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213B1 -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213B1
KR102622213B1 KR1020210079240A KR20210079240A KR102622213B1 KR 102622213 B1 KR102622213 B1 KR 102622213B1 KR 1020210079240 A KR1020210079240 A KR 1020210079240A KR 20210079240 A KR20210079240 A KR 20210079240A KR 102622213 B1 KR102622213 B1 KR 10262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extract
cheonggukjang
complex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500A (ko
Inventor
조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7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2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23L19/07Fruit waste products, e.g. from citrus peel or 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26Selen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삶은 콩을 준비하는 단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삶은 콩을 침지 처리하는 단계, 상기 침지 처리된 삶은 콩을 발효 처리하여 청국장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국장 베이스에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숙성 공정을 수행하여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국장 혼합물을 건조 후 분쇄하여 청국장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국장 혼합분말에 정제수, 메밀 분말, 및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죽 상태의 제1 기능성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숙성된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에 복합천연추출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숙성된 상기 제2 기능성 반죽물을 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Multi functional chunggukjang pill comprising citrus peel fermented extrac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취가 감소되어 섭취가 용이하며,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와 함께 면역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국장은 콩을 원료로 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간장, 된장, 고추장 등과 함께 오늘날까지 상용되어 온 전통 장류 중의 하나이며,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민족에게 결핍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 및 지방산을 공급시켜 주는 식품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청국장은 삶은 콩을 볏짚에 붙어있는 고초균(枯草菌)이라 부르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띄워 만든 것으로서, 발효과정 중에 고초균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그 특유의 맛과 냄새를 내는 동시에, 원료 콩의 당질과 단백질에서 유래된 레반형 프룩탄(levan form fructan)과 폴리글루타메이트(polyglutamate)의 혼합물질인 점질물을 다량 생성하며, 이렇게 발효 제조된 청국장은 영양면에서 된장이나 고추장보다 단백질과 지방함량이 높은 양질의 콩 발효식품인 것이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청국장 내에 포함된 활성성분 및 그 역할이 밝혀지고 있는 바, 청국장은 콩에서 기인된 이소플라본(isoflavone), 피트산(phytic acid), 사포닌(saponin), 트립신 저해제(trypsin inhibitor), 불포화지방산, 식이섬유, 올리고당, γ-글루타밀트랜스펩티다제(γ-glutamyltranspeptidase; γ-GTP) 등의 각종 생리활성물질, 항산화물질 및 혈전용해 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 식품으로서 그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한편, 현대인들이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가장 노력하고 있는 것이 운동과 건강보조식품의 복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과 건강보조식품의 경우는 시간과 경제적인 부담이 다른 것에 비해 덜하기 때문에 건강을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가장 애용되고 있다. 특히, 건강보조식품은 수많은 종류의 것들이 우리의 생활 주변에 즐비하기 때문에 자신의 건강상태나 취향에 따라 골라서 복용할 수 있다.
이처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대에 기타의 화학물질을 첨가하지 않아 안전하고, 이취가 감소되어 섭취가 용이하며,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와 함께 면역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으로서, 기능성 청국장 환의 개발이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772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짐과 더불어 면역력을 높여줌으로써 섭취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고, 맛과 향미도 좋아 섭취가 용이하며, 체내 흡수력 또한 증대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은 삶은 콩을 준비하는 단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삶은 콩을 침지 처리하는 단계; 상기 침지 처리된 삶은 콩을 발효 처리하여 청국장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국장 베이스에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숙성 공정을 수행하여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국장 혼합물을 건조 후 분쇄하여 청국장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국장 혼합분말에 정제수, 메밀 분말, 및 당근, 무청, 우엉, 연근, 인진 및 포공영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로부터 추출된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죽 상태의 제1 기능성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숙성된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에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천연추출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숙성된 상기 제2 기능성 반죽물을 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 복합 수용액은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를 포함하는 혼합건조 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수득한 추출 성분과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으로부터 생성된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발효 처리 후 정제수와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은 청국장 혼합분말 40 내지 50 중량%, 메밀 분말 3 내지 5 중량%, 당근, 무청, 우엉, 연근, 인진 및 포공영이 1:0.5~1:0.5~1:0.5~1:0.1~0.5:0.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로부터 추출된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 5 내지 1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기능성 반죽물은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 100 중량부당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이 1:0.5~1:0.5~1: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천연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은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1 내지 2일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2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은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3 내지 5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복합 수용액의 제조 방법은,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를 포함하는 혼합건조 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혼합식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식물 재료에 정제수 및 알코올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복합 혼합물을 제조한 후 가열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가열 공정이 수행된 제1 복합 혼합물에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복합 혼합물을 제조한 후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숙성 공정이 수행된 제2 복합 혼합물로부터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발효 처리한 후 정제수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복합 혼합물은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가 1:0.5~1:0.2~0.4: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건조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혼합식물 재료 20 내지 30 중량%, 알코올 10 내지 2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혼합 후 교반하여 제조되고, 상기 제2 복합 혼합물은 상기 제1 복합 혼합물 100 중량부당 미네랄 솔트 1 내지 5 중량부, 셀레늄 1 내지 3 중량부 및 게르마늄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의 발효 처리는 상기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 100 중량부당 EM 원액 20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10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은 상기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은 삶은 콩의 발효 전에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를 포함하는 혼합건조 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수득한 추출 성분과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으로부터 생성된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발효 처리 후 정제수와 혼합하여 제조한 기능성 복합 수용액으로 침지 처리함에 따라 항균, 항산화 및/또는 이취 제거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삶은 콩의 부패 방지 및 보존성을 증대시키고, 맛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침지 처리된 삶은 콩을 발효 처리하여 제조한 청국장 베이스를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과 혼합 후 숙성시킴으로써, 청국장에 함유된 유용성분은 물론 감귤류 진피 추출물에 함유된 유용 성분 예컨대, 폴리페놀류, 비타민류, 리모노이드류 같은 다양한 화합물, 특히 카로티노이드류, 바이오-플라보노이드류, 펙틴 및 테르펜(terpene)류 등의 페놀성 화합물을 용이하게 섭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국장 환이 메밀 분말, 당근, 무청, 우엉, 연근, 인진 및 포공영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로부터 수득한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 및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천연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영양학적 기능의 증대는 물론 면역력 강화와 함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수한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짐과 더불어 면역력을 높여줌으로써 섭취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고, 맛과 향미도 좋아 섭취가 용이하며, 체내 흡수력 또한 증대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 복합 수용액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이의 제조 방법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은 삶은 콩을 준비하는 단계(S10),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삶은 콩을 침지 처리하는 단계(S20), 침지 처리된 삶은 콩을 발효 처리하여 청국장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S30), 청국장 베이스에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숙성 공정을 수행하여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40), 청국장 혼합물을 건조 후 분쇄하여 청국장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50), 청국장 혼합분말에 정제수, 메밀 분말 및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죽 상태의 제1 기능성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S60), 제1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70), 숙성된 제1 기능성 반죽물에 복합천연추출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S80), 제2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90) 및 숙성된 제2 기능성 반죽물을 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삶은 콩이 준비될 수 있다(S10).
예를 들어, 삶은 콩은 정선 및 선별된 콩을 세척한 후 물에 불린 다음, 충분히 익을 때까지 삶는 증숙 과정을 통해 준비될 수 있다. 콩은 대두, 흑두, 팥, 녹두, 강낭콩, 완두, 동부, 잠두, 리마콩, 이집트콩, 검정콩, 렌즈콩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삶은 콩을 침지 처리할 수 있다(S20).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이용한 삶은 콩의 침지 처리는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강화함과 더불어 이취 제거 효과를 통해 본 발명의 청국장 환의 맛과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능성 복합 수용액은 항균, 항산화 및/또는 이취 제거 효과를 위한 다양한 유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복합 수용액은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를 포함하는 혼합건조 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수득한 추출 성분과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으로부터 생성된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발효 처리 후 정제수와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이용한 침지 처리는 삶은 콩을 기능성 복합 수용액에 60 내지 90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져 내어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침지 처리 동안 기능성 복합 수용액에 함유된 유용 성분이 삶은 콩에 흡수되어 항균, 항산화 및/또는 이취 제거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삶은 콩의 부패 방지 및 보존성을 증대시키고, 맛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기능성 복합 수용액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 복합 수용액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혼합 건조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혼합식물 재료를 준비할 수 있다(S21).
혼합 건조식물은 항균, 항산화 및/또는 소취 효과를 위한 유용 성분을 함유하는 건조식물의 혼합물로서, 예컨대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바라기는 국화과 해바라기속에 속하는 1년 또는 다년초 식물이다. 해바라기는 2m 정도 자라며 줄기에 강모가 나있고, 굵고 곧게 선다. 잎은 크며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노란색 양성화이며 지름은 25 cm정도이고, 개화기는 8~9월이다. 해바라기의 구성성분으로 우선 줄기에는 셀룰로오스, 리그닌, 헤미셀룰로오스, 다당류가 있다. 잎과 꽃에는 쿠마린, 안토시안 등이 있고 열매에는 기름, 단백질, 유기산 등 여러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셀룰로오스는 식물의 1차 세포벽을 구성하며 수천 개 이상의 포도당 분자가 결합된 모양이다. 헤미셀룰로오스는 수많은 당 유도체와 당의 결합으로 형성되었으며 1차 세포벽보다 견고한 2차 세포벽을 구성한다. 또한, 해바라기 씨는 50% 정도의 오일을 함유하고 있는데, 오일에는 리놀렌산, 인지질(phospolipid),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당지질(glycolipid), 세라마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인 속에 함유된 당은 단당류에서 삼당류까지 있으며, 구연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과 베타 카로틴이 함유되어 있다. 해바라기 씨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이 많고, 특히 아르기닌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상록활엽수로 제주도, 완도, 보길도, 거문도, 해남 등 남ㆍ서해안 및 도서 지역에 자생하는 우리나라 특산 수종이다. 황칠나무는 수피에 상처를 내면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 유백색 액체를 분비하는 데 공기 중에서 황금색으로 변한다. 황칠나무 수액에는 안식향, 세르퀴테르펜 등과 같은 생리 활성 물질이 들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여러 가지 항균 효과나 확인되지 않은 약리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방향성분은 주로 세스퀴터펜(sesquiterpene)의 β-cubebene, γ-selinene 및 δ-cardinen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성분이 신경계에 대해 진정작용과 강장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황칠나무의 잎이 항암 작용에 효능이 있으며, 또한 항산화 작용 및 신경 안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녹차(Green tea, Camellia teaceac)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영양소를 공급하는 기능, 맛과 향 등의 기호를 충족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차 중 떫은맛의 주성분은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인 카테킨(catechin)인데, 카테킨은 그 유도체에 따라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카테킨(Catethin)은 함량이 건조 녹차의 8~20% 정도에 달하며, 수용성으로 물과 함께 끓이면 수중으로 용출된다. 한편, 녹차에는 여러가지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특히 카테킨류는 혈중의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킴으로서 혈전의 생성억제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 산화를 방지하는 기능성이 있음이 밝혀져 천연 항산화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녹차는 노화방지와 더불어 암의 증식을 억제하고 발암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소를 무력화하는 항독소 작용이 있어 식중독을 방지하는 효과도 알려져 있다.
감나무(Diospyros kaki Thunb)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 지방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생식하는 시자 이외에도 시엽, 시화, 시체 등은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감잎은 주로 차로 이용되어 동의보감에 혈관질환의 예방, 치료와 함께 자반증(혈관염증)에도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감잎에는 비타민 C, 아미노산, 핵산, 페놀성 화합물, 유리당 등 여러 물질들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 감잎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kaempferol의 배당체인 astragalin, myricetin의 배당체인 myricetin의 배당체인 myricitrin, isoquercitrin 등의 배당체 형태가 존재한다. 감잎은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0.1 ~ 5.8%로 다른 식물에 비하여 높으며, 우수한 항산화능과 항균성이 확인되었고, Superoxide dismutase(SOD)활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혼합 건조식물의 화학 처리는 후속의 단계(S22)에서 혼합 건조식물로부터 추출되는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 증대를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혼합 건조식물을 산성 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 처리를 위한 산성 용액은 염산(HCl), 아세트산(CH3COOH), 황산(H2SO4), 아황산(H2SO3), 질산(HNO3), 인산(H3PO4), 포름산(HCOOH), 아스코르브산(C6H8O6), 붕산(H3BO3) 및 규산(H2SiO3)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학 처리를 통해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 각각의 건조된 기관의 표면이 개질됨으로써,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혼합 건조식물은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 각각의 건조된 기관(예컨대, 뿌리, 가지, 줄기, 잎, 씨 또는 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된 후 0.1 내지 1cm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분쇄되어 분말형태의 혼합식물 재료로 준비될 수 있다. 혼합식물 재료의 입자 크기가 0.1cm 미만이면 분쇄 공정이 복잡해져 공정 효율성이 저하되고, 입자 크기가 1cm를 초과하면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식물 재료는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의 분쇄물이 1:0.5~1:0.2~0.4: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건조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준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되는 활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 및 추출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혼합식물 재료에 정제수 및 알코올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복합 혼합물을 제조한 후 가열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S22).
제1 복합 혼합물의 가열 공정은 예컨대,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가열 공정 동안,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항균, 항산화 및/또는 이취 제거 효과를 위한 활성 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제1 복합 혼합물의 가열 온도가 80℃ 미만인 경우 추출 효율성이 저하되고, 100℃를 초과하는 경우 추출된 성분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알코올은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되는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C1 내지 C4의 저가 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알코올은 에탄올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복합 혼합물은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가 1:0.5~1:0.2~0.4: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건조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혼합식물 재료 20 내지 30 중량%, 알코올 10 내지 2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혼합 후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혼합식물 재료가 20 중량% 미만이면 추출되는 활성 성분의 함량이 적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알코올이 10 중량% 미만이면 추출 효율이 저하되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용해성이 저하될 수 있다.
가열 공정이 수행된 제1 복합 혼합물에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복합 혼합물을 제조한 후 숙성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S23).
미네랄 솔트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결정구조를 하고 있는 등축정계에 속하는 광물이며, 화학성분은 염화나트륨(NaCl)이다. 미네랄 솔트를 구성하는 염화나트륨은 동물에게 생리적으로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체액에 포함되어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염화나트륨의 구성 성분인 나트륨은 인산과 결합하여 완충물질로서 체액의 산염기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미네랄 솔트는 물과 접촉하면 이온화되어 체내에 침투하는 효능이 있어 체내 0.9% 염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셀레늄은 사람이나 동물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미량 원소로서, 항암, 항노화, 면역체계 강화, 어린이 성장발육은 물론, 고혈압, 심장병 등 성인병과 남성의 정자생성 능력 촉진 등 성기능 강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효능을 지닌 영양소이다. 셀레늄은 암세포에 직접 침투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작용을 하는데, 특히 전립선암, 대장암, 폐암 등의 예방 효과가 크고, Selenoprotein을 통하거나, 비타민E와 함께 상호보완, 상승작용을 하여 항산화작용을 한다. 또한, 셀레늄이 부족하면, 케산병을 일으키고, 소와 양의 근육무력증과 흰근육병을 유발하며,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력 약화, 림프세포와 대식세포 등의 기능저하, 갑상선 호르몬의 생산 저하, 세포독성 물질 제거 기능 저하 등을 일으킨다.
게르마늄은 산소의 효율적인 활용을 돕는 산소 촉매제의 역할을 한다. 즉, 인체에 게르마늄을 공급하면 만성 산소결핍현상으로부터 유래하는 만성 일산화탄소 중독증, 빈혈, 혈관장애, 심장장애, 저혈압, 세포노화, 정신장애 등의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게르마늄은 자연 치유력을 증강시키고, 통증 억제 작용을 하며, 제독 작용, 중금속 배출 작용을 한다. 즉, 게르마늄은 산화성이 강한 산소 원자를 갖는 화학적 특성 때문에 독성물질을 흡입하여 화학적으로 결합한 후 독성이 없는 다른 물질을 만드는 제독작용을 한다. 특히, 수은, 카드뮴 등의 중금속 오염의 제독에 뛰어나다. 따라서, 카드뮴에 노출되어 있는 흡연자에게 특히 유용한 성분이다.
제2 복합 혼합물 내에서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은 용해 또는 이온화되어 항균, 항산화 및/또는 이취 제거 효과를 위한 유용 성분(즉, 미네랄 성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용 성분(즉, 미네랄 성분)은 항균 효과 및 활성 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으로부터 생성된 미네랄 성분은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의 활성 성분을 이온화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시켜 체내 흡수율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조성물의 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복합 혼합물의 숙성 공정은 유용 성분의 충분한 혼합 및 이를 통한 각 성분의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의 발생을 위한 것으로, 20 내지 35℃의 온도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숙성 시간이 48시간 미만으로 진행될 경우, 제2 복합 혼합물 내의 성분들이 충분히 섞이지 않아 각 성분의 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72시간을 초과할 경우 이미 숙성이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복합 혼합물은 제1 복합 혼합물 100 중량부당 미네랄 솔트 1 내지 5 중량부, 셀레늄 1 내지 3 중량부 및 게르마늄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함량비로 제2 복합 혼합물이 제조됨에 따라 미네랄 성분의 효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이어서,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숙성 공정이 수행된 제2 복합 혼합물로부터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수득할 수 있다(S24).
상기 분리 공정은 여과 또는 원심분리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분리 공정을 통해 제2 복합 혼합물을 고액 분리하여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된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은 항균, 항산화 및/또는 이취 제거 효과를 위한 것으로서,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된 활성 성분과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으로부터 생성된 미네랄 성분과 같은 다양한 유용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발효 처리한 후 정제수와 혼합하여 기능성 복합 수용액이 제조될 수 있다(S25).
예컨대,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의 발효 처리는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 100 중량부당 EM(Effective Micro-organisms) 원액 20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10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처리를 통해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 내의 유용 성분의 활성을 증대 시키고, 체내 흡수율을 증진시켜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의 효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EM 원액은 섭취 가능한 것으로서, 시중에 판매되거나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효 처리된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 100 중량부당 500 내지 1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기능성 복합 수용액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침지 처리된 삶은 콩을 발효 처리하여 청국장 베이스가 제조될 수 있다(S30).
침지 처리된 삶은 콩의 발효 처리는 발효 균주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침지 처리된 삶은 콩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접종하고 38 내지 45℃의 온도에서 2 내지 4일간 발효 숙성시켜 청국장 베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바실러스 균주의 접종 대신 볏짚을 이용하여 발효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청국장 베이스에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숙성 공정을 수행하여 청국장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S40).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은 감귤류 과피로부터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를 발효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귤류 진피는 감귤류의 과육이 제거된, 성숙한 과피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감귤류"라고 하면 식물분류상 운향과(Rutaceae) 감귤아과(Auranti-oideae)의 감귤속(Citrus), 금감속(Fortunella) 및 탱자속(Poncirus)에 속하는 식물들을 지칭한다. 이러한 감귤류의 과실로는 하귤, 당유자, 오렌지, 레몬, 감귤, 자몽 또는 유자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떫고 신맛을 배제하기 위해 과육 부분만을 섭취하거나 가공하여 사용하는 등 주로 과육만 이용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과피(진피)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감귤류의 진피는 대부분 폐기 처분되고 있어, 그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감귤류 진피에는 펙틴을 포함하는 식이섬유와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비타민(vitamin) 및 다양한 종류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 인체에 유용한 많은 생리활성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 감귤류 진피에 함유된 식이섬유는 사람이 충분한 양을 섭취할 경우 장내에서 지방, 콜레스테롤 및 당분의 흡수를 낮춰주어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및 당뇨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귤류 진피 유래 플라보노이드의 여러 생리활성이 최근 보고 되었는데, 특히 비타민 P 라고도 불리는 헤스페리딘(hesperidin)은 모세혈관을 보호하여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밖에도 플라보노이드류의 노빌레틴(nobiletin)과 카로티노이드류의 베타크립토산틴(β-cryptoxanthin) 및 쿠마린류(coumarin)는 항암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고, 감귤류 진피에 함유된 높은 함량의 비타민 C는 노화방지 효과를, 펙틴 아미노산류인 리모넨(limonene)은 육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이 여러 약리활성작용이 있는 유용성분의 함유량이 감귤류의 과육보다 진피에 더 높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감귤류 진피 유래 유용성분의 효능에 대한 연구와 함께 진피의 식용으로의 이용에 대해서도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감귤류 진피 추출물의 추출 및 발효 과정은 본 출원인의 등록 특허 제10-2248555호에 개시된 바와 동일, 유사할 수 있다. 예컨대,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의 제조 방법은 감귤류 진피를 전처리 하는 단계, 전처리 된 감귤류 진피로부터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감귤류 진피 추출물에 발효 미생물을 첨가하고 발효시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감귤류 진피의 전처리 단계는 추출 효율의 증대를 위한 것으로, 감귤류 진피를 분쇄하는 것, 분쇄된 감귤류 진피를 가압 및 가열하여 팽화 처리하는 것 및 팽화 처리된 감귤류 진피를 중탕 가열 후 냉각하는 가열냉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감귤류 진피와 같은 식물체의 외벽은 분해되기 어려운 펙틴(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리그닌(lignin), 베타-1,4-글루칸(beta-1,4-glucan) 등과 같은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고, 생리활성물질들은 이러한 외벽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한 열수추출방법으로는 추출이 어렵다. 이에 따라, 감귤류 진피로부터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해, 감귤류 진피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귤류 진피의 전처리는 감귤류 진피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의 추출 효율 증대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감귤류 진피의 전처리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과육이 제거된 감귤류의 진피를 수세 및 건조한 후 감귤류 진피의 분쇄가 진행될 수 있다.
감귤류 진피는 예컨대, 0.5 내지 3cm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분쇄될 수 있다. 감귤류 진피가 분쇄되면 표면적이 증가되어 감귤류 진피 추출물의 추출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분쇄된 감귤류 진피는 가압 및/또는 가열되어 팽화 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분쇄된 감귤류 진피의 팽화 처리는 분쇄된 감귤류 진피를 가압 및 가열한 후에 급격히 상압으로 되돌려 분쇄된 감귤류 진피가 함유한 수분을 순간적으로 증발시켜 다공질상으로 부피를 팽창시키거나, 분쇄된 감귤류 진피를 급속히 가열하여 분쇄된 감귤류 진피가 함유한 수분을 급격히 증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팽화 처리된 감귤류 진피는 다공질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감귤류 진피 추출물의 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팽화 처리는 3 내지 5atm의 압력 및 12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팽화 처리된 감귤류 진피를 중탕 가열 후 냉각하는 가열냉각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가열냉각 공정은 적어도 3회 이상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감귤류 진피의 벽구조를 약화 또는 와해시켜 추출이 용이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예컨대, 가열냉각 공정은 팽화 처리된 감귤류 진피를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중탕 가열한 후 20∼40℃의 온도로 서서히 냉각시키는 과정을 적어도 3회 이상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 된 감귤류 진피에 추출 용매를 가한 후 가열하여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용매는 에탄올 수용액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처리된 감귤류 진피에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25 내지 80℃에서 3 내지 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여액을 진공 농축함으로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감귤류 진피 추출물은 액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득한 감귤류 진피 추출물에 발효 미생물을 첨가하고 발효시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이 제조될 수 있다.
발효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리조비움 속(Rhizobium sp.),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아세토박터속(Acetobacter sp.) 리조비움 속(Rhizobium sp.) 및 리조비움 라디오박터(Rhizobium radiobacter)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효 미생물로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미생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효 미생물은 감귤류 진피 추출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감귤류 진피 추출물의 발효는 25 내지 60℃의 온도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25℃ 미만에서 발효시키면 발효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60℃ 초과에서 발효시키면 감귤류 진피 추출물의 주요성분이 변성될 위험이 있다. 이로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감귤류 진피 추출물은 유용 성분으로서, 폴리페놀류, 비타민류, 리모노이드류와 같은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은 고분자 다당체 또는 배당체 형태들이므로 체내에 이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나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분해되지 못해 흡수율이 떨어지게 되고 대부분 체외로 배설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발효 과정을 거치면, 감귤류 진피 추출물의 유용 성분 예컨대, 폴리페놀류, 비타민류, 리모노이드류 같은 다양한 화합물, 특히 카로티노이드류, 바이오-플라보노이드류, 펙틴 및 테르펜(terpene)류 등의 페놀성 화합물의 활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체내 흡수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국장 혼합물은 청국장 베이스 100 중량부당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3 내지 5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베이스 청국장에 첨가하고 숙성시킴으로써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과 청국장의 풍미가 잘 어우러지면서 기존 청국장의 영양학적 기능이 더욱 향상되고 부드러운 맛을 증진시켜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국장 혼합물을 건조 후 분쇄하여 청국장 혼합분말이 제조될 수 있다(S50).
예컨대, 청국장 혼합물의 건조는 30 내지 45℃의 온도에서 수분 함유량이 5 내 15%가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건조된 청국장 분말은 30 내지 100mesh의 입도를 가지도록 분쇄되어 청국장 혼합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청국장 혼합분말에 정제수, 메밀 분말 및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죽 상태의 제1 기능성 반죽물이 제조될 수 있다(S60).
메밀(Buckwheat, Fagopyrum spp.)은 마디풀과(Polygenaceae family)에 속하는 일년초로서 분류학상 곡류와 구별되지만 곡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유사 곡물로서, 탄수화물, 단백질, 라이신, 아르기닌, 메티오닌 등의 필수 아미노산, 불포화 지방산 및 각종 무기물과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메밀 단백질은 라이신이 약 6.1%(w/w), 메티오닌은 약 2.5%(w/w)로 다른 곡류에 비해서 라이신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메밀에 많은 기능성 성분들이 보고되었는데, 그 중 폴리페놀 성분으로는 루틴(rutin),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세틴(isoquercetin), 미리세틴(myricetin), 시링산(syringic acid) 유도체, carreic acid 유도체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화합물은 항산화작용, 혈압저하작용,혈관 수축작용, 항균작용 등 생체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밀 분말은 영양학적 기능의 증대와 성형성 강화를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0.5 내지 1mm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은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로부터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는 면역력을 강화하고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한 성분을 함유한 식물재료로서, 당근, 무청, 우엉, 연근, 인진 및 포공영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식물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당근(Daucus carota var sativus)은 산형과의 뿌리 작물이다. 당근은 비타민 A (베타-카로틴)를 비롯한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를 함유한다.
무청은 무(Radish) 뿌리를 제외한 잎과 줄기에 해당하며, 이를 건조시킨 것이 시래기이다. 무청 건조물은 글리코나스투르티인(glyconasturtiin), 글리코시놀레이트(glycosinolate),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e)과 겨자유(mustardoil) 등의 항암성분은 물론 유해활성산소 소거능력이 밝혀진 베타-카로텐(carotene), 안토시아닌, 클로로필,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으며, 건물량 중 35% 이상이 식이섬유이고, 20% 내외의 단백질과 철분, 칼슘 등을 함유하고 있다.
우엉(Arctium lappa L.)은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우리나라 경상남도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우엉은 수분이 76%이고 당질이 주성분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특유의 향기와 약리효과가 있으며 섬유질이 많고 비타민 함량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질의 대부분은 이눌린의 형태로 존재하고, 항산화성을 가지는 페놀(phenol) 성분인 카페오일퀴닉산(caffeoylquinic acid) 유도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혈압, 통풍, 심혈관질환, 간염 등에 효과가 있으며 항변이원성, 항암, 항노화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연근은 수련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연꽃(Nelumbo nuciferaGaertner)의 뿌리줄기이다. 주성분은 당질로서 대부분이 녹말이다. 아미노산으로는 아스파라긴산, 아르기닌, 티로신이 함유되어 있으며 레시틴, 펙틴도 많다. 또한 비타민B12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연근은 해열독, 소어혈, 일체혈증, 요혈, 장출혈 및 지혈에 사용하여 왔다.
인진(茵蔯, Artermisiae Scoparia Waldstein et Kitamura)은 국화과의다년생 초본이다. 인진은 산모의 대변하혈이 있거나 산후 복통, 월경불순, 감기로 인한 오한 및 열, 오래된 이질, 피부병, 음부의 각종 질병, 풍습, 옴, 종양 등을 치료한다고 전해진다. 또한, 손상된 간회복, 진방간, 간암, 간염, 황달 등의 간질환 치료 및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인진의 주성분으로 피넨, 테르피넨, 리모넨, 테르피네올, 쿠마린을 비롯한 정유 성분과 클로르겐산, 카페인산, 페놀라산 등의 방향족 옥시카르본산 등을 함유한다.
포공영(蒲公英,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i)은 국화과의 민들레 또는 동속 식물의 전초를 말린 약재로 황화지정, 지정 또는 포공초 등으로 불린다. 열독을 내리고 종기를 삭히는 기능, 항염증, 간보호 효능 및 카드뮴 해독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황달, 종창, 홍역 치유 효과 및 머리를 다시 검게 하는 효능 등이 전해지고 있다. 포공영의 대표적인 활성 성분으로는 taraxastenol, taraxarol, taraxerol 등이 보고되었으며, 발암물질을 억제하는 성분이 있으며, 유기 게르마늄이 풍부해서 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일 예로,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은 당근, 무청, 우엉, 연근, 인진 및 포공영이 1:0.5~1:0.5~1:0.5~1:0.1~0.5:0.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를 가열용기에 넣고, 면역증진용 식물재료 100 중량부당 정제수 100 내지 500 중량부를 넣어서 90 내지 120℃에서 2 내지 6 시간 동안 가열하여 면역증진 성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에서 고형분을 여과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와 같이 면역증진용 식물재료가 혼합됨으로써 면역증진의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능성 반죽물은 청국장 혼합분말 40 내지 50 중량%, 메밀 분말 3 내지 5 중량%, 당근, 무청, 우엉, 연근, 인진 및 포공영이 1:0.5~1:0.5~1:0.5~1:0.1~0.5:0.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로부터 추출된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 5 내지 1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함량비로 제1 기능성 반죽물이 제조됨에 따라 면역력 강화와 함께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S70).
예컨대, 제1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은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1 내지 2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숙성된 제1 기능성 반죽물에 복합천연추출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반죽물이 제조될 수 있다(S80).
복합천연추출물은 항산화 및/또는 항염 효과를 위한 유용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목단피(Moutan Cortex Radicis)는 작약과(Paeoniaceae) 목단의 뿌리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중국 서부 원산이며 신라시대 선덕여왕의 기록으로 미루어 중국에서 도입된 귀화식물로 추측된다. 생김새는 관상의 껍질조각으로 바깥 면은 어두운 갈색 또는 자색을 띤 갈색이며 가로로 길고 작은 타원형의 곁뿌리 자국과 세로 주름이 있다. 안쪽 면은 엷은 회갈색이나 어두운 자색을 띠고 편평하며 꺾은 면은 거칠다. 안쪽 면 및 꺾은 면에는 때때로 흰색의 결정이 붙어 있다. 성분은 파에오노사이드(paeonoside), 파에오놀라이드(paeonolide)와 파에오놀(paeonol)을 함유하며, 파에오노사이드는 저장중에 분해되어 당과 파에오놀을 생성한다. 파에오니프로린(paeoniflorin), 옥시파에오니프로린 (oxypaeoni florin), 벤조일파에오니프로린(benzoylpaeoniflorin), 파에오놀라이드 탄닌(paeon olide tannin), 프로시아니딘 B1(procyanidin B1). 벤조일옥시파에오니프로린(benzoyloxypaeoniflorin), 파에오닌(paeonin),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 페라고닌(pelargon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은 근피뿐만 아니라 목심부에도 존재함이 조직화학적으로 확인 되었다. 목단피는 혈열로 인한 생리불순, 생리통, 멍들었을 때, 토혈, 코피, 반점이 나타나는 증상, 허열로 인해 뼛골이 쑤시는 증상, 혈압상승, 어혈제거, 타박상, 소염진통, 종기치료, 맹장염초기 등에 사용하며 가슴답답증을 없애준다. 약리작용으로 진통, 진정, 해열, 항경련, 항염증, 항혈전, 항알레르기, 위액분비억제, 자궁점막충혈,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카렌둘라(Calendula officinalis)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동양에서는 금잔화 또는 금송화, 서양에서는 마리골드(Marigold)라고도 불리며, 남유럽 원산이다. 대개의 경우 건조된 꽃잎이나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다. 꽃잎의 침출액은 피부 보습효과를 비롯하여 외상, 화상, 가벼운 동상의 습포제롤 사용되고 페이셜 사우나에도 사용된다. 또한, 생리통의 완화 작용이 있어 여성들이 음용, 애용하는 화초로도 알려져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아토피 피부에 효능이 탁월하고, 건성 피부에도 효능이 있으며, 습진, 피부 염증, 상처, 피부 재생, 진정 작용 등에 유효한 성분으로도 알려져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카로틴(carotene), 리코핀(lycopene), 비올라잔틴(violaxanthin), 루비잔틴(rubixanthin), 네오리코핀A(neolycopene A)와 같은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카렌둘라의 추출물은 염증유발인자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의 발현을 억제시켜 피부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쇠비름의 학명은 Portulaca Oleracea이고, 쇠비름과의 1년생 잡초로서 오행초(五行草), 장명채(長命采), 마치채(馬齒菜), 마치현(馬齒)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주로 길가, 텃밭 등에서 자생하며, 줄기의 높이가 약 15~30cm 내외로 털이 없으며, 줄기는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땅 위로 비스듬히 퍼진다. 뿌리는 흰색이지만 손으로 훑으면 원줄기와 같이 붉은색으로 변한다. 쇠비름은 양념 등으로 버무려서 식용하거나 약재로도 활용되며, 오메가3 지방산이 많아서 ADHD, 자폐증, 뇌졸증,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며, 강력한 천연항산화제인 비타민A 함량이 매우 높아 피부와 점막 등을 보호하고 돌연변이 세포를 억제해 폐암과 구강암 예방에 탁월하며 위장보호 효과도 인정받은바 있다. 또한 철분과 구리 성분 함유로 인해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손상된 세포를 빠르게 회복시키는 효과도 있다.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겨울철에도 죽지 않고 이듬해 줄기에서 다시 싹이 나온다 하여 사철쑥 또는 애탕쑥이라 불리며, 생약명으로는 인진, 인진호 또는 추호라 불린다. 이러한 사철쑥은 예로부터 간염, 황달, 및 지방간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에스쿨레틴(esculetin), 스코파론(scoparone) 및 스코폴레틴(scopoletin)과 같은 쿠마린(coumarin) 유도체를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코폴레틴(Scopoletin; 7-hydroxy-6-methoxy-2H-1-bezopyran-2-one), 스큘레틴(Esculetin; 6,7-dihydroxy-2H-1-bezopyran-2-one)은 주요 활성성분으로서, 항염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
복합천연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방법 및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천연추출물은 상기 추출 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도 복합천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합천연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천연추출물은 각각의 천연물의 껍질, 뿌리, 잎, 꽃, 줄기 또는 열매 등이 될 수 있으며, 추출 부위가 특정의 부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복합천연추출물은 그 효능의 상승 효과를 위해,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이 1:0.5~1:0.5~1: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분말 혹은 액상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능성 반죽물은 제1 기능성 반죽물 100 중량부당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이 1:0.5~1:0.5~1: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천연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2 기능성 반죽물이 상기와 같은 함량비로 제조됨에 따라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제2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S90).
예컨대, 제2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은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3 내지 5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S70) 및 단계(S90)을 통한 두차례에 걸친 숙성 공정을 통해 반죽물의 성분이 충분히 혼합되고, 이를 통해 각 성분의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 체내 흡수력이 증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숙성된 제2 기능성 반죽물이 환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S100).
제2 기능성 반죽물의 환 형태로의 성형은 제환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은 삶은 콩의 발효 전에,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를 포함하는 혼합건조 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수득한 추출 성분과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으로부터 생성된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발효 처리 후 정제수와 혼합하여 제조한 기능성 복합 수용액으로 침지 처리함에 따라 항균, 항산화 및/또는 이취 제거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삶은 콩의 부패 방지 및 보존성을 증대시키고, 맛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침지 처리된 삶은 콩을 발효 처리하여 제조한 청국장 베이스를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과 혼합 후 숙성시킴으로써, 청국장에 함유된 유용성분은 물론 감귤류 진피 추출물에 함유된 유용 성분 예컨대, 폴리페놀류, 비타민류, 리모노이드류 같은 다양한 화합물, 특히 카로티노이드류, 바이오-플라보노이드류, 펙틴 및 테르펜(terpene)류 등의 페놀성 화합물을 용이하게 섭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국장 환이 메밀 분말, 당근, 무청, 우엉, 연근, 인진 및 포공영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로부터 수득한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 및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천연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영양학적 기능의 증대는 물론 면역력 강화와 함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수한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짐과 더불어 면역력을 높여줌으로써 섭취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고, 맛과 향미도 좋아 섭취가 용이하며, 체내 흡수력 또한 증대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삶은 콩(대두)을 준비하고, 기능성 복합 수용액에 60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져 내어 15℃에서 45분 동안 건조시켰다. 이 때, 기능성 복합 수용액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 각각의 건조된 기관이 1:0.5:0.4:0.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건조식물을 인산(H3PO4)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준비된 혼합식물 재료 20 중량%, 알코올 2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혼합 후 교반하여 제1 복합 혼합물을 제조하고, 약 9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후, 제1 복합 혼합물 100 중량부 당 미네랄 솔트 5 중량부, 셀레늄 3 중량부 및 게르마늄 3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후 20℃에서 55 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2 복합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분리 과정을 통한 고액 분리를 통해 제2 복합 혼합물로부터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된 활성 성분과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으로부터 생성된 미네랄 성분과 같은 다양한 유용 성분을 함유하는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 100 중량부 당 EM(Effective Microorganisms) 원액 20 중량부를 첨가한 후 7일 동안 발효시킨 후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 100 중량부당 1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침지 처리된 삶은 콩을 40℃의 온도에서 4일간 발효 숙성시켜 청국장 베이스를 제조한 후, 청국장 베이스 100 중량부 당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후 18℃에서 3일 동안 숙성시키고, 건조 및 분쇄 과정을 수행하여 30 mesh의 입자크기를 갖는 청국장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청국장 혼합분말 50 중량%, 메밀 분말 5 중량%, 당근, 무청, 우엉, 연근, 인진 및 포공영이 1:0.5:0.5:0.5:0.1:0.1의 중량비로 혼합된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로부터 추출된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 1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반죽 상태의 제1 기능성 반죽물을 제조한 후 15℃에서 2일 동안 숙성시켰다.
그리고, 숙성된 제1 기능성 반죽물에 제1 기능성 반죽물 100 중량부 당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이 1:0.5: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천연추출물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후 15℃에서 5일 동안 숙성시킨 다음 제환기를 이용하여 지름 약 5mm의 청국장 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 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청국장 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복합천연추출물 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청국장 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이용한 침지 처리 과정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청국장 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기능성 반죽물의 제조 및 이의 숙성 과정을 생략한 대신 청국장 혼합분말에 청국장 혼합분말 100 중량부당 복합혼합추출물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후 15℃에서 5일 동안 숙성시킨 후 제환기를 이용하여 지름 약 5mm의 환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청국장 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기능성 반죽물의 제조 및 숙성 과정을 생략하고, 숙성된 제1 기능성 반죽물을 제환기를 이용하여 지름 약 5mm의 환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청국장 환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청국장 환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염증 트러블이 있는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청국장 환을 섭취한 후 맛, 향기, 기호도 및 염증 개선에 대해 9점 평점법(1; 매우 나쁘다, 9; 매우 좋다)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향기 기호도 염증 개선
실시예 1 6.6 7.4 7.6 7.8
실시예 2 6.5 7.0 7.8 7.4
실시예 3 6.8 6.9 7.0 7.0
비교예 1 6.0 6.1 6.3 6.4
비교예 2 5.7 6.5 6.5 5.5
비교예 3 5.6 6.3 6.2 5.9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맛, 형기, 기호도 및 염증 개선에 대한 특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 및 복합천연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된 실시예 1의 경우 염증 개선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1. 삶은 콩을 준비하는 단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삶은 콩을 침지 처리하는 단계;
    상기 침지 처리된 삶은 콩을 발효 처리하여 청국장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국장 베이스에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숙성 공정을 수행하여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국장 혼합물을 건조 후 분쇄하여 청국장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국장 혼합분말에 정제수, 메밀 분말 및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죽 상태의 제1 기능성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숙성된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에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천연추출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숙성된 상기 제2 기능성 반죽물을 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은 당근, 무청, 우엉, 연근, 인진 및 포공영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식물 재료를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로부터 추출된 것이고,
    상기 기능성 복합 수용액은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를 포함하는 혼합건조 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수득한 추출 성분과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으로부터 생성된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발효 처리 후 정제수와 혼합하여 제조된 것인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은 청국장 혼합분말 40 내지 50 중량%, 메밀 분말 3 내지 5 중량%, 당근, 무청, 우엉, 연근, 인진 및 포공영이 1:0.5~1:0.5~1:0.5~1:0.1~0.5:0.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면역증진용 식물재료로부터 추출된 면역증진용 추출혼합물 5 내지 1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되는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반죽물은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 100 중량부당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이 1:0.5~1:0.5~1: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천연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되는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은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1 내지 2일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2 기능성 반죽물의 숙성 공정은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3 내지 5일 동안 수행되는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복합 수용액의 제조 방법은,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를 포함하는 혼합건조 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혼합식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식물 재료에 정제수 및 알코올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복합 혼합물을 제조한 후 가열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가열 공정이 수행된 제1 복합 혼합물에 미네랄 솔트, 셀레늄 및 게르마늄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복합 혼합물을 제조한 후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숙성 공정이 수행된 제2 복합 혼합물로부터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을 발효 처리한 후 정제수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 혼합물은 해바라기, 황칠나무, 녹차 및 감나무가 1:0.5~1:0.2~0.4: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건조식물을 산성 용액으로 화학 처리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혼합식물 재료 20 내지 30 중량%, 알코올 10 내지 2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혼합 후 교반하여 제조되고,
    상기 제2 복합 혼합물은 상기 제1 복합 혼합물 100 중량부당 미네랄 솔트 1 내지 5 중량부, 셀레늄 1 내지 3 중량부 및 게르마늄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제조되는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의 발효 처리는 상기 예비 기능성 복합 수용액 100 중량부당 EM 원액 20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10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KR1020210079240A 2021-06-18 2021-06-18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2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40A KR102622213B1 (ko) 2021-06-18 2021-06-18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40A KR102622213B1 (ko) 2021-06-18 2021-06-18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500A KR20220169500A (ko) 2022-12-28
KR102622213B1 true KR102622213B1 (ko) 2024-01-09

Family

ID=8453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240A KR102622213B1 (ko) 2021-06-18 2021-06-18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2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555B1 (ko) 2021-02-05 2021-05-06 주식회사 시스타바이오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발효식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992A (ko) * 2005-05-23 2006-11-28 이정열 청국장용 분말 및 메주 제조장법
KR20090128365A (ko) * 2009-11-18 2009-12-15 박창하 상황버섯 청국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555B1 (ko) 2021-02-05 2021-05-06 주식회사 시스타바이오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발효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500A (ko)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591B1 (ko) 천연식물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KR101953366B1 (ko) 침향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6883B1 (ko) 당귀, 천궁, 갈근, 작약, 숙지황, 황기, 홍삼, 건강, 감초, 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59078A (ko) 식품첨가제
KR101163564B1 (ko) 한방 보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된장
KR20190014326A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016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KR102577074B1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KR100315330B1 (ko) 손바닥선인장 열매분말 또는 농축액을 함유한 건강식품캡슐의 제조방법
KR102622213B1 (ko)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63978A (ko) 파인애플을 이용한 엉겅퀴와 솔잎, 마늘, 양파, 머위, 모과, 석류, 백하수오, 민들레, 은행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147592B1 (ko)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110113709A (ko) 바나듐이 함유된 생선회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바나듐이 함유된 생선회 음료 조성물
KR102674121B1 (ko) 영양 강화, 풍미 향상 및 질감 개선을 위한 닭가슴살 육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56007A (ko) 맛과 향이 우수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2485019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70948A (ko) 보양용 면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599866B1 (ko) 율피차의 제조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8203B1 (ko) 발효 흑강황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 흑강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