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5974A -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974A
KR20070005974A KR1020050060066A KR20050060066A KR20070005974A KR 20070005974 A KR20070005974 A KR 20070005974A KR 1020050060066 A KR1020050060066 A KR 1020050060066A KR 20050060066 A KR20050060066 A KR 20050060066A KR 20070005974 A KR20070005974 A KR 20070005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telescopic
mounting bracket
clutch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729B1 (ko
Inventor
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6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729B1/ko
Publication of KR2007000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f cable support type, i.e. frictionally-engaged loop-forming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틸트와 텔레스코픽을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체에 고정되는 충격흡수부(100)와, 상기 충격흡수부에 설치된 아웃터파이프(2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단부에 설치된 스티어링휠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인너파이프(3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4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5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모터(610)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600)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립체(600)는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기어박스(610)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20)와, 상기 틸트부(400)의 틸트 작동을 위해 상기 기어박스(610)에 솔레노이드로 틸트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틸트회전력전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1구동장치부(630)와, 상기 텔레스코픽부(500)의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해 상기 기어박스(610)에 솔레노이드로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텔레스코픽회전력전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2구동장치부(640)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1구동장치부와 상기 제2구동장치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티어링, 컬럼, 틸트, 텔레스코픽, 모터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컬럼{Steering column for vehicles }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도 2의 저면도
도 5는 도 2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구동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틸트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텔레스토픽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텔레스코픽 스톱퍼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틸트부의 개선된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도 10의 텔레스코픽의 개선된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컬럼을 구성하는 아웃하우징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충격흡수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충격흡수부 200 : 아웃터파이프
300 : 인너파이프 400 : 틸트부
500 : 텔레스코픽부 600 : 구동조립체
610 : 기어박스 620 : 모터
630 : 제1구동장치부 640 : 제2구동장치부
650 : 구동기어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틸트와 텔레스코픽을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티어링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는 통상적으로 조향장치와 스티어링 기어 및 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조향장치는 운전자로 부터 회전토크를 전달받는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과 연결된 샤프트와, 이 샤프트가 내설되며 조향장치를 차체에 고정하는 스티어링 컬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되, 이 스티어링 컬럼은 한쌍의 어퍼·로워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에는 운전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향핸들의 위치와 높이를 조절하도록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틸트부와 상하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텔레스코픽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스티어링칼럼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를 전동으로 구동하여 조절 할 때에는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 각각의 구동메카니즘에 모터가 장착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또 제작시간이 길며,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틸트와 텔레스코픽을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틸트와 텔레스코픽을 위한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차체에 고정되는 충격흡수부와, 상기 충격흡수부에 설치된 아웃터파이프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단부에 설치된 스티어링휠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인너파이프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 단에 모터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조립체는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틸트부의 틸트 작동을 위해 상기 기어박스에 솔레노이드로 틸트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틸트회전력전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1구동장치부와, 상기 텔레스코픽부의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해 상기 기어박스에 솔레노이드로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텔레스코픽회전력전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2구동장치부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1구동장치부와 상기 제2구동장치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상기 제1구동장치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된 틸트미들기어와, 이 틸트미들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안착되는 틸트클러치기어와, 이 틸트클러치기어에 로드가 관통되도록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하우징커버에 상기 보울트로 설치된 솔레노이드조립체와, 상기 틸트클러치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의 로드에 의해 가압될 때 회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된 클러치와, 이 클러치와 동기회전하도록 동축상의 일방향에 끼워진 로터와, 상기 클러치와 로터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상기 클러치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로터와 접촉되는 쪽에는 축경음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된 오링과, 상기 솔레노이 드조립체의 로드선단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상기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부에 설치된 기어클러치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상기 제2구동장치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미들기어와, 이 텔레스코픽미들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안착되는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와, 이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에 로드가 관통되도록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하우징커버에 상기 보울트로 설치된 솔레노이드조립체와, 상기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의 로드에 의해 가압될 때 회전력이 공급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된 클러치와, 이 클러치와 동기회전하도록 동축상의 일방향에 끼워진 로터와, 상기 클러치와 로터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상기 클러치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로터와 접촉되는 쪽에는 축경음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된 오링과,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의 로드선단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상기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기어클러치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상기 충격흡수부는,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인 마운팅브라켓어퍼와, 상기 마운팅브라켓어퍼에 끼워짐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아웃터파이프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마운팅브라켓로워 및, 상기 마운팅브 라켓어퍼와 마운팅브라켓로워의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브라켓어퍼는 차체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고, 저면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구 내측에 마운팅브라켓로워가 이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이들 마운팅브라켓의 사이에는 상기 충격흡수와이어가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충격흡수와이어의 양 선단부는 마운팅브라켓어퍼의 가이드구를 외측을 따라 감합되는 형태로 조립되고 중간단부는 가이드구 내측에서 마운팅브라켓로워의 후면 선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충격력에 의해 마운팅브라켓어퍼로 부터 마운팅브라켓로워가 이탈될 때 이 마운팅브라켓로워가 충격흡수와이어의 변형을 유도하면서 이탈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상기 틸트부는, 상기 제1구동장치부의 로터에 일단이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받는 플렉시블와이어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측면에 고정된 틸트지지부와, 이 틸트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틸트스크류와, 이 틸트스크류에 체결된 틸트너트와, 이 틸트너트가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됨과 더불어 상부의 일단은 아웃터파이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또 타단은 상기 충격흡수부의 마운팅브라켓로워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틸트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상기 텔레스코픽부는, 상기 제2구동장치부의 로터에 일단이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받는 플렉시블와이어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측면에 고정된 텔레스코픽지지부와, 이 텔레스코픽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텔레스코픽스크류와, 이 텔레스코픽스크류에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틸트너트이동구멍에 끼워져 인너파이프에 보울트로 체결된 텔레스코픽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은, 차체에 고정되는 충격흡수부(100)와, 상기 충격흡수부에 설치된 아웃터파이프(2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단부에 설치된 스티어링휠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인너파이프(3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4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5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모터(610)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부(100)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인 마운팅브라켓어퍼(110)와, 상기 마운팅브라켓어퍼에 끼워짐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마운팅브라켓로워(120) 및, 상기 마운팅브라켓어퍼와 마운팅브라켓로워의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와이어(130)로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브라켓어퍼(110)는 차체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고, 저면에 형 성된 한쌍의 가이드구(111) 내측에 마운팅브라켓로워(120)가 이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이들 마운팅브라켓(110,120)의 사이에는 상기 충격흡수와이어(130)가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충격흡수와이어(130)의 양 선단부는 마운팅브라켓어퍼(110)의 가이드구(111)를 외측을 따라 감합되는 형태로 조립되고 중간단부는 가이드구(111) 내측에서 마운팅브라켓로워(120)의 후면 선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충격력에 의해 마운팅브라켓어퍼(110)로 부터 마운팅브라켓로워(120)가 이탈될 때 이 마운팅브라켓로워(120)가 충격흡수와이어(130)의 변형을 유도하면서 이탈토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어퍼(110)의 가이드구(111) 내측면과 마운팅브라켓로워(120)의 양 측면에는 장치 조립시 상기 충격흡수와이어(1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반구형상의 홈(112,121)이 각각 마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111)의 일측 선단과 이의 외주를 따라 감합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충격흡수와이어(130)의 절곡단 사이에는 충격 발생시 초기 충격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구(111) 외측에는 이 가이드구(111)의 지지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충격흡수와이어(130)의 양 선단부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개 이상의 리브(113)가 형성된다.
또 상기 리브(113) 중 충격흡수와이어의 끝단이 위치하는 곳에 형성된 리브의 내측에는 상기 충격흡수와이어(130)의 끝단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와이어 스토퍼(140)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부(100)에 의해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마운팅브라켓의 분리에 따른 충격흡수와이어(130) 의해 지속적으로 충격에너지가 흡수됨으로써, 충돌 흡수성능이 가일층 향상되며, 제품의 초기 조립 상태에서 가이드구(111)와 충격흡수와이어(130)사이에 갭(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초기에 충격흡수와이어의 자유 변형이 유도되어 초기 충격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 충격에 따른 마운팅브라켓의 분리 이탈시 마운팅브라켓로워(120)가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어퍼(110)의 가이드구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충격에너지의 흡수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효과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구성인 틸트부(400)는 도 3과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로터(635)에 일단이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받는 플렉시블와이어(41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의 일측면에 고정된 틸트지지부(420)와, 이 틸트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틸트스크류(430)와, 이 틸트스크류에 체결된 틸트너트(440)와, 이 틸트너트가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됨과 더불어 상부의 일단은 아웃터파이프(2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또 타단은 상기 충격흡수부(100)의 마운팅브라켓로워(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틸트브라켓(4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와이어(410)는 양단은 4각형태로 압축되어 이루어져 있고 중간부분은 스프링의 형태로 꼬여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틸트지지부(420)는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에 돌출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틸트스크류(430)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 형태의 스크류지지부 (421)와, 와셔(422), 트러스트 베어링(423), 베어링블록(424) 및 셀프록너트(4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틸트지지부(420)의 스크류지지부(421)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웃터파이프(200)에서 돌출되지 않고 보스(210)에 관통구멍(211)을 형성하고 보울트(426)로 고정하는 형태가 생산성에 있어서 더욱 유리할 것임은 물론이다.
물론 상기 틸트브라켓(450)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틸트브라켓본체(451)와 틸트너트브라켓(452)으로 분리되어 보울트(453)로 체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생산성이 좋다.
한편 상기 틸트스크류(430)에는 틸트스톱퍼(460)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틸트너트(440)가 틸트지지부(420)에 충돌하게 될 때 충격을 감소시키게 되고, 또 상기 틸트스크류(430)의 단부 외주면에 틸트스톱퍼(470)가 빠지지 않도록 끼워지게 되면 틸트너트(440)가 상기 틸트스크류(43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61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조립체(600)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와이어(410)가 회전하여 상기 틸트스크류(4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틸트지지부(420)가 아웃터파이프(20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터(6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틸트너트(440)가 틸트스크류(43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틸트너트(44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틸트브라켓(450)이 아웃터브라켓(200)에 고정된 곳을 힌지점으로 해서 틸트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요지구성인 텔레스코픽부(500)는 도 1과 도 2 및 도 4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술하는 로터(645)에 일단이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받는 플렉 시블와이어(51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의 일측면에 고정된 텔레스코픽지지부(520)와, 이 텔레스코픽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텔레스코픽스크류(530)와, 이 텔레스코픽스크류에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의 틸트너트이동구멍(220)에 끼워져 인너파이프(300)에 보울트(550)로 체결된 텔레스코픽너트(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와이어(510)는 양단은 4각형태로 압축되어 이루어져 있고 중간부분은 스프링의 형태로 꼬여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지지부(520)는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에 돌출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텔레스코픽스크류(530)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 형태의 스크류지지부(521)와, 와셔(522), 트러스트 베어링(523), 베어링블록(524) 및 셀프록너트(5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텔레스코픽지지부(520)의 스크류지지부(521)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웃터파이프(200)에서 돌출되지 않고 보스(230)에 관통구멍(231)을 형성하고 보울트(526)로 고정하는 형태가 생산성에 있어서 더욱 유리할 것임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텔레스코픽스크류(530)의 단부 외주면에 텔레스코픽스톱퍼(550)가 빠지지 않도록 끼워지게 되면 틸트너트(540)가 상기 틸트스크류(43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텔레스코픽 작동의 제한을 위하여 텔레스코픽작동제한수단(570)이 아웃터파이프를 통해서 인너파이프에 설치되는바, 텔레스코픽스톱퍼블럭(571)과 접시스프링와셔(572) 및 텔레스코픽스톱퍼볼트(573)와 텔레스코픽스톱퍼너트(574)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61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조립체(600)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와이어(510)가 회전하여 상기 텔레스코픽스크류(5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텔레스코픽지지부(520)가 아웃터파이프(20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터(6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텔레스코픽너트(540)가 텔레스코픽스크류(53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텔레스코픽너트(540)는 상기 인너파이프(3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아웃터브라켓(200)의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컬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요지구성인 구동조립체(600)는,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기어박스(610)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20)와, 상기 틸트부(400)의 틸트 작동을 위해 상기 기어박스(610)에 솔레노이드로 틸트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틸트회전력전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1구동장치부(630)와, 상기 텔레스코픽부(500)의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해 상기 기어박스(610)에 솔레노이드로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텔레스코픽회전력전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2구동장치부(640)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1구동장치부와 상기 제2구동장치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6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61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에 체결되는 하우징(611)과, 이 하우징(611)의 일측면에 보울트(613)로 체결되는 모터하우징커버(612)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11)은,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에 끼워지는 파이프결합부 (611a)와, 이 파이프결합부와 이웃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틸트클러치기어를 포함하는 틸트회전력전달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틸트회전력전달부의 수용부(611b)와, 상기 파이프결합부(611a)를 기준으로 상기 수용부(611b)의 반대쪽에 파이프결합부와 이웃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회전력전달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텔레스코픽회전력전달부의 수용부(611c)와, 상기 수용부(611b)와 이웃하여 연통되도록 형성된 미들기어수용부(611d)와, 상기 수용부(611c)와 이웃하여 연통되도록 형성된 미들기어수용부(611e)와, 상기 미들기어수용부(611d,611e)의 사이에 미들기어수용부(611d,611e)와 연통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모터(620)의 돌출된 회전축에 동기적으로 회전하도록 끼워진 후술하는 메인기어를 수용하도록 된 메인기어수용부(611f)와, 상기 미들기어수용부(611d,611e)의 중심에 후술하는 미들기어의 회전중심이 되도록 설치된 니들핀(611g)과, 상기 파이프결합부(611a)의 측면에 돌출되어 아웃터파이프(200)와 조립하기 위한 파이프체결부(611h)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장치부(630)는 상기 구동기어(650)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611)에 설치된 틸트미들기어(631)와, 이 틸트미들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안착되는 틸트클러치기어(632)와, 이 틸트클러치기어에 로드(633a)가 관통되도록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하우징커버(612)에 상기 보울트(613)로 설치된 솔레노이드조립체(633)와, 상기 틸트클러치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의 로드에 의해 가압될 때 회전력이 공급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된 클러치(634)와, 이 클러치와 동기회전하도록 동축상의 일방향에 끼워진 로터(635)와, 상기 클러치와 로터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636)을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63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로터(635)와 접촉되는 쪽에는 축경음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링(637)이 설치될 수 있고, 또 솔레노이드조립체(633)의 로드(633a)선단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클러치와의 마찰에 따른 이음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611b,611c)에는 소결금속으로 된 기어클러치부시(638)를 설치하게 되면 로터의 회전시 진원도를 확보하기에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구동장치부(640)는 상기 구동기어(650)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611)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미들기어(641)와, 이 텔레스코픽미들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안착되는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642)와, 이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에 로드(643a)가 관통되도록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하우징커버(612)에 상기 보울트(613)로 설치된 솔레노이드조립체(643)와, 상기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의 로드에 의해 가압될 때 회전력이 공급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된 클러치(644)와, 이 클러치와 동기회전하도록 동축상의 일방향에 끼워진 로터(645)와, 상기 클러치와 로터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646)을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64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로터(645)와 접촉되는 쪽에는 축경음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링(647)이 설치될 수 있고, 또 솔레노이드조립체(643)의 로드(643a)선단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클러치와의 마찰에 따른 이음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611b,611c)에는 소결금속으로 된 기어클러치부시(648)를 설치하게 되면 로터의 회전시 진원도를 확보하기에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에 의하면, 한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틸트와 텔레스코픽을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마운팅브라켓의 분리에 따른 충격흡수와이어의 변형에 의해 지속적으로 충격에너지가 흡수 됨으로써, 충돌 흡수성능이 가일층 향상되며, 제품의 초기 조립 상태에서 가이드구의 선단부와 충격흡수와이어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초기에 충격흡수와이어의 자유 변형이 유도되어 초기 충격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 충격에 따른 마운팅브라켓의 분리 이탈시 마운팅브라켓로워가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어퍼의 가이드구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충격에너지의 흡수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효과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0)

  1. 차체에 고정되는 충격흡수부(100)와, 상기 충격흡수부에 설치된 아웃터파이프(2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단부에 설치된 스티어링휠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인너파이프(3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4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5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모터(610)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600)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립체(600)는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기어박스(610)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20)와, 상기 틸트부(400)의 틸트 작동을 위해 상기 기어박스(610)에 솔레노이드로 틸트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틸트회전력전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1구동장치부(630)와, 상기 텔레스코픽부(500)의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해 상기 기어박스(610)에 솔레노이드로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텔레스코픽회전력전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2구동장치부(640)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1구동장치부와 상기 제2구동장치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장치부(630)는 상기 구동기어(650)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 (611)에 설치된 틸트미들기어(631)와, 이 틸트미들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안착되는 틸트클러치기어(632)와, 이 틸트클러치기어에 로드(633a)가 관통되도록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하우징커버(612)에 상기 보울트(613)로 설치된 솔레노이드조립체(633)와, 상기 틸트클러치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의 로드에 의해 가압될 때 회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된 클러치(634)와, 이 클러치와 동기회전하도록 동축상의 일방향에 끼워진 로터(635)와, 상기 클러치와 로터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6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63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로터(635)와 접촉되는 쪽에는 축경음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된 오링(637)과,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633)의 로드(633a)선단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610)의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부(611b,611c)에 설치된 기어클러치부시(6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장치부(640)는 상기 구동기어(650)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611)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미들기어(641)와, 이 텔레스코픽미들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안착되는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642)와, 이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에 로드(643a)가 관통되도록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하우징커버(612)에 상기 보울트(613)로 설치된 솔레노이드조립체(643)와, 상기 텔레스코픽클러치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의 로드에 의해 가압될 때 회전력이 공급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된 클러치(644)와, 이 클러치와 동기회전하도록 동축상의 일방향에 끼워진 로터(645)와, 상기 클러치와 로터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6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64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로터(645)와 접촉되는 쪽에는 축경음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된 오링(647)과,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643)의 로드(643a)선단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610)의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611b,611c)에 설치된 기어클러치부시(6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100)는,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인 마운팅브라켓어퍼(110)와, 상기 마운팅브라켓어퍼에 끼워짐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마운팅브라켓로워(120) 및, 상기 마운팅브라켓어퍼와 마운팅브라켓로워의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와이어(130)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브라켓어퍼(110)는 차체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고, 저면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구(111) 내측에 마운팅브라켓로워(120)가 이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이들 마운팅브라켓(110,120)의 사이에는 상기 충격흡수와이어(130)가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충격흡수와이어(130)의 양 선단부는 마운팅브라켓어퍼(110)의 가이드구(111)를 외측을 따라 감합되는 형태로 조립되고 중간단부는 가이드구(111) 내측에서 마운팅브라켓로워(120)의 후면 선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충격력에 의해 마운팅브라켓어퍼(110)로 부터 마운팅브라켓로워(120)가 이탈될 때 이 마운팅브라켓로워(120)가 충격흡수와이어(130)의 변형을 유도하면서 이탈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부(400)는, 상기 제1구동장치부(630)의 로터(635)에 일단이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받는 플렉시블와이어(41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의 일측면에 고정된 틸트지지부(420)와, 이 틸트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틸트스크류 (430)와, 이 틸트스크류에 체결된 틸트너트(440)와, 이 틸트너트가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됨과 더불어 상부의 일단은 아웃터파이프(2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또 타단은 상기 충격흡수부(100)의 마운팅브라켓로워(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틸트브라켓(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부(500)는, 상기 제2구동장치부(640)의 로터(645)에 일단이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받는 플렉시블와이어(51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의 일측면에 고정된 텔레스코픽지지부(520)와, 이 텔레스코픽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텔레스코픽스크류(530)와, 이 텔레스코픽스크류에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아웃터파이프(200)의 틸트너트이동구멍(220)에 끼워져 인너파이프(300)에 보울트(550)로 체결된 텔레스코픽너트(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KR1020050060066A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KR101028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066A KR101028729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066A KR101028729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974A true KR20070005974A (ko) 2007-01-11
KR101028729B1 KR101028729B1 (ko) 2011-04-15

Family

ID=3787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066A KR101028729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7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068B1 (ko) * 2008-05-19 2010-02-08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KR101014032B1 (ko) * 2008-08-26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스티어링 칼럼
US8573351B2 (en) 2010-11-08 2013-11-05 Hyundai Motor Company United type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WO2019147033A1 (ko) * 2018-01-26 2019-08-01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CN110775147A (zh) * 2018-07-31 2020-02-11 株式会社山田制作所 转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857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993764B1 (ko) * 2004-10-19 2010-11-12 주식회사 만도 틸트 앤드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칼럼 장치
KR100580534B1 (ko) 2005-01-03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어를 이용한 틸트·텔레스코픽 모드 변경 타입 모터구동식 조향장치
KR100590700B1 (ko) 2005-05-30 2006-06-19 주식회사 만도 단일 구동 모터를 이용한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068B1 (ko) * 2008-05-19 2010-02-08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KR101014032B1 (ko) * 2008-08-26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스티어링 칼럼
US8573351B2 (en) 2010-11-08 2013-11-05 Hyundai Motor Company United type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WO2019147033A1 (ko) * 2018-01-26 2019-08-01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CN110775147A (zh) * 2018-07-31 2020-02-11 株式会社山田制作所 转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729B1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1534B2 (ja) 電動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5513282B2 (ja) 電動テレスコステアリング装置
JP4716338B2 (ja) 車両用操向コラムのテレスコピック及びチルト装置
EP1767432B1 (en) Tilt-telescopic steering column apparatus
EP2572959B1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EP2301804B1 (en) Hinge construction
KR101028729B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EP1884446A1 (en)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ring type support yoke
JP2020019327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6556261B2 (ja)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を支持するための軸受ユニット
EP3798092B1 (en) Steering column and vehicle
JP427779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69668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831302B2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345081B1 (ko) 충격 흡수 마운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090124780A (ko) 전동식 로워 틸트 조향장치
US10730438B2 (en) Vehicle door mirror including vibration suppressing support
KR100804443B1 (ko) 랙바를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를 구비한 조향장치
KR100814754B1 (ko) 자동차의 전동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WO2021256169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150087989A (ko) 진동 및 소음 절감 원격제어 겸용 전동 차량 조향장치
KR20160099787A (ko)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524799B1 (ko) 정밀 작동 가능한 자동차용 틸팅-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KR102524793B1 (ko) 자동차용 틸팅-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US20090091114A1 (en) Steering column dynamic 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