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969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969A
KR20040048969A KR10-2004-7005827A KR20047005827A KR20040048969A KR 20040048969 A KR20040048969 A KR 20040048969A KR 20047005827 A KR20047005827 A KR 20047005827A KR 20040048969 A KR20040048969 A KR 20040048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heating
indoo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9548B1 (ko
Inventor
키자와토시히로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24F2003/145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heat extracted from the humid air for condensing is returned to the dr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series arrangements

Abstract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의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1 열교부(熱交部)와, 제1 열교부에 직렬로 접속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의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2 열교부와, 제1 열교부와 제2 열교부를 직렬로 접속함과 함께, 제1 열교부와 제2 열교부의 어느 한쪽이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다른쪽이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냉매의 압력 조정이 가능한 압력 조정 기구와, 제1 열교부의 외표면에 부착하는 결로수(結露水)를 제2 열교부의 외표면 근방으로 안내하고, 제2 열교부에서 열 교환한 후의 조정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추가 부품을 극력 줄여 가습 운전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일반적인 세퍼레이트형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외기 내에 배치되는 실외 열 교환기와, 실내기 내에 배치되는 실내 열 교환기가 냉매 배관에서 접속되어, 각 열 교환기가 냉매의 응축기 및 증발기로서 기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외기 내에는, 공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실외 팬이 배치되어 있고, 이 실외 팬에 의하여 외기(外氣)를 도입하고, 실외 열 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공기 간에서 열 교환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실내기에도 실내기 케이싱 내부에 공기류를 생성하는 실내 팬이 배치되어 있고, 이 실내 팬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빨아들여, 실내 열 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공기 간에서 열 교환을 행한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에서는 수분의 공급이 없는 채 실온만이오르기 때문에, 실내의 상대습도가 대폭으로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기에 가습 유닛을 설치하여 실내에 가습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가습 유닛은, 예를 들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가열하는 것에 의하여 흡착된 수분을 이탈하도록 하는 제올라이트 등의 다공질의 흡습 재료로 원반 형상의 가습 로터를 구성하고, 이것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공기 중의 수분을 가습 로터에 흡착시키기 위하여 외기를 도입하고 가습 로터의 일부를 통과하는 공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흡습 팬과, 가습 로터로부터 이탈한 수분을 포함하는 가습 공기를 실내기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공기류를 생성하는 가습 팬을 구비하고 있다. 흡습 팬에 의한 공기류와 가습 팬에 의한 공기류는, 각각 가습 로터의 회전 방향에 다른 위치에서 가습 로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가습 팬에 의한 공기류가 통과하는 위치에는, 가습 로터를 가열하는 히터가 배치된다.
흡습 팬에 의한 공기류 중에 포함되는 수분은 가습 로터의 흡습 재료에 흡착된다. 가습 로터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있고, 히터에 의한 가열 위치에서는 흡착된 수분이 이탈하고, 가습 팬에 의한 공기류 중에 수분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습 유닛을 탑재한 공기 조화기에서는, 가습 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이 추가되어 있어, 장치 전체의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가습 유닛에서는, 가습 로터에 흡착한 수분을 이탈시키기 위한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히터의 에너지 소비 효율 COP의 값은 거의 "1"로 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크고, 가습 운전시에서의 상품 전력이 통상의 공조(空調) 운전시에 비하여 다대한 것으로 된다.
또한, 가습 공기를 실내로 불어내기 위한 실내 공조 유닛은, 실내 전체의 습도를 높이도록 가습 공기의 취출구(吹出口)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공간까지 불필요하게 가습하는 것으로 되어, 체감되는 가습 효과가 줄어드는 것과 함께, 벽면이나 창 등의 결로(結露)하기 쉬운 장소로의 가습이 행해지기 때문에, 과잉의 결로나 곰팡이의 발생의 원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추가 부품을 극력 줄여 가습 운전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 팬(fan)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도입하고, 실내 열 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실내 열 교환기의 외표면을 통과하는 실내 공기 간에서 열 교환을 행하여, 열 교환 후의 조정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냉매 회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실내 열 교환기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가 채용되는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가 채용되는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가 채용되는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가습 제어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가 채용되는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가습 제어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실내 팬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도입하고, 실내 열 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실내 열 교환기의 외표면을 통과하는 실내 공기 간에서 열 교환을 행하여, 열 교환 후의 조정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내 열 교환기가, 제1 열교부(熱交部)와, 제2 열교부와, 제1 열교부와 제2 열교부를 직렬로 접속함과 함께, 제1 열교부와 제2 열교부의 어느 한쪽이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다른쪽이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냉매의 압력 조정이 가능한 압력 조정 기구와, 제1 열교부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제2 열교부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압력 조정 기구를 제어할 때, 제1 열교부의 외표면에 부착하는 결로수를 제2 열교부의 외표면 근방으로 안내하여, 제2 열교부에서 열 교환한 후의 조정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실내 열 교환기의 제1 열교부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제2 열교부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압력 조정 기구를 제어하여, 제1 열교부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를 제2 열교부의 외표면 근방으로 안내하면, 제2 열교부에서 열 교환된 난방 공기 및 제2 열교부 내부의 냉매에 의하여 수분이 증발하여 난방 공기가 가습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제2 열교부에서 열 교환된 후의 조정 공기를 가습할 수 있어, 실내에 가습 조정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통상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내 열 교환기는 필수의 구성 요소이고, 제습 운전 중에 실내로 불어내는 공기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도록, 실내 열 교환기의 일부를 제습을 위한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고 다른 일부를 난방용의 응축기로서 기능시키도록 하는 재열드라이로 불리는 운전 모드를 탑재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재열드라이 모드를 역전시킨 운전 모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는 일 없이 가습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 열교부 및 제2 열교부는, 내부를 냉매가 통과하는 전열관과 외표면을 통과하는 공기류와 평행하게 상기 전열관에 장착되는 복수의 방열핀(fin)을 구비하고, 방열핀의 외표면이 제1 열교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제2 열교부의 외표면 근방으로 결로수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구성한다.
이 경우, 실내 열 교환기의 방열핀에 의하여 제1 열교부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를 제2 열교부의 외표면 근방으로 효율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 열교부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제2 열교부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압력 조정 기구를 제어할 때, 제1 열교부를 통과한 후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건조 공기 배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실내 열 교환기를 통과한 후의 가습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고, 건조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가습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 열교부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제2 열교부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압력 조정 기구를 제어할 때, 제2 열교부에 의하여 가습된 조정 공기를 난방 가습 공기류로 하여 실내로 배출하는 난방 가습 공기 안내 수단과, 제2 열교부에 의하여 가습된 공기 이외의 열 교환 후의 조정 공기를 난방 가습 공기류와 다른 건조 공기류로 하여 실내로 배출하는 건조 공기 안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인간이 존재하는 실내 중앙부의 하방 영역에 대해서 난방 가습 공기를 안내하도록 설정하고, 벽면이나 유리창이 있는 주변부에 건조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인간이 체감하는 가습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벽면이나 유리창 등에 결로를 생기기 어렵게 하여, 가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난방 가습 공기 안내 수단 및 건조 공기 안내 수단이, 난방 가습 공기류를 좌우 방향에서의 소정 각도로 설정하고, 건조 공기류를 좌우 방향에서의다른 각도로 설정하는 수직 플랩(flap)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의 정면에 인간이 있는 경우에, 수직 플랩을 조정하여 난방 가습 공기류가 공기 조화기의 정면이 되도록 설정하고, 건조 공기류가 공기 조화기로부터 좌우로 확산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인간이 존재하는 장소에 가습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벽면이나 유리창 등의 결로하기 쉬운 개소에의 여분의 습도 공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난방 가습 공기 안내 수단 및 건조 공기 안내 수단은, 난방 가습 공기류가 실내의 하부 영역을 통과하고, 건조 공기류가 상기 난방 가습 공기류보다 상부 영역을 통과하도록 설정하는 수평 플랩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건조 공기류 중에는 제1 열교부를 통과한 후의 냉각 건조 공기가 포함되어 있고, 난방 가습 공기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실내의 하방 영역을 가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마루면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인간에 대한 가습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취침시에 공조 운전을 행할 때에 효과적인 가습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2 열교부는, 제1 열교부로부터의 결로수가 공급되어 가습 공기를 생성하는 난방 가습 공기 생성부와, 제1 열교부로부터의 결로수가 공급되지 않는 난방 건조 공기 생성부를 구비하고, 수평 플랩은, 난방 가습 공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난방 가습 공기를 실내의 하부 영역을 통과하는 난방 가습 공기류로 하여 배출하고, 제1 열교부에서 생성되는 냉각 건조 공기를 난방 가습 공기류보다도 상부 영역을 통과하는 냉각 건조 공기류로 하여 배출하며, 난방 건조 공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난방 건조 공기를 냉각 건조 공기류보다도 한층 상부 영역을 통과하는 난방 건조 공기류로 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냉각 건조 공기류에 의한 난방 가습 공기류의 누름이 보다 효과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의 하부 영역에 대한 가습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2 열교부는, 제1 열교부로부터의 결로수가 공급되어 가습 공기를 생성하는 난방 가습 공기 생성부와, 제1 열교부로부터의 결로수가 공급되지 않는 난방 건조 공기 생성부를 구비하고, 수평 플랩은, 난방 가습 공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난방 가습 공기를 실내의 하부 영역을 통과하는 난방 가습 공기류로 하여 배출하고, 제1 열교부에서 생성되는 냉각 건조 공기와 난방 건조 공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난방 건조 공기가 혼합된 약난 건조 공기를 난방 가습 공기류보다도 상부 영역을 통과하는 약난 건조 공기류로 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냉각 건조 공기가 난방 건조 공기와 혼합되어 약난 건조 공기류로 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난방 가습 공기와의 온도차가 줄어들어 있어, 이 약난 건조 공기류에 접촉해도 위화감이 줄어든다. 약난 건조 공기류에 의한 난방 가습 공기의 누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의 하부 영역에서의 가습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공기 조화기의 외관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되는 공기 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
이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벽면 등에 장착되는 실내기(2)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3)를 구비하고 있다. 실외기(3)는, 실외 열 교환기나 실외 팬 등을 수납하는 실외 공조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2) 내에는 실내 열 교환기가 수납되고, 실외기(3) 내에는 실외 열 교환기가 수납되어 있고, 각 열 교환기가 냉매 배관(6)에 의하여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냉매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냉매 회로의 개략 구성〕
공기 조화기(1)에서 이용되는 냉매 회로의 일례를, 도 2에 도시한다.
실내기(2) 내에는, 실내 열 교환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내 열 교환기(11)는, 길이 방향 양단에서 복수회 되접어 꺾여 이루어지는 전열관과, 전열관이 관통되는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접촉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하는 것이고, 전동 팽창 밸브로 구성되는 가역 밸브(16)에 의하여 직렬로 접속되는 제1 열교부(14)와 제2 열교부(15)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의 공조 운전시에는 가역 밸브(16)는 개방 상태이고, 제1 열교부(14)와 제2 열교부(15)는 모두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서 기능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가역 밸브(16)를 제어하여 감압하는 것으로, 제1 열교부(14)와 제2 열교부(15) 중 어느 한쪽을 응축기로서 기능시키고, 다른쪽을 증발기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가역 밸브(16)에 대신하여, 모세관과 개폐 밸브를 병렬로 접속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내기(2) 내에는, 실내 공기를 빨아들여 실내 열 교환기(11)와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한 후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크로스 플로우 팬(12)이 설치되어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12)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면에는 회전축 방향으로 날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기류를 생성한다. 이 크로스 플로우 팬(12)은, 실내기(2) 내에 설치되는 팬 모터(13)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외 공조 유닛(5)에는, 압축기(21)와, 압축기(21)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사방 전환 밸브(22)와, 압축기(21)의 흡입측에 접속되는어큐뮬레이터(accumulator)(23)와, 사방 전환 밸브(22)에 접속된 실외 열 교환기(24)와, 실외 열 교환기(24)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인 감압기(25)가 설치되어 있다. 감압기(25)는, 액폐쇠 밸브(27)를 통하여 현지 배관(31)에 접속되어 있고, 이 현지 배관(31)을 통하여 실내 열 교환기(11)의 일단과 접속된다. 또한, 사방 전환 밸브(22)는, 가스 폐쇄 밸브(28)를 통하여 현지 배관(32)에 접속되어 있고, 이 현지 배관(32)을 통하여 실내 열 교환기(11)의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이 현지 배관(31, 32)은 도 1의 냉매 배관(6)에 상당한다.
실외 공조 유닛(5) 내에는, 실외 열 교환기(24)에서의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프로펠러 팬(29)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펠러 팬(29)은, 팬 모터(30)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 열 교환기- 제1 실시예〕
실내 열 교환기(11)의 냉매 경로를 도 3에 모식도로서 도시한다.
실내 열 교환기(11)는, 실내기(2)의 전면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구획부(11A), 전면 중간부에 위치하는 제2 구획부(11B), 전면 하부에 위치하는 제3 구획부(11C), 배면 상부에 위치하는 제4 구획부(11D), 배면 하부에 위치하는 제5 구획부(11E)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구획부(11A)는, 길이 방향 좌우 양단에서 접속되는 복수의 전열관(121)과 전열관(121)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복수의 제1 핀(111),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 좌우 양단에서 접속되는 복수의 전열관(122)과 전열관(122)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복수의 제2 핀(112)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관(121)의 일단에 액관측의 냉매배관(A)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은 전열관(122)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전열관(122)은, 전열관(121)과 접속되는 일단측으로부터 2계통으로 분기(分岐)하는 냉매 경로를 구성하고 있고, 타단측이 하나로 합쳐져 가역 밸브(16)의 일단측의 배관(B)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구획부(11B)는, 길이 방향 좌우 양단에서 접속되는 복수의 전열관(123)과 전열관(123)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복수의 제3 핀(113)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관(123)의 일단은, 가역 밸브(16)의 타단측의 배관(C)에 접속되어 있고, 중간부에서 제5 구획부(11E)와 접속되는 연결 배관(D, E)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타단측은 가스관측 배관(F)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구획부(11C)는, 길이 방향 좌우 양단에서 접속되는 복수의 전열관(124)과 전열관(124)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복수의 제4 핀(114)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관(124)의 일단은, 가역 밸브(16)의 타단측의 배관(C)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측은 가스관측의 냉매 배관(F)에 접속되어 있다.
제4 구획부(11D)는, 길이 방향 좌우 양단에서 접속되는 복수의 전열관(125)과 전열관(125)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복수의 제5 핀(115)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관(125)의 일단은, 가역 밸브(16)의 타단측의 배관(C)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측은 가스관측의 냉매 배관(F)에 접속되어 있다.
제5 구획부(11E)는, 길이 방향 좌우 양단에서 접속되는 복수의 전열관(126)과 전열관(126)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복수의 제6 핀(116)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관(126)의 일단은 연결 배관(D)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은 연결 배관(E)에 접속되어있다.
제3 구획부(11C)에는, 전열관(124)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서미스터(thermistor)(13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구획부(11A)의 제2 핀(112), 제2 구획부(11B)의 제3 핀(113), 제3 구획부(11C)의 제4 핀(114)을 동일한 부재를 접어 구부려 작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획부(11A)의 제2 핀(112), 제2 구획부(11B)의 제3 핀(113), 제3 구획부(11C)의 제4 핀(114), 제4 구획부(11D)의 제5 핀(125), 제5 구획부(11E)의 제6 핀(126)을 모두 동일한 부재를 접어 구부려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도, 제1 구획부(11A)가 증발기로서 기능할 때에, 제1 구획부(11A)의 제1 핀(111), 제2 핀(112), 전열관(121, 122)에 부착하는 결로수가, 제1 핀(111), 제2 핀(112)의 외표면을 지나, 제2 구획부(11B)의 제3 핀(113) 및 제3 구획부(11C)의 제4 핀(114)의 외표면으로 안내되도록 설정한다.
이 실내 열 교환기(11)에서는, 제1 구획부(11A)가 제1 열교부(14)를 구성하고, 제2 구획부(11B), 제3 구획부(11C), 제4 구획부(11D), 제5 구획부(11E)가 제2 열교부(15)를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 열 교환기(11)에서는, 가역 밸브(16)를 개방 상태로 하고, 사방 전환 밸브(22)를 실선 위치로 하여 운전하는 것으로, 제1 열교부(14) 및 제2 열교부(15)를 함께 응축기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가역 밸브(16)를 개방 상태로 하고, 사방 전환 밸브(22)를 점선 위치로 하여 운전하는 것으로, 제1 열교부(14) 및제2 열교부(15)를 함께 증발기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냉방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사방 전환 밸브(22)를 점선 위치로 하고, 가역 밸브(16)를 감압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열교부(14)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키고, 제2 열교부(15)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열교부(15)에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함과 함께, 제1 열교부(14)에서 실온이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도록 따뜻하게 할 수 있어, 이른바 재열드라이 모드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사방 전환 밸브(22)를 실선 위치로 하고, 가역 밸브(16)를 감압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열교부(14)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고, 제2 열교부(15)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제1 구획부(11A)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가, 제1 열교부(14)를 구성하는 제1 구획부(11A)의 제1 핀(111) 및 제2 핀(112)의 외표면을 통하여, 제2 열교부(15)를 구성하는 제2 구획부(11B) 및 제3 구획부(11C)로 안내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제1 구획부(11A)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는, 제2 구획부(11B) 및 제3 구획부(11C)로 안내되어 가열되고, 실내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수증기로 변환된다.
상술의 실내 열 교환기(11)에서는, 제1 구획부(11A) 내지 제5 구획부(11E)를 설정하고, 제1 구획부(11A)가 제1 열교부(14), 제2 구획부(11B) 내지 제5 구획부(11E)가 제2 열교부(15)로 되도록 설정하고 있지만, 제1 열교부(14) 및 제2 열교부(15)의 위치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가습 운전을 행하기 위한 실내기(2)의 구성에 근거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구획부(151), 제2 구획부(152), 제3 구획부(153), 제4 구획부(154), 제5 구획부(155)를 구비하는 실내 열 교환기(11)를 이용한다. 여기서 제1 구획부(151)는 실내기(2)의 전면 상방에 위치하고, 제2 구획부(152)는 실내기(2)의 전면 중앙부에 위치하며, 제3 구획부(153)는 전면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4 구획부(154)는 실내기(2)의 후부 상방에 위치하고, 제5 구획부(155)는 제4 구획부(154)의 한층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5 구획부(155)의 상단은, 상부로부터 침입하는 공기류가 제4 구획부(154)를 통과하는 공기류와 분기되어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제4 구획부(154)의 상부와 이격(離隔)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5 구획부(155)의 하단은, 제5 구획부(155)의 전열관 및 핀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가 제4 구획부(154)로 안내되도록, 제4 구획부(154)의 중간부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 열 교환기(11)는, 제5 구획부(155)가 제1 열교부(14) (도 2 참조)를 구성하고, 제1 구획부(151) 내지 제4 구획부(154)가 제2 열교부(15) (도 2 참조)를 구성하는 것이며, 제1 구획부(151) 내지 제4 구획부(154)의 냉매 경로와 제5 구획부(155)의 냉매 경로는 전동 팽창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역 밸브 (도시하지 않음)에서 접속되어 있다.
실내기(2)는, 내부 기구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싱에 실내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상부 흡입구(171) 및 전면 흡입구(172)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 흡입구(171) 및 전면 흡입구(172)로부터 빨아들인 공기 중의 이물을 없애기 위한 방진 필터(173)가장착된다.
또한, 실내기(2)의 내부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51), 제2 구획부(152), 제3 구획부(153)의 하방에 위치하여, 각 구획부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받기 위한 제1 드레인 판(174)이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실내기(2)의 내부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4 구획부(154) 및 제5 구획부(155)의 하방에 위치하여, 각 구획부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받기 위한 제2 드레인 판(175)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2)의 중앙부에는, 실내 공기를 도입하고 실내 열 교환기(11)에 의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류를 생성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2)의 하부 전면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에 의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로 불어내기 위한 취출구(176)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실내기(2)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55)의 후방에 위치하여 냉각 건조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냉각 건조 공기 배기 경로(162)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 건조 공기 배기 경로(162) 내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55)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공기류를 생성하는 배기 팬(163)과, 배기 팬(163)을 구동하기 위한 팬 모터(1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 건조 공기 배기 경로(162)의 실내기(2)측에는, 배기 팬(163)에 의하여 생성되는 공기류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댐퍼(damper)(161)가 장착되어 있다. 댐퍼(161)는,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 수단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동되고, 도 4에 도시하는 차단 위치와 도 5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습 운전을 행하지 않는 통상 운전시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퍼(161)를 차단 위치로 한다. 전면 흡입구(172)로부터 도입되는 실내 공기는, 방진 필터(173)를 통과 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2 구획부(152), 제3 구획부(153)를 통과하고, 각 구획부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면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되는 실내 공기는, 방진 필터(173)를 통과 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51), 제4 구획부(154)를 통과하고, 각 구획부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상면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55)를 배면측으로부터 통과하고 나아가 제4 구획부(154)를 통과하여, 각 구획부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가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퍼(161)를 개방 상태로 하고, 가역 밸브를 감압 상태로 제어하여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55)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고 제1 구획부(151) 내지 제4 구획부(154)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킨다. 또한, 팬 모터(164)에 의하여 냉각 건조 공기 배기 경로(162) 내에 설치된 배기 팬(163)을 구동하여, 실내기(2) 내에 도입된 공기의 일부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 상태에서 크로스 플로우 팬(12)을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흡입구(172)로부터 도입되는 실내 공기는, 방진 필터(173)를 통과 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2 구획부(152), 제3 구획부(153)를 통과하여, 각 구획부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면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되는 실내 공기는, 방진 필터(173)를 통과 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51), 제4 구획부(154)를 통과하고, 각 구획부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상면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는, 냉각 건조 공기 배기 경로(162) 내에 설치된 배기 팬(163)에 의한 공기류에 의하여,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55)를 통과하고, 제5 구획부(155)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 교환한 후, 냉각 건조 공기 배기 경로(162)로 안내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이 때,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55)는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고, 도입되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이 제5 구획부(155)를 형성하는 전열관 및 핀의 외표면에 결로수로 되어 부착한다. 이 결과, 제5 구획부(155)를 통과한 후의 공기는, 제습되어 냉각 건조 공기로 되어 있다.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55)는 제4 구획부(154)의 중간부에 근접 또는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제5 구획부(155)의 전열관 및 핀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는, 핀의 외표면을 안내되어 제4 구획부(154)의 외표면에 도달한다. 여기서,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4 구획부(154)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된 실내 공기를 가열함과 함께, 제5 구획부(155)로부터 안내된 결로수를 가열하여, 가습 공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55)에서 추출하고, 제4 구획부(154)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 공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55)를 통과한 후의 냉각 건조 공기는, 냉각 건조 공기 배기 경로(162)에 의하여 실외로 배출되기 때문에, 가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구획부(181), 제2 구획부(182), 제3 구획부(183), 제4 구획부(184), 제5 구획부(185)를 구비하는 실내 열 교환기(11)를 이용한다.
여기서 제1 구획부(181)는 실내기(2)의 전면 상방에 위치하고, 제2 구획부(182)는 실내기(2)의 전면 중앙부에 위치하며, 제3 구획부(183)는 전면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4 구획부(184) 및 제5 구획부(185)는 실내기(2)의 후부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5 구획부(185)는, 제4 구획부(18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5 구획부(185)의 전열관 및 핀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가 제4 구획부(154)로 안내되도록, 제5 구획부(185)의 하단부와 제4 구획부(184)의 상단부가 중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 열 교환기(11)는, 제5 구획부(185)가 제1 열교부(14) (도 2 참조)를 구성하고, 제1 구획부(181) 내지 제4 구획부(184)가 제2 열교부(15) (도 2 참조)를 구성하는 것이고, 제1 구획부(181) 내지 제4 구획부(184)의 냉매 경로와 제5 구획부(185)의 냉매 경로는 전동 팽창 밸브 등으로이루어지는 가역 밸브 (도시하지 않음)에서 접속되어 있다.
실내기(2)는, 내부 기구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싱에 실내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상부 흡입구(171) 및 전면 흡입구(172)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 흡입구(171) 및 전면 흡입구(172)로부터 빨아들인 공기 중의 이물을 없애기 위한 방진 필터(173)가 장착된다.
또한, 실내기(2)의 내부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81), 제2 구획부(182), 제3 구획부(183)의 하방에 위치하여, 각 구획부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받기 위한 제1 드레인 판(174)이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실내기(2)의 내부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4 구획부(184) 및 제5 구획부(185)의 하방에 위치하여, 각 구획부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받기 위한 제2 드레인 판(175)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2)의 중앙부에는, 실내 공기를 도입하고 실내 열 교환기(11)에 의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류를 생성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2)의 하부 전면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에 의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로 불어내기 위한 취출구(176)가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176)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81) 내지 제3 구획부(183) 및 제5 구획부(185)를 통과한 후의 혼합 건조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수직 플랩(191)과, 제4 구획부(184)를 통과한 후의 난방 가습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수직 플랩(192)이 설치되어 있다.
가습 운전을 행하지 않는 통상 운전시에는, 제1 수직 플랩(191) 및 제2 수직플랩(192)은 동일한 위치이고, 사용자가 희망하는 취출 방향 또는 장치가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취출 방향으로 설정된다. 또한, 실내 열 교환기(11)에 설치되어 있는 가역 밸브를 개방 상태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1 구획부(181) 내지 제5 구획부(185)는 모두 증발기 또는 응축기 중 동일하게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통상의 난방 운전 또는 냉방 운전 (또는 드라이 모드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가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가역 밸브를 감압 상태로 제어하여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85)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고 제1 구획부(181) 내지 제4 구획부(184)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킨다.
이 상태에서 크로스 플로우 팬(12)을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흡입구(172)로부터 도입되는 실내 공기는, 방진 필터(173)를 통과 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2 구획부(182), 제3 구획부(183)를 통과하고, 각 구획부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면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되는 실내 공기는, 방진 필터(173)를 통과 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81)를 통과하고, 제1 구획부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상면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85)를 통과하고, 제5 구획부(185)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이 때,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85)는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고,도입되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이 제5 구획부(185)를 형성하는 전열관 및 핀의 외표면에 결로수로 되어 부착한다. 이 결과, 제5 구획부(155)를 통과한 후의 공기는, 제습되어 냉각 건조 공기로 되어 있다.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85) 하단부는 제4 구획부(154)의 상단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5 구획부(185)의 전열관 및 핀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는, 핀의 외표면을 안내되어 제4 구획부(184)의 외표면에 도달한다. 여기서,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4 구획부(184)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된 실내 공기를 가열함과 함께, 제5 구획부(185)로부터 안내된 결로수를 가열하여, 가습 공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85)에서 추출하고, 제4 구획부(184)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 공기로 할 수 있다.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81) 내지 제3 구획부(183)를 통과한 후의 난방 건조 공기와, 제5 구획부(185)를 통과한 후의 냉방 건조 공기는 혼합되어 혼합 건조 공기로 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4 구획부(184)를 통과한 후의 공기는, 제5 구획부(185)에서 결로수로 되어 추출된 수분이 부여된 난방 가습 공기로 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이 때, 혼합 건조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수직 플랩(191)과, 난방 가습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수직 플랩(192)은, 취출 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람이 존재하는 실내의 중앙 영역으로 난방 가습 공기가 불어 나오도록 제2 수직 플랩(192)의 방향을 설정하고, 벽면이나 유리창 등이 존재하는 주변 영역으로 혼합 건조 공기가 불어 나오도록 제2 수직 플랩(191)의 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방(R)의 중앙에 배치된 침대(B)를 향하여, 난방 가습 공기(W)가 불어 나오도록 제2 수직 플랩(192)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방(R)의 중앙부에 가습 영역(WA)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때, 실내기(2)의 좌우 방향에 혼합 건조 공기(D)가 불어 나오도록 제1 수직 플랩(191)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방(R)의 주변에 건조 영역(DA)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술과 같은 설정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사람이 존재하는 영역을 가습 영역(WA)으로 하는 것으로 인간이 체감하는 가습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벽면이나 유리창 등의 결로하기 쉬운 위치에 건조 영역(DA)을 설정할 수 있어, 가습의 효율을 높이고,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제1 수직 플랩(191) 및 제2 수직 플랩(192)의 취출 방향은, 리모컨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기(2)에 인체 센서를 탑재하여 두어 자동적으로 사람이 존재하는 방향으로 난방 가습 공기를 송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 채용되는 실내기(2)는 제3 실시예에 이용되는 실내기(2)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구획부(181), 제2 구획부(182), 제3 구획부(183), 제4 구획부(184), 제5 구획부(185)를 구비하는 실내 열 교환기(11)를 이용한다.
여기서 제1 구획부(181)는 실내기(2)의 전면 상방에 위치하고, 제2 구획부(182)는 실내기(2)의 전면 중앙부에 위치하며, 제3 구획부(183)는 전면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4 구획부(184) 및 제5 구획부(185)는 실내기(2)의 후부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5 구획부(185)는, 제4 구획부(18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5 구획부(185)의 전열관 및 핀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가 제4 구획부(154)로 안내되도록, 제5 구획부(185)의 하단부와 제4 구획부(184)의 상단부가 중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 열 교환기(11)는, 제5 구획부(185)가 제1 열교부(14) (도 2 참조)를 구성하고, 제1 구획부(181) 내지 제4 구획부(184)가 제2 열교부(15) (도 2 참조)를 구성하는 것이고, 제1 구획부(181) 내지 제4 구획부(184)의 냉매 경로와 제5 구획부(185)의 냉매 경로는 전동 팽창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역 밸브 (도시하지 않음)에서 접속되어 있다.
실내기(2)는, 내부 기구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싱에 실내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상부 흡입구(171) 및 전면 흡입구(172)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 흡입구(171) 및 전면 흡입구(172)로부터 빨아들인 공기 중의 이물을 없애기 위한 방진 필터(173)가 장착된다.
또한, 실내기(2)의 내부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81), 제2 구획부(182), 제3 구획부(183)의 하방에 위치하여, 각 구획부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받기 위한 제1 드레인 판(174)이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실내기(2)의 내부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4 구획부(184) 및 제5 구획부(185)의 하방에 위치하여, 각 구획부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받기 위한 제2 드레인 판(175)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2)의 중앙부에는, 실내 공기를 도입하고 실내 열 교환기(11)에 의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류를 생성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2)의 하부 전면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에 의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로 불어내기 위한 취출구(176)가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176)에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81) 내지 제3 구획부(183)를 통과한 후의 난방 건조 공기, 제5 구획부(185)를 통과한 후의 냉각 건조 공기 및 제4 구획부(184)를 통과한 후의 난방 가습 공기를 각각 실내의 상하 방향에 위치하는 소정 영역으로 안내하는 제1 수평 플랩(195) 및 제2 수평 플랩(196)이 설치되어 있다.
가습 운전을 행하지 않는 통상 운전시에는, 제1 수평 플랩(195) 및 제2 수평 플랩(196)은 운전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희망하는 취출 방향 또는 장치가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취출 방향으로 설정된다. 또한, 실내 열 교환기(11)에 설치되어 있는 가역 밸브를 개방 상태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1 구획부(181) 내지 제5 구획부(185)는 모두 증발기 또는 응축기 중 동일하게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통상의 난방 운전 또는 냉방 운전 (또는 드라이 모드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가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가역 밸브를 감압 상태로 제어하여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85)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고 제1 구획부(181) 내지 제4 구획부(184)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킨다.
이 상태에서 크로스 플로우 팬(12)을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흡입구(172)로부터 도입되는 실내 공기는, 방진 필터(173)를 통과 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2 구획부(182), 제3 구획부(183)를 통과하고, 각 구획부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면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되는 실내 공기는, 방진 필터(173)를 통과 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81)를 통과하고, 제1 구획부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상면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는,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85)를 통과하고, 제5 구획부(185)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을 행한 후, 취출구(176)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이 때,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85)는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고, 도입되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이 제5 구획부(185)를 형성하는 전열관 및 핀의 외표면에 결로수로 되어 부착한다. 이 결과, 제5 구획부(155)를 통과한 후의 공기는, 제습되어 냉각 건조 공기로 되어 있다.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85) 하단부는 제4 구획부(154)의 상단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5 구획부(185)의 전열관 및 핀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는, 핀의 외표면을 안내되어 제4 구획부(184)의 외표면에 도달한다. 여기서,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4 구획부(184)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흡입구(171)로부터 도입된 실내 공기를 가열함과 함께, 제5 구획부(185)로부터 안내된 결로수를 가열하여, 가습 공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5 구획부(185)에서 추출하고, 제4 구획부(184)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 공기로 할 수 있다.
이 때, 제1 수평 플랩(195) 및 제2 수평 플랩(196)을 제어하여,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81) 내지 제3 구획부(183)를 통과한 후의 난방 건조 공기와, 제5 구획부(185)를 통과한 후의 냉방 건조 공기가 혼합되어 약난 건조 공기로 하여, 실내의 상부 영역으로 불어 나오고, 또한 제4 구획부(184)를 통과한 후의 공기가, 약난 건조 공기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실내의 하부 영역으로 불어 나오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R)의 하방 영역에 침대(B)가 설치되어 있고, 이 침대(B) 위에서 취침 중인 사람에 대해서 가습 공기를 송출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평 플랩(195), 제2 수평 플랩(196)을 제어하여 난방 가습 공기가 방(R)의 하부 영역으로 불어 나오도록 한다.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81) 내지 제3 구획부(183)를 통과한 후의 난방 건조 공기와, 제5 구획부(185)를 통과한 후의 냉방 건조 공기가 혼합된 약난 건조 공기는, 제4 구획부(184)를 통과한 후의 난방 가습 공기를 하방으로 누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난방 가습 공기가 방(R)의 상부 영역으로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난방 가습 공기에 의한 가습 영역(WA)을 방(R)의 하부 영역에 형성하고, 약난 건조 공기에의한 건조 영역(DA)을 방(R)의 상부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람이 존재하는 위치를 스팟 가습하도록 구성 할 수 있어, 인간이 체감하는 가습 효과를 높이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의 여분의 가습에 의한 곰팡이의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수평 플랩(195) 및 제2 수평 플랩(196)의 구성에 대신하여, 수평 플랩이 하나의 구성 또는 수평 플랩이 3이상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약난 건조 공기와 난방 가습 공기를 방(R) 내의 다른 영역으로 송출하도록 하는 구성이면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내 열 교환기(11)의 제1 구획부(181) 내지 제3 구획부(183)를 통과한 후의 난방 건조 공기와, 제5 구획부(185)를 통과한 후의 냉방 건조 공기를 혼합하지 않고, 난방 건조 공기를 상부 영역을 향하여 송출하고, 냉방 건조 공기를 중간 영역으로 송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냉방 건조 공기에 의한 난방 가습 공기의 누름이 보다 확실히 행해져, 난방 가습 공기에 의한 스팟 가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내 열 교환기의 제1 열교부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제2 열교부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압력 조정 기구를 제어하여, 제1 열교부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를 제2 열교부의 외표면 근방으로 안내하면, 제2 열교부에서 열 교환된 난방 공기 및 제2 열교부 내부의 냉매에 의하여 수분이 증발하여 난방 공기가 가습되는 것으로 되어, 실내에 가습 조정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내 열 교환기의 방열핀에 의하여 제1 열교부의 외표면에 부착한 결로수를 제2 열교부의 외표면 근방으로 효율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내 열 교환기를 통과한 후의 가습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고, 건조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습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예를 들어 인간이 존재하는 실내 중앙부의 하방 영역에 대해서 난방 가습 공기를 안내하도록 설정하고, 벽면이나 유리창이 있는 주변부에 건조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인간이 체감하는 가습 효과를 높일 수 있어, 벽면이나 유리창 등에 결로를 생기기 어렵게 하여, 가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의 정면에 인간이 있는 경우에, 수직 플랩을 조정하여 난방 가습 공기류가 공기 조화기의 정면이 되도록 설정하고, 건조 공기류가 공기 조화기로부터 좌우로 확산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인간이 존재하는 장소에 가습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벽면이나 유리창 등의 결로하기 쉬운 개소에의 여분의 습도의 공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건조 공기류 중에는 제1 열교부를 통과한 후의 냉각 건조 공기가 포함되어 있고, 난방 가습 공기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실내의 하방 영역을 가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마루면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인간에 대한 가습 효과를 높일 수가 있어, 취침시에 공조 운전을 행할 때에 효과적인 가습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서는, 냉각 건조 공기류에 의한 난방 가습 공기류의 누름이 보다 효과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의 하부 영역에 대한 가습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냉각 건조 공기가 난방 건조 공기와 혼합되어 약난 건조 공기류로 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난방 가습 공기와의 온도차가 줄어들고 있어, 이 약난 건조 공기류에 접촉해도 위화감이 줄어들게 된다. 약난 건조 공기류에 의한 난방 가습 공기의 누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의 하부 영역에서의 가습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실내 팬(fan)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도입하고, 실내 열 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외표면을 통과하는 실내 공기 간에서 열 교환을 행하여, 열 교환 후의 조정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 교환기는,
    제1 열교부(熱交部)와,
    제2 열교부와,
    상기 제1 열교부와 제2 열교부를 직렬로 접속함과 함께, 상기 제1 열교부와 제2 열교부의 어느 한쪽이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다른쪽이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냉매의 압력 조정이 가능한 압력 조정 기구와,
    상기 제1 열교부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2 열교부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압력 조정 기구를 제어할 때, 상기 제1 열교부의 외표면에 부착하는 결로수(結露水)를 상기 제2 열교부의 외표면 근방으로 안내하여, 상기 제2 열교부에서 열 교환한 후의 조정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
    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부 및 제2 열교부는, 내부를 냉매가 통과하는 전열관과 외표면을 통과하는 공기류와 평행하게 상기 전열관에 장착되는 복수의 방열핀(fin)을 구비하고, 상기 방열핀 외표면이 상기 제1 열교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제2 열교부의 외표면 근방으로 결로수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구성하는, 공기 조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부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2 열교부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압력 조정 기구를 제어할 때, 상기 제1 열교부를 통과한 후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건조 공기 배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부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2 열교부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압력 조정 기구를 제어할 때, 상기 제2 열교부에 의하여 가습된 조정 공기를 난방 가습 공기류로 하여 실내로 배출하는 난방 가습 공기 안내 수단과, 상기 제2 열교부에 의하여 가습된 공기 이외의 열 교환 후의 조정 공기를 상기 난방 가습 공기류와 다른 건조 공기류로 하여 실내로 배출하는 건조 공기 안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가습 공기 안내 수단 및 건조 공기 안내 수단은, 난방 가습 공기류를 좌우 방향에서의 소정 각도로 설정하고, 건조 공기류를 좌우 방향에서의 다른 각도로 설정하는 수직 플랩(flap)인, 공기 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가습 공기 안내 수단 및 건조 공기 안내 수단은, 난방 가습 공기류가 실내의 하부 영역을 통과하고, 건조 공기류가 상기 난방 가습 공기류보다도 상부 영역을 통과하도록 설정하는 수평 플랩인, 공기 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부는, 상기 제1 열교부로부터의 결로수가 공급되어 가습 공기를 생성하는 난방 가습 공기 생성부와, 상기 제1 열교부로부터의 결로수가 공급되지 않는 난방 건조 공기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플랩은, 상기 난방 가습 공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난방 가습 공기를 실내의 하부 영역을 통과하는 난방 가습 공기류로 하여 배출하고, 상기 제1 열교부에서 생성되는 냉각 건조 공기를 상기 난방 가습 공기류보다도 상부 영역을 통과하는 냉각 건조 공기류로 하여 배출하며, 상기 난방 건조 공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난방 건조 공기를 상기 냉각 건조 공기류보다도 한층 상부 영역을 통과하는 난방 건조 공기류로 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부는, 상기 제1 열교부로부터의 결로수가 공급되어 가습 공기를 생성하는 난방 가습 공기 생성부와, 상기 제1 열교부로부터의 결로수가 공급되지 않는 난방 건조 공기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플랩은, 상기 난방 가습 공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난방 가습 공기를 실내의 하부 영역을 통과하는 난방 가습 공기류로 하여 배출하고, 상기 제1 열교부에서 생성되는 냉각 건조 공기와 상기 난방 건조 공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난방 건조 공기가 혼합된 약난 건조 공기를 상기 난방 가습 공기류보다도 상부 영역을 통과하는 약난 건조 공기류로 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47005827A 2001-10-26 2002-09-26 공기 조화기 KR100569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28983 2001-10-26
JP2001328983A JP3731113B2 (ja) 2001-10-26 2001-10-26 空気調和機
PCT/JP2002/009986 WO2003036179A1 (en) 2001-10-26 2002-09-26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969A true KR20040048969A (ko) 2004-06-10
KR100569548B1 KR100569548B1 (ko) 2006-04-10

Family

ID=1914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827A KR100569548B1 (ko) 2001-10-26 2002-09-26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45548A4 (ko)
JP (1) JP3731113B2 (ko)
KR (1) KR100569548B1 (ko)
CN (1) CN1270133C (ko)
AU (1) AU2002332328B2 (ko)
WO (1) WO2003036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4354B2 (ja) 2004-04-08 2005-11-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036860B2 (ja) 2004-11-12 2008-01-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9085574A (ja) * 2007-10-03 2009-04-2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12093083A (ja) * 2011-12-19 201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除加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WO2016208567A1 (ja) * 2015-06-25 2016-12-2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設置形空気調和機および熱交換器
JP2018025342A (ja) * 2016-08-09 2018-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8025344A (ja) * 2016-08-09 2018-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18180240A1 (ja) * 2017-03-27 2018-10-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冷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5554U (ko) * 1972-12-08 1974-08-17
JPS5783328U (ko) * 1980-11-12 1982-05-22
JPS5872824A (ja) * 1981-10-27 1983-04-30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機の加湿装置
JPH0225060Y2 (ko) * 1985-10-04 1990-07-10
JPH07122507B2 (ja) * 1986-07-07 1995-12-25 松下冷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057702B2 (ja) * 1990-02-09 2000-07-0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7229647A (ja) * 1994-02-18 1995-08-2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0829012A (ja) * 1994-07-20 1996-02-02 Kubota Corp ヒートポンプ装置
JP3724011B2 (ja) * 1995-08-02 2005-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JPH11201488A (ja) * 1998-01-20 1999-07-3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1263859A (ja) * 2000-03-17 2001-09-2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2001349569A (ja) * 2000-06-02 2001-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1082759A (ja) * 2000-08-30 2001-03-30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3823810B2 (ja) * 2001-11-20 2006-09-2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0133C (zh) 2006-08-16
CN1575398A (zh) 2005-02-02
AU2002332328B2 (en) 2005-09-08
WO2003036179A1 (en) 2003-05-01
JP3731113B2 (ja) 2006-01-05
KR100569548B1 (ko) 2006-04-10
EP1445548A1 (en) 2004-08-11
EP1445548A4 (en) 2008-06-25
JP2003130382A (ja) 200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12033A (ja) 空気調和装置
KR102283641B1 (ko) 상대습도를 감소시키는 제습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0220877A (ja) 換気空調機
JP3786090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569548B1 (ko) 공기 조화기
JP4478004B2 (ja) 空気調和機
JP3818378B2 (ja) スリム形エアコン
JP3855393B2 (ja) 空気調和装置
JP3818379B2 (ja) 床埋込形エアコン
JP3249466B2 (ja) 加湿・換気・除湿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2020159595A (ja) 調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2019184124A (ja) 空気調和機
JP3726796B2 (ja) 壁設置用一体形エアコン
CN219656200U (zh) 除湿设备及空气调节装置
JP7223082B1 (ja) 空調室内機
JP7168891B1 (ja) 空調室内機
KR20110087894A (ko) 열교환 환기 장치
JP3595446B2 (ja) 加湿・換気・除湿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5291505A (ja) 調湿装置
JP4339149B2 (ja) 除湿空調装置
JP2022112418A (ja) 調湿装置
JP2024038876A (ja) 空気調和機
JP4777850B2 (ja) 空気調和機
JP2024039432A (ja) 空気調和機
JP2010121876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