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484A - 휴대 단말 기기 및 그 휴대 단말 기기를 이용한 통신 기기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기기 및 그 휴대 단말 기기를 이용한 통신 기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484A
KR20040093484A KR10-2004-7015315A KR20047015315A KR20040093484A KR 20040093484 A KR20040093484 A KR 20040093484A KR 20047015315 A KR20047015315 A KR 20047015315A KR 20040093484 A KR20040093484 A KR 20040093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incoming
memory
conditi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697B1 (ko
Inventor
쯔요시 에가미
노부아끼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텔레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텔레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5Call privacy arrangements, e.g. timely inhibiting the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Abstract

휴대 단말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6)와, 전파를 착신한 것을 알리는 착신 통지부(50)와, 안테나(6)와 착신 통지부(50) 사이에 설치되고, 착신 통지부(50)를 작동시키는 제어 회로(3)와, 메모리(4)를 설치하고 있다. 메모리(4)에는 제어 회로(3)를 통해, 착신 거부 조건 또는 착신 통지 조건을 저장 가능하다. 제어 회로(3) 내에는 현재의 일시, 및 안테나(6)가 수신한 착신 요구 신호로부터 얻어진 자기 위치 정보, 발신자 정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메모리(4) 내에 저장된 착신 거부 조건 또는 착신 통지 조건과 합치하는지를 검지하는 비교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3)는 합치한 경우에는 소정의 착신 거부 수단 또는 착신 통지 수단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춘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기기 및 그 휴대 단말 기기를 이용한 통신 기기 시스템{MOBIL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DEVICE}
이하, 휴대 단말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를 예시한다. 도 4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그 내부 블록도이다. 이는 2개의 캐비닛 반체(半體)(10)(10a)를 힌지(11) 접속하여 구성되는 캐비닛(1)을 구비하고, 한쪽의 캐비닛 반체(10) 상에는 안테나(6), 음성을 집중시키는 마이크(9) 및 복수의 조작 버튼(20)(20)이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캐비닛 반체(10a) 상에는 LCD인 표시부(5), 통화 상대의 소리가 흐르는 스피커(9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7)으로부터의 신호는 안테나(6) 및 듀플렉서(60)를 통해서 수신부(61)에서 수신되어, 타이머 기능을 갖는 제어 회로(3)에 보내진다. 여기서, 듀플렉서(60)는, 안테나 공용기라고도 하며,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1개의 안테나(6)로 교환하는 데 이용되는 디바이스이다.
제어 회로(3)에는 착신을 알리는 링거, 바이브레이터인 착신 통지부(50), 동작 프로그램이나 착신 시에 발하는 멜로디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4), 상기와 같이 LCD이며 통신 상태 등을 나타내는 표시부(5), 상기 조작 버튼(20)(20)을 포함하는 조작부(2), 마이크(9), 스피커(90)가 접속되어 있다.
착신 시에는 착신 통지부(50)가 착신을 알린다. 상대의 음성은 스피커(90)로부터 흘러,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9)에 모아져서, 송신부(62)로부터 듀플렉서(60)를 통해 안테나(6)로부터 송신된다. 이 때, 통신 상태 등이 표시부(5)에 표시된다.
최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자기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2000-241964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평11-64482호 참조). 여기서, GPS의 원리를 도 6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의 GPS용 안테나(8)는 미리 지구에 대한 위치를 알고 있는 4개의 인공 위성 V1, V2, V3, V4로부터 C/A 코드라 부르는 신호를 얻는다. 상기 C/A 코드는 휴대 전화기로부터도 발생하고 있으며, 휴대 전화기로부터 발한 C/A 코드와 인공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C/A 코드와의 시간 차를 측정하고, 이에 전파 전파 속도를 곱하면, 각 인공 위성으로부터 GPS용 안테나(8)까지의 거리가 구해진다. 각 인공 위성의 위치, 및 인공 위성으로부터 GPS용 안테나(8)까지의 거리로부터, 구(지구는 구체이기 때문에)의 방정식의 해로서, GPS용 안테나(8)의 지구 상의 위치 및 높이가 구해진다.
그러나, 상기 휴대 전화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휴대 전화기에서는 이용자의 급증에 따라, 공공의 장소에서는 그 사용의 방법이 문제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병원 내에서는 휴대 전화기의 전파가 의료 전자 기기의 오동작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도서관이나 미술관에서는 정숙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착신음을 울리면, 주위에 폐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사용을 제한하고자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사용자의 매너에 맡기고 있는 것이 실상이다. 특히 착신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착신 전파가 도달한 범위 내에 있으면, 전원을 끄지 않는 한, 착신을 차단할 수는 없다. 그러나, 사용자가 장소를 이동할 때마다, 전원을 통전/차단하는 것은 번거로워 수고를 해야 한다.
출원인은 상기와 같이 자기의 위치를 아는 휴대 단말 기기가 보급되어 있는 점에 감안하여, 미리 통화하지 말아야 할 에리어를 지정하고, GPS 등을 이용하여 검색한 자기의 위치가 해당 에리어 내에서 있을 때는 휴대 전화기가 착신을 자동적으로 거부하는 것을 착상하였다. 또한, 착신에 대해서는 에리어뿐만 아니라, 발신자나 시간을 특정하여, 해당 발신자 및 해당 시간 내의 착신을 거부하는 것도 착상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자기 위치, 특정한 시간에서의 착신, 및 특정한 발신자로부터의 착신을 자동적으로 거부하여, 전원을 통전/차단하는 수고를 줄이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휴대 단말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6)와, 전파를 착신한 것을 알리는 착신 통지부(50)와, 안테나(6)와 착신 통지부(50) 사이에 설치되고, 착신 통지부(50)를 작동시키는 제어 회로(3)와, 메모리(4)를 설치하고 있다. 메모리(4)에는 제어 회로(3)를 통해, 착신 거부 조건 또는 착신 통지 조건을 저장 가능하다.
제어 회로(3) 내에는 현재의 일시, 자기 위치 정보, 발신자 정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메모리(4) 내에 저장된 착신 거부 조건 또는 착신 통지 조건과 합치하는지를 검지하는 비교 수단이 설치되고, 제어 회로(3)는 합치한 경우에는 소정의 착신 거부 수단 또는 착신 통지 수단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은 GPS에 의한 위치 검색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 PDA 등의 휴대 단말 기기, 및 그 휴대 단말 기기를 이용한 통신 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내부 블록도.
도 2는 본예의 착신 거부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예의 발신 거부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내부 블록도.
도 6은 GPS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례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내부 블록도이고, 전체의 외관 형상은 도 4에 도시하는 종래의 것에 대략 동일하다. 본 예에서는 자기 위치 등이 미리설정된 조건에 적합할 때에는 자동적으로 착신을 거부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7)으로부터의 신호는 안테나(6) 및 듀플렉서(60)를 통해 수신부(61)에서 수신되어, 신호 처리 회로(63)에 보내진다. 신호 처리 회로(63)에서, 음성 신호 처리가 이루어지며, 또한 휴대 전화기의 위치(자기 위치)가 검출되어, 제어 회로(3)에 보내진다. 이 자기 위치는 휴대 전화기가 어느 기지국(7)의 전파 도달 범위 내인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할 수도 있지만, 이와 함께 후술하는 GPS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정밀도있게 정해진다.
제어 회로(3)는 타이머 기능을 갖고, 종래와 같이 착신 통지부(50), 메모리(4), 표시부(5), 조작부(2), 마이크(9), 스피커(90)가 접속되어 있다. 표시부(5)에는 제어 회로(3)에 의해서 현재 시각이 표시된다.
휴대 전화기는, GPS용 안테나(8)를 더 구비하고, 인공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GPS용 안테나(8)를 통해, GPS 수신부(80)에서 수신된 후에, 제어 회로(3)에 연결된 GPS 신호 처리 회로(81)에 보내진다. GPS 신호 처리 회로(81)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저주파수 신호로 변환함과 함께, 휴대 전화기의 위치인 자기 위치를 검출한다.
1개의 기지국(7)은 커버하는 범위가 넓기 때문에, 상기한 기지국(7)으로부터의 정보만으로는 휴대 전화기의 위치를 높은 정밀도로 특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옥내나 빌딩 사이에서는 인공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포착할 수 없다. 따라서, 기지국(7)으로부터의 정보와 인공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조합하여, 자기 위치를 정밀도있게 특정하고 있다.
기지국(7)은 휴대 전화기의 네트워크(70)를 통해 지도 서버(71)에 연결된다. 기지국(7)은 휴대 전화기로부터 요구가 있었을 때에는 지도 서버(71)로부터 지도 데이터(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휴대 전화기에 송신한다. 또한, 네트워크(70)와 지도 서버(71)는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되어도 되며, 이 내용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2001-53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착신 거부 설정)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를 조작하여, 미리 자기 위치 등이 특정한 조건에 적합할 때에는 자동적으로 착신을 거부하는 취지를 설정한다. 이것은 조작 버튼(20) 또는 표시부(5) 상의 메뉴를 조작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착신을 거부하는 취지가 선택되어, 제어 회로(3)는 이 취지의 플래그를 세워, 메모리(4) 내에 저장해 둔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착신 거부하여야 할 에리어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7)을 통해 지도 서버(71)에 액세스하여, 착신 거부하고자 하는 에리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휴대 전화기에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 후에, 조작 버튼(20)을 이용하여 표시부(5) 상에 커서를 움직여서, 착신 거부하고자 하는 에리어를 지정한다. 이 에리어는 메모리(4) 내에 저장된다.
에리어 설정 후에는 착신 거부해야 할 일시 또는 시간 범위를 조작 버튼(20)또는 표시부(5) 상의 메뉴로부터 입력하고, 해당 일시 또는 시간 범위는 메모리(4) 내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착신 거부해야 할 발신자의 정보, 예를 들면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조작 버튼(20)으로부터 입력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는 메모리(4) 내에저장된다. 또한, 착신 거부해야 할 에리어, 일시 또는 시간 범위, 발신자 정보 중, 불필요한 것은 물론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입력하는 순서도 마찬가지로 상관없다. 또한, 착신 거부해야 할 에리어, 일시 또는 시간 범위, 발신자 정보를 설정하고 나서, 자동적으로 착신을 거부하는 취지를 설정해도 된다.
(착신 거부 동작)
이하, 본 예의 착신 거부 동작을 도 2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수신부(61)는 안테나(6)를 통해, 기지국(7)으로부터 착신 요구의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회로(3)는 메모리(4)로부터 플래그의 유무를 검출하여, 자기 위치 등이 조건에 해당하면, 자동적으로 착신을 거부하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 자동적으로 착신을 거부하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을 허락하고(S6), 자동적으로 착신을 거부하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으면, GPS 수신부(80)를 작동시켜 인공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는다(S2). 상기한 바와 같이, GPS와 기지국(7)의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정확하게 자기 위치를 특정하고, 제어 회로(3)는 상기 자기 위치가 메모리(4) 내에 설정된 에리어에 포함되는지를 검지한다(S3). 포함되어 있으면 착신 거부하고(S7),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의 일시가 메모리(4) 내에 저장된 일시에 해당하거나, 또는 현재의 시각이 메모리(4) 내의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검지한다(S4).
해당되면 착신 거부하고(S7), 해당되지 않으면, 착신 요구 신호로부터 발신자 정보, 구체적으로는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발신자 정보가 메모리(4) 내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자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검지한다(S5). 해당되면착신 거부하고(S7), 해당되지 않으면, 착신 거부해야 할 어떤 조건에도 해당하지 않는 것이므로, 착신을 허가한다(S6).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미리 메모리(4)에 착신 거부 조건을 저장해 두면, 자기 위치 등이 착신 거부 조건에 해당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착신이 거부되는, 즉 통신이 차단된다. 이 결과, 착신 거부 조건에 해당할 때마다, 전원을 통전/차단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착신 거부 조건으로서, 착신 거부해야 할 에리어, 일시 또는 시간 범위, 발신자 정보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들을 조합하여 착신 거부 조건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특정한 시간 범위에, 특정한 발신자로부터의 착신을 거부하도록, 메모리(4)에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3으로부터 단계 S5까지의 순서는 적절하게 교체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4)에 착신 거부 조건 대신에, 착신 통지 조건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즉, 자기 위치 등이 착신을 통지하는 조건에 합치했을 때는 착신 통지부(5O)(상기한 바와 같이 링거, 바이브레이터 또는 빛에 의한 착신 표시임)가 착신을 알린다.
(발신 거부 동작)
상기한 응용예로서, 기지국(7) 및 GPS 위성로부터 얻은 자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도 거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3은 본 예의 발신 거부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에 통전하여, 송신하지 않는 것으로 할 때에는 제어 회로(3)는 자기 위치 등이조건에 해당하면, 자동적으로 발신을 거부하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0). 자동적으로 발신을 거부하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을 허락하고(S13), 자동적으로 발신을 거부하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으면, GPS 수신부(80)를 작동시켜 인공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는다(S11). 제어 회로(3)는 해당 자기 위치가 메모리(4) 내에 설정된 에리어에 포함되는지를 검지한다(S12). 포함되어 있으면 발신 거부하고(S14),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을 허가한다(S13).
착신일 때와 달리, 발신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자신이 표시부(5)에 나타내는 시간을 확인하면, 발신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발신자 자신이 자기의 발신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발신 거부 조건으로서, 시각이나 발신자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있을 때, 부주의하게 발신하지 말아야 할 에리어에 들어오게 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점을 감안하여, 기지국(7) 및 GPS 위성으로부터 얻은 자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을 거부하고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휴대 단말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도, 본 예의 내용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gpsOne(상표)과 같이, 기지국(7)에 GPS용 안테나를 설치하고, 인공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상기 안테나에 의해 포착하여, 네트워크(70)(도 1 참조)에 연결된 서버가 위치 측정을 행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에 의해 GPS 신호로부터 위치 측정을 행할 필요가 없어서, 인공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포착하는 시간도 짧아진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자기 위치 등이 착신 거부 조건에 해당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착신이 거부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자기 위치 등이 착신 거부 조건에 해당한 경우에만, 휴대 전화기가 매너 모드(착신음을 소거하는 모드)로 설정되어도 된다.
메모리(4) 내에는 착신 거부 조건인 소정의 자기 위치 조건, 일시 정보, 발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 가능하다. 제어 회로(3)는 현재의 일시, 안테나(6)가 수신한 착신 요구 신호로부터 얻어진 자기 위치 정보, 발신자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메모리(4) 내에 저장된 착신 거부 조건과 합치하는지를 검지한다. 만일, 합치하면, 제어 회로(3)는 착신을 거부하여 착신 통지부(5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즉, 메모리(4) 내에 자기 위치 조건으로서 착신음을 울리고 싶지 않은 병원 등의 에리어를 설정해 두고, 휴대 단말 기기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 자신이 그 에리어 내에 있으면, 제어 회로(3)는 안테나(6)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휴대 단말 기기의 위치를 산출하여, 착신을 자동적으로 거부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해당 에리어에 출입할 때마다, 전원을 통전/차단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 기기를 울리고 싶지 않은 일시, 발신자의 전화 번호인 발신자 정보를 메모리(4) 내에 입력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메모리(4) 내에, 착신 통지 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재의 일시, 자기 위치 정보, 발신자 정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메모리(4) 내의 착신 통지 조건과 합치하는지를 검지한다. 합치하면, 제어 회로(3)는 착신 통지부(50)를 작동시킨다.

Claims (6)

  1. 기지국(7)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6)와, 전파를 착신한 것을 알리는 착신 통지부(50)와, 안테나(6)와 착신 통지부(50) 사이에 설치되고, 착신 통지부(50)를 작동시키는 제어 회로(3)와, 메모리(4)를 설치한 휴대 단말 기기로서,
    메모리(4)에는 제어 회로(3)를 통해, 소정의 착신 거부 조건 또는 착신 통지 조건을 저장 가능하고,
    제어 회로(3) 내에는 현재의 일시, 자기 위치 정보, 발신자 정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메모리(4) 내에 저장된 착신 거부 조건 또는 착신 통지 조건과 합치하는지를 검지하는 비교 수단이 설치되고,
    제어 회로(3)는 합치한 경우에는 소정의 착신 거부 수단 또는 착신 통지 수단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착신 거부 조건 및 착신 통지 조건은 자기 위치 조건, 시간 정보, 발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휴대 단말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3)에는 GPS 위성으로부터의 송신 전파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80)가 접속되고, 자기 위치의 정보를 GPS 수신부(80)로부터 얻는 휴대 단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기지국(7)은 지도 정보가 저장된 지도 서버(71)에 연결되고, 메모리(4) 내에 저장되는 자기 위치 조건의 설정에는 지도 서버(71)로부터 입수한 위치 정보 지도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3)는 안테나(6) 또는 GPS 수신부(80)가 수신한 자기 위치 정보가 메모리(4) 내에 저장된 자기 위치 조건과 합치하는지를 검지하고,
    제어 회로(3)는 합치한 경우에는 발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 기기.
  6. 기지국(7)과,
    기지국(7)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6)와, 전파를 착신한 것을 알리는 착신 통지부(50)와, 안테나(6)와 착신 통지부(50) 사이에 설치되고, 착신 통지부(50)를 작동시키는 제어 회로(3)와, 메모리(4)를 설치하고,
    메모리(4)에는 제어 회로(3)를 통해, 소정의 착신 거부 조건 또는 착신 통지 조건을 저장 가능하며,
    제어 회로(3) 내에는 현재의 일시, 자기 위치, 발신자 정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메모리(4) 내에 저장된 착신 거부 조건 또는 착신 통지 조건과 합치하는지를 검지하는 비교 수단이 설치되고,
    제어 회로(3)는 합치한 경우에는, 소정의 착신 거부 수단 또는 착신 통지 수단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기기를 구비한 통신 기기 시스템.
KR1020047015315A 2002-03-27 2003-03-19 휴대 단말 기기 및 그 휴대 단말 기기를 이용한 통신 기기시스템 KR100948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87337 2002-03-27
JP2002087337A JP3999992B2 (ja) 2002-03-27 2002-03-27 携帯端末機器及び該携帯端末機器を用いた通信機器システム
PCT/JP2003/003384 WO2003081929A1 (fr) 2002-03-27 2003-03-19 Terminal mobile et systeme pou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utilisant ce terminal 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484A true KR20040093484A (ko) 2004-11-05
KR100948697B1 KR100948697B1 (ko) 2010-03-22

Family

ID=2844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315A KR100948697B1 (ko) 2002-03-27 2003-03-19 휴대 단말 기기 및 그 휴대 단말 기기를 이용한 통신 기기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83059B2 (ko)
EP (1) EP1496715A4 (ko)
JP (1) JP3999992B2 (ko)
KR (1) KR100948697B1 (ko)
CN (1) CN1643957A (ko)
AU (1) AU2003221133A1 (ko)
WO (1) WO20030819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163B1 (ko) * 2008-03-19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호 차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차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84275C (zh) * 2004-06-22 2008-04-23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移动通信设备及其管理方法
KR20060055183A (ko) * 2004-11-18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날로그 모드로 동작 중인 듀얼 모드 단말기의 콜 종료방법
US20060154674A1 (en) * 2005-01-11 2006-07-13 Agere Systems Incorpora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geographical device setting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130193B2 (en) 2005-03-31 2012-03-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yes-free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through environmental awareness
US20060223547A1 (en) * 2005-03-31 2006-10-05 Microsoft Corporation Environment sensitive notifications for mobile devices
JP4667194B2 (ja) 2005-10-07 2011-04-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規制制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装置、規制制御方法、無線通信端末制御方法
US20080254811A1 (en) * 2007-04-11 2008-10-16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ocations of mobile devices
US8385884B1 (en) * 2007-10-12 2013-02-26 Google Inc. Disruption blocking in mobile devices
US8023963B2 (en) * 2008-01-17 2011-09-20 Garmin Switzerland Gmb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inking communications with location data
JP4517253B2 (ja) * 2008-09-30 2010-08-0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08222B2 (ja) * 2011-10-18 2014-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766847B2 (en) * 2011-11-21 2014-07-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base station antenna, and base station antenna
JP2013143689A (ja) * 2012-01-11 2013-07-22 Nec Commun Syst Ltd 通信端末、通信開始制御方法および通信開始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94951A (ko) * 2013-01-23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호 수신 거절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65638B1 (ko) * 2013-03-12 2020-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방법 및 장치
JP6458901B2 (ja) * 2016-03-18 2019-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動態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36A (ja) 1996-07-26 1998-02-13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着信制御方法
JPH1118159A (ja) * 1997-06-27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ps装置付携帯電話
JPH11154995A (ja) * 1997-11-19 1999-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着信動作制限機能付電話機と電話機の着信動作制限方法
JP2000295661A (ja) 1999-04-07 2000-10-20 Ricoh Co Ltd 携帯電話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の受信制御方法
JP2001005381A (ja) 1999-06-18 2001-01-12 Ntt Docomo Inc 案内地図生成方法及び案内地図生成装置
GB2357218A (en) 1999-12-10 2001-06-13 Inventec Corp Device for incoming phone call notific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JP2001189774A (ja) * 1999-12-28 2001-07-10 Nec Corp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と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及び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333177A (ja) 2000-05-19 2001-11-30 Go Kan 情報通信方法及びその情報通信装置
US6975874B1 (en) * 2000-06-09 2005-1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phone that changes function according to its self-detected geographical position
US6954657B2 (en) 2000-06-30 2005-10-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ntelligent alerting system
JP2002084569A (ja) 2000-09-06 2002-03-22 Sony Corp 通信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912399B2 (en) * 2001-01-22 2005-06-28 Royal Thoughts, Llc Cellular telephone with programmable authorized telephone nu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163B1 (ko) * 2008-03-19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호 차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차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43957A (zh) 2005-07-20
KR100948697B1 (ko) 2010-03-22
JP3999992B2 (ja) 2007-10-31
US20050153747A1 (en) 2005-07-14
EP1496715A4 (en) 2005-06-01
EP1496715A1 (en) 2005-01-12
WO2003081929A1 (fr) 2003-10-02
JP2003284153A (ja) 2003-10-03
AU2003221133A1 (en) 2003-10-08
US7383059B2 (en) 2008-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697B1 (ko) 휴대 단말 기기 및 그 휴대 단말 기기를 이용한 통신 기기시스템
EP1298954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the alert typ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P1162853B1 (en) Portable phone that changes behaviour according to its geographical position
KR100682215B1 (ko) 휴대용 전화장치
JP2006074477A (ja) 通信用端末装置、通信用端末装置の機能設定変更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448285B2 (ja) 携帯電話機
US200800643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nabling cell phone ringing or beeping
JP4059820B2 (ja) 移動通信装置、動作モード設定方法、動作モード設定プログラム
JP5562803B2 (ja) 携帯通信装置及びサーバ
JP5753513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緊急報知プログラム
JPH11341567A (ja) 携帯電話端末
JP2002320264A (ja) 携帯電話機と基地局
KR200329429Y1 (ko) 핸드폰의 원격 착신감지장치
JP3076331B1 (ja) 折畳み形携帯通信機器における着信信号確認方法及び装置
KR200370611Y1 (ko)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JP2002232947A (ja) 携帯通信装置
JP2002232340A (ja) 光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装置、および、光無線通信中継装置
KR200356518Y1 (ko) 휴대전화기의 수신상태 알림시스템
JP2004297162A (ja) 携帯電話装置
JP2004289345A (ja) 携帯電話装置
JP2004007054A (ja) 通信装置
JP2007195071A (ja) 携帯端末装置、通信回線の確立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0295321A (ja) 着信報知呼出装置
JP2003032719A (ja) 携帯電話装置
JP2004297163A (ja) 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