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942A - 수의 백신 보조제로서의 인터루킨-12 - Google Patents

수의 백신 보조제로서의 인터루킨-1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942A
KR20040044942A KR10-2004-7003940A KR20047003940A KR20040044942A KR 20040044942 A KR20040044942 A KR 20040044942A KR 20047003940 A KR20047003940 A KR 20047003940A KR 20040044942 A KR20040044942 A KR 20040044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vant
vaccine composition
virus
vaccine
acr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쓰언-줴
Original Assignee
와이어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어쓰 filed Critical 와이어쓰
Publication of KR2004004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2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2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2039/55527Interleukins
    • A61K2039/55538IL-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55Liposomes; Vesicles, e.g. nanoparticles; Spheres, e.g. nanospheres;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77Saponins; Quil A; QS21; ISC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의 약리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수의 백신의 면역원성을 증강시키기 위한 조성물을 기술한다. 추가로, 본 명세서는 유효 면역량의 항원, 면역조절제, 면역보조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기술한다. 본 조성물은 임의로 통상적인, 제2 보조제 또는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추가로 전술한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의 약리학적 유효량 또는 전술한 백신 조성물의 유효 면역화량을 조류 또는 포유동물 종에 투여함으로써 약한, 면역억제성의 또는 제한적으로 안전한 항원의 면역원성을 증가 또는 가속시키기 위한 독특한 방법을 기술한다.

Description

수의 백신 보조제로서의 인터루킨-12{Interleukin-12 as a veterinary vaccine adjuvant}
관련 미국 특허 출원 전후-참조
본 특허 출원은 2001년 9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0/322,840호의 제35 U.S.C §119(e)조하의 특권을 주장한다. 우선권 출원은 이의 전문이 참조로써 본원에 도입되었다.
배경기술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항원을 함유하는 수의 백신의 면역원성 또는 생리학적 효능을 증강시키는 면역보조제와 함께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신규한 배합물 및 동시 또는 백신 조성물과의 혼합물로 투여할 경우 항원에 대한 동물의 면역 반응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당해 배합물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관련 분야의 기술
본 명세서에 인용한 모든 특허 및 공보는 이의 전문이 본원에서 참조로써 도입되었다.
많은 쇠약성 또는 치명적 질환의 병인학이 수립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소 호흡기 발진 바이러스(Bovin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이후 "BRSV"로 지칭)는 소 복합 호흡기 질환의 중요한 인자로서 인지된다. 본 질환은 소에서 고온과 빠른 호흡, 기침, 식욕 부진, 눈물 및 콧물로 특징지어진다. 급성 발발에서는 증상이 발병한 후 48시간내에 죽음에 이를 수 있다. BRSV는 소에서 풍토성 폐렴에 가장 흔한 바이러스성 병원체이며, 또한 새로이 이유시킨 소 중 폐기종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대동물의 다른 질환인 선역(Strangles)은 스트렙토코쿠스 에쿠이(Streptococcus equi)의 세균 감염에 의해 유발된다. 또한 디스템퍼(distemper) 또는 외양간 열(barn fever)로 공지된 선역은 국소 또는 산재 농양의 존재로 특징지어지는 말의 상기도의 감염성이 높은 질병이다.
각종 병인성 병원체가 소(小)동물의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개에서의 질환은 에를리키아 카니스(Ehrlichia canis), 개 파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CPV)}, 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canine parainfluenza virus(CPI)}, 개 아데노바이러스 II형{canine adenovirus type II(CAV-2)}, 개 아데노바이러스(CDV), 개 코로나바이러스{canine coronavirus(CCV)}, 렙토스피라 익테로헤모라기애(Leptospira icterohemorrhagiae(LI)}, 렙토스피라 카니콜라{Leptospira canicola(LC)}, 렙토스피라그립포티포사{Leptospira grippotyphosa(LG)}, 렙토스피라 포마나{Leptospira pomana(LP)}등의 존재와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유사하게, 고양이에서의 질병은 다른 것들 중 고양이 면역결핍(feline immunodeficiency) 바이러스 및 고양이 백혈병(feline leukemia)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성 바이러스, 고양이 클라미디아 씨타키(Chlamydia psittaci)와 같은 세균 등에 의해 유발된다.
동물에서 높은 감염성, 쇠약성 및 치명적 질환을 야기하는 병인성 병원체의 이러한 유형에 대항하는 효과적인 예방에 대한 실질적인 요구가 있다. 그러나, 수의 백신은 종종 특정 병인성 병원체의 약한 항원 활동 또는 한 동물 종으로부터 다른 종에 이르는 생물학적 변이에 기인한 약한 면역반응을 겪는다. 감소된 생리학적 효능 또한 동물에게 적합한 체액성 면역반응을 수득하기 위한 어떠한 시도에 문제가 된다. 수반하는 세포성 면역을 통해 질환에 대항하는 실제 보호를 나타내는 혈청 항원의 충분한 수준의 제조는 이루기 어렵다. 추가로, 각 첨가제 또는 첨가제의 배합물과 항원 물질의 물리화학적 혼용성은 민감성 항원 불활성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중요한 실험을 통해 해결해야만 한다. 안전의 좁은 한계 범위로부터의 까다로운 부작용 또는 잠재적 독성은 유용한 수의 백신접종 프로그램의 개발에 아직 다른 도전을 제공한다. 보호성 면역을 수립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항원과 혼용될 수 있고 독성 관계를 증가시키지 않는 가축 백신의 면역원성 및 효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무독성 보조제를 발견하는 데 초점을 두어 왔다.
많은 면역보조제를 실험하였고 많은 것이 약한 면역성을 겪는 각종 항원에 대한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는 능력을 보유하였다[참조: R. Rabinovich, "Vaccine Technologies: View to the Future", Science265:1401-1404(1994년 9월 2일) 및 F. Audibert, "Adjuvants: current status, clinical perspectives and future prospects", Immunology Today14(6): 281-284(1993)]. 디프테리아, 파상풍 및 B형 간염 백신에서 발견된 알룸(황산알루미늄칼륨)은 체액성 면역반응은 자극하지만 세포성 면역은 자극하지 않는다. 그 결과, 염은 모든 면역원에 효과가 있지는 않다. 알루미늄 염은 또한 그 자체 또는 동결건조 또는 동결상태의 백신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알루미늄 염의 이러한 한계때문에, 연구자는 사포닌, 비이온성 단위 중합체 계면활성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무라밀 디펩티드(스쿠알렌 오일) 또는 트리펩티드 및 사이토킨과 같은 많은 대안의 면역보조제로 전환해왔다. 그러나, 적합한 면역보조제 시스템의 선별은 쉬운 문제가 아니며 본 시스템이 동물의 특정한 종에서 상이한 면역원에 대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을 증강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밝히기 위해 많은 실험을 필요로 한다. 면역원의 안정성 및 효능을 유지하는 것은 면역보조제 시스템이 동물에서 목적한 바대로 기능할 것인지를 발견하는 선별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중요한 인자이다.
인터루킨-1(IL-1)은 인터루킨-2(IL-2)의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성 면역에 의한 소혈청 알부민에 대한 제2 항체반응을 증폭시키는 데 보조제로서 유용하다고 밝혀진 제1 사이토킨이다. 선행 연구는 재조합 소 IL-1β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소 면역반응의 면역조절제로써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참조: Reddy et al., "Adjuvanicity of recombinant bovine interleukin-1β: influence on immunity, infection and latency in bovine herpes virus-1 infection",Lymphokine Res. 2:295-300(1990)]. 이러한 연구에서, 송아지의 r-BoIL-1β-처리는 소 포진바이러스-1{bovine herpes virus-1(BHV-1)}, 소 바이러스 설사{bovine virus diarrhea(BVD)} 및 파라인플루엔자-3(PI-3)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 생산을 증가시키고, 바이러스 감염된 MDBK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반응을 증강시키고, 시험감염 후 BHV-1의 바이러스성 발산을 감소시키고 덱사메타손 주입 후 BHV-1의 낮은 재발을 갖는다. 이 보고는 재조합 소 인터루킨-1β가 수용액으로 피하 투여될 경우 항원의 활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치료적 실험을 비반응 대상에서 B형 간염 백신의 면역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인터페론 α(IFN-α) 및 인터테론 γ(IFN-γ)와 같은 사이토킨의 능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면역학에서 이어진 연구는 예를 들면, 인터루킨-12와 같은 다른 사이토킨의 중요성 및 활성을 조사하였다[참조: 예를 들면, Y. -W. Tang et al., "Interleukin-12 Treatment during Immunization Elicits a T Helper Cell Type 1-like Immune Response in Mice Challenged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nd Improves Vaccine Immunogenicity", J. Infectious Diseases172: 734-738 (1995); S. Morris et al., "Effects of IL-12 on in Vivo Cytokine Gene Expression and Ig Isotype Selection", J. Immunology, pp. 1047-1056 (1994); J. Orange et al., "Effects of IL-12 on the Response and Susceptibility to Experimental Viral Infections", J. Immunology, pp. 1253-1264 (1994); G.Trinchieri, "Interleukin-12 and its role in the generation of TH1 cells", Immunology Today14 (7): 335-338 (1993); R. Gazzinelli et al., "Interleukin-12 is required for the T-lymphocyte-independent induction of interferon γ by an intracellular parasite and induces resistance in T-cell-deficient hosts, "Proc. Natl. Acad. Sci. USA90: 6115-6119 (July 1993); R. Locksley", Commentary : Interleukin-12 in host defense against microbial pathogens, "Proc. Natl. Acad. Sci. USA : 5879-5880 (July 1993); B. Graham et al, "Priming Immunization Determines T Helper Cytokine mRNA Expression Patterns in Lungs of Mice Challenged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J. Immunology151: 2032-2040 (August 15, 1993) ; J. Sypek et al., "Resolution of Cutaneous Leishmaniasis: Interleukin 12 Initiates a Protective T Helper Type 1 Immune Response", J. Exp. Med.177: 1797-1802 (June 1993); F. Heinzel et al., "Recombinant Interleukin 12 Cures Mice Infected with Leishmania major", J. Exp. Med.177: 1505-1509 (May 1993); C. Tripp et al., "Interleukin 12 and tumor necrosis factor α are costimulators of interferon γ production by natural killer cells in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mice with listeriosis, and interleukin 10 is a physiologic antagonist", Proc. Natl. Acad. Sci. USA90:3725-3729 (April 1993); R. Manetti et al., "Natural Killer Cell Stimulatory Factor (Interleukin 12 [IL-12] ) Induces T Helper Type 1(Thl) -specific Immune Responses and Inhibits the Development of Il-4-producing Th Cells", J. Exp. Med.177: 1199-1204 (April 1993); C. -S. Hsieh et al., "Development of TH1 CD4+T Cells Through IL-12 Produced by Listeria-Induced Macrophages", Science260: 547-548 (April 23, 1993) ; P. Scott, "IL-12 : Initiation Cytokine for Cell-Mediated Immunity", Science260: 496-497 (April 23,1993) ; M. Gately et al., "Regulation of Human Cytolytic Lymphocyte Responses by Interleukin 12", Cellular Immunology143:127-142 (1992); A. D'Andrea et al., "Production of Natural Killer Cell Stimulatory Factor (Interleukin 12) b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J. Exp. Med.176: 1387-1398 (November 1992); B. Naume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IL-12 (Cytotoxic Lymphocyte Maturation Factor)-, IL-2-, and IL-7-induced effects on Immunomagnetically purified CD56 NK cells", J. Immunology148: 2429-2436 (April 15, 1992) ; S. Chan et al., "Induction of Interferon γ Production by Natural Killer Cell Stimulatory Factor: Characterization of the Responder Cells and Synergy with Other Inducers", J. Exp. Med.173: 869-879 (April 1991); and M. Kobayashi et al., "Identification and Purification of Natural Killer Cell Stimulatory Factor (NKSF), a Cytokine with Multiple Biologic Effects on Human Lymphocytes", J. Exp. Med.170: 827-845 (September 1989)].
인터루킨-12(이하 :"IL-12"로 지칭)는 BALB/c 마우스에서리슈만편모충증(leishmaniasis)에 대항하는 세포성 면역을 유발하는 보조제 활성이 증명되었다[참조: L. Afonso et al., "The Adjuvant Effect of Interleukin-12 in a Vaccine Against Leishmania major", Science263:235-237(1994년 1월 14일)]. 엘. 메이저(L. major)에 대항하는 보호의 수여는 리슈만편모충-특이적 CD4+TH1(T 헬퍼)세포의 개발을 유도하는 IL-12의 활성에 기초한다. 미국 특허 제5,571,515호(Scott et al.) 및 관련 부분, 미국 특허 제5,723,127호 및 제5,976,539호는 원생 기생충을 포함하는 항원에 대한 세포성 면역반응을 증강시킴으로써 리슈만편모충에 대항하는 보조제로써의 IL-12의 용도를 기술한다. 리슈만편모충 모델에 대한 보조제 및 암백신으로서의 IL-12의 용도의 기술에 기초하여, 미국 특허 제5,723,127호는 선별한 항원 및 IL-12의 항원성 조성물 및 선별한 항원에 대한 숙주의 세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조성물의 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지시한다. 미국 특허 제5,976,539호는 암세포 또는 선별된 항원 및 IL-12로 감염시킨 암세포로부터 선별한 항원의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을 기술한다. 이 시리즈의 추가의 관련 연속인 미국 특허원 제6,168,923 B1호(Scott et al.)는 병원성 미생물 및 미생물에 대항하는 백신 접종한 숙주의 세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IL-12로 이루어진 항원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백신 접종한 숙주의 세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면역 조성물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IL-12 투여방법을 청구한다.
미국 특허 제5,665,347호(Metzger et al.)는 TH1(T 조력)세포의 활성 외에, IL-12가 B1 세포 활성의 기능적 활성을 억제하지만 B2 세포의 활성은 억제하지 않으며, B1 세포는 IL-12 수용체를 소유한다는 것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권자는 IL-12를 만성 림프구백혈병, 임파종(lymphomas) 및 감염성 단핵구증과 같은 B1 세포 질환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미국 특허 제5,817,637호(Weiner et al.)는 2가지 분리된 접종원에 면역성을 주는 제제로서 유전 물질을 사용하는 약제학적 면역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제3 접종원은 감염, 복제 또는 염증 인자{예를 들면, 렉틴, 성장 인자, 사이토킨(α-인터페론, γ-인터페론, IL-1, IL-2, IL-4, IL-6, IL-8, IL-10, IL-12 등과 같은) 및 림포카인}와 같은 다른 반응 증강 인자와 합해질 수 있는 부피바카인(bupivacaine)을 함유한다.
미국 특허 제5,985,264호(Metzger et al.)는 IL-12 및 성체로서 보호 반응을 위한 기억을 유도하는 항원의 투여를 포함하는 신생숙주에서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강시키는 방법과 관계된다. 신생숙주는 포유동물(예를 들면, 사람, 쥐, 고양이, 개, 소 또는 돼지)이고, 출생 후 약 2년까지의 신생아 및 태아를 포함한다. 항원은 세균{예를 들면, 에스. 뉴모니애(S. pneumoniae), 엔. 메닌기디티스(N.meningiditis), 에이치. 인플루엔자(H. influenza)}, 바이러스 {예를 들면, 간염, 홍역,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 사람면역결핍(human immunodeficiency),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 호흡기합포체(respiratory syncytial)}, 기생충{예를 들면, 리슈만편모충, 주혈흡충(Schistosomes)} 및 곰팡이{예를 들면, 칸디다균(Candida), 누룩곰팡이(Aspergillus)}로서 기술된다.
미국 특허 제5,744,132호(Warne et al.)는 IL-12 단백질, 폴리소르베이트,저온보호제(cryoprotectant), 증량제(bulking agent) 및 완충제의 동결, 액상 또는 동결건조 제형에서 IL-12의 농축 제제의 조성물 및 제공방법을 기술한다. 미국 특허 제5,853,714호(Deetz et al.)는 숙주 세포 단백질 및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원이 없는 IL-12를 만들기 위한 소수성 결합 크로마토그래피 수지를 사용하는 IL-12의 정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야 외에, 특정 항원{예를 들면, 경구내성을 증강키고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기 위한[참조: 제WO 98/16248호], 염증을 치료하기 위한[참조: 미국 특허 제5,674,483호, Tu et al.] 파라믹소비리대(paramyxoviridae) 백신내의 보조제로서[참조: 미국 특허 제6,071,893, Graham et al.], 보르데텔라 페르투시스(Bordetella pertussis) 백신에서의 보조제로서(제WO 97/45139호) 또는 인플루엔자 A, HIV, 테타누스 독소 등과 같은 항원을 함유하는 백신에서 IL-13과의 공-보조제로서(제WO 98/31384호) 등}과 IL-12의 용도를 기술하는 이러한 수많은 영역에서 몇가지 특허 및 출원이 있다. 추가의 연구자는 각종 동물 시토키닌 및 이들{단 몇만 지칭하여 예를 들면, 고양이 IL-12(C. Leutenegger et al., "Immunization of Cats agnainst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FIV) Infection by Using Minimalistic Immunologenic Defined Gene Expression Vector Vaccines Expressing FIV gp140 Alone or with Feline Interleukin-12(IL-12), IL-16, or a CpG Motif", J. Virology 74(22):10447-10457(Nov. 2000) 및 제WO 01/04155 A2호), 조류 IL-15(제WO 97/14433호), 양 IL-5 또는 IL-12(제WO 97/00321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 기술한 몇개의 공보를 포함하는, 다른 연구는 특정 백신 제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초점을 둔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242,686호(Chu et el.)는 클라미디아 감염에 대항하는 유용한 고양이 백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지시한다. 비활성 포유동물 클라미디아 세포 또는 항원은 면역학적으로 적합한 보조제 및 생리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와 합해질 수 있다. 본 특허는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다중음이온, 다중양이온, 펩티드, 투프트신(tuftsin), 오일 유액, 인터루킨-1, 인터루킨-2 및 인터페론과 같은 면역조절제,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와 같은 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혼합물과 스티렌의 공중합체와 같은 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이의 배합물로서의 보조제를 나열한다.
미국 특허 제5,733,555호(Chu) 및 이의 연속, 미국 특허 제5,958,423호는 변형된 생 BRSV 단독 또는 소 비기관염 바이러스(Bovine Rhinotracheitis Virus) IV, 소 바이러스 설사 바이러스 및 파라인플루엔자 3 바이러스, 보조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소 호흡기 발진 바이러스("BRSV")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에 대항하는 동물 면역용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세포 중재된 면역, 분비 면역글로불린 A 면역 및 이의 배합을 통한 단일 투여 후 보호면역을 유도하였다. 본 보조제는 추가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특허는 스쿠알란, 스쿠알렌, 블록 공중합체, 사포닌, 세제, 쿠일(Quil) A, 광유, 식물성 오일, 인터루킨-1, 인터루킨-2 및 인터루킨-12와 같은 인터루킨, 종양괴사인자, 인터페론, 사포닌 및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쿠일 A 및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배합물, 리포솜, 이스콤 보조제, 무라밀 디펩티드와 같은 합성 글리코펩티드, 덱스트란, 카복시폴리메틸렌, EMAR, 네오크릴(Neocryl)RA640과 같은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다른 보조제를 나열한다.
그러나, IL-12 또는 다른 면역조절제가 특히 면역보조제와 동시투여될 경우, 약한 면역성, 면역억제성 또는 잠재적 독성 항원을 효과적이고 현저하게 증강시킬 수 있다는 것은 본 분야에 기술 또는 예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본 발명의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를 포함하는 신규한 배합물과 함께, 약한 또는 면역억제성 항원, 또는 안전성의 좁은 한계를 갖는 항원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 및 조류에서 현저히 개선된 면역성을 갖는 매우 독특한 백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T 기억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면역에 강한 자극을 유도함으로써 백신의 면역원성을 충분히 개선시키고 이로 인해 시간동안 항원의 적은 또는 낮은 빈도의 용량을 필요로 하고 부작용 또는 독성의 잠재성을 줄이는 면역의 오랜 지속기간을 제공하는 배합물을 함유하는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 또는 백신을 포함하는 배합물의 신규한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의 목적은 조류 또는 포유동물 종에서 항원의 면역학적 활성을 강화, 가속 또는 연장시키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취지 및 목적은 명세서 절차로서 나타낼 것이다.
앞서 말한 목적은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의 배합물, 및 면역조절제가 면역보조제 및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또는 곰팡이 항원과 동시 제형화된 백신을 제공함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전통적인 백신 및 사이토킨 그 자체를 포함하는 다른 배합물과 비교하여 항원에 대해 매우 개선된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배경 및 본 분야로부터의 이의 새 발전을 이후에 추가로 기술할 것이다.
발명의 간단한 요지
본 발명은 항원, 면역조절제 및 백신의 면역원성 또는 생리학적 효능이 현저하게 증강된 하나 이상의 면역보조제의 유효 면역량을 포함하는 개선된 백신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항원에 대한 백신접종을 한 숙주의 면역학적 반응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는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를 포함하는 신규한 배합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류 또는 포유동물 종에 전술한 배합 조성물의 약리학적인 유효량 또는 전술한 백신 조성물의 효과적인 백신접종량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약한, 면역억제성의 또는 제한적으로 안전한 항원의 면역원성을 강화, 가속 또는 연장시키기 위한 신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신규한 백신 조성물은 항원, 면역조절제, 하나 이상의 면역 보조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유효 면역량을 포함한다. 놀랍게도,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들)의 백신으로의 혼입은 항원성 물질의 면역원성 및 생리학적 효능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의 독특한 배합은 많은 항원의 생리학적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리한 용도를 갖는다.
항원은 약제학적 또는 수의 분야에서 일상적인 기술에 의해 예상한 매우 다양한 감염성 병원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감염성 병원체는 자연에서 바이러스, 세균 또는 진균일 수 있다. 다른 감염성 병원체는 기생충, 종양 항원 및 기타 병리학적 질환의 항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백신 조성물에 사용된 특정 항원 또는 항원의 배합물은 백신접종한 종과 목적하는 결과에 따를것이다.
항원은 다양한 양 및 보통 약 0.0001중량% 내지 약1.0중량% 범위의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와 혼합된다. 전형적인 바이러스성 항원의 예는 소 호흡기 발진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HSV) 1형, 소 바이러스 설사(BVD), 파라인플루엔자-3 바이러스(PI), 개 파보바이러스(CPV), 개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CPI), 개 아데노바이러스(CAV-2) II형, 개 아데노바이러스(CDV), 개 코로나바이러스(CCV), 공수병 바이러스(특히, 개 공수병 백신을 위한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고양이 면역결핍바이러스(FIV),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고양이 감염성 복막염(FIP)의 병인성 병원체),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PRRS) 바이러스, 닭 포진바이러스{마렉스 질환(Marek's Disease)의 병인성 병원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형적인 세균 항원은 클라미디아, 에를리키아, 파스퇴렐라, 해모필루스, 살모넬라, 스타필로코쿠스, 스트렙토코쿠스, 보렐리아, 미코플라스마(예를 들면,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애의 돼지 질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형적인 기생충 항원은 렙토스피라, 코키디아, 헤모스포리디아, 아모에비다, 트립파노소마, 리슈마니아, 기아르디아, 히스토마나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형적인 진균 항원은 코키디오이데스, 히스토플라스마, 블라스토미세스, 아스퍼길루스, 크립토코쿠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면역조절제는 다양한 양 및 보통 약 0.00001중량% 내지 약 0.01중량%의 범위로 본 발명의 개선된 백신내에 존재한다. 적합한 면역조절제의 예는, IL-2, IL-4, IL-6, IL-8, IL-10, IL-12 등과 같은 사이토킨, α-인터페론 또는 γ-인터페론과 같은 인터페론, 종양괴사인자, 형질전환 성장인자, 콜로니 자극인자 등 또는 이의 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면역조절제는 사이토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인터루킨-12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개 IL-12이 개 백신에 사용된 개 IL-12; 고양이백신에 사용된 IL-12; 말백신에 사용된 말 IL-12와 같은 동종의 동물 인터루킨-12이다. 사람 IL-12 또는 쥐 IL-12[예를 들면, 재조합 사람 IL-12{제네틱스 인스티튜트, 인코포레이티드, 캠브릿지, 엠에이(Genetics Institute, Inc. ,메사추세츠주, 캠브릿지 소재)}에서 시판)] 또는 재조합 쥐 IL-12[각종 공급원, 예를 들면, 리서치 디아그토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Research Diagnostics, Inc., 뉴저지주 플란더스 소재), 및 캠브릿지 바이오사이언스, (Cambridge Bioscience, 영국 캠브릿지 소재)에서 시판; 또한 참조: D. Schoenhaut et al.,"Cloning and Expression of Murine IL-12", J. Immunology248 (1): 3433-3440 (June 1,1992)]는 면역증강 효과가 몇몇 동물 백신에서는 동종의 동물 IL-12만큼 크지 않더라도 각종 동물 종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면역보조제가 본 발명의 개선된 백신내에 다양한 양 및 보통 약 0.05중량% 내지 약 50중량%의 범위로 존재한다. 적합한 면역보조제의 예는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물질대사 오일, 예를 들면, 스쿠알렌(2, 6, 10, 15, 19, 23-헥사메틸-2, 6, 10, 14, 18, 22-테트라코사헥산) 또는 바람직하게는, 스쿠알렌(2, 6, 10, 15, 19, 23-헥사메틸-테트라코산); 블록 공중합체[예를 들면, 플루로닉(Pluronic)R{BASF 코포레이션(BASF Corporation, 뉴저지주 마운트 올리브 소재)에서 시판됨}과 같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단위 중합체; 쿠일 A{퀼라자 사포나리아(Quillaja saponaria)의 정제된 형태의 상표명, 이스코텍 에이비(Iscotec AB, 스웨덴 소재) 및 수퍼포스 바이오섹터 에이/에스(Superfos Biosector a/s, 덴마크 베드바에크 소재)에서 시판됨}와 같은 사포닌; EMA-31R과 같은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에틸렌 및 말레산 무수물의 대략 동량을 가지며, 약 75,000 내지 100,000의 추정 평균 분자량을 갖는 직쇄의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몬산토 코포레이션(Monsanto Co. , 미주리주 루이스가 소재)에서 시판됨}; 아크릴산 공중합체; 네오크릴R{아크릴산 및 스티렌과 혼합된 메타크릴산의 비유착된 수성 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비닐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Polyvinyl Chemicals, Inc. ,메사추세츠주 윌밍톤 소재)로부터 시판됨}과 같은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 MVPR{담광유의 수중유 유액, 모던 베테리나리 프로덕트(Modern Veterinary Products, 노스캐롤라이나주 오마하 소재)로부터 시판됨}와 같은 광유 유액 또는이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는 다양한 양의 폴리옥시프로필렌 및 폴리옥시에틸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공중합체는 총분자의 약 10-20%의 양의 폴리옥시에틸렌 및 약 3250 내지 4000의 평균 분자량의 폴리옥시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는 전형적으로 다음의 특성을 갖는 수용성, 백색, 자유유동 분말이다: 약 1.54g/mL의 실밀도, 약 170℃의 연화점, 235℃의 융점, 274℃의 분해 온도, 약 20lbs/ft3의 일괄 밀도 및 약 2.3(1% 용액)의 pH.
본 발명의 바람직한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은 7.5의 pH, 100 eps의 점도{브룩크필드(Brookfield), 25℃}, 약 40중량% 고체, 38용적% 고체 및 산가 48을 함유하도록 공급되는 갤론당 8.6 파운드의 중량을 갖는 수성 아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네오크릴RA640이다. 특히, 네오크릴RA640은 아크릴산 및 스티렌과 혼합된 메타크릴산의 비유착된 수성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라텍스 유액이다. 다른 유용한 생성물은 네오크릴RA520 및 A625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의 바람직한 배합물은 동종의 동물 IL-12, 스쿠알란 및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동종의 동물 IL-12 및 사포닌의 혼합물; 및 동종의 동물 IL-12, EMA-31R및 광유 유액이 있거나 없는 네오크릴RA640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재조합 사람 또는 쥐 IL-12는 동종의 동물 IL-12로치환될 수 있고, 부분적 면역강화 효과가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한 상황하에, 효능 또는 효과는 통상의 실험을 통해 쉽게 결정할 수 있고 이어서 활성 성분의 용량은 필요로 하는 환자 또는 동물에게 대략 적정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또한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에 다양한 양으로 존재한다. 물론, 무독성, 비활성 담체의 양은 다른 성분, 활성 항원성 물질의 목적하는 농도, 유리병, 주사기 또는 다른 전통적인 비히클 크기 등의 선택량에 따를 것이다. 담체는 어떠한 편리할 경우 백신에 첨가할 수 있다. 동결건조된 백신의 경우, 담체는 예를 들면, 투여 직전에 첨가할 수 있다. 대안으로, 최종 생성물은 담체와 함께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의 예는 멸균수, 염수, 완충액, 인산-완충액, 염화나트륨 완충액, 식물성 오일, 최소 필수 배지{Minimum Essential Medium(MEM)}, HEPES 완충액을 갖는 MEM 완충액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임의로, 조성물은 전통적으로, 제2 보조제를 보조제 및 목적하는 결과에 따라 다양한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통례의 양은 약 0.02 내지 약 20중량%의 범위이거나 다른 성분 및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 용량당 약 1㎍ 내지 약 50㎍를 제공한다. 적합한 제2 보조제의 예는 안정제; 유화제,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 수산화나트륨, 염산 등과 같은 pH 조정제; 트윈(Tween)R80{폴리소르베이트 80, 시그마 케미칼 코포레이션(Sigma Chemical Co. , 미주리주 루이스가 소재)에서 시판}와 같은 계면활성제; 리포솜; 이스콤 보조제; 무라밀 디펩티드와 같은 합성 글리코펩티드; 예를 들면, 인산알루미늄을 갖는 덱스트란 또는 덱스트란 배합물과 같은 증량제; 카복시폴리메틸렌; 미코박테리아 세포벽 추출물과 같은 세균의 세포벽; 코리네박테리움 파붐;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 미코박테리움 보비스와 같은 이들의 유도체{예를 들면, 보빈 칼메데 구에른(Bovine Calmede Guern (BCG))}; 우두 또는 동물 수두바이러스 단백질; 오비바이러스와 같은 서브바이랄(subviral) 입자 보조제; 콜레라 독소; N, N-디옥타데실-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프로판디아민(아브리딘);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DDA, 코닥(Kodak, 뉴욕 로체스터 소재)에서 시판}; 이의 합성물 및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알루미늄을 다른 제2 보조제 또는 쿠일 A와 같은 면역보조제와 혼합한다. 적합한 안정제의 예는 수크로스, 젤라틴, 펩톤, NZ-아민 또는 NZ-아민 AS와 같은 분해 단백질 추출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화제의 예는 광유, 식물성 오일, 땅콩유 및 주사가능한 또는 비강내 백신에 유용한 다른 표준의, 대사가능한, 무독성 오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이들 보조제를 본원에서 항원성 물질에 대한 포유동물 또는 조류의 체액성 면역반응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면역조절제와의 배합물에서 이의 효과를 위한 백신에 필수 성분인 상기한 면역보조제와 비교하여 단지 "제2"로서 동정하였다. 제2 보조제는 특정 보조제가 어떠한 정도로 면역학적으로 증강된 특성을 소유하고 이중의 목적을 갖는다 하더라도 공정의 보조제로서 주로 백신 제형에 포함된다.
필요한 만큼, 통상적인 보존제는 약 0.0001중량% 내지 약 0.1중량%의 범위의 유효량으로 백신에 첨가할 수 있다. 제형에 사용되는 보존제에 따라, 이 범위 상하의 양이 유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보존제는 예를 들면, 칼륨 소르베이트, 나트륨 메타비술파이트, 페놀,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티메로살 등을 포함한다.
비활성의, 변형된 또는 다른 형태의 백신 및 본 발명의 개선된 백신 제형의 제조방법의 선택이 공지되어 있거나 본 분야에서 일상적인 기술로 쉽게 결정된다. 비활성 백신의 제조의 예시로서, 예를 들면, 면역조절제, 바람직하게는 동종의 동물 IL-12를 하나 이상의 항원, 하나 이상의 면역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제와 혼합한다. 항원은 비활성 FIV, FeLV, 이. 카니스(E. Canis), CCV, 렙토스피라 균주 등일 수 있다. 추가의 예시로서, 면역조절제, 바람직하게는 동종의 동물 IL-12를 면역보조제 또는 변형 백신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보조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항원과 혼합한다. 이러한 경우에 항원은 BRSV, 에스. 에쿠이, CPV, CAV-2, CDV, CPI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백신은 본 제형 분야에 공지된 각종 표준 기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본원에서 기술한 예시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평가된다.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를 포함하는 배합물은 분리된 생산물로서 제조 및 투여할 수 있다. 조성물을 증강시키는 본 면역원성의 약리학적 유효량은 항원의 면역원성을 강화, 가속 또는 연장시키기 위한 약한, 면역억제 또는 제한적으로 안전한 항원의 투여 전, 동시, 연속적으로 또는 직후에 예를 들면, 비경구, 경구 또는 기타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면역원성을 증강시키는 조성물을백신 접종 방법의 시작 전 24시간 내, 바람직하게는 백신 접종 4시간 전 또는 동시에 투여할 것이다. 백신 접종이 항원성 물질의 하나 이상의 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 면역원성을 증강시키는 조성물은 백신의 투여와 함께 연속적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다. 덜 효과적이라 하더라도, 면역원성을 증강시키는 조성물을 항원에 대항하는 면역을 유발(boost)시키기 위해 백신 뒤에, 그러나 24시간을 넘지 않게 투여할 수 있다.
백신으로부터 분리되어 주어지는 경우, 배합물은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로, 본원에서 기술한 제2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 둘 다 전형적으로 단위 용량 용기내에 다양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배합물의 용량이 항원, 종, 백신 접종한 또는 백신접종을 할 숙주의 체중 등에 따르는 반면, 면역조절제의 약리학적 유효량의 용량은 용량당 보통 약 0.1㎍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용량당 약 5㎍ 내지 약 50㎍의 범위일 것이다. 본 면역보조제는 전형적으로 용량당 약 1㎍ 내지 약 25㎍의 범위일 것이다. 배합물내의 특정 면역보조제의 존재 및 양이 면역반응을 개선시키는 데 필요한 면역조절제의 양에 영향을 주더라도, 수행자가 특정 상황을 충족시키는 일상의 실험을 통해 면역조절제의 유효 용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동종의 동물 IL-12를 사용할 경우, 백신내의 면역조절제의 양은 이의 효과에 기인하여 현저히 감소될 것이다. 개, 고양이 등과 같은 소 동물용으로는, 본 발명의 배합 조성물내에 동종의 동물 IL-12를 용량당 약 0.02㎍ 내지 약 2㎍의 범위로 통상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동물 IL-12를 용량당 약 0.1㎍ 내지 약 1㎍으로 사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량당 약 0.5㎍으로 사용한다. 말, 소, 돼지 등과 같은 대 동물용으로는, 동물 IL-12를 용량당 약 0.1㎍내지 약 5㎍의 범위로 통상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용량당 약 0.5㎍ 내지 약 2.5㎍을 사용한다. 본 주어진 범위 상하의 양이 더 작은 조류 및 매우 큰 동물에서 이들의 각각의 용도로 발견될 수 있다고 평가된다.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또한 동물 IL-12를 백신 또는 사용 직전의 단위 용량 형태에 투여할 것을 추천한다.
비제한적인 예로, 적합한 개 백신은 1×105TCID50의 용량당 농도의 이, 카니스의 에보니(Ebony) 균주; 5 X E7의 용량당 농도의 비. 버그도르페리 IPS; 5 X E8의 용량당 농도의 비. 버그도르페리 B-31; 에멀시겐 SA 5% v/v; EMA-31R1% v/v; 네오크릴RA640 3% v/v; 티메로살(5%) 1:20,000농도; 대략 0.5㎍의 용량당 농도의 1X MEM 희석제 적합한 양 및 개 IL-12의 적합한 양 또는 용량당 대략 10㎍의 농도의 사람 IL-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면역원성을 증강시키는 조성물의 약리학적인 유효량 또는 본원에 기술한 백신 제형의 유효 백신접종량 또는 면역량을 조류 또는 포유동물 종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약한, 면역억제성의 또는 제한적으로 안정한 항원의 면역원성을 강화, 가속 또는 연장시키는 신규한 방법을 포함한다. 약한, 면역억제성의 또는 제한적으로 안정한 항원의 면역원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항원의 효과를 개선시킴을 포함한다. 면역원성의 가속화는 작용의 개시 속도를 가속화함을 의미한다.면역원성의 확장은 활성의 존속기간을 연장함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규칙으로, 본 발명의 백신은 통상적으로 비경구(피하, 근육내, 정맥내, 피하내 또는 복막내), 구강내, 비강내, 경피 또는 경구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의해 예상되는 투여 방법은 항원성 물질 및 공 제형(co-formulant)에 따를 것이다. 예를 들면, 백신이 사포닌을 함유하는 경우, 무독성의 경구 또는 비강내로 투여한다 해도, 이들이 강한 용혈성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혈류속으로 사포게닌 글리코시드가 주입되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한다. 또한, 많은 항원이 경구투여시 효과적이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백신을 피하, 근육내로 투여하거나, 에스. 에쿠이 및 다른 것의 경우, 비강내로 투여한다.
백신의 용량은 선택된 항원, 투여 방법, 종, 중량 또는 다른 표준 인자에 따를 수 있다. 본 분야에서 일상의 기술의 숙련가는 효과적인 면역량 및 투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위한 적합한 용량을 용이하고 쉽게 적정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유리하게는, 항원 및 사이토킨과 같은 면역조절제, 바람직하게는 동종의 동물 Il-12를 백신 제형내의 면역보조제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개선된 백신이 과거에 성취되었던 것보다 높은 항원성을 가지고, T 기억 세포의 보다 강한 자극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제형으로 백신접종한 후 항원성 물질에 대한 혈청 항체 역가는 면역조절제의 부재하에 동일한 제형에 의해 유도된 역가보다 매우 높다. 예를 들면, 이전의 연구는 스쿠알란과 플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보조된 BRSV로 백신접종한지 14일 후 BRSV에 대한 혈청 항체 역가는 약 1:125임을 나타낸다. 놀랍게도, 스쿠알렌,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재조합 사람 IL-12와 혼합된 BRSV로 접종시킨지 14일 후의 BRSV에 대한 혈청 항체 역가는 약 1:395로 뚜렷하게 더 높고, 28일 후에는 약 1:366으로 현저하게 더 높다. 현저하게 증강된 면역원성, 가속된 작용의 개시 및 확장된 면역 존속기간은 높아진 혈청 항체 역가(즉, 체액성 면역반응) 및 T 기억 세포의 강한 자극에 의해 증명된다. 본 선택적 발명의 백신의 효능에서 상당한 개선은 본 분야의 상태로부터 의미심장한 새 발전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한 바로서, "CFU"는 콜로니 형성 단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BRSV의 "감염성 단위"는 TCID50으로 정의된다. "TCID50" 또는 50% 조직 배양 감염성 용량은 조직 배양물의 50%를 감염시키는 용량으로써 정의된다. 예를 들면, 항원을 함유하는 용액이 1:100으로 희석되는 경우, 1 감염성 단위는 조직 배양물의 50%에 영향을 미치는 양과 동일하다. BRSV의 경우에, TCID50은 조직 배양 세포의 50%를 감염시키거나 죽이는 데 필요한 바이러스의 양이다. 용어 "세포 중재된 면역"은 T-헬퍼 세포, T-킬러(Killer) 세포 및 T-지연 과민성 세포의 자극과 대식시포, 단핵세포 및 기타 림포카인 및 인터페론 생산물의 자극을 포함한다. 세포 중재된 면역의 존재는 통상적인 생체내 및 시험관 분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분비성 IgA와 같은 국소 면역은 1 내지 2 또는 그 이상의 혈청 중화 항체 역가를 나타내는 통상적인 ELISA 또는 IFA 분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발되는 세포 중재된 면역 또는 국소 면역은 항원에 특이적이거나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용어 "포유동물"은 사람, 소, 암소, 양, 사슴, 말, 돼지, 염소, 개, 고양이 등을 지칭한다. 용어 "조류"는 닭 또는 칠면조와 같은 가금류 및 길든 또는 야생 조류의 다른 형을 지칭한다. 동물에서의 수의용이 바람직하지만, 본원에 기술한 면역원성 증강 및 백신 조성물이 유리한 의학적 용도를 발견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해는 다음의 비제한적 실시예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의 예시를 위해 설명한 것이며 이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건 및 영역에 관하여 전체적인 정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전형적인 반응 조건(예를 들면, 온도, 반응시간 등)이 주어질 경우, 일반적으로 덜 편리하더라도, 특정 범위 상하 둘다의 조건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고 추가로 평가될 수 있다. 다음의 실험 연구는 와이어스(Wyeth, 뉴저지주 매디슨 소재)의 자회사, 제네틱스 인스티튜트, 인코포레이티드(Genetics Institute, Inc., 메사추세츠 캠브릿지 소재)로부터 수득한 재조합 사람 IL-12를 사용한다. 다른 것이 표현되지 않더라도, 본 실시예는 실온(약 23℃ 내지 약 28℃) 및 대기압에서 수행하며 본원에서 지칭한 모든 중량부 및 퍼센트는 중량에 의한 것이며, 모든 온도는 화씨 온도로 표현한다.
실시예 1
말 백신의 면역원성에 대한 보조제의 효과
본 연구는 스트렙토코쿠스 에쿠이의 비활성 백신의 면역원성에 대한 특정 보조제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한다. 보조제를 제조하기 위해, 재조합 사람 IL-12의 모액(4.45mg/mL), 사포닌, 변형된 생 백신용 안정화제(SGGK-3, 25% v/v) 및 세균 성장 배지(Modified Todd Hewitt Broth, MTHB)를 사용한다. 3개의 보조제 혼합물은 대략 용량당 IL-12 10㎍, 용량당 IL-12 50㎍ 및 용량당 IL-12 10㎍ 용량당 사포닌 5mg을 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용량당 IL-12 약 10㎍을 포함하는 보조제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재수화 희석제를 IL-12 약 0.056mL을 충분한 양의 물 49.719mL에 첨가하여 총 50mL로 제조한다. 이어서 조정 희석제는 IL-12 약 0.056mL를 MTHB 약 37.444mL와 혼합한 SGGK-3(25% v/v) 약 12.5mL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용량당 IL-12 약 50㎍을 포함하는 보조제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재수화 희석제를 IL-12 약 0.281mL을 충분한 양의 물 49.719mL에 첨가하여 총 50mL로 제조한다. 이어서 조정 희석제는 IL-12 약 0.281mL를 MTHB 약 37.219mL와 혼합한 SGGK-3(25% v/v) 약 12.5mL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용량당 IL-12 10㎍에 더한 사포닌 5mg을 포함하는 보조제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IL-12 약 0.056mL를 사포닌 약 0.625m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충분한 양의 물 약 49.319mL에 첨가하여 총 50mL를 제조한다. 이어서 보조제 희석제는 IL-12 약 0.056mL를 사포닌 약 0.625m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MTHB 약 37.819mL와 혼합한 SGGK-3(25% v/v) 약 12.5mL에 첨가하여 제조한다.
각 백신을 제조하기 위해, 피나클(Pinacle)RI.N. 한병{비강내 말 선역 백신, 와이어스(뉴저지주, 매디슨 소재)의 수의 부, 포트 닷지 애니멀 헬스, 인코포레이티드(Fort Dodge Animal Health, Inc)에서 시판}을 재수화 희석제 약 2.5mL로 재수화시킨다. 백신 10개의 용량은 각각의 그룹(대략 백신 20mL)으로 제조한다. 백신의 재수화 후, 재수화된 백신 약 0.467mL를 조절 희석제 약 19.533에 첨가하여 용량당 대략 1 ×107CFU의 양을 수득한다.
실험 백신의 대상이 되는 모든 말을 백신 접종 사이의 3주에 2회 백신 접종시킨다. 백신을 약 5.5 인치의 도관에 연결된 주사기를 사용하여 비강내로 투여한다. 제1 백신 접종은 왼쪽 콧구멍속으로 투여하고 제2 백신 접종은 오른쪽 콧구멍 속으로 투여한다. 대조 그룹내의 모든 말은 시판되는 스트렙토코쿠스 에쿠이 백신{스텝가드(하블로겐(HavlogenR)을 갖는 Stepguard(스텝가드)R카복시폴리메틸렌으로 이루어진 보조제, 배이어 코포레이션(Bayer Corporation)의 농산부, 배이어 애니멀 헬스, 인코포레이티드(Bayer Animal Health, Inc)에 의해 제조}으로 백신 접종하고 3주 간격으로 2회의 백신 접종을 받는다. 상업적 백신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근육내로 투여한다.
5마리의 말은 백신접종하지 않고, 대신, 에스. 에쿠이 CF-32 균주 1mL(대략 5 ×108CFU/mL)를 접촉 접종 5일 전 각각의 콧구멍에 접종시킨다. 약 5.5인치의 도관을 갖는 주사기를 말을 접종시키는 데 사용한다. 5마리의 말을 임상 징후 및 직장 온도에 대해 접종 후 2일부터 5일전까지 매일 관측한다. 비강 면봉을 접종 후 매일 수거하여 에스. 에쿠이 발산을 관측한다. 제2 접종 후 21일째, 모든 백신접종한 말을 5마리의 직접 접종한 말과 뒤섞는다. 본 동물을 접종 후 -2일에서 0일(DPC)까지 매일 관측하여 각종 임상 징후에 대한 기저 및 1일 내지 28일 DPC를 수립한다. 동물을 추가로 30, 33 및 36 DPC에 대해 관측한다.
아래의 표 1은 평균 임상 점수, 국소적 림프 노드 종양 발생률, 에스. 에쿠이 발산 및 산재적 농양에 의해 증명함으로써 보조제 IL-12(대략 50㎍ IL-12/용량) 및 사포닌과 IL-12의 배합이 본 연구에 사용한 나머지 보조제와 비교하여 비교적 더 나은 면역자극제임을 나타낸다. 이들 2개의 그룹내의 말은 IL-12가 없는 시판되는 백신 또는 IL-12와 사포닌의 배합물을 받은 그룹과 비교하여 산재적 농양의 발생률에 약 35% 내지 약 40% 감소 및 평균 임상 점수의 약 23% 내지 약 40% 감소를 나타낸다.
에스. 에쿠이 연구 결과
보조제 그룹당 총 말 국소적 농양을 갖는 말의 수 산재적 농양을 갖는 말의 수 산재적 농양1을 갖는 말의 감소 % 평균 임상 점수1 배이어 그룹과 비교한 평균 임상 점수의 감소 %
SP 오일 5 5 2 20% 65.6 13%
IL-12(10㎍) 5 5 1 40% 59.6 14%
IL-12(50㎍) 5 4 1 40% 52.8 23%
IL-12(10㎍)+사포닌 4 3 1 35% 47.5 40%
카보폴 5 5 2 20% 61.8 21%
DDA+DEAE Dex3 4 4 2 10% 65.2 17%
배이어 백신 5 5 3 N/A2 78.6 N/A
1산지적 농양 및 평균 임상 점수의 감소 퍼센트는 배이어 그룹과 비교하여 각 그룹에 대해 측정하였다.2"N/A"는 적용사항 없음을 의미한다.3"DDA"는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이고 "DEAE Dex"는 디에틸아미노에틸-덱스트란이다.
실시예 2
소 백신의 면역원성에 대한 보조제의 효과
본 연구는 BRSV(소 호흡기 발진 바이러스)의 변형된 생백신의 면역원성에 대한 특정 보조제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보조제를 제조하기 위해, SP 오일 보조제의 모액(5% v/v) 및 재조합 사람 IL-12(mL당 약 1,260㎍)를 사용한다.
SP 오일은 플루로닉(Pluronic)RL121{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BASF 코포레이션(BASF Corporation, 뉴저지주 마운트 올리브 소재)} 20mL, 스쿠알렌 40mL, 폴리소르베이트 80 3.2mL 및 완충염용액 936.8mL을 혼합하고 안정한 덩이 또는 유액이 형성될 때까지 혼합물을 균질화시켜 제조한다. 균질화전, 성분 또는 혼합물을 오토클레이빙한다. 유액을 여과에 의해 추가로 멸균시킨다. 포르말린 및 티메로살을 0.2%의 최종 농도 및 1:10,000의 희석도로 각각 첨가한다.
용량당 SP 오일 약 5% v/v에 더하여 IL-12 약 10㎍을 포함하는 보조제 혼합물은 IL-12 약 0.278mL를 5% v/v SP 오일 약 69.722mL에 첨가함으로써 용량당 약 5% v/v SP 오일 및 약 10㎍의 IL-12 약 70mL를 제조한다.
백신의 제조를 위해, BRSV를 MDBK 세포{마딘-다비 소 신장세포(Madin-Darby Bovine Kidney cells); MDBK 세포주는 정상 성체 수소의 신장으로부터 유래한다}내에서 키우고 접종 후 6일에 수거한다. 백신 케익(cake)은 용량당 약 105.7TCID50의 BRSV 역가에서 MEM과 혼합하고 이어서 동결건조시킨다. 동결건조시킨 백신 케익을 이어서 보조제 희석제를 함유하는 상기한 IL-12로 재수화시켜 최종 백신을 제조한다.
약 6개월이 된, 9마리의 송아지에 BRSV 백신을 피하로 접종시키고, 대조군으로서 7마리의 송아지를 남겨둔다. 혈청 항체 반응을 BRSV에 대한 특정 항체를 검출함으로써 측정한다. 본 백신의 효능은 백신접종 28일 후 용균성 BRSV를 갖는 백신접종군과 대조군을 시험감염시킴으로써 증명된다.
SP 오일 + IL-12가 보조된 변형된 BRSV 생 백신은 BRSV에 대한 매우 높은 역가의 항체 반응(백신접종 후 28일에 약 1:366)을 유도한다. 용균성 BRSV 시험감염 후, 질환의 중증도는 대조 그룹과 비교하여 백신접종한 그룹에서 감소된다(약 53%감소). 이는 본 연구에 사용된 SP 오일 + IL-12 보조제가 BRSV 변형된 바이러스 백신과 혼용성이며 BRSV 변형 바이러스 백신의 효능을 현저히 증강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2는 변형된 생 BRSV 및 IL-12 함유 보조제로 백신접종된 송아지의 BRSV에 대한 항체 반응을 나타낸다.
BRSV에 대한 항체 반응
그룹 동물 수 0 DPV 14 DPV 28 DPV/0 DPC 7 DPC 14 DPC
백신접종 9 < 5 625 366 150 2,420
대조 7 < 5 < 5 < 5 < 5 125
아래의 표 3은 용균성 BRSV 시험감염 후 변형된 생 BRSV 및 IL-12 함유 보조제로 접종된 송아지의 질환 감소를 나타낸다.
질환 감소
그룹 동물 수 평균 총 점수 질환 감소
백신 9 2.7 53%1
대조 7 5.7 N/A2
1질환 감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접종 후 질환을 나타내지 않는 송아지의 퍼센트이다.2"N/A"는 적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3
개 백신의 효능에 대한 보조제의 효과
본 연구는 에를리키아 카니스의 1가 백신, 죽은 세균백신의 면역원성에 대한 특정 보조제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한다. 보조제를 제조하기 위해, 재조합 IL-12의 모액(4.45mg/mL), EMA-31R[1% v/v, 에틸렌 및 말레산 무수물의 대략 동량을 가지고, 약 75,000 내지 100,000의 추정 분자량을 갖는 직쇄의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몬산토 코포레이션(미주리주, 루이스가 소재)에서 시판} 및 네오크릴RA640(3% v/v, pH 7.5, 점성도 100eps(브룩크필드, 25℃), 40중량% 고체, 38용적% 고체 및 산가 48을 함유하도록 공급되는 갤론당 8.6파운드의 중량을 갖는 아크릴산 및 스티렌과 혼합된 메타크릴산의 비유착된 수성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라텍스 유액, 폴리비닐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메사추세츠주, 윌밍톤 소재)에서 시판]를 사용한다. IL-12의 작용 용액은 마그네슘 및 칼슘이 없는 인산 완충염을 포함하는 희석 완충액에서 제조한다. IL-12 모액 45μL를 희석 완충액 9,955μL에 첨가한다. 희석 IL-12 작용 용액의 최종 농도는 20㎍/mL이다.
백신을 제조하기 위해, 이. 카니스의 비활성 에보니 균주 대략 1 ×104또는 1 ×105TCID50을 EMA-31R1% v/v 및 네오크릴R3% v/v와 혼합한다. 티메로살 2퍼센트를 방부제로서 약 1:20,000의 수준으로 백신에 첨가한다. 주입전에 용량당 500μL의 양에 희석한 IL-12 작용 용액을 백신과 혼합한다. 아래의 표 4에 나타낸 그룹 4에 대한 백신은 소 칼메데 구에른(BCG) 세균백신의 용량당 100㎍과 혼합한다.
35마리의 개를 4개의 백신접종된 그룹과 2개의 대조 그룹을 포함하는 6개의그룹속으로 무작위로 나눈다. 백신화된 그룹은 2개의 항원 수준에서 이. 카니스의 1가 에보니 균주로 백신접종한다. 아래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2는 대략 1 ×104TCID50의 항원 수준으로 백신접종시키고 나머지는 대략 1 ×105TCID50의 항원 수준으로 백신접종시킨다. 그룹 2, 3 및 5는 용량당 IL-12 10㎍으로 혼합된 백신으로 백신접종시킨다. 그룹 4는 보조제로서 BCG를 함유하는 백신으로 백신접종시킨다. 각 백신의 2개의 용량을 생후 20주 및 23주 된 것에, 각각 제공한다. 교차-보호의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그룹 5 및 6을 이. 카니스의 브뢰드포드(Broadford) 균주로 이종 시험감염시키고 다른 것은 이. 카니스의 에보니 균주로 동종 시험감염시킨다.
아래의 표 4에 나타낸, 그룹 3의 5마리의 개 중 2마리(40%) 및 그룹 4의 6마리의 개 중 2마리(33%)가 백신접종 그룹을 이. 카니스의 에보지 균주로 동종 시험감염시켰을 경우 혈소판감소증이 없었다. 대조군(그룹 1)의 100퍼센트와 저용량 백신으로 백신접종시킨 개(그룹 2)는 본 연구 끝까지 심각한 혈소판감소증을 가졌다. 사망에 관해서는, 대조군의 6마리 중 5마리(83%)가 죽거나 관측 기간동안 안락사되었다. IL-12 보조된 저용량 백신으로 백신접종한 개(그룹 2)와 BCG 보조된 백신으로 백신접종한 개(그룹 4)는 33%의 치사율을 가진다. 치사율 및 치사 데이타에 기초하여, IL-12 보조된 이. 카니스 백신은 동종 이. 카니스 시험감염에 대항하는 보호 면역을 현저히 증강시킨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EMA-31R및 네오크릴R과의 배합물에 IL-12를 첨가하는것은 이. 카니스 1가 백신의 효능을 증가시키고 치사율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그룹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IL-12 배합물에 의해 유도된 보호는 항원 용량-의존적이다. 추가로, BCG와 비교하여, IL-12 배합물에 의해 유도된 보조제 반응은 이. 카니스의 치사의 시험감염으로부터 백신접종한 개의 감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아래의 표 4는 재조합 사람 IL-12로 보강된 1가의 이. 카니스 백신의 전-면역원성 연구의 결과를 나타낸다.
전-면역원성 연구
그룹 수 동물 수 치료 접종 물질 혈소판감소증 치사율 직장 온도
1 6 대조군 에보니 6/61 5/6, 83% 6/62
2 6 10e4 EB/IL12 에보니 6/6 2/6, 33% 6/6
3 5 10e5 EB/IL12 에보니 3/5 0/5, 0% 3/5
4 6 10e5 EB/BCG 에보니 4/6 2/6, 33% 6/6
5 6 10e5 EB/IL12 브뢰드풋(Broadfoot) 2/6 0/6, 0% 2/6
6 6 대조군 브뢰드풋 2/6 0/6, 0% 2/6
1본 비율은 시험한 개의 총 수당 혈소판감소증을 갖는 개의 수를 나타낸다.2본 비율은 그룹에서 개의 총 수당 고 직장 온도를 갖는 개의 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4
개 백신에 대한 체액성 면역반응의 평가
본 연구는 변형된 살아있는 및 죽은 바이러스 및 개 두라문(Duramune)R10 백신[동결건조된 살아있는, 약독화된 개 파보바이러스(CPV), 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CPI), 개 아데노바이러스 II형(CAV-2), 개 아데노바이러스(CDV) 및 개 코로나바이러스(CCV)를 함유하는 희석제, 렙토스피라 익테로헤모라기애{Leptospira icterohemorrhagiae(LI)}, 렙토스피라 카니콜라{Leptospira canicola(LC)}, 렙토스피라 그립포티포사{Leptospira grippotyphosa (LG)} 및 렙토스피라 포모나{Leptospira pomona (LP)}, 죽은 바이러스 및 세포백신 파편으로 구성됨, 와이어스의 수의 부(뉴저지주, 매디슨 소재), 포트 닷지 애니멀 헬스,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시판]의 죽은 세포백신의 면역원성에 대한 특정 보조제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한다. 본 보조제를 제조하기 위해, 재조합 사람 IL-12의 모액(4.45mg/mL), 두라문R10 면역원성 백신, EMA-31R, 네오크릴RA640 및 티메로살(2% v/v)를 사용한다.
시험 백신의 제조를 위해, 초기 보조제는 네오크릴R및 EMA-31R를 혼합하여 약 3% 내지 약1%의 최종 농도로 각각 제조한다. 티메로살은 방부제로서 약 1:20,000의 농도로 첨가한다.
IL-12 보조제 희석제를 제조하기 위해, 두라문R10 백신의 희석제 부분을 약 1:10의 비율, 두라문R10 희석제 1중량부 및 네오크릴R및 EMA-31R을 포함하는 초기 보조제 9중량부로 위의 초기 보조제와 우선 혼합한다. 재조합 사람 IL-12를 이어서 용량당 약 10㎍ 또는 40㎍의 최종 농도에 첨가한다.
사용하기 전, 두라문R10 백신의 동결건조된 부분의 1중량부를 IL-12 보조된희석제의 9중량부속에서 재수화시킨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사용한 두라문R10 백신의 파편은 통상적인 면역원성 백신의 약 10배 미만이다. 즉, 본 연구에서 실험한 백신은 시판용으로 제작된 통례의 백신과 비교하여 항원(보통 효력보다 약한)의 불충분한 양을 함유한다.
총 15마리의 개를 각각 5마리의 개의 3 그룹으로 무작위로 나누고 생후 10주 및 13주에 피하로 2회 접종한다. 제1 그룹은 IL-12 약 10㎍을 함유하는 백신으로 접종한다. 제2 그룹은 IL-12 약 40㎍을 함유하는 백신으로 접종한다. 제3 그룹은 IL-12가 없는 1:10 희석 두라문R10 위약(placebo)으로 접종한다.
본 개는 백신접종 1 후 0일(0 DPV1) 및 백신접종 2 후 0일(0 DPV2), 7, 14, 21 및 28 DPV2에 혈청을 위해 채혈시켰다. 렙토스피라에 대한 항체 역가는 미세응집(microagglutination) 실험(MAT)에 의해 결정한다.
결과는 아래의 표 5-8에 상술하였다. 주 그룹 및 위약 그룹 사이의 중요한 차이는 LP 및 LG 파편에서 관측된다. 표 5에 나열한 LP 파편에 대해, 중요한 차이는 0 DPV2(IL-12 약 10㎍으로 백신접종시킨 그룹) 및 21 DPV2(동일한 그룹)에서 관측된다. 표 6에 나열한 LG의 파편에 대해, 중요한 차이는 0 DPV2(IL-12 약 40㎍으로 백신접종시킨 그룹), 7, 14 및 21 DPV2(10 및 40㎍ 그룹 둘 다)에서 관측된다. 어떠한 중요한 차이도 다른 2개의 파편(표 7 및 표 8)에서는 관측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EMA-31R및 네오크릴R의 혼합물에 IL-12 첨가는 2개의 렙토스피라, LP 및 LG에 대한 체액성 면역반응을 증강시킴을 나타낸다.
엘. 포모나(L. Pomona) MAT 분석 결과
그룹 0 DPV1 0 DPV2 7 DPV2 14 DPV2 21 DPV2
두라문R10 + IL-12(10㎍) ≤4 1471 512 388 2561
두라문R10 + IL-12(40㎍) ≤4 128 638 388 194
위약 ≤4 74 194 128 49
환경 대조군 ≤4 ≤4 ≤4 ≤4 ≤4
1이 숫자는 위약 그룹과 비교할 경우 현저히 크다.
엘. 그립포(L. Grippo) MAT 분석 결과
그룹 0 DPV1 0 DPV2 7 DPV2 14 DPV2 21 DPV2
두라문R10 + IL-12(10㎍) ≤4 11 25512 23532 11762
두라문R 10 +IL-12(40㎍ ≤4 372 29312 22742 10842
위약1 ≤4 6 215 337 215
환경 대조군 ≤4 ≤4 ≤4 6 8
1개 1마리의 역가는 0 DPV1에서 1024이고 분석에서 제외시켰다.2번호는 위약 그룹과 비교할 경우 현저히 크다.
엘. 익테로(L. Ictero) MAT 분석 결과
그룹 0 DPV1 0 DPV2 7 DPV2 14 DPV2 21 DPV2 28 DPV2
두라문R 10 + IL-12(10㎍) ≤4 8 49 60 32 24
두라문R 10 + IL-12(40㎍) ≤4 14 105 86 42 32
위약 ≤4 5 74 62 28 21
환경대조군 ≤4 ≤4 ≤4 ≤4 ≤4 ≤4
엘. 카니콜라(L. Canicolar) MAT 분석 결과
그룹 0 DPV1 0 DPV2 7 DPV2 14 DPV2 21 DPV2
두라문R 10 + IL-12(10㎍ ≤4 6 256 194 64
두라문R 10 + IL-12(40㎍) ≤4 16 338 278 223
위약1 ≤4 5 159 139 49
환경 대조군 ≤4 ≤4 ≤4 ≤4 ≤4
1개 1마리의 역가는 0 DPV1에서 1024이고 본 분석에서 제외시켰다.2번호는 위약 그룹과 비교할 경우 현저히 크다.
실시예 5
고양이 백신의 면역원성에 대한 보조제의 효과
재조합 사람 IL-12가 FIV-FELV 백신의 면역원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EMA-31R, 네오크릴RA640 및 MVPR{담광유의 수중유 유액, 모던 베테리나리 프로덕트(Modern Veterinary Products,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소재)}를 백신에 첨가한 후, IL-12를 비활성 고양이면역결핍바이러스(FIV) 및 고양이백혈병바이러스(FeLV)와 혼합하였다. 백신 투여의 시험감염 방법은 복막내 투여이다. 20마리의 새끼 고양이 중 생후 8주된, 한 그룹을 FIV-FeLV 백신으로 2회 접종시키고, 생후 20주의 새끼 고양이의 다른 그룹은 IL-12가 첨가된 동일한 백신으로 접종시킨다. 백신접종을 완료한지 3주 후, 모든 백신접종한 그룹을 생후 9일의 대조군과 함께 용균성 FeLV로 시험감염시킨다. 접종된 고양이를 15주동안 비레마(virema)에 대해 주마다 관찰한다. FeLV 비레마에 대해 시험감염시킨 고양이를 관찰하기 위해, 혈청 샘플을 IDEXX FeLV 항원 실험 키트를 사용하여 FeLV p27 항원의 존재에 대해 주마다 실험한다. 고양이는 FeLV p27이 시험감염 노출 후 3주 내지 12주동안 3개의 연속한 샘플링 지점에서 관측될 경우 FeLV로 영구적으로 감염되었다고 간주된다. 모든 9개의 대조 그룹은 FeLV로 영구히 감염되었음을 발견하였다. FIV-FeLV 백신을 받은 20마리의 백신접종한 것 중 5마리가 FeLV로 영구히 감염되었음을 발견한 반면, IL-12가 첨가된 FIV-FeLV 백신을 받은 20마리의 백신접종한 것 중 단 한마리만이 FeLV로 영구히 감염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EMA-31R, 네오크릴RA640 및 MVPR와의 배합에서 IL-12가 FeLV 백신의 면역원성을 증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앞에서, 예시의 목적이며 제한하지 않는 본 발명의 특정 양태의 상세한 기술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개시에 기초한 본 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한 모든 다른 변형, 분기 및 동등물은 청구로서 본 발명의 영역내에 포함될 것을 의도함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51)

  1. 면역조절제 및 면역보조제의 약리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수의 백신(a veterinary vaccine)의 면역원성 증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면역조절제가 사이토킨, 인터페론, 종양괴사인자, 형질전환 성장인자, 콜로니 자극인자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면역조절제가 사이토킨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면역조절제가 인터루킨-12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면역조절제가 동종의 동물, 재조합 사람 또는 재조합 쥐 인터루킨-12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가 사포닌, 대사가능한 오일,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 광유 유액 및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가 사포닌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대사가능한 오일이 스쿠알렌 또는 스쿠알란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대사가능한 오일이 스쿠알란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가 대략 동량의 에틸렌 및 말레산 무수물을 가지고 추정 평균 분자량이 약 75,000 내지 100,000인 직쇄의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공중합체가 스티렌 및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비유착된 수성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혼합물을 유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14. 제6항에 있어서, 광유 유액이 담 광유의 수중유 유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15. 제6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스쿠알란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16. 제6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가 대략 등량의 에틸렌 및 말레산 무수물을 가지고 추정 평균 분자량이 약 75,000 내지 100,000인 직쇄의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스티렌과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비유착된 수성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유화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17. 제6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가 대략 등량의 에틸렌 및 말레산 무수물을 가지며 추정 평균 분자량이 약 75,000 내지 100,000인 직쇄의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스티렌과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비유착된 수성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유화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 및 광유 유액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
  18. 항원, 면역조절제, 면역보조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유효 면역량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수의 백신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면역조절제가 사이토킨, 인터페론, 종양괴사인자, 형질전환 성장인자, 콜로니 자극인자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면역조절제가 사이토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면역조절제가 인터루킨-12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면역조절제가 동종의 동물, 재조합 사람 또는 재조합 쥐 인터루킨-12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가 사포닌, 대사가능한 오일, 블록 공중합체,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 광유 유액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가 사포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25. 제23항에 있어서, 대사가능한 오일이 스쿠알렌 또는 스쿠알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대사가능한 오일이 스쿠알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27. 제23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28. 제23항에 있어서,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가 대략 등량의 에틸렌 및 말레산 무수물을 가지고 추정 평균 분자량이 약 75,000 내지 100,000인 직쇄의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29. 제23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공중합체가 스티렌 및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비유착된 수성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혼합물을 유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31. 제23항에 있어서, 광유 유액이 담 광유의 수중유 유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32. 제27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대사가능한 오일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33. 제32항에 있어서, 대사가능한 오일이 스쿠알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34. 제23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가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35. 제34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가 추가로 광유 유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36. 제23항에 있어서, 항원이 소 호흡기 발진 바이러스(Bovin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단순 포진 바이러스 1형(herpes simplex virus type 1), 소 바이러스 설사(bovine virus diarrhea), 파라인플루엔자(parainfluenza)-3 바이러스, 개 파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개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개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II형, 개 아데노바이러스, 개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공수병(rabies) 바이러스, 고양이 면역결핍(feline immunodeficiency) 바이러스, 고양이 백혈병(feline leukemia) 바이러스,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PRRS)} 바이러스, 닭 포진바이러스, 클라미디아(Chlamydia), 에를리키아(Ehrlichia), 파스퇴렐라(Pasteurella), 해모필루스(Haemophilus), 살모넬라(Salmonella), 스타필로코쿠스(Staphylococcus),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보렐리아(Borrelia), 렙토스피라(Leptospira), 코키디아(Coccidia), 헤모스포리디아(Hemosporidia), 아모에비다(Amoebida), 트립파노소마(Trypanosoma), 리슈마니아(Leishmania), 기아르디아(Giardia), 히스토모나스(Histomonas), 코키디오이데스(Coccidioides), 히스토플라스마(Histoplasma), 블라스토미세스(Blastomyces), 아스퍼길루스(Aspegillus), 크립토코쿠스(Cryptococcus)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37. 제36항에 있어서, 항원이 스트렙토코쿠스 에쿠이(Streptococcus equi)이고 면역보조제가 사포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38. 제36항에 있어서, 항원이 소 호흡기 발진 바이러스이고 면역보조제가 블록 공중합체 및 대사가능한 오일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39. 제36항에 있어서, 항원이 에를리키아 카니스(Ehrlichia canis)이고 면역보조제가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40. 제36항에 있어서, 항원이 개 파보바이러스, 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개 아데노바이러스 II형, 개 아데노바이러스, 개 코로나바이러스, 렙토스피라 익테로헤모라기애(Leptospira icterohemorrhagiae), 렙토스피라 카니콜라(Leptospira canicola), 렙토스피라 그립포티포사(Leptospira grippotyphosa) 및 렙토스피라 포모나(Leptospira pomona)의 배합물이고, 면역보조제는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41. 제36항에 있어서, 항원이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및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의 배합물이고, 면역보조제는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 및 광유 유액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42. 제18항에 있어서, 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43. 제18항에 있어서, 제2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44. 제43항에 있어서, 제2 보조제가 안정제, 유화제,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pH 조정제, 계면활성제, 리포솜, 이스콤(iscom) 보조제, 합성 글리코펩티드, 증량제, 카복시폴리메틸렌, 세균 세포벽, 세균 세포벽의 유도체, 세균백신, 동물 폭스바이러스 단백질, 서브바이랄(subviral) 입자 보조제, 콜레라 독소, N, N--디옥타데실-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프로판디아민,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45. 조류 또는 포유동물 종에 약한, 면역억제성의 또는 제한적으로 안전한 항원의 투여 전, 동시, 연속적으로 또는 후에 제1항에 따르는 면역원성 증강 조성물의 약리학적 유효량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한, 면역억제성의 또는 제한적으로 안전한 항원의 면역원성을 강화, 가속 또는 연장시키는 방법.
  46. 조류 또는 포유동물 종에 제18항에 따르는 백신 조성물의 유효 면역량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한, 면역억제성의 또는 제한적으로 안전한 항원의 면역원성을 강화, 가속 또는 연장시키는 방법.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면역 증강 또는 백신 조성물을 피하, 근육내, 피하내, 복막내, 비강내, 구강내, 경피 또는 경구로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사이토킨, 인터페론, 종양괴사인자, 형질전환 성장인자, 콜로니 자극인자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면역조절제를 함유하는 면역원성 증강 또는 백신 조성물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동종의 동물, 재조합 사람 또는 재조합 쥐 인터루킨-12를 포함하는 사이토킨을 함유하는 면역원성 증강 또는 백신 조성물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사포닌, 대사가능한 오일,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액, 광유 유액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면역보조제를 함유하는 면역원성 증강 또는 백신 조성물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소 호흡기 발진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1형, 소 바이러스 설사, 파라인플루엔자-3 바이러스, 개 파보바이러스, 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개 아데노바이러스 II형, 개 아데노바이러스, 개 코로나바이러스, 공수병바이러스,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돼지 생식기 호흡기 징후(PRRS) 바이러스, 닭 포진 바이러스, 클라미디아, 에를리키아, 파스퇴렐라, 해모필루스, 살모넬라, 스타필로코쿠스, 스트렙토코쿠스, 미코플라스마, 보렐리아, 렙토스피라, 코키디아, 헤모스포리디아, 아모에비다, 트립파노소마, 리쉬마니아, 기아르디아, 히스토모나스, 코키디오이데스, 히스토플라스마, 블라스토미세스, 아스퍼길루스, 크립토코쿠스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항원을 함유하는 백신 조성물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7003940A 2001-09-17 2002-09-13 수의 백신 보조제로서의 인터루킨-12 KR20040044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284001P 2001-09-17 2001-09-17
US60/322,840 2001-09-17
US10/243,075 US20030129161A1 (en) 2001-09-17 2002-09-12 Interleukin-12 as a veterinary vaccine adjuvant
US10/243,075 2002-09-12
PCT/US2002/029229 WO2003024354A2 (en) 2001-09-17 2002-09-13 Interleukin-12 as a veterinary vaccine adjuv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942A true KR20040044942A (ko) 2004-05-31

Family

ID=2693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940A KR20040044942A (ko) 2001-09-17 2002-09-13 수의 백신 보조제로서의 인터루킨-12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20030129161A1 (ko)
EP (1) EP1427349A4 (ko)
JP (1) JP2005520786A (ko)
KR (1) KR20040044942A (ko)
CN (1) CN1555271A (ko)
BR (1) BR0212556A (ko)
CA (1) CA2457563A1 (ko)
HR (1) HRP20040282A2 (ko)
HU (1) HUP0500238A3 (ko)
MX (1) MXPA04002490A (ko)
NZ (1) NZ531526A (ko)
PL (1) PL374123A1 (ko)
WO (1) WO2003024354A2 (ko)
YU (1) YU240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7996B1 (en) 2002-06-26 2008-03-25 Intevert International B.V. Avian cytokines, such as IL-12, comprising a p40 and/or p35 subunit and vaccines
US20050089533A1 (en) * 2003-01-29 2005-04-28 Joseph Frantz Canine vaccines against Bordetella bronchiseptica
CN1905896A (zh) * 2003-12-05 2007-01-31 贝克顿·迪金森公司 增强皮内隔室中的免疫反应的方法和其中使用的化合物
US20050202046A1 (en) * 2004-03-11 2005-09-15 Wyeth Canine vaccine for protection against ehrlichiosis
CN100425288C (zh) * 2005-01-28 2008-10-15 北京金迪克生物技术研究所 鼻腔喷雾型流感病毒灭活疫苗及其制备方法
KR100517114B1 (ko) * 2005-02-25 2005-09-2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면역보강제 조성물
ATE499112T1 (de) 2005-09-01 2011-03-15 Celgene Corp Immunologische verwendungen von immunmodulatorischen verbindungen für einen impfstoff und therapie gegen infektionskrankheiten
US7682619B2 (en) * 2006-04-06 2010-03-23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Canine influenza virus
MX2009007087A (es) 2006-12-27 2009-08-12 Pfizer Prod Inc Metodos para la administracion de vacunas.
KR100836745B1 (ko) * 2007-01-31 2008-06-10 (주)두비엘 Hbv 백신 및 그의 제조 방법
CL2008001806A1 (es) * 2007-06-20 2008-09-05 Wyeth Corp Composicion de vacuna en emulsion agua en aceite que comprende un antigeno y un adyuvante en la fase acuosa; y metodo de elaboracion.
US8501190B2 (en) * 2007-06-22 2013-08-06 The University Of Guelph Vaccine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FR2922767B1 (fr) * 2007-10-24 2009-12-18 Seppic Sa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vaccinale comprenant au moins un antigene et au moins un adjuvant.
MX2010005014A (es) 2007-11-06 2010-06-30 Wyeth Llc Vacuna viva avirulenta de mycoplasma hyopneumoniae con adyuvante.
US8273122B2 (en) 2008-06-23 2012-09-25 Abbott Medical Optics Inc. Pre-loaded IOL insertion system
ES2596952T3 (es) * 2009-11-20 2017-01-13 Abaxis, Inc. Péptidos, dispositivos y procedimientos para la detección de anticuerpos de Ehrlichia
JP6267510B2 (ja) * 2010-05-18 2018-01-24 ニューメディシ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造血を増強するためのil−12製剤
CN102908613A (zh) * 2011-08-04 2013-02-06 广州格拉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猪用免疫增强剂il-12b(p40)及其制备方法
ES2668863T3 (es) 2012-10-11 2018-05-22 Abaxis, Inc. Péptidos, dispositivos y métodos para la detección de anticuerpos de Ehrlichia
CN103028114A (zh) * 2012-12-28 2013-04-10 贵州大学 一种核酸疫苗、核酸疫苗免疫佐剂及制备方法
US9442112B2 (en) 2014-04-04 2016-09-13 Abaxi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Ehrlichia species
CN104857511B (zh) * 2015-02-13 2018-03-30 浙江大学 含人参皂甙的疫苗稀释剂
US11382971B2 (en) 2015-09-09 2022-07-12 Tsinghua University Mevalonate pathway inhibitor as highly-efficient vaccine adjuvan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7238A (en) * 1983-06-15 1991-09-10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Adjuvants for vaccines
US4567042A (en) * 1983-06-15 1986-01-28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Inactivated canine coronavirus vaccine
US5643565A (en) * 1985-09-20 1997-07-01 Chiron Corporation Human IL-2 as a vaccine adjuvant
US5503841A (en) * 1985-09-20 1996-04-02 Cetus Oncology Corporation Human IL-2 as a vaccine adjuvant
US5266311A (en) * 1987-05-28 1993-11-30 Immunex Corporation Bovine interleukin-1α
US4894333A (en) * 1987-05-28 1990-01-16 Immunex Corporation Bovine interleukin-1α
US5106733A (en) * 1987-06-25 1992-04-21 Immunex Corporation Bovine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US5242686A (en) * 1990-11-07 1993-09-07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Feline vaccin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preventing chlamydia infections or diseases using the same
US5593972A (en) * 1993-01-26 1997-01-14 The Wistar Institute Genetic immunization
US5571515A (en) * 1994-04-18 1996-11-05 The Wistar Institute Of Anatomy & Biolog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of IL-12 as an adjuvant
DE69535520T2 (de) * 1994-05-10 2008-02-07 Wyeth Abgeänderter, verbesserter BRSV Lebend- Impfstoff
DE69534922T2 (de) * 1994-10-05 2006-11-23 Vanderbilt University, Nashville Interleukin-12 als adjuvans für paramyoxviridae impfstoffe
US5674483A (en) * 1995-01-31 1997-10-07 National Jewish Medical And Research Center Treatment for diseases involving inflammation
US5665347A (en) * 1995-02-02 1997-09-09 Genetics Institute IL-12 inhibition of B1 cell activity
WO1996024369A1 (en) * 1995-02-06 1996-08-15 Genetics Institute, Inc. Formulations for il-12
US5853714A (en) * 1995-03-27 1998-12-29 Genetics Institute, Inc. Method for purification of IL-12
US5820869A (en) * 1995-06-07 1998-10-13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Recombinant raccoon pox viruses and their use as an effective vaccine against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US5972350A (en) * 1996-05-06 1999-10-26 Bayer Corporation Feline vaccines containing Chlamydia psittaci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3737519B2 (ja) * 1996-05-31 2006-01-18 ジェネティックス・インスチチュート・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百日咳菌ワクチン用アジュバントとしてのil―12
GB9712347D0 (en) * 1997-06-14 1997-08-13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cine
CA2243730C (en) * 1997-07-29 2009-12-22 Akzo Nobel N.V. Streptococcus equi vaccine
JP2002502883A (ja) * 1998-02-12 2002-01-29 アメリカン・サイアナミド・カンパニー インターロイキン−12および呼吸合法体ウイルス抗原を含んで成るワクチン
US5985264A (en) * 1998-03-05 1999-11-16 The Medical College Of Ohio IL-12 Stimulation of Neonatal immunity
US6375944B1 (en) * 1998-09-25 2002-04-23 The Wistar Institute Of Anatomy And Biolog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the immunostimulatory effect of interleukin-12
US6458942B1 (en) * 1998-11-30 2002-10-01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28-kDa immunoreactive protein gene of Ehrlichia canis and uses thereof
ATE294857T1 (de) * 1999-07-08 2005-05-15 Mologen Forschungs Entwicklung Impfstoff gegen infektionen mit lentiviren, wie dem felinen immunschwäche-virus der kat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27349A2 (en) 2004-06-16
WO2003024354A2 (en) 2003-03-27
MXPA04002490A (es) 2004-05-31
CA2457563A1 (en) 2003-03-27
US20030129161A1 (en) 2003-07-10
WO2003024354A3 (en) 2004-02-05
HUP0500238A2 (hu) 2005-05-30
PL374123A1 (en) 2005-10-03
HRP20040282A2 (en) 2004-08-31
CN1555271A (zh) 2004-12-15
US20080003201A1 (en) 2008-01-03
JP2005520786A (ja) 2005-07-14
YU24004A (sh) 2006-08-17
HUP0500238A3 (en) 2009-01-28
EP1427349A4 (en) 2006-01-11
BR0212556A (pt) 2007-04-17
NZ531526A (en)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3201A1 (en) Interleukin-12 as a veterinary vaccine adjuvant
JP6294938B2 (ja) 新規なアジュバント組成物
EP0968722B1 (en) Improved modified live BRSV vaccine
Bowersock et al. Vaccine delivery to animals
JP2006528647A (ja) 新規ワクチン製剤
KR20060006909A (ko) 미세 유동화된 수중 유적형 유화액 및 백신 조성물
KR20090053967A (ko) 웨스트 나일 백신
KR20040030783A (ko) 마이코플라즈마 보비스 백신 및 동물에서의 폐렴 감소 방법
JP2008500962A (ja) エールリヒア症に対する保護のためのイヌワクチン
KR20060013509A (ko) 소 생식기 질환의 예방 방법
Potter et al. Veterinary vaccines: alternatives to antibiotics?
EP2938356B1 (en) Immunogenic composition comprising mycoplasma antigens
US5928649A (en) Method of reversing immunosuppression in vaccines
AU2002335754A1 (en) Interleukin-12 as a veterinary vaccine adjuvant
JP5865839B2 (ja) 粘膜アジュバント組成物
ZA200402842B (en) Interleukin-12 as a veterinary vaccine adjuvant
KR20230116309A (ko) 톨-유사 수용체 7 효능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아쥬반트 조성물 또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JP2020079308A (ja) 人以外の陸上動物用のウイルス感染症に対する抗体誘導剤とその補助剤
JP2020522471A (ja) クロストリジウム類毒素を含むワクチン
MXPA96005503A (en) Improved vaccine of sinbotial virus respiratory debovino (brsv) live, mod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