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787A -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787A
KR20160099787A KR1020150021819A KR20150021819A KR20160099787A KR 20160099787 A KR20160099787 A KR 20160099787A KR 1020150021819 A KR1020150021819 A KR 1020150021819A KR 20150021819 A KR20150021819 A KR 20150021819A KR 20160099787 A KR20160099787 A KR 20160099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aft
driving
seat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535B1 (ko
Inventor
맹중호
박인용
김범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to KR1020150021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5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Abstract

본 발명은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회전되는 샤프트와, 케이스 커버 및 케이스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서로 다른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안착부를 서로 고정하여, 상기 구동부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엑츄에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부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실시하도록 하는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트럭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는 그 전방에 전조등이 구비되어 있어 야간이나 날씨가 나빠 시야가 좋지 않을 때 점등시켜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전조등은 종래에는 전향램프와 하향램프를 별도로 구비하여 평소에는 하향램프를 점등시켜 주행하다가 특별히 잘 안보이는 상황에서는 전향램프를 켤 수 있는 상하 레벨링 엑츄에이터와, 헤드 램프를 좌우를 따라 조정하는 스위블 엑츄에이터가 있다.
스위블 엑츄에이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차량용 헤드램프는 좌우로의 회전 위치가 설정되고, 이는 별도의 엑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위치가 제어된다.
또한, 램프 어셈블리는 엑츄에이터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샤프트에 연결되고, 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회전 위치가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동작되고, 상기 모터는 구동부의 케이스에 내장되는 상태로 엑츄에이터 하우징에 설치된다.
만일, 구동부 자체가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자체 구동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수평으로의 흔들림이 발생되면, 샤프트 자체의 축이 미세하게 틀어지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잇다.
이러한 경우,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다수의 기어는 이들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결국 헤드램프의 작동각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128411호(공개일 : 2010년 12월 08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하우징에서의 설치 위치에서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축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고정력이 작용되도록 구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회전되는 샤프트와, 케이스 커버 및 케이스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서로 다른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안착부를 서로 고정하여, 상기 구동부의 유동 및 이탈을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엑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구동부의 케이스 커버 일면부에 돌출 형성되며, 제 1결합홀이 형성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의 하단을 받치도록 상기 하우징의 안착부에 형성되며, 제 2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축이 형성되는 안착단과, 상기 제 1결합홀과 상기 제 2결합홀을 체결하여 상기 접점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구동부의 케이스 커버 일면부가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절개 및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점부의 상단에는 접점홀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이 위치되어 고정되면, 상기 접점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 기판을 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엑츄에이터는, 흔들림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흔들림 방지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안착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 부재가 걸리도록 단차진 형상의 걸림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부가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절개 및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는 웜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웜기어의 선단측 및 후단측에서의 샤프트는 한 쌍의 볼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볼 베어링 중, 상기 후단을 회전 지지하는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베어링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베어링 수납부에 고정되는 베어링 커버에 의해 커버 및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안착부에 안착시킴과 아울러, 구동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접점부를 안착부에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구동부가 구동되는 경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안착부로부터 이탈 또는 유동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걸림 부재를 안착부의 벽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외부 충격 또는 자체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흔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은, 구동부를 하우징의 안착 위치에서 이탈 및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샤프트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들 간의 클리어런스를 감소시켜 작동각의 오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탈 방지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흔들림 방지부를 갖는 엑츄에이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를 다른 측면에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걸림턱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탈 방지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는 하우징(100)과, 구동부(400)와, 기어부(600)와, 이탈 방지부(700) 및 흔들림 방지부(8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서로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20)에는 상기 구동부(400)가 안착되는 안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30)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홈은 격벽(131)을 통해 에워싸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4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410)와, 케이스 커버(411)와, 모터와, 슬리브 베어링(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케이스 커버(411)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430)를 갖는다.
상기 슬리브 베어링은 모터(420)의 하단부 중앙에 설치되어 샤프트(430)의 단부를 에워싸는 상태로 샤프트(430)의 회전을 안내한다.
상기 슬리브 베어링에는 상기 샤프트(430)의 단부가 관통되는 안내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홀의 내경은 상기 샤프트(43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샤프트(430)와 슬리브 베어링의 안내홀이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부하를 현저 하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41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411)의 일면부에는 후술되는 접점부(710)와, 걸림 부재(810)가 형성된다. 상기 접점부(710)와 걸림 부재(810)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부(400)는 하부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안착부(130)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130)는 격벽(131)을 통해 홈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400)는 홈 형상의 안착부(130)에 안착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00)의 일 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430)는 제 1축을 따라 배치되고, 제 1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기어부(600)는 회전되는 샤프트(4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되어 회전되고, 이로 인해 헤드램프(미도시)를 회전시킨다.
상기 기어부(600)는 제 1기어(610)와, 제 2기어(620)와, 제3기어(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기어(610)는 웜기어로서, 샤프트(430)에 직결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기어(610)는 제1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상기 제 2기어(620)는 제 1기어(610)와 기어 연결되도록 하부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2기어(620)는 하부 하우징(120)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즉, 제 1축과 직교를 이루는 제 2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기어(620)는 단차를 이루는 다단 기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3기어는 제 2기어(620)의 상단에 기어 연결되며, 제 2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3기어에는 회전되는 위치를 감지 센서(미도시)에 전달하는 마그네트(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이탈 방지부(700)는 구동부(400)와 안착부(130)를 서로 고정하여 구동부(400)가 안착부(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700)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이탈 방지부(700)는 크게 접점부(710)와, 안착단(720)과, 고정 부재(730)로 구성된다.
상기 접점부(710)는 구동부(400)의 케이스 커버(411) 일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일정 두께를 갖는 판 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점부(710)는 케이스 커버(411)의 일면부를 일부 절개하여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물론, 접점부(710)는 케이스 커버(410)의 일면부에서 절개되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케이스 커버(411)의 일면부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710)에는 제 1결합홀(7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단(720)은 케이스 커버(411)의 일면부로부터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점부(710)가 위치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안착단(720)은 안착부(130)에 안착되는 구동부(400)의 접점부(710)의 하단이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안착부(130)의 격벽(131) 상단에 형성된다.
여기서,상기 안착단(720)에는 제 2결합홀(721a)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결합홀(721a)은 상기 안착단(720)의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결합축(721)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결합축(721)은 상기 제 1결합홀(711)에 끼워지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제 1결합홀(711)의 내경은, 상기 결합축(72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하여,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20)에는 회로 기판(10)이 배치된다.
상기 회로 기판(10)의 일 측 모서리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접점홀(11)이 형성된다.
상기 접점홀(11)은 상기 접점부(710)의 제 1결합홀(711)이 끼워진 결합축(721)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안착단(720)의 상단에는 접점부(710)와 회로 기판(10)이 적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 부재(730)는 스크류 볼트와 같은 부재로서, 회로 기판(10)의 상부에서 접점홀(11)을 관통하여 안착단(720)의 제 2결합홀(721a)에 끼워져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730)가 상기와 같이 제 2결합홀(721a)에 결함됨에 따라, 접점부(710)와 회로 기판(10)은 적층되는 상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구동부(400)의 케이스 커버(411) 일면부에서 돌출되는 접점부(710)가 안착단(720)에 고정됨으로 인해,구동부(400) 자체는 안착부(1330)에 수납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외부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400)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430)가 회전 구동시 축이 뒤틀리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결국 제 1,2,3기어들(610,620) 간에 클리어런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접점부(710)가 회로 기판(10)의 접점홀(11)과 접촉됨으로써, 접점부(710)는 회로 기판(10)의 접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흔들림 방지부를 갖는 엑츄에이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를 다른 측면에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걸림턱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는 흔들림 방지부(800)를 더 갖는다.
상기 흔들림 방지부(800)는 크게 걸림 부재(810)와, 걸림턱부(82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 부재(810)는 구동부(400)의 케이스 커버(411) 일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방이 개구되어 내측에 걸림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 부재(810)는 '
Figure pat00001
'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 부재(810)는 케이스 커버(411)의 일면부에서 설정된 크기를 이루도록 절개되고,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걸림 부재(810)는 케이스 커버(411)의 일면부에 절곡되지 않고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해 케이스 커버(411)의 일면부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자의 경우, 케이스 커버(411)의 일면부의 다수 위치에는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홀들이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걸림 부재(810)를 설치하거나, 하나의 걸림 부재(810)의 설치 위치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부재(810)가 위치되는 안착부(130)의 격벽(131) 상단에는 상기 걸림 부재(810)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부(82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부(820)는 안착부(130)의 격벽(131) 상단에서 상술한 걸림 부재(810)가 걸릴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걸림 부재(810)는 걸림턱부(82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걸림 부재(8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
Figure pat00002
'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수평 방향 바람직하게 전후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의 구동부(4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400)는 이탈 방지부(700) 및 흔들림 방지부(800)에 의해 하우징에 다중으로 고정력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력에 있어서, 이탈 방지부(700)에서는 상하로의 고정력을 형성하고, 흔들림 방지부(800)는 수평 방향으로의 고정력을 형성하기 때문에, 구동부(40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고정력으로 인해 안착부(130)에서의 사방으로의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기어부(6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430)의 축 변형을 방지하여, 기어부(600)로의 회전력을 오차 없이 전달하고, 기어부(600) 역시 클리어런스 발생이 최소화되어 헤드램프의 작동각 오차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구동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걸림 부재를 안착부의 벽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외부 충격 또는 자체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흔들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1을 참조 하면, 케이스 커버(411)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430)는 베어링 부(50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베어링 부(500)는 샤프트(430)의 다수 위치를 회전 지지하도록 하부 하우징(120)에 포함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어링 부(500)는 제 1볼 베어링(510)과, 제 2볼 베어링(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볼 베어링(510)은 제 1기어(610)의 선단측에서의 샤프트(430)를 회전 지지 하도록 하부 하우징(120)에 설치된다.
즉, 샤프트(430)가 돌출되는 케이스 커버 커버(411)의 일측에 부쉬(BUSH)를 설치하고, 상기 제 1볼 베어링(510)을 상기 부쉬(BUSH)에 압입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 1볼 베어링(510)은 웜기어인 제 1기어(610)의 선단측 샤프트(430)를 회전 지지한다.
상기 제 2볼 베어링(520)은 제 1기어(610)의 후단측에서의 샤프트(430)를 회전 지지 하도록 하부 하우징(120)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 2볼 베어링(520)은 웜기어인 제 1기어(610)의 후단측 샤프트(430)를 회전 지지하도록 하부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베어링 수납부(20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2볼 베어링(510,520)을 사용하여 웜기어인 제 1기어(610)와 결합되는 샤프트(430)의 선단과 후단을 회전 지지 하여 샤프트(430)가 회전 구동하는 경우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하부 하우징(120)에는 베어링 수납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수납부(200)는 웜기어와 결합되는 샤프트(430)의 후단을 회전 지지 하는 제 2볼 베어링(520)이 수납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제 2볼 베어링(520)은 바닥과 측면이 상기 홈의 내벽 및 바닥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베어링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제 2볼 베어링(520)은 샤프트(430)의 회전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틀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수납부(200)의 상단에는 베어링 커버(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커버(300)는 금속편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수납부(200)는 제 2볼 베어링(520)이 수납되는 수납홈(210)과, 상기 수납홈(210)의 근방에 형성되며, 제 1체결홀(H1)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2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커버(300)는 상기 수납홈(210)을 커버하는 커버편(310)과, 상기 커버편(310)과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220)의 상단에 배치되며, 중앙에 제 2체결홀(H2)이 형성되는 고정편(3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제 2볼 베어링(520)의 상단을 커버하는 부재는 상기 커버편(310)이다.
그리고, 체결 부재(B)가 제 1,2체결홀(H1,H2)로 스크류 체결됨으로써,베어링 커버(300)는 베어링 수납부(2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2볼 베어링(520)은 베어링 수납부(200)에 수납된 상태로 고정됨과 아울러, 그 상단은 베어링 커버(300)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샤프트(430)의 후단이 틀어지거나, 제 1축을 따르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제 1축에서의 웜기어인 제 1기어와 결합된 샤프트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의 볼 베어링을 통해 회전 지지함으로써, 샤프트의 장시간 회전으로 인해 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어들 간에 발생되는 클리어런스를 줄여 작동각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웜기어인 제 1기어와 결합된 샤프트의 후단을 회전 지지하는 제 2볼 베어링을 하부 하우징에 별도로 마련되는 베어링 수납부에 수납 고정하고, 이를 베어링 커버를 통해 물리적으로 커버함으로써, 샤프트의 후단이 틀어지는 등의 물리적인 축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제 1기어와 제 2기어의 중심 축선이 서로 다른 축선을 갖도록 2열로 배열하여, 전원이 미인가되는 상태에서 출력측인 제 3기어 측에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 1,2,3기어들 간의 서로 다른 축을 따라 기어 연결됨으로 인해 마찰력을 증가시켜 역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셀프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출력측에서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기어들간의 풀림 현상이 발생되어 출력측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상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상부 하우징
120 : 하부 하우징 200 : 베어링 수납부
210 : 고정홈 220 : 체결부
300 : 베어링 커버 310 : 고정편
320 : 커버편 400 ; 구동부
410 : 케이스 411 : 케이스 커버
430 : 샤프트 500 : 베어링 부
510 : 제 1볼 베어링 520 : 제 2볼 베어링
600 : 기어부 610 : 제 1기어
420 : 제 2기어 700 : 이탈 방지부
800 : 흔들림 방지부

Claims (8)

  1.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회전되는 샤프트와, 케이스 커버 및 케이스를 갖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서로 다른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안착부를 서로 고정하여, 상기 구동부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엑츄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구동부의 케이스 커버 일면부에 돌출 형성되며, 제 1결합홀이 형성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의 하단을 받치도록 상기 하우징의 안착부에 형성되며, 제 2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축이 형성되는 안착단과,
    상기 제 1결합홀과 상기 제 2결합홀을 체결하여 상기 접점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구동부의 케이스 커버 일면부가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절개 및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상단에는 접점홀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이 위치되어 고정되면,
    상기 접점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 기판을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흔들림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흔들림 방지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안착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 부재가 걸리도록 단차진 형상의 걸림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부가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절개 및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웜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웜기어의 선단측 및 후단측에서의 샤프트는 한 쌍의 볼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볼 베어링 중, 상기 후단을 회전 지지하는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베어링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베어링 수납부에 고정되는 베어링 커버에 의해 커버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50021819A 2015-02-12 2015-02-12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302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19A KR102302535B1 (ko) 2015-02-12 2015-02-12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19A KR102302535B1 (ko) 2015-02-12 2015-02-12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787A true KR20160099787A (ko) 2016-08-23
KR102302535B1 KR102302535B1 (ko) 2021-09-16

Family

ID=5687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819A KR102302535B1 (ko) 2015-02-12 2015-02-12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5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76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모아텍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200058628A (ko) * 2018-11-19 2020-05-28 미네베아미츠미 가부시키가이샤 엑츄에이터 및 이의 제어방법, 전자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3078A1 (en) * 2005-04-26 2006-11-02 Naoto Sesita Electric actuator
KR20080035518A (ko) * 2005-06-22 2008-04-2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대칭 배치된 접속 플러그를 포함한 트랜스미션-구동 유닛
KR20120048129A (ko) * 2010-11-05 2012-05-15 주식회사 모아텍 스테핑 모터
KR20140127939A (ko) * 2013-04-25 2014-11-05 주식회사 모아텍 수직 방향의 모터 체결 구조를 갖는 엑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3078A1 (en) * 2005-04-26 2006-11-02 Naoto Sesita Electric actuator
KR20080035518A (ko) * 2005-06-22 2008-04-2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대칭 배치된 접속 플러그를 포함한 트랜스미션-구동 유닛
KR20120048129A (ko) * 2010-11-05 2012-05-15 주식회사 모아텍 스테핑 모터
KR20140127939A (ko) * 2013-04-25 2014-11-05 주식회사 모아텍 수직 방향의 모터 체결 구조를 갖는 엑츄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76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모아텍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200058628A (ko) * 2018-11-19 2020-05-28 미네베아미츠미 가부시키가이샤 엑츄에이터 및 이의 제어방법,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535B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1804B1 (en) Hinge construction
US7673538B2 (en) Adjustable pedal system
US10352399B2 (en) Actuator assembly
US8720293B2 (en) Shift lever device
JP2006145895A (ja) カメラ雲台
JP6659743B2 (ja) 車両の外界センサユニット
JP6807974B2 (ja) 車両用パーキング装置
KR20160099787A (ko)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WO2016137891A1 (en) Full display mirror with gear-driven toggle mechanism
EP2212155B2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an outside mirror unit
KR100580893B1 (ko) 전동 미러의 조정장치
KR102302534B1 (ko)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20070005974A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US7163240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KR102579299B1 (ko) 변속케이블의 강제 탈거 방지장치
CN220615686U (zh) 一种屏幕角度可调的屏总成、车辆
JP4068467B2 (ja) ワイパ用モータの固定構造
JP4575388B2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4484832B2 (ja) トラクタのハンドル支持装置
CN217778524U (zh) 姿态调节组件、车载显示终端和车辆
KR100343576B1 (ko) 자동차의 모니터 장착장치
JP5756997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230090869A (ko) 강도가 개선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KR20230084813A (ko) 차량 시트용 모노포스트 조립체 및 이에 장착되는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시트
JP4864751B2 (ja) ヘッドライト取付装置および自動二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