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474A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474A
KR20040052474A KR10-2003-7009915A KR20037009915A KR20040052474A KR 20040052474 A KR20040052474 A KR 20040052474A KR 20037009915 A KR20037009915 A KR 20037009915A KR 20040052474 A KR20040052474 A KR 20040052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losed state
state
portable termi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443B1 (ko
Inventor
타니나이미노루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4005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05D3/02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allowing an additional lateral movement, e.g. for 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6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 E05Y2900/6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for electron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Abstract

소형화를 확보한 다음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조작부를 구비한 제1 하우징의 일단부와 표시부를 구비한 제2 하우징의 일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이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포개어져 조작부가 구비된 조작부면과 표시부가 구비된 표시부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한 폐색 상태로부터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고, 표시부면과 조작부면이 소정의 각도를 갖고 전개한 전개 상태가 형성되고, 힌지부는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경사각 변경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PORTABLE TERMINAL}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발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 예를 들어 휴대 무선 전화기가 보급되고 있다. 휴대 무선 전화기에는 마이크부를 갖는 제1 하우징과 스피커부를 갖는 제2 하우징이 힌지 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타입인 것이 있지만, 이와 같은 타입의 휴대 무선 전화기로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힌지 축의 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포개어진 폐색 상태에 있어서 마이크부와 스피커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도38 및 도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 무선 전화기(a) 로서는, 마이크부(b)를 갖는 제1 하우징(c)과 스피커부(d)를 갖는 제2 하우징(e)이 힌지 축(f)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하우징(c)과 제2 하우징(e)이 두께 방향에 있어서 포개어진 폐색 상태(도39 참조)로부터 제2 하우징(e)이 제1 하우징(c)에 대해 회전되어 전개 상태(도38 참조)가 되어 통화 가능하게 되어 있다.
휴대 무선 전화기(a)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c)의 제2 하우징(e)과 포개어지는 측의 면에 복수의 조작키를 갖는 주조작부(g)가 설치되고, 제2 하우징(e)의 제1 하우징(c)과 포개어지는 측과 반대측의 면에 표시부(h)와 부조작부(i)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무선 전화기(a)에 있어서는 제2 하우징(e)의 제1 하우징(c)과 포개어지는 측과 반대측의 면에 부조작부(i)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개 상태 및 폐색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어서도 부조작부(i)를 조작하여 소정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휴대 무선 전화기(a)를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서, 상기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c)에 상당하는 조작부 하우징과 제2 하우징(e)에 상당하는 표시부 하우징이 소정의 각도(θ; 180°이하)가 되도록 한 개폐형 휴대 정보 단말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7-28886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2-158758호 공보(제3 페이지, 도2 및 도6).
그런데, 상기한 휴대 무선 전화기(a;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c)과 제2 하우징(e)이 대략 직선형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어 통화자가 통화를 행할 때의 얼굴의 외형에 따르지 않으므로, 마이크부(b)를 입에 가까이 대면 스피커부(d)가 귀로부터 떨어져 버리고(도40 참조), 반대로 스피커부(d)를 귀에 가까이 대면 마이크부(b)가 입으로부터 떨어져 버려(도41 참조), 어떠한경우에도 사용 편의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도42 및 도43에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a')와 같이, 제1 하우징(c)의 마이크부(b)가 설치된 부분을 돌출시켜 돌기부(j)를 설치하여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돌기부(j)를 설치하는 만큼 제1 하우징(c)의 길이가 길어져 버려 휴대 무선 전화기(a')가 대형화되어 버리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또한, 이 대형화의 문제는 제1 하우징(c)의 마이크부(b)가 설치된 부분을 돌출시키는 것은 아니며, 제2 하우징(e)의 스피커부(d)가 설치된 부분을 돌출시킨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한편,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도44에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a")와 같이 제1 하우징(c)에 대해 제2 하우징(e)이 경사지도록 힌지 축(f)을 제1 하우징(c)에 대해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이 경우에는 제2 하우징(e)을 경사시키는 만큼, 힌지 축(f)을 길게 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제1 하우징(c)과 제2 하우징(e) 사이에 큰 간극이 생겨 힌지 축(f)에 큰 부하가 쉽게 가해지는 동시에 휴대 무선 전화기(a")의 전체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이에 대해, 상술한 개폐형 휴대 정보 단말(특허 문헌 2)에 있어서는, 스피커가 설치된 표시부 하우징의 단부와 마이크로폰이 설치된 조작부 하우징의 단부가 회전 기구로서의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표시부 하우징과 조작부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 하우징과 조작부 하우징이 소정의 각도(θ; 180°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통화 시에 사용자의 귀, 입이 각각 스피커, 마이크로폰에 가까워져 사용 편의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개폐형 휴대 정보 단말은 표시부 하우징과 조작부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 하우징과 조작부 하우징이 소정의 각도(θ; 180°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표시부 하우징에 대해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연결 부재에 대해 과도한 부하가 걸려 쉽게 파손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부를 갖는 제1 하우징과 스피커부를 갖는 제2 하우징이 힌지 축을 거쳐서 상기 힌지 축의 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에 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휴대 단말 장치의 개념을 도시하기 위한 개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개념을 도시하기 위한 폐색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도4 내지 도24와 함께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본 도면은 전개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4는 제2 하우징이 회전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5는 폐색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6은 전개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7은 폐색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8은 제1 하우징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9는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제1 하우징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10은 제2 하우징의 확대 바닥면도이다.
도11은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제2 하우징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12는 휴대 무선 전화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제1 하우징의 오목부와 제2 하우징의 돌기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14는 도15 내지 도18과 함께 회전 지지 기구를 도시한 것이고, 본 도면은 확대 사시도이다.
도15는 확대 바닥면도이다.
도16은 회전 지지 기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선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7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연결된 상태에서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18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19는 도20 및 도21과 함께 회전 지지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본 도면은 확대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9와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21은 확대 측면도이다.
도22는 도23 및 도24와 함께 다른 회전 지지 기구를 도시한 것이고, 본 도면은 확대 사시도이다.
도23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연결된 상태에서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24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25는 도26 및 도27과 함께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본 도면은 전개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26은 전개 상태에 있는 휴대 무선 전화기의 일부를 도25와는 다른 각도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27은 폐색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정면도이다.
도28은 도29 내지 도33과 함께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본 도면은 전개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29는 전개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30은 폐색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31은 폐색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32는 도33과 함께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본 도면은 전개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33은 폐색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34는 도35 내지 도37과 함께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본 도면은 전개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35는 전개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36은 폐색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37은 폐색 상태를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38은 도39와 함께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본 도면은 전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9는 폐색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0은 도41과 함께 종래의 휴대 무선 전화기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나타낸 것이고, 본 도면은 제1 하우징이 귀로부터 떨어져 버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1은 제2 하우징이 입으로부터 떨어져 버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2는 도43과 함께 다른 종래의 휴대 무선 전화기를 도시한 것이고, 본 도면은 전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3은 폐색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4는 종래의 문제점 중 하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소형화를 확보하는 동시에 부하에 의한 파손의 미연 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작부를 구비한 제1 하우징의 일단부와 표시부를 구비한 제2 하우징의 일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이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포개어져 조작부가 구비된 조작부면과 표시부가 구비된 표시부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한 폐색 상태로부터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고, 표시부면과 조작부면이 소정의 각도를 갖고 전개한 전개 상태가 형성되고, 힌지부는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경사각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힌지부를 거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틸팅한 전개 상태를 형성하였을 때에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대해 부하가 가해진 경우라도 경사각 변경 수단에 의해 상기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하에 의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대해,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또한, 이하에 도시한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휴대 무선 전화기에 적용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도1 및 도2 참조).
휴대 무선 전화기(1)는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이 힌지 축(4)을 거쳐서 그 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제1 하우징(2)의 한 쪽 면(2a)의 타단부에는 마이크부(5)가 설치되고, 한 쪽 면(2a)의 일단부에는 배치 오목부(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3)의 한 쪽 면(3a)의 타단부에는 스피커부(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은 각 일단부가 힌지 축(4)을 거쳐서 연결되고, 상기 힌지 축(4)이 제1 하우징(2)에 대해 항상 경사진 상태가 되어 있다.
휴대 무선 전화기(1)를 이용하여 통화를 행하지 않을 때에는 제1 하우징(2)의 한 쪽 면(2a)이 제2 하우징(3)에 의해 덮여져 있어 폐색 상태가 되어 있다(도2참조). 폐색 상태에 있어서는, 제2 하우징(3)은 한 쪽 면(3a)의 반대 면인 다른 쪽 면(3b)이 제1 하우징(2)의 한 쪽 면(2a)에 접촉한 상태 또는 근접한 상태가 되어 있다.
휴대 무선 전화기(1)를 이용하여 통화를 행할 때에는 제1 하우징(2) 또는 제2 하우징(3)을 제2 하우징(3) 또는 제1 하우징(2)에 대해 힌지 축(4)의 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개 상태로 한다(도1 참조). 제2 하우징(3)은 힌지 축(4)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3)의 일단부가 제1 하우징(2)의 배치 오목부(6)에 배치된 상태가 되어 제1 하우징(2)에 대해 제2 하우징(3)이 경사진다.
따라서,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2)의 마이크부(5)와 힌지 축(4)을 연결하는 제1 결합선(L1)이 제2 하우징(3)의 스피커부(7)와 힌지 축(4)을 연결하는 제2 결합선(L2)에 대해 180°미만의 소정 각도(θ)로 설정된다(도1 참조).
이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2)에 대해 제2 하우징(3)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짐으로써, 휴대 무선 전화기(1)는 통화자가 통화를 행할 때의 얼굴의 외형에 따르는 형상이 되어 마이크부(5)를 통화자의 입에 접근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피커부(7)를 통화자의 귀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통화시의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2)의 마이크부(5)가 설치된 부분 또는 제2 하우징(3)의 스피커부(7)가 설치된 부분을 돌출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2)의 한 쪽 면(2a)에 제2 하우징(3)의 다른 쪽 면(3b)이 접촉한 상태 또는근접한 상태가 되므로, 휴대 무선 전화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합한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도3 내지 도24 참조).
휴대 무선 전화기(10)는 제1 하우징(11)의 일단부와 제2 하우징(12)의 일단부가 힌지 축(13)의 축방향에 있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 축(13)을 거쳐서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도3 내지 도7 참조).
제1 하우징(11)의 한 쪽 면(11a)의 타단부에는 마이크부(14)가 설치되고, 한 쪽 면(11a)의 일단부에는 대략 구면형을 이루는 얕은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11)의 한 쪽 면(11a)에는 조작 키(16, 16, …)가 규칙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조작 키(16, 16, …)에 의해 주조작부(17)가 구성된다.
제1 하우징(11)의 한 쪽 면(11a)에는 돌기(18, 18, …)가 서로 이격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하우징(11)의 일단부는 한 쪽 면(11a)이 마이크부(14)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한 쪽 면(11a)의 반대측 면인 다른 쪽 면(11b)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사면(11c)으로서 형성되어 있다(도6 내지 도9 참조). 상기 오목부(15)는 경사면(11c)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11)의 경사면(11c)에는 피지지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도9 참조).
제2 하우징(12)의 한 쪽 면(12a) 타단부에는 스피커부(20)가 설치되어 있다(도3 내지 도7, 도11 참조). 제2 하우징(12)의 한 쪽 면(12a)의 일단부에는 키(21, 21, 21)가 배치되고, 상기 키(21, 21, 21)에 의해 부조작부(22)가 구성된다. 제2 하우징(12)의 한 쪽 면(12a)에는 스피커부(20)와 부조작부(22) 사이에 액정 모니터로 이루어지는 표시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하우징(12)의 한 쪽 면(12a)의 반대측 면인 다른 쪽 면(12b)의 일단부에는 대략 구면형을 이루는 돌출량이 작은 돌기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하우징(12)의 일단부는 다른 쪽 면(12b)이 스피커부(20)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한 쪽 면(12a)에 근접하는 경사면(12c)으로서 형성되고, 끝이 뾰족해진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12)의 경사면(12c)에는 피지지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도11 참조).
제1 하우징(11)의 일단부와 제2 하우징(12)의 일단부는 각각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8 및 도10 참조).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은 상기 제2 하우징(12)의 일단부가 제1 하우징(11)의 일단부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힌지 축(13)을 거쳐서 연결되고, 제1 하우징(11)의 경사면(11c)과 제2 하우징(12)의 경사면(12c)이 근접한 상태, 예를 들어 약 1 ㎜의 간격(M)이 형성된 상태가 되어 있다(도7 참조). 따라서, 제1 하우징(11)에 형성된 오목부(15)에 제2 하우징(12)에 설치된 돌기부(24)가 근접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에 대해 제2 하우징(12)이 회전된다.
힌지 축(13)은 제1 하우징(11)의 경사면(11c)과 제2 하우징(12)의경사면(12c)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6 및 도7 참조).
휴대 무선 전화기(10)를 이용하여 통화를 행하지 않을 때에는 제1 하우징(11)의 한 쪽 면(11a)이 제2 하우징(12)에 의해 씌워져 있어 폐색 상태가 되어 있다(도5 및 도7 참조). 폐색 상태에 있어서는, 제2 하우징(12)은 다른 쪽 면(12b)이 제1 하우징(11)에 설치된 돌기(18, 18, …) 상에 적재된 상태가 되고, 다른 쪽 면(12b)이 한 쪽 면(11a)과 약간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7 참조). 따라서, 제2 하우징(12)에 대해 제1 하우징(11)측을 향하는 외력이 부여된 경우라도 제1 하우징(11)에 배치된 조작 키(16, 16, …)가 제1 하우징(11)에 의해 압박되어 버리는 일 없이 조작 키(16, 16, …)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한 폐색 상태에 있어서는 제2 하우징(12)에 배치된 키(21, 21, 21)에 대해 표시부(23)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휴대 무선 전화기(10)를 이용하여 통화를 행할 때에는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을 제2 하우징(12) 또는 제1 하우징(11)에 대해 힌지 축(13)의 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여(도4 참조) 전개 상태로 한다(도3 및 도6 참조).
상기와 같이, 제1 하우징(11)의 경사면(11c)과 제2 하우징(12)의 경사면(12c)이 근접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에 대해 제2 하우징(12)이 소정의 각도를 갖고 경사지고, 제1 하우징(11)의 마이크부(14)와 힌지 축(13)을 연결하는 제1 결합선(L1)이 제2 하우징(12)의 스피커부(20)와 힌지 축(13)을 연결하는 제2 결합선(L2)에 대해 180°미만의 소정 각도로 설정된다(도6 참조).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이루는 각도(θ)로서는, 통화자가 통화를 행할 때의 얼굴의 외형에 따르는 형상을 고려하면 135°내지 17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상태에 있어서도 제2 하우징(12)에 배치된 키(21, 21, 21)에 대해 소정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에 대해 제2 하우징(12)이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짐으로써, 휴대 무선 전화기(10)의 통화자가 통화를 행할 때의 얼굴의 외형에 따르는 형상이 되어 마이크부(14)를 통화자의 입에 접근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피커부(20)를 통화자의 귀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통화시의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도12 참조).
또한, 제1 하우징(11)의 마이크부(14)가 설치된 부분 또는 제2 하우징(12)의 스피커부(20)가 설치된 부분을 돌출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의 한 쪽 면(11a)에 제2 하우징(12)의 다른 쪽 면(12b)이 근접한 상태가 되므로, 휴대 무선 전화기(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무선 전화기(10)에 있어서는 제2 하우징(12)의 타단부가 끝이 뾰족해진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의 한 쪽 면(11a)과 제2 하우징(12)의 한 쪽 면(12a)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고(도6의 화살표 S 참조), 제1 하우징(11)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한 손의 손가락을 한 쪽 면(2a)으로부터 한 쪽 면(3a)을 향해 미끄러지도록 하여 키(21, 21, 21)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이 제2 하우징(12) 또는 제1 하우징(11)에 대해 회전될 때에는, 제2 하우징(12)이 제1 하우징(11)에 대해 경사진 전개 상태와 제2 하우징(12)이 제1 하우징(11)에 수평하게 포개어지는 폐색 상태 사이를 제1 하우징(11)에 대해 회전된다. 따라서, 제2 하우징(12)은 제1 하우징(11)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회전 지지점(P)으로부터 제2 하우징(12)의 경사면(12c)까지의 거리 중 최대의 거리에 있는 점(Q; 도13 참조)의 이동 궤적(Qm)이 제1 하우징(11)의 한 쪽 면(11a)의 수평면에 포개어지면,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간섭하여 회전할 수 없다.
그래서, 휴대 무선 전화기(10)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의 일단부에 오목부(15)를 형성하고, 제2 하우징(12)의 일단부에 돌기부(24)를 설치하여 회전 시에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과의 간섭의 방지에 의해, 양자 사이의 원활한 회전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폐색 상태에 있어서 한 쪽 면(11a)과 다른 쪽 면(12b)을 크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휴대 무선 전화기(10)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에는 제1 하우징(11)에 오목부(15)를 형성하여 제2 하우징(12)에 돌기부(24)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대로 제1 하우징(11)에 돌기부를 설치하고, 제2 하우징(12)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회전시의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는 제1 하우징(11)에 돌기(18, 18, …)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주조작부(17)의 조작 키(16, 16, …)의 피조작면을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한 쪽 면(11a)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하면, 특별히 돌기(18, 18, …)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의 한 쪽 면(11a)과 제2 하우징(12)의 다른 쪽 면(12b)의 간극을 없앨 수 있어, 휴대 무선 전화기(10)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힌지축(13)을 갖는 회전 지지 기구(26)에 대해 설명한다(도14 내지 도18 참조).
회전 지지 기구(26)는 제1 하우징(11)에 부착되는 경사각 변경 부재(27)와, 제2 하우징(12)에 부착되어 경사각 변경 부재(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힌지 축(13)으로 이루어진다.
경사각 변경 부재(27)는 스프링성을 갖는 판형의 금속 재료가 가공되어 형성되고, 베이스부(28)와 피부착 부재(29, 29)와 지지 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베이스부(28)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이루는 상기 경사 각도(θ)와 대략 동일한 각도로 절곡되고, 피부착 부재(29, 29)는 베이스부(28)의 일단부 모서리의 폭방향으로 이격한 위치로부터 돌출되고, 지지 부재(30)는 베이스부(28)의 타단부 모서리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피부착 부재(29, 29)와 동일한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부착 부재(29, 29)에는 각각 나사 삽통구멍(29a, 29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30)에는 도시하지 않은 축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 축(13)은 축부(31)와 상기 축부(3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판형으로 형성된 피부착 부재(32)로 이루어진다. 축부(31)의 일단부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빠짐 방지 돌기부(31a)가 설치되어 있다. 피부착 부재(32)에는 그 양단부에 나사 삽통 구멍(32a, 32a)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 축(13)은 축부(31)가 경사각 변경 부재(27)의 지지 부재(30)의 축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경사각 변경 부재(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경사각 변경 부재(27)의 피부착 부재(29, 29)는 제1 하우징(11)에 부착된다. 피부착 부재(29, 29)의 제1 하우징(11)에의 부착은 도시하지 않은 부착 나사가 나사 삽통 구멍(29a, 29a)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1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에는 경사면(11c)과 반대의 내주측에 제1 보스(11P)가 그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보스(11P)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2 보스(11Q)가 다른 쪽 면(11b)의 내주측에도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보스(11P) 및 제2 보스(11Q) 사이에, 제1 하우징(11)에 미리 부착 고정되어 있는 금속제의 플레이트(11S)를 협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보스(11Q)의 삽통 구멍과, 플레이트(11S)의 관통 구멍과, 피부착 부재(29, 29)의 나사 삽통 구멍(29a, 29a)에 부착 나사(11R)가 삽통되고, 경사각 변경 부재(27)의 피부착 부재(29, 29)가 제1 보스(11P)에 대해 상기 부착 나사(11R)에 의해 나사 고정된다.
이에 의해 회전 지지 기구(26)의 경사각 변경 부재(27)는 피부착 부재(29, 29)가 플레이트(11S)를 거쳐서 제1 하우징(11)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피부착 부재(29, 29)가 제1 하우징(11)과 일체가 되어 고정되는 한편, 지지 부재(30)에 대해서는 제1 하우징(11)의 경사면(11c)의 반대측의 면에 접촉만 된 상태가 된다.
또한, 금속제의 플레이트(11S)를 거쳐서 경사각 변경 부재(27)의 피부착 부재(29, 29)를 제1 하우징(11)에 부착함으로써, 제1 하우징(11)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11)에 대해 외부로부터 어떠한 부하가 가해진 경우라도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힌지 축(13)의 피부착 부재(32)는 제2 하우징(12)에 부착된다. 피부착 부재(32)의 제2 하우징(12)에의 부착은 도시하지 않는 부착 나사가 나사 삽통 구멍(32a, 32a)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12)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경사각 변경 부재(27)가 제1 하우징(11)에 부착되는 동시에 힌지 축(13)이 제2 하우징(12)에 부착됨으로써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도17 참조) 휴대 무선 전화기(10)가 구성된다.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중 한 쪽 또는 양쪽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 경사각 변경 부재(27)가 탄성 변형된다(도18 참조). 따라서,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중 한 쪽 또는 양쪽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제1 하우징(11) 및제2 하우징(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과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1)에 대해 화살표로 나타낸 외력(도18)이 가해진 경우, 경사각 변경 부재(27)의 피부착 부재(29, 29)는 제1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경사각 변경 부재(27)의 지지 부재(30)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제1 하우징(11)의 경사면(11c)과 경사각 변경 부재(27)의 지지 부재(30) 사이에 간극이 생기게 된다.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중 한 쪽 또는 양쪽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 경사각 변경 부재(27)가 탄성 복귀하여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본래의 경사 각도로 복귀된다.
또한,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12)은 모두 형성된 재료가 갖는 탄성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고, 경사 각도(θ)를 기준으로 하여 10° 정도의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경사각 변경 부재(27)의 탄성 변형과 아울러 제1 하우징(11)에 대해 제2 하우징(12)이 최대 약 170°정도까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회전 지지 기구(26)의 변형예인 회전 지지 기구(26A)에 대해 설명한다(도19 또는 도21 참조). 또한, 이하에 나타낸 회전 지지 기구(26A)는 상기한 회전 지지 기구(26)와 비교하여 스톱퍼 돌기 부재와 경사각 변경 부재에 스톱퍼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점만이 다르기 때문에, 회전 지지 기구(26)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을 하고,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회전 지지기구(26)에 있어서의 같은 부분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 지지 기구(26A)는 제1 하우징(11)에 부착되는 경사각 변경 부재(27A)와, 제2 하우징(12)에 부착되어 경사각 변경 부재(27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힌지 축(13)으로 이루어진다.
경사각 변경 부재(27A)의 한 쪽의 피부착 부재(29)에는 스톱퍼 삽입 구멍(29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각 변경 부재(27A)의 베이스부(28)로부터는 스톱퍼 삽입 구멍(29b)에 삽입된 스톱퍼 돌기 부재(33)가 돌출되어 있다. 스톱퍼 돌기 부재(33)는 돌출부(33a)와 계지부(33b)로 이루어지고, 돌출부(33a)가 베이스부(28)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계지부(33b)가 돌출부(33a)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지지 기구(26) 대신에 회전 지지 기구(26A)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회전 지지 기구(26)와 마찬가지로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중 한 쪽 또는 양쪽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과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지지 기구(26A)에 있어서는 피부착 부재(29)의 스톱퍼 삽입 구멍(29b)의 개구 모서리에 스톱퍼 돌기 부재(33)의 계지부(33b)가 계지됨으로써 제1 하우징(11)에 부착되는 장치 부재(29, 29)와 제2 하우징(12)에 부착되는 피부착 부재(32)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제1 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이루는 경사 각도(θ)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힌지 축(13)을 갖는 회전 지지 기구(34)에 대해 설명한다(도22 내지 도24 참조).
회전 지지 기구(34)는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경사각 변경 부재(35)와, 제2 하우징(12)에 부착되어 경사각 변경 부재(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힌지 축(13)으로 이루어진다.
경사각 변경 부재(35)는 판형의 금속 재료가 가공되어 형성되고, 베이스부(36)와 피지지부(37, 37)와 스프링 지지 부재(38, 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베이스부(36)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에 도시하지 않은 축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피지지부(37, 37)는 베이스부(3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로부터 직교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각각 피지지 구멍(37a, 37a)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 부재(38, 38)는 베이스부(3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양측 모서리로부터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 부재(38, 38)는 각각 베이스부(36)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38a, 38a)와, 상기 돌기부(38a, 38a)와 직교하는 스프링 지지부(38b, 38b)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지지부(38b, 38b)가 베이스부(36)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힌지 축(13)은 축부(31)와 상기 축부(31)의 타단부에 설치된 판형으로 형성된 피부착 부재(32)로 이루어진다. 축부(31)의 일단부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빠짐 방지 돌기부(31a)가 설치되어 있다. 피부착 부재(32)에는 그 양측부에 나사 삽통 구멍(32a, 32a)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 축(13)은 축부(31)가 경사각 변경 부재(35)의 베이스부(36)의 축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경사각 변경 부재(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지지부(37, 37)의 피지지 구멍(37a, 37a)에는 제1 하우징(11) 내에 고정된 지지축(39, 39)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지지 기구(34)는 제1 하우징(11)에 대해 지지축(39, 39)의 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 부재(38, 38)의 스프링 지지부(38b, 38b)와 제1 하우징(11)의 한 쪽 면(11a) 사이에는 각각 압축 코일 스프링(40, 40; 도23)이 축소 설치되어 있다.
힌지 축(13)의 피부착 부재(32)는 제2 하우징(12)에 부착된다. 피부착 부재(32)의 제2 하우징(12)에의 부착은 도시하지 않는 부착 나사가 나사 삽통 구멍(32a, 32a)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12)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피지지부(37, 37)가 지지축에 지지되는 동시에 힌지 축(13)이 제2 하우징(12)에 부착됨으로써,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도23 참조) 휴대 무선 전화기(10)가 구성된다.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중 한 쪽 또는 양쪽에 외력이 가해지면, 지지축(39, 39; 도22)에 대해 경사각 변경 부재(35)와 힌지 축(13)이 일체가 되어 회전되고, 한 쪽의 압축 코일 스프링(40)이 압축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압축 코일 스프링(40)이 신장된다(도24 참조).
회전 지지 기구(26) 대신에 회전 지지 기구(34)를 이용한 경우라도 회전 지지 기구(26)와 마찬가지로,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중 한 쪽 또는 양쪽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과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중 한 쪽 또는 양쪽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 코일 스프링(40, 40)이 탄성 복귀하여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본래의 경사 각도로 복귀한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도25 내지 도27 참조).
또한, 이하에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10A)는 상기한 휴대 무선 전화기(10)와 비교하여 제1 하우징의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이 다른 것 및 제2 하우징의 돌기부가 형성된 부분이 다른 점만이 상이하므로 휴대 무선 전화기(10)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을 하고,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휴대 무선 전화기(10)에 있어서의 같은 부분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휴대 무선 전화기(10A)는 제1 하우징(11A)의 일단부와 제2 하우징(12A)의 일단부가 힌지 축(13)의 축방향에 있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 축(13)을 거쳐서 제1 하우징(11A)과 제2 하우징(12A)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도25 및 도26 참조).
제1 하우징(11A)의 한 쪽 면(11a)의 일단부 이외의 부분, 즉 경사면(11c) 이외의 부분에는 대략 구면형을 이루는 얕은 오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키(16, 16, …) 및 돌기(18, 18, …)는 오목부(41)에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11c)은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12A)의 다른 쪽 면(12b)의 일단부 이외의 부분, 즉 경사면(12c) 이외의 부분에는 대략 구면형을 이루는 돌출량이 작은 돌기부(42)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12c)은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A)에 대해 제2 하우징(12A)이 180°미만의 소정 각도를 갖고 경사진다(도25 및 도26 참조). 따라서, 제1 하우징(11A)에 대해 제2 하우징(12A)이 소정 각도로 경사짐으로써, 휴대 무선 전화기(10A)는 통화자가 통화를 행할 때의 얼굴 외형에 따르는 형상이 되어 마이크부(14)의 통화자의 입에 접근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피커부(20)를 통화자의 귀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통화시의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A)을 제2 하우징(12A)에 대해 180°회전하거나, 또는 제2 하우징(12A)을 제1 하우징(11A)에 대해 180°회전하면, 폐색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A)의 한 쪽 면(11a)의 일단부 이외의 부분에 오목부(41)가 형성되고, 제2 하우징(12A)의 다른 쪽 면(12b)의 일단부 이외의 부분에 돌기부(4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하우징(11A) 또는 제2 하우징(12A)의 회전시의 양자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1 하우징(11A)과 제2 하우징(12A) 사이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의 간격을 크게 취할 필요가 없고, 제1 하우징(11A)과 제2 하우징(12A)이 폐색 상태에 있어서 근접하여 위치된다(도27참조). 따라서, 휴대 무선 전화기(10A)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에는 제1 하우징(11A)에 돌기(18, 18, …)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주조작부(17)의 조작 키(16, 16, …)의 피조작면을,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한 쪽 면(11a)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하면, 특별히 돌기(18, 18, …)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A)의 한 쪽 면(11a)과 제2 하우징(12A)의 다른 쪽 면(12b)과의 간극을 없앨 수 있어 휴대 무선 전화기(10A)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도28 내지 도33 참조).
또, 이하에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10B)는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무선 전화기(10)와 비교하여 제1 하우징의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이 다른 점 및 제2 하우징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만이 상이하므로 휴대 무선 전화기(10)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을 하고,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휴대 무선 전화기(10)에 있어서의 같은 부분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휴대 무선 전화기(10B)는 제1 하우징(11B)의 일단부와 제2 하우징(12B)의 일단부가 힌지 축(13)의 축방향에 있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 축(13)을 거쳐서 제1 하우징(11B)과 제2 하우징(12B)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도28 내지 도30 참조).
제1 하우징(11B)의 한 쪽 면(11a)은 경사면(11c) 및 경사면(11c) 이외 부분의 양 쪽 모두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쪽 면(11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모서리에는 각각 제1 하우징(11B)의 길이 방향에 이격하여 2개씩의 받침 돌기부(43, 43, …)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 돌기부(43, 43, …)는, 예를 들어 선단부가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한 쪽 면(11a)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제1 하우징(11), 제1 하우징(11A)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돌기(18, 18,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제1 하우징(11B)에는 받침 돌기부(43, 43, …)가 설치됨으로써, 제1 면(11a)이 오목부(44)로서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B)의 다른 쪽 면(12b)은 경사면(12c) 및 경사면(12c) 이외의 부분의 양 쪽 모두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B)에 대해 제2 하우징(12B)이 180°미만의 소정 각도를 갖고 경사진다(도28 및 도29 참조). 따라서, 제1 하우징(11B)에 대해 제2 하우징(12B)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짐으로써, 휴대 무선 전화기(10B)는 통화자가 통화를 행할 때의 얼굴 외형에 따르는 형상이 되어 마이크부(14)를 통화자의 입에 접근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피커부(20)를 통화자의 귀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통화시의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B)을 제2 하우징(12B)에 대해 180°회전하거나, 또는 제2 하우징(12B)을 제1 하우징(11B)에 대해 180°회전하면, 폐색 상태가 된다(도30 및 도31 참조). 이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12B)이 받침 돌기부(43, 43, …) 상에 적재된다. 폐색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B)의 한 쪽 면(11a)과 제2 하우징(12B)의 다른 쪽 면(12b) 사이에 간극(45)이 형성되므로,제1 하우징(11B) 또는 제2 하우징(12B)의 회전 시에 양자가 간섭하는 일이 없어 원활한 회전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휴대 무선 전화기(10B)에 있어서는 폐색 상태에 있어서 받침 돌기부(43, 43, …)의 제1 면(11a)으로부터의 돌출량만큼의 간극(45)이 형성되므로, 이 간극(45)의 범위 내에서 조작 키(16, 16, …)를 제1 면(11a)으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어 조작 키(16, 16, …)에 대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받침 돌기부(43, 43, …)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2 하우징(12B)에 제1 하우징(11B)측에의 외력이 부여되어도 제2 하우징(12B)이 받침 돌기부(43, 43, …)에 의해 제1 하우징(11B)측에의 변위가 규제되어 조작 키(16, 16, …)에 대한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방지된다.
또한, 받침 돌기부(43, 43, …)의 선단부가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하우징(11B) 또는 제2 하우징(12B)의 전개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까지 회전될 때의 제2 하우징(12B)의 다른 쪽 면(12b)과 받침 돌기부(43, 43, …)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 그 만큼 원활한 회전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에는 제1 하우징(11B)의 한 쪽 면(11a)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2개씩 받침 돌기부(43, 43, …)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받침 돌기부(43)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쪽 면(11a)의 양측 모서리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도32 및 도33 참조).
또한, 이하에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10C)는 상기한 휴대 무선 전화기(10B)와 비교하여 받침 돌기부가 설치된 위치가 다른 점만이 상이하므로 휴대 무선 전화기(10B)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을 하고,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휴대 무선 전화기(10B)에 있어서의 같은 부분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휴대 무선 전화기(10C)는 제1 하우징(11C)의 일단부와 제2 하우징(12C)의 일단부가 힌지 축(13)의 축방향에 있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 축(13)을 거쳐서 제1 하우징(11C)과 제2 하우징(12C)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도32 및 도33 참조).
제1 하우징(11C)의 한 쪽 면(11a)은 경사면(11c) 및 경사면(11c) 이외 부분의 양 쪽 모두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쪽 면(11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쪽 단부 모서리, 즉 경사면(11c)과 반대측의 단부 모서리에는 그 중앙부에 받침 돌기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마이크부(14)는 받침 돌기부(46)에 형성되어 있다.
받침 돌기부(46)는, 예를 들어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12C)과 대향하는 측의 면이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받침 돌기부(46)는 한 쪽 면(11a)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제1 하우징(11; 도3), 제1 하우징(11A; 도25)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돌기(18, 18, …)보다 크게 되어 있다.
제1 하우징(11C)에는 받침 돌기부(46)가 설치됨으로써, 제1 면(11a)이 오목부(47)로서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C)의 다른 쪽 면(12b)은 경사면(12c) 및 경사면(12c) 이외 부분의 양 쪽 모두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C)을 제2 하우징(12C)에 대해 180°회전하거나, 또는 제2 하우징(12C)을 제1 하우징(11C)에 대해 180°회전하면 폐색 상태가 된다(도33 참조). 이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12C)이 받침 돌기부(46) 상에 적재된다. 폐색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C)의 한 쪽 면(11a)과 제2 하우징(12C)의 다른 쪽 면(12b) 사이에 간극(48)이 형성되므로 제1 하우징(11C) 또는 제2 하우징(12C)의 회전 시에 양자가 간섭하는 일이 없어, 원활한 회전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휴대 무선 전화기(10C)에 있어서는 폐색 상태에 있어서 받침 돌기부(46)의 제1 면(11a)으로부터의 돌출량만큼의 간극(46)이 형성되므로, 이 간극(46)의 범위 내에서 조작 키(16, 16, …)를 제1 면(11a)으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어 조작 키(16, 16, …)에 대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받침 돌기부(46)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2 하우징(12C)에 제1 하우징(11C)측에의 외력이 부여되어도 제2 하우징(12C)이 받침 돌기부(46)에 의해 제1 하우징(11C)측에의 변위가 규제되어 조작 키(16, 16, …)에 대한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방지된다.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도34 내지 도37 참조).
또한, 이하에 도시한 휴대 무선 전화기(10D)는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무선 전화기(10)와 비교하여 제1 하우징의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이 다른점 및 받침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므로 휴대 무선 전화기(10)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을 하고,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휴대 무선 전화기(10)에 있어서의 같은 부분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휴대 무선 전화기(10D)는 제1 하우징(11D)의 일단부와 제2 하우징(12D)의 일단부가 힌지 축(13)의 축방향에 있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 축(13)을 거쳐서 제1 하우징(11D)과 제2 하우징(12D)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도34 내지 도36 참조).
제1 하우징(11D)의 한 쪽 면(11a)은 경사면(11c) 및 경사면(11c) 이외 부분의 양 쪽 모두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쪽 면(11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모서리에는 각각 제1 하우징(11D)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 돌기부(49, 49)로서 설치되어 있다. 받침 돌기부(49, 49)에는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12D)에 대향하는 측의 면이, 예를 들어 대략 구면으로 형성된 오목형부(49a, 49a)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 돌기부(49, 49)는 한 쪽 면(11a)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제1 하우징(11; 도3), 제1 하우징(11A; 도25)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돌기(18, 18,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제1 하우징(11D)에는 받침 돌기부(49, 49)가 설치됨으로써 제1 면(11a)이 오목부(50)로서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D)의 다른 쪽 면(12b)의 경사면(12c) 이외의 부분에는 대략 구면형을 이루는 돌출량이 작은 돌기부(51)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12c)은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D)에 대해 제2 하우징(12D)이 180°미만의 소정 각도를 갖고 경사진다(도34 및 도35 참조). 따라서, 제1 하우징(11D)에 대해 제2 하우징(12b)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짐으로써, 휴대 무선 전화기(10D)는 통화자가 통화를 행할 때의 얼굴 외형에 따르는 형상이 되어 마이크부(14)를 통화자의 입에 접근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피커부(20)를 통화자의 귀에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통화시의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D)을 제2 하우징(12D)에 대해 180°회전하거나, 또는 제2 하우징(12D)을 제1 하우징(11D)에 대해 180°회전하면 폐색 상태가 된다(도36 및 도37 참조).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D)에 설치된 받침 돌기부(49, 49)에 오목형부(49a, 49a)가 형성되고, 제2 하우징(12D)의 다른 쪽 면(12b)의 일단부 이외의 부분에 돌기부(5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하우징(11D) 또는 제2 하우징(12D)의 회전시의 양자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1 하우징(11D)과 제2 하우징(12D)과의 간격을 크게 취할 필요가 없어 제1 하우징(11D)과 제2 하우징(12D)이 폐색 상태에 있어서 근접하여 위치된다(도37 참조). 따라서, 휴대 무선 전화기(10D)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D)에 받침 돌기부(49, 49)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2 하우징(12D)에 제1 하우징(11D)측에의 외력이 부여되어도 제2 하우징(12D)이 받침 돌기부(49, 49)에 의해 제1 하우징(11D)측에의 변위가 규제되어 조작 키(16, 16, …)에 대한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는 조작이 방지된다.
또, 상기에는 제1 하우징(11D)의 한 쪽 면(11a)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받침 돌기부(49, 49)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덧붙여서 제1 하우징(11D)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모서리에도 받침 돌기부(49)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한 제3 실시 형태 및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단부를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한 받침 돌기부(43, 43, …), 선단부면을 평면으로 형성한 받침 돌기부(46) 및 선단부측의 면을 대략 구면형으로 형성한 받침 돌기부(49, 49)를 예시하였지만, 이들 각 받침 돌기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목형의 대략 구면, 평면, 돌기형의 대략 구면 등의 형상으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는 제1 하우징(11, 11A)의 각 오목부(15, 41) 및 제2 하우징(12, 12A, 12D)의 각 돌기부(24, 42, 51)를 대략 구면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예를 들어 원뿔의 주위면과 같은 형상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하우징(12D)에 설치된 받침 돌기부(49)의 오목형부(49a)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원뿔의 주위면과 같은 형상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게다가, 상기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무선 전화기(10A, 10B, 10C, 10D)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어느 한 회전 지지 기구(26, 26A, 34)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에 대한 구체화의 일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이상에 기재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조작부를 구비한 제1 하우징의 일단부와 표시부를 구비한 제2 하우징의 일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이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포개어져 조작부가 구비된 조작부면과 표시부가 구비된 표시부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한 폐색 상태로부터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어 표시부면과 조작부면이 소정의 각도를 갖고 전개한 전개 상태가 형성되고, 힌지부는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경사각 변경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힌지부를 거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틸팅한 전개 상태를 형성하였을 때에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대해 부하가 가해진 경우라도 경사각 변경 수단에 의해 상기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하에 의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표시부의 표시부면과 동일한 면에 소정 키를 갖는 부조작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전개 상태 및 폐색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어서도, 조작부 또는 부조작부를 거쳐서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제2 하우징에 있어서의 타단부에 스피커부를 갖고, 일단부를 스피커부로부터 멀리 떨어짐에 따라서 두꺼워지도록 형성하였으므로,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아, 제1 하우징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한 손의 손가락을 제1 하우징으로부터 제2 하우징을 향해 미끄러지도록 하여 제2 하우징에 설치된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면과 조작부면이 이루는 각도는 180°미만으로 함으로써, 전개 상태에 있어서 통화자가 통화를 행할 때의 얼굴 외형에 따르는 형상이 되어 마이크부를 통화자의 입에 접근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피커부를 통화자의 귀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통화시의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조작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하우징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상기 오목부에 조작키를 배치하였을 때에 폐색 상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의 간격을 크게 취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휴대 단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오목부를 대략 구면형으로 하여 제1 하우징의 일단부에 형성하고,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의 일단부에 오목부에 대향하는 대략 구면형의 돌기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제2 하우징 또는 제1 하우징에 대한 회전시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의 간섭이 방지되어 양자간의 원활한 회전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양자를 크게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휴대 단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있다.
청구 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오목부를 대략 구면형으로 하여 제1 하우징의 일단부 이외의 부분에 형성하고,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의 일단부 이외의 부분에 오목부에 대향하는 대략 구면형의 돌기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제2 하우징 또는 제1 하우징에 대한 회전시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의 간섭이 방지되어 양자간의 원활한 회전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양자를 크게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휴대 단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8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의 조작부면의 외주연 중 적어도 일부에,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2 하우징에 접촉 또는 근접되는 받침 돌기부를 설치하였으므로,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에 대해 제1 하우징측을 향하는 외력이 부여된 경우라도 제1 하우징에 배치된 조작키가 제1 하우징에 의해 압박되어 버리는 일이 없어 조작키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9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의 양측단부에 받침 돌기부를 설치하였으므로,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에 대해 제1 하우징측을 향하는 외력이 부여된 경우에, 특히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에 대한 제2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의 타단부의 모서리부에 받침 돌기부를 설치하였으므로,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에 대해 제1 하우징측을 향하는 외력이 부여된 경우에, 특히 제1 하우징의 타단부와 일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에 대한 제2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 돌기부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받침 돌기부에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과 대향하는 측의 면이 대략 구면형이 된 오목형부를 형성하고, 제2 하우징에 폐색 상태에 있어서 오목형부에 대향하는 대략 구면형의 돌기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제2 하우징 또는 제1 하우징에 대한 회전시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의 간섭이 방지되어 양자간의 원활한 회전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양자를 크게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휴대 단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폐색 상태에 있어서 받침 돌기부의 제2 하우징에 대향하는 측의 단부를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이 전개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까지 회전될 때의 제2 하우징과 받침 돌기부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 그 만큼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원활한 회전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3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외주연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의 받침 돌기부를 설치하였으므로,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에 대해 제1 하우징측을 향하는 외력이 부여된 경우라도 상기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커, 조작키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힌지 축을 거쳐서 상기 힌지 축의 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무선 전화기에 적응된다.
<부호의 설명>
1, 10, 10A, 10B, 10C, 10D : 휴대 무선 전화기(휴대 단말 장치)
2, 11, 11A, 11B, 11C, 11D : 제1 하우징
3, 12, 12A, 12B, 12C, 12D : 제2 하우징
4. 13 : 힌지 축
5, 14 : 마이크부
7, 20 : 스피커부
15, 41, 44, 47, 50 : 오목부
16 : 조작 키
17 : 주조작부
21 : 키
22 : 부조작부
23 : 표시부
24, 42, 51 : 돌기부
27, 27A, 35 : 경사각 변경 부재(경사각 변경 수단)
43, 46, 49 : 받침 돌기부
49a : 오목형부

Claims (13)

  1. 조작부를 구비한 제1 하우징의 일단부와 표시부를 구비한 제2 하우징의 일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포개어져 상기 조작부가 구비된 조작부면과 상기 표시부가 구비된 표시부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한 폐색 상태로부터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표시부면과 상기 조작부면이 소정의 각도를 갖고 전개한 전개 상태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경사각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표시부의 상기 표시부면과 동일한 면에 소정 키를 갖는 부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있어서의 타단부에 스피커부를 갖고, 상기 일단부를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얇아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부면과 상기 조작부면이 이루는 상기 각도는 18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조작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하우징측에 개구되는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대략 구면형으로 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일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폐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일단부에 상기 오목부에 대향하는 대략 구면형의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대략 구면형으로 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일단부 이외의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폐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일단부 이외의 부분에 상기 오목부에 대향하는 대략 구면형의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조작부면의 외주연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폐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2 하우징에접촉 또는 근접되는 받침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상기 받침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부의 모서리부에, 상기 받침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돌기부에, 상기 폐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과 대향하는 측의 면이 대략 구면형이 된 오목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하우징에, 상기 폐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부에 대향하는 대략 구면형의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받침 돌기부의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향하는 측의 단부를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외주연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의 상기 받침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KR1020037009915A 2001-11-27 2002-11-20 휴대 단말 장치 KR100948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61092 2001-11-27
JPJP-P-2001-00361092 2001-11-27
JP2002063635 2002-03-08
JPJP-P-2002-00063635 2002-03-08
PCT/JP2002/012106 WO2003047218A1 (en) 2001-11-27 2002-11-20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474A true KR20040052474A (ko) 2004-06-23
KR100948443B1 KR100948443B1 (ko) 2010-03-17

Family

ID=2662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915A KR100948443B1 (ko) 2001-11-27 2002-11-20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00428B2 (ko)
EP (1) EP1450545B1 (ko)
JP (1) JP4373787B2 (ko)
KR (1) KR100948443B1 (ko)
CN (1) CN1242600C (ko)
DE (1) DE60224828T2 (ko)
WO (1) WO2003047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9623B2 (ja) * 2002-09-05 2006-11-2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器
JP4238571B2 (ja) * 2002-12-06 2009-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その配線装置および配線方法
JP4402355B2 (ja) * 2003-01-21 2010-01-20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2004293633A (ja) * 2003-03-26 2004-10-21 Nec Corp 折り畳み型携帯端末
JP3708945B2 (ja) * 2003-09-12 2005-10-19 オムロン株式会社 回転支持機構および携帯端末
KR100640342B1 (ko) * 2003-09-23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한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통신 장치
KR100566276B1 (ko) * 2003-10-17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100606108B1 (ko) 2003-10-31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장치
KR100651412B1 (ko) 2003-10-31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608726B1 (ko) * 2003-12-09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CN100407883C (zh) * 2004-05-04 2008-07-30 安费诺凤凰株式会社 滑动型开闭装置及具有旋转功能的滑动开闭型移动电话
KR100603196B1 (ko) * 2004-06-21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 모듈
JP4286735B2 (ja) * 2004-07-08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TWI249324B (en) * 2004-11-19 2006-02-11 Benq Corp Sliding-type electronic device with a view angle
US7832055B2 (en) * 2004-12-30 2010-11-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KR100631897B1 (ko) * 2005-01-19 2006-10-11 삼성전기주식회사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3498B1 (ko) * 2005-01-1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형 휴대 장치
JP4585906B2 (ja) * 2005-04-27 2010-11-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9384672B1 (en) * 2006-03-29 2016-07-05 Amazon Technologies, Inc. Handheld electronic book reader device having asymmetrical shape
KR101495173B1 (ko) * 2008-08-06 2015-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9785189B2 (en) 2010-02-01 2017-10-10 Constin Gmb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2423134B1 (ko) 2017-06-12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하우징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466091B (zh) 2020-11-09 2023-03-1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可折叠支撑构件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765B2 (ja) 1988-06-21 1995-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用折たたみ式無線電話
JPH05136859A (ja) 1991-11-15 1993-06-01 Tdk Corp 電話機
JPH05211547A (ja) 1991-11-28 1993-08-20 Nec Corp 携帯用電話機
JP2977716B2 (ja) 1993-06-30 1999-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話機
JP3065200B2 (ja) 1993-07-16 2000-07-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携帯用無線装置
US5485517A (en) * 1993-12-07 1996-01-16 Gray; Robert R. Portable wireless telephone having swivel chassis
JP2867863B2 (ja) 1993-12-28 1999-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JPH07288860A (ja) * 1994-04-18 1995-10-31 Canon Inc 携帯無線電話機
JP2689913B2 (ja) * 1994-07-15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開放型折畳み携帯無線機
KR200195854Y1 (ko) * 1998-03-05 2000-10-02 김대환 수평회전개폐식휴대전화기
JP3189818B2 (ja) * 1998-12-24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無線電話機
JP2000101263A (ja) 1999-10-22 2000-04-07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用電子機器のカバ―
JP2002135380A (ja) 2000-10-27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JP2002158758A (ja) 2000-11-20 2002-05-31 Nec Corp 開閉型携帯情報端末
US6850784B2 (en) * 2001-01-31 2005-02-01 Microsoft Corporation Modular two-body design for integra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 features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2344596A (ja) 2001-05-21 2002-11-29 Kddi Corp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4828D1 (de) 2008-03-13
US7200428B2 (en) 2007-04-03
WO2003047218A1 (en) 2003-06-05
JP4373787B2 (ja) 2009-11-25
EP1450545A1 (en) 2004-08-25
CN1242600C (zh) 2006-02-15
JPWO2003047218A1 (ja) 2005-04-14
EP1450545A4 (en) 2005-05-11
EP1450545B1 (en) 2008-01-23
KR100948443B1 (ko) 2010-03-17
US20040248628A1 (en) 2004-12-09
DE60224828T2 (de) 2009-01-08
CN1491511A (zh)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443B1 (ko) 휴대 단말 장치
US7020495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rotational LCD device
EP1367804B1 (en) Rotary-keypad for a mobile handset
EP1207671B1 (en)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7200224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21715B1 (ko)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US6941618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960000155B1 (ko) 힌지 장치
US7117564B2 (en)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US7832058B2 (en) Swivel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100518463C (zh) 用于旋转型移动电话的显示器的铰链装置
JP2003060764A (ja) カメラ付の携帯電話機
JP4629577B2 (ja) 二方向ヒンジを有する無線端末
JP2010065801A (ja) 開閉装置および当該開閉装置を搭載した携帯情報端末
EP1871079A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KR20050091393A (ko) 휴대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JP4915223B2 (ja) 連結装置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EP1843557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WO2010029661A1 (ja) 携帯電子機器
KR20070042713A (ko) 힌지 어셈블리 및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5295073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