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505A - 안과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505A
KR20040041505A KR1020030078574A KR20030078574A KR20040041505A KR 20040041505 A KR20040041505 A KR 20040041505A KR 1020030078574 A KR1020030078574 A KR 1020030078574A KR 20030078574 A KR20030078574 A KR 20030078574A KR 20040041505 A KR20040041505 A KR 20040041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gain
image
ey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797B1 (ko
Inventor
오노시게아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4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observation of ocular blood flow, e.g. by fluorescein ang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피검안 화상을 적정한 광량과 적절한 이득에서 촬영할 수 있는 안과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촬영스위치가 턴온된 것을 검출할 때 피검안을 관찰하는 경우에, 촬영용 광원은 소정 시간 경과 후 발광한다. 이 소정 시간은,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으로부터 고정 이득으로 이득을 완전히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피검안의 깜박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시간이다.

Description

안과촬영장치{OPHTHALMOLOGIC IMAGE T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안과진료소 등에서 피검안을 촬영하는 안과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CCD로 대표되는 촬상소자를 사용하여 피검안 화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피검안의 관찰 및 촬영을 행하는 안과촬영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안과촬영장치에서는, 촬상소자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전기적으로 증폭하여, 항상 피검안 화상이 적절한 영상신호가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적외 형광 촬영을 할 경우에는, 광학 파인더로는 안저를 관찰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관찰용과 촬영용의 두 가지 종류의 카메라를 준비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된 개개의 이득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2대의 텔레비전 카메라를 사용하면 안과촬영장치가 복잡해지고, 그 비용도 더 증가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개평 9-262211호 공보, 특개평10-234671호 공보 등에서, 하나의 촬상장치를 사용하여 피검안을 관찰 및 촬영하는 안과촬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본 특개평 9-262211호 공보에서는 이득설정에 관한 기재는 없다. 또한, 일본 특개평 10-234671호 공보에 개시된 안과촬영장치에서는, 촬영모드에 따라서, ND 필터를 변경함으로써 촬영광량을 변경하여, 피검안의 화상이 적절한 영상신호의 화상이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가시 형광 또는 적외 형광을 사용하는 관찰시에는, 형광제의 순환 상태에 따라 피검안의 밝기가 변화된다. 특히, 초기화상에서는 피검안의 밝기의 변화가 현저하기 때문에, 자동이득제어(AGC)를 한다. 따라서, 피검안의 밝기, 즉 관찰 광량이 변화되더라도, 피검안 화상이 항상 적절한 영상신호의 화상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촬영하는 경우에 사용된 촬영용 광원의 발광시간은 수 m초로 짧기 때문에, AGC를 실행하더라도 피검안의 밝기 변화를 그에 따라서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AGC에 의해 이득을 얻지 않고, 촬영시에는 고정이득을 사용하고, 피검안의 밝기에 따라서 촬영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피검안 화상이 적절한 영상신호의 화상이 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나, AGC로부터 고정이득으로 전환할 경우에, 그 이득을 안정화시키는데 소정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소정 시간은, 장치본체와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와,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과 고정이득의 전환을 RS-232C 등의 통신포트를 사용하여 제어한 경우에, 통신시간 및 이득회로의 응답시간이 원인이 된다. 이득제어가 완전히 전환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용 광원을 발광하여 촬영하면, 그 밝기가 포화되거나, 화상이 어두워진다. 즉, 적절한 영상신호를 얻을 수 없다.
반대로, 고정이득으로부터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으로 전환하는 경우에서도, 이득을 안정화시키는데 소정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에는,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으로부터 고정이득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시간 지연 요인과 아울러, 촬상한 피검안 화상의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이득을 결정하기 때문에, 적어도 1 프레임 또는 1 필드에 대응한 시간 지연이 생긴다. 이 때문에, 이득이 수속하기까지는 더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득제어가 완전히 전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피검안의 동화상을 기록하면, 그 밝기가 포화되거나 화상이 어두워진다. 즉, 적절한 영상신호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1대의 텔레비전 카메라를 사용하여 피검안의 관찰, 동화상 기록 및 정지 화상 촬영을 할 수 있는 안과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구성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시스템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타이밍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제 2 실시예의 시스템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구성도,
도 7은 제 3 실시예의 시스템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찰용 광원3 : 촬영용 광원
5 : 조리개6 : 적외 형광 여기광선 필터
8 : 구멍 뚫린 미러9 : 대물렌즈
10 : 포커스렌즈11 : 촬영렌즈
12 : 적외 형광 차단필터13 : 촬상장치
14 : 축적 전하 판독부15 : 증폭부
16 : 화상신호처리부17 : 시스템 제어부
18 : 이득 제어부19 : 표시부
20 : 화상기록수단21 : 촬영스위치
22 : 촬영용 광원 제어부31 : 동화상 기록시간 설정부
32 : 타이머 스위치41 : 촬영 광원 발광대기시간 설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과촬영장치는, 관찰용 조명 광원과 촬영용 조명 광원을 갖고 피검안에 관촬용 조명광과 촬영용 조명광 중 하나를투영하는 조명 광학계와, 피검안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피검안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그 촬상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그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피검안 화상으로서 얻기 위한 복수의 동작모드를 갖는 화상 포획(capturing)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수단과, 상기 화상포획수단의 상기 동작모드 중에서 전환을 하는 모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득 제어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에 따라서 상기 이득을 변경하는 제 1 이득 설정모드와, 상기 이득을 고정 이득으로 설정하는 제 2 이득 설정모드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본 발명을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관찰용 광원(1)으로부터 피검안 E에 이르는 안저 조명 광학계의 광로 상에는, 콘덴서렌즈(2), 촬영용 광원(3), 미러(4), 링 형상의 개구를 갖는 조리개(5), 광로에 삽입 이탈 가능하게 배치된 적외 형광 여기 광선(exciter)필터(6), 릴레이렌즈(7), 구멍 뚫린 미러(8) 및 대물렌즈(9)가 순차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구멍 뚫린 미러(8)의 후방의 안저촬영 광학계에는, 포커스렌즈(10), 촬영렌즈(11), 여기광을 차단하고 형광만을 투과하여 광로에 삽입 이탈 가능한 적외 형광 차단필터(12) 및 촬상장치(13)가 순차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촬상장치(13)의 출력은, 축적 전하 판독부(14), 증폭부(15), 화상신호처리부(16)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1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축적 전하 판독부(14)의 출력은, 직접 시스템 제어부(17)에 접속되고, 증폭부(15)의 출력은, 이득 제어부(18)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1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화상신호처리부(16)의 출력은, 표시부(1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7)에는, 하드디스크, MO, Zip, Jazz, CD-R/RW, DVD-RAM, DVD-R/RW,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 화상기록수단(20)과, 촬영스위치(21)와, 촬영용 광원(3)을 제어하는 촬영용 광원 제어부(22)가 접속되어 있다.
관찰용 광원(1)으로부터 출사한 광속은, 콘덴서렌즈(2) 및 촬영용 광원(3)을 통과하여 미러(4)에서 반사된다. 이 미러(4)에서의 반사광은, 링 형상의 개구를 갖는 조리개(5), 적외 형광 여기광선 필터(6) 및 릴레이렌즈(7)를 통과하여, 구멍 뚫린 미러(8)의 주변부에서 반사한다. 구멍 뚫린 미러(8)의 주변부에서의 반사광은, 대물렌즈(9) 및 피검안 E의 동공 Ep을 통과하여 안저 Er를 조명한다. 조명에 의해 포획된 안저 화상은, 피검안 E의 동공 Ep, 대물렌즈(9), 구멍 뚫린 미러(8)의 구멍부, 포커스렌즈(10), 촬영렌즈(11) 및 적외 형광 차단필터(12)를 통과하여, 촬상장치(13) 상에 결상한다.
축적 전하 판독부(14)는, 촬상장치(13)에 의해 광전변환되어 축적된 축적전하를 판독하고 그 축적된 전하를 연속적으로 클리어한다. 이 판독된 축적전하에 대응한 신호는, 축적 전하 판독부(14)로부터 증폭부(15)를 통해 화상신호처리부(16)에 출력된다. 화상신호처리부(16)는, 관찰 화상을 표시부(19)에 출력하는데 필요한 신호처리를 하여, 그 관찰화상을 표시부(19)에 표시하게 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17)는, 피검안 E의 안저 Er의 밝기가 변화된 경우마다, 관찰용 광원(1)의 광량을 재설정하지 않아도 적정한 안저 관찰을 할 수 있도록, 이득 제어부(18)를 AGC 제어에 의해 설정한다.
도 2는 촬영시의 시스템 제어부(17)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조작자는, 표시부(19)의 영상을 관찰하면서 얼라인먼트조작을 한다. 먼저, 단계 S1에서는, 얼라인먼트 완료한 후 조작자가 촬영스위치(21)를 턴온시키면, 시스템 제어부(17)는 촬영스위치(21)의 입력을 검출한다. 단계 S2에서는, 관찰용 광원(1)을 소등한다. 단계 S3에서는, 이득 제어부(18)가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으로부터 고정이득으로 이득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계속하여, 단계 S4에서는 1 프레임에 대응한 대기시간을 경과시킨다. 이 대기시간은, 도 3에 나타낸 발광대기시간이다. 이 1 프레임의 발광대기시간은, 이득 제어부(18)의 설정을 변경한 후, 증폭부(15)의 이득을 안정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그러나, 이 발광대기시간이 너무 길면, 동작이 피검안 E의 깜박임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 때문에, 약 4 프레임 이하에 대응한 시간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위를 프레임으로 한 이유는, 축적 전하 판독부(14)가 프레임 판독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드 판독일 경우는 1∼8개의 필드로 하여도 된다.
이어서, 단계 S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7)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수직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촬영용 광원 제어부(22)에 발광개시지령을 출력하여, 촬영용 광원(3)으로부터 광속을 방출한다. 촬영용 광원(3)으로부터 출사한 광속은, 촬상장치(13)에 피검안 E의 안저화상으로서 투영된다. 촬상장치(13)는, 광전 변환에 의해 얻어진 전하를 축적하고 그 전하를 유지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7)는, 촬영용 광원(3)의 발광을 나타낸 신호를 축적 전하 판독부(14)에 송신한다. 축적 전하 판독부(14)는, 시스템 제어부(17)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그 축적전하의 판독을 시작한다.
또한, 단계 S6에서는, 촬영용 광원(3)의 광량이 적정한 광량에 이르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광량이 그 적정한 광량에 이르면, 단계 S7로 동작을 진행한다. 단계 S7에서는, 촬영용 광원 제어부(22)에 촬영용 광원(3)의 발광 정지 지령을 출력하고, 촬영용 광원(3)의 발광을 정지한다. 축적 전하 판독부(14)에 의해 판독된 영상신호는, 증폭부(15)에서 증폭되어, 화상신호처리부(16)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A/D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에, 시스템 제어부(17)에 입력된다.
단계 S8에서는, A/D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화상기록수단(20)에 기록한다. 그 후에, 단계 S9에서는, 동작모드가 안저 관찰모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이득 제어부(18)가 AGC에 의해 제어한다. 그리고 단계 S1로 동작을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 S3에서 이득 제어부(18)가 이득을 고정이득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 후에, 증폭부(14)의 이득이 안정화될 때까지, 단계 S4에서는 1 프레임 대기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다음의 제어를 행하여도 된다. 즉, 시스템 제어부(17)는, 화상신호처리부(16)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감시한다. 이득 제어부(18)가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으로부터 고정이득으로 이득을 전환하도록 제어된 것을 검출하면, 시스템 제어부(17)는, 수직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촬영용 광원 제어부(22)에 발광개시 지령을 출력하여, 촬영용 광원(3)으로부터 발광시킨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7)에 동화상 기록 시간 설정부(31) 및 타이머 스위치(32)가 접속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에서의 시스템 제어부(17)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안저 카메라는, 초기 설정모드인 안저 관찰모드로 설정된다. 먼저, 단계 S11에서는, 이득 제어부(18)를 AGC에 의거하여 제어한다. 따라서, 피검안 E의 안저 Er의 밝기가 변화된 경우마다, 관찰용 광원(1)의 광량을 재설정하지 않아도 적정한 안저 관찰을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단계 S12에서는, 동화상 기록 시간 설정부(31)로부터의 지령 입력 유무를 판단한다. 지령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동작을 진행한다. 단계S13에서는, 동화상 기록모드에서의 동화상 기록시간을 설정한 후에, 단계 S14로 동작을 진행한다. 단계 S12에서 동화상 기록 시간 설정부(31)로부터의 지령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디폴트 설정값으로 설정되고, 단계 S14로 동작을 진행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의 디폴트 동화상 기록시간은, 5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단계 S14에서는, 타이머 스위치(32)로부터의 지령 입력 유무를 판단한다. 지령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 S12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지령 입력이 있는경우에는 단계 S15로 동작을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7)내에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수단을 개시시킨다. 여기서 설명된 타이머수단은, 가시 및 적외 형광 촬영일 경우에, 정맥 주사 개시로부터의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이 타이머수단에 의한 측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동안에, 1명의 환자에 대해 관찰 및 촬영을 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계속해서, 단계 S16에서는, 촬영스위치(21)의 입력의 검출 여부를 판단한다. 촬영스위치(21)의 입력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17로 동작을 진행한다. 그러므로, 동화상 기록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여, 동화상 데이터를 화상기록수단(20)으로의 저장을 개시한다. 이 때의 동화상 기록은, MPEG 등의 데이터 압축처리로 데이터 양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동화상 기록모드에서는, 이득 제어부(18)가 AGC에 의해 제어된다.
계속해서, 조작자는, 동화상 기록이 시작된 후에, 표시부(19)의 영상을 관찰하면서 얼라인먼트를 한다. 그리고, 단계 S18에서는, 얼라인먼트가 종료한 후에 조작자가 다시 촬영스위치(21)를 턴온하면 단계 S19로 동작을 진행한다. 단계 S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7)에 의해 관찰용 광원(1)을 소등한다. 또한, 단계 S20에서는, 동화상 데이터를 화상기록수단(20)에 저장하는 것을 정지한다. 또한, 단계 S21에서는,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을 고정이득으로 설정하도록 이득 제어부(18)를 제어한다. 그 후, 단계 S22에서는 1 프레임에 대응한 대기시간을 경과한다. 이 대기시간은, 도 3에 나타낸 발광대기시간이다.
계속해서, 단계 S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7)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수직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촬영용 광원 제어부(22)에 발광개시 지령을 출력하여, 촬영용 광원(3)으로부터 광속을 발광한다. 촬영용 광원(3)으로부터 출사한 광속은, 피검안 E의 안저 Er에서 반사되고, 안저 화상으로서 촬상장치(13)에 투영된다. 촬상장치(13)는, 광전 변환에 의해 얻어진 전하를 축적하고 그 전하를 유지한다. 시스템 제어부(17)는, 촬영용 광원(3)의 발광을 나타낸 신호를 축적 전하 판독부(14)에 송신한다. 이 축적 전하 판독부(14)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17)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축적 전하의 판독을 개시한다.
그리고, 단계 S24에서는, 촬영용 광원(3)의 광량이 적정한 광량에 이르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광량이 적정한 광량에 이르면, 단계 S25로 동작을 진행한다. 단계 S25에서는, 촬영용 광원 제어부(22)에 발광정지 지령을 출력하여, 촬영용 광원(3)의 발광을 정지한다. 판독된 영상신호는, 증폭부(15)에서 증폭되어, 화상신호처리부(16)를 통해 A/D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시스템 제어부(17)에 입력된다. 그 후에, 단계 S26에서는, 단계 S25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화상기록수단(20)에 기록한 후에, 단계 S27에서는 AGC에 의해 이득 제어부(18)를 제어한다.
이어서, 단계 S28에서는 2 프레임에 대응한 대기시간을 경과한다. 이 대기시간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동화상 기록 대기시간이다. 그 후, 단계 S29에서는, 동화상 데이터의 화상기록수단(20)으로의 저장을 재개하여, 동작모드를 동화상 기록모드로 변경한다. 단계 S28에서의 2 프레임의 동화상 기록 대기시간은, 이득 제어부(18)의 설정을 변경한 후 증폭부(14)의 이득을 안정화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시스템 제어부(17)에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이득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합이다. 단계 S28에서 2프레임에 대응한 대기시간, 즉 동화상 기록 대기시간으로 인해, 잘못된 이득으로 증폭된 영상신호를 동화상으로 하여서, 화상기록수단(20)에 기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동화상 촬영이 종료한 경우 또는 단계 S18에서 촬영스위치(21)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단계 S30에서는 동화상 기록을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 S13에서 설정된 동화상 기록시간 또는 디폴트 동화상 기록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동화상 기록시간 또는 디폴트 동화상 기록시간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 동작은 단계 S18로 되돌아가고, 촬영스위치(21)의 입력의 존재를 체크한다. 한편, 동화상 기록시간 또는 디폴트 동화상 기록시간이 종료한 경우에, 단계 S31에서는 동화상 데이터를 화상기록수단(20)으로의 저장을 종료하고, 동작모드를 동화상 기록모드로부터 안저 관찰모드로 변경한다.
또한, 단계 S32에서는, 타이머 스위치(32)로부터 타이머 정지 지령의 입력유무를 판단한다. 타이머 정지 지령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8로 되돌아가, 촬영스위치(21)의 입력의 존재를 체크한다. 한편, 타이머 스위치(32)로부터 타이머 정지 지령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33에서 시스템 제어부(17) 내의 타이머수단을 정지하여, 1명의 환자의 촬영을 종료한다. 그리고, 동작을 단계 S12로 되돌아가, 다시 동화상 기록시간 설정부(31)로부터의 지령 입력의 존재를 체크한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안저 촬영 광학계의 결상위치에는, 촬상장치(13), 축적 전하 판독부(14), 증폭부(15),이득 제어부(18) 및 화상신호처리부(16)로 구성된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 "A"가 배치되어 있다. 이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 "A"에는, 시스템 제어부(17) 및 표시부(1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 "A"는,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 "B" 또는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 "C"와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7)에는, 촬영용 광원(3)의 발광대기시간 설정부(41)가 접속되어 있다.
도 7은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가 다른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로 교환된 경우의 시스템 제어부(17)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41에서는,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가 다른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로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가 다른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로 교환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 단계 S42, S43 및 S44에서는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 "A"∼"C"중 어느 하나가 교환되었다고 판단한다. 단계 S45, S46 및 S47에서는, 그 판단된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에 대응한 촬영 광원의 발광대기시간을 설정한다.
촬영 광원 발광대기시간은, 제 1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단계 S4에서의 1프레임에 대응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또한, 촬영 광원 발광대기시간은,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단계 S22에서의 1프레임에 대응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AGC가 고정이득으로 전환된 후의 이득을 안정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은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의 종류 및 로트에 따라서 변경되기 때문에, 그 발광대기시간을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촬영용 광원의 발광대기시간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도 된다. 즉, 텔레비전카메라 유니트마다 발광대기시간에 대한 파라미터가 제공되어,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를 안저 카메라에 장착시에, 예를 들면 RS-232C와 같은 통신장치를 사용하는 파라미터 통신에 의해 시스템 제어부(17)에 발광대기시간을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촬영용 광원(3)의 발광대기시간 설정부(41)에 의해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마다 발광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안과촬영장치는, 다음에 열거하는 이점을 갖는다.
(1) 촬영스위치가 턴온된 것이 검출될 때 피검안을 관찰하는 경우에,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촬영용 광원은 발광한다. 이때의 소정시간은,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으로부터 고정이득으로 이득을 완전히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이고, 피검안의 깜박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시간이다. 피검안을 적정한 광량 및 적정한 이득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2) 촬영스위치가 턴온된 것이 검출될 때 피검안을 관찰하는 경우에, 이득이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으로부터 고정이득으로 완전히 전환한 것을, 관찰용 조명 광원에 의해서 조사된 피검안 화상을 관측하여 확인한다. 그래서, 피검안을 적정한 광량 및 적정한 이득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3) 관찰용 조명 광원에 의해서 조사된 피검안의 동화상이 기록되고 촬영스위치가 턴온된 것이 검출될 때 촬영을 하는 경우에,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촬영용광원은 발광한다. 이때의 소정시간은,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으로부터 고정이득으로 이득을 완전히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피검안의 동화상 및 정지 화상 양쪽을 적정한 이득에서 적정한 광량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4) 피검안의 정지 화상 기록이 종료하고, 동화상 기록이 소정 시간 경과 후 재개하는 것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서, 이득을 AGC에 의해 얻어진 이득으로부터 고정이득으로 전환할 때에, 이득이 안정화되기 전에 부적절한 광량과 부적절한 이득에서 얻어진 피검안의 동화상이 기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그 동화상의 파일 크기도 감소시킬 수 있다.
(5) 촬상부, 증폭부 및 이득 제어부를 갖는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는 장착 가능하다. 또한, 촬영용 광원으로부터 발광하는데 필요한 소정시간을 변경할 수 있고, 장착된 텔레비전 카메라 유니트에 의해서 동화상 기록모드와 관찰모드간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관찰모드에서 촬영스위치가 턴온된 것을 검출하면, 동작모드는 동화상 기록모드가 되고, 그 동화상 기록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행해진다. 동화상 기록모드에서 촬영스위치가 턴온된 것을 검출하면, 촬영용 광원은 발광하고 정지 화상 기록모드를 행한다. 그래서, 촬영스위치를 사용하여 동화상 기록 및 정지 화상 기록을 모두 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단해진다. 또한, 단일 스위치에 의해서만 기록을 행할 수 있으므로, 안과촬영장치를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6) 조명 광학계는 가시 또는 적외 형광용 여기광선 필터를 구비하고, 관찰 촬영 광학계는 가시 또는 적외 형광용 차단필터를 구비하기 때문에, 그 가시 또는 적외 형광 관찰 촬영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을 안과촬영장치에 응용한 경우에, 특히 초기 형광 상태에서 피검안의 밝기가 크게 변화되는 경우라도, 관찰, 동화상 기록 및 정지 화상 기록을, 적정한 광량을 갖는 적정한 이득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항상 적정한 피검안 화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관찰용 조명 광원과 촬영용 조명 광원을 구비하고 관찰용 조명광과 촬영용 조명광 중 하나를 피검안에 투영하는 조명 광학계와,
    피검안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그 반사광을 피검안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피검안 화상으로서 얻고, 제 1 동작모드, 제 2 동작모드 및 제 3 동작모드를 갖는 화상포획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수단과,
    상기 화상포획수단의 제 1 동작모드, 제 2 동작모드 및 제 3 동작모드간을 전환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득 제어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에 따라서 상기 이득을 변경하는 제 1 이득 설정모드와, 상기 이득을 고정이득으로 설정하는 제 2 이득 설정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포획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화상포획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모드 스위치가 턴온한 것을 검출하는 것으로부터 촬영용 광원의 발광까지의 발광대기시간을 결정하는 발광개시 시간 결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포획수단은, 상기 제 1 이득 설정모드에서 이득이 제어된 상기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연속하여 얻고, 피검안 화상을 상기 표시수단에 연속하여 표시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이득 설정모드에서 이득이 제어된 상기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관찰용 조명 광원과 상기 촬영용 조명 광원 중 하나와 동기하여 얻고, 피검안 화상을 정지 화상으로서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제 2 모드를 갖고,
    상기 모드 스위치가 턴온될 경우, 상기 화상포획수단은,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발광개시 시간 결정수단에서 결정된 발광대기시간에 따라서 상기 촬영용 광원을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포획수단은, 상기 제 1 이득 설정모드에서 이득이 제어된 상기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연속하여 포획하고, 상기 관찰용 조명 광원에 의해 포획된 피검안 화상을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하고 연속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제 3 모드를 갖고,
    상기 화상포획수단은, 상기 제 1 모드로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것부터 동화상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기록대기시간을 결정하는 동화상 기록개시 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드 스위치가 턴온될 경우, 상기 화상포획수단은, 상기 제 3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발광개시 시간 결정수단에서 결정된 발광대기시간에 따라서 상기 촬영용 광원을 발광시키고,
    상기 기록수단으로의 피검안의 정지 화상 기록이 종료될 경우, 상기 화상포획수단은, 제 2 모드로부터 제 3 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동화상 기록개시 결정수단에서 결정된 상기 기록대기시간에 따라서 상기 기록수단으로의 피검안 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용 조명 광원을 사용하여 상기 증폭수단을 통과한 피검안 화상을 관찰하는 관찰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개시 시간 결정수단은 상기 관찰수단의 출력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발광대기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용 조명 광원을 사용하여 상기 증폭수단을 통과한 피검안 화상을 관찰하는 관찰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동화상 기록개시 결정수단은 상기 관찰수단의 출력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 기록대기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 상기 증폭수단 및 상기 이득 제어수단은 촬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촬상부는 복수의 촬상부로부터 선택 가능하고, 상기 발광개시 시간 결정수단은 상기 선택된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발광대기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 상기 증폭수단 및 상기 이득 제어수단은 촬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촬상부는 복수의 촬상부로부터 선택 가능하고, 상기 동화상 기록개시 결정수단은 상기 선택된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동화상 기록대기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포획수단은, 제 3 모드에서 동화상 기록시간을 설정하는 동화상 기록시간 설정수단과,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포획수단이 상기 제 1 모드에서 모드 스위치가 턴온된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화상포획수단은 동작모드를 제 3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타이머수단을 개시시키고,
    상기 화상포획수단이 상기 제 3 모드에서 모드 스위치가 턴온된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화상포획수단은 동작모드를 제 2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타이머수단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상기 동화상 기록시간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동화상 기록시간에 도달한 것을 상기 화상포획수단이 검출할 경우, 상기 화상포획수단은 동작모드를 상기 제 1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광학계는 여기광선 필터를 구비하고, 관찰용 촬영 광학계는 차단필터를 구비하여, 형광 관찰 촬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KR1020030078574A 2002-11-11 2003-11-07 안과촬영장치 KR100625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6938A JP2004159763A (ja) 2002-11-11 2002-11-11 眼科撮影装置
JPJP-P-2002-00326938 2002-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505A true KR20040041505A (ko) 2004-05-17
KR100625797B1 KR100625797B1 (ko) 2006-09-20

Family

ID=3210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574A KR100625797B1 (ko) 2002-11-11 2003-11-07 안과촬영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00154B2 (ko)
EP (1) EP1417924B1 (ko)
JP (1) JP2004159763A (ko)
KR (1) KR100625797B1 (ko)
CN (1) CN1250156C (ko)
AT (1) ATE429849T1 (ko)
DE (1) DE60327409D1 (ko)
TW (1) TWI2333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8440B2 (en) * 2003-04-15 2007-08-21 Kowa Company Ltd. Ophthalmic photographic apparatus
JP4280563B2 (ja) * 2003-06-20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JP4738768B2 (ja) * 2004-07-20 2011-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JP4574277B2 (ja) * 2004-08-09 2010-11-04 興和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JP4693402B2 (ja) * 2004-12-15 2011-06-01 興和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JP5197182B2 (ja) * 2008-06-26 201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医療用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436030B2 (ja) * 2009-04-30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602501B2 (ja) * 2010-06-01 2014-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処理装置、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600478B2 (ja) * 2010-06-01 2014-10-01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039177B2 (en) * 2010-06-10 2015-05-26 Eye Photo Systems, Inc. Eye image and video captur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9019345B2 (en) * 2010-07-02 2015-04-2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Imaging mode blooming suppression
JP5773598B2 (ja) * 2010-08-31 2015-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94181A (ja) * 2012-11-09 2014-05-22 Canon Inc 眼科撮影装置、眼科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31845A (ja) * 2015-01-22 2016-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5769117B (zh) * 2016-01-11 2017-08-29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眼底光学全场微血管造影成像装置及方法
CN115113355B (zh) * 2022-06-30 2024-04-09 重庆贝奥新视野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广角眼底成像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1732A (en) 1979-08-24 1981-03-31 Canon Kk Automatic focus adjusting camera
US5557321A (en) 1990-10-02 1996-09-17 Canon Kabushiki Kaisha Fundus camera or opthalmic apparatus comprising a flash light source system
JP3630857B2 (ja) 1996-06-17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JP4119027B2 (ja) 1999-01-28 2008-07-16 興和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US6585374B2 (en) * 2000-03-22 2003-07-01 Canon Kabushiki Kaisha Ophthalmolog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29849T1 (de) 2009-05-15
EP1417924A1 (en) 2004-05-12
US20040095554A1 (en) 2004-05-20
TWI233348B (en) 2005-06-01
US7300154B2 (en) 2007-11-27
JP2004159763A (ja) 2004-06-10
CN1250156C (zh) 2006-04-12
DE60327409D1 (de) 2009-06-10
TW200423904A (en) 2004-11-16
EP1417924B1 (en) 2009-04-29
CN1498593A (zh) 2004-05-26
KR100625797B1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312B1 (ko) 안저촬영장치 및 방법
KR100625797B1 (ko) 안과촬영장치
JP3800052B2 (ja) 静止画像撮像装置及び方法
JP4574277B2 (ja) 眼科撮影装置
JP4673677B2 (ja) 眼底撮影装置
JP4693402B2 (ja) 眼科撮影装置
US7331673B2 (en) Ophthalmic photography apparatus and ophthalmic photography method
JP3024790B2 (ja) 眼底カメラ
JP2003010134A (ja) 眼科撮影装置
JP3870211B2 (ja) 眼底カメラ
JP3591947B2 (ja) 眼底検査装置
KR20040111159A (ko) 안과촬영장치
JP2003204937A (ja) 眼科撮影装置
JPH07327930A (ja) 眼底カメラ
JP2968535B2 (ja) 眼科撮影装置
US20220345611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4659263B2 (ja) 眼科装置
JPH09308610A (ja) 眼科撮影装置
JPH04367646A (ja) 眼科撮影装置
JPH07303610A (ja) 眼科撮影装置
JPH0484933A (ja) 眼科撮影装置
JPH05111466A (ja) 眼科装置
JP200523422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3210411A (ja) 眼科撮影装置
JPH04189341A (ja) 眼底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