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468A - 콤비네이션 램프 - Google Patents

콤비네이션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468A
KR20040092468A KR1020040027824A KR20040027824A KR20040092468A KR 20040092468 A KR20040092468 A KR 20040092468A KR 1020040027824 A KR1020040027824 A KR 1020040027824A KR 20040027824 A KR20040027824 A KR 20040027824A KR 20040092468 A KR20040092468 A KR 20040092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ens
headlight
combination lamp
w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586B1 (ko
Inventor
가이다카유키
시미즈사나에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62J6/022Headlight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10Retrofi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21W2107/1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for cycles
    • F21W2107/1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for cycles for motor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에 이용되는 콤비네이션 램프에 있어서, 외관의 변경에 의한 상품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헤드라이트(31)의 좌우의 프론트 윙커(32)를 일체화한 콤비네이션 램프(30)에 있어서, 각 프론트 윙커(32)의 이너 렌즈(40)를 헤드라이트(31)의 리플렉터부(38)와 근접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콤비네이션 램프{COMBINATION LAMP}
본 발명은 자동이륜차 등의 차량용 콤비네이션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상을 변경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자동이륜차 등의 차량에 이용되는 콤비네이션 램프 중에는, 헤드라이트 등의 주(主) 등화기와 좌우의 윙커를 일체화한 것이 있다. 양 윙커는 그 발광부 중심간의 거리가 소정의 설계값 이상이 되도록 콤비네이션 램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콤비네이션 램프 중에는 차체로의 장착성 향상 등을 도모하기 위해서, 차체에 설치된 중간 커넥터에 콤비네이션 램프에 형성된 램프측 커넥터를 접속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경우 각 등화기와 램프측 커넥터와의 사이의 하네스(전선) 길이를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등화기는 가능한 한 근접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헤드라이트 등의 주 등화기와 좌우의 윙커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콤비네이션 램프의 경우, 양 윙커 위치는 디자인 이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관계되어 결정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 5-124468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은 등화기류는 차량의 상품성의 향상이나 차별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부품이지만, 상기 종래의 콤비네이션 램프의 경우, 외관의 변경에 의해 소정의 설계 치수의 확보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에 이용되는 콤비네이션 램프에 있어서, 외관의 변경에 의한 상품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헤드라이트(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헤드라이트(31))와 좌우의 프론트 윙커(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프론트 윙커(32))를 일체화한 콤비네이션 램프(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콤비네이션 램프(30))에 있어서, 상기 각 프론트 윙커의 렌즈(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이너 렌즈(4O))를 상기 각 헤드라이트의 리플렉터부(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리플렉터부(38))와 근접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헤드라이트(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헤드라이트(31))의 리플렉터부(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리플렉터부(38)) 및 좌우의 프론트 윙커(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프론트 윙커(32))의 리플렉터부(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윙커 리플렉터부(56))를 일체화한 하우징(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하우징(33))과, 이 하우징의 개구(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전부(前部) 개구(34)) 전체를 덮는 아우터 렌즈(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아우터 렌즈(35))와, 이 아우터 렌즈 및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등실(燈室)(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등실(37))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각 프론트 윙커의 리플렉터부의 개구(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전부 개구(64))를 덮는 렌즈(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이너 렌즈(40))를 구비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콤비네이션 램프(30))에 있어서, 상기 각 이너 렌즈를 상기 헤드라이트의 리플렉터부와 근접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콤비네이션 램프에 의하면, 각 프론트 윙커의 렌즈(또는 이너 렌즈)만을 헤드라이트의 리플렉터부와 근접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프론트 윙커의 리플렉터부를 변경하는 일 없이 프론트 윙커의 형상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프론트 윙커의 렌즈(또는 이너 렌즈)를 헤드라이트측, 요컨대 차폭 방향 내측으로 근접시킴으로써 각 프론트 윙커의 발광부 면적이 차폭 방향 내측으로 증가하였을 때에는, 렌즈의 차폭 방향 외측에도 동일한 변경을 실시하여 프론트 윙커의 발광부 면적을 차폭 방향 외측으로도 증가시킴으로써, 양 프론트 윙커의 발광부 중심간의 거리를 소정의 설계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주 등화기(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헤드라이트(31))와 좌우의 윙커(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프론트 윙커(32))를 일체화한 콤비네이션 램프(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콤비네이션 램프(30))에 있어서, 상기 각 윙커의 렌즈(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이너 렌즈(40))를 상기 주 등화기의 리플렉터부(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리플렉터부(38))와 근접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콤비네이션 램프에 의하면, 각 윙커의 렌즈만을 주 등화기의 리플렉터부와 근접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윙커의 리플렉터부를 변경하는 일 없이 윙커의 형상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윙커의 렌즈를 주 등화기측, 즉 차폭 방향 내측으로 근접시킴으로써 각 윙커의 발광부 면적이 차폭 방향 내측으로 증가했을 때에는, 렌즈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도 동일한 변경을 실시하여 윙커의 발광부 면적을 차폭 방향 외측으로도 증가시킴으로써, 양 윙커의 발광부 중심간의 거리를소정의 설계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헤드라이트(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헤드라이트(31))와 좌우의 프론트 윙커(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프론트 윙커(32))를 일체화한 콤비네이션 램프(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콤비네이션 램프(30))에 있어서, 상기 헤드라이트의 리플렉터부(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리플렉터부(38))와 상기 좌우의 프론트 윙커의 리플렉터부(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윙커 리플렉터부(56))를 이들 각 리플렉터부의 연장부(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이너부(53))를 끼워 이간시키고, 상기 좌우의 프론트 윙커의 렌즈(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이너 렌즈(40))를 상기 프론트 윙커의 리플렉터부의 개구(예컨대 실시형태에서의 전부 개구(64))를 덮는 동시에 상기 연장부를 덮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콤비네이션 램프에 의하면, 좌우의 프론트 윙커의 리플렉터부와 헤드라이트의 리플렉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연장부를 덮도록 각 프론트 윙커의 렌즈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렌즈가 헤드라이트의 리플렉터부와 근접하도록 구비되게 되어, 각 프론트 윙커의 리플렉터부를 변경하는 일 없이, 렌즈가 리플렉터부만을 덮은 프론트 윙커에 대하여 신규의 외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좌우의 프론트 윙커의 리플렉터부와 헤드라이트의 리플렉터부가 이간하고 있음으로써, 각 프론트 윙커의 발광부 중심간의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각 프론트 윙커의 렌즈를 헤드라이트측에 근접시킴으로써 각 프론트 윙커의 발광부 면적이 차폭 방향 내측으로 증가하더라도, 렌즈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도 같은 변경을 실시함으로써 양 프론트 윙커의 발광부 중심간의 거리를 소정의 설계값으로 유지하는 것이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자동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콤비네이션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콤비네이션 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콤비네이션 램프의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콤비네이션 램프 31 : 헤드라이트(주 등화기)
32 : 프론트 윙커(윙커) 33 : 하우징
34 : 전부 개구(개구) 35 : 아우터(outer) 렌즈
37 : 등실 40 : 이너(inner) 렌즈(렌즈)
38 : 리플렉터부 53 : 이너부(연장부)
56 : 윙커 리플렉터부(리플렉터부) 64 전부 개구(개구)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이륜차(1)의 전륜(2)은 프론트 포크(3)의 하단부에 축지지되고, 프론트 포크(3)는 핸들 스템(4)을 통하여 차체 프레임(5)의 헤드 파이프(6)에 조타 가능하게 피벗팅(pivoting)된다. 핸들 스템(4)의 상단부에는 핸들(7)이 장착되고, 이 핸들(7)의 주위가 각 그립부(8, 8)를 제외하고 핸들 커버(9)로 덮혀진다. 그리고, 핸들 커버(9)의 전부에는, 헤드라이트(주 등화기)(31) 및 좌우의 프론트 윙커(윙커)(32, 32)가 일체화된 콤비네이션 램프(30)가 설치된다(도 2 참조).
차체 프레임(5)은, 헤드 파이프(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운 파이프(11)와, 다운 파이프(11)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텝 플로어(12)와 같이 저바닥 플로어(13)를 형성하는 하부 파이프(14)와, 하부 파이프(14)의 후부를 상방으로 굴곡하여 형성되는 후부 프레임(15)을 구비한다. 헤드 파이프(6) 및 다운 파이프(11)는 스텝 플로어(12)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레그 실드(16)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덮혀지고, 또한 전방으로부터는 프론트 커버(17)에 의해 덮혀진다. 프론트 커버(17)의 하부는 전륜(2)의 상방을 덮도록 연장되며, 프론트 커버(17)의 하부 및 레그 실드(16)의 하부에 의해 프론트 휀더(18)가 형성된다.
후부 프레임(15)은 스텝 플로어(12)의 후단부로 이어지는 리어 커버(21)에덮혀지고, 리어 커버(21)의 상부에는 시트(22)가 설치된다. 시트(22)는 그 전단부가 리어 커버(21)에 피벗팅되어, 리어 커버(21) 내에 설치된 물품 수용실(23)의 상부 개구를 개폐시킨다.
하부 파이프(14)의 후단부에는 파워 유닛(24)의 전부가 상하 방향에서 요동 가능하게 피벗팅된다. 파워 유닛(24)은 엔진 및 동력전달계를 일체로 구성한 것이며, 파워 유닛(24) 후부의 구동축에는 후륜(25)이 연결된다. 파워 유닛(24)과 후부 프레임(15) 사이에는 리어 쿠션(26)이 설치된다. 또한 리어 커버(21)의 후부 하측에는 리어 휀더(27)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램프(30)는 차폭 방향 중앙에 배치된 헤드라이트(31)와, 그 양측에 배치된 좌우의 프론트 윙커(32, 32)가 일체로 구성되어, 가로로 길게 또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콤비네이션 램프(30)의 하변 부분은 차폭 방향 내측이 하측으로 볼록이 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변 부분은 차폭 방향 외측의 각 프론트 윙커(32)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가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어, 차폭 방향 내측의 헤드라이트(31)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가 상방으로 볼록인 へ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램프(30)의 하우징(33)은 콤비네이션 램프(30)의 전체 폭에 걸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이 하우징(33)의 전부 개구(34) 전체를 덮도록 일체의 아우터 렌즈(35)가 장착되고, 이들 아우터 렌즈(35) 및 하우징(33)에 의해 콤비네이션 램프(30)의 램프 본체(36)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내부에 등실(37)이 형성된다. 아우터 렌즈(35)는 상면에서 볼 때 차폭 방향 내측이 전방으로 볼록이 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팽출(膨出) 형성되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하부보다도 상부가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하여 설치된다. 하우징(33) 및 아우터 렌즈(35)는 수지 성형품으로 되고, 하우징(33)의 등실(37)측의 부위에는 헤드라이트(31) 및 각 프론트 윙커(32)의 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이 실시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라이트(31)는 그 상부의 폭보다도 하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 변이 경사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헤드라이트(31)의 전면에서 본 형상은 그 리플렉터부(38)의 전부 개구(39)의 원주 테두리를 따르는 형상으로 된다(도 5, 도 6 참조).
또한, 각 프론트 윙커(32)는, 그 차폭 방향 내측의 부위가 헤드라이트(31)의 양측 변을 따라서 기울어져 아래쪽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각 프론트 윙커(32)의 전면에서 본 형상은, 등실(37) 내에 설치되는 프론트 윙커(32)용의 이너 렌즈(렌즈)(40)의 원주 테두리를 따르는 형상으로 된다(도 6 참조). 이에 의해, 각 프론트 윙커(32)의 이너 렌즈(40)가 헤드라이트(31)의 리플렉터부(38)와 근접하도록 구비되게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램프(30)는 핸들 커버(9)에 그 내부로 하우징(33)을 면하게 하도록 장착된다. 램프 본체(36)의 상부에는 좌우 한 쌍의 걸림멈춤쇠(41, 41)가 설치되어(도 2 참조), 각 걸림멈춤쇠(41)가 이들에 대응하여 핸들 커버(9)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어맞춤된다. 또한, 램프 본체(36)의 하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는 너트 부착 시트(42)가 설치되고, 또 핸들 커버(9)의 너트부착 시트(42)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긴 구멍(43)이 구비되고, 이 긴 구멍(43)에 삽입통과(揷通)된 고정용 비스(44)를 너트 부착 시트(42)에 단단히 조임으로써 콤비네이션 램프(30)가 핸들 커버(9)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용 비스(44)를 느슨하게 하면 걸림멈춤쇠(41)의 걸어맞춤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콤비네이션 램프(30)를 경사 이동시킬 수 있어, 헤드라이트(31)의 광축을 상하 방향에서 조정 가능해진다.
헤드라이트 벌브(45)는 리플렉터부(38) 내의 아래 근접한 부위에 배치되고, 그 상방으로부터 측방에 걸쳐 형성되는 리플렉터면(46)에 의해 헤드라이트 벌브(45)의 벌브광이 전방에 배광(配光)된다. 리플렉터부(38)는 리플렉터면(46)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 벽부(47)와, 이 원호 형상 벽부(47)의 아래 가장자리 및 옆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48)를 구비한다. 또, 이들 원호 형상 벽부(47) 및 연장부(48)의 선단이 이어져 리플렉터부(38)의 전부 개구(39)의 원주 테두리를 형성한다. 원호 형상 벽부(47)의 후부에는 리플렉터면(46)의 중앙이 되는 위치에 삽입통과구멍(49)이 형성되고, 이 삽입통과구멍(49)에는 헤드라이트 벌브(45)를 유지하는 벌브 소켓(50)이 장착된다. 원호 형상 벽부(47)는 스텝 형상의 리플렉터면(46)을 형성하는 소위 멀티 리플렉터가 되고, 아우터 렌즈(35)는 렌즈 컷이 실시되지 않는 소위 클리어 렌즈가 된다. 또한, 연장부(48)는 벌브광의 반사를 억제하도록 예컨대 물결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렌즈(35)는, 그 렌즈 본체(51)의 바깥 테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렌즈 외주벽(52)을 구비한다. 또한,하우징(33)은 아우터 렌즈(35)의 렌즈 본체(5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략 따르도록 형성되는 이너부(53)와, 이 이너부(53)의 바깥 테두리로부터 렌즈 외주벽(52)의 안쪽을 따라서 후방에 연장되는 하우징 외주벽(54)을 구비한다. 아우터 렌즈(35)의 렌즈 본체(51)와 하우징(33)의 이너부(53) 사이의 공간은 등실(37)을 구성하고 있다. 하우징 외주벽(54)의 후단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꺽이는 컬부(55)가 형성되어, 이 컬부(55)에 시일재 등을 통하여 렌즈 외주벽(52)의 후단부가 접합된다.
헤드라이트(31)의 리플렉터부(38)는 이너부(53)를 후방으로 팽출시킴으로써 이너부(53)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 리플렉터부(38)의 양측부에는 리플렉터부(38)와 마찬가지로 이너부(53)를 후방에 팽출시킴으로써 이너부(53)와 일체로 형성되는 윙커 리플렉터부(리플렉터부)(56, 56)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남겨진 이너부(53)는 각 리플렉터부(38, 56)의 연장부(소위 익스텐션)로서 구성된다.
각 윙커 리플렉터부(56)는, 윙커 벌브(57)의 벌브광을 전방으로 배광하는 리플렉터면(58)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 벽부(59)와, 이 원호 형상 벽부(59)의 바깥 테두리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60)를 구비한다. 원호 형상 벽부(59)의 차폭 방향 내측의 부위와 연장부(60)와의 경계 부분에는 경사벽(61)이 형성되고, 이 경사벽(61)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62)에 윙커 벌브(57)를 유지하는 벌브 소켓(63)이 차폭 방향 내측 후방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져 삽입 통과되어 장착된다.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연장부(60)는, 윙커 벌브(57)의 벌브광을 차광하여 프론트 윙커(32)의 발광부의 면적을 대략 결정하는 것이다. 각 윙커리플렉터부(56)는 양 프론트 윙커(32)의 발광부 중심간의 거리를 소정의 설계값 이상으로 설정하는 관계상, 하우징(33)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윙커 리플렉터부(56)는 그 연장부(60)의 차폭 방향 외측의 부위가 하우징(33)의 하우징 외주벽(54) 근방에 설치되고, 또한 연장부(60)의 차폭 방향 내측의 부위는 헤드라이트(31)의 리플렉터부(38)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요컨대, 리플렉터부(38)와 윙커 리플렉터부(56)가 이들 각 리플렉터부(38, 56)의 연장부인 이너부(53)를 끼고 이간하게 된다.
여기서, 등실(37) 내에 구비되는 프론트 윙커(32) 용의 이너 렌즈는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를 덮는 것으로, 예컨대 오렌지색으로 착색된 반투명 수지로 이루어지고, 또한 소정의 렌즈 컷이 실시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렌즈(40)의 렌즈 본체(65)의 위 가장자리 및 아래 가장자리로부터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6)가 구비되고, 각 연장부(66)에 형성된 걸림멈춤쇠(67) 등에 의해 각 이너 렌즈(40)가 하우징(33)에 고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이너 렌즈(40)는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를 덮는 동시에, 전부 개구(64) 주변의 이너부(53)(리플렉터부(38) 및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연장부)도 덮도록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보다도 크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이너 렌즈(40)의 차폭 방향 내측의 부위가 헤드라이트(31)의 양측 변을 따라 기울어져 아래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각 이너 렌즈(40)가 헤드라이트(31)의 리플렉터부(38)와 근접하게 된다. 또한, 각 이너 렌즈(4O)의 차폭 방향 외측의 부위도 확장하여 하우징 외주벽(54)과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너 렌즈(40)의 원주 테두리 형상이 프론트 윙커(32)의 전면에서 본 형상이 된다. 또,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의 원주 테두리 형상이란 연장부(60)의 전단을 따르는 형상이다.
그리고 또한, 각 이너 렌즈(40)는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 및 하우징(33)의 이너부(53)로부터 이간하여 설치된다. 즉, 각 이너 렌즈(40)는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 및 하우징(33)의 이너부(53)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프론트 윙커(32)의 형상은 이너 렌즈(40)의 원주 테두리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데 비하여, 프론트 윙커(32)의 발광부의 형상은 윙커 벌브(57)의 벌브 센터(D)와 연장부(60)의 전단을 연결한 직선(E)과, 이너 렌즈(40)의 렌즈면(F)과의 교점을 전부 개구(64)의 전체 원주에 걸쳐 연결한 교선(G)에 의해 결정된다(도 2 참조).
윙커 벌브(57)는 윙커 리플렉터부(56)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윙커 벌브(57)의 벌브 센터(D)와 연장부(60)의 전단(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의 원주 테두리)을 연결하는 직선(E)은, 교선(G)으로 둘러싸인 범위, 즉 프론트 윙커(32)의 발광부 면적이 전방을 향할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져 설치된다. 이너 렌즈(40)는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보다도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프론트 윙커(32)의 발광부 면적은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보다도 넓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너 렌즈(40)와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와의 간극을 조정함으로써, 각 프론트 윙커(32)의 발광부 면적이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프론트 윙커(32)를 레이아웃할 때에는, 콤비네이션 램프(30)의 전체 폭 등을 고려하면서 각 프론트 윙커(32)의 발광부 중심간의 거리가 소정의 설계값 이상이 되도록 각 프론트 윙커(32)의 윙커 리플렉터부(56)의 배치가 결정된다. 여기서, 각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를 덮는 이너 렌즈(40)는, 적어도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보다도 크면 되기 때문에, 각 이너 렌즈(40)를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와 동등한 형상에서 전부 개구(64) 주변의 이너부(53)를 덮는 형상까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이너 렌즈(40)의 형상에 의해 프론트 윙커(32)의 형상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 프론트 윙커(32)의 형상 변경을 윙커 리플렉터부(56)를 변경하는 일 없이, 즉 하우징(33)을 변경하는 일 없이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각 프론트 윙커(32)의 발광부 면적이 이너 렌즈(40)와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와의 간극을 조정함으로써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각 이너 렌즈(40)를 차폭 방향 내측 및 외측 중 어느 쪽으로 확장시키는 동시에, 각 이너 렌즈(40)의 차폭 방향 내측 및 외측의 양 부위에 있어서 이너 렌즈(40)와 윙커 리플렉터부(56)의 전부 개구(64)와의 간극을 조정함으로써, 각 프론트 윙커(32)의 발광부 중심간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발광부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너 렌즈(40)의 변경만으로,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 각 프론트 윙커(32)의 형상 변경에 의한 신규의 외관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각 프론트 윙커(32)의 발광부 면적을 용이하게 확대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상품성의 향상 및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콤비네이션 램프(30)의 전체를 덮는 아우터 렌즈(35)를 이용하지 않고서, 헤드라이트(31) 및 각 프론트 윙커(32)를 개별적으로 덮는 렌즈를 이용한 콤비네이션 램프이더라도 된다.
또한, 헤드라이트(31)를 주 등화기로 한 콤비네이션 램프(30)가 아니라, 꼬리등(tail light)을 주 등화기로 한 콤비네이션 램프이더라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각 등화기의 형상이나 구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동시에, 자동이륜차가 아니라 삼륜, 사륜 차량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각 프론트 윙커의 렌즈(또는 이너 렌즈)만을 변경함으로써,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 신규의 외관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프론트 윙커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상품성의 향상 및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각 윙커의 렌즈만을 변경함으로써,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 신규의 외관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윙커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상품성의 향상 및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각 프론트 윙커의 렌즈를 그 주위의 연장부를 덮도록 설치함으로써 렌즈가 리플렉터부만을 덮은 프론트 윙커에 대하여 신규의 외관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각 프론트 윙커의 발광부 중심간의 거리를 확보하기 쉽고 또한 각 프론트 윙커의 발광부 중심간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발광부 면적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상품성의 향상 및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헤드라이트의 리플렉터부 및 좌우의 프론트 윙커(winker)의 리플렉터부를 일체화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개구 전체를 덮는 아우터(outer) 렌즈와, 이 아우터 렌즈 및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등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프론트 윙커의 리플렉터부의 개구를 덮는 이너(inner) 렌즈를 구비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에 있어서, 상기 각 이너 렌즈를 상기 헤드라이트의 리플렉터부와 근접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
  2. 주등화기와 좌우의 윙커를 일체화한 콤비네이션 램프에 있어서, 상기 각 윙커의 렌즈를 상기 주등화기의 리플렉터부와 근접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
  3. 헤드라이트와 좌우의 프론트 윙커를 일체화한 콤비네이션 램프에 있어서, 상기 헤드라이트의 리플렉터부와 상기 좌우의 프론트 윙커의 리플렉터부를 이들 리플렉터부의 연장부를 끼워 이간시켜, 상기 좌우의 프론트 윙커의 렌즈를 상기 프론트 윙커의 리플렉터부의 개구를 덮는 동시에 상기 연장부를 덮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
KR1020040027824A 2003-04-24 2004-04-22 콤비네이션 램프 KR100578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0148 2003-04-24
JP2003120148A JP4188131B2 (ja) 2003-04-24 2003-04-24 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468A true KR20040092468A (ko) 2004-11-03
KR100578586B1 KR100578586B1 (ko) 2006-05-12

Family

ID=3349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824A KR100578586B1 (ko) 2003-04-24 2004-04-22 콤비네이션 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88131B2 (ko)
KR (1) KR100578586B1 (ko)
CN (1) CN100540360C (ko)
TW (1) TWI2539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0591A (ja) * 2005-07-25 2007-02-08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5244422B2 (ja) * 2008-02-29 2013-07-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ンプユニット
JP5259221B2 (ja) * 2008-03-26 2013-08-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前照灯構造
TW201309959A (zh) * 2011-08-18 2013-03-01 Phoenix Optronics Corp 具警示作用之主動式轉向頭燈
CN104344316B (zh) * 2014-10-15 2016-09-07 台州市轩伟塑业有限公司 一种前转向灯
JP6611436B2 (ja) * 2015-01-20 2019-11-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照射装置
CN109641551B (zh) * 2016-10-11 2022-03-2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用于摩托车的头灯安装结构
DE102017216148A1 (de) * 2017-09-13 2019-03-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r lichttechnischen Einrichtung an einem Fahrzeug sowie 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Befestigungsanordnung
US10801692B2 (en) * 2017-09-25 2020-10-13 Bestop Baja, Llc Auxiliary light
EP3689722B1 (en) 2017-09-29 2023-01-11 Honda Motor Co., Ltd. Combination light
CN113697011B (zh) * 2021-09-07 2023-01-03 常州市鑫宝杰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直插式摩托三轮车大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7415B2 (ja) 1994-03-28 1998-08-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標識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53999B (en) 2006-05-01
CN100540360C (zh) 2009-09-16
KR100578586B1 (ko) 2006-05-12
JP2004322827A (ja) 2004-11-18
JP4188131B2 (ja) 2008-11-26
TW200424077A (en) 2004-11-16
CN1539676A (zh)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731B1 (ko) 자동이륜차의 포지션 라이트 및 등화 장치
EP2080695B1 (en) Flasher and straddle-type vehicle
JP2007030592A (ja) 車両用ライト装置及び該ライト装置を備えた自動二輪車
KR100578586B1 (ko) 콤비네이션 램프
JP5557607B2 (ja) 灯火器及び自動二輪車
JP5211020B2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灯火器構造
EP2796319B1 (en) Lighting system for a vehicle
EP3689722B1 (en) Combination light
JP5011094B2 (ja) 車両用灯火器構造
US8262267B2 (en) Lamp device-integrated rearview mirror
CN101357654B (zh) 跨乘式车辆
WO2009118998A1 (ja) 鞍乗型車両
JP5651025B2 (ja) ヘッドライト
JP6356358B2 (ja) 自動二輪車用のポジションライト構造
JP5624200B2 (ja) 車両の前照灯装置
JP4558450B2 (ja) 車両用灯火器構造
JP6814193B2 (ja) 車両用灯火器
JP5752226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前部構造
JP6850897B2 (ja) 車両
JP5504016B2 (ja) ヘッドライト装置
JP5190309B2 (ja) 自動二輪車の前照灯構造
JP4804333B2 (ja) ライト
CN102285399B (zh) 车辆的后部结构
JP4425764B2 (ja) 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ンプ構造
WO2022163442A1 (ja) 鞍乗り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