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841A - 프로세스유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세스유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841A
KR20040047841A KR10-2004-7004014A KR20047004014A KR20040047841A KR 20040047841 A KR20040047841 A KR 20040047841A KR 20047004014 A KR20047004014 A KR 20047004014A KR 20040047841 A KR20040047841 A KR 20040047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ess
mass
solv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575B1 (ko
Inventor
카이마이다카시
모리시마요시유키
후지노켄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저펜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1257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4784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저펜에너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저펜에너지
Publication of KR20040047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neral or fatty oil
    • C10M101/02Petroleum fr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3/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refin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3/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refining processes
    • C10G53/16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refining processes plural parallel stag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67/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process for refin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nly
    • C10G67/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process for refin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 C10G67/04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process for refin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including solvent extraction as the refining step in the absence of hydrogen
    • C10G67/0409Extrac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 C10G67/0418The hydrotreatment being a hydro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74Vacuum distil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77Vacuum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30Physical properties of feedstocks or products
    • C10G2300/301Boiling r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30Physical properties of feedstocks or products
    • C10G2300/302Visc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4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06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8Residual fractions, e.g. bright stocks
    • C10M2203/1085Residual fractions, e.g. bright stock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15Distillation r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2Viscosity;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67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2Pour-point;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64Environmental friendly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감압증류 잔사유의 탈력유를 용제추출하여 얻은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엑스트락트와,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라피네이트이며,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광유계기유, 또는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라피네이트를 수소화정제 및/또는 탈납 처리함으로서 얻은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광유계기유를 질량비 95/5~5/95의 비율로 혼합한, 1OO℃의 동점도가 32㎟/s 미만, %CA가 15~3O, 아닐린점이 1OO℃이하, 증발질량변화율이 O.5%이하, 또한 변이원성지수가 1 미만인 프로세스유 및 그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프로세스유 및 그의 제조방법 { PROCESS OI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프로세스유는, 고무 폴리머 조직에 대한 침투성을 이용하여, 혼련, 압출, 성형 등의 고무 제조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또한, 고무제품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유에는, 고무에 대한 매우 적합한 친화성을 가질 것이 필요하다. 한편, 가공하는 고무에는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가 있고, 합성고무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것이 있다. 이러한 것 중, 특히 천연고무 및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가 다량으로 이용되고 있고, 이것들에는 방향족탄화수소를 다량으로 함유하여 고무에 높은 친화성을 가지는 프로세스유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유를 얻기 위해, 원유의 감압증류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윤활유유분이나, 감압증류잔유를 탈력한 후, 필요에 따라 탈납 처리나 수소화정제 처리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기름을 방향족탄화수소에 친화성을 가지는 용제로 기름을추출 처리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이른바 엑스트락트가 이용된다. 이렇게 해서 얻을 수 있는 프로세스유는, 컬럼크로마트그래피에 의하면 70~99질량%의 방향족화합물을 함유하고, n-d-M환분석에 의하면 %CA값은 20~5O이고, 영국석유협회의 IP 346 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다환방향족화합물(PCA)의 함량에 상당하는 디메틸설폭시드 (DMSO)추출분을 5~25질량% 함유한다.
그러나, 근년, PCA의 발암성이 중요시되어, 유럽에서는, 3질량% 이상의 DMSO 추출분을 함유하는 기름 등에는 유독표시가 의무지워져, 사용을 규제하는 움직임이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유의 DMSO추출분을 3질량% 미만으로 감량하는 것이 급무(急務)가 되고 있다.
DMSO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프로세스유에 대해서, 특표평 6-5O5524호 공보에는, 감압증류 잔류분을 탈력 처리하여, 얻은 기름을 탈납 처리해서 DMSO 추출분을 3질량% 미만으로 감소시킨 프로세스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프로세스유는 DMSO 추출분을 낮게 한 결과, 아닐린점이 높아지고 있다. 아닐린점은 방향족탄화수소의 함량의 지표가 되며, 아닐린점이 높다는 것은 방향족탄화수소 함량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스유 중의 방향족탄화수소 함량이 줄면, 기름의 고무에 대한 친화성이 감소하고, 프로세스유에 필요한 성질, 즉, 고무폴리머에 대한 프로세스유의 침투성이 저하해서, 최종 고무제품의 물리적 상태를 만족한 것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특표평 7-5O1346호 공보에는, 비발암성 브라이트스톡 추출물 및/또는탈력유 및 그의 정제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변이원성지수(MI)를 1미만으로 하기 위해, MI와 상관이 있는 특성을 정제의 지표로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것에 있어서는 진공증류 컬럼 중의 잔사의 탈력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기름, 또는 탈력유의 추출처리에 의해 방향족화합물이 감소한 기름 또는 그 탈납 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기름이 사용되고 있다. 단, DMSO 추출분은 3질량%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탈력유의 MI와 DMSO 추출분의 관계에 대해서는 그 특허에서는 발표되어 있지는 않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무폴리머에 대한 침투성이 높고, DMSO 추출분 3질량% 미만인 프로세스유의 제조방법을 제안했다 (특원 20O1- 1O8354호). 그러나, 이 프로세스유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고무에의 배합에 있어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폴리머에 대한 침투성이 뛰어나고, DMSO 추출분 3 질량% 미만으로 안전성이 높음과 동시에, 작업성을 개선한 프로세스유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에 첨가하는 프로세스유에 관하며, 특히는, 다환방향족화합물의 함유량을 적게 함으로서 독성 및 발암성이 없고, 취급이 용이한 프로세스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1) 하기 (i)의 엑스트락트와 하기 (ii)의 광유계기유를, 질량비 95/5~5/95의 비율로 혼합한 10O℃의 동점도가 32㎟/s 미만, %CA가 15~3O, 아닐린점이 1OO℃이하, 증발질량변화율이 0.5%이하, 또한 변이원성지수가 1 미만인 프로세스유.
(i) 감압증류 잔사유의 탈력유를 용제정제하여 얻은 DMSO 추출분이 3질량 % 미만인 엑스트락트,
(ii)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라피네이트이며,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광유계기유, 또는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라피네이트를 수소화정제 및 / 또는 탈납 처리함으로서 얻은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광유계기유,
(2) 상기 엑스트락트는 100℃의 동점도가 5O~1OO㎟/s, %CA가 15~35, 아닐린점이 90℃ 이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향족분이 60질량% 이상인 상기 (1)에 기재한 프로세스유,
(3) 상기 광유계기유는 1OO℃의 동점도가 4~2O㎟/s, %CA가 3~2O, 아닐린점이 120℃ 이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향족분이 10질량% 이상인 상기 (1)에 기재한 프로세스유, 및
(4) 감압증류 잔사유를 탈력유의 잔류 탄소분이 1.6질량% 이하가 되는 조건에서 탈력하고, 얻은 탈력유를 엑스트락트 수율이 35~6O%가 되는 조건에서 용제정제하여 얻은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엑스트락트에, 상압환산비점이 3OO~7OO℃의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라피네이트에서 이루어지는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광유계기유, 또는 상압환산비점이 3OO~7OO℃의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라피네이트를 수소화정제 및/또는 탈납 처리함으로서 얻은 DMSO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광유계기유를 질량비 95/5~5/9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프로세스유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프로세스유는, 탈력유를 용제추출해서 얻은 엑스트락트와, 라피네이트 또는 라피네이트를 정제한 광유계기유를 혼합한 것이다. 이 혼합 비율로서는 질량비로 95/5~5/95 인데, 특히는, 80/2O~20/8O으로 하면 소정의 프로세스유의 조제가 용이해져서, 바람직하다. 이 혼합에 있어서 프로세스유는, 1OO℃의 동점도
(JIS K2283-1993에 규정하는 방법)가 32㎟/s 미만, %CA(ASTM D214O에 규정하는 방법)가 15~3O, 아닐린점 (JIS K2256-1998에 규정하는 방법)이 1OO℃ 이하, 증발질량변화율 (JIS K22O7 의 「6.9 증발시험방법」의 규정에 준하는 방법으로, 시료를 163℃의 항온 공기조 안에 3시간 유지한 후, 시료의 질량변화량을 측정하여, 가열전 시료의 질량에 대한 백분율로서 산출되는 것)이 O.5% 이하이고, 또한 변이원성지수(ASTM E1687-98이 규정하는 방법)가 1 미만이 되도록 조정된다.
이 프로세스유의 1OO℃의 동점도가 32㎟/s 이상이면 프로세스유를 고무에 배합하기 위한 작업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배합 후의 고무제품의 점도저하효과가 충분하지 않게 된다. 또한, %CA가 15 미만인 경우, 고무제품의 물리특성이 저하하고, 한편, %CA가 3O을 넘으면, 역시 고무제품의 물리특성이 저하한다. 게다가, 아닐린점이 1OO℃를 넘으면, 고무와의 상용성이 저하한다. 증발질량변화율이 0.5%를 넘으면 프로세스유를 고무에 배합하기 위한 작업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배합 후의 고무가황시에 유분증발에 의해 고무제품의 물리특성이 저하한다. 또한 더욱이 변이원성지수가 1 이상이면 발암의 가능성이 나온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엑스트락트는, 방향족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지만, 다환방향족은 발암성의 관점에서 저농도로 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감압증류 잔사유의 탈력유를 용제추출한 것이며, DMSO 추출분(영국석유협회에서 IP346으로서 규정하는 방법)이 3질량% 미만인 것이다.
이 엑스트락트는, 1OO℃의 동점도 5O~1O0㎟/s, %CA15~35, 아닐린점이 90℃이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향족분이 6O~95질량%의 성상을 가지는 것을 이용하면, 상기 성상의 프로세스유의 조제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광유계기유는, 주로서, 상기 엑스트락트의 프로세스유로서의 양호한 성상을 손상하지 않고 점도를 조정할 목적에서 혼합되는 것으로,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라피네이트, 혹은 상기 라피네이트가 DMSO 추출분 3질량% 이상인 경우나 소망에 의해, 이 라피네이트를 수소화정제나 탈납 처리하여, 특히 DMSO 추출분 3질량% 미만으로 한 것을 이용한다.
이 광유계기유로서는, 1OO℃의 동점도가 4~20 ㎟/s, %CA가 3~2O, 아닐린점이 120℃ 이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향족분이 10질량% 이상인 것이, 상기 성상의 프로세스유의 조제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소정의 성상을 가지는 엑스트락트는, 원유를 상압 증류한 잔사를 소정의 조건하에서 감압증류한 감압증류 잔사의 탈력에 의해 얻은 탈력유 유분을, 방향족탄화수소에 대해서 친화성을 가지는 용제로 추출 처리하여, 용제와 추출물(엑스트락트)을 분리 회수함에 따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출발원료인 원유는, 파라핀계 원유, 나프텐계 원유 등 여러가지 원유를, 단독 혹은 혼합해서 이용할 수 있는데, 특히는 파라핀계 원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증류는, 유출유(留出油)의 종점이 상압 환산 580℃ 이상으로 되는 조건 혹은 잔사의 초류점이 450℃ 이상으로 되는 조건에서 행하는 것이, 얻을 수 있는 엑스트락트 중의 방향족 함유량을 소정의 범위에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 감압증류로 얻은 잔사유를 탈력유의 잔류 탄소분이 1.6질량% 이하가 되는 조건에서 탈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 탄소분이 1.6질량%를 넘으면 엑스트락트 중의 PCA가 증가하는 것 외에, 얻을 수 있는 고점도 기유의 산화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경향이 있다.
얻은 탈력유를 방향족탄화수소에 선택적 친화성을 가지는 용제로 추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방향족탄화수소에 선택적 친화성을 가지는 용제로서는, 푸르푸랄 , 페놀 및 N-메틸-2-피롤리돈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을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 용제정제 공정에 있어서는 엑스트락트의 수율이 35~6O%가 되는 조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엑스트락트 수율이 35% 미만이 되는 조건에서는, DMSO 추출분을 3질량% 미만으로 조정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한편, 엑스트락트수율이 6O%를 넘으면, 엑스트락트 중의 방향족분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엑스트락트 수율을 상기의 범위로 하기 위한 구체적인 추출조건은, 탈력유 조성에도 의하기 때문에 일의적으로정할 수 없는데, 용제비, 압력, 온도 등을 적당히 선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온도 60℃이상, 바람직하게는 6O~155℃, 용제/유비(용적비)=2/1~7/1 정도에서 용제와 접촉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성상을 가지는 광유계기유는, 상압환산비점이 3OO~7OO℃의 감압증류 유분을 방향족탄화수소에 친화성을 가지는 용제로 추출하는 용제정제 처리를 행한다. 방향족탄화수소에 선택적 친화성을 가지는 용제로서는, 푸르푸랄, 페놀 및 N-메틸-2-피롤리돈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용제정제 공정에 있어서는, 통상의 윤활유기유를 정제하는 조건, 예를 들면, 푸르푸랄을 추출용매로서 이용하는 경우, 온도 6O~155℃, 용제/유비(용적비)=1/1~3/1 정도에서 용제와 접촉시키면 된다. 이렇게 해서 얻은 라피네이트로, 나프텐계 원유를 이용해서 얻은 대부분은, 이 라피네이트인 채로도, DMSO 추출물이 3질량% 미만이며, 광유계기유의 상기 바람직한 성상을 충족하기 때문에, 이것을 광유계기유로서 이용할 수 있다.
DMSO 추출물이 3질량% 이상인 경우나 그 밖에 소망에 의해, 라피네이트를 수소화정제 및/또는 용제탈납 혹은 수소화탈납 처리에 의해, 탈납함으로서, 보다 바람직한 광유계기유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수소화정제는, 니켈, 코발트, 몰리브덴 등의 활성금속 1종 이상을 알루미나나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담체에 담지한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압 5~15MPa, 온도 3OO~4O0℃, 액공간속도(LHSV) 1~5Hr-1의 조건에서 행하면 된다. 또한, 상기 용제탈납은, 예를 들면, 메틸에틸케톤/톨루엔의혼합용매하에, 용매/유비(용적비)=1/1~5/1, 온도 -1O~-40℃에서 행하면 되고, 또한, 수소화탈납은, 제올라이트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압 5~15MPa, 온도 3OO~4OO℃, LHSV 1~5Hr-1의 조건에서 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은 엑스트락트와 광유계기유를 질량비로 95/5~5/95, 특히 바람직하게는, 80/2O~20/80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서 프로세스유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로세스유는, 안전성이 높고 고무폴리머에 대한 침투성도 높으며, 또한 배합 후의 고무에 블리드 등의 발생이 인정되지 않고, 게다가 점도가 낮기 때문에, 고무에의 배합에 있어 작업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이룬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항목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구했다.
[다환방향족화합물(PCA) 농도(DMSO 추출분)의 측정]
DMSO 추출분은, 영국석유협회 IP 346 (1992년판) 시험법에 따라 측정했다.
[환분석]
환분석치 %CA는, ASTM D2140-97에 의해 산출했다.
[동점도]
JIS K2283-1993의 규정에 의해 측정했다.
[아닐린점]
JIS K2256-1998의 규정에 의해 측정했다.
[점도지수]
JIS K2283-1993의 규정에 의해 산출했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향족분]
ASTM D2007-98의 규정에 의해 측정했다.
[변이원성지수(MI)]
ASTM E1687-98의 규정에 의해 측정했다.
[잔류 탄소분]
JIS K2270-1998의 규정에 의해 측정했다.
[증발질량변화율]
JIS K2207 「6.9 증발시험방법」의 규정에 준하는 방법으로, 163℃의 항온 공기조 안에 3시간 유지한 질량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산출했다.
(엑스트락트의 조제)
아라비안 라이트 원유를 종점이 상압비점환산으로 6OO℃가 되도록 감압증류해서 얻은 잔사유를 잔류 탄소분이 1.3질량%가 되도록, 프로판 탈력(용제비는 7OO %, 압력은 3.4MPa, 온도 72℃)하고, 용제에 푸르푸랄을 사용하여 용제/기름의 용량비 4OO%, 온도 120℃에서 추출처리를 행해, 엑스트락트수율 42%가 되도록 용제추출을 행했다.
이 엑스트락트의 DMSO 추출분은 2.5질량%, 1OO℃의 동점도는 59.3㎟/s, %CA는 23.9, 아닐린점은 83℃,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향족분은 72질량%였다.
(광유계기유의 조제)
기유 1
아라비안 라이트 원유에서 얻은 상압환산비점이 325~530℃의 감압증류 유분을 푸루푸랄 용제정제(용제/기름의 용량비 200%, 온도 1OO℃)하여 얻은 라피네이트를 Ni/Mo/Al2O3촉매를 사용해서 수소화정제(수소압: 9MPa, LHSV: 4Hr-1, 온도: 315℃)를 행하고, 경질분을 제거한 후, 용제탈납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 용제/유비 25O%, -20℃까지 냉각)을 행하여, 표 1 에 나타낸 성상을 가지는 광유계기유를 얻었다.
기유 2
아라비안 라이트 원유에서 얻은 상압환산비점이 362~600℃의 감압증류 유분을 푸르푸랄 용제정제(용제/기름의 용량비 2OO%, 온도 110℃)하여 얻은 라피네이트를 Ni/Mo/Al2O3촉매를 사용해서 수소화정제 (수소압:9MPa, LHSV:4Hr-1, 온도:330℃)를 행하고, 경질분을 제거한 후, 용제탈납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 용제/유비 250%, -20℃까지 냉각)을 행하여, 표 1 에 나타낸 성상을 가지는 광유계기유를 얻었다.
기유 3
완두 원유(나프텐계 원유)에서 얻은 상압환산비점이 34O~570℃의 감압증류 유분을 푸르푸랄 용제정제(용제/기름의 용량비 300%, 온도 110℃)하여, 표 1에 나타낸 성상의 라피네이트를 얻었다.
기유 4
아라비안 라이트 원유에서 얻은 상압환산비점이 360~590℃의 감압증류 유분을, Ni/W/Al2O3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분해(수소압:15MPa, LHSV:0.3Hr-1, 온도:390℃)를 행하고, 경질분을 제거한 후, 용제탈납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 용제/유비 25O%, -20℃까지 냉각)을 행하여, 표 1에 나타낸 성상을 가지는 광유계기유를 얻었다.
기유 5
아라비안 라이트 원유에서 얻은 상압환산비점이 251~425℃의 감압증류 유분을, Ni/Mo/Al2O3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정제 (수소압:9MPa, LHSV:0.5Hr-1, 온도:340℃)를 행하고, 경질분을 제거한 후, 제올라이트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화탈납(수소압:9MPa, LHSV:1.5Hr-1, 온도:350℃)을 행하여, 표 1에 나타낸 성상을 가지는 광유계기유를 얻었다.
기유 6
시판의 표 1에 나타낸 성상을 가지는 나프텐계 광유계기유를 이용했다.
표 1
기유 1 기유 2 기유 3 기유 4 기유 5 기유 6
100℃동점도(㎟/s) 4.8 11.0 6.0 11.0 2.3 5.6
아닐린점(℃) 102 110 76 125 78 96
%CA 4.2 5.3 12.5 0 9.9 0
크로마토그래피방향족분(질량%) 22 27 40 0 25 0
DMSO추출분(%) 0.7 1.4 2.1 0.2 0.6 0.3
(프로세스유의 조제)
상기에서 얻은 엑스트락트(EXT)에, 표 1의 성상의 광유계기유를 표 2에 나타낸 질량 비율(EXT/기유)로 혼합하여, 표 2에 나타내는 성상을 가지는 프로세스유를 조제했다.
표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사용 기유 기유 1 기유 2 기유 3 기유 4 기유 5 기유 6
EXT/기유비율(질량비) 80/20 70/30 75/25 70/30 85/15 75/25
100℃동점도(㎟/s) 28.7 31.3 31.3 31.1 29.4 30.3
아닐린점(℃) 87 91 81 96 82 86
%CA 20.0 18.3 21.1 16.7 24.1 17.2
크로마토그래피방향족분(질량%) 62 59 64 50 65 54
증발질량변화율(%) 0.1 0.1 이하 0.1 이하 0.1 이하 0.7 0.1
변이원성지수 1 미만 1 미만 1 미만 1 미만 1 미만 1 미만
(프로세스유의 평가)
상기에서 조제한 실시예 1~3, 비교예 1~3의 프로세스유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SBR 배합 (JIS K6383 「합성고무 SBR의 시험방법」)에 준하여, 표 3에 나타낸 배합제, 배합 비율에 따라, 배합, 혼련했다. 또, SBR은, 일본합성고무(주), 15OO 을, 다른 배합제는 시판품을 이용했다. 가황은, 가황프레스에 의해, 160℃, 2O분의 조건에서 행했다.
표 3
배합제 배합비율(질량부)
SBR 100
프로세스유 40
카본블랙 50
산화아연 3
스테아린산 2
가황촉진제 1
2
얻은 가황 고무제품에 대하여, 경도 (JIS K6301「가황고무 물리 시험방법」), 인장강도, 300% 인장응력, 신장율 (JIS K6251「「가황고무의 인장 시험방법」), 및 인열강도 (JIS K6252「「가황고무의 인열시험방법」)를 측정하고, 또한 실온에서 3일간 방치 후의 외관 육안 검사에 의해, 오일 블리드의 유무를 관찰했다. 이들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표 4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경도(Hs)(JIS A) 45 46 45 46 43 45
신장율(%) 680 650 680 620 700 660
인장강도(MPa) 15.8 16.5 16.2 14.0 16.0 15.3
300%인장응력(MPa) 10.1 10.5 10.3 11.2 10.8 11.0
인열강도(MPa) 4.5 4.7 4.3 3.8 4.0 3.9
블리드의 유무
프로세스유의 평가에서, 비교예 2(기유 5를 사용한 것)는, 배합, 혼련시나 가황시에 유분증발이 인정되어, 작업성이 나빠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비교예 1 및 3은 고무물성평가에 있어서, 브리드가 인정되어, 프로세스유의 특성으로서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3은, 고무물성평가 결과는 양호하여, 프로세스유로서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고무제품의 가공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고무폴리머에 배합되는 프로세스유 및 그의 제조방법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4)

  1. 하기 1)의 엑스트락트와 하기 2)의 광유계기유를 질량비 95/5~5/95의 비율로 혼합한, 100℃의 동점도가 32㎟/s 미만, %CA가 15~3O, 아닐린점이 1OO℃ 이하, 증발질량변화율이 0.5% 이하, 또한 변이원성지수가 1 미만인 프로세스유.
    1) 감압증류 잔사유의 탈력유를 용제추출하여 얻은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엑스트락트
    2)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라피네이트이며,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광유계기유, 또는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라피네이트를 수소화정제 및/또는 탈납 처리함에 따라 얻은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광유계기유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트락트는 1OO℃의 동점도가 5O~1OO㎟/s , %CA가 15~35, 아닐린점이 90℃ 이하, 크로마토래피에 의한 방향족분이 60질량% 이상인 프로세스유.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계기유는 1OO℃의 동점도가 4~2O㎟/s, %CA가 3~20, 아닐린점이 120℃ 이하, 크로마토래피에 의한 방향족분이 10질량% 이상인 프로세스유.
  4. 감압증류 잔사유를 탈력유의 잔류 탄소분이 1.6 질량% 이하가 되는 조건에서 탈력하고, 얻은 탈력유를 엑스트락트수율이 35~60%가 되는 조건에서 용제추출해서 얻은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엑스트락트에, 상압환산비점이 3OO~7OO℃의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라피네이트이며 DMSO 추출분이 3질량% 미만인 광유계기유, 또는 상압환산비점이 3OO~7OO℃의 감압증류 유분을 용제정제하여 얻은 라피네이트를 수소화정제 및/또는 탈납 처리함에 따라 얻은 DMSO 추출분이 3 질량% 미만인 광유계기유를 질량비 95/5~5/9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유의 제조방법.
KR1020047004014A 2001-10-02 2002-09-30 프로세스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17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6009 2001-10-02
JPJP-P-2001-00306009 2001-10-02
PCT/JP2002/010140 WO2003031537A1 (fr) 2001-10-02 2002-09-30 Huile industrielle et procede de preparation assoc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841A true KR20040047841A (ko) 2004-06-05
KR100917575B1 KR100917575B1 (ko) 2009-09-15

Family

ID=1912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014A KR100917575B1 (ko) 2001-10-02 2002-09-30 프로세스유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1253B2 (ko)
EP (1) EP1433833B8 (ko)
JP (2) JP4208716B2 (ko)
KR (1) KR100917575B1 (ko)
CN (1) CN1268721C (ko)
WO (1) WO2003031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2850A1 (en) * 2004-06-03 2005-12-08 Jois Yajnanarayana 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ubber extender oil compositions
JP5124086B2 (ja) * 2005-09-21 2013-01-23 出光興産株式会社 プロセスオイルの製造方法
JP4782474B2 (ja) * 2005-05-31 2011-09-28 出光興産株式会社 プロセスオイルの製造方法
US7972496B2 (en) 2005-05-31 2011-07-05 Idemitsu Kosan Co., Ltd. Process oil, process for production of deasphalted oil, process for production of extract,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process oil
WO2007003623A1 (en) * 2005-07-01 2007-01-11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to prepare a blended brightstock
JP4850472B2 (ja) * 2005-09-21 2012-01-11 出光興産株式会社 プロセスオイルの製造方法
JP5192136B2 (ja) * 2006-07-26 2013-05-08 出光興産株式会社 ゴム用プロセスオイル
EP1967571A1 (en) * 2007-02-21 2008-09-10 BP p.l.c. Compositions and methods
JP5292017B2 (ja) * 2008-08-21 2013-09-18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ゴムプロセス油の製造方法
JP5222702B2 (ja) * 2008-11-28 2013-06-26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プロセス油の性状調整方法
JP5403258B2 (ja) * 2008-12-22 2014-01-29 日立金属株式会社 耐放射線性組成物及び電線・ケーブル
CN101921621B (zh) * 2009-06-09 2013-05-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异构烷烃溶剂油的生产方法
EP2470626A1 (en) * 2009-08-28 2012-07-0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oil composition
CN101880548B (zh) * 2010-04-07 2013-09-2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获得高等级道路沥青调合软组分的新方法
DE102010061476A1 (de) * 2010-12-22 2012-06-28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Kautschukmischung mit umweltfreundlichem Weichmacher
JP6017130B2 (ja) * 2011-10-17 2016-10-26 出光興産株式会社 プロセスオイルの製造方法
CN106221791B (zh) * 2016-08-09 2018-06-08 兰州石化职业技术学院 一种基础油废白土选择性脱油方法及其装置
JP7139024B2 (ja) * 2017-11-10 2022-09-20 出光興産株式会社 鉱油系基油、成形品、及び鉱油系基油の製造方法
CN109794273B (zh) * 2019-02-20 2021-12-17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加氢处理催化剂、其制备方法及变压器油基础油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9252A (en) * 1981-03-24 1983-08-16 Petrocon Corporation Method of employing process oils from converted wastes in synthetic rubbers
JPH0789096B2 (ja) 1988-01-12 1995-09-27 運輸省港湾技術研究所長 浚渫スラリーの性状検査方法
FR2685705B1 (fr) * 1991-12-30 1994-10-28 Bp France Huiles de procede.
US5488193A (en) * 1992-11-06 1996-01-30 Mobil Oil Corporation Process for reducing polynuclear aromatic mutagenicity by alkylation
DE69729526T2 (de) * 1996-10-31 2005-08-18 Repsol Petroleo 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Ölen mit einem Gehalt an polycyclischen Aromaten von weniger als 3%, verwendbar als Prozessöle
US6974535B2 (en) * 1996-12-17 2005-12-1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Hydroconversion process for making lubricating oil basestockes
US5935417A (en) * 1996-12-17 1999-08-10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Hydroconversion process for making lubricating oil basestocks
US6146520A (en) * 1997-04-02 2000-11-14 Mobil Oil Corporation Selective re-extraction of lube extracts to reduce mutagenicity index
WO1997035462A2 (fr) * 1997-06-27 1997-10-02 Bridgestone Corporation Amelioration apportee a une huile a forte teneur en composes aromatiques, composition de caoutchouc et caoutchouc synthetique etendu a l'huile, prepares au moyen de ladite huile
JP3624646B2 (ja) * 1997-09-12 2005-03-02 新日本石油株式会社 ゴム配合油
JP3079091B2 (ja) * 1998-01-22 2000-08-21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ゴムプロセス油及びその製造方法
MY125154A (en) * 1998-01-22 2006-07-31 Japan Energy Corp Rubber process oil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4022305B2 (ja) * 1998-02-27 2007-12-19 出光興産株式会社 ゴムプロセス油及びゴム組成物
JP4037515B2 (ja) * 1998-04-17 2008-01-23 出光興産株式会社 プロセスオ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1907B2 (ja) * 1999-02-26 2010-08-25 出光興産株式会社 プロセスオ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99697B1 (en) * 1999-02-26 2002-06-04 Idemitsu Kosan Co., Ltd. Process oil,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rubber composition
US6110358A (en) * 1999-05-21 2000-08-29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improved process oils using extraction of hydrotreated distill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08716B2 (ja) 2009-01-14
WO2003031537A1 (fr) 2003-04-17
US7601253B2 (en) 2009-10-13
KR100917575B1 (ko) 2009-09-15
CN1268721C (zh) 2006-08-09
JPWO2003031537A1 (ja) 2005-01-20
EP1433833A1 (en) 2004-06-30
CN1564858A (zh) 2005-01-12
EP1433833A4 (en) 2010-09-22
JP2009013421A (ja) 2009-01-22
EP1433833B8 (en) 2013-01-09
EP1433833B1 (en) 2012-11-07
US20060254955A1 (en)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575B1 (ko) 프로세스유 및 그의 제조방법
US6399697B1 (en) Process oil,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rubber composition
JP4943522B2 (ja) 高粘度基油及び高粘度基油の製造方法
KR101465311B1 (ko) 공정유, 탈아스팔트유의 제조 방법,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공정유의 제조 방법
JP5292017B2 (ja) ゴムプロセス油の製造方法
JP5124086B2 (ja) プロセスオイルの製造方法
KR101671707B1 (ko) 고무 배합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9945B1 (ko) 고방향족 기유 및 고방향족 기유의 제조 방법
JP3624646B2 (ja) ゴム配合油
KR20180006937A (ko) 고성능 공정 오일
JP3658155B2 (ja) 溶剤抽出法による非発ガン性芳香族炭化水素油の製造法
JP4480292B2 (ja) プロセス油、高粘度基油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651413B1 (ko) 고무 배합유 및 방향족 함유 기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4531907B2 (ja) プロセスオ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79091B2 (ja) ゴムプロセス油及びその製造方法
JP3902841B2 (ja) 溶剤抽出と水素化精製法による非発ガン性芳香族炭化水素油の製造法
JP5390233B2 (ja) ゴム配合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63849A (ja) 非発ガン性の芳香族炭化水素油の製造法
JP2004107560A (ja) 改良された芳香族系ゴム配合油
JP2012072407A (ja) プロセスオイル
JPH03503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