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427A -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9427A KR20170099427A KR1020160021041A KR20160021041A KR20170099427A KR 20170099427 A KR20170099427 A KR 20170099427A KR 1020160021041 A KR1020160021041 A KR 1020160021041A KR 20160021041 A KR20160021041 A KR 20160021041A KR 20170099427 A KR20170099427 A KR 201700994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rmented
- rice bran
- turmeric
- lactic acid
- milk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title 1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5140 cultured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4063 licorice roo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5389 Glycyrrhiza glabra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abstract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VFLDPWHFBUODDF-FCXRPNKRSA-N Curcumin Chemical compound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VFLDPWHFBUODDF-FCXRPNKRSA-N 0.000 description 4
- ZIUSSTSXXLLKKK-HWUZOJPISA-N Curcumin Natural products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ZIUSSTSXXLLKKK-HWUZOJPI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36905 Benincasa cer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274 Benincasa cer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86000 Bifido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PREBVFJICNPEKM-YDWXAUTNSA-N Bisdemethoxycurcumin Natural products C1=CC(O)=CC=C1\C=C\C(=O)CC(=O)\C=C\C1=CC=C(O)C=C1 PREBVFJICNPEKM-YDWXAUTN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109262 Curcu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2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15 curcuma longa l. r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754 curcu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148 curcu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LXNHXLLTXMVWPM-UHFFFAOYSA-N pyridoxine Chemical compound CC1=NC=C(CO)C(CO)=C1O LXNHXLLTXMVW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712 vitamin 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851 Artemisia dracun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41 Bi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15286 Dam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768 Derma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930 Fatty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336 Ganoderm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708 Hepatic stea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880 Pol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897 Se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41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JZRWCGZRTZMZEH-UHFFFAOYSA-N Thiamine Natural products CC1=C(CCO)SC=[N+]1CC1=CN=C(C)N=C1N JZRWCGZRTZMZ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963384 Zingiber miog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02 analges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96 anti-anti-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54 anti-py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67 anti-ul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21 antipy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95 brain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03 curry powd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86 dia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1 digesti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6 non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3 pungent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60 pyridox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62 pyridox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77 pyridox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80 se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7 sensitive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86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40 steatosis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2 strong irri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7 thiam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1 thiam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52 yellow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2—Curcumin, turmeric
Abstract
본 발명은 볶음 미강을 우유와 혼합 반죽하고 증숙 및 냉각시켜서 된 냉각 반죽물에 유산균을 혼합한 혼합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고 이를 유산균 발효시킨 다음 발효 강황만을 건져내어 수득되는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에 의해 섭취가 간편하고 인체 흡수력과 식감 및 항산화작용 등이 우수하고 간기능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를 갖도록 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볶음 미강과 우유를 혼합하여 미강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미강 반죽물을 증숙시키는 단계; 상기 증숙된 미강 반죽물을 유산균 발효조건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미강 반죽물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고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조성물에서 강황만을 건져내고 이를 건조시켜서 된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의 수득단계;로 이루어진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볶음 미강과 우유를 혼합하여 미강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미강 반죽물을 증숙시키는 단계; 상기 증숙된 미강 반죽물을 유산균 발효조건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미강 반죽물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고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조성물에서 강황만을 건져내고 이를 건조시켜서 된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의 수득단계;로 이루어진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볶음 미강을 우유와 혼합 반죽하고 증숙 및 냉각시켜서 된 냉각 반죽물에 유산균을 혼합한 혼합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고 이를 유산균 발효시킨 다음 발효 강황만을 건져내어 수득되는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에 의해 섭취가 간편하고 인체 흡수력과 식감 및 항산화작용 등이 우수하고 간기능개선 및 숙취해소에 좋은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황은 외떡잎 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생강과 식물은 습윤한 열대, 특히 인도에서 말레이지아에 걸쳐 많은 종류가 분포되어 있으며,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늦은봄에 나팔모양의 담홍색꽃이 겨드랑이에 많이 달리고, 뿌리와 줄기를 약용하며, 잎과 줄기, 뿌리와 과실에 특유의 방향과 색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생강과 양하, 카르다몬(에레타리아속), 강황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향신료와 염료 등으로 쓰여지고 있다.
이러한 강황의 주성분인 쿠르쿠민(curcumine)은, 그 유도체인 p-hydroxycinnamoylferulferuloylmethane 및 p,p'-dihydroxydicinn amoylmethane으로 된 황색색소를 0.3% 정도 함유하며 기타 1~5%, 불휘발성유 약 2.4%, 전분 50%, 조섬유 5%, 회분 4%, 수분 16% 정도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쿠르쿠민(curcumine)은 간장기능을 강화하고, 담즙분비를 촉진하는 작용과 이뇨 작용이 있으며 강황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이며, 인삼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이 인삼 사포닌인 것과 마찬가지로 강황의 유효성분은 쿠르쿠민(curcumine)으로 대표되며, 쿠르쿠민 함량이 증가할수록 우수한 강황으로 평가받게 된다.
이러한 강황의 약효작용은 간기능강화, 두뇌활성, 치매예방, 혈관건강, 항암, 항산화, 다이어트, 고혈압, 콜레스테롤 감소, 건위, 항궤양, 토사 방지, 장의 소화,흡수촉진, 진통, 진정, 발한, 해열, 보온, 해독, 항균 등이며, 최근에는 이러한 약효가 재차 주목받고 있으며, 생강과 같은 과에 속하는 강황 또한 다양환 약효가 확인되고 우수한 약재이면서 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렇게 강황은 인체에 유효한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매운맛, 쓴맛 등의 강한 자극성 맛과 강한 자극성 냄새에 의해 풍미 및 식감이 저하되어 많은 량을 섭취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장이 약한 사람은 설사를 유발하거나 민감한 피부를 가진 경우에는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강황은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기보다는 주로 카레와 같은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강황의 유효성분을 충분히 흡수하여 약리작용을 높이고 섭취가 용이한 강황 제품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편, 미강은 벼에서 왕겨를 뽑고 난 다음 현미를 백미로 도정하는 공정에서 분리되는 고운 속겨로서 비타민 A를 비롯해 B1,B6, 철분, 인,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들이 함유되어 있다.
미강의 표준적인 화학 조성을 보면 수분 13.5%, 지방 18.3%, 당질 38.3%, 섬유 7.8% , 회분 8.9% 이다. 비타민 B1은 100g중 2.5㎎이나 들어 있으며, 비타민 E도 많다.쌀겨를 먹으면 식물 섬유로 인해 장의 작용이 활발하게 되므로 배변이 촉진되어 아무리 지독한 변비도 해결할 수 있다. 또, 식물 섬유는 장내의 비피더스균을 증가시켜 장 안에 기생하고 있는 세균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기능까지 하고 있기 때문에 대장암도 예방된다.
이러한 비피더스균이 증가하면 장이 건강하게 되어 노화 방지에도 큰 몫을 담당한다. 지방간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가 높다. 쌀겨의 성분은 또 소장 내 칼슘의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결석이 생기기 쉬운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다. 쌀겨를 면이나 명주 천으로 만든 주머니 속에 넣어 얼굴, 피부 등을 닦으면 얼굴은 윤이 나고 몸은 놀라울 정도로 청결해진다. 비누의 세정효과는 비교도 안 될 것이다. 또 쌀겨로 몸을 닦으면 윤기가 흐르는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피부병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등 건강과 미용면에서 볼 때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효과를 가진 미강은 섭취가 번거롭고 쉽게 질리는 등 식감이 좋지 않으므로 미강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영양성분 공급을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볶음 미강을 우유와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미강 반죽물을 증숙하고 냉각하여 유산균 생육조건으로 조성한 다음 상기 냉각 미강 반죽물에 유산균을 혼합하여서 된 미강, 우유,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발효조성물에 통뿌리 강황을 넣어 발효시킨 다음 발효된 강황만을 건져내어 수득되는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에 의해 섭취가 간편하고 인체 흡수력과 식감 및 항산화작용 등이 우수하며 간기능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볶음 미강과 우유를 혼합하여 미강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미강 반죽물을 증숙시키는 단계; 상기 증숙된 미강 반죽물을 유산균 발효조건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미강 반죽물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고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조성물에서 강황만을 건져내고 이를 건조시킨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의 수득단계;로 이루어진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강 반죽물은, 볶음 미강 30~50 중량부, 우유 20~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및 반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강 반죽물의 증숙단계에서는, 미강 반죽물을 100℃의 온도에서 30~40분 동안 증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강 반죽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에서는, 증숙된 미강 반죽물을 35~45℃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에서는, 증숙 살균된 미강 반죽물 80~90 중량부에 유산균 발효유 10~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및 반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에서는, 증숙 살균된 미강 반죽물 80~90 중량부에 유산균 발효유 10~20 중량부, 감초분말 1~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및 반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황을 발효시키는 단계에서는, 미강, 우유, 유산균이 혼합되고 이를 반죽시킨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되고 수분함량이 70% 이상인 강황은 36~40℃의 온도에서 72~120시간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황을 발효시키는 단계에서는, 미강, 우유, 유산균이 혼합되고 이를 반죽시킨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되고 수분함량이 70% 이하인 강황은 36~40℃의 온도에서 96~144시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산물의 수득단계에서는, 미강, 우유, 유산균이 혼합된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어 발효시킨 다음 발효조성물에서 발효 강황만을 건져내고 이를 건조기에 넣어 수분 함량이 20% 이하로 건조시킨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화의 유효성분을 충분히 갖도록 하면서 미강, 우유,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발효조성물에 통뿌리 강황을 넣어 발효시킨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에 의해 섭취가 간편하고 인체 흡수력과 식감 및 항산화작용 등이 우수하며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을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강기능식품은, 볶음 미강과 우유를 혼합하여 미강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미강 반죽물을 증숙시키는 단계; 상기 증숙된 미강 반죽물을 유산균 발효조건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미강 반죽물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고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조성물에서 강황만을 건져내고 이를 건조시켜서 된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의 수득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미강은 벼에서 왕겨를 뽑고 난 다음 현미를 백미로 도정하는 공정에서 분리되는 고운 속겨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지방질, 단백질, 식이섬유가 영양소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비타민 A와 티아민, 피리독신, 니아신 등의 비타민 B군, 비타민 E 및 칼슘, 아연, 철분 등의 미네랄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 등 각종 영양분이 확인되고 있다.
즉, 미강은 쌀의 영양소가 집중되어 있어 있고 식물성 단백질이나 비타민과 같은 영양소를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미강을 이용하여 발효시킴에 따라 미강의 유효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미강은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유산균 발효를 촉진하게 되고, 미강은 볶음 과정을 거쳐서 된 볶음 미강을 사용함으로써 후 공정의 유산균 발효조성 반죽물에서 고소한 풍미를 갖도록 함에 있다.
상기 미강 반죽물은, 볶음솥에 미강을 넣어 20~30분간 볶은 다음 상기 수득된 볶음 미강 30~50 중량부, 우유 20~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골고루 반죽하여 미강 반죽물을 만들게 되며, 이때 미강 반죽물에 포함된 우유는 후 공정의 유산균 발효공정시에 유산균 활성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미강 반죽물의 증숙단계에서는, 미강 반죽물을 100℃의 온도에서 30~40분 동안 증숙시켜 수분 흡수 및 살균시키는 과정으로 수분으로 인해 번식될 수 있는 유해균들의 생성을 차단토록 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증숙된 미강 반죽물은 증숙과정에서 유지하고 있는 100℃의 온도를 유산균 발효조건으로 냉각하되 35~45℃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여 최적의 온도조건에서 유산균 발효를 할 수 있는 조건으로 만든다. 이는 45℃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는 유산균이 죽거나 활성도가 저하되고, 35℃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는 유산균의 활동이 저하되어 유산균 증식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유산균 발효가 잘 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에서는, 증숙 살균된 미강 반죽물 80~90 중량부에 유산균 발효유 10~20 중량부의 비율로 골고루 혼합하고 이를 반죽하여서 된 발효조성물에 의해 강황이 최적으로 발효될 수 있는 발효조성물을 만든다.
상기 발효조성물에 함유된 미강 및 우유는 유산균 활동을 더욱 활성화하고 유산균 증식을 촉진시키게 되며, 상기 발효조성물은 수분의 유동성을 줄여 주게 되므로, 이러한 발효조성물 내에 넣어 강황을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강황의 유효성분이 빠져나오지 않고 강황이 최적으로 발효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즉, 강황이 가지고 있는 주성분인 쿠르쿠민(curcumine) 등의 유효성분을 충분히 갖고 있으면서 간기능강화, 두뇌활성, 치매예방, 혈관건강, 항암, 항산화, 고혈압, 콜레스테롤 감소, 건위, 항궤양, 토사 방지, 장의 소화,흡수촉진, 진통, 진정, 발한, 해열, 보온, 해독, 항균 등의 효능 등과 같은 약리작용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강황이라 함은 생강과(生薑科)의 다년초인 울금, 옥금, 왕금 및 심황 등으로 알려져 있는 것뿐만 아니라 울금의 색상에 따라 분류되는 황울금, 백색울금, 자주울금, 흑울금 등과 같이 사전적 의미를 굳이 본 명세서에 명시하지 않아도 자명하게 알 수 있는 모든 울금류를 포함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강황을 발효시키는 단계에서는, 미강, 우유, 유산균이 혼합되고 이를 반죽시킨 발효조성물을 발효용기에 담은 다음 상기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어 36~40℃의 온도에서 72시간~144시간 발효시키되 수분함량이 높은 수분함량이 70% 이상인 강황은 36~40℃의 온도에서 72~120시간 발효하고, 수분함량이 70% 이하인 강황은 36~37℃의 온도에서 96~144시간 발효시키는 과정으로 강황 발효를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통뿌리로 된 강황은 채취된 강황에서 잔뿌리는 제거하고 껍질은 제거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통뿌리로 된 강황을 물로 세척하고 이물질 및 잔뿌리를 제거한 다음 정선과정을 거쳐 선별되고 채반 등에서 물기를 빼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조성물에 강황을 넣게 될 때 강황은 서로 닿지 않도록 하여 발효과정에서 강황에 발효조성물이 골고루 접촉되어 발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발효산물의 수득단계에서는, 미강, 우유, 유산균이 혼합된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어 발효시킨 다음 발효조성물에서 발효 강황만을 건져내고 이를 건조기에 넣어 건조온도 36~40℃의 온도에서 40~80시간 건조시켜 수분 함량이 20% 이하인 발효 강황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발효 강황은 통뿌리로 되어 있고 껍질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발효가 된 것인바, 이는 껍질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발효되기 때문에 강황의 표피부분이 손상되거나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변색을 방지하고, 건조된 발효 강황은 자연 건조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껍질이 제거되지 않고 통뿌리로 유지하고 있는 발효 강황으로 제조되므로 유산균 발효되어 있는 강황의 장기 보관이 용이하고, 발효 강황을 유통 시킬 때에도 원형 그대로의 발효된 강황을 소비자에게 보여주므로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상품가치 및 소비자의 신뢰감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뿌리 발효 강황으로 된 발효산물은 미강, 우유,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함으로써 수분의 유동성을 최소화하여 강황의 유효성분이 유출되지 않고 발효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영양학적으로도 유용한 미생물의 생리작용을 통해 생리활성 물질 및 흡수와 소화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발효 강황은 먹기 좋은 맛과 식감을 갖게 되고 미강의 유효성분도 함께 섭취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발효 강황의 껍질이 있는 상태로 직접 섭취할 수도 있고, 꿀과 같은 기호식품과 발효 강황을 섞어 잼 등으로 만들어 섭취하는 경우에는 단맛에 의해 어린이들도 즐겨 먹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미강, 우유, 유산균이 혼합된 발효조성물의 생성시에 감초분말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강황이 가지고 있는 자극적인 맛과 향을 중화시켜 식감이 더욱 좋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뿌리로 된 발효 강황 발효산물을 저온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 다음 분쇄기에 의해 미립자로 된 분말로 만들어 복용하거나 과립 또는 환형태로 만들어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분말로 된 발효 강황 발효산물에 꿀 등을 첨가하여 보다 식감이 좋고 섭취한 용이한 건강기능식품을 만들어 복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강황의 약효성분을 충분히 갖도록 하면서 인체 흡수력과 효능을 극대화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보존성이 우수하고 생리작용이 활성화된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 볶음 미강과 우유를 혼합하여 미강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미강 반죽물을 증숙시키는 단계;
상기 증숙된 미강 반죽물을 유산균 발효조건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미강 반죽물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고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조성물에서 강황만을 건져내고 이를 건조시킨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의 수득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 반죽물은, 볶음 미강 30~50 중량부, 우유 20~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및 반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 반죽물의 증숙단계에서는, 미강 반죽물을 100℃의 온도에서 30~40분 동안 증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 반죽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에서는, 증숙된 미강 반죽물을 35~45℃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에서는, 증숙 살균된 미강 반죽물 80~90 중량부에 유산균 발효유 10~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및 반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에서는, 증숙 살균된 미강 반죽물 80~90 중량부에 유산균 발효유 10~20 중량부, 감초분말 1~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및 반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을 발효시키는 단계에서는, 미강, 우유, 유산균이 혼합되고 이를 반죽시킨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되고 수분함량이 70% 이상인 강황은 36~40℃의 온도에서 72~120시간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을 발효시키는 단계에서는, 미강, 우유, 유산균이 혼합되고 이를 반죽시킨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되고 수분함량이 70% 이하인 강황은 36~40℃의 온도에서 96~144시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산물의 수득단계에서는, 미강, 우유, 유산균이 혼합된 발효조성물에 통뿌리로 된 강황을 넣어 발효시킨 다음 발효조성물에서 발효 강황만을 건져내고 이를 건조기에 넣어 수분 함량이 20% 이하로 건조시킨 통뿌리 발효 강황 발효산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041A KR101808406B1 (ko) | 2016-02-23 | 2016-02-23 |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041A KR101808406B1 (ko) | 2016-02-23 | 2016-02-23 |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9427A true KR20170099427A (ko) | 2017-09-01 |
KR101808406B1 KR101808406B1 (ko) | 2017-12-14 |
Family
ID=5992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1041A KR101808406B1 (ko) | 2016-02-23 | 2016-02-23 |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840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17554A1 (en) * | 2020-04-30 | 2021-11-04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Sciences, Beijing | Drug targets for hair follicle stem cell loss and us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4424B1 (ko) * | 2013-09-13 | 2014-03-17 | 박호근 | 미강과 쌀눈과 아마씨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
2016
- 2016-02-23 KR KR1020160021041A patent/KR10180840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17554A1 (en) * | 2020-04-30 | 2021-11-04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Sciences, Beijing | Drug targets for hair follicle stem cell loss and u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8406B1 (ko) | 2017-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999996A (zh) | 一种保健板栗及其制备方法 | |
KR100896902B1 (ko) |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 |
KR101955770B1 (ko) |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 |
KR100879016B1 (ko) |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 |
KR101764306B1 (ko) | 건강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896905B1 (ko) |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 |
KR101115450B1 (ko) | 차와 죽의 기능이 함께하는 일회용 시리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08406B1 (ko) |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
KR101728243B1 (ko) | 유산균 발효 통마늘 제조방법 | |
KR101186508B1 (ko) | 발아 곡식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 |
KR20190006650A (ko) |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 |
KR20180033864A (ko) | 죽염간장 제조방법 | |
KR102082115B1 (ko) |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 |
KR101469932B1 (ko) | 황태 곤드레나물 밥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2090660A (zh) | 卤出鸡蛋及其制作方法 | |
KR101701680B1 (ko) | 발효 하수오 제조방법 | |
KR101824119B1 (ko) | 흑연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11334B1 (ko) | 발효 양파의 제조방법 | |
CN104305242A (zh) | 一种富硒笋香金针牛肉丝及其加工方法 | |
KR101690416B1 (ko) | 천마, 미강, 치아씨, 녹차분말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
KR101773251B1 (ko) | 꾸지뽕 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 |
KR101690415B1 (ko) | 엽록소, 쌀눈, 천마, 치아씨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
KR101433888B1 (ko) | 밤을 주재로 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 |
KR101186509B1 (ko) | 발아 곡식을 이용한 주먹밥 제조방법 | |
KR102224111B1 (ko) | 5단계 덖음 및 5단계 건조를 거친 연심차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