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797A -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797A
KR20070042797A KR1020050098765A KR20050098765A KR20070042797A KR 20070042797 A KR20070042797 A KR 20070042797A KR 1020050098765 A KR1020050098765 A KR 1020050098765A KR 20050098765 A KR20050098765 A KR 20050098765A KR 20070042797 A KR20070042797 A KR 20070042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peakerphone function
speakerphone
function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263B1 (ko
Inventor
조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263B1/ko
Priority to US11/550,950 priority patent/US7925240B2/en
Priority to CNA2006101729137A priority patent/CN1972489A/zh
Publication of KR2007004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상대방에게 스피커폰 기능의 사용여부를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통신채널을 통해 상대방 통화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 통화자가 알 수 있어 보호받아야 할 개인적인 대화를 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화기, 휴대폰, 핸드폰, 이동통신 단말기, 스피커폰

Description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A Method Informing If Speaker-Phone Function is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송신측 휴대폰, 수신측 휴대폰 및 기지국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상대방에게 스피커폰 기능의 사용여부를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에는 스피커폰 기능이 있는데, 스피커폰 기능이란 전화기의 스피커로 상대방 통화자의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수화하고 마이크로 송화하게 하여 수화기를 귀에 접촉시키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피커폰 기능 사용시 상대방이 이를 인식하지 못해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게 되면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하는 전화기 주위에 있는 사람들한테도 그러한 소리가 전달되므로 사생활 보호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어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지면 곤란한 개인적인 대화를 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은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대방 전화기로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한다는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상기 상대방 전화기에서 상기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한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단계에서, 전화기의 표시창에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그러한 음성정보를 출력하거나 전화기를 진동시켜 상대방이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한다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통신채널을 통해 상대방 통화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휴대폰 간에 통화하는 경우 스피커폰 사용여부를 알려주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폰 간에 통화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휴대폰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 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송신측 휴대폰, 수신측 휴대폰 및 기지국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휴대폰들은 휴대폰의 구성요소 중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부분도 휴대폰들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 1을 보면 송신측 휴대폰(110), 기지국(120), 수신측 휴대폰(130)이 있다. 송신측 휴대폰(110)과 수신측 휴대폰(130)에는 그 구성요소로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1, 131), 제어부(112, 132), 사용자 인터페이스(113, 133), 표시창표시부(114, 134), 소리출력부(115, 135), 진동발생부(116, 136)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송신측 휴대폰(110)의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1)는 기지국(120)을 통해 수신측 휴대폰(130)과 이동통신을 담당하고, 상기 수신측 휴대폰(130)의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31)도 마찬가지로 기지국(120)을 통해 송신측 휴대폰(110)과 이동통신을 담당한다. 이동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에는 통화를 위한 음성정보 외에도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된다. 즉,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기지국(120)을 통해 송신측 휴대폰(110)과 수신측 휴대폰(130) 사이에 전송된다.
상기 송신측 휴대폰(110)의 제어부(112)와 수신측 휴대폰(130)의 제어부(132)는 각 휴대폰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12, 132)는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면 그 정보를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1, 131)를 통해 기지국(12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이를 표시창 을 통해 표시하거나 소리로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거나 소리로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은 상기 표시창표시부(114, 134), 소리출력부(115, 135), 진동발생부(116, 136)에서 각각 담당한다. 표시창표시, 소리출력, 진동은 그 중 하나만 사용할 수고 두 개 이상을 통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3, 133)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송신측 휴대폰(110)과 수신측 휴대폰(1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3, 133)는 사용자가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이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고 사용자가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 알려줄 것인지 여부와 알려주는 방법을 결정하는 경우 그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알려주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거나 소리로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휴대폰 사용자는 스피커폰 사용여부를 알려주는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하는 경우 이를 표시창에 표시되게 하거나 소리로 출력되게 하거나 진동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3, 133)는 휴대폰(110, 130)의 일정한 버튼을 누른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메뉴 기능을 이용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최근 휴대폰에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능들을 모두 별도의 버튼으로 구현하면 휴대폰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거나 미관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메뉴 기능을 이용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은 사용 자가 통화를 시작하기 전부터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한 경우와 통화중에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한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통화를 시작하기 전부터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한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이 경우는 송신측 휴대폰(110)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한 경우와 수신측 휴대폰(130)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한 경우를 나누어서 살펴보아야 하는데, 송신측 휴대폰(110)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한 경우는 송신측 휴대폰(110)의 제어부(112)에서 호를 시도하는 경우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었다는 메시지를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1)를 통해 송신한다. 그러면 역방향 전송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을 통해 기지국(120)으로 이 메시지가 전송되고 기지국(120)에서는 수신측 휴대폰(130)과 호를 설정하는 순방향 페이징 채널(Forward Paging Channel)을 통해 이 메시지를 수신측 휴대폰(130)에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측 휴대폰(130)의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31)에서는 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어부(132)에서 스피커폰을 사용한다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여 표시창표시부(134)에서 송신측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소리출력부(135)에서 이러한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거나 진동발생부(136)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수신측 휴대폰(130)에서 통화가 시작되기 전부터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한 경우는 호를 설정한 후 수신측 휴대폰(130)의 제어부(132)에서는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었다는 메시지를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31)를 통해 송신한다. 그러면 역방향 전송 채널을 통해 기지국(120)으로 이 메시지가 전송되고 기지국(120)에서는 순방 향 전송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을 통해 이 메시지를 송신측 휴대폰(110)에 전송한다. 그러면 송신측 휴대폰(110)의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1)에서는 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어부(112)에서 스피커폰을 사용한다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여 표시창표시부(114)에서 수신측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소리출력부(115)에서 이러한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거나 진동발생부(116)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통화중 사용자가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한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통화중 송신측 휴대폰(110)이나 수신측 휴대폰(130)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하면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한 휴대폰(110, 130)의 제어부(112, 132)에서는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었다는 메시지를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1, 131)를 통해 송신한다. 그러면 역방향 전송 채널을 통해 기지국(120)으로 이 메시지가 전송되고 기지국(120)에서는 순방향 전송 채널을 통해 이 메시지를 상대방 휴대폰에 전송한다. 송신측 휴대폰(110)에서 통화 중 스피커폰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순방향 페이징 채널이 아닌 순방향 전송 채널을 사용하는 이유는 통화중에는 순방향 전송 채널이 열려 있으므로 이를 사용이 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
순방향 전송 채널을 통해 송신측 휴대폰(110)이나 수신측 휴대폰(130)의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1, 131)에서 스피커폰을 사용한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112, 132)에서 스피커폰을 사용한다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여 표시창표시부(114, 134)에서 상대방이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소리출력부(115, 135)에서 이러한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거나 진동발생부(116, 136)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휴대폰 사용자는 상대방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를 흐름도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통화를 시작하기 전이나 통화 중에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0),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종료하고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한다면 이동통신을 통해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한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220).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된 경우라도 전화기에서 이를 알려주도록 설정한 경우만 사용자에게 이를 표시하므로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표시할 것인지 판단한다(S230). 표시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하고 표시할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방법이 무엇인지 판단한다(S240). 표시방법으로는 표시창에 표시하는 방법, 소리로 출력하는 방법,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표시방법이 표시창에 표시하는 방법이면 휴대폰의 표시창에 상대방이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고(S250), 소리로 출력하는 방법이면 이러한 메시지를 담은 음성이나 일정한 멜로디를 출력하고(S260),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법이면 전화기를 진동시킨다(S270).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의 범위는 본 출원서에 설명된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모든 변형된 형태와 수정된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전화기 사용자에게 상대방의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알려주는 방법으로 표시창에 표시하는 방법, 소리로 출력하는 방법,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법만 제시되었지만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도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폰 간에 통화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휴대폰 간의 통화뿐만아니라 휴대폰과 일반 전화기 간의 통화 및 일반전화기 간의 통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 통화자가 알 수 있어 보호받아야 할 개인적인 대화를 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스피커폰 기능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대방 전화기로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한다는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상기 상대방 전화기에서 상기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한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에서,
    전화기의 표시창에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그러한 음성정보를 출력하거나 전화기를 진동시켜 상대방이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한다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KR1020050098765A 2005-10-19 2005-10-19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KR101191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65A KR101191263B1 (ko) 2005-10-19 2005-10-19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US11/550,950 US7925240B2 (en) 2005-10-19 2006-10-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indicating speakerphone mode information thereof
CNA2006101729137A CN1972489A (zh) 2005-10-19 2006-10-19 移动通信终端以及指示其扬声器电话模式信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65A KR101191263B1 (ko) 2005-10-19 2005-10-19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797A true KR20070042797A (ko) 2007-04-24
KR101191263B1 KR101191263B1 (ko) 2012-10-16

Family

ID=3808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765A KR101191263B1 (ko) 2005-10-19 2005-10-19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25240B2 (ko)
KR (1) KR101191263B1 (ko)
CN (1) CN19724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31743A (en) * 2006-02-15 2007-08-16 Asustek Comp Inc Mobil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volume dynamically and related method
US9553973B2 (en) * 2011-09-22 2017-01-24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losing privacy conditions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9560099B2 (en) 2012-05-23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using motion and voice activate controls
US9392421B2 (en) 2012-05-23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with mode depending on user proximity or device position
US9204263B2 (en) 2012-05-23 2015-12-01 Mark A. Lindner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group communication based on motion of a mobile device
US9674694B2 (en) * 2012-05-23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with mode transition based on motion
US9537987B2 (en) * 2014-11-21 2017-01-03 Lenovo (Singapore) Pte. Ltd. Transmission of data pertaining to use of speaker phone function and people present during telephonic communication
WO2017212470A1 (en) * 2016-06-07 2017-12-14 I.M.N.A Solutions Ltd. Detection of privacy breach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CN110248337A (zh) * 2018-03-09 2019-09-17 宝马股份公司 车辆多媒体系统中控制从移动通信设备至车载免提设备的音频信号转移的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9721A3 (en) * 1998-11-07 2003-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built-in type ear-microphon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KR20000062086A (ko) * 1999-03-30 2000-10-25 윤종용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CN1156189C (zh) * 1999-06-30 2004-06-30 Lg情报通信株式会社 具有扬声器电话功能的移动电话站
US6611596B1 (en) * 1999-07-20 2003-08-26 Agere Systems Inc. Speakerphone indicator
US6700969B1 (en) * 1999-10-15 2004-03-02 Siemens Information & Communication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call privacy acro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6795544B1 (en) * 2000-11-08 2004-09-2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public conversation indication in a telephony exchange
US7493088B2 (en) * 2003-12-11 2009-02-17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communications device
JP2006174076A (ja) * 2004-12-15 2006-06-29 Orion Denki Kk 電話通信システム及びメール送受信システム
KR100658001B1 (ko) * 2005-01-24 2006-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546133B2 (en) * 2005-07-26 2009-06-09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user availability se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263B1 (ko) 2012-10-16
CN1972489A (zh) 2007-05-30
US20070123202A1 (en) 2007-05-31
US7925240B2 (en) 201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263B1 (ko)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US7643619B2 (en) Method for offering TTY/TDD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7986978B2 (en) Hands-free apparatus
KR20070024262A (ko) 발신자 정보 음성 출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JP2003143256A (ja) 端末装置と通信制御方法
EP20927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to a speakerphone mode
JP2003319062A (ja)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KR20000062086A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JP2008109595A (ja) 通話方法自動切替システム、サー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81170A (ko) 문자메시지 출력기능을 갖는 무선 헤드셋 및 문자메시지출력방법
JP2002209011A (ja) 携帯端末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4600643B2 (ja) 文字表示機能を有するテレビ電話装置及びテレビ電話装置における音声の文字変換表示方法
JP2000332677A (ja) 移動体通信端末
JP2003188948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18609B1 (ko) 입력 문자를 음성으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방법
JP2004229213A (ja) 携帯通信端末
KR1008346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문자 변환키 이용 방법
KR100606092B1 (ko)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JP2007184987A (ja) 移動通信端末
KR940017282A (ko) 키패드분리형 휴대폰 및 그것의 통화방법
KR100629078B1 (ko) 요청받은 전화 번호로의 통화 요청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6180008A (ja) 電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370611Y1 (ko) 청각 장애자를 위한 진동 기능을 갖는 화상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