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197B1 - 화상독취장치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197B1
KR930002197B1 KR1019900016397A KR900016397A KR930002197B1 KR 930002197 B1 KR930002197 B1 KR 930002197B1 KR 1019900016397 A KR1019900016397 A KR 1019900016397A KR 900016397 A KR900016397 A KR 900016397A KR 930002197 B1 KR930002197 B1 KR 93000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ead
close
reading apparatus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168A (ko
Inventor
장철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101990001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197B1/ko
Publication of KR92000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독취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화상독취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독취장치의 요부 단면도.
제3도의 (a), (b) 및 (c)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독취로울러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
제4도는 독취로울러와 가이드 부재의 결합 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이용시 자동원고분리 및 급지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독취로울러 2,13 : 밀착 이미지 센서
3,15,15a∼15c : 원고 4 : 기록지
5 : TPH(Thermal Printer Head) 6 : 기록용지 이송로울러
7 : 용수철 8 : 원고자동 급지로울러
9 : 원고분리판 10 : 압력스프링
11 : 가이드 부재 14 : 밀착 이미지 센서 지지 용수철
본 발명은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독취로울러와 상기 독취로울러에 접촉하는 가이드 부재를 갖는 밀착형 센서만을 가지고 원고의 반송 및 독취기능을 수행하는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화상독취 및 급지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독취를 위한 독취로울러(1) 및 밀착 이미지 센서(2)외에 원고의 자동급지를 위해 원고자동 급지로울러(8) 및 원고분리판(일반적으로 고무판임)과, 원고분리용 압력 스프링(10), 동력 전달용 기어 또는 벨트(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치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품 수량이 많아짐에 따른 비용 부담이 가중되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배제하기 위해 인출된 것으로서,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일부에 고착되는 가이드 부재를 정속 이송용 로울러에 접촉시키고, 이에 의해 원고의 자동분리 및 급지기능과 독취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크게 간략화시킨 화상독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원고의 화상데이타를 읽어 들이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독취로울러, 상기 독취로울러에 밀착되어 원고의 화상데이터를 독취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일부에 고착되며 상기 독취로울러와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원고의 자동분리 및 급지기능과 독취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제2도 내지 제5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독취장치의 요부단면 구조도로서, 도면에서 11은 독취로울러, 12는 원고자동 급지 및 분리기능을 갖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 13은 밀착 이미지 센서, 14는 밀착 이미지 센서 지지 용수철, 15는 원고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고의 자동분리 및 급지기능과 반송기능을 담당하는 독취로울러(11) 및 가이드 부재(12)와, 상기 가이드 부재(12)가 일정 부위에 고착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13)만으로서 효과적인 송신 원고를 분리ㆍ급지하는 동시에 데이타를 읽어들이도록 구성함으로서, 종래의 원고자동 급지용 로울러(8) 및 원고분리판(9) (제1도 참조)를 제거하였다.
본 발명에 이용된 독취로울러(11)는 제3도의 (a),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헝상을 갖을수 있는데, 도면에서 (a)는 통상적인 독취로울러이고, (b)는 일정폭(11)에 단(d1-d2)을 형성하여 밀착이미지 센서(13)와의 밀착력을 증가시킨 독취로울러이며, (c)는 중앙부 외경(d3)이 양쪽 끝단부 외경(d4)보다 크도록 호( )형상을 형성하여 중앙부의 밀착력을 증가시킨 독취로울러이다. 상기와 같은 각 형상의 독취로울러(11)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13)의 일부에 고착되는 가이드 부재(12)와 접촉되어 원고를 반송하게되는데, 이의 결합 상태를 제4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바, 상기 가이드 부재(12)의 일정 면적에 미세한 요철 가공면을 형성하여 표면 마찰계수를 일반 강판보다 높였다. 따라서, 상기의 밀착력이 증가된 독취로울러(11)의 중앙부위(돌기부위)와 밀착형 센서(13)에 고착된 미세한 요철 가공면을 갖는 가이드 부재(12)가 접촉되어 원고의 자동분리 및 급지와 독취기능을 겸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13)는 내부에 LED광원(13a) 및 SLA(Selfoc Lens Array)를 내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3도의 (b)에 도시된 형상의 독취로울러(11)와 상기한 바와 같은 가이드부재(12)가 결합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의 (b)에서 단자(외경차 : d1-d2)를 α라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약 50μ∼100μ 정도로 하고, 단의 길이(l1)는 40mm∼60mm로 한다.
이때 α 및 l1은 확정적인 수치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약간씩 달라진다. 제4도에서 독취로울러(11)와 접촉하는 가이드 부재(12)의 미세한 요철가공면의 폭(12)은 독취로울러의 단진 길이(l1)보다 작게 하여 분리기능을 더욱 촉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원고자동 급지각도(θ)를 25°이상으로 하여 원고자체의 중량에 의해 독취로울러(11)와 가이드 부재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12)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고독취로울러의 원주와 같은 원호 이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다매급지에 관한 분리기능을 촉진시키도록 한다. 또 분리기능을 촉진시키기 위해 독취로울러 직경을20 이상 가능한한 크게 할수록 좋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이용시 자동원고분리 및 급지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상기 제2도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였으며, 15a, 15b 및 15c는 세팅된 원고를 나타낸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본 장치 외부에 위치한 조작판에서 "스타트"(start) 버튼을 누르면 독취로울러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원고독취로울러(11)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에 밀착 이미지 센서(13)에 부착된 용수철(14)의 반발력에 의해 원고독취로울러(11)와 가이드 부재(12) 사이에 급지압력이 발생한다. 원고가 1매 세트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상기 원고독취로울러(11)와 원고(15)사이의 마찰계수를 μ1, 상기 원고(15)와 가이드 부재 사이의 마찰계수를 μ3라 하면, μ1〉μ3가 세트된 1매가 급지되면서 밀착 이미지 센서(13)의 작동에 의해 원고가 독취된다.
또한, 원고가 2매 이상 세트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상기 독취로울러(11)와 제1원고(15a) 사이의 마찰계수를 μ1, 원고와 원고사이의 마찰계수를 μ2, 마지막 원고(15c)와 가이드 부재(12) 사이의 마찰계수를 μ3라 하면, μ1〉μ3〉μ2가 되어 제1원고, 제2원고, 제3원고, ···순으로 차례로 급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각 마찰계수는 μ1≒0.7∼0.8, μ2≒0.1∼0.15, μ3≒0.2∼0.3 정도의 값을 갖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팩시밀리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우선, 별도의 원고자동 급지로울러 및 동력전달 기구를 삭제하여 장치의 구조를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소요 부품을 줄여 경제성을 제고시킨다. 또한 원고자동 분리기능을 하는 독취로울러의 중앙부 일정구간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만이 밀착 이미지 센서에 고착된 가이드 부재화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독취로울러의 전체 길이 접촉시보다 마찰부하를 감소시켜 더 적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할수 있게 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시킨다.

Claims (6)

  1.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원고의 화상데이타를 읽어 들이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독취로울러(11), 상기 독취로울러(11)에 밀착되어 원고의 화상데이터를 독취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13),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13)의 일부에 고착되며 상기 독취로울러(11)와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12), 및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13)를 지지하는 지지수단(14)으로 구성되어 원고의 자동분리 및 급지기능과 독취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취로울러(11)는 중앙의 일정폭(l1)에 단(외경차 : d1-d2)을 형성하며 밀착력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취로울러(l1)는 중앙부 외경(d3)을 최대로 하고 양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d4)을 점차 감소시켜 형성함으로서 밀착력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2)는 독취로울러(l1)와의 접촉면에 미세한 요철 가공면을 형성하여 표면 마찰계수를 높여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2)의 미세한 요철 가공면은 독취로울러(11)의 중앙부 돌출부위폭보다 좁게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2)는 독취로울러(11)의 원주와 동일한 원호 이상으로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KR1019900016397A 1990-10-15 1990-10-15 화상독취장치 KR93000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397A KR930002197B1 (ko) 1990-10-15 1990-10-15 화상독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397A KR930002197B1 (ko) 1990-10-15 1990-10-15 화상독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68A KR920009168A (ko) 1992-05-28
KR930002197B1 true KR930002197B1 (ko) 1993-03-27

Family

ID=1930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397A KR930002197B1 (ko) 1990-10-15 1990-10-15 화상독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1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68A (ko)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05686A1 (en) Duplex image reading apparatus
JPH04225678A (ja) 透明な撮像兼駆動ローラ付き電子文書スキャナ
KR930002197B1 (ko) 화상독취장치
EP0281820B2 (en) Paper transport system
US20100013144A1 (en) Paper feed apparatus
EP1508839A2 (en) Sheet-feeding apparatus
JP3780998B2 (ja) 給紙装置
KR100290323B1 (ko) 팩시밀리의원고급지장치
WO2023089741A1 (ja) 媒体搬送装置
JP3378123B2 (ja) 原稿分離搬送装置
KR20040087366A (ko)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JP3535586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H02305169A (ja) 画像読取装置
JP2552956B2 (ja) 原稿読取装置
KR200180348Y1 (ko) 가이드홈이 구비된 팩시밀리의 이송롤러
JP3446395B2 (ja) 原稿自動分離搬送装置
KR970001902Y1 (ko) 급지장치
JP2002104683A (ja) 給紙装置
JPH03249038A (ja) シート搬送装置
JPH0724845Y2 (ja) 画像読取装置
JPH05103165A (ja) 原稿読取装置
JPH0698117A (ja) 画像読取装置
JPH03279140A (ja) 画像読取装置
JPH0344262A (ja) イメージスキャナ装置
JPH09238216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