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752A - 고체 전해질, 이를 채용한 전지 및 그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체 전해질, 이를 채용한 전지 및 그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752A
KR20040069752A KR1020030006288A KR20030006288A KR20040069752A KR 20040069752 A KR20040069752 A KR 20040069752A KR 1020030006288 A KR1020030006288 A KR 1020030006288A KR 20030006288 A KR20030006288 A KR 20030006288A KR 20040069752 A KR20040069752 A KR 20040069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electrolyte
group
glass
tio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726B1 (ko
Inventor
박영신
이종흔
진영구
이석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726B1/ko
Priority to US10/757,500 priority patent/US7273682B2/en
Priority to EP04250404A priority patent/EP1443582A1/en
Priority to JP2004024681A priority patent/JP4532128B2/ja
Publication of KR2004006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14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전지에 관한 것이다.
a Li2O - b B2O3- c M -d X
상기에서, M은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X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0.4<a<0.55, 0.4<b≤0.55, 0.02<c<0.05, a+b+c=1이며, 0≤d/(a+b+c)<0.2이다.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이온 전도도가 높으며, 이를 채용하는 리튬 전지 또는 박막 전지는 충방전 속도, 출력 및 사이클 수명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고체 전해질, 이를 채용한 전지 및 그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Solid electrolytes, batteries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체 전해질, 이를 채용한 전지 및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온 전도 특성과 전기 화학적 안정성이 개선된고체 전해질,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또는 박막 전지 및 그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과 이동 통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시작된 정보 혁명에 의해 정보 기기의 디지털화, 소형화, 멀티미디어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휴대용 정보 기기인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에너지원으로서 중량이 작으면서도 에너지 밀도가 큰 리튬 이온 전지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가 더욱 진행될 경우 2차 전지가 시스템의 크기를 결정하는 장벽이 되기 쉬운데, 그 대표적인 예로써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스마트 IC 카드, 마이크로 센서, 마이크로 로봇 등이 있다. 반도체 공정과 MEMS 기술의 발전으로 예측해 볼 때, 박막 전지는 차세대의 소형 시스템에 대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박막 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박막 전지는 기본적으로 집전체(11)상에 캐소드(12), 전해질(14) 및 애노드(13)가 박막 형태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전체적인 두께가 약 10㎛ 정도로 제조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고 있다.
즉, 박막으로 증착하여 캐소드 근처에 애노드를 배치함으로써 전류 밀도가 높고, 전지 효율 특성이 우수하며, 박막으로 형성하므로 이온간의 이동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 이온의 이동이 보다 용이해지고 빨라지기 때문에 반응 물질의 함량을 매우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박막 전지는 특별한 목적에 부합되도록임의의 모양과 크기로 제작하기가 용이하여 초소형 전자 소자,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소자 및 초소형 센서들을 구동시키는 주 전원으로서 매우 유망하다.
박막 전지는 특히 반도체의 제조 공정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되기 때문에 반도체 칩 위에 전자 회로와 함께 실장될 수 있어 이를 백업(backup) 전원으로 하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메모리 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의 불용 공간을 최소화시켜 공간 이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적절한 설계와 식각 공정을 통한 직렬 및 병렬 연결로 다양한 전압 및 용량을 가진 전지로 구현될 수 있어 이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박막 전지는 기존의 리튬 이온 전지와 달리 완전한 고상의 Li+이온 전도체가 필요한데, 대기 중에서의 안정성을 고려했을 때 LISICON 계, Li4SiO4-Li3PO4고용체, Li2O-B2O3-SiO2계, Lipon (Lithium phosphorus oxynitride) 등이 적합한 전해질 재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Li+이온전도도가 우수한 결정질 고체 전해질이 보고되고 있지만, 결정 구조가 복잡한 무기 화합물계의 경우 박막으로 증착된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비정질의 성질을 띠며 이를 결정화하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의 열처리가 필요하므로 실제 박막 전지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비해 비정질 상태에서 높은 등방성의 전도도를 보이는 유리질 전해질은결정질 전해질에 비해 박막 형태로 제작하기가 훨씬 용이하며 조성에 따라 이온전도도가 연속적으로 변하므로 증착 시 막 조성의 조절이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 또한, 박막 전지는 전극간의 거리가 수 ㎛ 정도로 작아, 10-7S/cm 정도의 낮은 이온 전도도에서도 전지 형성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낮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는 유리질 고체 전해질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현재 가장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박막 전지용 고체 전해질은 베이츠(Bates) 등이 발표한 (US5338625: John B. Bates et al., Thin film battery and method for making same) 리폰(Lipon)이다. 리폰 고체 전해질은 고주파(radio frequency) 스퍼터링 법으로 Li3PO4타겟을 질소 분위기에서 스퍼터링함으로써 상온에서 2(±1)×10-6S/cm의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양극 또는 음극과 매우 안정한 계면을 형성함으로써 작동 중 전지의 열화가 매우 적기 때문에 박막 전지용 고체 전해질이 가져야 할 대부분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상기 Lipon 박막의 특성은 박막 형성 시의 공정 변수에 크게 의존하여 재현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어 (P. Birke et al., Materials for thin film batteries for application in silicon technology, Solid State Ionics 93 (1997) 1~15) 양산에 적용되기 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미국 특허 (US 4184015)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체 전해질을 개시하고 있다.
(B2O3, xM, yN)-aLi2O-bLiQ
상기에서 M은 Al2O3, V2O5, P2O5, As2O5및 As2O3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며, N은 SiO2및 GeO2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며, Q는 F, Cl, Br, S, SO4, MoO4, WO4, N, PO4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며, 0≤x ≤ 0.35, 0≤y≤0.8, 0<a≤0.2, b≤2a이다.
그러나, 상기 화학식 2의 고체 전해질은 100℃ 이상의 고온에서만 전도 특성이 양호하여, 전지의 작동 온도가 상온일 경우 이를 채용한 전지는 전지 특성이 불량해 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21세기를 주도할 초소형 시스템의 에너지원인 박막 전지의 개발을 위해서는 상온에서 이온 전도도가 높고 리폰(Lipon)을 대체할 새로운 유리질 고체 전해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충방전 속도, 출력 및 사이클 수명이 향상된 고용량 전지를 구현할 수 있는 고이온 전도도의 산화물계 유리질 고체 전해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고체 전해질을 채용한 리튬 전지 및 박막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박막전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질 전해질 형성을 위한 승온 프로파일(profile)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유리질 고체 전해질 (a) 50Li2O-47B2O3-3TiO2, (b) 47Li2O-50B2O3-3V2O5, (c) 50Li2O-47B2O3-3WO3의 각 조성물에 리튬 염을 첨가했을 때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 집전체 12... 캐소드
13.... 애노드 14.... 고체 전해질
15.... 보호층
상기 첫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고체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a Li2O - b B2O3- c M -d X
상기에서, M은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X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0.4<a<0.55, 0.4<b≤0.55, 0.02<c<0.05, a+b+c=1이며, 0≤d/(a+b+c)<0.2이다.
바람직하게는 a는 0.45 내지 0.52이며, b는 0.45 내지 0.52이며, c 는 0.03 내지 0.04이며, d는 0.001 내지 0.15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Li2O의 전구체 화합물, B2O3;및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혼합하고, 밀링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Li2O로 분해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전구체 화합물을 Li2O로 열분해하는 단계;
(c) 상기 결과물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의 용융물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로 상기 결과물을 가열하여 용융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용융물을 급냉시켜 유리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 단계의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Li2O로 분해될 수 있는 온도는 600 내지 800℃인 것이, 상기 (c) 단계의 상기 용융물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는 900 내지 1500℃인 것이, 상기 (d) 단계의 상기 용융물을 급냉하는 온도는 0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혼합물에 혼합하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Li2O의 전구체 화합물, B2O3;및 TiO2, V2O5, WO3및 Ta2O5로이루어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체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0 내지 20몰%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고체 전해질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를 제공한다.
<화학식 1>
a Li2O - b B2O3- c M -d X
상기에서, M은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X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0.4<a<0.55, 0.4<b≤0.55, 0.02<c<0.05, a+b+c=1이며, 0≤d/(a+b+c)<0.2이다.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고체 전해질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를 제공한다.
<화학식 1>
a Li2O - b B2O3- c M -d X
상기에서, M은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X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0.4<a<0.55, 0.4<b≤0.55, 0.02<c<0.05, a+b+c=1이며, 0≤d/(a+b+c)<0.2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a Li2O - b B2O3- c M -d X
상기에서, M은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X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0.4<a<0.55, 0.4<b≤0.55, 0.02<c<0.05, a+b+c=1이며, 0≤d/(a+b+c)<0.2이다.
일반적으로 망목 형성제(network former)는 단독으로 유리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서 실리콘(Si), 인(P), 붕소(B), 게르마늄(Ge), 비소(As) 등의 산화물 또는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다. 유리질은 상기 망목 형성제 이온 (network former ion)을 포함하는 산소 다면체가 사슬 구조로 이어져 있는 상태이다. 유리상에서는 결정질 상태와는 달리 공유 결합 각과 결합 길이가 변화되며, 유리상에서의 강한 공유결합 특성으로 인해 이온전도도가 낮게 나타난다.
망목수식제(network modifier)는 강한 이온 결합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서, 이들은 단독으로 유리상을 형성하지는 않으나, 망목형성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망목형성제 내의 두 개의 양이온을 연결하는 산소 결합을 끊으면서 이들과 이온 결합함으로써 망목형성제의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이 때 망목수식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두 개의 인접한 음이온 간의 거리는 줄어들게 되어 전위 장벽의 깊이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수식제의 첨가는 이온 전도에 유리한 경로를 제공해 주게 된다.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망목 형성제(network former)로 B2O3, 망목 수식제(network modifier)로 Li2O 및 Li+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산화물로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망목 형성제로서 B2O3를 사용하며, 여기에 망목 수식제(network modifier)인 Li2O를 첨가하면 비가교 산소(NBO: Non-Bridging Oxygen)가 두 개 생기면서 두 개의 Li+이온은 전기적 중성 조건(electrical neutrality condition)을 만족시키기 위해 비가교 산소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B2O3다면체의 연결성을 감소시키므로, 점도와 유리 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의 감소를 가져온다.
이온 전도의 측면에서는 Li2O 첨가에 의한 유리 구조 변화는 더욱 중요하다. 망목 수식제 이온은 공유 결합으로 망목 (network)을 구성하는 이온에 비해 이동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도는 망목 수식제 이온에 의해 일어난다. Li+이온의 이동도와 국부적인 중성 조건을 같이 고려하면, 전장을 인가했을 때 Li+이온의 이동은 비가교 산소 사이를 호핑(hopping)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질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전하 수송체(charge carrier)의 농도 증가 및 전도를 위한 활성화 에너지의 감소가 필수적이다.
망목 수식제인 Li2O를 첨가하면 첨가량에 비해서 매우 큰 값의 전도도 증가를 관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표 1로부터 알 수 있다. 이는 Li2O가 전도를 위하여 Li+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연결성이 강한 공유 결합의 유리 망목이 Li 수식제에 의해 많이 파괴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수 있다. 전도를 위한 활성화 에너지는 비가교 산소 사이를 이동할 때의 틈새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스트레인 에너지 항과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성된 유리 망목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적 인력 및 척력에 의해 결정되는 정전기적 에너지 항을 들 수 있다.
따라서 Li+이온의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리의 공간적 및 정전기적 구조를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본 발명에서는 TiO2, V2O5, WO3, Ta2O5등의 다른 산화물을 첨가하여 Li+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Li2O-B2O3계의 고체 전해질에 TiO2, V2O5, WO3, Ta2O5등의 다른 산화물을 첨가하게 되면, 유리의 구조를 더욱 개방적인 상태로 만들어서 활성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어 이온 전도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Li2O-B2O3계에 제3의 산화물을 첨가하는 이유는 유리의 구조를 보다 전도가 잘 되는 방향으로 개질하는 데 있다. 첨가물에 의한 유리의 구조 변화는 이온의 원자가(Z)를 이온 반경(r)으로 나눈 이온 포텐셜 (Z/r)로 이해할 수 있다. 첨가제가 없는 순수한 유리의 망목은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다면체의 무질서한 배열(random array)로 균형 잡혀져 있다. 첨가된 물질의 이온 포텐셜이 클수록, 일정 거리에 있는 주위 이온에 정전기적인 영향을 크게 미침을 의미하므로, 망목의 균형을 많이 흐트리게 된다. 따라서, 유리 구조의 변형도 크게일어난다.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Li2O-B2O3계의 고체 전해질에 제3의 첨가물로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체 전해질에 추가로 리튬 염인 LiCl 및 Li2SO4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의 리튬염이 추가된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도 있다.
<화학식 1>
a Li2O - b B2O3- c M -d X
상기에서, M은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X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0.4<a<0.55, 0.4<b≤0.55, 0.02<c<0.05, a+b+c=1이며, 0≤d/(a+b+c)<0.2이다.
상기에서 a는 0.45 내지 0.52이며, b는 0.45 내지 0.52이며, c 는 0.03 내지 0.04이며, d는 0.001 내지 0.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 전해질에서 Li2O의 몰비 a가 0.4 이하이면 이동 가능한 리튬 이온의 농도가 너무 낮아 이온 전도도가 매우 낮은 값 (10-7S/㎝ 이하)을 나타내며, 0.55 보다 크게 되면 유리 구조가 과도하게 파괴되어 유리의 상 분리(phase separation)가 일어나거나 부분 결정화 또는 완전 결정화가 진행되어 유리상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B2O3의 몰비 b 값이 0.4 보다 작게 되면 유리 상을 이루는 B2O3의 양이 작아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유리상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0.55보다 크게 되면 이온 전도에 기여하는 Li2O-B2O3의 첨가량이 작아지게 되어 이온 전도도가 저하된다.
또한, 제 3의 화합물 형태로 첨가되는 M 산화물은 TiO2, V2O5, WO3, Ta2O5중의 일종이며 상기 고체 전해질에서 0.02 이하이면 첨가물의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0.05 이상의 조성에서는 결정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첨가물인 TiO2, V2O5, WO3, Ta2O5의 경우 이온포텐셜이 크기 때문에 과량을 첨가할 경우 결정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고체 전해질에 리튬 염이 첨가될 수있으며 리튬 염의 첨가에 의해 고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향상된다. 이때 상기 고체 전해질에서 추가로 첨가되는 리튬 염의 몰비 d가 0.2 보다 크게 되면 유리 구조가 과도하게 파괴되어 유리의 상 분리(phase separation)가 일어나거나 첨가한 리튬 염 자체의 응집(agglomeration) 현상이 발생하여 유리상의 부분적인 결정화가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부분 결정화 또는 완전 결정화가 진행되어 유리상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a) Li2O의 전구체 화합물, B2O3;및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혼합하고, 밀링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Li2O로 분해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전구체 화합물을 Li2O로 열분해하는 단계; (c) 상기 결과물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의 용융물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로 상기 결과물을 가열하여 용융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용융물을 급냉시켜 유리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Li2O는 상온에서 불안정하므로, 원료 물질로 상온에서 안정한 Li2CO3를 사용한다. 분말 형태의 Li2CO3,B2O3와 TiO2, V2O5, WO3및 Ta2O5로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혼합하고, 칭량(weighing)하여 볼 밀링(ball milling)한다. 상기 (a) 단계에서 Li+의 전기 전도도 향상을 위하여 분말 형태의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하여 혼합하고, 칭량(weighing)하여 볼 밀링(ball milling)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혼합물의 혼합비는 상기 Li2O의 전구체 화합물, B2O3;및TiO2, V2O5, WO3및 Ta2O5로이루어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체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상기 Li2O의 전구체 화합물 40 내지 55 몰%, 상기 B2O340 내지 55 몰% 및 상기 TiO2, V2O5, WO3및 Ta2O5로이루어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2 내지 5 몰%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Li2O의 전구체 화합물 45 내지 52 몰%, 상기 B2O345 내지 52 몰% 및 상기 TiO2, V2O5, WO3및 Ta2O5로이루어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3 내지 4 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혼합물에 혼합하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Li2O의 전구체 화합물, B2O3;및 TiO2, V2O5, WO3및 Ta2O5로이루어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체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0 내지 20몰%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몰%가 좋다.
상기 (b) 단계의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Li2O로 분해될 수 있는 온도는 600 내지 8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구체 화합물을 상기 600~800℃에서 30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하여 Li2CO3을 열분해 한다. 이때, Li2CO3로부터 CO2가 제거 된다.
상기 (c) 단계의 상기 용융물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 온도는 900 내지 1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을 900-150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승온하면서 유리물을 생성한다. 천천히 승온하면서 유리의 형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유리(glass)가 생성될 수 있는 최소의 온도를 찾는다. 이 때 유리물을 지나치게 고온에서 생성할 경우 유리 내의 리튬(Li) 성분 휘발에 의한 조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저온에서 유리물을 생성한다.
상기 형성된 유리물을 급속 냉각하여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얻을 수 있는데, 상기 (d) 단계의 상기 용융물을 급냉하는 온도는 0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전해질을 채용한 리튬 전지 및 박막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튬 전지의 구조 내에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채용하면 본 발명의 리튬 전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채용한 리튬 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캐소드 집전체 상에 활물질 조성물로서 바나듐 산화물(V2O5), 리튬-망간 산화물(LiMn2O4), 리튬-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니켈 산화물(LiNiO2) 등을 코팅 및 건조하여 캐소드 활물질층을 형성하여 캐소드를 제조한다. 이와 별도로 애노드 활물질인 리튬 금속이나 리튬 합금, 그라파이트(graphite) 등을 애노드 집전체 상에 롤 프레싱하여 애노드 활물질층을 형성함으로써 애노드를 제조한다.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상기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개재한 다음, 이를 순서대로 적층하고 진공 조건하에서 실링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
박막 전지의 구조 내에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박막으로 형성시키면 본 발명의 박막 전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채용한 박막전지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먼저 집전체(11) 상에 바나듐 산화물(V2O5), 리튬-망간 산화물(LiMn2O4), 리튬-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캐소드(12) 활물질을 진공 증착하여 박막형태의 캐소드(12)를 형성한다. 그 위에 상기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진공 증착하여 고체 전해질층(14)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리튬 금속이나 리튬 합금, 또는 실리콘 합금, 주석 합금 등의 애노드 활물질인을 열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으로 증착하여 애노드(13)을 형성함으로써 박막 전지를 얻을 수 있다.상기 박막 전지 위에 보호층(1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Li2O의 전구체로서 상온에서 안정한 Li2CO3와 B2O3, TiO2를 사용하여 원하는 유리(glass) 조성에 해당하는 분말을 칭량(weighing)한 후 에탄올을 사용하여 20시간 볼 밀링(ball milling) 한 후 가열판(hot plate)에서 교반하면서 건조하였다.
제조된 분말을 백금도가니(50cc)에 충진 한 후 도 2의 그림과 같은 승온 프로파일에 따라 승온하였다. 이때 Li2CO3의 분해를 위해 70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했다. 이후 900-1500℃의 온도 범위에서 온도를 약 100℃ 정도씩 올려가며 용용물의 형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용융물(glass)이 생성될 수 있는 최소의 온도를 찾았다. 이 때 용융물을 지나치게 고온에서 생성할 경우 유리 내의 리튬 성분의 휘발에 의한 조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저온에서 유리물을 생성하였다.
유리물의 투명도와 점도가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엘리베이터 박스로(爐)에서 도가니를 급히 꺼내 직육면체 모양의 스테인레스 몰드(mold)에 부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리를 형성할 경우 용융물이 엘리베이터에서 내려와 몰딩(molding)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5-7초 정도이었으며, 스테인레스의 방열특성을 고려하면 충분히 빠른 속도로 냉각(quenching)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일부 조성의 경우 냉각 속도(quenching rate)가 충분하지 않아 유리의 결정화가 일어났다. 이런 경우, 스테인레스 몰드를 사용하지 않고, 용융물을 도가니 채로 물속에 집어넣는 방식을 사용하여 유리의 형성을 위한 냉각 속도를 높였다.
유리의 냉각 및 분리 후 유리의 투명도를 관찰하여 유리의 상분리가 일어났는지를 확인하였다.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투명한 유리를 두께 1mm 정도의 판으로 가공한 후 #3000 까지의 사포로 표면을 연마하였다. 은 페이스트(Ag paste)로 원형 전극을 시편의 양쪽에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하여 형성한 후, 100℃의 건조기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은 SI 1260 임피던스/게인-상 분석기(impedance/gain-phase analyzer) (Model No. SI 1260, Solartron, Inc., Farnborough, U.K.)로 복소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임피던스 반원(semicircle)의 크기로부터 유리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유리의 결정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X-레이 회절 분석을 시행하였다.
상기 고체 전해질의 Li2O, B2O3, TiO2함량에 따른 이온 전도도는 하기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조성 (mole %) 이온 전도도(S/㎝)
Li2O B2O3 TiO2
40 55 5 5.2×10-8
45 52 3 2.6×10-7
48 49 3 3.7×10-7
50 47 3 1.3×10-6
52 45 3 1.0×10-6
55 40 5 결정화됨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고체 전해질은 Li2O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이온 전도도가 증가하였으며, 50Li2O-47B2O3-3TiO2의 조성에서 가장 높은 이온 전도도인 약 1.3×10 -6 S/㎝의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이때 전체 조성 범위에서 TiO2의 첨가량이 5 몰% 이상이면 투명한 유리상을 얻을 수 없었으며, X-레이 회절 분석 결과 TiO2결정상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원료 물질로서 TiO2대신에 V2O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질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때의 조성에 따른 유리질 고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변화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조성 (mole %) 이온 전도도(S/㎝)
Li2O B2O3 V2O5
40 55 5 1.5×10-9
42 55 3 1.0×10-7
45 52 3 1.7×10-7
47 50 3 1.1×10-6
55 40 5 결정화됨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2의 고체 전해질은 Li2O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이온 전도도가 증가하였으며, 47Li2O-50B2O3-3V2O5의 조성에서 가장 높은 이온 전도도인 약 1.1×10 -6 S/㎝의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이때 부분적으로는 V2O5가 8 몰% 첨가될 때까지는 유리상을 얻을 수 있었으나, 이온 전도도는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원료 물질로서 TiO2대신에 WO3, 또는 Ta2O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질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때의 조성에 따른 유리질 고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변화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조성 (mole %) 이온 전도도(S/㎝)
Li2O B2O3 WO3
40 55 5 결정화됨
42 55 3 2.8×10-7
47 50 3 5.2×10-7
50 47 3 1.5×10-7
50 45 5 4.3×10-7
55 42 3 4.0×10-9
조성 (mole %) 이온 전도도(S/㎝)
Li2O B2O3 Ta2O5
40 55 5 5.6×10-9
45 50 5 2.4×10-7
47 48 5 2.8×10-7
50 45 5 4.3×10-7
52 45 3 4.2×10-8
표 3 및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3의 고체 전해질은 47Li2O-50B2O3-3WO3, 50Li2O-45B2O3-5Ta2O5의 조성에서 각각 가장 높은 이온 전도도인 약 5.2×10-7S/㎝ 및 4.3×10-7S/㎝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고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예 1~3에서 최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는 조성에 리튬 염으로 LiCl 또는 Li2SO4를 추가로 첨가하였다.
50Li2O-47B2O3-3TiO2, 47Li2O-50B2O3-3V2O5, 47Li2O-50B2O3-3WO3각 화합물 100몰%에 대하여 리튬 염인 Li2SO4를 추가로 15 몰%까지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질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리튬염 첨가에 따른 이온전도도의 변화를 도 3 (a)~(c)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체 전해질은 리튬 염 첨가에 의해 이온전도도가 더욱 증가하여 최대 이온 전도도인 약 5×10-6S/㎝의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처럼 본 발명은 종래 유리질계 고체 전해질 재료에 비해 이온 전도도 특성이 크게 향상된 새로운 고체 전해질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우수한 리튬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며 리튬 염을 첨가함으로써 이온 전도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고체 전해질을 채용하면, 충방전 속도와 싸이클 특성이 우수하며 전극과 전해질 계면의 화학적 안정성이 크게 개선되어 수명 특성이 향상된 리튬 전지 또는 박막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체 전해질:
    <화학식 1>
    a Li2O - b B2O3- c M -d X
    상기에서, M은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X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0.4<a<0.55, 0.4<b≤0.55, 0.02<c<0.05, a+b+c=1이며, 0≤d/(a+b+c)<0.2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a는 0.45 내지 0.52이며, b는 0.45 내지 0.52이며, c 는 0.03 내지 0.04이며, d는 0.001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해질.
  3. (a) Li2O의 전구체 화합물, B2O3;및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혼합하고, 밀링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Li2O로 분해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전구체 화합물을 Li2O로 열분해하는 단계; 및
    (c) 상기 결과물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의 용융물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로 상기 결과물을 가열하여 용융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용융물을 급냉시켜 유리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혼합물에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Li2O로 분해될 수 있는 온도는 600 내지 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상기 용융물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는 900 내지 1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상기 용융물을 급냉하는 온도는 0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
  8.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고체 전해질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화학식 1>
    a Li2O - b B2O3- c M -d X
    상기에서, M은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X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0.4<a<0.55, 0.4<b≤0.55, 0.02<c<0.05, a+b+c=1이며, 0≤d/(a+b+c)<0.2이다.
  9.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고체 전해질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화학식 1>
    a Li2O - b B2O3- c M -d X
    상기에서, M은 TiO2, V2O5, WO3및 Ta2O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X는 LiCl 및 Li2SO4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0.4<a<0.55, 0.4<b≤0.55, 0.02<c<0.05, a+b+c=1이며, 0≤d/(a+b+c)<0.2이다.
KR10-2003-0006288A 2003-01-30 2003-01-30 고체 전해질, 이를 채용한 전지 및 그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KR100513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288A KR100513726B1 (ko) 2003-01-30 2003-01-30 고체 전해질, 이를 채용한 전지 및 그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US10/757,500 US7273682B2 (en) 2003-01-30 2004-01-15 Solid electrolyt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battery using the same
EP04250404A EP1443582A1 (en) 2003-01-30 2004-01-26 Solid electrolyte with high ionic conductivity,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battery using the same
JP2004024681A JP4532128B2 (ja) 2003-01-30 2004-01-30 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採用した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288A KR100513726B1 (ko) 2003-01-30 2003-01-30 고체 전해질, 이를 채용한 전지 및 그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752A true KR20040069752A (ko) 2004-08-06
KR100513726B1 KR100513726B1 (ko) 2005-09-08

Family

ID=3265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288A KR100513726B1 (ko) 2003-01-30 2003-01-30 고체 전해질, 이를 채용한 전지 및 그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73682B2 (ko)
EP (1) EP1443582A1 (ko)
JP (1) JP4532128B2 (ko)
KR (1) KR1005137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359A1 (en) * 2008-05-21 2009-11-26 Gsnano Tech Co., Ltd Solid electrolyt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thin fil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50129953A (ko) * 2014-05-12 2015-11-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9761908B2 (en) 2013-09-26 2017-09-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battery, and producing method for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CN115621515A (zh) * 2022-12-16 2023-01-17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由含钒原料短流程制备全钒液流电池用钒电解液的方法和钒电解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6443B2 (en) 2002-08-09 2012-08-07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etal film encapsulation
US20070264564A1 (en) 2006-03-16 2007-11-15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Thin film battery on an integrated circuit or circuit board and method thereof
US8404376B2 (en) 2002-08-09 2013-03-26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etal film encapsulation
US8394522B2 (en) 2002-08-09 2013-03-1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Robust metal film encapsulation
US9793523B2 (en) 2002-08-09 2017-10-17 Sapurast Research Llc Electrochemical apparatus with barrier layer protected substrate
US8021778B2 (en) 2002-08-09 2011-09-20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lectrochemical apparatus with barrier layer protected substrate
US8431264B2 (en) 2002-08-09 2013-04-30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Hybrid thin-film battery
US8445130B2 (en) 2002-08-09 2013-05-21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Hybrid thin-film battery
US8728285B2 (en) 2003-05-23 2014-05-20 Demaray, Llc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UA67973C2 (uk) * 2003-07-25 2007-04-25 Дочірнє Підприємство З Іноземними Інвестиціями "Енер 1" Корпорації "Енер 1 Баттері Компані" Склоподібний неорганічний твердий електроліт і спосіб його одержання
JP2006059635A (ja) * 2004-08-19 2006-03-02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US20060063051A1 (en) * 2004-09-20 2006-03-23 Jang Bor Z Metal-air battery with ion-conducting inorganic glass electrolyte
CN101931097B (zh) 2004-12-08 2012-11-21 希莫菲克斯公司 LiCoO2的沉积
US7959769B2 (en) 2004-12-08 2011-06-14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Deposition of LiCoO2
JP2007115661A (ja) 2005-09-21 2007-05-10 Sumitomo Electric Ind Ltd 薄膜リチウム電池
EP2067163A4 (en) 2006-09-29 2009-12-0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ASKING FLEXIBLE SUBSTRATES AND RESTRICTING MATERIALS TO APPLY BATTERY LAYERS TO THESE
US8197781B2 (en) 2006-11-07 2012-06-1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Sputtering target of Li3PO4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551612B2 (ja) 2007-12-21 2014-07-16 インフィニット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解質膜のための標的をスパッタリングする方法
US8268488B2 (en) 2007-12-21 2012-09-18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Thin film electrolyte for thin film batteries
JP5705549B2 (ja) 2008-01-11 2015-04-22 インフィニット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薄膜電池および他のデバイスのための薄膜カプセル化
KR101672254B1 (ko) 2008-04-02 2016-11-08 사푸라스트 리써치 엘엘씨 에너지 수확과 관련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수동적인 과전압/부족전압 제어 및 보호
US8187752B2 (en) * 2008-04-16 2012-05-29 Envia Systems, Inc. High energy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US8277974B2 (en) 2008-04-25 2012-10-02 Envia Systems, Inc. High energy lithium ion batteries with particular negative electrode compositions
CN102119454B (zh) 2008-08-11 2014-07-30 无穷动力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具有用于电磁能量收集的一体收集器表面的能量设备及其方法
JP5487577B2 (ja) * 2008-08-26 2014-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US8260203B2 (en) 2008-09-12 2012-09-04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nergy device with integral conductive surface for data communication via electromagnetic energy and method thereof
WO2010042594A1 (en) 2008-10-08 2010-04-15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nvironmentally-powered wireless sensor module
US9012073B2 (en) * 2008-11-11 2015-04-21 Envia Systems, Inc. Composite compositions, negative electrodes with composite compositions and corresponding batteries
CN102308425B (zh) 2009-02-04 2014-03-26 株式会社丰田中央研究所 石榴石型锂离子传导性氧化物和含有所述氧化物的全固态锂离子二次电池
US10056644B2 (en) * 2009-07-24 2018-08-21 Zenlabs Energy, Inc. Lithium ion batteries with long cycling performance
WO2011028825A1 (en) 2009-09-01 2011-03-10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Printed circuit board with integrated thin film battery
EP2507858A1 (en) * 2009-11-30 2012-10-10 OC Oerlikon Balzers AG Lithium ion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such battery
US8993177B2 (en) 2009-12-04 2015-03-31 Envia Systems, Inc. Lithium ion battery with high voltage electrolytes and additives
US8765306B2 (en) * 2010-03-26 2014-07-01 Envia Systems, Inc. High voltage battery formation protocols and control of charging and discharging for desirable long term cycling performance
JP2013528912A (ja) 2010-06-07 2013-07-11 インフィニット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充電可能高密度電気化学素子
US9083062B2 (en) 2010-08-02 2015-07-14 Envia Systems, Inc. Battery packs for vehicles and high capacity pouch secondary batteries for incorporation into compact battery packs
US9166222B2 (en) 2010-11-02 2015-10-20 Envia Systems, Inc. Lithium ion batteries with supplemental lithium
JP6045162B2 (ja) * 2011-03-25 2016-12-1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二次電池の作製方法
WO2012176808A1 (ja) * 2011-06-20 2012-12-2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全固体型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ITTV20110104A1 (it) 2011-07-21 2013-01-22 Breton Spa Elettroliti di stato solido a base di ossidi di metalli drogati con fluoro
US9159990B2 (en) 2011-08-19 2015-10-13 Envia Systems, Inc. High capacity lithium ion battery formation protocol and corresponding batteries
KR101945968B1 (ko) 2012-03-01 2019-02-11 엑셀라트론 솔리드 스테이트 엘엘씨 고용량 고체상 복합물 양극, 고체상 복합물 분리막, 재충전가능한 고체상 리튬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45461B1 (ko) * 2012-03-09 2015-08-18 벨레노스 클린 파워 홀딩 아게 캐소드 활성 물질로서 질소 도핑 및 환원된 산화흑연 블렌딩에 의해 얻은 V2O5-LiBO2, V2O5-NiO-LiBO2 유리 및 그 합성물
US9780358B2 (en) 2012-05-04 2017-10-03 Zenlabs Energy, Inc. Battery designs with high capacity anode materials and cathode materials
US10553871B2 (en) 2012-05-04 2020-02-04 Zenlabs Energy, Inc. Battery cell engineering and design to reach high energy
US10084168B2 (en) * 2012-10-09 2018-09-25 Johnson Battery Technologies, Inc. Solid-state battery separator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9570748B2 (en) 2012-10-12 2017-02-14 Ut-Battelle, Llc Lipon coatings for high voltage and high temperature Li-ion battery cathodes
US11476494B2 (en) 2013-08-16 2022-10-18 Zenlabs Energy, Inc. Lithium ion batteries with high capacity anode active material and good cycling for consumer electronics
JP6028694B2 (ja) 2013-08-23 2016-11-1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ガーネット型イオン伝導性酸化物の製造方法及び複合体の製造方法
TW201628249A (zh) * 2014-08-28 2016-08-01 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包含用於降低界面電阻及過電位的中間層的電化學裝置堆疊
US11749834B2 (en) 2014-12-02 2023-09-05 Polyplus Battery Company Methods of making lithium ion conducting sulfide glass
US10164289B2 (en) 2014-12-02 2018-12-25 Polyplus Battery Company Vitreous solid electrolyte sheets of Li ion conducting sulfur-based glass and associated structures, cells and methods
US10601071B2 (en) * 2014-12-02 2020-03-24 Polyplus Battery Company Methods of making and inspecting a web of vitreous lithium sulfide separator sheet and lithium electrode assemblies
US10147968B2 (en) 2014-12-02 2018-12-04 Polyplus Battery Company Standalone sulfide based lithium ion-conducting glass solid electrolyte and associated structures, cells and methods
CN104483367B (zh) * 2014-12-08 2017-02-22 西安交通大学 薄膜固体电解质电流型 so2 气体传感器及制备方法
JP6575109B2 (ja) * 2015-03-31 2019-09-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伝導体、電極、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EP3394918A1 (en) 2015-12-21 2018-10-31 Johnson IP Holding, LLC Solid-state batteries, separators, electrod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10218044B2 (en) 2016-01-22 2019-02-26 Johnson Ip Holding, Llc Johnson lithium oxygen electrochemical engine
WO2017197039A1 (en) 2016-05-10 2017-11-16 Polyplus Battery Company Solid-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WO2018013471A1 (en) * 2016-07-11 2018-01-1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al plating-based electrical energy storage cell
JP6913924B2 (ja) * 2016-09-26 2021-08-04 東京都公立大学法人 結晶化ガラス、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材料、固体電解質及びリチウム電池
US10868293B2 (en) 2017-07-07 2020-12-15 Polyplus Battery Company Treating sulfide glass surfaces and making solid 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ies
US10629950B2 (en) 2017-07-07 2020-04-21 Polyplus Battery Company Encapsulated sulfide glass solid electrolytes and solid-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ies
US10862171B2 (en) 2017-07-19 2020-12-08 Polyplus Battery Company Solid-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y fabrication and making thin extruded lithium metal foils
KR20190015134A (ko) * 2017-08-04 2019-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체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리튬전지
US11094925B2 (en) 2017-12-22 2021-08-17 Zenlabs Energy, Inc. Electrodes with silicon oxi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ion cells achieving high capacity, high energy density and long cycle life performance
WO2019135343A1 (ja) 2018-01-0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電池
EP3736829A4 (en) 2018-01-05 2021-03-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OLID ELECTROLYTE MATERIAL AND BATTERY
CN111279431B (zh) 2018-01-05 2022-03-2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固体电解质材料和电池
WO2019135319A1 (ja) * 2018-01-0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電池
WO2019135315A1 (ja) * 2018-01-0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電池
WO2019135321A1 (ja) * 2018-01-0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電池
JPWO2019135318A1 (ja) 2018-01-05 2021-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電池
CN111295789A (zh) 2018-01-05 2020-06-1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固体电解质材料和电池
CN111279432B (zh) 2018-01-05 2022-09-0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固体电解质材料和电池
WO2019135346A1 (ja) 2018-01-0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正極材料、および、電池
CN111480258A (zh) 2018-01-05 2020-07-3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
WO2019135316A1 (ja) 2018-01-0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電池
WO2019135345A1 (ja) 2018-01-0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電池
WO2019146217A1 (ja) 2018-01-26 2019-08-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
EP3745422A4 (en) * 2018-01-26 2021-03-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OLID ELECTROLYTE AND BATTERY
WO2019146296A1 (ja) 2018-01-26 2019-08-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正極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CN111557057B (zh) 2018-01-26 2024-04-1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正极材料和使用它的电池
CN108428937B (zh) * 2018-03-23 2020-08-04 溧阳天目先导电池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干法制备氧化固态电解质的方法和氧化固态电解质
EP3890073A4 (en) 2018-11-29 2022-01-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EP3890063A4 (en) 2018-11-29 2022-01-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ND BATTERY
JP7432897B2 (ja) 2018-12-28 2024-0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WO2020137155A1 (ja) * 2018-12-28 2020-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CN113474309A (zh) * 2019-02-25 2021-10-01 Agc株式会社 玻璃
US11631889B2 (en) 2020-01-15 2023-04-18 Polyplus Battery Company Methods and materials for protection of sulfide glass solid electrolytes
JPWO2021220927A1 (ko) * 2020-04-28 2021-11-04
US11928472B2 (en) 2020-09-26 2024-03-12 Intel Corporation Branch prefetch mechanisms for mitigating frontend branch resteers
WO2023181686A1 (ja) * 2022-03-24 2023-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それを用いた電池、および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87192A1 (fr) * 1977-04-15 1978-11-10 France Etat Conducteurs cationiques amorphes du lithium
JPS5760669A (en) 1980-09-29 1982-04-12 Hitachi Ltd Lithium oxide group non-crystal material and production thereof
US4876628A (en) 1987-09-08 1989-10-24 Tufts University Thin film ion conducting coating
FR2638764B1 (fr) 1988-11-04 1993-05-07 Centre Nat Rech Scient Element composite comportant une couche en chalcogenure ou oxychalcogenure de titane, utilisable en particulier comme electrode positive dans une cellule electrochimique en couches minces
US5338625A (en) 1992-07-29 1994-08-16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Thin film battery and method for making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359A1 (en) * 2008-05-21 2009-11-26 Gsnano Tech Co., Ltd Solid electrolyt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thin fil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047865B1 (ko) * 2008-05-21 2011-07-08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고체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전지
US9761908B2 (en) 2013-09-26 2017-09-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battery, and producing method for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KR20150129953A (ko) * 2014-05-12 2015-11-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15621515A (zh) * 2022-12-16 2023-01-17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由含钒原料短流程制备全钒液流电池用钒电解液的方法和钒电解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73682B2 (en) 2007-09-25
US20040151986A1 (en) 2004-08-05
JP2004235155A (ja) 2004-08-19
KR100513726B1 (ko) 2005-09-08
JP4532128B2 (ja) 2010-08-25
EP1443582A1 (en)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726B1 (ko) 고체 전해질, 이를 채용한 전지 및 그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KR100682883B1 (ko) 고체 전해질,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및 박막전지
Chen et al. Approaching practically accessible solid-state batteries: stability issues related to solid electrolytes and interfaces
Kim et al. A review of lithium and non-lithium based solid state batteries
KR100904247B1 (ko)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30123B1 (ko) 완전 고체형 리튬 이온 2차 전지 및 고체 전해질
Li et al. NaSICON: A promising solid electrolyte for solid‐state sodium batteries
US9580320B2 (en) Lithium ion conductive solid electroly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760819A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solid electrolyte therefor
JP7394757B2 (ja) 非晶質固体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全固体二次電池
JP2016024874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硫化物系固体電解質
CN1307731A (zh) 具有玻璃保护层的密封锂电极及其制备方法
Shalaby et al. Solid-state lithium-ion battery: the key components enhance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anode, cathode, and solid electrolytes
JP3149524B2 (ja) 非晶質リチウムイオン導電性固体電解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864461B (zh) 硫化物固体电解质材料的制造方法
JP2004152659A (ja)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とそれを用いた全固体電池
KR100659049B1 (ko) 무기계 고체 전해질
KR20190142572A (ko)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함유하는 전고체형 리튬이온 2차 전지
CN111247106A (zh) 锂离子导体前体玻璃及锂离子导体
KR102180352B1 (ko) 황화물계 글래스 세라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고체전해질로 함유하는 전고체 이차전지
Hayashi et al. Sulfide‐glass Electrolytes for All‐solid‐state Batteries
Hu Studies on mixed oxy-sulfide and mixed oxy-sulfide-nitride lithium glassy solid-state electrolytes
Guo et al. Nanostructures and Nanomaterials for Solid-State Batteries
Singh et al. Polymer Batteries
Viallet et al. Inorganic massive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