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540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540B1
KR100370540B1 KR10-1999-0042179A KR19990042179A KR100370540B1 KR 100370540 B1 KR100370540 B1 KR 100370540B1 KR 19990042179 A KR19990042179 A KR 19990042179A KR 100370540 B1 KR100370540 B1 KR 100370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sheet
mold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763A (ko
Inventor
고바야시가츠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00028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76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for production purposes, e.g. manufacture or mass pro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구조체로서 금속 베이스 플레이트 50상에 고정된 몰드프레임 52과, 제 2구조체로서 상기 금속 베이스 플레이트 50상에 고정된 금속프레임 54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몰드프레임 52은 금속프레임 54내에서 상기 몰드프레임 52이 금속프레임 54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몰드프레임 52은 화상형성부에 관계되고, 복사기능을 동작시키며, 인쇄기능을 동작시키고, 팩시밀리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다수의 부분들을 지지한다. 상기 금속프레임 54은 그외의 부분, 제어장치, 독취장치, 외부커버 및 그외 부분을 지지한다. 시트공급 카세트를 지지하여 상기 시트공급 카세트가 자유롭게 출입되도록 하는 레일부재 60가 몰드프레임 52에 관련하여 위치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AN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그들의 복합장치등과 같이, 종이시트 혹은 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상에 화상을 형성/기록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주요부들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의 구조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이러한 구조체들은 2가지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질 수 있다. 그 하나는 일본공개 특허공보 제 6-317953호와 8-10154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금속제 측판을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한가지는 일본공개 특허공보 제 6-17541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강재부재들이 서로 조립된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한쌍의 금속제 측판을 채택한 구조체에서는, 저비용으로서 부품요소들의 높은 이송효율과 고정도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중량( heavy weight)으로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생산효율이 낮고, 그 이유는 어느 한 장치에 설계되어진 구조는 다른 종류의 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금속프레임을 채택한 구조체는 경량이고 고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체는 다른 종류의 화상형성장치들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체는 비용, 수송효율 및 정도유지측면에서 불리한 결점이 있다. 그리고, 금속프레임을 채택하는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한 용접설비를 필요로 한다.
한편, 최근 디지털 기술이 널리 사용됨으로서, 특히 개인 컴퓨터의 놀라운 신장에 따라서, 프린터들이 시장에서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복사기, 프린터 및, 팩시밀리등 각각 독립적으로 생산되어 왔던 것들이 이제는 하나의 디자인(design)으로서 제작되고, 그로 인하여 공통부분들이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산라인을 제작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생산라인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새로운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의 구조를 갖는 새로운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도(a high accuracy)를 갖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새로운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강도를 갖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새로운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생산비용으로도 쉽게 조립되어질 수 있는 새로운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위치조정에러를 감소시켜, 즉 시트가 화상형성부로 정확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고화상품질을 갖는 화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메카니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메카니즘을 도시하고, 레일부재가 다른 방향으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주몸체 12..... 감광체
13..... 대전장치 14..... 현상장치
15..... 전사장치 16..... 소제장치
17..... 노광장치 20..... 폴리곤 미러
21..... 거울 22..... 렌즈
25..... 시트배출장치 27..... 제어장치
29..... 시트공급 카세트 32..... 스프링
33..... 시트공급롤러 38..... 시트공급 트레이
40..... 독취장치 41..... 광원
43..... 렌즈 유니트 44..... 광전변환소자
46..... 콘택트 유리판 50..... 금속 베이스 플레이트
52..... 몰드 프레임 54..... 금속프레임
56..... 프로세스 유니트 58..... 구동원
60..... 레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제 1부분, 상기 다수의 제 1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 1구조체 및, 상기 다수의 제 1부분이외의 다수의 제 2부분들을 지지하기 위한 제 2구조체들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다수의 제 1부분들은 복사기능을 동작시키고, 인쇄기능을 동작시키며, 팩시밀리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통부분들의 일부분 혹은 그 모든 것이다.
상기 제 1구조체는 몰드프레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구조체는 금속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몰드프레임은 금속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어질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금속프레임과 몰드프레임들이 모두 위치되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시트공급카세트와 상기 시트공급카세트를 지지하여 시트공급 카세트가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레일부재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제 1구조체에 관련하여 위치된다.
상기 레일부재는 다수의 규정된 방향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방향으로 택일적으로 위치되어지도록 조립되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조도면에서, 동일 참조부호들은 다수의 도면들을 통하여 동일 혹은 일치된 부분들을 나타내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며, 이는 원고의 화상을 복사하고,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처리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인쇄하며, 팩시밀리장치와 같은 원격 장치들 사이에서 화상정보를 전송/수신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참조부호 10는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를 나타낸다. 화상담지부재로서의 드럼형 감광체 12가 주몸체 10의 내부에 제공되며, 도 1에서 중앙에 인접한 우측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 12는 도 1에서 반시계방향( anti-clockwise direction )으로 회전된다.
감광체 12의 주위에, 롤형 대전장치 13, 현상장치 14, 롤형 전사장치 15, 소제장치 16등이 감광체 12의 회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롤형 대전장치 13는 감광체 12의 대각 상부부근에 배치된다. 노광장치 17는 소제장치 16의 일측에, 그리고 상기 현상장치 14로부터 대각 상부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정착장치 18는 상기 소제장치 16위에 제공된다.
노광장치 17의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는 레이저빔을 방출한다. 상기 레이저빔은 폴리곤 미러(polygonal mirror) 20에 의해서 편향되고, 한쌍의 거울 21들에 의해서 반사되며, 렌즈 22를 통해 외부로 향하여 출사구 23로부터 출사된다.
시트배출장치 25가 정착장치 18의 출구에 제공된다. 내부 배출시트 수납부26가 시트배출장치 25의 측방에 제공된다. 상기 배출시트 수납부 26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에 의해서 각각 화상들이 형성된 배출시트들을 수용할 수 있다. 제어장치 27가 상기 내부 배출시트수납부 26의 하부측에, 그리고 노광장치 17의 측방에 제공된다. 상기 제어장치 27는 복사작동, 인쇄작동 및 팩시밀리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전장장치 28가 상기 노광장치 17의 하부에, 그리고 제어장치 27의 측방에 제공된다.
시트공급 카세트 29가 주몸체 10의 하부측에 출입이 자유롭도록 제공된다. 기록매체로서의 종이시트 30들이 하부플레이트 31상에 수용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 31는 스프링 32의 작용력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부 시트 30의 전방모서리가 시트공급롤러 33에 접하게 된다.
상기 시트공급롤러 33는 분리패드 34측으로 밀착된다. 시트공급통로 35가 상기 시트공급롤러 33와 상기 분리패드 34사이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감광체 12와 전사장치 15사이의 일부분으로 향하여 제공된다. 한쌍의 등록 롤러 36들이 시트공급통로 35내에 제공된다.
수동시트공급 트레이 38가 주몸체 10의 우측에서 좌우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개폐되어지도록 제공된다. 수동시트공급모드에서, 상기 수동시트공급 트레이 38는 개방되고, 한 장의 시트 혹은 여러 장의 시트들이 상기 수동 시트공급트레이 38상에 수용된다. 수동시트공급 롤러 39가 회전되어 한 장의 시트가 상기 등록롤러 36 쌍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독취장치 40가 주몸체 10 상에 제공된다. 상기 독취장치 40는 광원41, 다수의 거울 42들, 렌즈 유니트 43, 광전변환소자( a charge coupled device )(CCD) 44 등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 41과 다수의 거울 42들은 이동부재(미도시)상에 제공된다.
콘택트 유리판 46이 상기 독취장치 40의 상면에 제공된다. 상기 콘택트 유리판 46에 원고를 눌러 주기 위한 원고 커버(미도시)가 상하 양방향으로 개폐가 자유롭도록 제공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여 복사를 하는 경우, 하방으로 향하여진 원고의 화상이, 상기 원고 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콘택트 유리판 46의 상부에 세트되고, 그 다음 원고커버가 덮여져서 상기 원고가 상부로부터 가압된다. 그리고, 주몸체 10의 조작판넬에 위치된 시작 스위치가 눌리워진다. 상기 원고는 콘택트 유리판 46의 상부에 수동으로 세트되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자동원고 공급장치가 사용되어 상기 콘택트 유리판 46으로 원고들을 자동 공급할 수 있다.
시작 스위치가 눌리워지면, 상기 이동부재는 콘택트 유리판 46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여 판독되어야 할 표면을 주사한다. 상기 광원 41으로부터 방출된 광빔이 판독되어야 할 표면으로 주사되어 상기 표면으로부터 광빔이 반사된다. 상기 반사된 광빔은 대수의 거울 42들에 의해서 더욱 반사되고, 렌즈 43를 통하여 광전변환소자 44내로 유입된다. 상기 광전변환소자 44는 광빔의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원고의 화상정보가 독취장치 40에 의해서 판독되어지고, 디지털 화상처리로 처리되어진다.
그리고, 시작 스위치가 눌리워지면, 감광체 1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그리고, 상기 회전하는 감광체 12의 표면은 대전장치 13에 의해서 균일하게 대전된다. 다음,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상기 독취장치 40에 의해서 판독되어진 화상정보에 근거하여 레이저빔을 방출한다. 상기 감광체 12의 표면은 노광장치 17로 부터의 레이저빔으로서 조사되어(irradiated) 정전잠상이 그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광체 12의 회전에 수반되어지는 상기 잠상은 토너로서 현상되어 상기 판독화상에 일치하는 가시 토너화상이 상기 감광체 12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작 스위치가 눌리워지면, 상기 시트 공급 롤러 33가 회전된다. 상기 시트공급 카세트 29내에서 분리 패드 34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분리된 시트 30는 시트공급통로 35로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 30는 상기 등록 롤러 36쌍에 접촉된 후 정지한다.
한 장의 시트가 수동으로 복사를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시트는 수동시트공급 트레이 38상에 세트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는 상기 시작 스위치가 눌리워지는 경우에 작동개시하는 상기 수동 시트공급롤러 39의 회전에 따라 주몸체 10내로 진입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 30는 상기 등록 롤러 36쌍에 접촉된 후 정지한다.
상기 등록 롤러 36 쌍은 감광체 12상에 형성된 상기 언급된 화상의 이동에 동기하는(synchronized) 타이밍으로서 회전된다. 즉, 상기 시트 30는 감광체 12와 전사장치 15사이의 일부분으로 공급된다. 상기 감광체 12상의 화상은 전사장치 15에 의해서 상기 시트 30로 전사된다.
전사된 화상을 갖는 시트 30는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서 상기 전사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장치 18로 공급된다. 화상이 정착되어진 상기 시트 30는 시트배출장치 25에 의해서 취출되어 내부 배출시트 수납부 26상에 적재되고, 여기서 상기 시트 30의 화상측이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화상이 전사된 후의 감광체 12는 소제장치 16에 의해서 소제되어 잔류 토너가 상기 감광체 12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감광체 12의 소제부는 대전장치에 의한 대전 공정으로서 시작되는 다음 화상형성 공정에 대해 준비상태로 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 10는 시트공급 테이블상에 장착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트공급 테이블내의 시트는 주몸체 10내로 공급되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는 등록롤러 36 쌍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화상이 전사시트상에 형성된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참조부호 50는 주몸체 10의 하부측 내에 위치된 금속제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제 1구조체로서의 플라스틱 몰드 프레임 52이 나사, 리벳 등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50에 직접 고정된다. 제 2구조체로서의 금속 프레임 54도 나사, 리벳, 용접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50상에 직접 고정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 52은 상기 금속 프레임 54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금속 프레임 54내에 배치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 52은 몰딩 방식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 52은 주로 화상형성작동에 관계되고, 복사작동, 인쇄작동 및 팩시밀리 작동등을 위한 공통부분의 일부 혹은 모두인 다수의 부분들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몰드 프레임 52은 프로세스 유니트 56, 상기 노광장치 17, 구동전달장치 57, 구동원 58, 상기 시트 30를 이송하기 위한 시트이송장치(미도시)등을 지지한다.
상기 프로세스 유니트 56는 예를 들면, 도 1의 감광체 12, 대전장치 13, 현상장치 14, 소제장치 16등을 포함하는 유니트이다. 상기 구동전달장치 57는 구동원 58으로부터 피동장치, 예를 들면 감광체 12, 대전장치 13, 현상장치 14, 전사장치 15, 소제장치 16, 정착장치 18 및, 시트이송장치등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금속프레임 54을 제작하는 경우, 다수의 채널(channel)부재가 조립되어 하나의 골조(framework)를 형성한다. 상기 금속 프레임 54은 몰드 프레임 52에 의해서 지지되어지지 않는 다른 부분들을 지지한다. 즉, 상기 금속 프레임 54은 주로, 복사작동, 인쇄작동 혹은 팩시밀리 작동을 위한 각각의 특정기능을 갖는 다수의 부분들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 프레임 54은 다른 부분들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금속프레임 54은 제어장치 27, 전장장치 28, 독취장치 40, 주몸체 10의 외부커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이송하기 위한 핸들 쌍들을 지지한다.
그리고, 레일 60 쌍들이 베이스 플레이트 50의 하부에 제공된다. 상기 레일 60쌍들은 시트공급 카세트 29를 지지하여 상기 시트공급 카세트 29가 자유롭게 출입되는 것이다. 상기 레일 60 쌍들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상기 레일 60 쌍의 개구부들이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한쌍의 고정핀 61들이 도 2의 좌측 레일 60의 양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레일 60이 정확하게 위치되어진다. 각 고정핀 61이 베이스 플레이트 50의 구멍 50a을 통해 몰드 프레임 52의 구멍(미도시)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레일 60은 몰드 프레임 52에 관련하여 정확하게 위치되어진다.
나사, 리벳등(미도시)을 사용하여, 도 2의 좌측레일 60이 몰드 프레임 52과함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50에 고정되거나, 혹은 몰드 프레임 52과는 별도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50에 고정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 52과 아무런 접촉없이, 도 2의 우측레일 60이 적절한 위치조정으로서, 그리고 나사, 리벳등(미도시)을 이용하여,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 50의 구멍 50b, 혹은 그와 유사한 것들을 활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50에 고정된다.
상기 설명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레일 60 쌍이 베이스 플레이트 50의 우측 및 좌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공급 카세트 29가 시트이송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관련하여 자유롭게 출입된다. 다르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공급 카세트 29가 시트이송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관하여 자유롭게 출입되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쌍의 레일 60이 사용가능하며, 이는 도 2의 레일 60 쌍과 유사한 단면을 가지고,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다. 상기 레일 60 쌍들은 각각 도 3의 상하부 모두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 60 쌍의 개구측이 평행으로, 그리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다수의 위치조정 핀들 각각은 각 레일 60의 단부에 위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 50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 50a들을 통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 52의 다수의 위치조정구멍(미도시)내에 결합된다. 상기 각 레일 60의 타단부는 적절한 위치조정으로서, 나사, 리벳등(미도시)을 사용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 52에 아무런 접촉없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50에 고정된다.
복사작동에서, 상기 주몸체의 전면측이 넓은 때에는, 복사를 위한 원고가 독취장치 40상에 쉽게 세트된다. 그리고, 복사작동에서는, 많은 수의 복사가 빈번하게 일시에 형성되거나, 혹은 큰 화상도 빈번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많은 량의 배출시트 혹은 상기 큰 시트들이 독취장치 40하부의 배출시트 수납부 26로부터 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주몸체의 넓은 전방표면은 화상이 그 위에 형성되어진 배출시트들을 인출하는 데에도 이점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인쇄작동에서는, 복사를 위한 원고는 독취장치상에 세트되지 않는다. 그리고, A3 크기의 시트와 같은 큰 시트를 필요로 하는 큰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요구사항들도 제한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가 한정된 배치공간내에 설치되는 때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주몸체의 좁은 전방측이 바람직하다.
시트장입작동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시트공급 카세트 29는 일반적으로 상기 전방측으로부터 자유롭게 출입되어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조립하는 경우, 몰드 프레임에 관련하여 시트공급 카세트를 출입시키는 방향은, 전면(front)으로서 선택되어진 몰드 프레임의 측면에 따라서 택일적으로 변경되어진다. 예를 들면, 복사기에서, 상기 레일 60 쌍들은 상기 시트들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프레임의 넓은 전방측면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 다르게는, 프린터에서, 상기 레일 60쌍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프레임의 좁은 측면에서 시트들이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쌍의 방향은 프린터 혹은 복사기 각각에 적합하도록 선택되어진다. 다르게는, 상기 레일의 방향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일 쌍의 방향은 사용자의 설치공간에 적합하도록 택일적으로(optionally) 선택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쌍의 방향은 사용자의 습관(custom)에 따라서 택일적으로 선택되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원고의 화상을 복사하고,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처리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시트상에 인쇄하며, 팩시밀리장치와 같이 원격의 장치들 사이에서 화상정보를 송신/수신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혹은 팩시밀리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은 아래와 같은 새로운 효과들을 갖는다.
(1) 제 1구조체와 제 2구조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 1구조체는 복사기능을 작동시키고, 인쇄기능을 작동시키며, 팩시밀리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통부분들의 일부 혹은 모든 부분인 다수의 부분들을 지지한다. 상기 제 2구조체는 나머지 부분들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 1구조체와 상기 제 1구조체에 의해서 지지되어지는 부분들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장치 및 그 복합장치들을 생산하는 데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부에 관계된 동일한 기본구조가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화상형성장치를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화상형성장치들이 독립적으로 설계되어지는 경우에 비교하여 설계비용이 전체적으로 감소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효과적으로 조립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구조체가 복사기능을 작동시키고, 인쇄기능을 작동시키며, 팩시밀리기능을작동시키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화상형성부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는 기본유니트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분들이 고정도로 지지되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부분들 사이의 위치조정에러들이 감소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화상이 제공되어진다.
(2) 상기 제 1구조체가 플라스틱 몰드 프레임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저비용과 고정도로서 생산되어질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중량이 감소된다.
(3) 외부커버등과 같은 그 밖의 부분들을 지지하는 제 2구조체가 금속프레임일 때, 상기 제 1구조체는 외부커버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고강도를 갖는다.
(4)상기 몰드프레임이 금속프레임내에 위치되는 경우, 복사기, 프린터 및 팩시밀리 장치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상형성장치들이 특정작동을 위한, 예를 들면 복사작동, 인쇄작동 혹은 팩시밀리작동을 위한 부분들이 지지되어지는 금속 프레임을 채용함으로서 높은 조립특성으로서 생산되어질 수 있다.
(5) 금속프레임과 몰드프레임 모두가 하나의 공통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배치되는 때, 외력 예를들면, 외부커버를 통하여 상기 금속프레임에 인가되어지는 힘은 몰드프레임에 직접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로 인가되어지는 외력에 기인한 화상품질의 열화가 방지되어진다.
(6) 금속프레임의 정확도는 몰드프레임에 비하여 저하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상기 금속프레임의 정확도가 몰드프레임의 정확도와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금속프레임은 쉽게 생산되어질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고화상품질을 얻음에 있어서, 구조체에서 정확도의 개선은 몰드프레임의 정확도에 주로 집중되는 것이다.
(7) 시트공급카세트를 지지하기 위한 레일부재가 상기 제 1구조체에 관련해서 위치되는 때, 전체 위치조정에러는 감소되어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시트가 상기 제 1구조체에 의해서 지지되는 화상형성부로 정확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고화상품질을 갖는 화상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8) 상기 레일부재가 다수의 규정된 방향으로부터 선택되어지는 어느 한 방향으로 택일적으로 위치되어지도록 조립될 수 있는 경우, 시트공급카세트로 시트를 장입시키는 방향은 사용자의 습관 혹은 화상형성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등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명백한 것은, 여기에 개시된 여러 실시예들의 다양한 개선구조와 변형구조들이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특정하게 여기에서 기술된 것과는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본 건은 1998. 10. 3자로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 10-281187호와 1999. 9. 10자로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제 11-256606호에 근거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수록되어 있다.

Claims (8)

  1. 다수의 제 1 부분들;
    상기 다수의 제 1부분들을 지지하는 제 1 구조체(52);
    상기 다수의 제 1부분들 이외의 다수의 제 2 부분들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구조체(54);
    상기 제 1구조체(52)와 제 2구조체(54)가 모두 상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0);
    시트공급 카세트(29); 및,
    상기 시트공급 카세트(29)를 지지하여 상기 시트공급 카세트가 자유롭게 출입하도록 하는 레일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 1부분들은 복사기능을 동작시키고, 인쇄기능을 동작시키며, 팩시밀리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통부분들의 일부분 혹은 모든 부분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레일부재(60)는 상기 제 1 구조체(52)에 관계되어 위치된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조체(52)는 몰드프레임이고, 제 2구조체(54)는 금속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프레임(52)은 금속프레임(54)내에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60)는 다수의 규정된 방향으로부터 선택되어진 어느 한 방향으로 택일적으로 위치되어지도록 조립되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삭제
KR10-1999-0042179A 1998-10-02 1999-10-01 화상형성장치 KR100370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118798 1998-10-02
JP10-281187 1998-10-02
JP25660699A JP3897497B2 (ja) 1998-10-02 1999-09-10 画像形成装置
JP11-256606 1999-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763A KR20000028763A (ko) 2000-05-25
KR100370540B1 true KR100370540B1 (ko) 2003-01-29

Family

ID=2654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179A KR100370540B1 (ko) 1998-10-02 1999-10-0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67221A (ko)
JP (1) JP3897497B2 (ko)
KR (1) KR100370540B1 (ko)
CN (1) CN1214293C (ko)
DE (1) DE1994667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8990B2 (ja) * 1999-08-31 2005-12-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207338A (ja) 2001-01-10 2002-07-26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の色ずれ検出方法,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042127B2 (ja) 2001-01-10 2008-02-06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375918B2 (ja) 2001-04-26 2009-12-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136600B2 (en) * 2002-02-28 2006-11-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ntroller driving image carriers
JP2004012549A (ja) * 2002-06-03 2004-01-15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の色ずれ検出方法、その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EP1400873B1 (en) * 2002-09-20 2014-04-02 Ricoh Company, Ltd. Belt device for a 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adapted for an adjacent heat source
JP3604683B2 (ja) * 2002-09-24 2004-12-22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タンデムドラム式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に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476765B1 (ko) * 2002-10-28 200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기의 일체형 프레임
JP2004312711A (ja) * 2003-03-25 2004-11-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を遠隔のアプリケーションにより操作する方法
JP4264315B2 (ja) * 2003-07-02 2009-05-13 株式会社リコー レジストローラの回転速度設定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EP1498785B1 (en) * 2003-07-18 2015-12-0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speed control of a belt
JP4272565B2 (ja) * 2003-07-18 2009-06-03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駆動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59124B2 (ja) * 2003-07-31 2010-10-06 株式会社リコー 色ずれ検出補正方法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5075529A (ja) * 2003-08-29 2005-03-24 Ricoh Co Ltd ベルト駆動制御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64396B2 (ja) * 2004-01-20 2007-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支持構造体
JP4758194B2 (ja) * 2005-10-13 2011-08-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948042B2 (ja) 2005-10-31 2012-06-06 株式会社リコー 色ずれ補正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08894B2 (ja) * 2006-03-30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52652B2 (ja) * 2008-04-30 2013-02-27 株式会社リコー 構造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4867956B2 (ja) * 2008-07-17 2012-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70101B2 (ja) * 2009-11-27 2013-12-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03695B2 (ja) 2010-11-08 2015-04-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
US20200274986A1 (en) * 2016-04-27 2020-08-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 assembly fr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807A (en) * 1979-02-12 1980-12-02 Coulter Systems Corporation Modular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US4785319A (en) * 1986-08-05 1988-11-1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graphic apparatus
EP0271720B1 (en) * 1986-11-17 1991-06-19 Sharp Kabushiki Kaisha Multiple-unit type copying apparatus
JP3304149B2 (ja) * 1992-12-04 2002-07-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
JPH06317953A (ja) * 1993-04-28 1994-11-15 Canon Inc フレーム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01546A (ja) * 1994-10-03 1996-04-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
JP3374580B2 (ja) * 1995-03-23 2003-02-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092696B2 (ja) * 1996-04-25 2000-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32661A (ja) * 1996-07-15 1998-02-03 Ricoh Co Ltd デジタル画像形成装置
JP3397992B2 (ja) * 1996-11-12 2003-04-2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67221A (en) 2000-12-26
DE19946676B4 (de) 2005-09-01
JP3897497B2 (ja) 2007-03-22
KR20000028763A (ko) 2000-05-25
CN1250169A (zh) 2000-04-12
DE19946676A1 (de) 2000-04-20
CN1214293C (zh) 2005-08-10
JP2000174956A (ja) 200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540B1 (ko) 화상형성장치
US73022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802426A (en) Unit positioning memb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EP2773095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reduced vibration transmission between scanning shaft and scanning carriage, and composite apparatus including said image reading apparatus
US666504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178006A (ja) 光書込ヘッドの位置決め構造
US7738144B2 (en) Document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2180706A (zh) 成像装置
JP4446985B2 (ja) 画像形成装置
JP3377379B2 (ja) 画像形成装置
CN112830282B (zh) 纸张存储装置和成像装置
JP7377632B2 (ja) 画像形成装置
US110098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s for print head
JP3333343B2 (ja) 給紙装置
US20120182368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369548B2 (ja) 画像形成装置
JP4010437B2 (ja) 画像形成装置
US88182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348076A (ja) 画像読取/印画装置
JP2003048660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54759B2 (ja) 用紙排紙装置
JP3679612B2 (ja) 排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44166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05594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2433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