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3316A -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및 너트체 - Google Patents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및 너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3316A
KR20040053316A KR10-2004-7007391A KR20047007391A KR20040053316A KR 20040053316 A KR20040053316 A KR 20040053316A KR 20047007391 A KR20047007391 A KR 20047007391A KR 20040053316 A KR20040053316 A KR 20040053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ody
bolt
engaging
mount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미즈쇼하치
Original Assignee
미라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라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31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made of thin shee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71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engaging the bolt laterally, i.e. without the need to engage the end of the bolt
    • F16B37/087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engaging the bolt laterally, i.e. without the need to engage the end of the bolt in one piece, e.g. C-shaped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71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engaging the bolt laterally, i.e. without the need to engage the end of the bolt
    • F16B37/0892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engaging the bolt laterally, i.e. without the need to engage the end of the bolt in two or more pieces, e.g. assemblies made by two C-shaped nuts mutually interlocked, or retained by an additional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은, 볼트체에 대하여, 상기 볼트체의 측 방향에서 취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취착체100에는,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21을 구비한 계합부20과, 상기 계합부20 내에 상기 볼트체를 진입시키는 개구부70과, 상기 계합부20으로부터 선단측에 설치된 근접부30를 가지는 취착부10을 형성하고, 이 취착부10의 개구부70으로부터 볼트체를 진입시킨 후, 상기 근접부30을 상대적으로 근접시키기 위해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며, 당해 계합부20을 상기 볼트체의 외면을 따라 배치시키고, 상기 계합 돌기21을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취착체100을 상기 볼트체에 취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및 너트체{Mounting Body for Attachment to Bolt Body And Nut Body}
종래부터, 역이나 공장에 배선·배관재를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랙(수구)을 설치하는 경우, 천정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또는, 땅속에 매설)된 볼트체에 대하여, 너트로서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이 외의 다양한 설비 자재를 건물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설비 자재를, 건물의 구축물에 고정된 볼트체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도 행해진다.
특히, 상기 볼트체 중의 중간 위치에 상기 너트체로서 설비 자재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랙과 박스 등의 설치 목적물의 볼트체와의 접속 부분을, 복수의 너트체로서, 전후(또는, 상하)에서 조이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로의 고정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볼트체의 사이에 단면이 거의 L자 형상인 강재를 2개의 너트로 상하에서 조이고, 이 L자형 강재 위에 케이블 랙을 재치(載置)하는 것에 의해 설치한다.
그러나, 길이가 긴 볼트체의 중간 위치에 상기 설치 목적물을 고정하는 것은, 상기 너트체를 상기 볼트체의 단부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걸쳐 돌려 넣지 않으면 않되기 때문에, 설치 목적물의 설치는 상당히 어려운 작업을 요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 랙과 박스 등의 설치 목적물의 볼트체와의 접속 부분에 취착체를 일체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이 취착부를 상기 볼트체의 측 방향에서 붙이면 간단히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볼트체로의 취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종래 너트는, 볼트체의 일단으로부터 돌려넣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의 축방향으로 나사 결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트체의 소정의 위치 및 그 이 외의 위치에 대하여, 이미 너트체 등이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 경우, 이 고정된 간격 내로 새로운 너트체를 돌려 넣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립 온 록 너트 사(SLIP ON LOCK NUT CO., LTD)(미국)의 '중간 삽입식 너트'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왔다. 이 중간 삽입식 너트는,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너트체로부터 이루어진 것이고, 이 한 쌍의 너트체에는 각각 일방에 개구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개구로부터 볼트체를 진입시킨 후, 도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너트체를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들 각 너트체가 서로 밀게 되어, 당해 위치에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중간 삽입식 너트에 따른 기술에 의하면, 볼트체에 대하여 그 단부로부터 너트를 돌려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볼트체의 어느 위치에서라도, 옆에서부터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설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볼트체의 양단이 이미 지지되어 있는 위치와, 부착 위치가 빈번하게 이동하는 위치, 및 시공 후의 너트가 들어가기 힘든 위치에도 대처 가능하다. 또한, 도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천정에 고정된 볼트체에서, 이미 하단에 너트체가 설치된 볼트체에 대하여도, 그 중간 위치에 너트체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설치 목적물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중간 삽입식 너트는, 당해 너트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됨과 동시에 구조도 복잡하기 때문에, 상기 너트의 단가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 삽입식 너트를 이용하면, 시공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에, 당해 중간 삽입식 너트는, 특정의 위치에만 사용되고, 종래의 값싼 너트를 보충할 정도로 밖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값싼 너트와 비싼 중간 삽입식 너트를 병용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볼트체에 대하여 취착 가능한 취착체(取着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볼트체의 단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대하여도, 간단하고 확실하게 취착시킬 수 있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취착시킨 상태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4는, 고리 형상의 이간방지부40을 가지는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5는, 도4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의 계합부20을, 소성 변형 시킨 후의 상태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6은, 도1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에, 별도 부재인 이간 방지 부재41을 관착(冠着)시킨 상태를, 옆에서 본 것이다.
도7은, 도6에 도시한 이간 방지 부재41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9는, 도8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의 계합부20을, 소성 변형 시킨 후의 상태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6은, 도8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에, 별도 부재인 이간 방지 부재41을 관착(冠着)시킨 상태를, 옆에서 본 것이다.
도11은, 도10에 도시한 이간 방지 부재41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13은, 도12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의 계합부20을, 소성 변형 시킨 후의 상태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14는, 도12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에, 별도 부재인 이간 방지 부재41을 관착(冠着)시킨 상태를, 옆에서 본 것이다.
도15는, 도14에 도시한 이간 방지 부재41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16은, 노치가 형성된 한 쌍의 근접부30을 구비한 취착체100(너트체110)에 대하여, 슬릿이 형성된 별도 부재인 이간 방지 부재41을 장착하는 모양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17은, 길이가 긴 계합부20의 양단에 각각 한 쌍의 근접부30을 상호 대칭시켜서 입설한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18은, 길이가 긴 계합부20의 중간 부분에 한 쌍의 근접부30을 상호 대칭시켜서 입설한 취착체100(너트체110)을 볼트체에 취착시키고, 별도 부재인 이간 방지 부재41을 장착하는 모양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19는, 길이가 긴 계합부20의 선단 부분에 한 쌍의 근접부30을 상호 대칭시켜서 입설하고, 상기 계합부20의 중간 부분에 슬릿이 형성된 취착체100(너트체110)을 볼트체에 취착시키는 모양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20은, 외측 부재61과 내측 부재62를 가지는 이중 구조의 계합부20을 구비하는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21은, 양단이 하방으로 눌려서 구부러지고 상면에 나각면이 형성된 강판을, 정면 위에서 본 것이다.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제조하는 때의, 프레스 가공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제1도이다.
도23은, 도22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제2도이다.
도24는, 도22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제3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너트체110)의 계합부20을, 소성 변형 시키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제1도이다.
도26은, 도25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제2도이다.
도27은, 도25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의 근접부30을 계합부20의 선단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고, 당해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조이는 공구P로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28은, 도1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에서, 한 쌍의 볼트체300에 배선·배관재용 수구를 설치한 상태를 정면으로부터 본 것이다.
도29는,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배선·배관재용 수구120)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30은, 도29에 도시한 취착체100(배선·배관재용 수구120)을,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취착시킨 상태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31은, 파선으로 도시한 이차적 취착체200을,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너트체110)과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취착체100(너트체110)의 계합부20을, 소성 변형 시키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제1도이다.
도32는, 도31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제2도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이차적 취착체200인 배선·배관재용 수구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34는, 도33에 도시한 이차적 취착체200인 배선·배관재용 수구를, 본 발명의 취착체100으로 조여서,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취착시킨 상태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35는,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배선·배관재용 박스130)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36은, 본 발명의, 이차적 취착체200인 배선·배관재용 박스의 한 쌍의 관통 구멍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을 삽통시키고,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모양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37은, 본 발명인 취착체100(수구120의 매달린 금속 부품140)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38은, 도37에 도시한 취착체100(수구120의 매달린 금속 부품140)을,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 및, 수구120을 구성하는 금속 선재에 취착시킨 상태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39는,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받침대150)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40은, 본 발명의, 이차적 취착체200인 받침대의 한 쌍의 관통 구멍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을 삽통시키고,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모양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4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간 삽입식 너트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42는, 도41에 도시한 중간 삽입식 너트를, 볼트체300에 대하여 취착시키는 때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43은, 도41에 도시한 중간 삽입식 너트에서, 매달린 볼트에 대하여 배선·배관재용 수구120을 매달리게 설치한 상태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 … 취착부 20 … 계합부 21 … 계합 돌기
22 … 홈 30 … 근접부(파지편) 40 … 이간방지부
41 … 이간방지부재 50 … 보지부 61 … 외측부재
62 … 내측부재 70 … 개구부 100 … 취착체
110 … 너트체 120 … 배선·배관재용 수구
130 … 배선·배관재용 박스 140 … 수구의 매달린 금속 부품
150 … 받침대 200 … 이차적 취착체 300 … 볼트체
310 … 외면 나사 P … 펜치 등의 조이는 공구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볼트체300의 측 방향에서 용이하게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취착체100 및 너트체110을 저렴하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취착체10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취착체100이라는 것은, 배선·배관재용 수구120(도29 참조)과 배선·배관재용 박스130(도35 참조), 또는 수구120의 매달린 금속 부품140(도37 참조) 등을 가리키는 것이고, 이들 취착체100에 취착부10을 설치하고, 이 취착부10에 의해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에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후술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너트체110(도1 내지 도20 참조)도 상기 취착체100에 포함되는 것이다. 즉, 상기 수구120 등의 취착부10에 상당하는 것을 독립하여 구성하는 것에 의해, 취착체100으로서의 너트체11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취착부10은, 취착 목적물인 취착체100의 일부로서 설치된 것으로, 이 취착부10은, 계합부20과, 당해 계합부20의 선단에 설치된 근접부30과, 상기 계합부20 내에 볼트체300을 진입시키는 개구부70을 가지며, 상기 계합부20의 일면에는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과 계합하는 계합 돌기21이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취착부10은,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의 외면에 대하여 그 측 방향에서 취착부10의 계합부20을 붙이는 것에 의해 근접시키고, 그 후, 근접부30을 상대적으로 근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고, 당해 계합부20을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을 따라 배치한다. 이 계합부20을 볼트체300의 외면을 따라 배치(밀착)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계합부20의 표면에 돌설된 계합 돌기 21을 볼트체300의 외면나사310에 계합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취착부10을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취착목적물인 취착체100을 볼트체300의 외면에 대하여 취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취착부10인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으로,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 돌기21이 계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볼트체300에 대하여 취착체100을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계합부20은 볼트체300의 외면의 측 방향에서 붙여서 배설(配設)한 후에 소성 변형시키기 때문에, 상기 볼트체300의 단부이거나 중간부이거나를 불문하고, 취착체100을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취착부10의 구성에 관하여, 우선 계합부20부터 설명한다.
이 계합부20은, 자신이 소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과 당접(밀착)하고, 상기 볼트체300을 협지하는 것이다. 이 계합부20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도3 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을 굴곡시켜서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를 대치시켜서 입설(立設)한 것, 또는,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착체100의 기재(基材)를 잘라 세워서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를 대치시켜서 입설한 것이 고려된다. 또한, 도29에 도시한 형태의 계합부20은,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뿐 아니라, 반개구부70측의 평면 형상에 형성된 부분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계합부20은 한 쌍의 띠 형상 부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띠 형상 부재로 조어져서 볼트체300과 당접하는 부분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띠 형상 부재의 사이에 개구부70을 형성하고, 당해 개구부70으로부터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을 진입시켜서 소성 변형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계합부20은,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를 상호 대치하여 입설시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 계합부20을 소성 변형 시킨 후에,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의 외면의 전체에 밀착시키는 것이 한층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는, 상기 한 쌍의 띠 형상 부재의 전체를, 상기 볼트체300의 외주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계합부20에는,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21이 돌설되어 있고, 선단 부분을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근접부30을 형성한다.
상기 계합부20을 볼트체300에 당접(밀착)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볼트체300을 협지시키는 경우에는, 당해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고, 상기 계합부20에 돌설된 계합 돌기21을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시키는 것이다. 이 계합 돌기21이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으로 계합하는 것에 의해, 취착 목적물인 취착체100이 상기 볼트체300의 축방향에 대하여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계합부20은, 자신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어느 재질의 것이라도 좋으나, 구체적으로는 금속(강판)으로 형성하고, 변형한 후에도 그 변형 상태가 유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계합 돌기21이 볼트체300 외면 나사310으로 계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취착목적물인 취착체100을 볼트체300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취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관하여, 당해 계합부20의 선단측에 설치된 근접부30을 상대적으로 근접시키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 근접부30은,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때의 손잡이부로서의 파지편으로 하여도 좋다. 즉, 도25 또는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때에 당해 근접부30을 펜치 등의 죄는 공구P로서 파지하고, 이를 한번에(또는 단계적으로) 조이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부20을 볼트체300의 외면을 따라 소성 변형시키는 것이 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근접부30은,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계합부20의 약간 선단 방향(도27 중에서는 하측)을 향하여 돌설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근접부30을 계합부20의 약간 선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죄는 공구P에 의한 힘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계합 돌기21은,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시키는 것이고, 그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이하의 것이 고려된다. 즉,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의 외면과의 당접면에 1 또는 2 이상의 돌기(계합 돌기21)를 돌설하고, 이를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당접면에 홈22를 나각(螺刻)하고, 당해 나각면에서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과 계합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즉, 각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면에 홈22를 나각하는 것에 의해, 나각면의 전체에서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으로 계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계합부20을 볼트체300에 대하여 강력 또는 확실하게 계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홈22는,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대응하는 피치로 나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나각면의 전체에서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하게 되기 때문에, 취착체100이 볼트체300의 축방향으로 벗어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계합 돌기21이 볼트체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하는 것은,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하기 전이나, 또는, 소성 변형한 후인가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도1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을,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체300의 외면에 당접시킨 경우에는, 당해 취착체100(너트체110)의 멈춤쇠에 상당하는 부분(상측 반원 부분)의 내측에 돌설된 계합 돌기21이,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25에 도시한 취착체100(너트체110)은,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킬 것도 없이, 볼트체300의 측면에 붙인(당접시킨) 것만으로, 계합 돌기21이 외면 나사310에 계합하여, 임시 고정 상태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임시 고정 상태로부터 상기 계합 돌기21에 의한 외면 나사310으로의 계합을 확실하게 한다. 상기 구성을 채택하는 것에 의해, 설치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당해 취착체100을 볼트체300에 붙이는 것에 의해 임시 고정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후에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때에는, 당해 소성 변형 작업에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취착체100을 볼트체의 소망하는 위치에 확실하게 취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예를 들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체30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 취착체100(너트체110)에서는, 당해 취착체100(너트체110)을 상기 볼트체300에 당접시킨 것만으로는, 당해 볼트체300에 대하여 계합 돌기21이 계합하는 것은 아니다. 즉, 계합 돌기21이 돌설되는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최초로 계합 돌기21이 외면 나사310에 계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취착 대상물은 볼트체300이고, 이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는 계합부20의 계합 돌기21이 계합되는 것은 기술한 바와 같다. 이 때문에, 취착체100의 계합 돌기21이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체300을 회전시키는(또는, 상기 볼트체30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취착체100을 상기 볼트체30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취착 목적물인 취착체100(예를 들면, 배선·배관재용 수구120과 배선 박스130 등)과, 천정으로부터 매달려 설치된 매달린 볼트 혹은,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입설된 지지 볼트 등의 볼트체300이 접합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체30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취착체100을 볼트체30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계합부20은 다층 구조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즉, 당해 다층 구조인 계합부20은,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부재62와 외측 부재61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 부재62는 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외측부재61은 소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상기 외측 부재61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외측 부재61이 내측 부재62를 압압하여, 당해 내측 부재62가 상기 외측 부재61과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과의 사이에서 조여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부재62는 가소성 재료로서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압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으로 부식되게 된다. 당해 내측 부재62가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으로 부식되는 것에 의해, 당해 내측 부재62의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과 당접하는 면이,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을 따라 변형한다. 따라서, 당해 내측 부재62의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과 당접하는 면에 계합 돌기21이 형성되고, 당해 계합 돌기21이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체300에 대한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취착부10을 구비한 취착체100을 상기 볼트체30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취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접근부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접근부30은, 상술한 계합부20의 선단측에 설치된 것이고,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당해 근접부30은,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때에 파지편으로서 파지하면 취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있어서, 도25 및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근접부30을 펜치 등의 죄는 공구P로 파지하는 것에 의해, 죄는 공구P에 의한 조이는 압력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된다.
이 근접부30의 구체적인 태양으로서는, 한 쌍의 근접부30 혹은 한 편의 근접부30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우선 한 쌍의 근접부30은, 취착부10의 한 쌍의 계합부20이 상호 대칭하여 설치되고, 당해 계합부20의 선단측에 각각 근접부30을 설치하고 한 쌍의 근접부30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근접부30의 사이의 개구부70에 볼트체를 진입시킨 후, 당해 각각의 근접부30을 상호 근접하도록 하고,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이다.
다음 한 편의 근접부30은, 취착부100의 취착부10의 단부를 기단으로 하여 연설한 단면이 U자형인 계합부20에서, 그 선단을 바깥 방향으로 굴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면이 U자형인 계합부20의 내측에 개구부70으로부터 볼트체를 진입시킨 후, 상기 계합부20의 선단에 형성된 근접부30을, 당해 계합부20의 기단 부근에 거의 밀접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계합 돌기21과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을 계합시키는 때에는, 계합부20의 선단측에 설치된 근접부30이 서로 밀접하게 만날때까지, 상기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켜도 좋다. 즉, 근접부30을 상대적으로 밀접 상태로 될 때까지 당해 근접부30을 펜치 등으로 조이는 것에 의해, 계합부20에 돌설된 계합 돌기21이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계합 돌기21에 의한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으로의 계합을 완료시키는 것에 의해 근접부30은 서로 밀접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당해 거의 밀접 상태인 근접부30으로부터, 상호 대칭하는 계합부20의 사이의 개구부70(도25 참조)은 덮여져 닫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계합부20과 계합하는 볼트체300은 상기 개구부7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 볼트체300에 대하여 확실하게 취착체100을 취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근접부30을 상호 밀접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계합이 완료하는 경우에는, 계합을 완료시킨 때의 목표가 되기 때문에, 필요 또는 충분하게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볼트체300이 취착부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은, 이차적 취착체200을 보지하는 보지부50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당해 보지부50이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을 보지한 상태에서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을 상기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이차적 취착체200은, 볼트체300에 배치되는 것이고, 취착부10을 구비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도33 또는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착부10을 구비하지 않는 배선·배관재용 수구나 배선·배관재용 박스 등이 고려된다. 또한 특히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선·배관재를 고정하기 위한 새들(saddle) 등,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으로 고정되는 것을 넓게 포함하는 것이다. 단, 상기 새들의 예로서는, 당해 새들에서 고정되는 배선·배관재는,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에 포함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에 의해 직접 고정되는 것만이,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에 해당한다.
상기 이차적 취착제200을,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취착하는 때에는, 취착체100에 설치된 보지부50에서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을 보지한 상태로, 상기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에 의해, 이 볼트체300에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을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보지부50은, 어떤 수법 혹은 구조의 것을 채용하여도 좋으나,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대칭하여 입설된 한 쌍의 계합부20의 사이를, 평판 형상으로 형성한 당접면으로 이루어진 보지부50으로 하고, 당해 보지부50과 볼트체300과의 사이에 이차적 취착체200을 끼우고, 당해 이차적 취착체200을 상기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보지부50과 볼트체300과의사이에 이차적 취착체200을 끼우는 것은, 예를 들면 도33 또는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이차적 취착체200에 한 쌍의 관통 구멍을 뚫어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리고, 당해 한 쌍의 관통홀에 보지부50을 구비한 취착체100의 계합부20을 각각 삽통시키고, 이들 계합부20을 볼트체300의 외면에 대하여 측 방향에서 붙인 후에, 도31 및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부30을 조이는 공구P로 파지하여 조이는 것에 의해 소성 변형시킨다. 이 때,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의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사이의 부분이, 보지부50과 볼트체300과의 사이에서 끼워지기 때문에, 볼트체300에 대하여 이차적 취착체200을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계합부20의 선단에 설치된 근접부30은,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계합부의 선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조이는 공구P에 의한 힘에 의해 한층 용이하게 하여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은, 이차적 취착체200이 설치되는 피보지부51을 구비한 것으로 하고, 상기 취착체100을 볼트체300에 취착시킨 후(또는, 취착시키기 전), 상기 보지부51로 이차적 취착체200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의 소정 위치를 프레스로 펀칭하여 계합부20 내지는 근접부30을 형성하고 플레이트 상의 취착체100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플레이트 형상의 취착체100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당해 나사 구멍에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을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설치(고정)되는 것이다.
즉, 이 피보지부51을 구비한 취착체100에 따르면, 종래부터 제공된 각종 자재를 고정할 수 있는 받침대를, 볼트체300에 상기 계합부20을 당접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당해 피보지부51과 이차적 취착체200과의 고정 방법은, 상기의 나사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부터 제안된 감합이나 봉지(封止) 혹은 접착 등, 어느 방법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은, 취착부10에 이간방지부40 등을 설치한 것이도 좋다. 이 이간방지부40은, 상기 계합부20이 볼트체300의 외면을 따라 소성 변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즉, 당해 접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근접한 근접부30이, 다시 이간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서는, 계합부20에 돌설된 계합 돌기21이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하, '이간 방지 작용(열림 방지)'라고 한다)이 가능하게 된다.
이 이간방지부40 등은, 기술한 바와 같이 '이간방지부40' 및 이간방지부재41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하 각각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이간방지부40은, 취착체100의 취착부10과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이간 방지 작용(열림 방지)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이간방지부40을 취착부10과 일체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한 번의 조이기 작업에 의해, 계합부의 소성 변형 내지 이간 방지부에 의한 봉지를 완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부20 선단에 한 쌍의 근접부30이 설치된 경우, 당해 한 쌍의 근접부30 중, 일방의 근접부30에만 고리 형상의 부재를 일체로 설치하고, 이 일방의 근접부30에 설치된 고리 형상의 부재에, 타방의 근접부30을 봉지시키는 것이 고려된다(도5 참조). 따라서, 이 고리 형상의 부재를 구비한 취착부10에서 볼트체300에 대하여 취착하는 경우에는, 계합부20을 볼트체300의 외면을 따라 소성 변형시키기 위해, 당해 계합부20의 선단에 설치된 근접부30을 상대적으로 근접시킨 때, 당해 근접부30의 일방을 상기 고리 형상 부재에 봉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근접부30이 이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간 방지 부재41은, 취착부10과 별도 부재로서 구성되고, 상기의 이간 방지 작용(열림 방지)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7 내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착부10과 별도 부재로서 계합부20의 외단 혹은 근접부30과 봉지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당해 이간 방지 부재41에서 열림 방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우선, 펜치 등의 조이는 공구P로서 근접부30을 조이는 것에 의해, 계합부20이 소성 변형하여 상기 근접부30이 상대적으로 근접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근접한 근접부30이 다시 이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성 변형한 상기 계합부20의 외단 혹은 상대적으로 근접한 근접부30을 피복하도록 이간 방지 부재41로 봉지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이간 방지 부재41은, 도11 또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이 개방된 개구가 형성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즉, 당해 개구로부터 이간 방지 부재41 내부를 향하여 상기 볼트체300을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볼트체300을 이간 방지 부재41 내부에 진입시킨 후에는, 당해 이간 방지 부재41이 취착체100의 계합부 또는 근접부를 조이게 된다. 상기 구성을 채택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확실하게 열림 방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부터, 취착부10에 이간방지부 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한번 상호 근접한 근접부30이, 다시 확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취착부10에 의한 볼트체300으로의 취착(내지는, 계합 돌기21에 의한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으로의 계합)을 그대로 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취착체100의 취착부10의 제조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취착부10은, 도22 내지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파여진 금형 위에 상기 강판을 배설하고, 당해 강판을 위에서 펜치로 누르고, 단면이 U자형인 취착부10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계합부20의 계합 돌기21을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홈22(즉, 나각면)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스 가공에 앞서, 강판에 대하여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홈22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나각면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강판에 바이트 블레이드(byte blade)를 이용하여, 당해 바이트 블레이드(또는, 강판)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홈22(즉, 나각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계합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강판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는 동시에 홈22(나각면)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선단에 나각 블레이드가 돌설된 펜치로서, 도22 내지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 내로 강판을 누르는 것에 의해, 계합부의 내측에 상당하는 위치에 나사 홈 형상의계합 돌기21(홈22)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너트체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너트체110은, 볼트체300의 측면으로부터 나착하는 너트체110이고, 계합부20과 근접부30을 가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너트체110은, 상기 취착체100의 취착부10을 독립한 부재로서 구성하고, 이를 너트체110으로서 볼트체300의 외면에 취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너트체110은,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양단이 고정되고 닫힌 상태의 볼트체에 대하여도, 그 중간 부분에서 측 방향에서 붙여서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볼트체에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배선·배관재용 수구 등의 이차적 취착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당해 너트체110의 각 구성 요건은, 상술한 취착체100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1 내지 도20은 너트체110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들 너트체11을, 수구120 등의 취착체100의 취착부10으로서 일반적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이간 방지 부재41과 이중 구조의 계합부20 등을 구비한, 취착체로서의 수구120과 박스130 등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는 것에 의해, 취착체로서의 상기 수구120 등을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때에, 우선 취착부10의 계합부20을, 볼트체300의 외면의 측 방향에서 근접시켜 배치하고, 그 후, 당해 계합부20을 (펜치 등의 조이는 공구P로서 조이는 것에 의해) 소성 변형시키고, 당해 계합부20에 돌설된 계합 돌기21을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취착을 완료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취착체100으로서의 상기 수구120 등을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대하여 측 방향에서 붙이고, 간이한 작업을 실시하는 것으로도 취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계합부20은 볼트체300의 외면의 측 방향에서 붙여서 소성 변형시키기 때문에, 상기 볼트체300의 단부인가 중간부인가에 관계 없이, 상기 수구120 등을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1)
도1 및 도2는, 실시예1에 따른 취착체1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너트체110으로 구성되고, 당해 너트체110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성 변형 가능한 계합부20과, 당해 계합부20의 선단측에 설치된 한 쌍의 근접부30과, 계합부20 내에 볼트체300을 진입시키는 개구부70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계합부20에는,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21이 돌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너트체110을 상기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때에는, 우선, 상기 볼트체300을 개구부70으로부터 계합부20 내로 진입시킨다. 즉, 당해 계합부20을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에 대하여 옆에서 붙여서 배설하는 것이다. 다음, 도25 및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계합부20의 선단에 설치된 한 쌍의 근접부30을 펜치 등의 조이는 공구P로 조여서 소성 변형시키고, 당해 계합부20에 돌설된 계합 돌기21을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시킨다. 이 때,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근접부30은 거의 밀접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개구부70은 덮여서 닫혀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볼트체300으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너트체110이 이탈되지 않고, 확실하게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너트체에 의하면,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양단이 고정되어 닫힌 상태에 있는 볼트체에 대하여도, 그 측 방향에서 붙여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볼트체에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너트체110의 단면 형상은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각형에 따른 단면 형상을 채용하여도 좋다.
(실시예2)
도4 및 도5는, 실시예2에 따른 취착체1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너트체110으로 구성되고, 당해 너트체110은, 계합부20과, 개구부70과, 근접부30과, 당해 근접부가 이간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간방지부40을 가진다. 이들 구성 요건 중 계합부20, 근접부30, 및 개구부70은, 실시예1에서 기술하였으므로,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간방지부40은, 너트체110과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고, 취착체10의 선단에 설치된 근접부30이 서로 이간(확개)하는 것을 방지한다(이하, '이간 방지 작용'이라 한다). 즉, 근접부30이 이간되는 것에 의해, 너트체110에 의한 볼트체300으로의 취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계합부20 선단에 한 쌍의 근접부30이 설치되는 경우, 당해한 쌍의 근접부30 중에서, 일방의 근접부30에만 고리 형상 부재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일방의 근접부30에 설치된 고리 형상의 부재에, 타방의 근접부30을 봉지시킨 것이다. 이 고리 형상의 부재를 구비한 취착체10으로 볼트체300에 대하여 취착하는 경우, 계합부20을 볼트체300의 외면을 따라 소성 변형시키기 위하여, 당해 계합부20의 선단에 설치된 근접부30을 상대적으로 근접시키는 때에, 당해 근접부30의 일방을 상기 고리 형상의 부재에 봉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근접부30이 이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너트체110과 함께 일체로 되어 설치된 이간방지부40에 의해 상기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이간 방지부40은 너트체110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체110과 별도 부재로 구성되는 이간 방지 부재41로서 구성하고, 상기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이 이간 방지 부재41의 구체적 태양으로서는, 도7 내지 도16에 도시된 것이 고려되며, 이들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6에 도시한 너트체110은, 실시예1의 너트체110에, 도7에 도시한 이간 방지 부재41을 관착시키고, 당해 이간 방지 부재41에서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도7에 도시한 이간 방지 부재41은,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하고, 당해 플레이트의 소정 위치를 압출하여 돌기를 세운다. 이 돌기는 대칭하도록 두 개 설치되고, 당해 두 개의 돌기에서, 상호 근접한 상태에 있는 근접부30을 조이는 것에 의해,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킨다.
다음, 도10에 도시한 너트체11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도10에 도시한 너트체100은, 도8에 도시한 너트체11을,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의 근방에 배치한 후,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계합부20을 소성 변형 시키고, 도11에 도시한 이간 방지 부재41을 관착시키는 것에 의해,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이간 방지부40은,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한 쌍의 근접부30을 조이지 않고, 이간 방지 부재41에 형성된 홈에서 계합부20의 외단을 봉지하는 것에 의해,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14에 도시한 너트체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도14에 도시한 너트체110은, 도12에 도시한 너트체110을,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의 근방에 배치한 후,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계합부20을 소성 변형 시킨 후, 도15에 도시한 이간방지부재41을 관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너트체110은, 도12 내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을 빗살 형태의 요철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이간 방지 부재41에는, 상기 너트체110의 빗살 형태의 요철을 진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부가 뚫려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구멍부와 빗살 형태의 요철을 서로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술한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도16에 도시한 너트체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도16에 도시한 너트체110은 이간 방지 부재41을 구비한 너트체11이고, 이 이간 방지 부재41에는,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슬릿이 형성된다. 너트체110의 한 쌍의 근접부30에는, 각각 단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너트체110을 볼트체300에 대하여 그 측 방향에서 붙인 후, 그 계합부20을, 도25 및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키고, 근접부30을 상대적으로 근접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노치에 대하여 상기 이간 방지 부재41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근접부30이 상기 이간 방지 부재41의 슬릿 안으로 진입하고, 당해 한 쌍의 근접부30이 이간 방지 부재41에 의해 조여지게 된다.
이 때, 이간 방지 부재41의 단부가 상기 근접부30의 노치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상기 이간 방지 부재41의 단부에는 한 쌍의 멈춤쇠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멈춤쇠가 근접부30에 계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들 2점에서 계지되는 것으로, 상기 이간 방지 부재41이 너트체1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7에 도시한 이간방지부재41은, 취착체100(너트체110)의 근접부30에 장착하는 때에, 당해 취착체100(너트체110)이 취착된 볼트체300의 단부로부터 삽통시킬 필요가 있으나, 도11,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이간 방지 부재41은, 일방이 해방되어 있기 때문에, 전부, 볼트체300의 측 방향에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3)
도17은, 실시예3에 따른 취착체1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너트체110으로서 구성되고, 당해 너트체110은, 계합부20, 근접부30 및 개구부70을 가지는 것이다. 이들 구성 요건 중 근접부30 및 개구부70은, 실시예1에서 기술하였으므로,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너트체110은 길이가 긴 계합부20을 구비하고, 이 계합부20의 양단에 각각 한 쌍의 작은 치수의 다른 근접부30을 상호 대칭시켜서 입설한 것이다.
상기 계합부20의 내측에는, 그 전체 길이에 따라 계합 돌기21(홈22)이 돌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계합 돌기21(홈22)이 볼트체의 많은 외면 나사에 계합하기 때문에, 당해 볼트체의 축 방향으로 발생하여 생기는 벗어남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계합부20의 선단에 설치된 근접부30은,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길이가 긴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은, 공구로 용이하게 협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너트체110은, 전술한 실시예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간 방지부40 등을 설치하여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실시예4)
도18은, 실시예4에 따른 취착체100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너트체110으로서 구성되고, 당해 너트체110은, 계합부20과 개구부70과 근접부30과, 당해 근접부30이 이간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간 방지 부재41을 가지는 것이다. 이들의 구성 요건 중 계합부20, 개구부70(미도시), 근접부30과 이간 방지부재41은,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 기술하였기 때문에,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너트체110은 길이가 긴 계합부20을 구비하고, 이 계합부20의 중간 부분에 한 쌍의 근접부30을 상호 대칭시켜서 입설한 것이다. 이 계합부20의 내측에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 계합 돌기21(홈22)이 돌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계합 돌기21(홈22)이 볼트체의 많은 외면 나사와 계합하게 되어, 당해 볼트체의 축방향에 발생하는 벗어남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너트체110은, 근접부30이 계합부20의 길이 방향 중앙의 한 곳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한 곳의 근접부를 조이는 공구P에 의해 조이는 것으로, 계합부20을 그 전체 길이에 따라 소성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기 전의 형상으로 복귀(즉, 근접부30이 확개)하도록 하여도, 서로 근접한 한 쌍의 근접부30이 이간 방지 부재41에서 조여지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근접부30이 다시 확개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근접부30이 형성된 계합부20인 띠 형상 부분(좁은 폭 부분)의 내측에는, 계합 돌기21을 돌설시키지 않아도 좋다(도19 참조). 즉, 도25에서 도시한 계합부의 호 형상 부분(상측 반원 부분)에 계합 돌기21이 돌설되어 있으면, 그 이외의 부분에 계합 돌기21이 돌설되어 있지 않아도, 띠 형상 부분에 따른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켜 협지시키는 것에 의해, 볼트체300에 상기 너트체100을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5)
도19는, 실시예5에 따른 취착체1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취착체100은 너트체110으로서 구성되고, 당해 너트체110은, 계합부20과 개구부70과 근접부30과 슬릿41을 가진다. 이들 구성 요건 중, 계합부20, 개구부70(미도시)과 근접부30은,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 기술하였기 때문에,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너트체110은, 계합부20의 선단 부분에 한 쌍의 근접부30을 서로 대칭시켜서 입설하고, 상기 계합부20의 내측에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 계합 돌기21(홈22)이 돌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계합 돌기21(홈22)이 볼트체의 많은 외면 나사와 계합하게 되어, 당해 볼트체의 축방향에 발생하는 벗어남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너트체110의 배면(즉, 서로 대칭하는 계합부20의 중간 부분)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성 변형시킨 계합부20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실질적으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상기 길이가 긴 계합부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계합부20을 길이가 긴 치수로 형성하는 경우의, 특유한 효과로 여겨진다.
(실시예6)
도3은, 실시예6에 따른 취착체1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이차적 취착체200을 볼트체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 부품으로 구성되고, 당해 고정 부품은, 계합부20과 개구부70과 근접부30과 이차적 취착체200을 보지하는 보지부50을 가진다. 이들 구성 요건 중, 계합부20, 개구부70과 근접부30은, 실시예1 및실시예2에서 기술하였기 때문에,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지부50은, 이차적 취착체200을 보지하는 것으로, 당해 보지부50에서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을 보지한 상태로, 본 실시예에 따른 취착체100(고정 부품)을 볼트체300으로 취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을 상기 볼트체300으로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칭하여 입설된 한 쌍의 계합부20의 사이를 상기 보지부50으로 하고, 당해 보지부50과 볼트체300과의 사이에 이차적 취착체200을 협지시키고, 당해 이차적 취착체200을 상기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당해 이차적 취착체200에서는, 도33(배선·배관재용 수구120) 또는 도36(배선·배관재용 박스1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이차적 취착체에 한 쌍의 관통 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당해 한 쌍의 관통 구멍에 보지부50을 구비한 취착체100(고정 부품)의 계합부20을 각각 삽통시키고, 이들 계합부20을 볼트체300의 외면에 대하여 측 방향에서 붙인 후, 도31 및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킨다. 이 때, 상기 이차적 취착체200의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사이 부분이, 보지부50과 볼트체300과의 사이에 협지되기 때문에, 볼트체300에 대하여 이차적 취착체200을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취착체100(고정 부품)은, 전술한 실시예1 및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22를 병설하는 것에 의해 나각면 형상의 계합 돌기21을 돌설하거나, 혹은, 이간 방지부40 등을 설치하여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하여도 좋다.
(실시예7)
도20은, 실시예7에 따른 취착체1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너트체110으로서 구성되고, 당해 너트체110은, 계합부20과 개구부70과 근접부30을 가진다. 이들 구성 요건 중, 개구부70과 근접부30은, 실시예1에서 기술하였기 때문에,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계합부20은, 외측 부재61과 내측 부재62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부재61은 소성 변형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내측 부재62와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대표되는 가소성 재료로서 형성된다. 상기 외측부재61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를 소성 변형 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외측 부재61이 내측 부재62를 압압하고, 이 내측 부재62를 구성하는 가소성 재료가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을 따라 변형하는 것에 의해 계합 돌기21이 형성되며, 이 계합 돌기21이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한다.
즉, 상기 내측 부재62가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으로 부식되는 것에 의해, 당해 내측 부재62의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과 당접하는 면이,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을 따라 변형한다. 이 때문에, 당해 내측 부재62의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과 당접하는 면에 계합 돌기21이 형성되고, 이 계합 돌기21이 상기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310에 계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 부재62는, 상기 외면 나사310을 따라서 임의로 변형시키는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계합 대상인 볼트체300의 외면 나사가 어느 핀치로 형성된 것이어도, 그 외면 나사310으로 계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취착체100은, 어느 외경으로 형성된 볼트체300에 대하여도, 취착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너트체110은, 전술한 실시예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간 방지부40 등을 설치하여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8)
도29 내지 도30은, 실시예8에 따른 취착체1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취착부10을 구비하는 배선·배관재용 수구120으로서 구성되고, 당해 배선·배관재용 수구120은, 그 취착부10에 계합부20과 개구부70과 근접부30을 가진다. 이들 구성 요건 중, 계합부20, 개구부70, 근접부30 및, 상기 계합부20에 돌설되는 계합 돌기21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7에서 기술하였기 때문에,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배선·배관재용 수구120은,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때에, 취착부10의 계합부20을 상기 볼트체300에 대하여 그 측 방향에서 붙이고, 당해 계합부20을 도25 내지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선·배관재용 수구를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은,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구120에 취착부10을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취착부10에서 볼트체300에 취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배관재용 수구는 이차적 취착체로서, 당해 수구의 측벽에 각각 한 쌍의 관통 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당해 한 쌍의 관통 구멍에 도3에 도시한 취착체100(고정 부품)의 계합부20을 각각 삽통시킨다. 그리고, 이들 계합부20을 볼트체300의 외면에 대하여 측 방향에서 붙인 후, 도31 내지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키고,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이다. 이 때, 이차적 취착체200인 배선·배관재용 수구의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사이 부분이, 보지부50과 볼트체300과의 사이에서 끼워지기 때문에, 당해 배선·배관재용 수구를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구120의 취착부10은, 전술한 실시예1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22를 병설하여 나각면 형상의 계합 돌기21을 돌설하거나, 이간방지부40 등을 설치하여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거나, 혹은, 취착부10의 계합부20을 이중 구조의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된 것에 의해 입설된 지지 볼트에 대하여 취착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건물의 천정으로부터 매달리게 설치한 매달린 볼트에 대하여 취착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9)
도35는, 실시예9에 따른 취착체1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취착체100은, 취착부10을 구비하는 배선·배관재용 박스130으로서 구성되고, 당해 배선·배관재용 박스130은, 그 취착부10에 계합부20과 개구부70과 근접부30을 가진다. 이들 구성 요건 중, 계합부20, 개구부70, 근접부30 및, 상기 계합부20에 돌설되는 계합 돌기21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7에서 기술하였기 때문에,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배선·배관재용 박스130은,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때에, 취착부10의 계합부20을 상기 볼트체300에 대하여 그 측 방향에서 붙이고, 당해 계합부20을 도25 내지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선·배관재용 박스를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은,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에 취착부10을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취착부10에서 볼트체300에 취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배관재용 박스는 이차적 취착체로서, 당해 박스의 저면에 각각 한 쌍의 관통 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당해 한 쌍의 관통 구멍에 도3에 도시한 취착체100(고정 부품)의 계합부20을 각각 삽통시킨다. 그리고, 이들 계합부20을 볼트체300의 외면에 대하여 측 방향에서 붙인 후, 도31 내지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킨다. 이 때, 이차적 취착체200인 배선·배관재용 박스의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사이 부분이, 보지부50과 볼트체300과의 사이에서 끼워지기 때문에, 당해 배선·배관재용 박스를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130의 취착부10은, 전술한 실시예1 내지 4에서설명한 바와 같이, 홈22를 병설하여 나각면 형상의 계합 돌기21을 돌설하거나, 이간방지부40 등을 설치하여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거나, 혹은, 취착부10의 계합부20을 이중 구조의 것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10)
도37 내지 도38은, 실시예10에 따른 취착체1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수구120의 매달린 금속 부품140으로서 구성되고, 당해 수구120의 매달린 금속 부품140은, 그 취착부10에 계합부20과 개구부70과 근접부30을 가진다. 이들 구성 요건 중, 계합부20, 개구부70, 근접부30 및, 상기 계합부20에 돌설되는 계합 돌기21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7에서 기술하였기 때문에,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매달린 금속 부품140은,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에 취착부10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들 양 취착부10 중, 볼트체300과 접속되는 측의 취착부10은, 선단에 한 쌍의 근접부30이 설치된 계합부20을 구비하고, 그 계합부20에는 계합 돌기21이 돌설되어 있다.
한편, 수구120과 접속되는 측의 취착부10은 계합 돌기21을 구비하지 않고, 선단에 한 쌍의 근접부30이 설치된, 소성 변형 가능한 계합부20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당해 매달린 금속 부품140에서 수구120을 볼트체300으로 접속하는 때에는, 도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취착부10에 볼트체300 또는 수구120을구성하는 금속 선재를 측 방향에서 진입시킨 후, 각각의 계합부20을, 도25 및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300 및 상기 금속 선재로의 취착이 완료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130의 취착부10은, 전술한 실시예1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22를 병설하여 나각면 형상의 계합 돌기21을 돌설하거나, 이간방지부40 등을 설치하여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거나, 혹은, 취착부10의 계합부20을 이중 구조의 것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11)
도39 내지 도40은, 실시예11에 따른 취착체1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본 실시예의 취착체100은, 취착부10을 구비하는 받침대150으로 구성되고, 당해 받침대150은, 그 취착부10에 계합부20과 개구부70과 근접부30을 가진다. 이들 구성 요건 중, 계합부20, 개구부70, 근접부30 및, 상기 계합부20에 돌설되는 계합 돌기21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7에서 기술하였기 때문에,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받침대150은, 취착 대상물인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때에, 취착부10의 계합부20을 상기 볼트체300에 대하여 그 측 방향에서 붙이고, 당해 계합부20을 도25 내지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대150를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은, 도39에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에 취착부10을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취착부10에서 볼트체300에 취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는 이차적 취착체로서, 당해 플레이트 면상에 각각 한 쌍의 관통 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당해 한 쌍의 관통 구멍에 도3에 도시한 취착체100(고정 부품)의 계합부20을 각각 삽통시킨다. 그리고, 이들 계합부20을 볼트체300의 외면에 대하여 측 방향에서 붙인 후, 도31 내지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킨다. 이 때, 이차적 취착체200인 상기 받침대의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사이 부분이, 보지부50과 볼트체300과의 사이에서 끼워지기 때문에, 당해 배선·배관재용 박스를 볼트체300에 취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130의 취착부10은, 전술한 실시예1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22를 병설하여 나각면 형상의 계합 돌기21을 돌설하거나, 이간방지부40 등을 설치하여 이간 방지 작용을 발생시키거나, 혹은, 취착부10의 계합부20을 이중 구조의 것으로 하여도 좋다.

Claims (28)

  1. 볼트체에 대하여, 볼트체의 측 방향에서 취착하는 취착체로서,
    상기 취착체에는,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를 구비한 계합부와, 상기 계합부 내에 상기 볼트체를 진입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계합부로부터 선단측에 설치된 근접부를 가지는 취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취착부의 개구부로부터 볼트체를 진입시킨 후, 상기 근접부를 상대적으로 근접시키기 위해 상기 계합부를 소성 변형시키며, 당해 계합부를 상기 볼트체의 외면을 따라 배치시키고, 상기 계합 돌기를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취착체를 상기 볼트체에 취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근접부를 공구로 파지하여 조이는 것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부가 서로 밀접하게 만날 때까지, 상기 계합부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 돌기와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가 계합하고, 상기 볼트체로의 취착이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착체를 볼트체의 측 방향에서 붙이고, 계합부에 돌설된 계합 돌기를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시키며,
    상기 계합부의 선단에 설치된 근접부가 서로 거의 밀접할 때까지 상기 계합부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 돌기와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가 계합하고, 상기 볼트체로의 취착이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착체는, 상기 볼트체에 취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당해 볼트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계합부의 계합 돌기를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돌기는, 취착체가 취착되는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하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취착체가, 상기 볼트체에 취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그 반개구측의 부분을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양측에는, 상기 볼트체의 직경 치수와 같은 폭의 공간을 두고 대칭하도록, 상기 계합부를 단면이 コ자형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그 반개구부 측의 부분을 상기 볼트체의 외면과 밀접 가능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양측에는, 상기 볼트체의 직경 치수와 동일한 폭의 공간을 두고 대칭하도록, 상기 계합부를 단면이 U자형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를 소성 변형시켜서 상호 근접한 근접부가 이간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간 방지부, 또는 이간 방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 방지부는 상기 근접부와 일체가 되도록 설치하고, 이 근접부가 서로 밀접하게 만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간 방지부가 상호 봉지되며, 상기 근접부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취착체는, 별도 부재로서 구성되는 이간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 이간 방지 부재는, 일방이 개방된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개구로부터 상기 취착체가 취착된 볼트체를 진입시킨 후에 상기 취착체의 계합부 또는 근접부를 봉지하고, 상기 근접부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착체는 보지부를 구비하고, 이 보지부는, 볼트체에 설치된 이차적 취착체를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적 취착체를 보지하는 상기 보지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당접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착체는 피보지부를 구비하고, 이 피보지부에는, 이차적 취착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에 취착되는 취착체는, 배선·배관재용 수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에 취착되는 취착체는, 배선·배관재용 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17.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에 취착되는 취착체는, 수구의 매달린 금속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18. 볼트체에 대하여, 상기 볼트체의 측면으로부터 나착하는 너트체로서,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를 구비한 계합부와,
    상기 계합부 내에 상기 볼트체를 진입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볼트체를 진입시킨 후, 상기 근접부를 상대적으로 근접시키기 위해 상기 계합부를 소성 변형시키고, 상기 계합부를 상기 볼트체의 외면을 따라 배치시키며, 상기 계합 돌기를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의 측면에서 나착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근접부를 공구로 파지하여 조이는 것에 의해 소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부가 서로 밀접하게 만날 때까지, 상기 계합부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 돌기와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가 계합하고, 상기 볼트체로의 취착이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체를 볼트체의 측 방향에서 붙이고, 계합부에 돌설된 계합 돌기를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시키고,
    상기 계합부의 선단에 설치된 근접부가 서로 밀접하게 만날 때까지 상기 계합부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로의 취착이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체는, 상기 볼트체에 취착된 상태로 상기 볼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볼트체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계합부의 계합 돌기를 상기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나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돌기는, 너트체가 취착되는 볼트체의 외면 나사에 계합하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체는, 상기 볼트체에 취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당해 볼트체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
  24.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그 반개구측의 부분을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양측에는, 상기 볼트체의 직경 치수와 동일한 폭의 공간을 두고 대칭하도록, 상기 계합부를 단면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25.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그 반개구측의 부분을 상기 볼트체의 외면과 밀접 가능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양측에는, 상기 볼트체의 직경 치수와 동일한 폭의 공간을 두고 대칭하도록, 상기 계합부를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26.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를 소성 변형시키고 상호 근접한 근접부가 이간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간방지부, 또는 이간 방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방지부는 상기 근접부와 일체가 되도록 설치하고, 이 근접부가 서로 밀접하게 만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간방지부가 서로 봉지되고, 상기 근접부의 열림 방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체는, 별도 부재로서 구성된 이간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이 이간방지부재는, 일방이 개방된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로부터 상기 너트체가 취착된 볼트체를 진입시킨 후에 상기 너트체의 계합부 또는 근접부를 봉지하고, 상기 근접부의 열림 방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
KR10-2004-7007391A 2001-11-15 2002-11-15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및 너트체 KR200400533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50395 2001-11-15
JPJP-P-2001-00350395 2001-11-15
PCT/JP2002/011983 WO2003042556A1 (fr) 2001-11-15 2002-11-15 Corps de montage a fixer sur un corps de boulon et corps d'ecro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316A true KR20040053316A (ko) 2004-06-23

Family

ID=1916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391A KR20040053316A (ko) 2001-11-15 2002-11-15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및 너트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58519B2 (ko)
EP (1) EP1445499A4 (ko)
JP (1) JP4258019B2 (ko)
KR (1) KR20040053316A (ko)
CN (1) CN100400903C (ko)
TW (1) TW580540B (ko)
WO (1) WO2003042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0435A1 (en) * 2005-02-14 2009-08-13 Duggan Daniel C Hanger rod stiffening clip
US7819364B2 (en) * 2005-02-14 2010-10-26 Duggan Daniel C Hanger rod stiffening clip
JP4634882B2 (ja) * 2005-07-19 2011-02-16 未来工業株式会社 長尺材支持具
JP4732818B2 (ja) * 2005-07-19 2011-07-27 未来工業株式会社 長尺材支持具
JP4552199B2 (ja) * 2005-09-30 2010-09-29 未来工業株式会社 ナット体開き防止具
JP4685578B2 (ja) * 2005-09-30 2011-05-18 未来工業株式会社 ナット体、取着体、近接具
JP4616745B2 (ja) * 2005-09-30 2011-01-19 未来工業株式会社 取着具
US8480341B2 (en) * 2008-03-05 2013-07-0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Nut retainer cage
US8056740B2 (en) * 2008-05-27 2011-11-15 Target Brands, Inc. Product display assembly and tester security apparatus
US8205309B2 (en) * 2008-12-08 2012-06-26 The Boeing Company Clamps for supporting transport system structures
JP2011196463A (ja) * 2010-03-19 2011-10-06 Takahashi Techno:Kk 締結具
FI20125937A (fi) * 2012-09-10 2014-03-11 Serres Oy Järjestely ja menetelmä rakenneosan kannattamiseksi
US9303738B1 (en) * 2013-12-31 2016-04-05 James Bombardo Arrangement and method for guiding a load in a linear movement
GB2531422B (en) * 2014-09-10 2018-10-03 Gripple Ltd Stiffening assembly
US9441656B2 (en) 2014-10-22 2016-09-13 Vibration & Seismic Technologies, LLC Strut and clip assembly for stiffening a hanger rod
TWI553237B (zh) * 2015-08-21 2016-10-11 yu-hong Guo Loose hole sets
KR101862929B1 (ko) * 2016-09-23 2018-05-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튜브 분리 가이더
US11087042B1 (en) 2017-06-30 2021-08-10 Wells Fargo Bank, N.A. Generation of a simulation plan and performance of a simulation based on the plan
JP2019058006A (ja) * 2017-09-21 2019-04-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線結束部材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CN108662002B (zh) * 2018-03-15 2020-07-03 福建工程学院 一种装配式螺母
CN110345908A (zh) * 2019-07-18 2019-10-18 北京城建勘测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角钢快速尺夹
US20210190123A1 (en) * 2019-12-23 2021-06-2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Hinged retainer assembly
DE102020116248A1 (de) 2020-06-19 2021-12-23 Leoni Kabel Gmbh Druckmutter für Kabel- oder Schlauchverbindungen
NL2027909B1 (en) 2021-04-01 2022-10-17 Erik Daniel Siepermann Cable clip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4023A (en) * 1951-11-30 1953-12-29 Mugford Ronald Snap-on split nut
US2931264A (en) * 1956-02-10 1960-04-05 Gen Dynamics Corp Threaded nut adapted to be laterally applied to bolt and subsequently constricted toengagement with bolt threads
US3006231A (en) * 1957-01-28 1961-10-31 Gen Am Transport Sheet metal lanced nut having alternately offset straps
US3815434A (en) * 1972-07-26 1974-06-11 Jackson G Quick action nut assembly for screw type jacks
JPS5079860A (ko) 1973-11-19 1975-06-28
JPS5214845Y2 (ko) * 1973-11-27 1977-04-04
US4226164A (en) * 1979-01-10 1980-10-07 Carter Alton L Split threaded coupling nut
DE3127521A1 (de) * 1981-07-11 1983-01-27 Horst 3006 Burgwedel Warkotsch "schnellspannmutter"
JPS5977608A (ja) 1982-10-27 1984-05-04 Hitachi Ltd 記録タイミング補正
JPS5970960U (ja) * 1982-11-01 1984-05-14 日立建機株式会社 クロ−ラ車両の走行駆動装置
JPS5977608U (ja) * 1982-11-17 1984-05-25 西島 正人 筒状雌ねじ体
US5024404A (en) * 1987-10-19 1991-06-18 Ballard Estus E Pipe clamp for overhead sprinkler heads and the like
JPH0167272U (ko) * 1987-10-24 1989-04-28
JPH02256908A (ja) * 1989-02-27 1990-10-17 Kato Shoten:Kk 分割ナット
JPH078895Y2 (ja) * 1989-03-15 1995-03-06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長尺部材用支持具
GB2239481B (en) * 1989-12-28 1993-09-15 Inaba Denki Sangyo Kk Nut,and a device using the nut for clamping and supporting elongate objects
JPH0768686B2 (ja) 1990-03-12 1995-07-26 日本サミコン株式会社 アーチ形シェルター
JPH04113007A (ja) * 1990-08-30 1992-04-14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接続器具
JPH0573308U (ja) * 1992-03-11 1993-10-08 株式会社アカギ ナット
JPH07286516A (ja) * 1994-04-20 1995-10-31 Sango Co Ltd 排気管用遮熱板の取付構造
CN2216167Y (zh) * 1995-03-13 1995-12-27 本钢复合材料配件厂 渣罐车组合螺母
JPH10145935A (ja) * 1996-11-06 1998-05-29 Nichidou Denko Kk 配線用ボックスの固定棒への取付装置
JPH10145937A (ja) * 1996-11-06 1998-05-29 Nichidou Denko Kk 配線用ボックス
JP3938615B2 (ja) * 1997-06-24 2007-06-27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押し込み式ナット
GB9718247D0 (en) * 1997-08-28 1997-11-05 Phillips Raymond J Support device
US5927920A (en) * 1997-11-05 1999-07-27 Penn Engineering & Manufacturing Progressively-formed threaded insert
DE19843218A1 (de) * 1998-09-22 2000-03-23 Fischer Artur Werke Gmbh Schnellverstellmutter
JP3043726B1 (ja) * 1998-11-19 2000-05-22 可陽工業株式会社 ナット具
CZ20012923A3 (cs) * 1999-02-16 2002-06-12 Atoma International Corp. Upevňovací svěrka pro montáľ závory dveří u vozidla
JP2001012670A (ja) * 1999-07-02 2001-01-16 Togo Seisakusho Corp ホースクランプ
JP2001154816A (ja) 1999-12-01 2001-06-08 Seiko Epson Corp ステータス情報印刷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印刷装置、印刷制御装置、ステータス情報印刷方法およびステータス情報印刷システム
JP2001314012A (ja) * 2000-02-21 2001-11-09 Inoac Corp 車両用電線保持部材
DE10052448A1 (de) * 2000-10-23 2002-05-02 Hilti Ag Befestigungselement
US6625851B1 (en) * 2000-10-31 2003-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stening system having vertical and horizontal engagement
JP2002339918A (ja) * 2001-05-17 2002-11-27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吊りボルト振れ止め金具
USD482956S1 (en) * 2003-01-22 2003-12-02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Split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5499A1 (en) 2004-08-11
US7258519B2 (en) 2007-08-21
JPWO2003042556A1 (ja) 2005-03-10
CN100400903C (zh) 2008-07-09
EP1445499A4 (en) 2005-10-05
JP4258019B2 (ja) 2009-04-30
US20050002757A1 (en) 2005-01-06
TW200300200A (en) 2003-05-16
CN1589374A (zh) 2005-03-02
TW580540B (en) 2004-03-21
WO2003042556A1 (fr)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3316A (ko) 볼트체에 대한 취착체 및 너트체
JP4945019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
JP4543413B2 (ja) 取付体固定具、取付体固定具装置、及び、取付体
KR101885713B1 (ko) 전선관과 배선박스의 연결장치
US3783176A (en) 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conduit and enclosure, and method
JP2005214415A (ja) 急速締結ナット
JP4927641B2 (ja) 配線・配管材の固定装置及び固定方法
JP5086892B2 (ja) クロスクリップ
EP2156083B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KR100220998B1 (ko) 구조물의 부착물 부착장치
JP7142876B2 (ja) フランジ補強治具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3803909B2 (ja) 線材固定金具
JP3246087U (ja) 固定具
JP3207104U (ja) 落下防止機能を備えた配管支持具
JP6747678B2 (ja) 接合部補強構造
JP4172044B2 (ja) 線材固定金具
JP7123325B2 (ja) 接合部補強構造
JP6910612B2 (ja) 接合部補強構造
KR20190013271A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JPH10231969A (ja) 配管フランジ接続構造
JP4423649B2 (ja) 線材連結金具
JP2024076507A (ja) 固定具
JP7085945B2 (ja) シース接続口成形用挿入具及び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形成方法
JPH0358023B2 (ko)
KR100392992B1 (ko) 찬넬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