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3764A - 흙막이 지보공 - Google Patents

흙막이 지보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3764A
KR20040053764A KR1020030075937A KR20030075937A KR20040053764A KR 20040053764 A KR20040053764 A KR 20040053764A KR 1020030075937 A KR1020030075937 A KR 1020030075937A KR 20030075937 A KR20030075937 A KR 20030075937A KR 20040053764 A KR20040053764 A KR 2004005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teel
retaining wall
plate
steel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563B1 (ko
Inventor
니시야마요시카즈
키무라마코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데타ㆍ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데타ㆍ토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데타ㆍ토
Publication of KR2004005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14Sealing joints between adjacent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강관시판으로서는 종래의 강관시판보다도 강도를 늘리게 되어 그 결과 밀폐공간이 물막음 효과를 발휘하고 물막음시공에 의한 수질오염이 축소되어 경제효과도 늘어나 환경대책이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강관시판을 지보공 단위부재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자립성이 극히 높고 또한 그 결과로서 절량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보공 단위부재로서는 병렬시킨 강관(2) 서로를 각 강관(2)의 주면에 단테두리가 결합하는 횡단면 모양이 H형의 연결재(H강(4))로 일체로 연결하고, 또한 강관(2)에 연결부(3)를 배치한 2련타입의 강관시판(1)으로 이 지보공 단위부재를 연결부 서로의 결합으로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할 경우에 연결재(H강(4)) 및 그 앞의 강관(2)이 흙막이벽 배후에 배치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한 지보공 단위부재를 적절한 간격으로 개재시킨다.

Description

흙막이 지보공{SHEETING TIMBERING}
본 발명은 수중에 있어서 구조물을 구축할 때의 강관 시판(矢板)에 의한 물막이나 굴삭흙막이를 행하는 경우 등에 사용하는 흙막이 지보공에 관한 것이다.
물막이나 흙을막는·흙막이공에 사용되는 흙막이 지보공으로서는 일본국 특공평 4-63167호 공보에도 기재되고 있지만 도 8~도10과 같이 강관시판(1)은 강관(2)의 좌우 둘레측에 연결부(3)를 형성한 것으로 이 연결부(3) 끼리를 접속하는 것으로 순차로 연속시킨다. 또한 이 연결부(3)의 형상은 박스형과 T자형, C자형 상호, C자형과 T자형 등 조합 등 여러가지로 도시는 일예이다.(일본국 특공평 4-63167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0-220135호 공보)
또 상기 강관시판(1)은 디젤파일해머에 의한 타설(항타)기로 박아 넣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타설에 동반하는 소음진동이 커 건설공해가 된다. 거기서 어스오가굴삭에 의해 감입저항을 저감하면서 유압잭이나 바이브로해머에 의해 압입하는방법도 채용되지만 어떤 경우도 강관(2)을 하나씩 셋트해 가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나씩 강관(2)을 굴삭구멍에 삽입하거나 타설하여 물박이가 시공되는 것으로는 상당히 번거로움과 동시에 시공시에 연결부(3) 부분의 삽입저항이 많이 때문에 구부러지기 쉽고 강관시판(1) 자체의 수직정밀도의 확보가 곤란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어스오거굴삭을 선행시켜 굴삭구멍안에 강관시판(1)을 셋트할 경우에 이 어스오가에 다축의 오가기를 사용하면 굴삭구멍에 대해서는 한번에 여러개의 것이 동시에 형성가능하지만 강관시판(1)의 배치에 관해서는 상기와 같이 하나씩 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공수의 삭감이 되지 않는다.
또 연약지반의 경우는 수심 10m, 견고한 지반의 경우는 수심 15m를 넘으면 이 공법에 의한 시공이 기술적으로 곤란하다고 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발명자는 먼저 일본국 특원 2001-198112호로서 강관시판으로서는 종래의 강관시판보다도 강도를 늘림으로써 그 결과 밀폐공간이 물막음 효과를 발휘하고 물막음시공에 의한 수질오염이 축소되어 경제효과도 늘어나 환경대책이 되는 강관시판에 의한 흙막이를 제안하였다.
이는 도12와 같이 강관시판(1)은 병렬시키는 강관(2)의 서로를 각 강관(2)의 주면에 단테두리가 결합하는 H형의 연결재(판)로서 H강(4)으로 이 H강(4)의 폭만큼 간격을 갖고 일체적으로 연결하며 또한 이러한 상호연결과 반대측에는 연결부(3)를 배치하도록 했다.
이 H강(4)은 형강에 의한 것이라도 또한 적절히 용접에 의해 공장 등에서 독자적으로 조립한 것이라도 된다. 형강을 이용할 경우는 플랜지(4a)의 좌우단테두리를 강관 주면에 용접하게 되어 이들 평행하는 플랜지(4a)와 강관(2)(2)으로 사방을 둘러싸도록 한 밀폐공간(5)을 형성한다. 도면중 부호 4b는 웨이브이다.
강관(2)(2)의 상기 H강(4)에서의 상호 연결측과 반대측에는 연결부(3)를 배치하여 2련 타입의 강관시판(1)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3)는 도 8~도 10에 도시하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타입을 생각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은 없고, 본 실시형태의 예는 도 9와 동일하며 슬릿(3a)을 갖는 환체인 C자형을 횡단면으로 한 관체를 강관(2)의 주면에 용접하여 부착했다. 연결부(3)는 강관(2)의 바로 가로로 배치하지만 이 슬릿(3a)은 연결부(3)의 바로 옆이 아닌 경사방향으로 개구하는 것으로 연결부(3)가 서로 대향할 경우는 슬릿(3a)은 대상적 방향으로 개구하며 슬릿(3a)을 통해 연결부(3)가 서로 서로안에 들어가도록 맞물린다.
또한 연결부(3)는 도시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로서 한쪽의 숫(雄)부는 한장의 조각으로 이것이 다른쪽 2장의 간격을 갖는 2장의 조각에 의한 암부에 삽입되는 단순형의 것이라도 된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병렬시킨 플랜지(4a)를 만곡 혹은 굴곡시키는 것으로 강관(2)을 각도를 갖고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강관시판(1)을 링빔 등의 원형으로, 소경의 원형으로 접속배치하는 데 적합한 것이 된다. 또한 강관시판(1)을 링빔 등의 원형으로 비교적 대경인 경우는 연결부(3)의 맞물림 각도만의 조정으로도 가능하다.
이 일본국 특원 2001-198112호의 강관시판에 의하면 강관시판으로서는 강관으로 사방을 둘러싼 밀폐공간을 형성한다. 즉 강관과 강관을 H강의 4점의 단부로 용접된 형상이며, H강으로 잇는 것으로 여러개의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화한 강관시판이 되므로 그 만큼 강도를 늘릴 수 있어 단축방향 뿐만 아니라 장축방향의 내력을 받을 수 있다. 종래의 양단에 연결부를 갖는 강관시판의 연결부 사이는 설계상 그 강성을 고려하지 않지만 2개의 강관을 H강으로 잇는 것으로 강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어 단축방향의 2차모멘트가 늘어난다.
종래의 시공본수에 대해 연결부 사이가 단순히 절반이하가 되므로 물막음시공(몰탈주입이나 약투입)도 절반이하면 되므로 경제적 효과가 크고 또한 주입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수질오염이 감소하며 환경에 쉬운(환경대책) 공사가 된다. 또한 하나씩 타설함는 것으로 2개 동시에 타설하는 것이 유리하여 시공시간은 대폭적으로 단축가능하고 해양공사 등에서 볼 수 있는 대선(臺船) 사용기간의 대폭적인 단축은 경제적으로 육상 공사에 비해 큰 유리가 된다. 또한 2개가 정해진 정밀도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 시공정밀도도 커 연직정밀도도 향상한다.
그러나 연직지반 등에서 굴삭평면이 크고 예를들어 한변이 길어지는 경우나 하천, 바다 등에 근접한 지역 또는 경사지 등에서 한쪽에 토압을 받는 경우 종래부터 수평절량(切梁)공법, 지반앵커공법, 아이랜드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수평절량공법은 한변이 큰 굴삭면적의 경우나 하천, 바다 등에 근접한 지역 또는 경사지 등에서 한쪽에서 토압을 받는 경우 가장 빠른 수평절량에 의해 축력을 지승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축력의 불균일도 많아 산류벽의 품질보증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 이와같은 조건 하에서 채용되는 경사지반앵커공법은 부지조건에 제약을 받아 채용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와같은 경우는 아이랜드공법이 채용되지만 이 공법은 분할공사가 되기 때문에 공기가 장기에 걸쳐 건설원가도 높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았다.
그래서 니수(泥水)처리가 불필요하고 배출니토도 다른 장소 타(打) RC 흙막이공법에 비해 작고 공기도 짧아 경제성이 높은 소일세멘트 주열흙막이벽을 생각할 수 있지만 소일세멘트 주열흙막이벽 단독으로는 토압에 대해 자립흙막이벽으로서의 강도 및 강성의 부족에 의해 안정된 흙막이벽의 품질을 기대할 수 없다.
또 강관시판 정통기초공법에 있어서는 굴삭심도가 깊고 강관시판에 작용하는 토압이 큰 경우에는 정통내에 설치되는 절량이나 그것들을 지지하는 지지항의 배치계획은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며 종래는 정통내의 강관시판의 일부를 중간지지항으로서 이용하는 등 연구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예의 문제를 해소하고 강관시판으로서는 종래의 강관시판보다도 강도를 늘리게 되어 그 결과 밀폐공간이 물막음 효과를 발휘하여 물막음공에 의한 수질오염이 축소되고 경제효과도 늘어나 환경대책이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강관시판을 지보공 단위부재로서 이용하므로 자립성이 극히 높고 그 결과로서 절량 등을 생략할 수 있는 흙막이 지보공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흙막이 지보공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흙막이 지보공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흙막이 지보공의 세로방향으로 한 강관시판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흙막이 지보공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흙막이 지보공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흙막이 지보공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제 4실시예에서의 지보공 단위부재의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강관시판의 제 1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종래의 강관시판의 제 2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0은 종래의 강관시판의 제 3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지보공 단위부재의 설명도.
도12는 H강에 의한 연결강관의 강관시판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강관시판 2: 강관
3: 연결부 3a: 슬릿
4: H강 4a: 플랜지
4b: 웨이브 5: 밀폐공간
6: 결합홈 7: 숫연결부
8: 암연결부 7a,8a: 플랜지
7b,8b: 웨이브 9: 충전재
10: 가로관통구멍 11: H강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에, 지보공 단위부재로서는 병렬시킨 강관 서로를 각 강관의 주면에 단테두리가 결합하는 횡단면 모양이 H형의 연결재로 일체로 연결하고, 또한 강관에 연결부를 배치한 2련타입의 강관시판으로 이 지보공 단위부재를 연결부 서로의 결합으로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할 경우에 연결재 및 그 앞의 강관이 흙막이벽 배후에 배치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한 지보공 단위부재를 적절한 간격으로 개재시키는 것, 제 2로, 세로방향으로 한 지보공 단위부재의 연결재에 가로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이 가로 관통구멍을 거쳐 강재에 의한 횡가재를 흙막이벽배후에 설치하는 것, 제 3으로 지보공 단위부재로서는 병렬시킨 강관서로를 각 강관의 주면에 단테두리가 결합하는 횡단면모양이 H형의 연결재로 일체적으로 연결하며 또한 상기 강관의 서로의 연결부재와 마찬가지로 횡단면모양이 H형의 숫연결부나 암연결부를 강관에 배치한 2련타입의 강관시판으로 숫연결부는 암연결부에 대해 다소 약간 흔들리는 것으로 하여 이 지보공 단위부재를 연결부 서로의 결합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 및 청구항 3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강관시판으로서는 일본국 특원 2001-198112호와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즉 강관과 강관을 H강의 4점의 단부로 용접된 형상으로 H강으로 잇는 것으로 여러개의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화한 강관시판이 되므로 그 만큼 강도를 늘릴 수 있고 단축방향 뿐만 아니라 장축방향의 내력을 받을 수 있다. 2개의 강관을 H강으로 잇는 것으로 강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어 단축방향의 2차모멘트가 늘어난다.
종래의 시공본수에 대해 연결부 사이가 단순히 절반 이하가 되므로 물막음 공(몰탈주입이나 약주입)도 절반이하로 충분하여 경제적 효과가 크고 또한 주입량을 줄이는 것으로 수질오염이 감소하여 환경에 쉬운(환경대책)공사가 된다. 또 연결하는 H강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모든 곡율을 갖는 형상부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나씩 타설하는 것 보다 2개 동시에 타설하는 쪽이 유리하여 시공시간은 대폭적으로 줄일수 있어 해양공사 등에서 볼 수 있는 대선(臺船) 사용기간의 대폭적인 단축은 경제적으로 육상 공사에 비해 큰 이점이 된다. 또한 2개가 정해진 정밀도로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시공정밀도도 높고 연직정밀도도 향상한다.
또 지보공 단위부재를 연결부 서로의 결합으로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할 경우에 연결재 및 그 앞의 강관이 흙막이벽 배후에 배치되도록 했기 때문에 이 부분이 부벽(扶壁) 지지항으로서의 역할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세로방향으로 한 지보공 단위부재를 적절한 간격으로 개재시키는 것으로 토압을 받을 때의 항력을 향상시켜 강도 및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작용에 덧붙여서 세로방향으로 한 지보공 단위부재의 H강재로 연결되고 있는 형상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훼일러(whaler)재로서의 강재에 의해 횡가재를 간단하게 또한 신속하게 흙막이벽 배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 횡가재가 빗장고리적인 역할을 발휘하여 이에 따라 받는 토압하중을 지보공 단위부재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흙막이벽의 전체에 균일하게 안정도·강도 및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 도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흙막이 지보공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동 사시도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지보공 단위부재로서의 강관시판(1)도 상기 일본국 특원 2001-198112호와 마찬가지로 병렬시키는 강관(2)의 서로를 각 강관(2)의 주면에 단테두리가 결합하는 H형의 연결재(판)로서 H강(4)으로 이 H강(4)의 폭만큼 간격을 갖고 일체로 연결하며 또한 이러한 상호 연결과 반대측에는 연결부(3)를 배치하도록 했다.
이 H강(4)은 형강에 의한 것이거나 또한 적절히 용접에 의해 공장 등에서 독자적으로 조립한 것이라도 된다. 형강을 이용할 경우는 플랜지(4a)의 좌우단테두리를 강관주면에 용접하게 되며 이들 평행하는 플랜지(4a)와 강관(2)(2)으로 사방을 둘러싼 밀폐공간(5)을 형성한다. 도면중 부호 4b는 웨이브이다.
강관(2)(2)의 상기 H강(4)에서의 상호 연결측과 반대측에는 연결부(3)를 배치하여 2련 타입의 강관시판(1)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3)는 도 8~도 10과 같이 종래예와 마찬가지의 여러가지의 타입을 생각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의 예는 도 9와 동일하고, 슬릿(3a)을 갖는 환체인 C자형을 횡단면으로 한 관체를 강관(2)의 주면에 용접하여 부착했다. 연결부(3)는 강관(2)의 바로 옆에 배치하지만 이 슬릿(3a)은 연결부(3)의 바로 옆이 아닌 경사방향으로 개구하는 것으로 연결부(3)가 서로 대향하는 경우는 슬릿(3a)은 대상적 방향으로 개구하며 슬릿(3a)을 통해 연결부(3)가 서로 서로 안에 들어가도록 맞물린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이 지보공 단위부재로서의 강관시판(1)을 연결부(3)를 통해 횡 일렬로 연결해 가는 것이지만 그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은 상기 H형의 연결재(판)로서 H강(4)으로 병렬시키는 강관(2)을 연결한 2련타입의 강관시판(1)을 세로방향으로 한 것이다.
상기 개재시키는 세로방향의 강관시판(1)은 병렬시키는 강관(2) 중 하나의강관에는 H강(4)을 접합하는 방향과 직각 방향의 좌우에 연결부(3)를 배치하고 이 연결부(3)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한 강관시판(1)과 접합한다.
그 결과 개재시키는 세로방향의 강관시판(1)은 연결재인 H강(4) 및 그 앞의 강관(2)이 흙막이벽 배후에 배치되게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제 1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의 강관시판(1) 끼리를 2개 단위로 접속하고 그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한 강관시판(1)을 개재시키도록 했지만 제 2에 실시예로서 도 4와 같이 가로방향의 강관시판(1)과 세로방향으로 한 강관시판(1)을 번갈아 접속해 가는 경우나 제 3실시예로서 도 5와 같이 가로방향의 강관시판(1)끼리를 3개단위로 접속하며 그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한 강관시판(1)을 개재시키도록 한 경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제 1~제 3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해도 되고 또한 가로방향의 강관시판(1) 끼리를 3개이상으로 하고 그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한 강관시판(1)을 개재시키도록 했다.
본 발명은 상기 세로방향으로 한 강관시판(1)의 연결재인 H강(4)에 가로관통구멍(10)을 형성하고 이 가로관통구멍(10)을 지나 강재에 의한 횡가재로서 H강(11)을 흙막이벽 배후에 설치했다. 이 가로관통구멍(10)은 이 개소에는 연결재인 H강(4)을 배치해 두지 않는 것으로 결과적으로는 상하 H강(4)사이에 가로 관통구멍(10)용의 공간을 확보하여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횡가재로서 H강(11)은 이른바 훼일러로서 그 플랜지가 흙막이벽을 형성하는 강관(2)에 접합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강축방향을 맞추었다. 이와같이 하여 횡가재로서 H강(11)은 연결재인 H강(11)은 연결재인 H강(4)으로 지승하는 것으로 지승을 위한 브라켓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흙막이 지보공의 지보공 단위부재의 강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강관시판(1)을 강관(2)을 φ600, H강(4)을 400H로 한 경우로 가로방향으로 한 경우(α)의 단면 2차모멘트는 길이 h30m에서는 123,000cm4/m가 되고, 세로방향으로 한 경우(β)의 단면 2차 모멘트는 817,479cm4/m가 된다. 이와같이 가로방향의 강관시판(1)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한 강관시판(1)은 약 7배약의 단면 2차모멘트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가로방향의 강관시판(1) 끼리의 접속에 적절히 세로방향으로 한 강관시판(1)을 개재시킴으로써 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횡가재로서 H강(11)을 부가하는 것으로 더욱 강도는 향상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강관시판(1)은 소일세멘트 연속벽 공법에서의 심재로서 세우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그 경우는 소일세멘트항의 표면을 깎아 내부의 강관(2)을 노출시켜 H강(11)을 접합시키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지보공 단위부재로서의 강관시판(1)을 도 7에도 도시한 것과 같이 병렬시키는 강관(2)의 서로를 각 강관(2)의 주면을 플랜지 단테두리가 결합하는 H형의 연결부재로서 H강(4)으로 이 H강(4)의 폭 만큼 간격을 갖고 일체적으로 연결한 점은 상기 제 1~제 3실시예와 같지만 이러한 상호연결과 반대측에는 숫연결부(7), 암연결부(8)를 배치하도록 했다.
숫연결부(7), 암연결부(8)는 강관(2) 서로의 연결부재와 마찬가지로, 횡단면모양이 H형의 것으로서 플랜지(7a)(8a)와 웨이브(7b)(8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플랜지(7a)(8a)의 단테두리가 강관(2)의 주면에 결합하는 것이다. 숫연결부(7)는 암연결부(8)에 대해 다소 약간 흔들리는 것으로 한다.
숫연결부(7)와 암연결부(8)와의 감합은 암연결부(8)의 플랜지(8a) 사이에 숫연결부(7)의 플랜지(7a)가 들어가고 또한 플랜지(7a)의 선단은 암연결부(8)의 웨이프(8b)에 근접하여 플랜지(7a)(8a), 웨이브(7b)(8b)로 둘러싸인 밀폐공간이 형성가능하므로 여기에 트레미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나 몰탈 등의 충전재(9)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철근을 이 밀폐공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로방향의 강관시판(1)도 병렬시키는 강관(2) 중 하나의 강관에는 H강(4)이 접합하는 방향과 직각 방향의 좌우에 숫연결부(7)와 암연결부(8)를 배치하고 이 숫연결부(7)와 암연결부(8)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한 강관시판(1)과 접합한다.
이 제 4실시예의 경우는 연결부도 횡단면 모양이 H형으로서 이어지는 것으로 웨이브의 존재로 강도를 늘릴 수 있으며 단축방향 뿐만 아니라 장축방향의 내력을 받을 수 있다. 즉 전단력(剪斷力)은 대략 관축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관축방향을 따라 웨이브라는 보강부재를 배치하는 것으로 유효하게 보강할 수 있다. 또 연결부 끼리는 플랜지단을 겹치도록 하는 것만으로 감합가능하며, 한쪽의 연결부의 플랜지선단이 다른쪽의 연결부의 웨이브에 충합하도록 근접하여 견고한 밀폐공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숫연결부(7)와 암연결부(8)에 의해 접합강도를 향상하므로 상기 도 1등에서의 세로방향으로 한 강관시판(1)의 존재는 생략가능하며 지보공 단위부재로서의 강관시판(1)을 연결부(3)를 통해 횡일렬로 연결해 가기만 해도 된다.
도 6에 있어서 강관시판(1)의 강관(2)의 외측의 원은 소일세멘트항의 외경을 나타내며, 다축굴삭기로 굴삭공을 굴삭하여 굴삭축 선단의 굴삭헤드로부터 세멘트밀크, 벤트나이트액 등, 목적에 적응한 고결재를 토출시켜 토중에 있어 원위치토와 믹싱하여 1엘레멘트의 벽모양의 삭공혼련을 행하며 원위치에 소일세멘트벽을 조성한다. 그리고 이에 심재로서 강관시판(1)을 만들어 넣는다. 강관시판(1)은 선행엘레멘트에 먼저 만들어 넣은 본 발명의 강관시판(1)에 대해 동일한 강관시판(1)을 숫연결부(7)와 암연결부(8)의 감합으로 연속시키도록 만들어 넣고 이후 마찬가지로 연속적인 일체의 벽체를 연설해 가 강관시판(1)도 뻗어간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흙막이 지보공은 강관시판으로서는 종래의 강관시판보다도 강도를 늘리게 되어 그 결과 밀폐공간이 물막음 효과를 발휘하고, 물막음 공(工)에 의한 수질오염이 축소되어 경제효과도 늘어나 환경대책이 되므로 이와같은 강관시판을 지보공 단위부재로서 이용하여 자립성이 극히 높으며 그 결과로서 절량 등이 생략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지보공 단위부재로서는 병렬시킨 강관 서로를 각 강관의 주면에 단테두리가 결합하는 횡단면 모양이 H형의 연결재로 일체로 연결하고, 또한 강관에 연결부를 배치한 2련타입의 강관시판으로 이 지보공 단위부재를 연결부 서로의 결합으로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할 경우에 연결재 및 그 앞의 강관이 흙막이벽 배후에 배치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한 지보공 단위부재를 적절한 간격으로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
  2. 제 1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한 지보공 단위부재의 연결재에 가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가로 관통구멍을 거쳐 강재에 의한 횡가재를 흙막이벽 배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
  3. 지보공 단위부재로서는 병렬시킨 강관 서로를 각 강관의 주면에 단테두리가 결합하는 횡단면모양이 H형의 연결재로 일체적으로 연결하며 또한 상기 강관의 서로의 연결부재와 마찬가지로 횡단면모양이 H형의 숫연결부나 암연결부를 강관에 배치한 2련타입의 강관시판으로 숫연결부는 암연결부에 대해 다소 약간 흔들리는 것으로 하여 이 지보공 단위부재를 연결부 서로의 결합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
KR1020030075937A 2002-12-17 2003-10-29 흙막이 지보공 KR100715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65024A JP3701280B2 (ja) 2002-12-17 2002-12-17 山留支保工
JPJP-P-2002-00365024 2002-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764A true KR20040053764A (ko) 2004-06-24
KR100715563B1 KR100715563B1 (ko) 2007-05-09

Family

ID=3276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937A KR100715563B1 (ko) 2002-12-17 2003-10-29 흙막이 지보공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01280B2 (ko)
KR (1) KR100715563B1 (ko)
CN (1) CN10033698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10B1 (ko) 2007-05-08 2008-01-02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시트파일과 합성형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0789209B1 (ko) * 2007-05-08 2008-01-02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합성형 말뚝과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JP5190739B2 (ja) * 2009-02-13 2013-04-24 五洋建設株式会社 土留め壁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109520B1 (ko) 2010-09-03 2012-01-31 삼정건설 주식회사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200459483Y1 (ko) 2011-05-30 2012-03-27 서승권 강관 병행 h?시트 파일을 이용한 시공구조
JP5939622B2 (ja) * 2012-03-23 2016-06-22 株式会社技研製作所 土留壁
CN103174152A (zh) * 2013-03-27 2013-06-26 成都兴蜀勘察基础工程公司 井字梁基坑支护结构
CN103321232A (zh) * 2013-06-27 2013-09-25 杨家亮 可全回收支撑围护应用装置及方法
CN105256811B (zh) * 2015-09-30 2017-04-19 常州大学怀德学院 具有止水功能的板桩支护结构进行基坑支护的施工方法
CN105804102A (zh) * 2016-04-01 2016-07-27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双筒形锁扣桩水中围堰的施工方法
CN106968241A (zh) * 2017-05-23 2017-07-21 浙江省地矿建设有限公司 地下连续墙结构及围护体系施工方法
CN108286255A (zh) * 2018-01-10 2018-07-17 上海公路桥梁(集团)有限公司 基坑围护结构及其施工方法
JP7364526B2 (ja) * 2020-04-10 2023-10-18 日本製鉄株式会社 岸壁構造および岸壁構造の構築方法
CN111485549A (zh) * 2020-04-30 2020-08-04 广西路建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旋挖钻埋钻处理方法
CN113718796B (zh) * 2021-09-30 2022-08-16 山东大学 一种具有基坑支护功能的地下结构体系与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24B2 (ja) * 1989-05-09 1994-03-16 株式会社藤井組 鋼管杭柱列構築工法
CN1054173C (zh) * 1992-10-29 2000-07-05 地下系统股份有限公司 板桩
JP3051321B2 (ja) * 1995-06-08 2000-06-12 運輸省港湾技術研究所長 二重矢板構造物
JPH1025735A (ja) * 1996-07-11 1998-01-27 Yoshihiro Kizu 土留用鋼材
JPH10102482A (ja) * 1996-10-03 1998-04-21 Nippon Steel Corp 鋼管矢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ソイルセメント連続壁工法
DE29911162U1 (de) * 1999-05-21 1999-09-02 Salzgitter Ag Tragelement für eine Spundw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97358A (ja) 2004-07-15
CN100336980C (zh) 2007-09-12
CN1508362A (zh) 2004-06-30
JP3701280B2 (ja) 2005-09-28
KR100715563B1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563B1 (ko) 흙막이 지보공
KR100633796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JP3747198B2 (ja) 鋼管矢板井筒基礎
JP2008019608A (ja) 鋼管矢板、鋼管矢板壁、パイプルーフ用鋼管、およびパイプルーフ
JP3854850B2 (ja) 連結鋼管矢板とそれを用いた鋼管連結構造および鋼管矢板壁およびソイルセメント連続壁
JP2021130983A (ja) ジャケット式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775844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JP3905776B2 (ja) 護岸構造
JPH0261217A (ja) 水域構造物
JP2003027462A (ja) 地中連続壁の構築方法及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3629474B2 (ja) 鋼管矢板工法
JP3059051B2 (ja) 鋼管柱列による止水壁の構築方法
JP2976102B2 (ja) 地中連続壁の施工法における先行エレメントの切削方法
JP4231194B2 (ja) 護岸構造
KR20040057061A (ko) 벽강관말뚝의 연결구조
JPH0971951A (ja) 管杭等を用いた深基礎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2129533A (ja) 二重矢板壁式護岸構造
JPH04228714A (ja) 水底地盤打込み部材を用いた水域構造物
JP4283194B2 (ja) 消波構造物、消波構造物の構築方法
JPH09184116A (ja) 雪崩・落石防護柵施工方法および雪崩・落石防護柵
JPS5840608B2 (ja) 溝側壁の土留め工法
JPH04115016A (ja) 軟弱地盤における山留壁及び山留工法
JP2008025316A (ja) 土留め擁壁構造の選定方法、土留め擁壁の構築方法、及び土留め擁壁
JPH09291782A (ja) 複数のセグメントを用いた柱状構造体
KR200453408Y1 (ko) 용접 h형 강널말뚝의 연속결합에 의한 일체형 차수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