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366A -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366A
KR20040087366A KR1020030021554A KR20030021554A KR20040087366A KR 20040087366 A KR20040087366 A KR 20040087366A KR 1020030021554 A KR1020030021554 A KR 1020030021554A KR 20030021554 A KR20030021554 A KR 20030021554A KR 20040087366 A KR20040087366 A KR 20040087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roller
white
driving roll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2603B1 (ko
Inventor
박진호
하동우
남동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1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603B1/ko
Priority to US10/732,255 priority patent/US20040196510A1/en
Priority to EP03257965A priority patent/EP1467553A3/en
Priority to CNB2003101147077A priority patent/CN1265616C/zh
Priority to JP2004103622A priority patent/JP2004312731A/ja
Publication of KR20040087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4Image acquisition using a slot moved over the image; using discrete sensing elements at predetermined points; using automatic curve follow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15Feeding using one or more cylindrical platens or roller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main scanning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6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references outside the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4Moving a scanning element into cooperation with a calibration element, e.g. a grey-wedge mounted on the document support,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58Addition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or optimising scanning resolution or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mage Input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체에 설치되어, 독취할 원고를 낱장씩 분류하여 공급하는 픽업롤러; 본체에 설치되어 이송된 원고의 데이터를 독취하는 이미지센서와;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는 일면이 백색 처리된 화이트부재와; 이미지센서에 접촉 회전되면서,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정렬시켜 이미지센서와 화이트부재 사이로 이송시키는 구동롤러; 및 이미지센서와 화이트부재 사이를 통과한 원고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White member and Image scanning unit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스캐닝장치의 일 예로서, 팩시밀리는 송신원고를 원고 이송경로로 이송시키면서 원고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는 이미지센서를 이용하여 원고에 기재된 화상을 독취하여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이미지센서의 독취면에 대향되는 곳에는 화이트롤러 또는 화이트바가 설치된다.
상기 화이트롤러가 채용된 종래의 스캐닝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화이트바가 채용된 종래의 스캐닝장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캐닝장치는 일본 특개평11-41426에 개시된 내용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 스캐닝장치는 원고가이드(12)의 플레이트홈부(15) 내에 이미지 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미지센서(14)에 대향되는 상부에는 화이트롤러(3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화이트롤러(31)는 이미지센서(14)에 마주하여 회전되면서, 이미지센서(14)에서 원하는 화이트값을 제공한다. 또한, 화이트롤러(31)는 지지부재(24)에 지지된 채 이미지 센서(14)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원고(P)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즉, 구동롤러의 역할도 갖는다. 즉, 이미지센서(14)에서의 화상독취 속도에 맞추어 원고를 이송시키는 기능과, 독취화상의 백색기준을 제공하도록 백색의 외주면을 갖는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화이트롤러(31)는 백색의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화이트롤러(31)를 이용하여 독취된 원고를 배출시키거나, 배출롤러를 더 마련하여 원고를 배출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화상 스캐닝장치는 고무재질로 된 화이트롤러(31)가 쉽게 오염된다. 따라서, 이미지센서(14)에서 화이트롤러(31) 표면의 백색도를 기준으로 화상처리시 오염된 부분에 의해 화상기준의 편차가 발생하여 인쇄화상의 좌/우 편차, 또는 부분적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오염된 화이트롤러(31)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분리하고, 알코올 등을 이용한 세척과정이 필요하여 유지/관리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상기와 같이 화이트롤러(31)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채택되는 것으로서, 화이트롤러(31) 대신에 그 자리에 화이트바(41)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을 보인 것이다. 상기 화이트바(41)는 지지부재(21)에 지지되며, 탄성부재(45)에 의해 이미지센서(14) 쪽으로 가압되어 이미지 센서(14)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된다. 이 화이트바(41)의 하면에는 화이트시트(44)가 설치되어 이미지센서(14)에 백색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화이트바(41)는 화이트롤러(31)와는 달리 원고(P)와 밀착되지 않고, 그 재질이 단단한 철판 또는 PVC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화이트롤러(31)가 갖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화이트롤러(31)가 원고의 이송속도를 제어하고, 원고를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던 것에 비해 화이트바(41)는 이러한 기능을 갖지 못하므로, 화이트바(41)를 채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구동롤러를 설치하여야 한다. 즉,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미지 센서(14)와 ADF 롤러 사이에는 구동롤러 및 그 구동롤러와 접촉 회전되는 아이들롤러가 구비된다. 따라서, ADF 롤러에 의해 낱장씩 픽업된 원고는 구동롤러에 의해 이송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롤러 및 아이들롤러를 채용하게 되면, 스캐닝장치의 사이즈가 커지고 소형화 및 경량화의 추세에 반하게 된다. 또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동롤러에서 이미지센서(14)의 독취위치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원고의 기울어짐이나 이송속도, 좌우편차 등의 오차범위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구조가 개선된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각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화상 스캐닝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스캐닝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스캐닝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커버에 구동롤러의 샤프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미지센서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화이트부재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구동롤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본체 51..픽업롤러
53..구동모터 60..커버
63..수용부 64..축부
70..스캐닝유닛 80..배출유닛
81..배지롤러 83..아이들롤러
85..동력전달롤러 87..탄성부재
110..이미지센서 115..탄성부재
120..화이트부재 121..몸체
123..구멍 130..구동롤러
131..샤프트 133..롤러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 스캐닝유닛은, 원고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는 일면이 백색인 화이트부재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상류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센서에 접촉 회전되면서 원고를 상기 이미지센서와 화이트부재 사이로 이송시키는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이미지센서와 마주하여 접촉되며, 상기 화이트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이트부재를 상기 이미지센서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화이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화이트부재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구동롤러의 일부가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에 접촉되도록 허용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며, 백색으로 처리된 베이스벽과; 상기 베이스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사이드벽; 및 상기 베이스벽과 사이드벽들 각각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베이스벽, 제1 및 제2사이드벽, 제1 및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베이스벽에 상기 홈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베이스벽은, 상기 이미지센서의 독취위치에 대응되며, 원고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독취면과; 상기 독취면의 상류에 마련되며,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원고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샤프트의 외주에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몸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는 세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마련되며, 그 각각의 길이가 서로의 간격보다 큰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화이트부재에는 상기 롤러몸체 각각에 대응되는 세 개의 홈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화이트부재는, 일면이 백색으로 코팅된 금속재질인 것이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 스캐닝장치는, 본체에 설치되어, 독취할 원고를 낱장씩 분류하여 공급하는 픽업롤러;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이송된 원고의 데이터를 독취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는 일면이 백색 처리된 화이트부재와; 상기 이미지센서에 접촉 회전되면서,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정렬시켜 상기 이미지센서와 화이트부재 사이로 이송시키는 구동롤러; 및 상기 이미지센서와 화이트부재 사이를 통과한 원고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화이트부재 및 구동롤러를 지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화이트부재와 상기 구동롤러를 동시에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는 커버의 하면에 인입형성된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용부 내에는 상기 화이트부재를 상기 이미지센서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배지롤러; 및 상기 배지롤러에 접촉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에 연동되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아이들롤러와 상기 구동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롤러; 및 상기 동력전달롤러를 상기 아이들롤러 및 구동롤러 양측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스캐닝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스캐닝장치는, 스캐닝장치 본체(50)와, 상기 본체(5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60)와, 상기 본체(50)에 설치되어 독취할 원고를 낱장씩 분류하는 픽업롤러(51)와, 원고를 소정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이미지 데이터를 독취하는 화상 스캐닝유닛(70)과, 독취된 원고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8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50)의 상면(50a)과, 커버(60)의 하면(60a) 사이로 원고가 공급되며, 그 면들(50a,60a)에 의해 원고(P)의 이송경로가 이루어진다.
상기 픽업롤러(50)는 급지부(52)로 공급된 원고를 낱장씩 분류하여 상기 스캐닝유닛(80) 쪽으로 공급한다.
상기 본체(5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롤러(5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3)가 설치된다. 구동모터(53)의 동력은 복수의 연결기어(54a,54b,54c)를 통해 픽업롤러(51)의 기어(51a)로 전달된다
상기 커버(60)는 본체(50)의 상부에 소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커버(60)의 일측에는 회동축(6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버(60)에는 후술할 구동롤러(130) 및 화이트부재(120)가 수용되는 수용부(63)가 마련된다. 또한, 수용부(63)의 내벽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64)와, 후술할 탄성부재(127)가 지지되는 지지보스(65)가 더 마련된다. 상기 축부(64)는 끝단이 열린 형상으로서, 그 열린 개구로 구동롤러(130)의 샤프트(131)가 끼워질 때, 축부(64)가 탄성 변형되어 벌어지면서 샤프트(131)가 끼워진다. 그리고, 축부(64)는 다시 탄성 복원되어 샤프트(131)의 이탈을 방지한다. 물론, 축부(64)와 샤프트(131) 사이에는 마찰을 줄이기 위한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제가 첨가되는 것이 좋다.
상기 화상 스캐닝유닛(70)은 본체(50)에 설치되는 이미지센서(110)와, 상기 이미지센서(11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화이트부재(120) 및 구동롤러(130)를 구비한다. 상기 이미지센서(110)는 이송되는 원고의 화상데이터를 독취하는 독취수단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부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센서(110)가 접촉형 이미지센서(CIS; contact image sensor)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이미지센서(110)의 원고 접촉부에는 투명한 유리판(111)이 설치된다. 상기 이미지센서(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홀더(113)에 지지된 채, 본체(50)의 상면(60a)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센서홀더(113)는 일단의 힌지축(113a)을 중심으로 상하 움직임 가능하다. 이 센서홀더(113)는 본체(50)에 마련된 센서장착부(55)에 수용된다. 또한, 센서홀더(113)의 하부에는 탄성부재(115)가 설치되어 이미지센서(110)를 상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화이트부재(120)는 이미지센서(110)의 독취위치(P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 화이트부재(120)는 상기 커버(60)의 수용부(63)에 대응되는 길이 및 폭을 가지며, 그 수용부(63)에 결합된다. 이 화이트부재(120)는 이미지센서(110)에서 원고의 이미지데이터를 독취할 때, 기준백색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면 즉, 이미지센서(110)에 마주하는 하면이 백색 처리된다. 상기 화이트부재(120)의 하면이 백색으로 코팅처리될 수도 있고, 백색의 재질로 된 물질로 화이트부재(120)가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화이트부재(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백색처리된 몸체(121)와, 몸체(121)에 형성되는 구멍(123) 및 몸체(121)에 형성되는 탄성후크(125)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21)는 이미지센서(110)에 마주하는 베이스벽(121a)과, 베이스벽(121a)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1 및 제2사이드벽(121b,121c)과, 상기 베이스벽(121a)과 사이드벽들(121b,121c)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측벽(121d,121e)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벽(121a)에 상기 구멍(123)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23)은 상기 구동롤러(130)를 노출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멍(123)은 세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벽(121a)은 이미지센서(110)의 독취위치(P1)에 대응되도록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해 나란하게 마련된 독취면(s1)과, 상기 독취면(s1)보다 상류에 마련되는 가이드면(s2)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면(s2)은 제1사이드벽(121b)과 연결된다. 또한, 가이드면(s2)의 일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경사면은 화이트부재(130)와 이미지센서(110) 사이로 진입되는 원고의 이송을 안내한다. 상기 경사면으로 구동롤러(130)가 노출되도록 경사면을 포함한 가이드면(s2)에 상기 구멍(1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벽들(121b,121c) 각각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후크(125)가 복수개 형성된다. 각 탄성후크(125)는 상기 수용부(63)에 형성되는 로킹홈(63a) 각각에 로킹결합된다. 또한, 상기 측벽들(121d,121e)에도 탄성후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벽들(121d,121e) 중에서 어느 하나(121d)에는 구동롤러(130)의 샤프트(131)가 통과하는 축홈(h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베이스벽(121a), 사이드벽들(121b,121c) 및 측벽들(1221d,121e) 각각에 의해 공간이 마련되며, 그 공간에는 구동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와 같이, 화이트부재(120)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그 화이트부재(120)의 내부에 구동롤러(130)를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독취면(s1) 즉, 독취위치(P1)와 구동롤러(130)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화이트부재(120)는 상기 탄성부재(127)에 의해 이미지센서(110)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이미지센서(110)와 화이트부재(120)는 정상적인 독취를 위한 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27)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수용부(63) 내벽에 형성된 지지보스(65)에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구동롤러(130)는 화이트부재(120)의 독취면(s1)보다 상류에 위치되며, 이미지센서(110)에 접촉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 구동롤러(130)는 픽업롤러(51)에 의해 픽업된 용지의 선단을 정렬시키며, 정렬된 용지를 소정 독취속도에 맞추어 이미지센서(110)와 화이트부재(120) 사이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구동롤러(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31)와, 샤프트(131)의 외주에 마련되는 롤러몸체(133)를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131)의 일단에는 구동기어(132)가 연결된다. 샤프트(1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60)의 수용부(63)에 마련된 축부(6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131)에는 상기 축부(64)에 지지되는 부위가 일정하도록 주위보다 외경이 작은 지지부(131a)를 가진다. 상기 지지부(131a)는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지지부(131a)가 축부(64)에 지지된 상태로 안정되게 회전되며, 샤프트(131)의 길이방향으로 구동롤러(13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몸체(133)는 샤프트(131)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되며, 변형이 가능한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몸체(133)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3개의 롤러몸체(133)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각각(133)의 길이(L1)는 서로간의 간격(L2)보다 크다. 각 롤러몸체(133)는 대응되는 구멍(123)으로 노출되어 이미지센서(110)의 유리판(111)에 접촉 회전된다. 상기 구동기어(132)는 상기 연결기어(54b)에 연결되어 구동모터(5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기어(54b)로는 클러치기능을 갖는 클러치기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51)와 구동기어(130)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화이트부재(120)와 인접되게 구동롤러(130)를 설치함으로써, 구동롤러(130)로부터 독취위치(P1)까지의 거리(이하 '메인 간격'이라 함)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간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고의 틀어짐 또는 독취될 원고상의 데이터 위치에 대한 오차 즉, 속도, 좌우편차 등의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서 화이트부재(120)의 압력에 의한 원고진입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구동롤러(130)가 종래의 화이트롤러가 하는 용지의 이송기능을 가짐으로써, 종래의 아이들롤러를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품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품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유닛(80)은 이미지센서(110)와 화이트부재(120)를 통과하는 원고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출유닛(80)은 본체(50)에 설치되는 배지롤러(81)와, 상기 배지롤러(81)에 맞물려 회전되는 아이들롤러(83)를 구비한다. 상기 배지롤러(81)는 구동모터(53)의 동력을 연결기어(54a)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아이들롤러(83)는 커버(60)에 설치되며, 구동롤러(130)로부터 동력전달롤러(85)를 통해 동력을 전발받아 구동된다. 상기 아이들롤러(83)의 몸체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롤러(85)의 몸체도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동력전달롤러(85)는 마찰력에 의해 구동롤러(130)의 동력을 아이들롤러(83)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동력전달롤러(85)의 외경은 구동롤러(130)와 아이들롤러(83) 사이의 간격보다 크며, 동력전달롤러(8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87)에 의해 구동롤러(130) 및 아이들롤러(83) 쪽으로 가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구동롤러(130)가 독취위치(P1)와 인접되게 설치됨으로써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해 별도의 기어열이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화상 스캐닝장치의 동작 즉, 구동순서는 종래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구동롤러(13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가 독취위치(P1)가지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거리도 줄어들어 오차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각각에 따르면, 구동롤러를 화이트부재에 인접되고 이미지센서에 대응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화이트부재는 종래의 화이트바의 역할을 통해서 안정된 화이트값을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구동롤러는 종래의 화이트롤러가 하는 용지의 이송기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구동롤러에서 이미지센서의 독취위치까지의 거리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어 스캐닝 시스템의 크기를 경량화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롤러에서 독취위치까지의 메인간격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이 메인간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원고의 틀어짐, 또는 독취될 원고상의 데이터 위치에 대한 오차 즉, 이송속도, 좌우편차 등의 오차를 줄일수 있게 되어 고품질의 스캐닝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동롤러를 이용한 다양한 이점을 얻을 동시에, 종래의 화이트바와 같은 화이트부재를 이용하여 백색도를 얻음으로서 일정한 화상보상값을 얻어 고품질의 스캐닝화상을 얻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동롤러와 독취위치 사이의 메인간격을 최소화하여 화이트부재에 의한 원고의 눌림시간 및 눌림면적 등을 최소화하여 원고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1)

  1. 원고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는 일면이 백색인 화이트부재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상류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센서에 접촉 회전되면서 원고를 상기 이미지센서와 화이트부재 사이로 이송시키는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이미지센서와 마주하여 접촉되며, 상기 화이트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부재를 상기 이미지센서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화이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있어서, 상기 화이트부재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구동롤러의 일부가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에 접촉되도록 허용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며, 백색으로 처리된 베이스벽과;
    상기 베이스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사이드벽; 및
    상기 베이스벽과 사이드벽들 각각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베이스벽, 제1 및 제2사이드벽, 제1 및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벽에 상기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벽은,
    상기 이미지센서의 독취위치에 대응되며, 원고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독취면과;
    상기 독취면의 상류에 마련되며,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원고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샤프트의 외주에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몸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는 세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마련되며, 그 각각의 길이가 서로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부재에는 상기 롤러몸체 각각에 대응되는 세 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부재는, 일면이 백색으로 코팅된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유닛.
  14. 본체에 설치되어, 독취할 원고를 낱장씩 분류하여 공급하는 픽업롤러;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이송된 원고의 데이터를 독취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는 일면이 백색 처리된 화이트부재와;
    상기 이미지센서에 접촉 회전되면서,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정렬시켜 상기 이미지센서와 화이트부재 사이로 이송시키는 구동롤러; 및
    상기 이미지센서와 화이트부재 사이를 통과한 원고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화이트부재 및 구동롤러를 지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화이트부재와 상기 구동롤러를 동시에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마주하는 커버의 하면에 인입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는 상기 화이트부재를 상기 이미지센서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배지롤러; 및
    상기 배지롤러에 접촉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에 연동되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아이들롤러와 상기 구동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롤러; 및
    상기 동력전달롤러를 상기 아이들롤러 및 구동롤러 양측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스캐닝장치.
KR10-2003-0021554A 2003-04-07 2003-04-07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KR100532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554A KR100532603B1 (ko) 2003-04-07 2003-04-07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US10/732,255 US20040196510A1 (en) 2003-04-07 2003-12-11 Image scanning unit and apparatus using same
EP03257965A EP1467553A3 (en) 2003-04-07 2003-12-17 Document scanning apparatus with white reference
CNB2003101147077A CN1265616C (zh) 2003-04-07 2003-12-25 图像扫描单元
JP2004103622A JP2004312731A (ja) 2003-04-07 2004-03-31 画像読取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554A KR100532603B1 (ko) 2003-04-07 2003-04-07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366A true KR20040087366A (ko) 2004-10-14
KR100532603B1 KR100532603B1 (ko) 2005-12-01

Family

ID=3286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554A KR100532603B1 (ko) 2003-04-07 2003-04-07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96510A1 (ko)
EP (1) EP1467553A3 (ko)
JP (1) JP2004312731A (ko)
KR (1) KR100532603B1 (ko)
CN (1) CN126561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11B1 (ko) * 2005-11-15 2007-06-11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양면 이미지 스캐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28B1 (ko) * 2006-01-09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렬 수단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FR2926180A1 (fr) * 2008-01-04 2009-07-10 Neopost Technologies Sa Systeme d'affranchissement a capteur d'images integre.
JP2011103575A (ja) 2009-11-11 2011-05-26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751A (ja) * 1989-06-20 1991-01-31 Toshiba Corp 読取り装置
JPH0389674A (ja) * 1989-08-31 1991-04-15 Fuji Xerox Co Ltd 原稿読み取り装置
US5329378A (en) * 1992-11-18 1994-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csimile device with a white level controller
JP3729232B2 (ja) * 1997-07-18 2005-12-21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搬送装置
CN1196075C (zh) * 1998-10-05 2005-04-06 佳能株式会社 图象读取装置
JP4035920B2 (ja) * 1999-06-04 2008-01-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01077986A (ja) * 1999-09-03 2001-03-23 Sharp Corp 原稿端検知装置、原稿読取り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US6989915B2 (en) * 2000-09-21 2006-01-2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reading apparatus for optically reading image information recorded on sheetlike recording medium
US6822766B2 (en) * 2001-03-01 2004-11-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rrection for debris and low output photosensors in scroll fed scanner using stored initial calibration data
US7170658B2 (en) * 2001-09-13 2007-0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JP3715919B2 (ja) * 2001-12-21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41084B2 (ja) * 2003-02-24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11B1 (ko) * 2005-11-15 2007-06-11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양면 이미지 스캐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2603B1 (ko) 2005-12-01
US20040196510A1 (en) 2004-10-07
EP1467553A3 (en) 2006-03-15
CN1265616C (zh) 2006-07-19
EP1467553A2 (en) 2004-10-13
JP2004312731A (ja) 2004-11-04
CN1536868A (zh)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677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ocument reading device having a single molded platen with stepped portions at opposite sides to guide document
US8345324B2 (en) Image reading device
KR100370540B1 (ko) 화상형성장치
US6029970A (en) Automatic paper feeding device in a multifunctional machine
US5878319A (en) Image scanner having a single contact glass and contact-type image sensor movable under automatic document feeder
US4542414A (en) Original reading apparatus
KR100455325B1 (ko) 원고 이송 장치, 원고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6638372B2 (ja) 画像読取装置
KR100532603B1 (ko)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CN112180706B (zh) 成像装置
US7414763B2 (en) Contact image sensor fixing device
US20010040707A1 (en) Image scanning apparatus
EP1508839A2 (en) Sheet-feeding apparatus
US6714756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08014512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840162B2 (ja) 画像読取装置
JPH05183691A (ja) 原稿画像読取装置及び該装置を搭載する画像情報処理装置
JP3287753B2 (ja) 画像読取装置
KR930002197B1 (ko) 화상독취장치
KR100452547B1 (ko) 복합기의 자동 원고 이송장치
JP2001031277A (ja) シート搬送装置
JPH0813983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US20050134885A1 (en) Image scanning apparatus
JP2001072276A (ja) 駆動伝達装置及びシート材送り装置
JPH11196227A (ja) 原稿読取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