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124A -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 Google Patents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124A
KR20040089124A KR10-2004-7011540A KR20047011540A KR20040089124A KR 20040089124 A KR20040089124 A KR 20040089124A KR 20047011540 A KR20047011540 A KR 20047011540A KR 20040089124 A KR20040089124 A KR 20040089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notch
hot water
inner cov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324B1 (ko
Inventor
사카타노보루
야마다신
Original Assignee
니신 쇼쿠힌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17424A external-priority patent/JP39499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18671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34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81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9499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18366A external-priority patent/JP3971262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신 쇼쿠힌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신 쇼쿠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65D51/04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hi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41Pull tabs
    • B65D2577/205Pull tabs integral with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66Means on, or attached to, container flange facilitating opening, e.g. non-bonding region, cut-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75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 B65D2577/2091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in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1)는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가 적층되고, 외측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2)를 구비하는 덮개 재료이다. 내부 덮개에는 박리 개시 노치(3)와, 손잡이부(2)와, 내부 덮개 노치(5), 그리고 상기 박리 개시 노치(3)와 상기 내부 덮개 노치(5)와의 사이 영역에 있는 온수 조절 구멍 노치(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외부 덮개 부분을 용기로부터 내부 덮개 부분을 남긴 상태로 박리 제거하고, 용기측에 남은 내부 덮개 부분도 최종적으로 제거한다.

Description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COVER MATERIAL WITH HOT WATER CUTTING HOLES}
종래, 컵에 들어가는 생타입 즉석 국수와 같이 용기에 수납되어 있는 주머니에 들어있는 국수, 스프, 건더기 등을 용기로부터 꺼내고, 국수를 주머니로부터 꺼내어 용기에 넣어 뜨거운 물을 부어 일정 시간 방치한 후에 온수 조절하여 사용하는 덮개부 용기로서는 특허 공개 2001-l9O5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덮개 재료의 저면도를 도 27에,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를 도 28에 도시했다.
덮개 재료(101)는 외부 덮개(100)와 내부 덮개(200)와의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 용기(105)를 막도록 열접착된 덮개 재료(101)를 손잡이부(102)를 잡아 박리시키면, 내부 덮개 노치(103)를 따라서 외부 덮개(100)와 내부 덮개(200)가 분리된다. 그 결과, 큰 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 덮개의 일부가 용기에 접착된 상태로 남는다(도 28). 남은 내부 덮개 부분(200)에는 온수 조절 구멍(107)이 형성되어 있다. 남은 내부 덮개 부분은 온수 조절을 끝낸 후에 제거된다.
그런데,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덮개 재료에서는 덮개 재료(101)를 박리시키기 위해서 손잡이부(102)를 인장하는 방향(화살표 A)과, 용기측에 남은 내부 덮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당겨 벗기는 방향(화살표 B)이 일치하고 있어, 이에 기인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와 같이 방향이 일치하면 손잡이부를 인장하여 덮개 재료를 박리시켰을 때에 내부 덮개 노치(103)를 따른 외부 덮개(100)와 내부 덮개(200)와의 분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없고, 내부 덮개(200)가 외부 덮개(100)를 따라서 함께 당겨 벗겨져, 온수 조절을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내부 덮개(200)가 용기(105)에 접착된 상태로 남은 경우라도 최종적으로 이것을 제거할 때에 적당한 손잡이부가 없기 때문에 내부 덮개(200)를 용기(105)로부터 당겨 벗기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컵에 들어가는 즉석 볶음 국수나 생타입 즉석 국수 등과 같이 국수에 뜨거운 물을 부어 일정 시간 방치한 후, 온수 조절을 행하는 용기에 사용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덮개 재료를 용기에 접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내부 덮개의 일부를 용기측에 남겨서 덮개 재료를 박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로 대응하는 평면도.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덮개 재료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10은 도 9의 10-1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덮개 재료를 용기에 접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13은 도 12의 13-1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15는 도 14의 15-15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은 제3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17은 도 16의 17-1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덮개 재료를 용기에 접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상태로부터 외부 덮개의 일부를 박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21은 도 20의 21-21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2는 제4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24는 도 23의 24-24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5는 제5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덮개 재료의 저면도.
도 26은 종래의 덮개 재료를 설명하는 부분 저면도.
도 27은 종래의 덮개 재료를 설명하는 저면도.
도 28은 도 27의 덮개 재료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기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와의 적층 구조를 갖는 덮개 재료로서, 온수 조절 구멍이 형성된 내부 덮개 부분을 확실하게 용기측에 남긴 상태로 용기로부터 박리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용기측에 남은 내부 덮개 부분을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것도 간단한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및 효과)
본 발명의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는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가 이형층(離型層)을 통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고, 외주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갖는 덮개 재료이다. 그리고, 내부 덮개에는 손잡이부 근방에 위치하는 박리 개시 노치와, 손잡이부와 덮개 재료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교차하여 연장되는 내부 덮개 노치, 그리고 상기 박리 개시 노치와 상기 내부 덮개 노치와의 사이 영역에 있는 온수 조절 구멍 노치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형층은 박리 개시 노치와 내부 덮개 노치와 덮개 재료의 주연부에 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국수 등을 수납한 용기에 이 덮개 재료를 열접착하여 포장체를 만든다. 손잡이부를 잡아 덮개 재료를 용기로부터 당겨 벗기면, 박리 개시 노치의 부분에서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와의 박리(분리)가 시작되고, 온수 조절 구멍 노치에 둘러싸인 내부 덮개 부분이 외부 덮개에 접착한 상태로 빼내어져, 그 결과, 내부 덮개에는 온수 조절 구멍이 형성된다. 박리가 내부 덮개 노치에 달하면 내부 덮개 노치에 따라서 내부 덮개가 끊어져, 내용물을 추출하기 위한 큰 개구가 형성되고, 용기측에는 온수 조절 구멍이 형성된 내부 덮개만이 남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개구부에서 용기에 수납되어 있는 주머니에 채워진 국수, 건더기, 스프 등을 꺼내어, 국수와 건더기를 주머니로부터 꺼내 용기에 넣어 뜨거운 물을 부어 일정 시간 방치한 후, 내부 덮개에 형성된 온수 조절 구멍으로부터 간단히 온수 조절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볶음 국수나 스파게티의 경우는 이것에 소스를 치고, 우동이나 라면 등의 국물의 경우에는 재차 뜨거운 물을 부어 스프를 넣어 즉석 국수가 완성된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박리 개시 노치 대신에, 박리 개시 끝단 에지를 채용하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박리 개시 노치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는 내부 덮개 부분이 제거되고, 그 결과 내부 덮개의 끝단 에지를 넘어 외측으로 돌출한 외부 덮개 부분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해당 내부 덮개의 끝단 에지를 박리 개시 끝단 에지로 한다.
본 발명의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에 있어서는 박리 개시 노치를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덮개 재료를 용기에 열접착할 때에 덮개 재료의 주연부와 박리 개시 노치와의 위치 어긋남, 혹은 덮개 재료와 용기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여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가 열접착부의 외단보다 내측으로 어긋나더라도 외측의 박리 개시 노치의 부분에서 확실하게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박리(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에 있어서는 손잡이부보다도 용기 내측의 위치에 소정 간격을 갖는 대략 평행한 2개의 박리 개시 노치를 설치하고, 해당 2개의 박리 개시 노치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는 내부 덮개가 제거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한 원인으로, 덮개 재료의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가 열접착부의 외단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열접착된 경우라도 덮개 재료의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와 외측의 박리 개시 노치 사이에 있는 부분의 내부 덮개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보다 외측의 덮개 재료 부분이용기에 접착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의 부분에서 용이하게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박리(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요소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온수 조절 구멍 노치를 원형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온수 조절 구멍의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선형 노치를 평행 혹은 지그재그형으로 배열한 것이라도 좋다.
제1 실시형태(도 1 ∼도 5)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덮개 재료(1)는 도 1의 저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으로서, 외주단에는 덮개 재료(1)를 박리시켜 온수 조절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용기에 크게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손잡이부(2)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재료(1)는 외부 덮개(10) 및 내부 덮개(20)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갖는다. 외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외부 덮개(10)는 플라스틱 필름층(11)과, 접착제층(12)과, 종이층(13)과, 그물코형 이형층(14b) 및 매트형 이형층(14a)으로 이루어진다. 내부 덮개(20)는 폴리에틸렌층(21)과, 알루미늄박(22)과, 열접착성 수지층(23)으로 이루어진다. 열접착성 수지층(23)으로서 쉽게 박리 가능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열접착된 덮개 재료(1)는 용기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쇄층(15)은 종이층(13)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내부 덮개(20)에는 3종류의 노치[즉, 박리 개시 노치(3), 온수 조절 구멍 노치(4), 내부 덮개 노치(5)]가 형성되어 있다. 박리 개시 노치(3)는 손잡이부(2)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를 잡아 덮개 재료(1)를 박리할 때 박리 개시 노치(3)의 위치로부터 내부 덮개(20)와 외부 덮개(10)의 분리가 시작된다. 온수 조절 구멍 노치(4)는 박리 개시 노치(3)보다도 용기 중앙측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내부 덮개 노치(5)는 덮개 재료(1)의 중앙 근방에 손잡이부(2)와 덮개 재료(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교차하여 대칭형 및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노치는내부 덮개(2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부 덮개 노치(5)는 그 양단이 용기 내측에 돌출하는 돌출부(6)로 되어 있어, 온수 조절 구멍이 형성된 내부 덮개 부분을 최종적으로 제거할 때는 이 부분을 잡아 박리한다.
외부 덮개(10)를 구성하는 종이층(13)의 내면(내부 덮개에 적층되는 쪽의 면)에 형성한 이형층은 박리 개시 노치(3)와 내부 덮개 노치(5)와 덮개 재료(1)의 주연부에 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박리 개시 노치(3)의 근방 영역에서는 매트형 이형층(14a)으로 되어 있고, 그 밖의 영역에서는 그물코형 이형층(14b)으로 되어 있다. 매트형 이형층(14a)의 부분은 박리가 용이하지만, 그물코형 이형층(14b)의 부분에서는 박리시키는 데 필요한 강도가 약간 강해진다.
또, 이형층은 적어도 박리 개시 노치(3)와 내부 덮개 노치(5)와 덮개 재료(1)의 주연부에 둘러싸인 상기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그 이외의 위치(예컨대, 손잡이부(2)의 부분)에 이형층을 설치할 것인지의 여부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도시된 덮개 재료(1)에 있어서 손잡이부(2)의 위치에 이형층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것은, 거기에 이형층이 존재하면 제조라인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게 박리가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덮개 재료(1)를 용기(50)에 열접착한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발포 폴리스티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용기(50)의 플랜지부에 덮개 재료(1)가 내면의 열접착성 수지층(23)에 의해 열접착부(80)에서 열접착되어 부착되어 있다. 덮개 재료(1)를 용기에 열접착할 때는 덮개 재료(1)의 박리 개시 노치(3)가 열접착부(80)의 외단에 위치하도록 부착된다. 덮개 재료(1)를 열접착함으로써 용기(50)는 완전히 밀봉된 상태가 된다.
도 3의 상태로부터 덮개 재료(1)의 손잡이부(2)를 잡아 덮개 재료(1)를 용기(50)로부터 당겨 벗기면, 박리 개시 노치(3)의 위치로부터 외부 덮개(10)와 내부 덮개(20)와의 박리가 시작되고, 내부 덮개 노치(5)에 달하면 내부 덮개(20)가 내부 덮개 노치(5)를 따라서 단절된다. 그리고, 내부 덮개 노치(5)로부터 보았을 때 손잡이부(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내부 덮개 부분은 외부 덮개(10)에 접착된 상태로 용기(50)로부터 박리된다. 즉, 온수 조절 구멍(70)을 구비한 내부 덮개 부분만이 용기측에 남고, 그 결과 도 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조절 구멍(70)과 내용물을 출납하기 위한 큰 개구가 형성된 상태가 된다(도 4는 그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50)측에 남은 초생달형의 내부 덮개 부분(20)은 용기 개구부의 절반 가까이를 피복하고 있고, 여기에 복수 개의 온수 조절 구멍(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측에 남은 내부 덮개 부분으로부터 보았을 때 도면 중 우측의 영역에는 내용물을 출납하기 위한 큰 개구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 크게 형성된 개구로부터 용기(50)에 수납되어 있는 주머니에 들어있는 국수, 건더기, 스프 등의 내용물을 꺼내고, 국수와 건더기를 주머니로부터 꺼내어 용기(50)에 넣고, 용기(50) 내에 뜨거운 물을 주입하여 일정 시간 방치한 후, 용기(50)를 기울임으로써 내부 덮개(20)의 온수 조절 구멍(70)으로부터 간단히 온수 조절을 행할 수 있다. 온수 조절이 완료된 후에 내부 덮개(20)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를 잡아, 용기측에 남아 있는 내부 덮개(20)를 박리할 수 있다. 이 후, 볶음 국수 등의 경우는 이것에 소스를 치고, 우동, 라면 등의 경우에는 재차 뜨거운 물을 부어 스프를 가하여, 즉석 국수가 완성된다.
변형예 (도 6)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 재료(1)의 변형예를 보여주고 있고, 도 1에 대응하는 덮개 재료의 저면도이다. 이 변형예는 제1 실시형태에 비하여 내부 덮개에 형성되는 내부 덮개 노치(5')의 형상만이 다르다.
도 6의 덮개 재료(1')에 있어서 내부 덮개 노치(5')는 손잡이부(2)와 덮개 재료(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교차하는 대칭 형상으로서, 또한 손잡이부(2)의 측으로 돌출하는 원호형의 노치 부분과 덮개 재료(1')의 주연부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2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를 갖는 노치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6')는 용기측에 남은 내부 덮개 부분을 제거할 때에 이것을 뜯어내기 위한 것으로, 온수 조절 구멍(7)이 형성된 영역과는 반대측의 용기 주연부 영역에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 (도 7)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 재료(1)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1에 대응하는 덮개 재료의 저면도이다. 이 변형예는 내부 덮개의 형상 및 그에 형성되는 내부 덮개 노치(5')의 형상이 다른 점에서만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7의 덮개 재료(1")에 있어서 내부 덮개 노치(5")는 손잡이부(2)와 덮개 재료(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교차하는 대칭 형상으로서, 또한 손잡이부(2)의 측으로 돌출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6")는 내부 덮개 노치(5")의 한쪽의 끝단 에지에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내부 덮개 노치의 형상은 내용물의 출납을 행하는 개구부를 규정하는 것이지만, 도 6 및 도 7의 변형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덮개 노치의 구체적 형상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덮개 노치는 손잡이부(2)와 덮개 재료(1)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에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반드시 대칭이 아니더라도, 또한 원호형이 아니더라도 좋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 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원호형의 내부 덮개 노치를 채용한 경우에는 외부 덮개를 제거한 후 개구부를 통한 내용물의 출입이나, 뜨거운 물을 붓는 동작이 간편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부(2)를 뜯고 외부 덮개를 제거할 때에, 내부 덮개 부분을 용기측에 남긴 상태로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개구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내부 덮개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가 아니라, 이것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남은 내부 덮개 부분을 당겨 벗기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내부 덮개 부분의 당겨 벗기는 것의 용이함, 그 경우의 확실성, 사용자에의 인지성 등을 고려하면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성하는 돌출부는 하나라도 복수 개라도 좋고, 또한 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더라도, 외측을 향하여돌출하고 있더라도 좋다.
변형예 (도 8)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2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따른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는 박리 개시 노치(3) 대신에 박리 개시 끝단 에지(3')를 채용하고 있는 점에서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리 개시 노치(3)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는 내부 덮개 부분이 제거되어 있고, 그 결과 외부 덮개(10)는 내부 덮개(20)의 끝단 에지(3')를 넘어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돌출한 외부 덮개 부분에 의해서 손잡이부(2)가 구성되어 있고, 해당 내부 덮개의 끝단 에지가 박리 개시 끝단 에지(3')로 되어 있다. 내부 덮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노출하는 외부 덮개 내면에는 매트형 이형층(14a)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용기에 덮개 재료를 열접착할 때에 덮개 재료의 박리 개시 끝단 에지(3')가 용기와 덮개 재료의 열접착부의 외단에 위치하지 않고 열접착부내에 들어온 경우라도 덮개 재료의 박리 개시 끝단 에지(3')보다 외측의 손잡이부(2)의 부분은 용기에는 접착하지 않는다. 따라서, 손잡이부(2)를 잡아 덮개 재료를 용기로부터 박리할 때에 박리 개시 끝단 에지(3')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덮개 부분을 용기측에 접착시킨 상태로 외부 덮개(10)를 내부 덮개(2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덮개 재료의 적층 구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부 덮개의 구성을 플라스틱 필름과 종이층의 적층체로 하고 있지만, 외부 덮개를 종이층의 단체(單體)로 해도 좋다. 접착층으로서 압출 폴리에틸렌 또는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외부 덮개를 플라스틱 필름과 종이층의 적층체로 하는 경우 종이의 두께(평량)는 40∼160 g/m2정도이며, 외부 덮개를 종이층의 단체로 하는 경우 종이의 두께(평량)는 70∼130 g/m2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접착성 수지층으로서는 열용융하여 압출 라미네이션할 수 있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쉽게 박리 가능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외부 덮개의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2 μ/폴리에틸렌 20 μ/인쇄층/종이 60 g/m2/부분 이형층」,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2 μ/우레탄계 접착제/인쇄층/종이 60 g/m2/부분 이형층」, 「인쇄층/종이 100 g/m2/부분 이형층」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내부 덮개의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20 μ/알루미늄박 7∼15 μ/열접착성 수지 25 μ」, 「폴리에틸렌 20 μ/알루미늄박 7∼15 μ/폴리에틸렌 20 μ/열접착성 수지 20μ」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이형층의 구조
이형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서는 초화면(硝化綿),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부티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단체 내지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소량의 실리콘 등을 첨가하더라도 좋다.
이형층은 전술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잉크를 사용하여 종이층의 내면에 그라비아 인쇄 등에 의해 인쇄함으로써 형성된다. 매트형 이형층은 매트형판을 사용한 인쇄에 의해, 그물코형 이형층은 그물코형 면적율이 10∼40%인 그물코형으로 에칭된 인쇄판을 사용하여 인쇄함으로써 형성된다. 매트형 이형층과 폴리에틸렌층과의 계면에서는 용이하게 박리되지만, 그물코형 이형층과 폴리에틸렌층과의 계면에서는 약간 박리 강도가 강해진다.
박리 개시 노치의 근방의 영역을 매트형 이형층으로 하는 한편, 온수 조절 구멍 노치가 형성되는 영역을 그물코형 이형층으로 함으로써 손잡이부를 잡아 덮개 재료를 박리할 때에 박리 개시 노치의 부분에서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확실하게 박리 시작시키는 동시에, 온수 조절 구멍 노치에 둘러싸인 부분의 내부 덮개는 외부 덮개에 접착한 상태로 빼내어, 확실하게 온수 조절 구멍이 형성된다.
또, 외부 덮개의 내면에 있어서 온수 조절 구멍 노치의 내부 영역에서 이형층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원형의 온수 조절 구멍 노치에 둘러싸인 부분에서는 내부 덮개와 외부 덮개의 접합 강도가 커져서 해당 내부 덮개 부분을 외부 덮개와 함께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온수 조절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덮개 재료의 제조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한 바와 같다. 조각 아트지 등의 롤형의 종이의 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 공정과 인라인으로 종이의 이면에 인쇄층과 가늠을 맞춰 그물코형 이형층과 매트형 이형층을 인쇄하여 형성한 후에, 인쇄층과 부분적인 이형층이 형성된 종이의 인쇄층면에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압출 라미네이션 또는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필름을 적층하여 외부 덮개 기재를 제조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제조한 외부 덮개용 기재의 부분적인 이형층이 형성된 지면에 폴리에틸렌의 압출 라미네이션에 의해 알루미늄박을 적층하고, 또한 알루미늄박면에 압출 라미네이션에 의해 열접착성 수지층을 적층함으로써 롤형의 덮개 재료용의 적층체를 제조한다.
계속해서, 이렇게 제조한 덮개 재료용의 적층체 내면의 열접착성 수지층면에서 인쇄 무늬에 가늠을 맞춰 하프컷트를 행함으로써, 박리 개시 노치와 온수 조절 구멍 노치와 내부 덮개 노치를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덮개 재료용의 적층체를 인쇄 무늬에 가늠을 맞춘 소정 위치에서 펀칭하면 실시형태의 덮개 재료가 완성된다.
외부 덮개만으로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방법
내부 덮개의 외주연부를 넘어 돌출하는 외부 덮개에 의해서 손잡이부(2)를 구성하는 방법은 이하와 같다.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이형층을 통해 부분적으로 박리 가능하게 적층한 롤형의 적층체를 제조한 후에, 하프컷트용 로터리 다이에 의해 적층체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위치에 내부 덮개를 관통하도록 박리 개시 끝단 에지(3)의 위치에 노치를 형성한다. 이것과 함께, 적층체 상에서 덮개 재료 둘레단이 되는 펀칭 위치보다 약간 외측의 위치에 해당 둘레단을 따라서 하프컷트를 형성한다. 이 하프컷트와 박리 개시 끝단 에지(3) 위치의 노치 사이에 있는 내부 덮개 부분을 연속적으로 박리하여 제거한다.
제2 실시형태(도 9 ∼도 11)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의 저면도이며, 도 10은 그 적층 구조를 보여주는 10-1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는 박리 개시 노치가 2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외부 덮개(10) 및 내부 덮개(20)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각각이 적층 구조를 갖지만, 간략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내부 덮개(20)에는 손잡이부(2)의 내측 근방에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박리 개시 노치(3a 및 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재료는 외부 덮개(10)와 내부 덮개(20)가 그물코형 이형층(14b) 및 매트형 이형층(14b)을 통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외부 덮개(1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형층은, 내부 덮개 노치(5)보다 손잡이부(2)측의 온수 조절 구멍 노치(4)에 대향하는 영역에서는 그물코형 이형층(14b)으로 되어 있고, 박리 개시 노치(3a 및 3b)와 그 근방에 대향하는 영역에서는 매트형 이형층(14a)으로 되어 있다. 각 노치는 내부 덮개(20)를 관통하여 이형층에 달하고 있다.
이 덮개 재료를 발포 폴리스티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용기(50)에 열접착한 상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원래는 열접착부(80)의 외단이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3a)의 위치에 오도록 열접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덮개 재료와 용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나서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3a)의 위치가 열접착부(80)의 외단보다도 내측으로 어긋난 경우라도, 덮개 재료의 손잡이부(2)를 잡아 용기(50)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외측의 박리 개시 노치(3b)의 부분에서 외부 덮개(10)와 내부 덮개(20)를 박리(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 재료와 용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열접착된 경우라도 확실하게 온수 조절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보면 복수의 노치를 3개 이상 설치하더라도 좋다.
제3 실시형태(도 12 및 도 13)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온수 조절 구멍부 덮개 재료의 저면도이며, 도 13은 그 적층 구조를 보여주는 13-1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는 2개의 박리 개시 노치 사이에 있는 내부 덮개 부분이 제거되어 있는 점에서 다른 것 이외에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내부 덮개(20)에 있어서는 손잡이부(2)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한 2개의 박리 개시 노치(3a' 및 3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노치 사이에 있는 내부 덮개 부분이 제거되어 있다. 이 내부 덮개 부분이 제거된 영역에서는 도 1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형 이형층(14a)이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노치 사이에 있는 내부 덮개 부분을 제거한 것에 의한 효과는 도 16∼19에 도시된 변형예와 함께 후술한다.
변형예 (도 14 및 도 15)
도 9∼도 11에 도시된 제2 실시형태의 덮개 재료는 뜨거운 물을 넣은 후, 비교적 단시간에 그 뜨거운 물을 버리는 생타입 즉석 국수 등의 용기에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 그에 비하여 이 변형예는 뜨거운 물을 넣은 후, 비교적 긴 시간이 지난 후에 온수 조절을 행하는 인스턴트 볶음 국수 등의 용기에 적합하다. 이 때문에, 제2 실시형태에서 내부 덮개에 형성되어 있던 내부 덮개 노치(5) 대신에, 이 변형예에서는 외부 덮개에 외부 덮개 노치(55)를 형성하고 있다. 게다가, 손잡이부(2)의 반대측 위치에 다른 손잡이부(2')를 설치하고 있다. 외부 덮개 노치(55) 및 손잡이부(2')의 기능에 관해서는 도 16∼도 19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후술한다.
변형예 (도 16 ∼도 1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제3 실시형태의 덮개 재료는 전술한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생타입 즉석 국수 등의 용기에 적용하는 데 적합하다. 그에 비하여, 이 변형예는 인스턴트 볶음 국수 등의 용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앞의 변형예와 같이 이 변형예에서도 외부 덮개에 외부 덮개 노치(5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손잡이부(2)의 반대측 위치에 다른 손잡이부(2')를 설치하고 있다.
이 변형예의 덮개 재료를 용기에 열접착한 상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8의 상태로부터 덮개 재료의 손잡이부(2)를 잡아 용기(50)로부터 박리시키면 박리 개시 노치(3a')의 부분에서 덮개 재료가 외부 덮개(10)와 내부 덮개(20)로 분리되는 동시에, 온수 조절 구멍 노치(4)에 둘러싸인 내부 덮개 부분이 외부덮개(10)에 접착된 상태로 빼내어져, 온수 조절 구멍(70)이 형성된다. 또한 분리가 진행되어 외부 덮개 노치(55)의 위치에 달하면 외부 덮개 노치(55)에서 외부 덮개(10)가 절취되고, 외부 덮개가 부분적으로 제거된다(도 19).
이와 같이, 이 변형예에 따른 덮개 재료는 인스턴트 볶음 국수 등의 용기에 적합한 것이다. 사용 방법은, 우선 맨처음에 손잡이부(2')를 잡아 덮개 재료를 용기로부터 반정도 박리시켜 용기에 뜨거운 물을 주입한다. 그 후, 손잡이부(2')를 용기(50)의 플랜지부에 걸어 덮개를 닫고, 일정 시간 방치한 후,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 재료의 손잡이부(2)를 잡아 외부 덮개의 일부를 박리 제거하고, 나타난 온수 조절 구멍(70)에서 온수를 조절한다. 그 후, 손잡이부(2')를 잡아 덮개 재료를 벗겨내면 볶음 국수가 완성된다.
이 변형예의 덮개 재료는 원래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접착부(8)의 외단이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3a')의 위치에 오도록 용기(50)에 열접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덮개 재료와 용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나서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3a')의 위치가 덮개 재료를 용기에 접착하기 위한 열접착부(80)의 외단보다도 내측으로 어긋난 경우라도, 박리 개시 노치(3a' 및 3b') 사이에 있는 부분의 내부 덮개(20)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재료의 손잡이부(2)를 잡아 용기(50)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박리 개시 노치(3a')의 부분에서 덮개 재료를 외부 덮개(10)와 내부 덮개(20)로 박리(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 재료와 용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열접착된 경우라도 확실하게 온수 조절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노치를 형성하는 방법
적어도 2개의 박리 개시 노치, 온수 조절 구멍 노치, 내부 덮개 노치, 외부 덮개 노치는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이형층을 통해 박리 가능하게 적층한 후에, 하프컷트에 의해 형성된다.
박리 개시 노치, 온수 조절 구멍 노치, 내부 덮개 노치는 로터리 다이를 이용하여 내부 덮개를 내면측에서 관통하도록 하프컷트하여 형성한다. 한편, 외부 덮개 노치는 로터리 다이를 이용하여 외부 덮개를 외면측으로부터 관통하도록 하프컷트하여 형성한다.
2개의 노치 사이에 있는 내부 덮개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
손잡이부의 내측에 형성된 2개의 박리 개시 노치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 내부 덮개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은 이하와 같다.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이형층을 통해 박리 가능하게 적층한 롤형의 적층체를 제조하고, 하프컷트용 로터리 다이를 이용하여 적층체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박리 개시 노치를 적층체의 유동 방향으로 연속 형성한다. 이것과 동시에 2개의 박리 개시 노치 사이에 있는 내부 덮개 부분을 띠형으로 제거한다.
제4 실시형태(도 20 및 도 21)
도 20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의 저면도이며, 도 21은 그 적층 구조를 보여주는 21-21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는 박리 개시 노치(3)의 양단에 절결부(9)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즉, 이 덮개 재료도 생타입 즉석 국수 등의 용기에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덮개(20)에는 덮개 재료를 용기에 부착했을 때에 용기의 외주연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박리 개시 노치(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부(2)의 양측에는 덮개 재료의 외주연부로부터 내측으로 팽출하는 절결부(9)가 형성되어 있고, 박리 개시 노치(3)의 양단은 절결부(9)의 선단부와 교차하고 있다. 절결부(9)을 설치한 것에 의한 효과는 후술한다.
변형예 (도 22)
도 22는 제4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변형예는 손잡이부(2)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한 2개의 외측 박리 개시 노치(3a 및 3b)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4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2개의 박리 개시 노치(3a 및 3b)와 대향하는 영역에는 매트형 이형층(14a)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재료를 용기에 열접착할 때에 덮개 재료와 용기의 상대 위치가 어긋나서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3a)가 열접착부의 외단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된 경우라도, 손잡이부(2)를 잡아 덮개 재료를 용기로부터 박리하면 외측의 박리 개시 노치(3b)의 부분으로부터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보면 복수 개의 노치를 3개 이상 설치하더라도 좋다.
제5 실시형태(도 23 및 도 24)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제4 실시형태의 덮개 재료는 뜨거운 물을 넣은 후, 비교적 단시간에 그 뜨거운 물을 버리는 생타입 즉석 국수 등의 용기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그에 비하여, 제5 실시형태는 뜨거운 물을 넣은 후, 비교적 긴 시간이 지난 후에 온수 조절을 행하는 인스턴트 볶음 국수 등의 용기에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 이 때문에, 제4 실시형태에서 내부 덮개에 형성되어 있던 내부 덮개 노치(5) 대신에 제5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덮개에 외부 덮개 노치(5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손잡이부(2)의 반대측 위치에 다른 손잡이부(2')를 설치하고 있다. 외부 덮개 노치(55) 및 손잡이부(2')의 기능에 관해서는 도 16∼도 19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전술한 것과 같다.
변형예 (도 25)
도 25는 제5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변형예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한 관계는 도 22에 도시된 변형예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한 관계와 동일하고, 일정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한 2개의 박리 개시 노치(3a 및 3b)가 형성되어 있다.
즉, 덮개 재료를 용기에 열접착할 때에 덮개 재료와 용기의 상대 위치가 어긋나서 내측의 박리 개시 노치(3a)가 열접착부의 외단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라도, 손잡이부(2)를 잡아 덮개 재료를 용기로부터 박리하면 외측의 박리 개시 노치(3b)의 부분으로부터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분리시킬 수 있다.
노치에 의한 효과( 종래예와의 비교)
도 20∼도 25에 도시된 각 덮개 재료는 절결부(9)를 구비하고 있지만, 절결부가 존재하는 것에 의한 이익을 절결부가 없는 종래예[도 26의 (I), (II)]와의 비교에 의해 설명한다.
도 26의 (I)에 도시된 종래예에 따른 덮개 재료에서, 박리 개시 노치(b)는 손잡이부(a)의 내측에 덮개 재료를 용기에 부착했을 때에 용기의 외주연부를 따라 마련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종래예의 경우에는, 펀칭에 의해 제조된 덮개 재료의 취급중에 덮개 재료의 주연부가 문질러져 박리 개시 노치(b)의 양 끝단 에지의 외측의 뾰족한 삼각형의 부분에 있어서 내부 덮개가 외부 덮개로부터 박리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도 26의 (II)에 도시된 종래예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출원인이 제안한 것으로, 박리 개시 노치(b')의 양단이 덮개 재료를 용기에 부착했을 때의 용기 외주연부(c)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문제는 해소되지만 다른 문제가 남는다. 즉, 손잡이부(a)를 잡아 외부 덮개를 내부 덮개로부터 박리시킬 때에 박리 개시 노치(b')의 양 끝단 엔지가 용기의 외주연부(c)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내부 덮개의 강성이 작은 경우에는 박리 개시 노치(b')의 끝단 에지에 있어서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분리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온수 조절 구멍을 갖는 내부 덮개 부분을 포함한 덮개 재료 전체가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고 덮개 재료가 찢어질 수도 있다.
그에 비하여, 절결부(9)를 구비한 본 발명의 덮개 재료(도 20∼도 25)에서는 박리 개시 노치의 끝단 에지가 덮개 재료를 용기에 접착했을 때 열접착부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특히 내부 덮개의 강성이 작은 경우라도 박리 개시 노치의 끝단 에지로부터 확실하게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분리할 수 있다.

Claims (12)

  1.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가 이형층을 통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고, 외주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덮개 재료로서,
    내부 덮개에는 손잡이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박리 개시 노치와, 손잡이부와 덮개 재료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교차하여 연장되는 내부 덮개 노치, 그리고 상기 박리 개시 노치와 상기 내부 덮개 노치와의 사이의 영역에 있는 온수 조절 구멍 노치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형층(離型層)은 박리 개시 노치와 내부 덮개 노치와 덮개 재료의 주연부에 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개시 노치 대신에 박리 개시 끝단 에지를 채용하고, 상기 박리 개시 노치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는 내부 덮개 부분이 제거되어 있으며, 그 결과 내부 덮개의 끝단 에지를 넘어 외측으로 돌출한 외부 덮개 부분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부가 구성되어 있고, 해당 내부 덮개의 끝단 에지가 상기 박리 개시 끝단 에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3.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가 이형층을 통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고, 외주연부의 적어도 1개소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덮개 재료로서,
    이형층은 손잡이부에 인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내부 덮개의 이형층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손잡이부의 근방 위치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 개의 박리 개시 노치와, 손잡이부와 덮개 재료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교차하여 연장되는 내부 덮개 노치, 그리고 상기 박리 개시 노치와 상기 내부 덮개 노치와의 사이의 영역에 있는 온수 조절 구멍 노치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4.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가 이형층을 통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고, 외주연부의 적어도 1개소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덮개 재료로서,
    이형층은 손잡이부에 인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내부 덮개의 이형층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손잡이부의 근방 위치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 대략 평행한 2개의 박리 개시 노치와, 손잡이부와 덮개 재료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교차하여 연장되는 내부 덮개 노치, 그리고 상기 박리 개시 노치와 상기 내부 덮개 노치와의 사이의 영역에 있는 온수 조절 구멍 노치가 각각 형성되고,
    2개의 박리 개시 노치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는 내부 덮개가 제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노치는 손잡이부와 덮개 재료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칭으로 손잡이부의 측으로 팽출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노치는 용기 내측으로 돌출하는 내부 덮개 박리용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노치는 용기 외측으로 돌출하는 내부 덮개 박리용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에 형성된 내부 덮개 노치 대신에 상기 외부 덮개에 상기 손잡이부와 덮개 재료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덮개 재료의 주연부에 달하는 외부 덮개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박리 개시 노치와 상기 외부 덮개 노치와 상기 덮개 재료의 주연부에 둘러싸인 영역에 상기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 재료에는 상기 손잡이부와 대향하는 주연부에 다른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은 박리 개시 노치의근방 영역에서는 매트형 이형층으로 되어 있고, 그 밖의 영역에서는 그물코형 이형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에 덮개 재료의 외주연부로부터 내측으로 팽출하는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박리 개시 노치의 양단은 각 절결부의 선단부와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덮개 재료를 용기에 열접착했을 때의 외주연부측 열접착부에 상기 절결부의 선단부가 위치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덮개는 종이층 단체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종이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덮개가 폴리에틸렌층, 알루미늄박 및 열접착성 수지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조절 구멍 부착 덮개 재료.
KR1020047011540A 2002-01-25 2003-01-24 온수 조절 구멍이 형성된 덮개 재료 KR100948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17424A JP3949970B2 (ja) 2002-01-25 2002-01-25 湯切り孔付き蓋材
JPJP-P-2002-00017424 2002-01-25
JP2002018671A JP3933481B2 (ja) 2002-01-28 2002-01-28 湯切り孔付き蓋材
JPJP-P-2002-00018671 2002-01-28
JP2002081494A JP3949985B2 (ja) 2002-03-22 2002-03-22 湯切り孔付き蓋材
JPJP-P-2002-00081494 2002-03-22
JPJP-P-2002-00218366 2002-07-26
JP2002218366A JP3971262B2 (ja) 2002-07-26 2002-07-26 湯切り孔付き蓋材
PCT/JP2003/000634 WO2003062090A1 (fr) 2002-01-25 2003-01-24 Couvercle pourvu de trous permettant de verser l'eau chau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124A true KR20040089124A (ko) 2004-10-20
KR100948324B1 KR100948324B1 (ko) 2010-03-17

Family

ID=2761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540A KR100948324B1 (ko) 2002-01-25 2003-01-24 온수 조절 구멍이 형성된 덮개 재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948324B1 (ko)
CN (1) CN100497124C (ko)
HK (1) HK1080813A1 (ko)
WO (1) WO20030620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076A (ko) *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프린트삼영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음료컵 밀봉캡지의 원터치 개봉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0430B (zh) * 2013-06-08 2015-03-04 江苏景越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意大利面碗
EP3392163A1 (en) 2014-10-01 2018-10-24 Sonoco Development, Inc. Container structure with a built-in opening and reclosing feature
US9928757B2 (en) 2015-05-21 2018-03-27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laminate for packaging with integrated peelable portion
US11203477B2 (en) 2015-10-30 2021-12-21 Sonoco Development, Inc. Integrated package opening feature
EP3184460A1 (en) * 2015-12-21 2017-06-2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Rigid packaging with a straining feature
US11623806B2 (en) 2017-02-27 2023-04-11 Sonoco Development, Inc. Resealable flexible packaging
US10351294B2 (en) 2017-07-21 2019-07-16 Sonoco Development, Inc. Tamper evident hybrid resealable container
US11225355B2 (en) * 2017-11-08 2022-01-18 Sonoco Development, Inc. Membrane lid with integrated peelable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1913B2 (ja) * 1999-02-10 2009-03-04 凸版印刷株式会社 即席食品容器の湯切孔付き蓋
JP4138123B2 (ja) * 1999-01-13 2008-08-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湯切り孔付き蓋材
JP4221802B2 (ja) 1999-02-17 2009-02-12 凸版印刷株式会社 即席食品容器の湯切孔付き蓋
JP3712564B2 (ja) 1999-06-08 2005-11-02 株式会社エイクック地域総括本部 飲食品調理用容器及び飲食品パッケージ
JP4231158B2 (ja) 1999-07-05 2009-02-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湯切り孔付き蓋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076A (ko) *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프린트삼영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음료컵 밀봉캡지의 원터치 개봉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324B1 (ko) 2010-03-17
CN1642825A (zh) 2005-07-20
HK1080813A1 (en) 2006-05-04
CN100497124C (zh) 2009-06-10
WO2003062090A1 (fr)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03654A (ja) 湯切り孔付き蓋材
KR100948324B1 (ko) 온수 조절 구멍이 형성된 덮개 재료
JP3971262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3949985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4912712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2007168906A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4090550B2 (ja) 蓋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724978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3892731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4729787B2 (ja) 湯切り機能付き蓋体
JP4774592B2 (ja) 湯切り機能付蓋材
JP3949970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4899355B2 (ja) 包材
JP4357897B2 (ja) シート状蓋体
JP4220334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4231311B2 (ja) シート状蓋体
JP3933481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4795254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4544668B2 (ja) 即席食品用容器の湯切蓋
JP4231173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4231300B2 (ja) シート状蓋体
JP4184925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H11278555A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6089544B2 (ja) 湯切り機能付き蓋材および該蓋材を用いた容器
JP5915110B2 (ja) 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