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810A -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810A
KR20040042810A KR1020030069847A KR20030069847A KR20040042810A KR 20040042810 A KR20040042810 A KR 20040042810A KR 1020030069847 A KR1020030069847 A KR 1020030069847A KR 20030069847 A KR20030069847 A KR 20030069847A KR 20040042810 A KR20040042810 A KR 2004004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nut
worm wheel
nut
mirro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893B1 (ko
Inventor
후카이아키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ublication of KR2004004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웜휠(Worm Wheel)을 회전시키는 모터, 회전축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지만 상기 웜휠의 회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는 조정너트(Adjustment Nut)와, 상기 나사부가 형성하는 표면 위에 컬럼(Column)을 구비한 액츄에이터 하우징(Actuator Housing)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너트는 상기 나사부의 나사회전면에 대하여 법선인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조정너트는 그 다리부(Leg Portion)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Salient)를 구비하고, 상기 웜휠은 상기 액츄에이터 하우징으로부터 조정너트가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조정너트의 볼록부와 충돌하는 스토퍼부(Stopper Portion)가 구비되는 전동 미러(Electric Power Mirrors)에 사용되는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미러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Adjustment Device of Electric Power Mirrors}
본 발명은 전동 미러(Electric Power Mirrors)에 사용되는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조립에서의 문제가 없이 교환작업에서 확실히 상기 미러를 재조립할 수 있는 기구(Mechanism)를 구비한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전한 운전을 돕기 위해 차량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종래의 사이드 미러(Side-mirror)들은, 좋은 조망 각도를 얻기 위하여 차량 실내(Automobile Cabins)에 앉아 있는 운전자가 제어할 목적으로 원격제어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미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전동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다(예컨대, 인용문헌 1 참조).
인용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05-27304호, Y(1993)
상기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이하, "조정장치"로 약술한다)는, 종래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구를 구비하는데, 미러(미도시됨)를 유지하기 위한 미러 홀더(100)가 반구상의 중심 주위로 기울어질 수 있어, 상기 홀더(100)에 형성된 볼록부(Salient, 101)의 내면(Inner Surface)이 부드럽게 접촉하여 상기 기구의 2개의 조정너트(Adjustment Nuts, 200)(도면에는 하나의 조정너트만 도시한다)가 각각 차량의 전후방향에 대하여 수직면과 수평면에서 미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러 홀더(100)는, 이 미러 홀더(100)의 2곳에 설치된 조정너트(도 7A에는 하나의 조정너트가 도시되어 있다)에 의해 기울어질 수 있어, 상기 조정너트들은 차량의 운전방향에 대하여 미러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정너트는, 그 일단에 형성된 구상의 피봇(Pivot, 200)을 구비하며,상기 구상의 피봇은 그 피봇(201)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면이 구상(Inner-globe Shape)인 오목부(Recess, 102)와 결합한다. 상기 조정너트(200)의 타단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복수의 다리부(Legs, 202)로 구성되며, 그 선단에는 액츄에이터 하우징(Actuator Housing, 300)에 형성된 외부 나사산(External Thread)의 나사부(Screw Portion, 301) 표면에 맞물리는 네일부(Nail Portion, 202a)를 구비한다. 상기 조정너트(200)의 외면에 형성되는 리브(Rib, 203)는, 웜휠(Worm Wheel, 400)에 형성되는 홈부(Trench, 401)에 맞물려 상기 홈부(401) 내를 따라 슬라이딩(Sliding)되지만, 상기 웜휠에 대하여 회전이 불가능하다. 즉, 상기 조정너트(200)는 상기 웜휠의 회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조정너트(200)는 상기 웜휠의 회전에 따라 웜휠(400)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도록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조정너트의 종래 구조에서는, 네일부(202a)와 나사부(301)와의 결합력은 조정너트(200)의 끝단에서 형성된 다리부(202)의 탄성변형에 의해 생긴다. 그러나, 상기 피봇을 유지하는 피봇(200)과 오목부(102) 사이의 결합력은, 네일부(202a)와 나사부(301) 사이의 결합력보다도 강하다. 따라서, 미러 교환에서 미러를 미러 홀더(100)에서 해체할 때, 일단 상기 미러 홀더에 부착된 미러를 당기면서 상기 미러 홀더(100)를 세게 아래로 당기면, 상기 미러 홀더(100)에 의해 당겨지는 조정너트(200)는 상기 나사부(301)의 나사결합위치(Screw-in Position)로부터 빠져 버린다. 일단 조정너트(200)가 상기 액츄에이터 하우징(300)에 형성된 나사부(301)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조정너트를 나사부의 나사결합위치에 넣기 위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 하우징(300)를 분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그 미러 교환 작업은 단순한 부품 교환과정보다 더 시간이 소비되는 작업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다.
강한 삽입력에 의해 상기 조정너트(200)를 액츄에이터 하우징(300)의 나사부(301)의 나사결합위치에 밀어넣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네일부(202a)가그러한 강한 삽입력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너트(200)의 삽입을 위해서는, 웜휠(400)에 형성된 홈부(401)에 상기 리브(203)를 위치시켜 맞출 필요가 있다. 이것은 매우 어려운 수작업이다. 따라서, 그러한 조립은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조정너트(200)의 주위부를 덮고 있는 고무부트(Rubber Boot)(도 7A 또는 7B에는 미도시)로 인해 보이지 않아서, 홈부(401)에 맞는 리브(203)의 정확한 위치를 검사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러 교환 작업에서 미러 홀더를 세게 당길 때에도, 그 조정장치의 네일부(202a)가 상기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나사부로부터 빠지지 않는 방지기구(Preventive Mechanism)를 구비한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 어셈블리(SM)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조정너트와 웜휠의 상세 구조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조정너트에 마련된 볼록부와 상기 웜휠에 마련된 스토퍼부와의 충돌상태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미러 교환작업에서 상기 조정너트와 웜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볼록부와 스토퍼부의 충돌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미러 교환작업에서 종래의 조정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 중 청구항1에 따른 발명은,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해 회전되는 웜휠(Worm Wheel)과, 상기 회전축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할 수는 있지만, 상기 웜휠의 회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는 조정너트(Adjustment Nut)와, 상기 조정너트가 나사 회전으로 회전할수 있는 나사부를 갖는 액츄에이터 하우징(Actuator Housing)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너트는 상기 조정너트의 외면에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웜휠은 상기 조정너트의 표면을 향해 스토퍼부(Stopper Portion)가 구비되어, 상기 나사부 위를 더 이상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나사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볼록부와 상기 스토퍼부가 부딪쳐서 상기 조정너트를 규제하는 구조로 상기 조정너트와 웜휠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미러(Electric Power Mirrors)의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미러 교환작업에서 미러 홀더가 세게 인장되어 상기 나사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조정너트를 당길 때에도, 상기 조정너트의 표면 위에 형성된 볼록부가 웜휠에 형성된 스토퍼부에 의해 멈출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정너트는 상기 볼록부와 스토퍼부의 충돌에 의해 나사부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며, 이는 조정너트가 상기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나사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외부 나사산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 하우징 위에 형성된 컬럼(Column)의 표면에 형성되는 나사이며, 상기 조정너트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나사부에 맞는 네일부(Nail Portion)를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조정너트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웜휠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정너트를 상기 볼록부에서 상기 웜휠을 구비한 액츄에이터 범프(Actuator Bumps)에 형성된 컬럼의 나사부로부터 떼어낼 때, 상기 조정너트가 상기 웜휠의 존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조정너트에 마련된 나사는 상기 컬럼의 나사부의 나사면 위에서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조정너트의 이동이 상기 볼록부와 나사면과 같은 이들 두 부분에 의해 규제된다. 상기 볼록부의 형성이 독립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조정너트가 상기 웜휠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볼록부의 형상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2에 기재된 볼록부와 스토퍼부가, 상기 조정너트의 회전축에 법선인 면에 대하여 예각을 갖는 콘(Cone)의 일부인 충돌면(Surface of Bumping)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록부와 스토퍼부가 충돌하는 면이 콘 표면의 일부이고, 빠지는 것에 대한 저항력은 상기 당기는 힘(Pulling off Force)과 상기 웜휠 또는 상기 액츄에이터 하우징에 형성된 컬럼 위에 마련된 나사부 쪽으로 밀어내는 힘(Pushing Force)의 합력(合力)이다. 따라서, 상기 볼록부와 스토퍼부 또는 상기 네일부와 컬럼의 나사부는 서로 더 확실히 차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웜휠로부터 상기 조정너트가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정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어셈블리는,미러(M)와, 공간에 지지베이스(Supporting Base, SB)와 조정장치(E)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싱 유니트(Outer Casing Unit, C)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장치(E)는, 미러를 유지하는 미러 홀더(1)와, 액츄에이터 하우징(모터 하우징, 2)을 포함한다. 화살표는, 사이드 미러가 차량에 설치될 때, 차량의 정상 운전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의 방향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홀더(1)는 박판을 이용하여, 이동 중심부(Center of Movement)를 가지며 차량 운전 방향에 대하여 미러 각도 방향의 조정을 지지하는 반구체의 일부로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는 전방 하우징(Front Housing, 21)과 후방 하우징(Rear Housing, 22)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고무부트(Rubber Boot, 3), 조정너트(4), 웜휠(5) 및 2개의 액츄에이터(2개의 모터, 6)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21)에는 끝단이 미러 각도 방향을 조정하는 중심으로서 작용하는 지지파이프(Supporting Pipe, 21a)와, 미러 각도변화 지지체(Mirror Angle Changing Support, 11)와, 상기 지지파이프(21a)의 우측과 하측에서 2개의 컬럼(Column, 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파이프(21a)의 내부에는 그 열려있는 한쪽 끝단부에 내부 나사산의 형태로 나사면(21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파이프(21a)의 나사면(21c)에 맞는 나사면을 갖는 볼트(N)를 사용하여 상기 미러 홀더(1)를 상기 전방 하우징(21)에 고정시킨다. 다른 나사면(21d)들은, 상기 조정너트(4)가 상기 나사면(21d)에 맞도록 외부 나사산의 형태로 상기 컬럼(21b)의 외면 위에 형성된다. 오목부(21e)는 회전에 방해받지 않고 웜휠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며, 그리스(Grease)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21f)도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1e)와 리브(21f)의 근방에는 모터(6)가 설치되는 모터 설치부(21g)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하우징(22)은, 미러 홀더(1)가 미러 각도변화 지지체(11)에서 이동 가능한 반구체의 내면의 일부 형상을 갖는 오목형상의 지지부(Recessed Supporting Portion, 22a)를 구비한다. 고무부트(3)의 프랜지부(31)가 단단히 결합되는 원형구멍(22b)들이 상기 오목형상의 지지부(22a)의 우측과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2a)의 바닥면에는, 상기 지지파이프(22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구멍(2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2a)는 미러 홀더(1)의 미러 각도변화 지지체(11)와 접촉하며, 스프링(SP)과 일부 반구체의 형상을 갖는 압압부재(P)가 원형구멍(22c)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지지파이프(21a)에 부착된다. 볼트(N)는 내부 나사산(21c)에 나사결합하며, 미러 홀더(1)가 방향성을 갖는 가변적 기능성(Directional Changeable Functionality)으로 액츄에이터(2)에 설치된다.
고무부트(3)는 액츄에이터(2) 내로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신축 변형 가능한 탄성고무로 제작된다.
단부에서의 프랜지부(31)가 이중 프랜지 구조를 가지며, 원형구멍(22b)의 주변부는 물이 차단되어 침입되지 못하도록 2개의 프랜지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고무부트(3)의 다른 단부는 상기 미러 홀더(1)와 접촉한다.
상기 조정너트(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본체부(Main Body, 41), 상기 원통형상의 본체부(41)의 바닥에서 형성되어 상기 미러 홀더(1)의오목부(12, 도 5참조)에 맞는 구상(求狀)의 피봇(42)과, 5개의 다리부(43, 이들 중 4개가 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41)의 외면(41b) 상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리브(41c)가 적당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43)의 선단에는, 나사면(21d)에 맞는 네일부(43a)가 내면에 형성되며, 그 외면 상에 볼록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43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와 스토퍼부가 충돌하는 표면인 충돌면(43c)은, 상기 조정너트(4)의 회전축에 법선인 표면에 대하여 예각이다. 상기 충돌면은 콘 표면의 일부이며 그 정점(Vertex)은 상기 충돌면 위치에서 축(CL)에 법선인 면에 대하여 상기 피봇(42) 쪽에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웜휠(5)은 전방 하우징(21)에 형성된 오목부(21e)에 슬라이딩되는 원통형상의 슬라이딩부(Slidging Portion, 51)와, 원통상의 본체부(5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52)의 다른 표면 상에는, 상기 모터(6)의 나사부(61)와 맞물리는 기어부(Gear Portion, 52a)가 상기 웜휠의 앞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웜휠의 내측으로 향하는 리브(53)가 그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53)가 4개로 분할되도록 4개의 슬리트(Slit, 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트(54)는 전후방향으로(상기 웜휠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리브(53)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정너트(4)의 리브(41c)가 상기 슬리트(5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조정너트(4)가 전후방향을 따라 움직여서 상기 웜휠(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4개로 분할된 리브(53)는 그 끝단에서 스토퍼부(53a)를 구비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53a)는 그 충돌면(53b)이 상기 조정너트(4)의 볼록부(43b)의 다른 충돌면(43c)에 면접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충돌면(53b)은 상기 조정너트의 피봇 쪽으로 볼록한 콘의 일부이다. 도 4에 도시된 각도는 예각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6)의 로터 로드(Rotor Rod, 62)는 웜휠(5)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웜기어(Worm Gear, 61)에 형성된다. 상기 전방 하우징(21)에는 모터 설치베드(Motor Installation Bed, 21g)에 형성되는 구멍(21h)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Plug, PL)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한 미러 교환작업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SM)의 미러(M)를 교환하기 위한 상기 조정장치(E)의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P)가 미러(M)의 우측단을 잡고 상기 미러(M)를 꺼낼 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너트(4)가 후방으로 많이 당겨진다. 그러면, 상기 볼록부(43b)는 상기 웜휠(5)의 스토퍼부(53a)와 충돌하며, 상기 조정너트는 상기 웜휠로부터 빠지는 이동이 제한받는다. 즉, 상기 조정너트가 상기 나사부(21d)의 외부 나사산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조정너트는 볼록부(43b)와 스토퍼부(53a)의 충돌에 의해 멈추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43b)의 충돌면(43c)과 상기 스토퍼부(53a)의 충돌면(53b)은 인장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아니며, 인장력(Drag Rp)이 상기 충돌면 43c와 53b를 따르는 작은 분력(Element Force, D1)과, 상기 충돌면 43c와 53b에 수직인 큰 분력(D2)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력 D2는 상기나사부(21d)에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볼록부(43b)는 어느 정도 상기 나사부(21d) 측으로 밀리며, 따라서 상기 볼록부(43b)와 나사부(21d) 사이의 결합력(Seizure Force)이 더 크게 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일단 상기 조정너트(4)가 상기 웜휠로부터 떼어지도록 이동되면, 상기 볼록부(43b)가 웜휠(5)의 스토퍼부(53a)에 충돌하여 이동이 멈추고, 따라서 상기 조정너트(4)가 웜휠의 나사부(21d)로부터 빠지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상기 조정너트(4)의 네일부(43a)와 볼록부(43b)가 나사부(21d)에 꼭 맞고 상기 스토퍼부(53a)에 각각 충돌하며, 따라서 상기 웜휠로부터 빠지도록 하는 조정너트의 이동이 규제되어, 상기 조정너트(4)가 상기 웜휠(5)로부터 더 확실히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43b)와 스토퍼부(53a) 사이의 충돌면 43c와 53b는 인장력 방향에 수직이 아니고, 네일부(43a)와 수나사부(21d)의 결합력이 더 세게 형성되므로, 상기 조정너트(4)가 상기 웜휠(5)로부터 빠지지 것이 더욱 방지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충돌면 43c와 53b가 상기 조정너트(4)의 피봇(42) 측으로 볼록한 콘 표면의 일부이다.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다리부(43)가 상기 조정너트(4)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충돌면들이 끝단으로 볼록한 콘의 표면의 일부이다. 이 경우는 인장력(Rp)이 상기 충돌면 43e와 53c를 따르는 작은 분력(D3)과, 상기 충돌면 43e와 53c에 수직인 큰 분력(D4)으로 구성된다. 상기 큰 분력(D4)은 상기 웜휠에 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볼록부(43d)가 웜휠(5) 측으로 밀린다. 그러면, 상기 볼록부(43d)와 스토퍼부(53d)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상기 조정너트(4)가 상기 웜휠로부터 빠지는 것이 더 방지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상기 조정장치(E)는 사이드 미러(또는 룸미러(Room Mirror))에 적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펜더 미러(Fender Mirror)와 같은 다른 외부 미러와, 해치백 도어(Hatchback Door)의 상부에 설치되는 리어언더 미러(Rear Under Mirror)와, 내부 미러, 예컨대 운전석 근처의 전방 씰링(Front Sealing)에 설치된 미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정너트에 형성된 볼록부가 상기 웜휠에 형성된 스토퍼부에 충돌하기 때문에, 상기 조정너트는 상기 웜휠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정너트는 상기 네일부와 상기 네일부의 다른 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상기 조정너트는 스토퍼부 뿐만 아니라 상기 나사부와 상기 네일 사이의 나사 접촉에 의해 상기 웜휠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네일부와 상기 나사부 사이의 결합력 또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스토퍼부(53d)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상기 조정너트는 상기 웜휠로부터 빠지는 것이 더욱 방지된다.

Claims (3)

  1. 전동 미러(Electric Power Mirrors)에 사용되는 조정장치에 있어서,
    회전축을 갖고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해 회전되는 웜휠(Worm Wheel)과,
    상기 회전축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할 수는 있지만, 상기 웜휠의 회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는 조정너트(Adjustment Nut)와,
    상기 나사부의 나사회전면에 대해 법선인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조정너트가 조립되는 나사부를 갖는 액츄에이터 하우징(Actuator Housing)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너트는 그 외면에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웜휠은 상기 조정너트의 표면을 향해 스토퍼부(Stopper Portion)가 구비되며, 상기 나사부 위를 더 이상 슬라이딩하지 않게 하여 상기 나사부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볼록부와 상기 스토퍼부가 부딪쳐서 상기 조정너트를 규제하는 방식으로 상기 조정너트와 웜휠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하우징 위에 서 있는 컬럼(Column)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조정너트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네일부(Nail Portion)가 상기 조정너트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에 조립되고,
    상기 스토퍼는 그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웜휠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 위를 더 이상 슬라이딩하지 않게 하여 상기 나사부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볼록부와 상기 스토퍼부가 부딪쳐서 상기 조정너트를 규제하는 충돌면(Bumping Surface)이, 상기 조정너트의 회전축에 법선인 면에 대하여 예각을 갖는 콘(Cone) 표면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
KR1020030069847A 2002-11-13 2003-10-08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 KR100580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29098 2002-11-13
JP2002329098A JP4116866B2 (ja) 2002-11-13 2002-11-13 電動リモコン鏡面調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810A true KR20040042810A (ko) 2004-05-20
KR100580893B1 KR100580893B1 (ko) 2006-05-16

Family

ID=3217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847A KR100580893B1 (ko) 2002-11-13 2003-10-08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57754B2 (ko)
EP (1) EP1419934B1 (ko)
JP (1) JP4116866B2 (ko)
KR (1) KR100580893B1 (ko)
CN (1) CN1274534C (ko)
AT (1) ATE334019T1 (ko)
AU (1) AU2003246334A1 (ko)
DE (1) DE6030701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7925A (ja) * 2004-06-24 2006-01-12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
WO2006040803A1 (ja) 2004-10-08 2006-04-20 Murakami Corporation 鏡面角度調整装置
AU2004323911A1 (en) 2004-10-08 2006-04-20 Murakami Corporation Mirror angle adjuster
JP4680833B2 (ja) * 2006-05-23 2011-05-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コネクタ及び鏡面角度調整装置
JP4472731B2 (ja) * 2007-06-29 2010-06-02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格納式ミラー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回路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CN101570160B (zh) * 2008-04-28 2011-01-26 上海干巷汽车镜(集团)有限公司 一种镜片可转动的后视镜
DE102011103198B3 (de) * 2011-05-31 2012-10-25 SMR Patents S.à.r.l. Baugruppe zur Verstellung des Außenspiegels
JP5971933B2 (ja) * 2011-12-06 2016-08-17 株式会社石▲崎▼本店 車両用サイドミラー
CN102729901B (zh) * 2012-06-28 2014-08-27 江苏飞拓车镜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后视镜
JP6666772B2 (ja) 2016-03-31 2020-03-18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視認装置の視認角度調整機構
GB2558954B (en) 2017-01-24 2019-10-30 Edwards Ltd Pump sealing
CN109131095A (zh) * 2018-08-30 2019-01-04 杭州锦上行镜业有限公司 一种汽车后视镜的总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4454A (en) * 1978-09-27 1982-04-13 Murakami Kaimeido Co., Ltd. Electric mirror angle adjusting device
JPS6058054B2 (ja) * 1981-02-24 1985-12-18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電動式ミラ−駆動装置
US4494420A (en) * 1981-05-08 1985-01-22 Koito Seisakusho Co., Ltd. Rotary-to-linear converter mechanism for a remotely controlled rearview mirror tilting device or the like
JPS61139537A (ja) * 1984-12-11 1986-06-26 Nippon Denso Co Ltd サイドミラ−駆動装置
US4678295A (en) * 1985-04-05 1987-07-07 Magna International Inc Memory positioning system for remote control rear-view mirror
US4696555A (en) * 1985-05-14 1987-09-29 Ichikoh Industries Limited Electric remote control mirror apparatus
DE3881495T2 (de) * 1987-11-26 1993-09-09 Ichikoh Industries Ltd Antriebseinheit fuer elektrisch fernbedienbaren spiegel.
JPH0628358Y2 (ja) * 1988-04-11 1994-08-03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バックミラー
EP0485620B1 (en) * 1990-05-29 1995-10-11 Ichikoh Industries Limited Electric remote control mirror
US5226034A (en) * 1990-06-19 1993-07-06 Ichikoh Industries, Ltd. Electrically remote-controlled type mirror assembly
JPH0527304A (ja) 1991-07-24 1993-02-05 Canon Inc ホログラムを有した撮影装置
JPH0550881A (ja) 1991-08-19 1993-03-02 Ichikoh Ind Ltd 電動式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ミラーおよびその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0674A (zh) 2004-06-02
JP4116866B2 (ja) 2008-07-09
US20040090691A1 (en) 2004-05-13
DE60307019T2 (de) 2007-08-23
CN1274534C (zh) 2006-09-13
DE60307019D1 (de) 2006-09-07
EP1419934A1 (en) 2004-05-19
ATE334019T1 (de) 2006-08-15
JP2004161123A (ja) 2004-06-10
AU2003246334A1 (en) 2004-06-03
EP1419934B1 (en) 2006-07-26
KR100580893B1 (ko) 2006-05-16
US6857754B2 (en) 200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893B1 (ko)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
US6633347B2 (en) Display assembly having display supported on casing to be controllable in attitude
US6113301A (en) Disengageable pivot joint
US8276863B2 (en) Device support stand
CA2507652A1 (en) Ball and socket mounting assembly
JPS6348733B2 (ko)
US6168279B1 (en) Pivot support for adjustable rearview mirror
JP4116557B2 (ja) 調節可能なハウジングのための保持装置
JP2005508778A (ja) 自動車の機器モジュール
JP2004134400A (ja) ハウジングに支持されたピボット要素を内蔵する自動車用ランプユニット
JP3121730U (ja) 跳ね上げ式眼鏡枠
KR20160099787A (ko)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JP7172813B2 (ja) 吊車
GB2380225A (en) Vehicle door hinge mounting structure
JP5049418B2 (ja) 建付け調整機構を有する建具用開閉体保持金具。
JP2009174292A (ja) ラッチ装置および建具
CN219728027U (zh) 一种自动复位的后视镜
KR840000834Y1 (ko) 다단 후시경의 편향각 조절장치
JP2006112105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7064142B2 (ja) パッキン付きねじ込み式プラグ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JP2022011343A (ja) 位置調整装置
JPH1076844A (ja) サンバイザの支持装置
US20060152831A1 (en) Rearview mirror assembly
JPH08112414A (ja) 遊技機
US6024460A (en) Remote mirror adjustmen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