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294A - 엔진의 흡기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흡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294A
KR20040045294A KR1020030076303A KR20030076303A KR20040045294A KR 20040045294 A KR20040045294 A KR 20040045294A KR 1020030076303 A KR1020030076303 A KR 1020030076303A KR 20030076303 A KR20030076303 A KR 20030076303A KR 20040045294 A KR20040045294 A KR 2004004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injection valve
injector holder
engine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746B1 (ko
Inventor
나카무라마나부
야마모토도시오
고누마다카유키
나카가와미츠오
하마우즈아키라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를 포함하는 흡기장치의 부품수 삭감과 조립 공수의 삭감을 도모한다.
흡기관(12)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 본체(101)와 일체로 형성되고, 스로틀 바디(22)가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흡기관(12)에는 연료분사 밸브(18)를 장착시킨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가 형성되고, 인젝터 홀더(19)가 씌워진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는 ECU(21)도 수용된다. ECU(21)로부터 커플러(20)를 통해 연료분사 밸브(18)에 구동 신호가 공급된다. 인젝터 홀더(19)에는, 이 홀더(19)를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로부터 떼어내는 조작에 따라 커플러(20)를 케이스 본체(101) 내부에 밀어 넣는 힘이 작용한다.

Description

엔진의 흡기장치{INTAKING DEVICE FOR MOTORCYCLE ENGINE}
본 발명은, 엔진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부품수 및 조립 공수의 저감을 도모하기에 바람직한 엔진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이륜차에 탑재되는 엔진에 설치되는 흡기장치는, 흡기관, 스로틀 바디, 혼관, 및 에어 클리너를 포함하며, 이들 부품은 엔진측으로부터 흡기 방향의 상류를 향해 순차로 배열된다. 또한, 스로틀 바디에는, 이 스로틀 바디 내의 스로틀 밸브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드럼이 설치되고, 이 드럼에는 스로틀 케이블이 감겨 걸리게 된다. 그 밖에, 흡기장치의 주위에는, 엔진 본체 및 흡기계에 장착되는 각종 센서 등의 전기부품, 및 각 전기부품에 접속되는 전선 등의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기관에는, 인젝터 요컨대 연료분사 밸브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흡기장치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 2000-33716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스로틀 바디에 연료분사 밸브를 장착시킨 흡기장치도 공지되어 있다(일본국 특개 2000-16369호 공보).
상술한 흡기장치 및 그 주변에는, 많은 부품이 있으며, 이들은 서로 밴드 등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또한 부품수를 증대시키고 있다. 서로의 연결 부분은 시일 확보를 위해 연삭 가공을 실시하는 등, 높은 가공정밀도가 요구된다. 특히, 연료분사 밸브를 유지하는 인젝터 홀더의 연료분사 밸브 장착 면의 마무리는, 시일확보를 위해 공을 들여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인젝터 홀더는, 연료분사 밸브를 유지하기 위해서 볼트에 의해서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와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흡기장치는,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가공, 장착, 조정 등에 많은 공수를 소비하는 결과가 된다. 또한, 이 많은 공수는 유지보수도 복잡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수를 삭감하거나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 및 유지보수시의 공수를 삭감할 수 있는 엔진의 흡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엔진의 흡기 포트에 결합되는 흡기관과, 이 흡기관의 흡기 상류측에 결합되는 스로틀 바디와, 이 스로틀 바디의 흡기 상류측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를 갖는 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과 함께 일체 성형된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구비하며, 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상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 및 상기 스로틀 바디가 배치된 점에 제1 특징이 있다.
제1 특징에 의하면, 흡기관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감소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와 흡기관의 접속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스로틀 바디가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와 함께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 흡기관 내에 연료분사 방향을 지향하는 연료분사 밸브를 장착하는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가 상기 흡기관과 함께 일체 성형되어 있는 점에 제2 특징이 있다.
제2 특징에 의하면,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가 흡기관과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연료분사 밸브를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연료분사 밸브는, 흡기관 내의 소정의 분사 방향에 맞춰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조립 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에 장착된 연료분사 밸브를 유지하는 인젝터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 및 상기 인젝터 홀더는, 일측에 형성된 갈고리부와 타측에 형성된 갈고리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스냅 핏 구조로 서로 조합되는 점에 제3 특징이 있다.
제3 특징에 의하면, 갈고리와 갈고리 구멍을 결합시켜, 소위 스냅 핏 구조가 형성되고, 원터치로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에 인젝터 홀더를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냅 핏 구조를 2중으로 형성한 점에 제4 특징이 있다. 제4 특징에 의하면, 일측의 스냅 핏 구조가 불량을 발생하는 경우에, 타측에서 서로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젝터 홀더가, 이 인젝터 홀더를 상기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로부터 떼어내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인젝터 홀더보다도 상기 커플러 쪽이 먼저 연료분사 밸브의 급전부로부터 빠지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구배면을 갖는 아암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제5 특징이 있다.
제5 특징에 의하면, 인젝터 홀더가 연료분사 밸브로부터 떼어지기 전에 급전부로부터 커플러를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연료분사 밸브의 탈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젝터 홀더가, 연료분사 밸브의 연료 공급 구금(口金)의 외주에 밀착하는 캡부 및 이 캡부에 연통하는 연료 공급 호스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제6 특징이 있다.
제6 특징에 의하면, 연료압이 연료 공급 구금에 걸려, 연료분사 밸브는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 측에 부세된다. 따라서, 연료분사 밸브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와의 시일이 확실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엔진제어용의 ECU를 더 수용한 점에 제7 특징이 있다. 제7 특징에 의하면, ECU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수용하였기 때문에, 물, 진흙(泥), 외력 등의 외적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ECU가, 커플러를 통해 상기 연료분사 밸브의 급전부에 연료분사량에 따른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점에 제8 특징이 있다. 제8 특징에 의하면,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에 장착되는 연료분사 밸브와 ECU가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단거리로 ECU로부터 연료분사 밸브에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흡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흡기장치가 탑재되는 자동이륜차의 프레임의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연료분사 밸브와 인젝터 홀더와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 프레임5 : 실린더 블록
6 : 실린더 헤드10 : 에어 클리너
11 : 흡기장치12 : 흡기관
14 : 흡기 포트15, 16 : 밴드
17 :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8 : 연료분사 밸브
19 : 인젝터 홀더20 : 커플러
21 : ECU22 : 스로틀 바디
25 : 케이블 가이드101 : 에어 클리너 케이스 본체
102 : 뚜껑103 :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
104 : 커플러 유지부222 : 스로틀 밸브
223 : 스로틀 케이블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흡기장치를 탑재한 엔진을 포함하는 자동이륜차의 주요부분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자동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후방 하부로 경사진 강관(鋼管)제의 메인 프레임(1)과, 이 메인 프레임(1)의 후단에 용접된 강관제의 리어 프레임(2)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프레임(1)의 전단에는, 전륜을 축받이 하는 프론트 포오크(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조향 가능하게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헤드 파이프(3)가 연결된다. 리어 프레임(2)의 상면에는 안장(saddle)이 장착되고, 이 안장의 바로 아래에는, 연료 탱크가 수납, 유지된다. 또한 리어 프레임(2)에는, 후륜을 축받이 하는 리어 포크가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안장, 연료 탱크, 후륜, 및 리어 포크 등은 본 발명의 주요부분이 아니므로 도시하지 않는다.
리어 프레임(2)의 전단부에서 메인 프레임(1)과의 결합부의 아래쪽에는, 엔진(E)의 크랭크케이스(4)가 장착된다. 크랭크케이스(4)는, 실린더 블록(5) 및 실린더 헤드(6)와 함께 엔진 본체를 구성한다. 실린더 블록(5)은, 크랭크케이스(4)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에 돌출하여 거의 수평으로 배치되고, 실린더 블록(5)의 전면에 실린더 헤드(6)가 결합된다. 실린더 블록(5)은, 메인 프레임(1)에 용접된 브래킷(8)의 하단에 연결된다. 엔진(E)의 전방 윗쪽, 메인 프레임(1)의 아래쪽에는, 에어 클리너(10)를 포함하는 흡기장치(11)가 배치된다.
확대도를 참조하여 흡기장치(1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흡기장치(11)의 확대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서, 에어 클리너(10)는, 메인 프레임(1)에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101) 및 뚜껑(102)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갖는다. 케이스 본체(101)와 뚜껑(102)과의 사이에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103)가 배치된다.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103)는, 돌출된 가장자리(103a)를 가지며, 이가장자리(103a)가, 케이스 본체(101) 및 뚜껑(102)의 단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흡기관(12)은 케이스 본체(101)로부터 돌출하여 이 케이스 본체(101)와 일체 형성되고, 이 흡기관(12)의 하단은 단열재(13)의 상단에 연결된다. 또한, 단열재(13)의 하단은 실린더 헤드(6)에 설치되는 흡기 포트(14)에 연결된다. 흡기관(12)과 단열재(13)의 상단과의 연결, 및 단열재(13)의 하단과 흡기 포트(14)와의 연결은, 서로의 끼워맞춤 및 밴드(15, 16)를 이용한 체결에 의해 행해진다.
흡기관(12)에는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가 일체로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101)(흡기관(12)도 포함함) 및 뚜껑(102)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가 있다.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에는, 흡기관(12)의 중심에 연료의 분사 방향을 지향시킨 연료분사 밸브(18)가 장착된다. 연료분사 밸브(18)의 상부는 인젝터 홀더(19)로 덮여진다. 인젝터 홀더(19)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 아세탈을 사용할 수가 있다. 연료분사 밸브(18)는 급전부(181)를 구비하며, 이 급전부(181)에 커플러(20)를 통해 ECU(21)로부터 급전된다. ECU(21)는 엔진제어용의 제어장치이며,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한다. 커플러(20)는 케이스 본체(101)에 형성되는 통 형상의 커플러 유지부(104)에 삽입 통과되어 유지되고, 이 커플러(20)를 통하여, 급전부(181)에 연료분사량에 따른 구동 신호(온 오프 듀티(on off duty) 신호)를 공급한다.
케이스 본체(101) 내에는 스로틀 바디(22)가 배치된다. 스로틀 바디(22)는, 통 형상 하단(공기 흐름의 하류단)이 상기 흡기관(12)의 상단에 끼움 삽입되도록위치 결정되고,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 적절한 결합수단으로 케이스 본체(101)에 장착된다. 스로틀 바디(22)와 케이스 본체(101)와의 접촉부에는 오-링 등의 시일부재(224)를 개재시켜 기밀을 확보한다.
스로틀 바디(22)에는, 흡기 통로(221)를 개폐하는 버터플라이형의 스로틀 밸브(222)가 축받이된다. 스로틀 밸브(222)는 도시하지 않은 드럼을 가지며, 이 드럼에 감겨서 걸리는 스로틀 케이블(223)로 외부로부터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로틀 케이블(223)은 케이블 가이드(25) 내로 안내되어 케이스 본체(101)의 외부에 인출된다.
스로틀 바디(22)의 상단(공기 흐름의 상류단)은, 깔때기 형상 또는 혼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이고, 케이스 본체(101) 내부에 개구되어 있다. 상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103)를 통해 도입된 공기는 이 개구부로부터 스로틀 바디(22) 내부에 받아들여진다.
케이스 본체(101)와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103)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스로틀 바디(22) 외, ECU(21)를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ECU(21)는, 스로틀 개도, 엔진 회전수, 엔진 온도 등, 도시하지 않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엔진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서 엔진(E)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연료분사 밸브(18)에 의한 연료분사량을 결정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듀티로 연료분사 밸브(18)를 구동한다. 연료분사 밸브(18)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신호는 케이블(24)을 통해 상기 급전부(181)로부터 연료분사 밸브(18)에 공급된다. 또, ECU(2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배터리(도시하지 않음)가 자동이륜차에 탑재된다.
도 3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를 포함하는 에어 클리너(10) 하부의 사시도, 도 4는 인젝터 홀더를 장착한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의 단면도이다. 양 도면에서,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에는, 연료분사 밸브(18)가 수용되고, 연료분사 밸브(18)의 상부 요컨대 연료 공급 구금(182)의 주위에 끼워맞춤 되는 캡부(197)를 포함하는 인젝터 홀더(19)가 조합되어 있다. 연료 공급 구금(182) 및 연료분사 밸브(18)의 시트부에는 각각 오-링(183, 184)이 배치되고, 인젝터 홀더(19) 및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의 내벽에 대한 시일을 형성하고 있다.
캡부(197)는 연료 공급 구금(182)의 상부에 공간(A)을 가지며, 이 공간(A)은, 캡부(197)에 형성되는 연료 공급 호스 플러그(196)에 연통한다. 연료 공급 호스 플러그(196)에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 공급 호스가 결합되고, 이 연료 공급 호스는, 연료 탱크 내에 배치되는 연료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이 구조에 의해, 연료 공급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이 연료 공급 구금(182)의 표면에 부과되며, 연료분사 밸브(18)의 시트부는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에 가압되고, 그 결과, 높은 시일성이 얻어진다.
상기 연료의 압력에 의해서 인젝터 홀더(19)에는,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로부터 이 인젝터 홀더(19)를 떼어놓고자 하는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다음에 설명하는 구조에 의해서 인젝터 홀더(19)가 빠지는 것은 회피되고, 확실한 지지가 유지된다.
인젝터 홀더(19)의 연장부(191) 하단에 형성된 갈고리로 이루어진 1차 후크(192)는,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의 하부 외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부 요컨대후크 구멍(갈고리 구멍)(171)과 걸어맞춤된다. 이 후크 구멍(171)과 1차 후크(192)에 의한 걸어맞춤부와 동일한 걸어맞춤부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의 중심축을 끼워서 반대측에도 설치된다(도 4).
인젝터 홀더(19)의 몸통부(193)에 형성된 후크 구멍(194)에는,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의 상부 외면에 돌출한 2차 후크(172)가 내측으로부터 걸어맞춤한다. 후크 구멍(194)과 2차 후크(172)에 의한 걸어맞춤부와 동일한 걸어맞춤부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의 중심축을 끼워서 반대측에도 설치된다.
또한, 인젝터 홀더(19)의 몸통부(193)로부터 케이스 본체(101)측에 돌출한 아암 형상 후크(3차 후크)(195)는,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의 측부에 형성된 입상부(173)에 걸어맞춤된다.
이와 같이, 인젝터 홀더(19)는, 3군데 6점의 후크 구조 요컨대 스냅 핏 구조로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에 확실히 유지되고, 이 인젝터 홀더(19)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로 유지된 연료분사 밸브(18)는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상기 1차 후크 및 2차 후크에 의해, 연료압이나 외력에 대하여 인젝터 홀더(19)를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에 확보할 수 있지만, 특히, 2중의 후크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것에 의해, 예컨대, 1차 후크(192)가 파손된 경우라도, 2차 후크(172)가 인젝터 홀더(19)에 걸어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인젝터 홀더(19)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와의 결합은 느슨해지지만, 서로가 이탈하는 것은 회피된다.
또한, 상기 3차 후크(195)는, 그 상단면에 구배를 갖고 있고, 이 구배를 갖는 면이, 커플러(20)의 단면에 걸어맞춤하도록 한 캠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료분사 밸브(18)의 유지보수 등을 위해 인젝터 홀더(19)를 떼어내는 조작(각 후크에 의한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도면의 상방에 인젝터 홀더(19)를 변위시키는 조작)을 행하면, 상기 3차 후크(195)의 상단면의 구배에 의한 분력이 작용하여 커플러(20)는 케이스 본체(101)의 내측에 부세된다. 그 결과, 커플러(20)를 상기 급전부(181)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 3차 후크(195)는, 1차 후크(192)가 빠져 인젝터 홀더(19)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와의 결합이 느슨해졌을 때에, 커플러(20)를 급전부(181)로부터 이탈시켜 연료분사 밸브(18)의 구동을 멈추는 작용도 있다.
상기 구성의 흡기장치(11)의 조립 순서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미리 스로틀 밸브나 ECU나 스로틀 케이블을 감아 걸기 위한 드럼을 조립한 스로틀 바디(22)의 단부를 케이스 본체(101)에 형성된 흡기관(12)에 끼움삽입한다. 다음에 스로틀 바디(22)를 케이스 본체(101)에 볼트 등으로 고정한다. 더불어, 케이블 가이드(25)를 케이스 본체(101)에 집어넣고, 거기에 스로틀 케이블(223)을 통과시켜 단부를 상기 드럼에 감아 건다.
다음에, 연료분사 밸브(18)를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에 착좌시키고, 인젝터 홀더(19)를 장착하여, 1차 후크(192), 2차 후크(172) 등을 각각 소정의 후크 구멍에 걸어맞춤시켜, 연료분사 밸브(18)를 확보한다.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17)는 흡기관(12)과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분사 밸브(18)와 흡기관(12)의 위치는 소정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어서, 커플러(20)를 급전부(181)에 접속한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101)와 뚜껑(102)을,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103)의 가장자리를 끼운 상태로 조합하고,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으로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흡기관(12)을 단열재(13)에 집어넣은 상태로 케이스 본체(101)의 상부를 메인 프레임(1)에 고정하고, 밴드(15)로 흡기관(12)과 단열재(13)를 체결한다. 또한, 이 조립 순서는 일례이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스냅 핏을 형성하는 갈고리와 갈고리 구멍과의 조합은, 실시예의 것으로 제한하지 않고, 인젝터 홀더 및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 중 어느 것에 갈고리 또는 갈고리 구멍을 설치할지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의 삭감과 조립공수의 삭감이 도모된다.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흡기관과 에어 클리너 케이스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과 조립공수의 삭감이 도모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연료분사 밸브의 조립 조정이 용이해지고, 일체 성형에 의해, 절삭 가공이 감소된다.
청구항 3 및 4의 발명에 의하면, 스냅 핏 구조에 의해, 원터치로 인젝터 홀더를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에 결합할 수가 있다. 특히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2중의 스냅 핏 구조에 의해, 일측이 파손 등에 의해서 빠진 경우이더라도, 타측에 인젝터 홀더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와의 결합이 유지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연료분사 밸브의 급전부로부터 커플러를 떼어내는 조작이 간단해진다. 또한, 인젝터 홀더를 떼어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연료분사 밸브에 대한 급전이 차단되어 연료 공급이 차단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연료압이 연료 공급 구금에 부과되며, 연료분사 밸브는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측에 부세된다. 따라서, 연료분사 밸브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와의 시일이 확실해 진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ECU를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연료분사 밸브와 ECU가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ECU로부터 연료분사 밸브로 신호를 공급하는 라인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엔진의 흡기 포트에 결합되는 흡기관과, 이 흡기관의 흡기 상류측에 결합되는 스로틀 바디와, 이 스로틀 바디의 흡기 상류측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를 갖는 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과 함께 일체 성형된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상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 및 상기 스로틀 바디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에, 이 흡기관 내에 연료분사 방향을 지향시킨 연료분사 밸브를 장착하는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가 상기 흡기관과 함께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에 장착된 연료분사 밸브를 유지하는 인젝터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 및 상기 인젝터 홀더는, 일측에 형성된 갈고리부와 타측에 형성된 갈고리 구멍으로 이루어진 스냅 핏(snap fit) 구조로 서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에 장착된 연료분사 밸브를 유지하는 인젝터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 및 상기 인젝터 홀더는, 인젝터 홀더에 형성된 갈고리와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에 형성된 갈고리 구멍으로 이루어진 1차 후크, 및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에 형성된 갈고리와 인젝터 홀더에 형성된 갈고리 구멍으로 이루어진 2차 후크에 의한 이중의 스냅 핏 구조로 서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 홀더가, 이 인젝터 홀더를 상기 연료분사 밸브 장착부로부터 탈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인젝터 홀더보다도 커플러의 방향이 먼저 연료분사 밸브의 급전부로부터 떨어지도록 힘을 작용하는 구배면을 갖는 아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 홀더가, 연료분사 밸브의 연료 공급 구금(口金)의 외주에 밀착하는 캡부 및 이 캡부에 연통하는 연료 공급 호스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7.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엔진 제어용의 ECU를 더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CU가, 커플러를 통해 상기 연료분사 밸브의 급전부에 연료분사량에 따른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KR1020030076303A 2002-11-25 2003-10-30 엔진의 흡기장치 KR100551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40797 2002-11-25
JP2002340797A JP3985957B2 (ja) 2002-11-25 2002-11-25 エンジンの吸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294A true KR20040045294A (ko) 2004-06-01
KR100551746B1 KR100551746B1 (ko) 2006-02-13

Family

ID=3270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303A KR100551746B1 (ko) 2002-11-25 2003-10-30 엔진의 흡기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3985957B2 (ko)
KR (1) KR100551746B1 (ko)
CN (1) CN1287082C (ko)
ES (1) ES2263313B2 (ko)
IT (1) ITTO20030849A1 (ko)
MX (1) MXPA03010339A (ko)
MY (1) MY140280A (ko)
TW (1) TWI2306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5025B2 (ja) * 2004-07-20 2010-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4753745B2 (ja) * 2006-02-28 2011-08-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吸気構造
CN100453794C (zh) * 2006-09-28 2009-01-21 无锡开普动力有限公司 一种v型双缸发动机的进气系统
JP5560150B2 (ja) * 2010-09-15 2014-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5855857B2 (ja) * 2011-06-27 2016-02-09 株式会社ミクニ インジェクタの取付構造
JP6069154B2 (ja) * 2013-09-27 2017-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の吸気装置
WO2016052005A1 (ja) * 2014-09-30 2016-04-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用内燃機関
JP6379387B2 (ja) * 2014-09-30 2018-08-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用内燃機関
JP6347445B2 (ja) * 2014-09-30 2018-06-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用内燃機関
JP6980641B2 (ja) * 2018-12-25 2021-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2372C2 (sv) * 1991-07-08 1995-10-09 Volvo Ab Insugningssystem till förbränningsmotorer
JP3473642B2 (ja) * 1994-09-20 2003-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装置
IT1285682B1 (it) * 1996-04-22 1998-06-18 Magneti Marelli Spa Gruppo integrato di adduzione di carburante e comburente
JPH1162737A (ja) * 1997-08-21 1999-03-05 Denso Corp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3933767B2 (ja) * 1997-09-24 2007-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吸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20030849A1 (it) 2004-05-26
TWI230668B (en) 2005-04-11
MY140280A (en) 2009-12-31
ES2263313A1 (es) 2006-12-01
JP3985957B2 (ja) 2007-10-03
KR100551746B1 (ko) 2006-02-13
CN1287082C (zh) 2006-11-29
JP2004176562A (ja) 2004-06-24
ES2263313B2 (es) 2008-05-01
CN1502805A (zh) 2004-06-09
MXPA03010339A (es) 2005-04-11
TW200410859A (en)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746B1 (ko) 엔진의 흡기장치
US7473292B2 (en) Air cleaner
US20090217911A1 (en) Vehicular fuel supply equipment
US20010018932A1 (en) Fuel tank unit of motorcycle
KR20040047581A (ko)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US8056535B2 (en) Intake control system for general-purpose engine
US20110174273A1 (en) Air-Intake Duct for Vehicle and Vehicle
JP2004183538A (ja) 小型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への燃料供給構造
US20160040637A1 (en) Air intake device for motorcycle
US20090255516A1 (en) Solenoid valve
KR20030031848A (ko)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JP4759552B2 (ja) 燃料噴射弁の取付構造
US20030230285A1 (en) Integrated fuel module wire harness and carrier gasket for vehicle intake manifold
JP3826374B2 (ja) 二輪車用燃料噴射装置におけるスロットルボデー
JP2007009707A (ja) エアクリーナ
EP1593836B1 (en) Fuel-feeding device in two-wheeled motor vehicle
JPH10157682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燃料ホースの接続構造
EP1803928B1 (en) Fuel injection system and fuel injection valve device used in fuel injection system
US7128056B2 (en) Throttle body in fuel injection apparatus
JPH04159447A (ja) 自動2、3輪車のエアクリーナ装置
JPH1182198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3551664B2 (ja) 内燃機関のegr装置の遮熱装置
JP4154205B2 (ja) 自動二輪車用スロットルボディ
KR0138401B1 (ko) 차량용 연료 주입튜브 조립구조
JP2003314327A (ja) 吸気通路の圧力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