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611Y1 -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 Google Patents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611Y1
KR200370611Y1 KR20-2004-0025722U KR20040025722U KR200370611Y1 KR 200370611 Y1 KR200370611 Y1 KR 200370611Y1 KR 20040025722 U KR20040025722 U KR 20040025722U KR 200370611 Y1 KR200370611 Y1 KR 200370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gnal
video
call
input
hearing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수 filed Critical 박성수
Priority to KR20-2004-0025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6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5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hearing impaired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진동기능을 갖는 휴대장치를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화상 전화기에 전화가 걸려왔을 때 휴대장치가 진동하여 전화의 수신여부를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청각 장애자로 하여금 쉽게 전화 수신여부를 빠르고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화상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전화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씨피유가 이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하여 벨소리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무선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발생되는 무선 호출신호를 무선 수신부에서 인가받고, 이의 무선 호출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프로세서가 진동자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진동을 통하여 전화 수신여부를 인지토록 하는 휴대 진동기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omitted}
본 고안은 화상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각 장애자를 위한 화상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진동으로 알려주기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일반인들은 벨소리를 듣고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자하여 통화를 수행하게 되는데, 청각 장애자인 경우 벨소리를 듣지 못하기 때문에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종요한 전화를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정상인들과 같이 음성 통화를 수행하지 못한다.
또한, 청각 장애자에게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려주고자 전화가 걸려왔을 때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수신 유무를 알려주는 기능이 있으나, 전화 수신 여부를 청각 장애자가 인지한다 하더라도 음성을 통한 정상적인 통화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청각 장애자로 하여금 정상적인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전화기가 보급되고 있다.
화상 전화기는 발호자와 피호자간에 서로가 영상을 보면서 통화를 하게 되므로 청각 장애자는 수화를 통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서로의 영상을 보면서 의사소통은 가능하다 할지라도 처음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를 청각 장애자가 인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의 통화도 불가능하게 된다.
즉, 화상 전화기의 벨소리가 울리더라도 청각 장애자는 이의 소리를 인지하지 못하여 전화 통화가 불가능하게 되고, 램프의 점등에 의하여 전화 수신여부를 알려준다 하더라도 시선이 화상 전화기가 아닌 다른 곳을 향하거나 실내의 다른 곳에 있는 경우에는 전화 수신여부를 전혀 알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동기능을 갖는 휴대장치를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화상 전화기에 전화가 걸려왔을 때 휴대장치가 진동하여 전화의 수신여부를 알려주도록 하는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화상 전화기의 외관도 및 진동 장치를 나타낸 도.
도 2 는 도 1 의 내부 회로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부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키패드 130 : 송수화기
140 : 카메라 150 : 마이크
160 : 안테나 170 : 스피커
180 : 송수신부 190 : 씨피유
200 : 무선 송수신부 300 : 네트워크
400 : 휴대 진동기 410 : 안테나
420 : 무선 수신부 430 : 프로세서
440 : 진동자 450 ; 램프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화상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전화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씨피유가 이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하여 벨소리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무선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발생되는 무선 호출신호를 무선 수신부에서 인가받고, 이의 무선 호출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프로세서가 진동자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진동을 통하여 전화 수신여부를 인지토록 하는 휴대 진동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진동기는 무선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하여 점등되는 램프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화상 전화기 및 휴대 진동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로서, 본체부(100)에는 통화자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40)와, 상대방의 모습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부(110)와,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외장 마이크(150)와, 외장 스피커(170), 다이얼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패드(120) 및 송수화기(130)가 구비된다.
휴대 진동기(400)는 호출 신호 즉, 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본체부(100)로 무선 호출신호를 인가받아 진동 및 램프부(450)의 램프를 점등하여 청각 장애자인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려준다.
도 2 는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부(100)와 휴대 진동기(400)의 내부 회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발호자로부터 호출신호 즉, 링신호가 입력되면 송수신부(180)는 이를 입력받아 씨피유(190)에 제공하고, 상기 씨피유(190)는 스피커(170)를 통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도록 하고,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발호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청각 장애자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 송수화기(130)를 들어 후크 오프 상태로 하여 화상 통화가 가능하거나 또는 키패트(120)의 통화 버튼을 눌러서 마이크(150)와 스피커(170)를 통해 통화가 가능해진다.
물론, 카메라(140)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그 영상 데이터를 씨피유(190)로 입력시키면, 상기 씨피유(190)는 마이크(150)부터의 음성 데이터 및 카메라(140)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송수신부(180)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한편, 청각 장애자를 위하여 상기 씨피유(190)는 링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무선 송신부(200)에 호출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무선 송신부(200)는 그 호출신호를 변조한 다음 안테나(160)를 통하여 근거리의 휴대 진동기(400)에 그 무선 호출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휴대 진동기(400)는 무선 호출신호를 안테나(410)를 통하여 인가받게 되고, 이의 신호는 무선 수신부(420)에 의하여 복조되어 프로세서(430)에 제공된다.
상기 프로세서(430)는 그 무선 호출신호에 의하여 진동자(400)를 구동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진동자(440)에 제공함으로써 휴대 진동기(400)에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청각 장애자는 이의 휴대 진동기(400)의 진동에 의하여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지하여 본체부(100)를 통하여 화상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휴대 진동기(400)의 진동 멈춤은 본체부(100)의 키패드(120)의 입력에 의하거나, 송수화기(130)의 후크 오프 등에 의하게 되는데, 씨피유(190)는 키패드(120)나 송수화기(13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무선 송신부(200)로 링 오프 명령을 인가하게 되고, 이 명령은 휴대 진동기(400)의 무선 수신부(420)에서 수신하여 프로세서(43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서(430)의 제어에 의하여 진동자(440)가 구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인 청각 장애자는 카메라를 통한 화상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 진동기(400)의 프로세서(430)는 진동자(440)이 구동과 함께 램프부(450)를 구동시켜 점등하도록 함으로써 청각 장애자는 물론 일반인들도 이의 휴대 진동기(400)의 플래싱(flashing)에 의하여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는, 진동기능을 갖는 휴대장치를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화상 전화기에 전화가 걸려왔을 때 휴대장치가 진동하여 전화의 수신여부를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청각 장애자로 하여금 쉽게 전화 수신여부를 빠르고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화상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전화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씨피유가 이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하여 벨소리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무선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발생되는 무선 호출신호를 무선 수신부에서 인가받고, 이의 무선 호출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프로세서가 진동자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진동을 통하여 전화 수신여부를 인지토록 하는 휴대 진동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 진동기는 무선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하여 점등되는 램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KR20-2004-0025722U 2004-09-07 2004-09-07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KR200370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722U KR200370611Y1 (ko) 2004-09-07 2004-09-07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722U KR200370611Y1 (ko) 2004-09-07 2004-09-07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611Y1 true KR200370611Y1 (ko) 2004-12-17

Family

ID=4944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722U KR200370611Y1 (ko) 2004-09-07 2004-09-07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6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5434B2 (ja) 送受話装置
JPH06292195A (ja) 携帯無線式tv電話
JP2003143256A (ja) 端末装置と通信制御方法
KR20000062086A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KR20070042797A (ko)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JP2003283693A (ja) 携帯通信端末のリモート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476006B1 (ko) 화상 통화시 대체 영상 전송 방법
KR100547741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US20050088513A1 (en) Open-to-view video telephony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370611Y1 (ko)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JP4600643B2 (ja) 文字表示機能を有するテレビ電話装置及びテレビ電話装置における音声の文字変換表示方法
JP4327741B2 (ja) 携帯電話機
KR1004549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전 스피커홀을 차단하는 장치 및제어방법
JP2000332677A (ja) 移動体通信端末
JP3251183B2 (ja) 携帯電話機
JP2003284015A (ja) 携帯電話機
JPH06292197A (ja) 携帯無線式tv電話
JP3204262B2 (ja) 携帯無線装置
KR100749748B1 (ko) 통신 채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19313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신호 수신장치
JP3204264B2 (ja) 携帯無線装置
JP2004356678A (ja) 電話装置
JP2006005393A (ja) 携帯電話機
KR200356518Y1 (ko) 휴대전화기의 수신상태 알림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