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473A -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 - Google Patents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473A
KR20040054473A KR1020030038688A KR20030038688A KR20040054473A KR 20040054473 A KR20040054473 A KR 20040054473A KR 1020030038688 A KR1020030038688 A KR 1020030038688A KR 20030038688 A KR20030038688 A KR 20030038688A KR 20040054473 A KR20040054473 A KR 20040054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shift
solenoid
slid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자이아키라
Original Assignee
만노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674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961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674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961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7134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65571B2/ja
Application filed by 만노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만노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4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4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식 시프트 록 장치가 P 포지션에 배치된 시프트 레버(3)와 결합되는 위치에서 조립되는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시프트 록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온(on)되는 솔레노이드(12), 평상시 스프링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12)와 밀접하게 접촉되는 슬라이더(11), 및 상기 슬라이더(11)에 피벗되는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는 상기 시프트 레버(3)의 셀렉트 작동에 따라 진동된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상기 솔레노이드(12)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시프트 레버(3)의 셀렉트 작동이 수행되면, 상기 슬라이더(11)는 고정된 위치에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12)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만이 상기 시프트 레버(3)를 포지션(P)으로부터 이동시키도록 진동한다. 그러나, 상기 시프트 레버(3)의 셀렉트 작동이 솔레노이드(12)가 오프(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 수행되면, 상기 슬라이더(11)는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가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12)와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 레버(3)는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를 벗어나지 않고 포지션(P)으로부터 이동될 수 없다.

Description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 {GATE TYPE SHIFT LEVER APPARATUS}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식 시프트 록 장치가 조립된 자동차용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 차량(AT 차량)용 시프트 레버 장치에는, 키(key)를 ACC 포지션으로 돌리고 브레이트 페달을 밟을 때까지 시프트 레버가 P 포지션으로부터 다른포지션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프트 록(shift lock) 장치가 조립되어 있다. 솔레노이드식 시프트 록 장치는 시프트 록 작동이 브레이크 페달의 운동과 연동하면서 온되고 오프되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의 운동이 케이블에 의해 시프트 레버 장치로 전달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솔레노이드식 시프트 록 장치는 시프트 록 해제 작동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솔레노이드에 의해 요크(yoke)를 흡착함으로써 수행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설정된 흡착력을 얻기 위하여 대형 솔레노이드가 요구되고, 차량의 중량이 증가되고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가 작동될 때 불쾌한 작동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안정된 시프트 록 작동이 작고 소형인 솔레노이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작동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 솔레노이드식 시프트 록 장치가 조립되는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솔레노이드식 시프트 록 장치(solenoid type shift lock mechanism)가 P 포지션(position)에 배치된 시프트 레버(shift lever)와 결합되는 위치에 조립되는 게이트식(gate type) 시프트 레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록 장치는 고정된 위치에서 슬라이더(slider)를 유지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온(on)되는 솔레노이드, 평상시 스프링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와 밀접하게 접촉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피벗(pivot)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작동(selecting operation)에 대응하여 진동되는 시프트 록 플레이트(shift lock plate)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작동이 솔레노이드가 오프(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 수행되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가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와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조립되는 상기 시프트 록 장치는 평상시에 슬라이더를 스프링에 의해 솔레노이드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상기 슬라이더를 고정된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를 온(on)시킨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는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작동을 수행할 때에 슬라이드되지 않고 진동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를 P 포지션으로부터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더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까지 스프링력에 의해 유지되기만 하기 때문에,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는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작동을 수행할 때에 스프링력에 반하여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솔레노이드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시프트 레버를 P 포지션으로부터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는 평상시에 스프링에 의해 솔레노이드와 밀접하게 접촉되기 때문에, 작고 소형인 솔레노이드에 의해 안정된 시프트 록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또한 작동 소음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 경우, 아래에 언급된 포지션 감지 스위치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가 연속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아래에 언급되는 연속 스위치가 상기 시프트 레버 장치에 조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일반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5속 자동 변속기(AT)용 게이트 그루브의 도면이다.
도 4는 시프트 레버가 각 포지션으로 변속되는 상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시프트 레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구조의 도면이다.
도 6은 시프트 레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단면도이다.
도 7은 시프트 록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시프트 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시프트 레버가 P 포지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시프트 레버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서 P 포지션으로부터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시프트 레버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서 P 포지션으로부터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은 P 및 R 포지션에서 포지션 감지 스위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D 포지션에서 포지션 감지 스위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4 포지션에서 포지션 감지 스위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2 포지션에서 포지션 감지 스위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L 포지션에서 포지션 감지 스위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연속식 게이트 그루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시프트 레버가 D 포지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연속 스위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시프트 레버가 연속 포지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연속 스위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1은 시프트 레버가 연속 포지션의 중립 포지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연속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시프트 레버가 연속 포지션의 중립 포지션으로부터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연속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의 일반적인 도면이고, 도 1에서 참조부호 1은 케이스(case)를 지시하고, 참조부호 2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고정된 시프트 중심축을 지시하고, 참조부호 3은 상기 시프트 중심축(2)을 중심으로 변속되는 시프트 레버(shift lever)를 지시한다. 상기 시프트 레버(3)는 베이스부(base portion)(3a) 및 섕크부(shank portion)(3b)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그루브(gate groove)(4)는 케이스(1)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그루브(4)는 5속 자동 변속기(A/T)용으로 구성되고, P, R, N, D, 4, 3, 2, 및 L 포지션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상기 시프트 레버(3)가 각 포지션으로 변속되는 경우의 각도는 도 4에 도시된다. 상기 시프트 레버(3)의 포지션은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 4에 도시된 시프트 케이블(5)에 의해 변속기에 전달된다. 도 5 및 도 6은 시프트 레버(3)의 하단부(6)가 U 자형으로 형성되고, 셀렉트 중심축(select center axis)(7)은 시프트 중심축(2) 약간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 레버(3)는 상기 시프트 중심축(2)을 중심으로 시프트 작동을 수행하고, 상기 셀렉트 중심축(7)을 중심으로 셀렉트 작동을 수행할수 있다.
[시프트 록 장치(Shift lock mechanism)]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프트 록 장치가 시프트 레버(3)를 P 포지션으로 변속할 때 시프트 레버(3)의 섕크부(3b)와 결합되는 포지션에 시프트 록 장치가 제공된다. 참조부호 10은 상기 시프트 록 장치의 케이스를 지시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slider)(11), 솔레노이드(solenoid)(12), 시프트 록 플레이트(plate)(13), 토션 스프링(14) 등이 제공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1)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레일(15)을 따라 시프트 레버(3)의 셀렉트 방향(select direction)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하여 위치된다. 슬라이드 방향은 도 8의 화살표로 도시된다. 이 슬라이드 방향은 도 5의 지면의 수직 방향, 도 7의 좌측 방향, 및 도 9 및 이후의 도면의 상하 방향과 일치한다. 이 경우, 슬라이드 거리는 매우 작다.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는 축(16)에 의해 슬라이더(11)의 일측에 피벗(pivot)된다.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는 도 8 및 그 이후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포크부(17)를 갖고 있고, 상기 시프트 레버(3)의 하단부가 상기 시프트 레버(3)를 P 포지션으로 변속할 때에 포크부(fork portion)(17)에 꼭 맞도록 구성된다. 요크(yoke)(18)가 슬라이더(11)의 상부에 고정된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2)는 상기 슬라이더(11)의 상부에서 상기 요크(18)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이하에서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요크(18)는 특별한 경우에만 솔레노이드(12)와 떨어져 이동되고, 평상시에 스프링(14)에 의해 솔레노이드(12)와 밀접하게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12)는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요크(18)를 흡착할 필요가 없고, 상기 솔레노이드(12)는 작고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12)는 도 9 및 그 이후의 도면에서 생략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14)이 도 9 및 그 이후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제공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14)의 베이스부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면과 접촉 상태에 있고, 그 선단부(leading end)(19)는 L 자형으로 만곡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slit)이 시프트 록 플레이트(13)의 일 단부의 상부 및 하부 평면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내측면은 앵글 캠(angle cam)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14)의 선단부(19)는 상기 앵글 캠의 임의 표면(20, 21)과 항상 접촉 상태에 있고,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 및 슬라이더(11)를 솔레노이드(12)로 밀고, 요크(18)를 상기 솔레노이드(12)와 밀접하게 접촉시킨다.
참조부호 22는 상기 시프트 레버(3)가 P 포지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P 포지션 감지 스위치를 지시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P 포지션 감지 스위치(22)는 종래의 제품의 외측부에 위치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12)가 작은 크기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P 포지션 감지 스위치(22)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부에 수용될 수 있어, 방수 구조가 필요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시프트 록 장치의 작동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먼저, 도 9는 시프트 레버(3)가 P 포지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토션 스프링(14)의 선단부(19)는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의 앵글 캠의 한 면(20)과 접촉 상태에 있고,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를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민다. 또한,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가 장착되는 슬라이더(11) 전체가 상기 토션 스프링(14)의 힘에 의해 도면의 상부[즉, 솔레노이드(12)를 향하여]로 밀리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11)의 요크(18)는 솔레노이드(12)로 계속하여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12)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대응하여 온되거나 오프될지라도, 상기 솔레노이드(12)가 요크(17)를 흡착할 때의 작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0은 시프트 레버(3)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P 포지션으로부터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도면의 하측으로 향하게 되는 힘은 상기 시프트 레버(3)로부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에 작용된다. 이 힘은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 및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를 상기 슬라이더(11)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의 힘이 상기 토션 스프링(14)으로부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에 작용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은 상기 토션 스프링(14)으로부터 작용되는 반시계 방향의 힘에 의해 상쇄되고,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를 상기 슬라이더(11)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압도적이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회전하지 않으면서 하부로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상기 시프트 레버(3)는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의 포크부(17)로부터 외부로 이동될 수 없고, 상기 시프트 레버(3)를 P 포지션으로부터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상기에 언급된 방식으로, 상기 시프트 록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키가 ACC 포지션으로 돌려진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솔레노이드(12)가 온되고, 상기 슬라이더(11)의 요크(18)가 상기 솔레노이드(12)에 견고하게 흡착된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 레버(3)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포지션으로부터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할 때,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를 상기 슬라이더(11)와 함께 하부로 이동시키는 힘은 흡착력과 상쇄되고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때,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토션 스프링(14)으로부터 작용되는 반시계 방향의 힘을 극복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3)를 P 포지션으로부터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즉, 상기 시프트 레버(3)는 키가 ACC 포지션으로 돌려진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으로써 P 포지션으로부터 다른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14)의 선단부(19)는 이와 함께 동반되는 시프트 록 플레이트(13)의 앵글 캠의 다른 면(21)과 접촉 상태에 있고,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를 도 11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 레버(3)를 조금도 어려움 없이 P 포지션으로 복귀시키는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부에 수용된 P 포지션 감지 스위치(22)는 도 9 및 도 10의 상태로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 온(on) 되도록, 도 11의 상태로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의 뒷면의 돌출부(23)에 의하여 눌러진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 레버(3)는 P 포지션으로부터 나오고 전기 신호가 꺼내진다.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서, 상기 시프트 레버(3)가 P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의 포지션은 상기 슬라이더(11)가 상기 토션 스프링(14)의 선단부를 시프트 록 플레이트(13)에 제공된 앵글 캠과 결함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12)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눌러지는 동일한 시간에 고정된다. 즉, 하나의 토션 스프링(14)은 2개의 역활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와 같이, 상기 역활은 2개의 스프링(24 및 25)에 분배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24)이 상기 슬라이더(11)와 케이스(10)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더(11)를 솔레노이드(12)로 탄성적으로 누른다. 또한, 제2 스프링(25)이 상기 슬라이더(11)와 시프트 록 플레이트(13)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를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누른다. 이 구조에 따라,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는 상기 포크부(17)의 내측면이 상기 시프트 레버(3)와 접촉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에서, 또한 상기 슬라이더(11)는 솔레노이드(12)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1 스프링(24)에 대하여 도면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P 포지션으로부터 상기시프트 레버(3)를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러나, 상기 슬라이더(11)는 상기 솔레노이드(12)가 온 상태에서 슬라이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에서 언급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13)를 회전시키는 동안 P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시프트 레버(3)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조립된 시프트 록 장치는 요크가 솔레노이드와 항상 밀접하게 접촉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소형이고 가벼운 솔레노이드에 의해 안정된 시프트 록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의 컴팩트한 구조 때문에, 상기 케이스의 내측부에 P 포지션 감지 스위치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방수 구조를 만들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당한 비용 절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지션 감지 스위치(Position detecting switch)]
다음에, 시프트 록 장치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조립될 수 있는 포지션 감지 스위치가 설명된다. 상기 포지션 감지 스위치는 게이트 그루브(gate groove)(4)가 도 3에 도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조립된다.
P, R, N, D, 4, 3, 2 및 L을 포함하는 각 포지션이 도 3에 도시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5속 자동 변속기용으로 게이트 그루브(4)가 사용되는 경우에, D 및 4 포지션 그리고 2 및 L 포지션이 각각 시프트 방향(shift direction)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고 전환(switching)이 셀렉트 작동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가있는 포지션, 즉 D 및 4 포지션 또는 2 및 L 포지션의 스위치에 의해 전기적으로 감지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위치가 일반적으로 2개의 포지션, 즉 4 및 L 포지션에 배치되고, 시프트 레버가 있는 포지션, 즉 D 및 4 포지션 또는 2 및 L 포지션을 감지한다. 그러나, 2개의 스위치가 이러한 구조를 요구하여,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를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다. 아래에 도시된 포지션 감지 스위치는 하나의 스위치가 사용될지라도, 시프트 레버가 있는 포지션, 즉 D 및 4 포지션 또는 2 및 L 포지션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트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볼록 캠(31, 32)이 시프트 레버(3)의 베이스부(3b)의 상부의 외측면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볼록 캠(31, 32)은 시프트 중심축(2)으로부터의 거리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략 동일하고, 경사의 방향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2개의 캠이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개별 볼록 캠(31, 32)이 형성되지만, 이 캠들은 물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파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column)(36)이 상기 케이스(1)의 내부 천장면으로부터 상기 시프트 레버(3)의 베이스부(3b)로 뻗어 있다. 또한, 링크(link)(34)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33)에 의해 컬럼(36)의 하단부에 피벗된다. 상기 링크(34)는 셀렉트 방향으로 뻗어 있고, 셀렉트 방향의 일 단부에 위치된 축(33)을 중심으로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셀렉트 작동이 볼록 캠(31, 32)이 링크(34)와 접촉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수행될 때, 상기 링크(34)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된다. 또한, 상기 링크(34)의 운동을 감지하는 하나의 스위치(35)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서 상기 링크(34)의 상부 위치에 배치된다. 이 스위치(35)는 상기 링크(34)가 상측으로 진동될 때 동시에 온 되도록 밀리는 온 및 오프 스위치(on and off switch)이다.
먼저, 상기 시프트 레버(3)가 P 포지션 또는 R 포지션에 있으면, 상기 시프트 레버(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자세에 가까운 상태이고, 이 때, 상기 시프트 레버(3)의 볼록 캠(31, 3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34)와 접촉 상태에 있지 않는다. 따라서, 이 포지션에서 셀렉트 작동은 스위치(35)와 관계가 없다.
상기 시프트 레버(3)가 D 포지션으로 변속되면, 상기 시프트 레버(3)는 시프트 중심축(2)을 중심으로 도 1 및 도 4의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3)의 볼록 캠(3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34)의 하부에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링크(34)가 볼록 캠(31)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링크(34)는 이 상태에서 하강 위치에 있고, 상기 스위치(35)는 오프 상태에 있다. 그러나, 상기 시프트 레버(3)가 D 포지션에서 4 포지션으로 선택되면, 상기 링크(34)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프트 레버(3)의 볼록 캠(31)의 경사면에 의해 상측으로 약간 진동되며, 그 때문에 스위치가 상기 링크에 의해 눌러지면서 온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 레버(3)가 전기 신호에 의해 4 포지션으로 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3)가 2 포지션으로 변속되면, 상기 시프트 레버(3)는 시프트 중심축(2)을 중심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 레버(3)의 볼록 캠(32)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34)의 하부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링크(34)는 하강 위치에 있고 상기 스위치(35)는 오프 상태에 있다. 그러나, 상기 시프트 레버(3)가 L 포지션으로 선택되면, 상기 링크(34)는 상측으로 진동되도록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프트 레버(3)의 볼록 캠(32)의 경사면에 의해 상승되며, 그 때문에 상기 스위치(35)는 링크에 의해 눌러지면서 온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 레버(3)가 전기 신호에 의해 L 포지션으로 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2개의 시프트 포지션의 셀렉트 작동을 하나의 스위치(35)에 의해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35)는 4 포지션 및 L 포지션 중 어떤 포지션에서 온 되지만, 변속기의 측면으로부터의 신호 출력에 따라 시프트 포지션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혼동도 발생되지 않는다.
[연속 스위치(Sequential switch)]
다음에, 시프트 록 장치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조립될 수 있는 연속 스위치가 설명된다. 상기 연속 스위치는 게이트 그루브(4)가 도 18에 도시된 연속 게이트인 경우의 시프트 레버에 조립된다.
상기 연속 게이트를 구비한 시프트 레버 장치는 상기 시프트 레버를 드라이브 포지션 D로부터 연속 포지션 S로 더 이동시키고, 플러스 방향 또는 마이너스 방향으로 이동시켜, 변속기에 시프트 업(shift up) 신호 또는 시프트 다운(shift down) 신호를 준다. 이를 위하여, 연속 포지션 S에서 시프트 레버의 운동을 감지하는 스위치(연속 스위치)가 필요하다. 연속 스위치가 상기 시프트 레버 그 자체 또는 상기 시프트 레버에 고정된 레버에 의해 직접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상기 스위치가 그 사이에서 시프트 레버를 홀딩하는 양측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전체 크기가 증가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스트로크를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스위치가 요구되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래에 나타낸 연속 스위치는 전체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고, 짧은 스트로크를 갖는 값싼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연속 스위치가 사용되는 경우에, L 자형 레버(41)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프트 레버(3)의 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연속 스위치의 스위치 케이스(42)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서 상기 시프트 레버(3)의 측면 위치에 고정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43)가 상기 스위치 케이스(42)의 일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부는 상기 레버(41)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U 자형 그루브(groove)(44)로 형성된다. 상기 U 자형 그루브(44)의 일부가 스위치 케이스(42)의 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레버(41)의 선단부는 상기 시프트 레버(3)를 D 포지션으로부터 도 20에 도시된 연속 포지션으로 선택함으로써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자형 그루브(44)에 끼워진다. 상기 슬라이더(43)의 슬라이드 방향이 연속 포지션에서 시프트 레버(3)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43)는 시프트 레버(3)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 케이스(4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레버(45)가 상기 레버(41)에 의해 눌러지는 사실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시프트 레버(3)가 D 포지션으로부터 연속 포지션으로 선택된다는 것이 전기적으로 감지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로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46)이 상기 연속 스위치의 스위치 케이스(42)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 스프링(46)은 베이스부에서 루프(loop)(47)를 갖는 헬리컬 스프링의 일종이고, 상기 루프(47)의 일부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42)의 원형축(48)에 피벗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46)의 좌측 및 우측 암(49, 50)은 상기 슬라이더(43)의 레그부(leg portion)(51)의 양측과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2개의 스위치(52, 53)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42)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46)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들 스위치(52, 53)는 그 외측에 접촉점을 각각 갖고 짧은 스트로크를 갖는 스위치이고, 상기 스프링(46)의 좌측 및 우측 암(49, 50)에 의해 온 또는 오프 된다.
이하에서 연속 스위치의 작동이 설명된다.
도 21은 상기 시프트 레버(3)가 D 포지션으로부터 연속 스위치의 중립 포지션으로 선택되고, 슬라이더(43)가 이 상태에서 중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스프링(46)의 좌측 및 우측 암(49, 50)의 상단부는 상기 슬라이더(43)의 레그부(51)의 양측면과 탄성적으로 결합되지만, 상기 스위치(52, 53)의 접촉점은 상기 스프링(46)의 좌측 및 우측 암(49, 50)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고, 양 스위치는 오프 상태에 있다. 그러나,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프트 레버(3)가 연속 포지션의 일측(도 22에서 좌측)으로 작동되면, 상기 슬라이더(43)는 일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레버(41)의 선단부에 의하여 눌러지고, 상기 스프링(46)의 좌측 암(49)은 상기 슬라이더(43)의 레그부(51)에 의해 좌측으로 눌러진다. 따라서, 스프링(46) 전체는 루프(47)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대향(우측) 암(50)은 스위치(53)를 온시키도록 우측 스위치(53)의 접촉점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53)와 암(49) 사이의 접촉은 스프링(46) 전체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53)가 소형이고 짧은 스트로크를 갖는 경우에도 어떠한 어려움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 때, 대향 스위치(52)는 물론 오프 상태에 있고, 시프트 레버(3)의 이동을 전기 신호로 끌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3)가 대향 측(우측)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좌측 스위치(52)가 동일한 방식으로 온 된다.
연속 스위치를 사용하면, 연속 포지션에서 시프트 레버(3)의 작동을 전기 신호로 끌어내는 것이 가능하고, 변속기에 시프트 업 신호 또는 시프트 다운 신호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3)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더(43)의 스트로크가 상기 스프링(46)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52, 53)는 작은 크기를 갖고 짧은 스트로크를 갖는 스위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는 작고 소형인 솔레노이드에 의해 안정된 시프트 록 작동을 수행할 수 있고, 어떤 작동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 솔레노이드식 시프트 록 장치를 갖기 때문에, 상기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는 자동 변속기 차량용 시프트 레버 장치로서 우수하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포지션 감지 스위치가 조립되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가 있는포지션, 즉 D 및 3 포지션 또는 2 및 L 포지션을 하나의 스위치로 감지할 수 있고,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가 연속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거기에 연속 스위치를 조립함으로써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솔레노이드식 시프트 록 장치(solenoid type shift lock mechanism)가 P 포지션(position)에 배치된 시프트 레버(shift lever)와 결합되는 위치에서 조립되는 게이트식(gate type) 시프트 레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록 장치는
    고정된 위치에서 슬라이더(slider)를 유지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온(on)되는 솔레노이드,
    평상시 스프링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와 밀접하게 접촉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피벗(pivot)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작동(selecting operation)에 대응하여 진동되는 시프트 록 플레이트(shift lock plate)
    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작동이 솔레노이드가 오프(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 수행되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시프트 록 플레이트가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와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는 상기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조립되는 포지션 감지 스위치(position detecting switch)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포지션 감지 스위치는 상기 시프트 레버의 베이스부(base portion)에서 셀렉트 방향으로 경사진 볼록 캠(convex cam)을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가 D-4 포지션 및 2-L 포지션 중 어느 포지션에 있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작동에 의하여 진동될 때, 상기 볼록 캠과 접촉 상태에 있는 링크, 및 케이스의 일 측면에서 상기 링크의 운동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는 상기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조립되는 연속 스위치(sequential switch)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속 스위치는 스위치 케이스의 한 면 상에서 연속 포지션으로 상기 시프트 레버의 운동에 따라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베이스부가 대략 스위치 케이스에 피벗되고, 좌측 및 우측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면과 결합되는 대략 U 자형의 스프링이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감지하는 2개의 스위치가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
KR1020030038688A 2002-12-19 2003-06-16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 KR200400544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67484A JP2004196136A (ja) 2002-12-19 2002-12-19 シーケンシャルスイッチ
JPJP-P-2002-00367485 2002-12-19
JPJP-P-2002-00367484 2002-12-19
JP2002367485A JP2004196137A (ja) 2002-12-19 2002-12-19 ゲート式シフトレバー装置
JPJP-P-2002-00371349 2002-12-24
JP2002371349A JP3765571B2 (ja) 2002-12-24 2002-12-24 シフトロッ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473A true KR20040054473A (ko) 2004-06-25

Family

ID=3247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688A KR20040054473A (ko) 2002-12-19 2003-06-16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118236A1 (ko)
EP (1) EP1433984A3 (ko)
KR (1) KR200400544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9149B2 (ja) * 2010-10-21 2014-07-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9476500B2 (en) 2013-09-30 2016-10-25 Kongsberg Driveline Systems I, Inc Manual gear shifter assembly
CN105650260A (zh) * 2014-11-14 2016-06-0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自动变速器及其换挡器
CN105626858A (zh) * 2016-03-16 2016-06-01 浙江长泰机械有限公司 一种互锁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52B2 (ja) * 1988-03-31 1995-02-08 スズ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レバーロック装置
JP2750212B2 (ja) * 1990-08-20 1998-05-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2842951B2 (ja) * 1991-03-29 1999-01-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キー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3329534B2 (ja) * 1993-10-20 2002-09-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JP3840330B2 (ja) * 1998-02-10 2006-11-0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DE19818862C1 (de) * 1998-04-28 1999-11-04 Daimler Chrysler Ag Wählvorrichtung für ein automatisches Fahrzeuggetriebe
JP2001246956A (ja) * 2000-03-07 2001-09-11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ES2333940T3 (es) * 2000-09-19 2010-03-03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Mecanismo de bloqueo, dispositivo de palanca de cambio de velocidades, y una unidad de bloqueo de cambio de velocida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3984A2 (en) 2004-06-30
US20040118236A1 (en) 2004-06-24
EP1433984A3 (en)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600B1 (ko) 스위치 장치
KR20040054473A (ko)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
JPH0735257Y2 (ja) スイッチ装置
JP2009277431A (ja) ストークスイッチ装置
JP2002089676A (ja) 変速制御装置
JP4496921B2 (ja) トラックボール装置
JPH041616Y2 (ko)
JP4713436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08137440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555433U (ja) 多方向スイッチ
US4209674A (en) Piano switch
JP3744886B2 (ja) 多方向スイッチ装置
JPH0647767U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220134800A (ko) 차량용 자동변속 조작장치
JP3683626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3765571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
JP2003127695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691535B2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のロック機構
JP3819677B2 (ja) 入力装置
JP2001246955A (ja) シフトレバー装置及び移動体位置検出装置
JP3805915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0137538A (ja) ジョイスティッ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ツマミ操作装置
JP2577840Y2 (ja) 多段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ドライブチェンジスイッチ機構
JPH0749708Y2 (ja) スイッチ装置
JP2515002Y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