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877A -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877A
KR20060097877A KR1020050018762A KR20050018762A KR20060097877A KR 20060097877 A KR20060097877 A KR 20060097877A KR 1020050018762 A KR1020050018762 A KR 1020050018762A KR 20050018762 A KR20050018762 A KR 20050018762A KR 20060097877 A KR20060097877 A KR 2006009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container
chronic bronchitis
aging
gink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빈
Original Assignee
임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빈 filed Critical 임영빈
Priority to KR102005001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7877A/ko
Publication of KR2006009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87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21D1/773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under reduced pressure or vacu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식을 비롯한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을 이용하여 음용하기에 거북함이 없는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을 채취하여 일정크기의 용기에 담는 과정과, 용기에 담긴 은행을 2주간 자연숙성하는 제1숙성과정과, 상기 숙성과정을 통하여 용기에 침출된 은행 침출액에 양파 분쇄물을 혼합하는 과정과, 상기 혼합물을 30~40℃에서 1~3년간 제2숙성하고 여과하는 과정과, 상기 여과물을 포장용기에 포장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로써 은행의 외과피와 종자를 별도로 분리해내는 수고 없이 은행의 외과피만을 이용하여 발효추출액을 제조하되, 양파의 분쇄물과 함께 숙성함으로써 음용의 거북함이 없으며,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발효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이를 포장된 건강보조식품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 냄새로 인하여 활용도가 없는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통상 은행의 외과피와 종자를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원발명의 숙성과정을 통하여 은행의 외과피와 종자가 자연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이러한 수고를 덜게 되었다.
은행, 만성기관지염, 양파, 숙성, 음용

Description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A fermented extract of ginko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천식을 비롯한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을 이용하여 음용하기에 거북함이 없는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과 양파를 함께 발효시켜 제조되는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은 은행나무에서 열리는 열매로, 10월경에 황색의 열매로 익어 떨어지는데, 이는 다육성의 외과피와 외과피 안쪽에 흰색의 단단한 중과피를 가진 단단한 종자로, 중과피 안쪽에 갈색피막의 내종피가 있고 그 속에 청록색의 배젖이 있다.
예로부터 은행은 폐를 따뜻하게 하고 기를 늘리며, 기침과 천식을 가라 앉히는데 효력이 있으며 야뇨증이나 오줌소태, 대하증, 숙취해소 등에 효력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은행에는 간놀, 펙틴, 히스티딘,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폐결핵 환자나 천식환자가 오래 먹으면 기침이 없어지고 가래가 적게 나온다. 또한 레시틴과 비타민 B의 모체가 되는 엘고스테린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성욕감퇴, 신경쇠약, 전신피로 등의 뇌혈관을 개선해 주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건강을 위하여 은행을 복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은행은 종자를 볶아서 복용하거나 신선로, 은행단자 등의 요리외에 여러 음식의 고명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바깥껍질인 외과피는 냄새가 심하게 나고 피부에 닿으면 염증을 일으켜서 은행을 까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외과피는 전부 폐기 처분되므로 처리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천식 등의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외과피를 음용하기 좋은 건강식품형태로 가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은행의 외과피와 종자를 별도로 분리해내는 수고 없이,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하여 발효추출액을 제조하되, 음용의 거북함이 없도록 하여 이를 상시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그 냄새로 인하여 버려지고 있는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막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식을 비롯한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을 이용하여 음용하기에 거북함이 없는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을 채취하여 일정크기의 용기에 담는 과정과;
상기 용기에 담긴 은행을 2주간 숙성시켜 침출액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숙성과정과;
상기 숙성과정을 통하여 용기에 침출되는 은행 침출액에 양파 분쇄물을 혼합 하는 과정과;
상기 혼합물을 30~40℃에서 1~3년간 숙성하고, 상부에 맑은액만을 여과하는 과정과;
상기 여과물을 포장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원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담는 과정
10월경에 잘 익은 은행을 채취하여 일정크기의 용기에 담는다.
이때 은행은 완전히 무른 것이라도 상관 없으나, 덜 익은 것은 익은 것에 비하여 숙성시간이 오래걸리고, 완성된 발효추출액에서 떫은 맛이 나 부적합한 것이 된다.
따라서 잘 익은 은행을 선별하여 일정크기의 용기에 담는다. 용기는 은행을 담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는 것이든 무방하나 항아리가 바람직할 것이다.
2. 제1숙성과정
상기 은행이 적층된 용기를 실온에서 2주간 자연숙성한다.
실온에서 방치한 후 2주일이 경과하면 과육이 물러지며, 내부의 종자와 과육이 분리된다.
이때 고약한 냄새와 함께 과육으로 부터 육즙이 빠져나오는데 이는 용기하단에 침출된다. 제1숙성과정에서, 완전히 익은 은행은 1주일이 경과하면 침출액이 발 생되나, 덜 익은 은행은 2주일이 경과하여야 침출액이 발생되므로 2주일의 숙성기간이 바람직한 것이다.
3. 혼합과정
상기 숙성과정으로 발생한 은행의 침출액만을 걸러내어 이를 항아리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탱크에 담는다. 이때 은행의 침출액을 제외하고 남은 은행의 과육 및 종자는 흐르는 물에 씻어 과육은 폐기처리하고 종자는 별도의 판매 또는 통상의 식이방법으로 먹도록 한다.
걸러진 은행의 침출액에 통상의 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한 양파 분쇄물을 혼합한다. 이때 은행 침출액과 양파 분쇄물의 혼합비율은 중량비 8:2가 되도록 한다.
4. 제2숙성과정
상기 은행 침출액과 양파 분쇄물의 혼합물이 담긴 용기를 30~40℃의 온도에서 1~3년간 숙성한다. 1년 미만으로 숙성시키면 양파의 냄새와 독특한 은행과육 냄새가 나, 완성된 액상의 건강보조식품의 음용을 거북하게 하고 또한 숙성후, 상부에 부유하는 액이 맑지 못해 부적합한 것이 된다.
3년을 초과하여 숙성시키면, 완성된 건강보조식품에서 이미, 이취가 감지되어 부적합한 것이 된다.
1~3년간의 숙성을 끝내면 용기 하단에는 양파 분쇄물을 비롯한 발효부산물이 침전되고 그 상부에는 붉은색의 맑은액이 존재하게 된다.
5. 여과과정
상기 붉은색의 맑은 액을 통상의 방법으로 여과하여 액속에 부유물이 없도록 한다.
6. 포장공정
상기 여과물을 통상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재질의 포장용기에 포장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은행 발효추출액은 양파의 혼입과 숙성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음용의 거북함이 없는 액상의 건강보조식품이 되며, 이는 성인 1회 20ml씩, 1일 2회 음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꾸준히 음용하면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경이 되면 천식 등의 만성기관지염의 증상이 호전된다. 이는 음용자의 체질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3년간 꾸준히 음용하면 기관지염이나 천식과 같은 만성기관지염의 증상이 사라지게 된다.
(실험예 1)
실험예 1은 본원발명의 구성을 통하여 제조된 은행 발효추출액을 샘플(실험구)로 30명의 실험대상자들에게 음용케 하여, 음용에 대한 거북함 정도를 알아 보았다. 이때, 대조구는 본원 발명의 구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나, 양파 분쇄물의 혼입 없이 제조한 은행 발효추출액을 사용하였다.
10점 점수법(1-아주남쁨.........5-보통...........10-좋음)으로 실시하였으 며, 그 평균값을 결과치로 얻었다, 그 결과 8.5의 비교적 좋은 수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본원발명이 은행 발효추출액이 가질 수 있는 음용의 거북함을 유의적으로 제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좋은 결과가 되었다.
(실험예 2)
실험예 2는 본원발명의 구성을 통하여 제조된 은행 발효추출액을 만성기관지염 증상을 가지고 있는 실험대상자 30명에게 1회 20ml씩, 1일 2회, 1년간 꾸준히 복용하게 하고,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1.차이 없음 2.잘모르겠음 3.호전됨 4.많이호전됨
인원수 1 2 7 20
이상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구성에 의하여 제조된 은행 발효추출액은 음용의 거북함이 없으며, 만성기관지염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식 등의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을 음용하기 좋은 건강식품형태로 가공한 것으로써, 은행의 외과피와 종자를 별도로 분리해 내는 수고 없이 은행의 외과피만을 이용하여 발효추출액을 제조하되, 양파의 분쇄물과 함께 숙성시켜 음용의 거북함이 없으며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액상의 은행 발효추출액을 제조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제조된 은행 발효추출액을 포장된 건강보조식품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은행의 효능을 널리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 냄새로 인하여 활용도가 없는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통상 은행의 외과피와 종자를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원발명의 숙성과정을 통하여 은행의 외과피와 종자가 자연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이러한 수고를 덜게 되었다.

Claims (5)

  1. 은행을 채취하여 일정크기의 용기에 담는 과정과;
    상기 용기에 담긴 은행을 실온에서 2주간 자연숙성시키는 제1숙성과정과;
    상기 숙성과정을 통하여 용기에 침출된 은행 침출액에 양파 분쇄물을 혼합하는 혼합과정과;
    상기 혼합물을 용기에 넣어 1년~3년간 숙성시키는 제2숙성과정과;
    상기 숙성된 혼합물에서 발효부산물을 여과하여 맑은 액만을 취하는 여과과정과;
    상기 여과액을 판매용기에 포장하는 포장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은행 침출액과 양파 분쇄물의 혼합은 중량비 8:2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제2숙성과정은 30~40℃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2숙성과정시 용기는 항아리 및 스테인레스 재질의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제조방법
  5. 제 1항에 의하여 제조된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KR1020050018762A 2005-03-07 2005-03-07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97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762A KR20060097877A (ko) 2005-03-07 2005-03-07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762A KR20060097877A (ko) 2005-03-07 2005-03-07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877A true KR20060097877A (ko) 2006-09-18

Family

ID=3762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762A KR20060097877A (ko) 2005-03-07 2005-03-07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78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69B1 (ko) * 2009-11-09 2012-05-09 두성은행영농조합법인 은행 외과육 추출액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작물 재배 방법
CN104306917A (zh) * 2014-09-28 2015-01-28 苏州市天灵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治疗慢性支气管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506483B1 (ko) * 2013-04-26 2015-03-27 한명순 송아지 감기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69B1 (ko) * 2009-11-09 2012-05-09 두성은행영농조합법인 은행 외과육 추출액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작물 재배 방법
KR101506483B1 (ko) * 2013-04-26 2015-03-27 한명순 송아지 감기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06917A (zh) * 2014-09-28 2015-01-28 苏州市天灵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治疗慢性支气管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416B1 (ko) 박과 식초 조성물
KR101469916B1 (ko) 물회 육수의 제조방법
CN105707559A (zh) 一种黑木耳乳酸发酵饮料的制备方法
KR101639126B1 (ko) 건강 다이어트용 저염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312829A (zh) 一种橄榄玫瑰茄果酒的制作方法
CN106616109A (zh) 一种灵芝饮品的制作方法
KR20170036886A (ko) 배, 석세포 및 딸기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1716297B1 (ko) 생약성분이 함유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KR20060097877A (ko) 만성기관지염에 유효한 은행 외과피의 발효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CN107173770A (zh) 一种银杏营养酱及其制备方法
CN105123984A (zh) 一种茶香臭豆腐
CN101214030B (zh) 原汁枇杷膏及其制作方法
KR101186350B1 (ko) 토마토와 양파를 주재로 한 음료 및 소스의 제조방법
CN115176951A (zh) 一种云芝菌发酵刺梨红米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308472B (zh) 洋葱山楂功能性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772014B1 (ko) 아로니아와 배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제조방법
CN105795173A (zh) 一种新鲜草莓酱罐头的制作方法
KR102523536B1 (ko) 껍질을 포함하는 과일청 및 그 제조방법
CN105661462A (zh) 一种青桔食用醋的生产工艺
KR20110105018A (ko) 오디 막걸리 제조방법
CN107183450A (zh) 一种柿子叶保健饮料的制备方法
KR101957108B1 (ko) 청귤을 이용한 초콜릿 스낵 및 그 제조방법
CN106173699A (zh) 一种羊奶果西番莲蜂蜜饮料及其制作方法
KR20040063183A (ko)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
CN106261319A (zh) 一种金橘西番莲蜂蜜饮料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