2308557C2 (ko)
WO (1) WO2003087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5508A3 (nl) * 2003-05-08 2005-05-03 Svensson Ludvig Bv Doek bestemd om voorzien te worden van minstens een permanente vouw en werkwijze daarbij toegepast.
US10368606B2 (en) * 2014-04-15 2019-08-06 Nike, Inc. Resilient knitted component with wave features
CN106012190A (zh) * 2016-07-18 2016-10-12 无锡盛纤特邦工业材料有限公司 防虫、防雾霾纱网及其生产方法
IT201700004581A1 (it) * 2017-01-17 2018-07-17 Miles S P A Metodo di realizzazione di un manufatto tessile, in particolare un accessorio di abbigliamento, contenente filato termoretraibile e relativo accessorio di abbigliamento
WO2019116792A1 (ja) * 2017-12-15 2019-06-20 東レ株式会社 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34223A (fr) * 1903-07-29 1903-12-15 Deflandre Soc Nouveau tissu plissé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US2189370A (en) * 1938-09-12 1940-02-06 Shiranezawa Kosuke Woven fabrics
US2627644A (en) * 1950-06-24 1953-02-10 Us Rubber Co Single-ply corrugat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851192A (en) * 1957-08-14 1960-10-12 Us Rubber Co Improvements in textile fabrics
US3071165A (en) * 1957-08-14 1963-01-01 Us Rubber Co Shrinkable fabric
US3491802A (en) * 1967-01-10 1970-01-27 Johnson & Johnson Open mesh woven fibrous absorbent media
US3476870A (en) * 1968-01-29 1969-11-04 Southern Weaving Co Resilient foldable woven electrical cable and method
US3822727A (en) * 1972-08-07 1974-07-09 K Small Fabric weave
JPS5551871A (en) * 1978-10-02 1980-04-15 Toyohiro Koshizaki Creased line forming method of fabric
JPH08226045A (ja) * 1995-02-21 1996-09-03 Nippon Waido Cloth Kk 立体構造布
JP3049058B1 (ja) * 1998-12-28 2000-06-05 株式会社オンワード樫山 衣服の布地に凹凸を形成する方法
JP3323829B2 (ja) * 1999-04-27 2002-09-09 セイキ販売株式会社 網戸用防虫ネット
NL1015812C2 (nl) * 2000-07-26 2002-01-29 Leen Huisman B V Schermdoek, productieproces daarvoor en scherminrichting.
US6725885B2 (en) * 2001-05-22 2004-04-27 North Sails Group, Llc Sailclo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5172A1 (en) 2005-01-12
MXPA04010264A (es) 2005-07-05
RU2308557C2 (ru) 2007-10-20
RU2004133674A (ru) 2005-05-27
JP2005522595A (ja) 2005-07-28
BE1014784A3 (nl) 2004-04-06
CA2481418A1 (en) 2003-10-23
BR0308883A (pt) 2005-01-11
AU2003221644A1 (en) 2003-10-27
DE60313764D1 (de) 2007-06-21
WO2003087449A1 (en) 2003-10-23
ECSP045435A (es) 2005-01-28
CN1646749A (zh) 2005-07-27
EP1495172B1 (en) 2007-05-09
ATE362006T1 (de) 2007-06-15
US20050229368A1 (en)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8974B1 (en) Woven fabric using three dimensional and flat weave in combination, related methods and filter element
KR100963546B1 (ko)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을 구비하도록 설계된 천 및 이것의제조 방법
EP1403414A2 (en) Hanging fabric panels with integrated stiffened areas
KR20040102107A (ko) 하나 이상의 영구 주름이 있는 천 및 이의 제조 방법
US3822727A (en) Fabric weave
US3286739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textile fabric for pocket materials having no stitched seam
JP2016191163A (ja) 衣類
JP3639639B2 (ja) カーテンの芯地基材
JP5220798B2 (ja) メッシュ織物
KR200222924Y1 (ko) 주름직물
JP3090962U (ja) プリーツカーテン
JPH02258249A (ja) 多層縮み加工布
JP3579342B2 (ja) 網戸用防虫ネット
JP4692796B2 (ja) 経編カーテン
JPH0238889Y2 (ko)
JP3386448B2 (ja) カーテンの上縁部分にひだを形成するカーテン用のひだ形成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カーテン
JP3051900U (ja) リボン糸を織り込んだ織物
JPH07265194A (ja) プリーツスクリーン生地
JPH0460581U (ko)
JPH09191997A (ja) カーテンの芯
JP2002177132A (ja) 縁取カーテン
JPH08170208A (ja) 袋 帯
JPH04222274A (ja) 二重織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H04135987U (ja) カーテン用布帛
JPS6081305A (ja) 腰裏ベルト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