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568A -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 - Google Patents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568A
KR20220106568A KR1020210009636A KR20210009636A KR20220106568A KR 20220106568 A KR20220106568 A KR 20220106568A KR 1020210009636 A KR1020210009636 A KR 1020210009636A KR 20210009636 A KR20210009636 A KR 20210009636A KR 20220106568 A KR20220106568 A KR 20220106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kgo
fermented
peel
ski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석
Original Assignee
이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석 filed Critical 이만석
Priority to KR1020210009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6568A/ko
Publication of KR2022010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8Addition of flavour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Vi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은행 외과피를 포함하는 원료를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3~4개월간 1차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1차 숙성을 완료한 후 원당 또는 당류를 상기 용기내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2차 숙성시켜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정제 및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METHOD FOR MANUFACTURING FERMENTED LIQUOR OF EPICARP OF GINKGO BILOBA, THE FERMENTED LIQUOR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COMPOSIT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은행 외과피를 숙성시켜서 몸에 이로운 유효성분을 얻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은행나무의 종자는 길이 1.5~2cm 정도이다. 종자의 바깥쪽은 육질층(육질외종피 또는 외과피)으로 조직이 연하며 인분과 유사한 혐오취(악취)가 나고, 그 안의 중간층(후벽내종피 또는 중과피)은 흰색의 딱딱한 껍질로 구성되어 안쪽에 있는 청록색의 배젖(은행알)을 보호한다.
다육성의 외과피에는 헵탄산(Heptanoic acid)이 들어 있어 심한 혐오취가 난다. 또한, 외과피는 긴고릭산(ginkgolic acid)을 함유하고 있어 결핵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지만, 피부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독성이 있는 비로볼(bilobol)과 독성은 없지만 역시 피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긴콜(ginkgol)을 함유하고 있고 특유의 떫은 맛과 암모니아 냄새와 유사한 특유의 혐오취를 지니고 있어 자원으로 이용되지 않고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은행의 외과피에 함유된 과액과 유효성분은 사용하지 못하고 통상적으로 폐기처분되었으므로 자원낭비가 될 뿐만 아니라, 폐기된 외과피는 부패하여 수질환경을 오염시키고 악취가 대기중에 확산되어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안으로, 특허문헌 1에는 은행의 외과피를 반밀폐하에서 15~20일간 숙성, 여과시켜서 은행추출물을 얻고, 상기 은행추출물을 15일간 숙성시켜서 우윳빛 현탁액을 얻는 후에, 상기 우윳빛 현탁액을 3개월간 숙성시켜서 붉은 갈색의 은행식초를 얻는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은행 추출물 숙성 방법들은 수 개월 정도의 비교적 짧은 숙성 기간 동안에 충분한 숙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은행 외과피에서 나는 특유의 혐오취를 제대로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553344호(2006.02.20.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수 개월 정도의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에 은행의 외과피를 최적으로 숙성하여 몸에 이로운 유효성분을 함유한 발효액을 얻을 수 있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은행 외과피의 숙성과 함께 은행 외과피 특유의 혐오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은행 외과피를 포함하는 원료를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3~4개월간 1차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1차 숙성을 완료한 후 원당 또는 당류를 상기 용기내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2차 숙성시켜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정제 및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원료는 안쪽의 중과피가 제거된 외과피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원료는 외과피 안쪽에 중과피가 그대로 들어있는 은행 종자 전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b) 또는 상기 단계 (d)는 상기 중과피를 분리하여 제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원료는 은행잎 분쇄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여과한 후 스프레이 용기에 투입하거나, 물에 희석하거나, 농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원당 또는 당류를 10~30중량% 투입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에 사과 또는 배를 마쇄하여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3차 숙성시켜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겔화 또는 고형화하여 얻어진 은행 외과피 발효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비염, 축농증, 가래 또는 감기 개선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은행 외과피를 포함하는 원료를 숙성시켜서 수득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당류 등을 사용하여 4~8개월 정도의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에 은행 외과피를 최적으로 숙성시킴으로써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식품이나 의약품에 적용이 가능한 발효액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숙성 과정에서 은행 외과피의 특유의 혐오취를 제거하여 외과피의 자원이용을 다각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셋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약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고 역한 냄새가 나지 않으며 비강 및 구강의 점막에 대한 자극도가 낮으므로 스프레이 용기에 담아 호흡기에 분사함으로써 비염, 축농증, 가래, 감기 등의 치료 또는 개선제로 이용될 수 있다.
넷째, 은행 외과피 발효액 특유의 항바이러스성 유효성분을 함유한 발효액을 이용하여 COVID-19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스프레이 용기에 담은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은행 외과피”란 은행나무의 황색의 열매인 은행에서 다육성의 외과피와, 흰색의 단단한 중과피, 그 중과피 안쪽의 갈색 피막의 내종피, 그 내종피 속의 청록색의 배젖(은행알)으로 구성된 것 중에서 최외곽에 존재하는 다육성 외과피를 말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은, 황색으로 잘익은 은행 1kg을 수확하여 세척 및 건조하는 공정(단계 S100 및 단계 S110)과, 원료로서 은행 외과피를 옹기 항아리에 넣고 상온에서 3~4개월간 1차 숙성시키는 공정(단계 S120)과, 1차 숙성을 완료한 후 당류를 옹기 항아리 내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공정(단계 S130)과,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2차 숙성시키는 공정(단계 S140)과, 수득된 발효 원액을 정제 및 여과 처리하여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수득하는 공정(단계 S150 및 단계 S160)을 포함한다.
원료 투입 공정(단계 S120)에서 은행 외과피는 은행 탈피기에 의해 은행 중과피 및 그 속의 배젖(은행알)이 분리된 상태로 준비되어 완전밀봉이 아닌 반밀폐가 가능한 옹기 항아리(용기) 안에 투입되어 3~4개월간 1차 숙성된다. 발효가 잘 되도록 은행 외과피를 담은 옹기 항아리는 환기가 잘되는 상온, 즉 15~25℃(식품공전) 환경에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류의 혼합 및 2차 숙성 공정(단계 S130 및 단계 S140)은 설탕이나 엿당 등과 같은 당류를 옹기 항아리 내에 투입하여 골고루 혼합함으로써 발효를 더욱 촉진하여 숙성기간을 단축시킨다. 당류는 10~30중량%의 함량으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류는 은행 외과피를 단시간에 충분히 숙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탕수수 등과 같은 원당으로 대체해도 무방하다. 당류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 되면 원하는 효능을 얻기 위해서는 숙성기간을 1년 이상으로 길게 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30중량%를 초과하여 과다한 경우에는 당도가 높아서 음용 시 기호성이 떨어지고 유효성분의 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정제 및 여과 처리 공정(단계 S150)에서는 2차 숙성이 완료된 원액을 정제 및 여과하여 찌꺼기나 이물질을 걸러낸다. 여과 처리 후에는 소정의 스프레이 용기에 투입하거나, 물에 희석하거나, 농축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단계 S160에서 수득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한 연갈색을 띠고 산도(ph)는 4.5 ~ 6 정도가 되고 냄새는 혐오취가 미미하고 향긋한 향기가 나는 약산성의 용액이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은, 황색으로 잘익은 은행 1kg을 수확하여 세척 및 건조하는 공정(단계 S100 및 단계 S110)과, 은행 외과피를 포함하는 원료를 옹기 항아리에 넣고 상온에서 3~4개월간 1차 숙성시키는 공정(단계 S121)과, 1차 숙성을 완료한 후 당류를 옹기 항아리 내에 투입하여 골고루 혼합하는 공정(단계 S130)과,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2차 숙성시키는 공정(단계 S140)과, 수득된 발효 원액을 정제 및 여과 처리하여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수득하는 공정(단계 S150 및 단계 S160)을 포함한다.
원료 투입 공정(단계 S121)에서는 은행 외과피와 은행잎 파쇄물을 함께 항아리 안에 투입한다. 은행 외과피는 은행 탈피기에 의해 그 내부의 은행 중과피와 분리된 상태로 준비된다. 은행잎 파쇄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테르페노이드(Terpenoid), 빌로발라이드(Bilobalide), 징크고라이드(Ginkgolide) 등과 같은 약리성분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7~8월경에 채취된 푸른색 은행잎을 파쇄기로 잘게 파쇄하여 준비한다.
그 외에 1차 숙성 및 2차 숙성 공정의 세부 설명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최종 수득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은 반투명한 연갈색을 띠며 산도(ph)는 5 ~ 6.5 정도가 되고 냄새는 혐오취가 미미하고 향긋한 향기가 나는 약산성의 용액이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은, 황색으로 잘익은 은행 1kg을 수확하여 세척 및 건조하는 공정(단계 S100 및 단계 S110)과, 원료로서 은행 종자 전체를 옹기 항아리에 넣고 상온에서 3~4개월간 1차 숙성시키는 공정(단계 S122)과, 1차 숙성 완료 후 원액에서 중과피를 분리하여 제외하는 공정(단계 S125)과, 당류를 옹기 항아리 내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공정(단계 S130)과,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2차 숙성시키는 공정(단계 S140)과, 수득된 발효 원액을 정제 및 여과 처리하여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수득하는 공정(단계 S150 및 단계 S160)을 포함한다.
원료 투입 공정(단계 S121)에서는 은행 외과피와 은행 중과피(배젖 포함)가 있는 은행 종자 전체를 항아리 안에 투입한다. 그 외에 1차 숙성 및 2차 숙성 공정의 세부 내용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최종 수득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은 반투명한 연갈색을 띠고 산도(ph)는 4.5 ~ 6 정도가 되고 냄새는 혐오취가 미미하고 실시예 1에 비해 진한 향을 가진 약산성의 용액이다.
<실시예 4>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은, 황색으로 잘익은 은행 1kg을 수확하여 세척 및 건조하는 공정(단계 S100 및 단계 S110)과, 원료로서 은행 종자 전체를 옹기 항아리에 넣고 상온에서 3~4개월간 1차 숙성시키는 공정(단계 S122)과, 1차 숙성 완료 후 원액에서 중과피를 분리하여 제외하는 공정(단계 S125)과, 당류를 옹기 항아리 내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공정(단계 S130)과,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2차 숙성시키는 공정(단계 S140)과, 배 마쇄물을 혼합하는 공정(단계 S145)과,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3차 숙성시키는 공정(단계 S150)과, 수득된 발효 원액을 정제 및 여과 처리하여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수득하는 공정(단계 S150 및 단계 S160)을 포함한다.
원료 투입 공정(단계 S121)에서는 은행 외과피와 은행 중과피 및 배젖을 포함하는 은행 종자 전체를 옹기 항아리 안에 투입한다. 그 외에 1차 숙성 및 2차 숙성 공정의 세부 설명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배 마쇄물을 혼합하는 공정(단계 S145)에서는 믹서기를 이용해 배를 껍질째 잘게 갈아서 옹기 항아리 내에 투입하여 골고루혼배한다. 배 마쇄물은 10~30중량%의 함량으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는 은행 특유의 혐오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과로 대체해도 무방하다. 배 마쇄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 되면 은행의 냄새 제거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를 초과하여 과다한 경우에는 발효액에서 향긋한 냄새를 얻기가 어렵고 발효액 고유의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3차 숙성시키는 공정(단계 S150)은 은행 외과피의 발효를 더욱 촉진시킨다.
최종 수득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은 반투명한 연갈색을 띠고 산도(ph)는 4.5 ~ 6 정도가 되고 냄새는 혐오취가 미미하고 실시예 3에 비해 향긋함이 더욱 강한 약산성의 용액이다.
<비교예 1>
수확한 은행 1kg을 세척 및 건조하여 옹기 항아리에 넣고 상온에서 15∼20일간 반밀폐하에서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은행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은행추출물을 15일간 숙성시켜 우윳빛 현탁액을 얻고, 다시 상기 우윳빛 현탁액을 3개월간 숙성시켜서 붉은 갈색을 띠는 산도(ph) 2.5의 은행 발효액(식초)을 얻었다.
<비교예 2>
수확한 은행 1kg을 세척 및 건조시키고 압착조에서 은행을 압착하여 연한 은행 외과피가 으깨지면서 내부의 과육이 노출되도록 하고, 압착이 이루어진 은행을 교반시키켜서 외과피와 종자가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하고, 분리된 외과피의 자루 위에 무거운 돌을 올려놓아서 돌의 하중에 의해 액즙이 흘러나와서 추출되도록 하였다. 추출된 액즙을 별도의 저장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밀폐된 상태로 100일동안 숙성시키는 1차 숙성하고, 1차 숙성이 완료된 액즙을 다시 위생용기에 담아서 공기가 통하는 부직포로 덮고 상온에서는 100일 동안 2차 숙성하여 산도(ph) 4.0의 은행 발효액(식초)을 얻었다.
<실험예> 혐오취 및 비강/구강 투여에 대한 관능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발효액(식초) 결과물의 냄새(혐오취, 향기)와 비강 및 구강에 대한 스프레이 분사 시 자극정도에 대해서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기재된 점수는 5점 척도법에 따른 평균값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그 냄새, 점막 자극도 등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혐오취 향기(향긋함) 비강 자극도 구강 자극도
실시예 1 1.6 4.0 3.4 2.8
실시예 2 1.5 4.3 3.3 2.6
실시예 3 1.7 4.2 3.5 2.9
실시예 4 1.2 4.6 3.0 2.3
비교예 1 3.1 2.5 4.8 4.4
비교예 2 3.3 3.0 4.5 4.1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혐오취가 적고 향긋한 향기가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스프레이 용기에 발효액을 넣어서 비강과 구강에 각각 뿌렸을 때 찌르는 듯한 느낌의 점막 자극도를 비교했을 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는 달리 은행 외과피에 대한 1차 숙성 후에 당류(또는 원당)를 혼합하고 다시 2차 숙성시키는 공정을 수행하여 비슷한 숙성기간 대비 발효가 충분하고 부드럽게 진행된 것에 원인이 있다.
또한, 실시예 4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비해 상대적으로 혐오취가 적고 향긋한 향기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비강 자극도와 구강 자극도가 모두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2차 숙성 후에 배(또는 사과) 마쇄물을 혼합하고 3차 숙성을 하여 숙성이 더욱 촉진되고 악취가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된 것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 또는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겔화 또는 고형화하여 얻어진 은행 외과피 발효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 또는 그 농축액이나, 겔화 또는 고형화하여 얻어진 은행 외과피 발효제품이 첨가된, 예컨대 기능성 음료 등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전술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예컨대 패치제, 붕대 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의 양태로서,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호흡기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염, 축농증, 가래 및 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비염, 축농증, 가래 또는 감기에 대한 치료 또는 완화 효과가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성분은 화합물, 천연물을 포함하는 비염, 축농증, 가래 또는 감기 질환에 효과가 공지된 다양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구체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의 양태로서,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구체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의 양태로서, 은행 외과피를 포함하는 원료를 숙성시켜서 수득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항바이러스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바이러스 감염에 효과가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가 성분은 화합물, 천연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에 효과가 공지된 다양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행 외과피를 포함하는 원료를 숙성시켜서 수득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액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여타의 공정으로 수득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3)

  1.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은행 외과피를 포함하는 원료를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3~4개월간 1차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1차 숙성을 완료한 후 원당 또는 당류를 상기 용기내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2차 숙성시켜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정제 및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원료는 안쪽의 중과피가 제거된 외과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원료는 외과피 안쪽에 중과피가 그대로 들어있는 은행 종자 전체이고,
    상기 단계 (b) 또는 상기 단계 (d)는 상기 중과피를 분리하여 제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원료는 은행잎 분쇄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여과한 후 스프레이 용기에 투입하거나, 물에 희석하거나, 농축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원당 또는 당류를 10~30중량%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은행 외과피 발효액에 사과 또는 배를 마쇄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후 상온에서 1~2개월간 3차 숙성시켜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
  9. 제8항에 기재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겔화 또는 고형화하여 얻어진 은행 외과피 발효제품.
  10. 제8항에 기재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1. 제8항에 기재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비염, 축농증, 가래 또는 감기 개선제 조성물.
  12. 제8항에 기재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을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13. 은행 외과피를 포함하는 원료를 숙성시켜서 수득한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10009636A 2021-01-22 2021-01-22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 KR20220106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36A KR20220106568A (ko) 2021-01-22 2021-01-22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36A KR20220106568A (ko) 2021-01-22 2021-01-22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568A true KR20220106568A (ko) 2022-07-29

Family

ID=8260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636A KR20220106568A (ko) 2021-01-22 2021-01-22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65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344B1 (ko) 2003-01-06 2006-02-20 강성원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344B1 (ko) 2003-01-06 2006-02-20 강성원 은행식초 제조방법과 그 은행식초 및 이를 이용한 음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7052C (zh) Opc葡萄酒
KR101181797B1 (ko)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 방법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5459644B2 (ja) 肝機能改善剤組成物
KR102134385B1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139374B1 (ko) 말 태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 및 항피부노화 식품 조성물
KR101490211B1 (ko)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733436B1 (ko)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06568A (ko) 은행 외과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발효액과 조성물
WO2019090973A1 (zh) 一种菊芋糕及其制作方法
WO2000064286A1 (en) Method of extracting from hovenia dulcis thunb, using method thereof and food containing extract
CN107384680A (zh) 一种百香果龙眼果酒及其酿造方法
KR20110113709A (ko) 바나듐이 함유된 생선회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바나듐이 함유된 생선회 음료 조성물
KR102622213B1 (ko)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47750B1 (ko) 마늘 소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 소스
KR20150030385A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Selvamuthukumaran Amla (Indian Gooseberry): Characteristics, Therapeutic Potential, and Its Value Addition
KR101269040B1 (ko) 중금속 해독제 조성물
CN107455519A (zh) 一种辣木红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384731A (zh) 一种百香果龙眼果醋及其酿造方法
CN107987997A (zh) 一种茶多酚葡萄酒及其制备方法
KR20220015936A (ko) 은행열매를 주재로 한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JP6826346B2 (ja) 抗アレルギー剤、ならびにこれを含有する食品、化粧料、および医薬品
KR20230150465A (ko) 간보호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갖는 초고압 초음파 추출물
KR20160026380A (ko) 연속발포에 의한 과일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