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183A -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 - Google Patents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183A
KR20040063183A KR1020030000490A KR20030000490A KR20040063183A KR 20040063183 A KR20040063183 A KR 20040063183A KR 1020030000490 A KR1020030000490 A KR 1020030000490A KR 20030000490 A KR20030000490 A KR 20030000490A KR 20040063183 A KR20040063183 A KR 20040063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kgo
vinegar
jar
extract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344B1 (ko
Inventor
강성원
Original Assignee
강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원 filed Critical 강성원
Priority to KR102003000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3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 이를 숙성시켜 은행식초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로부터 제조되는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은행식초는 수확한 은행을 단지에 넣고 상온에서 15∼20일간 반밀폐하에서 숙성시켜 여과하여 은행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은행추출물을 15일간 숙성시켜 우윳빛 현탁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우윳빛 현탁액을 3개월간 숙성시켜 붉은 갈색의 은행식초를 얻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은행식초를 복용하면 숙변을 제거하고 소화 기능이 개선되며 혈액순환을 돕고 간장질환과 편두통, 근육경직 등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GINKGO VINEGAR, ITS PREPARATION METHOD AND GINKGO VINEGAR DRINK USING THIS}
본 발명은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 이를 숙성시켜 은행식초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로부터 제조되는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에 관한 것이다.
은행은 은행나무에서 열리는 황색의 열매로 10월경 익어 떨어지는데, 이는 다육성(多肉性)의 외과피와 외과피 안쪽에 흰색의 단단한 중과피를 가진 단단한 종자로, 중과피 안쪽에 갈색피막의 내종피가 있고 그 속에 청록색의 배젖이 있다.
예로부터 은행은 폐를 따뜻하게 하고 기를 늘리며, 기침과 천식을 가라앉히는데 효력이 있으며 야뇨증이나 오줌소태, 대하증, 숙취해소 등에도 효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행에는 간놀, 펙틴, 히스티딘,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폐결핵 환자나 천식환자가 오래 먹으면 기침이 없어지고 가래가 적게 나온다. 또한 레시틴과 비타민 B의 모체가 되는 엘고스테린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성욕감퇴, 신경쇠약, 전신피로 등의 뇌혈관을 개선해 주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건강을 위하여 은행을 복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은행의 외과피를 벗겨낸 종자를 볶아서 복용하거나 신선로, 은행단자 등의 요리 외에 여러 음식의 고명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바깥껍질인 외과피는 냄새가 심하게 나고 피부에 닿으면 염증을 일으켜서 은행을 까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까놓은 외과피는 전부 폐기 처분되므로 처리하는 데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폐기 처분되는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 이를 자체 숙성시키면 은행 특유의 고약한 냄새가 제거되고 감칠맛 나는 식초화하는 점에 착안하여 건강에 유용한 식초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 간단한 방법으로 몸에 좋은 은행식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기 처분되던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줄이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은행식초를 이용한 음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은행식초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은행식초 제조방법은 수확한 은행을 단지에 넣고 상온에서 15∼20일간 반밀폐하에서 숙성시켜 여과하여 은행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은행추출물을15일간 숙성시켜 우윳빛 현탁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우윳빛 현탁액을 3개월간 숙성시켜 붉은 갈색의 은행식초를 얻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잘 익은 은행을 수확하고 은행 외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로 가볍게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된 은행을 단지 등에 넣고 상온에서 15∼20일 정도 반밀폐 상태에서 보관하여 숙성시킨다.
여기에서 반밀폐 상태란 호기적 조건이나 이물질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을 덮어두는 것을 말한다.
은행을 숙성시킬 때 물이나 기타 액체 첨가물이 가해지면 심한 악취가 나므로 물이나 액체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상기 숙성된 은행을 고운 채나 면직물로 걸러 은행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여과되고 남은 은행 종자 외 고형물은 통상의 이용도에 의해 이용한다.
상기 은행추출액을 단지에 모아 약 15일간 반밀폐하에서 보관하며 숙성시킨다. 이때 우윳빛을 띠는 현탁액이 된다.
상기 우윳빛 현탁액은 약간의 쉰 냄새와 은행의 고약한 냄새가 나고 산도가 낮아 완전 식초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비위가 약하거나 위장 장애를 가진 사람은 상기 우윳빛 현탁액을 종이컵 한 컵 정도 복용하면 효과가 있고 상기 상태로 먹기를 원할 때는 냉장 보관하여 복용한다.
상기 우윳빛 현탁액을 반밀폐하에서 3개월간 숙성시키면 붉은 갈색의 은행식초를 얻는다.
상기 붉은 갈색의 식초를 6개월간 숙성시키면 검정색의 빙초산이 되는데 이는 산도가 너무 높아 가스를 발생시켜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득된 붉은 갈색의 은행식초는 4℃ 미만의 온도에서 냉장보관한다.
상기 붉은 갈색의 은행식초는 물이 들어가지 않으면 영하 40℃의 온도에서도 얼지 않으며 저온 보관하였을때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은행을 숙성시킬 때 육모초와 감초를 첨가하면 은행의 역한 냄새을 줄일 수 있고 신맛과 쓴맛을 달고 감칠나게 해준다. 은행을 단지에 넣기 전 단지 바닥에 육모초와 감초를 스크린 처럼 깔고 그 위에 은행을 넣어 숙성시킨다.
또한 은행을 숙성시킬 때 솔잎을 넣어주면 은은한 솔잎향으로 역한 냄새가 가신다.
또한 은행에 감초를 넣어 숙성시켜 제조된 은행식초를 옻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 복용시키면 옻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은행식초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료를 만들어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은행식초를 중량% 기준으로 물과 1:20의 비율로 배합하여 음료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은행식초 제조방법은 하기의 실시예에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잘 익은 은행을 수확하여 물로 가볍게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은행을 단지에 넣고 상온에서 17일간 단지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서늘한 곳에서 보관, 숙성시켰다. 상기 숙성된 은행을 고운 채로 걸러 은행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은행추출물을 15일간 서늘한 곳에서 보관시킨 후 우윳빛 현탁액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우윳빛 현탁액을 3개월간 숙성시켜 붉은 갈색의 은행식초를 얻었다.
[실시예 2]
단지 바닥에 육모초와 감초를 깔고 그 위에 은행을 넣어 숙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은행식초를 얻었다.
[실시예 3]
단지 바닥에 솔잎을 깔고 그 위에 은행을 넣어 숙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은행식초를 얻었다.
[실시예 4]
단지 바닥에 감초를 깔고 그 위에 은행을 넣어 숙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은행식초를 얻었다.
본 발명의 은행식초 제조방법은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간단하게 은행 특유의 고약한 냄새가 제거되고 감칠맛 나는 은행식초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에 폐기 처분되던 외과피를 이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은행식초를 복용하면 복용후 10∼20일 정도 후 숙변이 제거되며 소화 기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은행식초의 독한 기운으로 복용후 위에 불편함을 느끼고 독한 방귀가 나오기도 하나 이는 3∼4일 경과되면 복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은행식초는 혈액순환을 돕고 몸 속의 독소 및 노폐물을 제거하며 장기 복용하면 간장질환과 편두통, 근육경직 등에 효과가 있다. 손발이 차거나 피부가 거친 사람이 15일 정도 복용해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당뇨 및 고혈압 환자의 배변 기능에도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수확한 은행을 단지에 넣고 상온에서 15∼20일간 반밀폐하에서 숙성시켜 여과하여 은행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은행추출물을 15일간 숙성시켜 우윳빛 현탁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우윳빛 현탁액을 3개월간 숙성시켜 붉은 갈색의 은행식초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식초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은행추출물을 얻는 단계에서 상기 단지 바닥에 육모초와 감초를 깔고 그 위에 은행을 넣고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식초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은행추출물을 얻는 단계에서 상기 단지 바닥에 솔잎을 깔고 그 위에 은행을 넣고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식초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은행추출물을 얻는 단계에서 상기 단지 바닥에 감잎을 깔고 그 위에 은행을 넣고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식초 제조방법.
  5. 수확한 은행을 단지에 넣고 상온에서 15∼20일간 반밀폐하에서 숙성시켜 여과하여 은행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은행추출물을 15일간 숙성시켜 우윳빛 현탁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우윳빛 현탁액을 3개월간 숙성시켜 붉은 갈색의 은행식초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은행식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은행추출물을 얻는 단계에서 상기 단지 바닥에 육모초와 감초를 깔고 그 위에 은행을 넣고 숙성시켜 제조되는 은행식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은행추출물을 얻는 단계에서 상기 단지 바닥에 솔잎을 깔고 그 위에 은행을 넣고 숙성시켜 제조되는 은행식초.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은행추출물을 얻는 단계에서 상기 단지 바닥에 감초를 깔고 그 위에 은행을 넣고 숙성시켜 제조되는 은행식초.
  9. 청구항 5 내지 8항의 은행식초를 중량% 기준으로 물과 1:20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공되는 음료.
KR1020030000490A 2003-01-06 2003-01-06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055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490A KR100553344B1 (ko) 2003-01-06 2003-01-06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490A KR100553344B1 (ko) 2003-01-06 2003-01-06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183A true KR20040063183A (ko) 2004-07-14
KR100553344B1 KR100553344B1 (ko) 2006-02-20

Family

ID=3735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490A KR100553344B1 (ko) 2003-01-06 2003-01-06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901A (ko) * 2020-10-28 2022-05-09 김청한 맛과 향이 개선된 은행발효음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797B1 (ko) * 2009-12-09 2012-09-17 노용수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 방법
KR20200069508A (ko) 2018-12-07 2020-06-17 이예지 전통 호두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20220106568A (ko) 2021-01-22 2022-07-29 이만석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901A (ko) * 2020-10-28 2022-05-09 김청한 맛과 향이 개선된 은행발효음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344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916B1 (ko) 물회 육수의 제조방법
KR101139032B1 (ko) 꾸지뽕 식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식초
KR20100121035A (ko) 약선(藥膳)음식의 제조방법
CN105230843A (zh) 黄芩混合茶及其制备方法
KR101280455B1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130071708A (ko) 양념치킨용 양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20120030267A (ko) 한약재를 이용한 약주 및 그 제조방법
CN106579074A (zh) 一种坛子鱼的加工方法
KR20040063183A (ko)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20200068116A (ko) 까마중과 며느리배꼽을 함유한 술의 제조방법
KR20150010487A (ko) 야채음료의 제조방법
KR102126179B1 (ko) 건강백숙의 제조방법
KR100422966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20160042832A (ko) 황칠 추출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미액 조성물
KR20170099427A (ko)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20210056007A (ko) 맛과 향이 우수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CN107287089B (zh) 一种荔枝果醋及其制备方法
CN105831520A (zh) 一种有助于睡眠的蜗牛卵保健饮品的生产方法
KR20160123552A (ko)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6162A (ko)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97877A (ko)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JP6798037B2 (ja) チョウセンカクレミノ抽出液を含む機能性成分を含有したキムチの製造方法
KR100427558B1 (ko) 기능성 밥물
KR102226327B1 (ko) 개복숭아 액상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