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325B1 - 원고 이송 장치, 원고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원고 이송 장치, 원고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325B1
KR100455325B1 KR10-2002-0034777A KR20020034777A KR100455325B1 KR 100455325 B1 KR100455325 B1 KR 100455325B1 KR 20020034777 A KR20020034777 A KR 20020034777A KR 100455325 B1 KR100455325 B1 KR 100455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image
reading
image form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276A (ko
Inventor
마나베겐이찌
이와모또가즈유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1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04N1/00533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using slidably mounted components, e.g. reader in dra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43Allowing easy access, e.g. for maintenance or in case of paper j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원고 이송 장치(C)는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A) 위에 위치하며, 화상 형성부(A)에 대해 시프트 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화상 판독부(B)로 원고를 반송하도록 구성된다. 원고 이송 장치는 화상 형성부(A)에 대해 화상 판독부(B)와 일체로 활주 가능하며 시프트 방향으로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측 상에 위치한 무게 중심을 갖는다.

Description

원고 이송 장치, 원고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ORIGINAL FEEDING APPARATUS, ORIGINAL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적층된 원고로부터 복사기 본체 내에 소정의 판독 위치로 원고를 하나씩 이송하기 위한 원고 이송 장치, 원고 판독 장치 및 이들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원고 이송 장치와 화상 판독부를 활주시키기 위한 기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장착되고 활주 동작 중에 화상 형성 장치 무게 중심의 위치 변화를 감소시키고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원고 이송 장치, 원고 판독 장치 및 이들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복사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부(A), 화상 판독부(B) 및 원고를 화상 판독부(B) 내에 판독 위치로 하나씩 이송하고 판독을 완료한 후 원고 배출출 테이블 상으로 각각의 원고를 배출하기 위한 원고 이송 장치(C)로 구성된다.
도7에 도시된 화상 판독부(B)는 주사 레일(52)이 프레임(51)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하고 원고 유리 스탠드(54) 상에 놓인 원고를 판독하도록 원고 판독 센서(53)가 원고 유리 스탠드(54)와 평행하게 레일 상에서 운행하는 구조로 구성된다[북 모드(book mode)].
원고 유리 스탠드(54)는 원고(P)의 에지를 맞닿게함으로써 원고(P)를 배치하기 위한 맞닿음 부재(55)를 구비한다.
판독기 모터(56)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7)에 의해 원고 판독 센서(53)를 주사 레일(52)을 따라 평행 이동시킨다.
원고 이송 장치(C)로부터 이송된 원고를 판독하는 동작 중에, 원고 판독 센서(53)는 (도7에 도시된) 판독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들은 원고 이송 장치(C)의 원고 적층 트레이(58)로부터 하나씩 이송 및 반송되어 판독 위치(D) 위에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원고가 판독된다.
일부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 또는 분리하거나, 검사를 위해 장치 내부 및 기타 장치들을 유지 보수하는 것을 수행할 경우에, 외부 덮개 및 유닛에 대해, 그리고 화상 형성부(A)에 대해 화상 판독부(B)를 활주시키는 기구를 갖는다.
도7에 도시된 장치에서, 레버(59)가 당겨져 화상 판독부(B)의 X방향(좌측)으로의 활주를 가능하게 한다.
원고 이송 장치(C)가 화상 판독부(B)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 판독부(B)의 활주 동작 동안 원고 이송 장치는 화상 판독부(B)와 함께 활주된다.
그러나, 화상 판독부(B)는 프레임(51), 원고 유리 스탠드(54), 원고 판독 센서(53), 원고 판독 센서(5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모터(56) 등] 등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또한, 유사하게 원고 이송 장치(C)는 복수개의 원고 반송용 롤러, 프레임, 배출 트레이, 구동부 등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어떤 경우에는 화상 판독부(B)와 원고 이송 장치(C)의 무게의 합이 예컨대 2kg 이상이 된다.
특히, 원고 이송 장치(C)의 경우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부품이 판독 위치(D)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그 무게 중심은 좌측에 있게 된다.
활주 유닛들이 전술한 바와 같은 무게를 갖고 무게 중심이 활주 방향으로 전방 단부측(좌측)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활주 동작 동안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변하며 화상 형성 장치는 활주 이동 측으로 기울어지기 쉽게 된다.
더욱이, 활주 유닛들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은 무게 중심을 갖는다면, 무게 중심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활주하게 되어 원활한 활주가 되지 않는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 모드에서 원고 에지 맞닿음 부재(55)가 좌측에 위치되고 유동 판독 모드에서의 판독 위치가 또한 좌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맞닿음 부재(55)는 판독부(D)의 우측에 위치해야 한다. 이것은 원고 유리 스탠드(54)의 측방향 폭을 증가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고, 이는 장치 크기의 증가를 유발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더욱이, 화상 판독부(B)의 판독 센서(5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판독기 모터(56)]는 화상 판독부(B)의 높이 방향으로 다른 부품들보다 더 큰 간격을 요구하기 때문에, 판독기 모터(56)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부(A)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부(A)는 화상 판독부(B)의 활주 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판독기 모터(56)의 운동 범위 내에서 절단되어야 한다. 판독기 모터(56)의 운동 범위가 크다면, 화상 형성부(A)의 절단 영역은 크게 되고 어떤 부품도 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없어서, 높이 방향으로 장치 크기의 증가를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고 이송 장치와 화상 판독부를 활주시키기 위한 기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 활주 동작 중에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의 위치의 변화를 감소시키고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원고 판독 장치 및 원고 이송 장치와, 그들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특정적인 구성은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 위에 위치하고 화상 형성부에 대해 시프트 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화상 판독부로 원고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원고 이송 장치이며, 상기 원고 이송 장치는 화상 형성부에 대해 화상 판독부와 일체로 활주 가능하고 시프트 방향으로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측 상에 무게 중심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서, 화상 판독부의 활주 동작 중에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의 위치 변화가 작으며, 화상 형성 장치는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판독부는 작은 활주력에 의해서 원활하게 활주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이 활주 동작 중에 시프트 방향으로의 화상 판독부의 기울어짐을 억제하기 때문에, 장치 프레임 상의 변형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화상의 질을 안정화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 위치의 시프트 방향으로의 변화를 감소시키고 화상 형성 장치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화상 판독부는 작은 활주력에 의해 원활하게 활주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이 활주 동작 중에 시프트 방향으로의 화상 판독부의 기울어짐을 억제하기 때문에, 장치 프레임 상의 변형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화상의 질을 안정화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흐름식 판독 모드에서 판독 위치가 시프트 방향으로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측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화상 판독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원고 반송 모터는 시프트 방향으로의 후방 단부측 상에 위치되고 원고 판독부의 센서 반송 모터는 시프트 방향으로의 전방 단부측 상에 위치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와 원고 이송 장치의 무게 중심 사이에 양호한 균형이 달성되고 센서 반송 모터의 활주 범위가 작아지게 되어 장치의 크기 감소를 달성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단면도.
도2는 화상 형성부와 화상 판독부의 활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화상 판독부가 화상 형성부에 대해 활주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a는 원고 이송 장치와 화상 판독부의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4b는 그의 우측면도.
도5는 원고 이송 장치의 전방 단면도.
도6은 원고 이송 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8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판독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프로세스 카트리지
8 : 기록 매체
51 : 프레임
52 : 주사 레일
53 : 원고 판독 센서
54 : 원고 유리 스탠드
55 : 맞닿음 부재
56 : 판독기 모터
57 : 구동부
59 : 레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고 이송 장치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도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복사기)의 본체는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부(A), 화상 판독부(B) 및 원고 이송 장치(C)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화상 판독부(B)와 원고 이송 장치(C)가 서로 별개인 구성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또한 화상 판독부(B)와 원고 이송 장치(C)가 원고 판독 장치로서 일체로 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화상 판독부(B)는 주사 레일(2)이 프레임(1)의 좌우측 상에 위치하고, 예컨대 접촉 화상 센서(CIS)와 같은 원고 판독 센서(3)가 원고 유리 스탠드(4) 상에 놓인 원고를 판독하기 위해 원고 유리 스탠드(4)와 평행하게 주사 레일(2) 상에서 주행하는 구조로 구성된다(북 모드에서).
맞닿음부(20)가 제공되어 원고의 전방 에지(좌측)를 맞닿게함으로써 원고를 배치시킨다. 원고 이송 장치(C)로부터 이송된 원고를 판독하는 동작 중에, 원고 판독 센서(3)는 판독 위치(D)에 위치되고, 원고 이송 장치(C)의 원고 적층 트레이로부터 원고가 하나씩 이송 및 반송되고, 각각의 원고는 판독될 판독 위치(D) 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된다(흐름식 판독 모드에서).
북 모드 및 흐름식 판독 모드 모두에서, 원고 판독 센서(3)를 이동시키기 위한 판독기 모터(21)는 원고 판독부(B)의 좌측 상에 위치된다(도1 참조).
전술한 북 모드 및 흐름식 판독 모드에서 판독된 화상 정보는 (도시 안된) 케이블을 통해 화상 형성부(A) 측의 스캐너 유닛(5)으로 전달된다.
스캐너 유닛(5)은 감광 드럼(7,드럼 형상의 감광 부재) 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6) 내의 감광 드럼(7) 상으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한 정보 광을 조사하고, 이 잠상은 현상제(이하 "토너")로 현상되어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기식으로, (용지와 같은) 기록 매체(8)가 픽업 롤러(10a)에 의해 이송 카세트(9)로부터 하나씩 분리되어 이송되고, 각각의 기록 매체는 반송 롤러(10b), 정합 롤러 쌍(10c) 등으로 구성된 반송 수단(10)에 의해 반송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6)와 같은 카트리지 형태 내의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11)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8)의 상부면 상으로 전사되고, 기록 매체(8)는 반송 수단(10)에 의해 정착 수단(12)으로 반송되고, 통과하는 기록 매체(8)에 열과 압력이 인가되어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고, 기록 매체는 배출부(13) 상으로 배출된다.
(화상 판독부의 활주부 구성)
화상 판독부(B)의 활주부 구성이 이하에 설명된다. 도2는 화상 형성부(A)와 화상 판독부(B)의 활주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화상 판독부(B) 상에 고정될 원고 이송 장치(C)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A)와 화상 판독부(B)는 화상 판독부(B)의 프레임(1) 상에 형성된 레일 안내부(1b)와 보스(1a)에 의해 그리고 화상 형성부(A) 상에 상부 표면부 위에 제공된 보스(14b)와 레일 안내부(14a)에 의해 서로 지지되며, 도3에 도시된 레버(15)가 당겨지면 화상 판독부(B)는 화살표(X)로 지시된 방향(시프트 방향)으로 화상 형성부(A)에 대해 도3에서 좌측으로 활주되도록 구성된다. 화상 판독부(B)가 화상 형성부(A)에 대해 시프트 방향으로 활주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6) 위의 영역은 크게 개방된다(도3 참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6)의 교환, 반송 작업 중의 기록 매체(8)의 잼 취급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는 화살표(X)로 지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복귀 방향)으로 화상 판독부를 활주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은 카트리지 교환 작업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원고 이송 장치의 구성)
원고 이송 장치(C)가 이하에 설명된다. 도4a 및 도4b는 원고 이송 장치(C)와 화상 판독부(B)의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4a는 평면도이고 도4b는 우측면도이다.
원고 이송 장치(C)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사양으로 화상 판독부(B)의 상부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장치이며, 원고 이송 장치(C)는 힌지(101L, 101R)가 화상 판독부(B)의 힌지 수용부(201) 내부로 활주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 이송 장치(C)는 또한 화상 판독부(B)의 활주 동작 동안 화상 판독부(B)와 일체로 활주된다.
도5는 원고 이송 장치(C)의 전방 단면도이다. 원고 이송 장치(C)는 화상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원고가 적층되는 원고 트레이(102)와, 원고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픽업 롤러(103)와, 픽업 롤러(103)의 하류 쪽에 패드(104)와 분리 롤러(105)로 구성된 분리부를 갖는다. 픽업 롤러(103)는 화상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적층된 원고의 최상부 원고(마지막 페이지)와 접촉하도록 분리 롤러(105)의 회전 중심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원고 세트 센서(141)가 픽업 롤러(103)와 분리 롤러(105) 사이에 배치되어 원고 트레이(102) 상에 원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정합 롤러 쌍(106, 107)은 분리 롤러(105)의 하류에 위치한다. 정합 전 센서(142)는 분리 롤러(105)와 정합 롤러 쌍(106, 107) 사이에 제공되어, 분리 롤러(105)에 의해 정합 롤러(106, 107)로 원고를 반송할 반송량을 결정한다. 화상 판독부(B)의 프레임(1)의 원고 유리 스탠드(4)에 대항하여 원고를 가압하면서 원고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플래튼 롤러(108)가 정합 롤러 쌍(106, 107)의 하류에 제공된다.
원고 유리 스탠드(4) 상의 원고를 배출하기 위한 반송 롤러 쌍(109, 110)이 플래튼 롤러(108)의 하류에 제공된다. 배출 트레이(118) 상으로 원고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롤러 쌍(111, 112)이 더욱이한 하류에 위치한다.
(구동 시스템)
도6은 원고 이송 장치(C)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롤러들은 기어열과 타이밍 밸트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 모터(121)의 풀리(123)는 타이밍 밸트(162)를 통해 개방 가능하고 폐쇄 가능한 덮개(151)의 회전 중심인 이송 구동 샤프트(143)의 풀리(161)와 연결된다. 이송 구동 샤프트(143)의 축 상에 위치한 풀리(125)는 타이밍 밸트(127)를 통해 분리 롤러 샤프트(133) 상에 위치한 풀리(126)와 연결된다. 풀리(126)는 타이밍 밸트(130)를 통해 픽업 롤러 샤프트(135) 상에 위치한 풀리(129)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한다.
풀리(126)의 회전 구동력은 일방향 클러치(124)를 통해 분리 롤러(105)로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력은 도5에서 시계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고 반시계 방향으로 전달된다. 풀리(129)의 회전 구동력은 커플링부(132)를 통해 픽업 롤러(103)로 전달된다. 전방 이송 아암(119)과 후방 이송 아암(120)은 분리 롤러 샤프트(133)와 픽업 롤러 샤프트(135)를 지지하고, 픽업 롤러(103)는 분리 롤러 샤프트(133)의 회전 중심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배열된다.
픽업 롤러 샤프트(135)는 풀리(129)와 후방 이송 아암(120) 사이에 마찰 부재(131)를 구비하고, 가압 스프링(134)이 후방 이송 아암(120) 쪽으로 이를 가압한다. 따라서, 풀리(129)가 풀리(126)에 의해 타이밍 밸트(130)를 통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픽업 롤러(103)는 마찰 부재(131)의 활주 하중 때문에 분리 롤러 샤프트(133)의 중심에 대해 반시계 방향(하향)으로 피벗된다. 풀리(126)가 역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픽업 롤러(103)는 분리 롤러 샤프트(133)의 중심에 대해 시계 방향(상향)으로 피벗된다.
정합 롤러(106), 플래튼 롤러(108), 반송 롤러(109) 및 배출 롤러(111)의 구동 시스템이 설명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은 구동 모터(121)의 풀리(122)로부터 타이밍 밸트(164)를 통해 풀리(163)로 전달된다. 일방향 클러치(165)가 풀리(163)와 연결되기 때문에, 분리 롤러(105)에 대한 구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구동만이 정합 롤러(106)에 전달된다. 따라서, 분리 롤러(105)는 구동 모터(121)의 정방향 회전 동안 반시계 방향 구동력을 받지만, 구동력은 정합 롤러(106)에 전달되지 않는다. 구동 모터(121)의 역방향 회전 동안, 구동력은 분리 롤러(105)에 전달되지 않지만, 시계 방향 구동력은 정합 롤러(106)에 전달된다.
풀리(166)는 정합 롤러(106)의 샤프트 상에 제공되며 구동력은 타이밍 밸트(168)를 통해 플래튼 롤러(108)의 샤프트 상의 풀리(167)에 전달된다. 정합 롤러(106)의 샤프트 상에 위치한 풀리(169, 172)의 구동력은 타이밍 밸트(171, 174)를 통해 풀리(170)와 풀리(173)로 전달되어 각각 반송 롤러(109)와 배출 롤러(111)를 회전시킨다.
(부품의 배치)
원고 이송 장치(C)의 원고 반송 부재로서 픽업 롤러(103), 분리 롤러(105), 정합 롤러 쌍(106, 107), 플래튼 롤러(108), 반송 롤러 쌍(109, 110) 및 배출 롤러 쌍(111, 112)과, 원고 반송 및 구동부로서 구동 모터(121)가 화상 판독부(B)의 시프트 방향[화살표(X)로 표시된 방향]으로 원고 이송 장치(C)의 길이의 중심(H)에 대해 시프트 방향 후방 단부측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원고 이송 장치(C)의 무게 중심(G)도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방향(X)으로의 원고 이송 장치(C)의 길이의 중심(H)에 대해 시프트 방향 후방 단부측(도4a에서 우측)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화상 판독부(B)와 원고 이송 장치(C)가 예컨대 프로세스 카트리지(6) 등을 교체하는 작업 중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방향(X)으로 활주될 때, 원고 이송 장치(C)의 무게 중심(G)의 위치는 화상 형성부(A) 상에 위치하고 화상 형성부(A)의 좌측으로 돌출된 임의의 위치에 있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의 위치 변화가 작게 되고 화상 형성 장치는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화상 판독부(B)는 작은 활주력에 의해 원활하게 활주될 수 있다.
한편 화상 판독부(B)에 관해서는, 주사 방향으로 원고 판독 센서(3)를 반송하기 위한 센서 반송 및 구동부인 판독기 모터(21)가 시프트 방향으로의 화상 판독부(B)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시프트 방향 전방 단부측(도1에서 좌측) 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프트 방향으로 전방 단부 근처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에서, 종래 장치의 경우에서와 같이 판독기 모터(21)가 화상 형성부(A)로 돌출할 때에도, 화상 형성부(A) 내에 판독기 모터(21)의 이동 범위는 시프트 방향으로 화상 판독부(B)를 활주하는 동작 동안에도 작게 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부(A)의 절단 범위는 작게되어 높이 방향으로의 장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Claims (8)

  1.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형성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 형성부에 대해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화상 판독부 상에 판독 위치로 원고를 반송시키도록 구성된 원고 이송 장치이며,
    상기 판독 위치는 상기 원고 이송 장치의 시프트 방향으로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 측상에 위치되고,
    상기 원고 이송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대해 상기 화상 판독부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원고 이송 장치의 시프트 방향으로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측 상에 위치하는 무게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고를 반송하기 위한 원고 반송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고 반송 구동부는 상기 판독 위치 근처에, 그리고 상기 원고 이송 장치의 시프트 방향으로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측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이송 장치.
  3.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 상의 판독 위치로 원고를 반송하기 위한 원고 이송부를 일체로 포함하며,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형성부 위에 위치하는 원고 판독 장치이며,
    상기 판독 위치는 상기 원고 이송부의 시프트 방향으로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 측상에 위치되고,
    상기 원고 판독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대해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원고 이송부의 시프트 방향으로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측 상에 위치한 무게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판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원고를 반송하기 위한 원고 반송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고 반송 구동부는 상기 판독 위치 근처에, 그리고 상기 원고 이송부의 시프트 방향으로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측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판독 장치.
  5.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 위에 위치하며 원고 상의 정보를 판독하도록 된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 위에 위치하고 화상 판독부 상에 판독 위치로 원고를 반송시키도록 된 원고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판독 위치는 상기 원고 이송 장치의 시프트 방향으로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 측상에 위치되고,
    상기 원고 이송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대해 상기 화상 판독부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원고 이송 장치는 상기 원고 이송 장치의 시프트 방향으로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측 상에 위치한 무게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이송 장치는 원고를 반송하기 위한 원고 반송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고 반송 구동부는 상기 판독 위치 근처에, 그리고 상기 원고 이송 장치의 시프트 방향으로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후방 단부측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부는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 센서와 주사 방향으로 상기 판독 센서를 반송하기 위한 센서 반송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반송 구동부는 시프트 방향으로의 길이의 중심에 대해 전방 단부측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이송 장치 및 상기 화상 판독부를 일체로 갖는 원고 판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0034777A 2001-06-22 2002-06-21 원고 이송 장치, 원고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455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89312 2001-06-22
JP2001189312A JP2003005473A (ja) 2001-06-22 2001-06-22 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276A KR20030001276A (ko) 2003-01-06
KR100455325B1 true KR100455325B1 (ko) 2004-11-06

Family

ID=1902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777A KR100455325B1 (ko) 2001-06-22 2002-06-21 원고 이송 장치, 원고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199910B2 (ko)
EP (1) EP1276310B1 (ko)
JP (1) JP2003005473A (ko)
KR (1) KR100455325B1 (ko)
CN (1) CN1205516C (ko)
DE (1) DE60237338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47B1 (ko) 2008-03-14 2012-04-13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5473A (ja) * 2001-06-22 2003-01-08 Canon Inc 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386478B1 (en) * 2002-03-28 2006-11-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ing device
KR100555744B1 (ko) * 2004-05-1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캔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31879B2 (ja) * 2004-10-29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55371B2 (ja) * 2005-02-28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反転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形成装置
JP4207927B2 (ja) * 2005-05-20 2009-0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50627B2 (ja) * 2006-06-09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記録装置
JP4977630B2 (ja) * 2007-01-30 2012-07-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8103186B2 (en) * 2007-06-22 2012-01-2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17598B2 (ja) * 2008-09-12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10093390A (ja) * 2008-10-03 2010-04-22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250585B2 (ja) * 2010-06-02 2013-07-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TW201401985A (zh) * 2012-06-18 201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
JP7452137B2 (ja) * 2019-03-29 2024-03-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TWD211342S (zh) * 2020-09-07 2021-05-0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掃描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8154A (en) * 1980-07-07 1983-03-29 Hoffman Lionel B Table top copy machine having a movable support and positioning frame for a copy sheet tray
US4449881A (en) * 1982-01-19 1984-05-22 Lane Joseph E Removable tire carrier
US4470695A (en) * 1982-12-15 1984-09-11 Eastman Kodak Company Auxiliary platen cover
US4548491A (en) * 1983-07-14 1985-10-22 Xerox Corporation Counterbalance subsystem to accommodate a variable center of gravity
JPS60137761A (ja) * 1983-12-27 1985-07-22 Toshiba Corp 紙葉類搬送装置
GB2214321B (en) * 1988-01-22 1991-07-10 Ricoh Kk Copier with an automatic document feeder
US5119213A (en) * 1990-07-27 1992-06-02 Xerox Corporation Scanner document absence code system
JPH07239584A (ja) * 1994-02-28 1995-09-12 Minolta Co Ltd 複写機
US5791645A (en) * 1995-03-10 1998-08-11 Ricoh Company, Ltd. Simple inverting path for an auto document feed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537981B2 (ja) * 1996-04-11 2004-06-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547579B2 (ja) 1997-03-18 2004-07-28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00092275A (ja) 1998-09-11 2000-03-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593700B2 (ja) * 1999-07-19 2010-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02058585A1 (en) * 2001-01-22 2002-08-01 Brown Dale G Non-crystalline saliva-soluble coatings for elastomeric monofilament dental tapes
JP2003005473A (ja) * 2001-06-22 2003-01-08 Canon Inc 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47B1 (ko) 2008-03-14 2012-04-13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6310A3 (en) 2004-01-21
JP2003005473A (ja) 2003-01-08
US7605954B2 (en) 2009-10-20
US20070121173A1 (en) 2007-05-31
EP1276310B1 (en) 2010-08-18
US20020196481A1 (en) 2002-12-26
CN1397852A (zh) 2003-02-19
KR20030001276A (ko) 2003-01-06
DE60237338D1 (de) 2010-09-30
CN1205516C (zh) 2005-06-08
EP1276310A2 (en) 2003-01-15
US7199910B2 (en)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5954B2 (en) Original feeding apparatus, original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63392B2 (en)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273101B2 (en)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and optional device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US2017013459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automatic coupling device
JP4097659B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構造
JP2023153217A (ja) 画像形成装置
EP2733541B1 (en) Sheet feed apparatus, and documen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70183181A1 (en)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document feeder
JP20043548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36275A (ja) 画像読取装置
JP2004093902A (ja) 画像形成装置
US7241985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having supported openably upstream and downstream portion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nd forming apparatus
JP2006240801A (ja) 画像形成装置
CN114253104B (zh) 原稿输送装置以及具备其的图像形成装置
JP200413315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71553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3359162B2 (ja) 原稿自動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050154A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4518404B2 (ja) 自動原稿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368953A (ja) 原稿送り装置
JP2015164879A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3319131A (ja) 原稿読取装置
JP2000118774A (ja) 原稿給排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読取記録装置
JP2019220774A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203771A (ja) シート給送装置、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