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162A -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162A
KR20100076162A KR1020080134102A KR20080134102A KR20100076162A KR 20100076162 A KR20100076162 A KR 20100076162A KR 1020080134102 A KR1020080134102 A KR 1020080134102A KR 20080134102 A KR20080134102 A KR 20080134102A KR 20100076162 A KR20100076162 A KR 20100076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manufacturing
drink
cudrania
natu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태웅
Original Assignee
육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태웅 filed Critical 육태웅
Priority to KR102008013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6162A/ko
Publication of KR2010007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제조방법은 꾸지뽕나무의 잎과 열매, 1∼2cm로 자른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가지, 및 줄기와, 1∼2cm로 자른 옥수수대와,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여 추출한다, 추출물를 얻은 후, 얻은 추출물에 엿질금에 불려, 멥쌀로 지은 고두밥에 부어 하룻밤 삭힌다. 삭힌 추출액을 가열하여, 꾸지뽕 조청을 제조하는 꾸지뽕 조청 제조단계와, 상기 꾸지뽕 조청에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잔가지 및 줄기와 열매를 혼합하여 발효 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와, 상기 여과단계에서 여과된 여과액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에서, 여과물액에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과 삼베로 감싼 숯을, 일정기간 넣어서,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의 미세한 통기공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미세한 불순물과 이물질을 흡착 및 제거하고 잡냄새를 자연 제거하며,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여, 오죽대통의 유익한 성분과 향이 잘 어우러져, 맛과 향이 좋게 하는,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a Beverage of the Cudrania Tricupspidate Bureau}
본 발명은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꾸지뽕 나무의 유익한 성분을 추출, 발효, 및 여과 시키고, 양단이 밀폐된 오죽대통과 숯을 이용하여, 꾸지뽕 나무 특유의 역한 냄새를 제거와 불순물과 이물질 제거 및 흡착하고, 숙성시켜, 오죽대통의 유익한 성분과 향과 맛이 잘 어우러져, 건강에 유익하며, 음용하기 용이한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꾸지뽕나무의 우수한 약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 Lavallee)는 속명으로서 구지뽕나무, 굿가시나무, 활뽕나무라 불리우고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꾸지뽕나무의 뿌리껍질, 나무질부, 나무껍질 및 잎에는 인체에 유효한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전래로부터 꾸지뽕나무는 그 뿌리, 껍질, 줄기, 잎, 나무껍질, 열매 등 부위에 따라 혈압강하제, 결핵치료제, 해열제, 건해제, 거담제, 이뇨제, 지혈제, 거풍제 등의 약재로 이용되었으며, 항진균제로서 무좀에 사용하고 소화기관의 허약에 의한 만성소화불량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꾸지뽕나무의 열매는 취과로 둥글며 지름이 2.5cm 내외이며, 9월∼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과육은 달고 식용이 가능하다. 그 열매에는 비타민 B, B1,B2, 비타민 C, 리놀레인산, 포도당, 말토스, 후럭토스, 사과산, 레몬산 등 유용한 유기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꾸지뽕나무는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플라노보이드를 함유하고 있어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음이 동의보감, 약성감, 본초강목 등에서 고대로부터 널리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데,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유전공학연구실의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한 신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제니쿠드라닌의 화학구조 및 생물활성"이란 논문에 의하며 꾸지뽕나무의 줄기 껍질에 폐암, 대장암, 피부암, 자궁암 등에 효과가 놓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꾸지뽕나무는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을 이용할 수 없는 환자들한테 적용하여 좋은 효과를 보고 있는데, 종양을 더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할 뿐만 아니라 통증을 가볍게 하고 식욕을 증진시켜서 몸무게를 늘려주고 복수를 없애주는 작용이 있다.
한편, 꾸지뽕나무로부터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약리적으로 이용하는 시도가 있으나, 꾸지뽕나무의 잎, 줄기, 뿌리, 나무껍질, 및 가지와, 그 열매를 이용하여 발효 및 숙성시켜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기능성 음료 개발은 아직 미비하여 널리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꾸지뽕나무 특유의 역한 냄새가 제거되지 못하여 음용시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꾸지뽕나무로부터 유익한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발효 와 여과 및 숯과 오죽대통을 이용하여 숙성시키며, 꾸지뽕나무의 역한 냄새 및 이물질과 불순물을 흡착 및 제거하여, 용이하게 음용 가능한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방법은 꾸지뽕나무의 잎과 열매, 1∼2cm로 자른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가지, 및 줄기와, 1∼2cm로 자른 옥수수대와,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여 추출 하는 단계와, 추출물을 얻은 후, 얻은 추출물에 엿질금을 불려, 멥쌀로 지은 고두밥에 부어 하룻밤 삭힌다. 삭힌 추출액을 가열하여, 꾸지뽕 조청을 제조하는 꾸지뽕 조청 제조단계와, 상기 꾸지뽕 조청에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잔가지, 및 줄기와 열매를 혼합하여 발효 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와, 상기 여과단계에서 여과된 여과액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액에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을 넣고, 소독한 납작돌로 오죽대통이 떠오르지 않게 하고, 그 위에 삼베로 감싼 숯을, 일정기간 넣어서,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의 미세한 통기공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미세한 불순물과 이물질을 흡착 및 제거하고 잡냄새를 자연 제거하며,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여, 오죽대통의 유익한 성분과 향이 잘 어우러져, 맛과 향이 좋게 하는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 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꾸지뽕조청은 상기 혼합물을 솥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되면, 상기 꾸지뽕조청에 혼합되는 꾸지뽕나무뿌리껍질, 잔가지, 줄기, 잎, 열매와, 상기 꾸지뽕조청은 50:50내지 33:67의 중량비로 혼합되면, 상기 발효물은 소나무 그늘에서 1년이상 발효하고, 상기 발효물은 소나무가 자라는 주변의 땅에 묻어 1년이상 숙성하되, 상기 발효물내의 상기 숯의 중량은 상기 발효액 중량의 5%∼20%이며, 상기 삼베에 감싼 숯과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을 1년 이상 상기 발효물 내에 넣어, 상기 발효물의 냄새 및 이물질과 불순물을 흡착 및 자연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 음료는 상기 꾸지뽕음료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은, 꾸지뽕나무로부터 유익한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발효 및 여과 시키고,숙성시키며, 대나무 숯과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에의 삼투압 방식으로 꾸지뽕나무의 역한 냄새와 불순물 그리고 이물질이 자연 흡착 및 제거되고 오죽대통의 유익한 성분과 향이 잘 어우러져 , 건강에 유익하며, 용이하게 음용 가능한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1과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꾸지뽕 음료 그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2는 항아리(B10)와 항아리 뚜껑(B20),오죽대통(A10),삼베로 감싼 대나무 숯(S50),소독한 돌(B30)의 그림 설명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꾸지뽕 음료 그 제조방법은 꾸지뽕조청 제조단계(s10), 발효단계(s20), 여과단계(S30)와,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꾸지뽕조청 제조단계(S10)에서 꾸지뽕조청을 제조하기 위해서, 꾸지뽕나무의 잎, 열매, 뿌리, 나무껍질, 가지, 및 줄기를 준비한다.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가지, 및 줄기는 각각 1∼2cm로 잘라 놓는다.
1∼2cm로 자른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가지 및 줄기에 상기 꾸지뽕나무의 잎과 열매를 혼합하고, 여기에 1∼2cm로 자른 옥수수대와,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만든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추출물를 얻은 후, 얻은 추출물에 엿질금에 불려, 멥쌀로 지은 고두밥에 부어 하룻밤 삭히고. 삭힌 추출액을 가열하여, 꾸지뽕 조청을 만든다.
이어서, 상기 발효단계(s20)에서는 상기 꾸지뽕조청 제조단계(S10)에서 제조 된 상기 꾸지뽕조청에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잔가지, 잎, 열매를 혼합하여 일정기간 동안 발효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잔가지, 잎, 열매와 꾸지뽕조청은 그 중량비가 50:50내지 33:67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항아리(B10)에 담고, 상기 항아리(B10)를 소나무그늘에서 1년 이상 놓아두면서 상기 열매와 꾸지뽕조청 내에 포함된 미생물의 효소에 의해 발효가 진행되도록 한다.
소나무에는 피톤치드(phytoncide)와 테르펜(terpene)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톤치드는 박테리아, 곰팡이, 기생충 등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시키는 강력한 항균작용과, 스트레스 해소 등 다양한 약리효과가 있으며, 그 피톤치드는 휘발성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숲에서 숨을 쉬는 것만으로도 피로회복과 각종 독소들을 배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테르펜은 솔잎에 포함되어 있는 중요성분으로, 피톤치드와 마찬가지로 휘발성 물질로서, 피로회복과 각종 독소들을 배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솔잎에 포함된 네르펜은 40종 이상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그중 알파-피넨, 베타-피넨, 베타-펠란드렌, 베타-카료필렌, 미르센, 캄페인, 알파-페르피놀렌 등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발효단계(S20)에서 꾸지뽕조청과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잔가지, 잎, 열매를 담은 항아리를 소나무 그늘에서 1년이상 놓아두어 발효시키면, 소나무의 피톤치드와 테르펜 성분에 의하여 꾸지뽕조청과 꾸지뽕나무의 뿌 리, 나무껍질, 잔가지, 잎, 열매의 혼합물의 항균작용 및 그 혼합물에 포함된 각종 독소가 배출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여과단계(S30)에서는 상기 발효단계(S20)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도록 한다.
상기 발효단계(S20)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포함되어 있는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가지, 줄기, 잎, 열매 등의 물질을 고운채나 삼베로 거른다.
이와 같이 발효물을 여과하여,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S40), 후에 음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S40)에서는 상기 여과단계(S30)에서 여과된 여과액을 숙성시키도록 한다.
상기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S40)는 상기 여과단계(S30)에서 여과된 여과물액에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A10)을 넣고, 소독한 납작한 돌(B30)로 오죽대통이 떠오르지 않게 하고, 삼베로 감싼 대나무 숯을(S50), 일정기간 넣어서,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A10)의 미세한 통기공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미세한 불순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잡냄새를 흡착 및 제거하며,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여, 오죽대통(A10)속의 숙성액이, 오죽의 유익한 성분과 향이 잘 어우러져, 맛과 향이 좋게 한다,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S40)를 ,상기한 소나무의 약리적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항아리(B10)에 담은 여과액을 , 소나무가 자라는 주변의 땅에 묻어 1년 이상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액은 땅에 묻혀, 숙성기간 동안 10'C∼20'C의 지열온도를 유지하며 숙성되게 된다. 이때, 땅에 묻힌 항아리(B10)의 상부에는, 볏집 등을 엮은 가리개를 설치하여, 항아리 상부의 온도를 서늘하게 유지하고, 비 또는 눈이 항아리(B1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한 발효액(S30)은 꾸지뽕나무의 고유한 역한 냄새를 포함하는데, 삼베로 감싼 숯(S50)과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A10)을 여과된 여과물액에 일정기간 넣어서, 삼베로 감싼 대나무 숯(S50)이 불순물과 이물질 그리고, 잡내를 흡착 하며,양단이 막힌 오죽대통(A10)의 미세한 통기공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미세한 불순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잡냄새를 자연 제거하며,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여, 오죽대통(A10)속의 숙성된 꾸지뽕 음료는, 건강에 유익하고, 오죽대통(A10) 성분과 향이 잘 어우러져, 맛과 향을 좋게 한다.
본 실시예 에서, 여과한 발효액(S30)에 삼베로 감싼 대나무 숯(S50)과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A10)을 일정기간 동안 넣어 둠으로써, 잡내와 불순물 그리고 이물질를 제거 및 흡착하고 오죽대통(A10)에 발효액이 충분히 자연스며들도록 1년이상 땅에 묻어 진행토록 한다.
이와 같이, 발효(S20)와 여과(S30),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S40)를 거친후, 오죽대통(A10) 속의 숙성액을 오죽대통(A10)속에 자연 스민 것은, 각종 음료나 물에 희석 하지 않고도 바로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효(S20)와 여과(S30),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S40)를 거친 후, 오죽대통(A10) 꺼내어 오죽대통(A10)에 구멍을 내어 음용 하고, 항아리(B10) 바닥에 남은 숙성액은 각종 음료와 물에 희석하여 음용 하면 좋으며, 다음에 꾸지뽕음료를 담글 때, 발효와 숙성을 위해 종자로 사용하면 좋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조청 제조단계(s10)는, 꾸지뽕나무의 각 부위와 옥수수대와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여 혼합물을 얻고, 그 혼합물에 엿기름을 하룻밤 불려, 가열 하여 제조되므로, 혼합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충분히 꾸지뽕나무의 유익한 성분들이 우러나오게 되므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꾸지뽕 음료는 꾸지뽕나무에 함유된 유익한 성분에 의해 함암효과 등의 우수한 약리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은 상기 꾸지뽕조청제조단계(S10)에서 옥수수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옥수수에는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등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서 당뇨병, 대장암 등의 성인병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탄수화물이 풍부하고 단백질, 당질, 섬유질, 비타민A, 등이 풍부하여 다이어트식품으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당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잇다.
상기한 효능을 갖는 옥수수의 옥수수대를 상기 꾸지뽕나무의 각 부위와 혼합가열하여 꾸지뽕조청을 제조하므로, 꾸지뽕나무의 고유의 항암효과에 더불어, 옥수수대의 성분에 의한 성인병예방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옥수수대의 높은 당도로 인하여, 발효가 촉진 되며,꾸지뽕나무의 역한 냄새가 희석되어 음용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은, 상기 발효단계(S20)와, 상기 숙성 및 냄새 제거단계(S40) 각 각은 소나무그늘 및 소나무가 자라는 주변 땅에 묻어서 진행되므로, 소나무의 피톤치드와 테르펜 성분에 의하여, 발효물 및 숙성물 내에 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발효균 및 숙성물의 부패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발효단계(s20)는 1년 이상, 상기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S40)는 10'C∼20'C의 지열온도에서 1년 이상의 장시간 동안 자연친화적으로 숙성되므로, 꾸지뽕나무의 고유의 향과 깊은 맛을 유지시켜, 현대인의 건강음료로서 건강증진 및 다양한 기호품에 대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은,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S40)에서, 대나무 숯(S50)이 꾸지뽕나무의 역한 냄새와 불순물과 이물질을 흡착 하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없이 음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은,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S40)에서,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은 미세한 통기공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미세한 불순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잡냄새를 자연 제거하며,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여, 오죽대통의 유익한 성분과 향이 잘 어우러져, 맛과 향이 좋게 하여. 한층 더 맛과 향을 음미할 수 있다.
또한 오죽은, 오죽(Phyllostachys nigra)과 양배추의 함유성분을 비교하여 보면 단백질은 양배추의 2배이고 , 비타민A는 무려 50배가 넘는다.
이밖에 아미노산이 여러 가지 들어있는데 질소화합물로서는 티로신, 아스파 라긴산, 글루타민산, 알라닌 등이 많고, 화합물로서는 과당, 포도당, 저당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댓잎은 맛이 쓰고 성질이 차서 해소와 상기, 종양, 해열, 상충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다.
[출처-고대 문헌 신봉 본초경]
죽력이 뇌졸중과 심신안정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전해 온다.[출처-허준의 동의 보감]
그 외 의학서적에도 관란, 토혈, 거담, 중풍, 당뇨, 두통, 고혈압, 현기증, 신경쇠약, 임신빈혈, 간질, 불면,
과다음주, 피로회복 등에 신비한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꾸지뽕 음료 그 제조방법에 의한 꾸지뽕 음료는 꾸지뽕 재배농가의 소득에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과 발효, 여과 및 숙성 방법에 있어서,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의 항아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50)... 숯 삼베 주머니 (B30)... 소독한 돌
(B20)... 항아리 뚜껑 (B10)... 항아리
(A10).. 오죽대통

Claims (3)

  1. 꾸지뽕나무의 잎과 열매, 1∼2cm로 자른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가지, 및 줄기와, 1∼2cm로 자른 옥수수대와,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여 추출 한다, 추출물을 얻은 후, 얻은 추출물에 엿질금에 불려, 멥쌀로 지은 고두밥에 부어 하룻밤 삭힌다. 삭힌 추출액을 가열하여, 꾸지뽕 조청을 제조하는 꾸지뽕 조청 제조단계와,
    상기 꾸지뽕 조청에 꾸지뽕나무의 뿌리, 나무껍질, 잔가지 및 줄기와 열매를 혼합하여 발효 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와,
    상기 여과단계에서 여과된 여과액을 숙성시키는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와
    상기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에서, 여과물액에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과 삼베로 감싼 숯을, 일정기간 넣어서,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의 미세한 통기공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미세한 불순물과 이물질을 흡착 및 제거하고 잡냄새를 자연 제거하며,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여, 오죽대통의 유익한 성분과 향이 잘 어우러져, 맛과 향이 좋게 하는, 숙성 및 냄새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는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조청은 상기 혼합물을 솥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되며,
    상기 꾸지뽕조청에 혼합되는 꾸지뽕나무 뿌리, 나무껍질, 잔가지, 잎 열매와
    상기 꾸지뽕조청은 50:50내지 33:67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상기 발효물은 소나무그늘에서 1년 이상 발효되며,
    상기 숙성물은 소나무가 자라는 주변의 땅에 묻어 1년 이상 숙성되며,
    상기 숙성물 내의 상기 대나무 숯의 중량은 상기 숙성액 중량의 5∼20%이며, 상기 삼베에 감싼 숯을 1년이상 상기 숙성물 내에 넣어 상기 숙성물의 냄새를 제거 및 흡착 하고,
    상기 숙성물 내의 양단이 막힌 오죽대통은 미세한 통기공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미세한 불순물과 이 물질을 제거하고 잡냄새를 자연 제거하며,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여, 오죽대통의 유익한 성분과 향이 잘 어우러져, 맛과 향이 좋게 하여 한층 더 맛과 향을 음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
  3. 상기 제 2항의 꾸지뽕 음료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음료.
KR1020080134102A 2008-12-26 2008-12-26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6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102A KR20100076162A (ko) 2008-12-26 2008-12-26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102A KR20100076162A (ko) 2008-12-26 2008-12-26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62A true KR20100076162A (ko) 2010-07-06

Family

ID=4263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102A KR20100076162A (ko) 2008-12-26 2008-12-26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61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533A (ko) * 2016-09-21 2016-09-29 한국식품연구원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7162B1 (ko) 2020-03-16 2020-11-12 최영옥 꾸지뽕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2423746B1 (ko) 2021-04-02 2022-07-21 최영옥 꾸지뽕과 예덕나무 및 아마란스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533A (ko) * 2016-09-21 2016-09-29 한국식품연구원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7162B1 (ko) 2020-03-16 2020-11-12 최영옥 꾸지뽕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2423746B1 (ko) 2021-04-02 2022-07-21 최영옥 꾸지뽕과 예덕나무 및 아마란스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032B1 (ko) 꾸지뽕 식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식초
KR101274254B1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0549286B1 (ko) 유자주의 제조방법
CN105230843A (zh) 黄芩混合茶及其制备方法
KR20220013451A (ko) 유산균 발효숙성 노니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 노니 식초 및 유산균 발효숙성 노니의 제조방법
KR101280455B1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CN100396766C (zh) 一种茶树花酒及其制备方法
KR100927215B1 (ko) 주류 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997096A (zh) 鸡矢藤酸汤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00076162A (ko) 꾸지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4734A (ko) 기능성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4634A (ko) 복령주의 제조방법
KR101073782B1 (ko) 꾸지뽕 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차
KR20200068116A (ko) 까마중과 며느리배꼽을 함유한 술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CN103436416B (zh) 一种降血压保健酒及其生产方法
KR20130106898A (ko) 황금빛 죽과 밥을 조리하는 발효효소
KR100512449B1 (ko) 차의 제조방법
KR101195586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혼합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28473A (ko) 복숭아주의 제조방법
KR20110005028A (ko) 복분자·홍삼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복분자·홍삼주
KR20210056007A (ko) 맛과 향이 우수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20160123552A (ko)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2762A (ko) 허브 발효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6082A (ko) 꾸지뽕 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