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351A - 장대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장대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351A
KR20040040351A KR1020030076593A KR20030076593A KR20040040351A KR 20040040351 A KR20040040351 A KR 20040040351A KR 1020030076593 A KR1020030076593 A KR 1020030076593A KR 20030076593 A KR20030076593 A KR 20030076593A KR 20040040351 A KR20040040351 A KR 20040040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original
far
rod
f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츠모토키요히코
타니구치카즈마
시오타니유키노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4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3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켜 그 길이를 조정 할 수 있고, 그 줌 길이의 자유도도 큰 낚싯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낚싯대는, 원대(1), 원상대(2), 원상 상대(元上 上竿)(3)의 관계로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한다. 원대(1)의 장대 기단(基端)측 단부에는 뒷마개(10)가 장착되어 있고, 이 뒷마개(10)는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를 유지할 수 있다.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밑마개(11)가 장착되어 있고, 이 밑마개(11)는 원상 상대(3)의 장대 기단측 단부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대의 연결 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ROD}
본 발명은, 뽑이식으로 연결되는 장대를 서로 연결할 때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특정 장대끼리를 수납 상태,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서로 연결 고정이 가능하게 하고, 장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켜 낚시를 행할 수 있도록 고안한 낚싯대에 응용하기 위한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뽑이식 낚싯대는, 복수의 통 모양의 장대가 수선측의 장대로부터 차례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낚시를 할 때에는 각 장대를 차례로 수선측으로 뽑아 감합(嵌合) 고정하여 한 자루의 장대로서 이용한다. 한편, 수납시에는 수선측의 장대를 차례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에 수납하여 컴팩트한 상태로 한다.
또한, 종래의 뽑이식 낚싯대에는 장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켜 낚시를 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이 고안된 낚싯대는, 예를 들면, 수선측 단부 내주면에 감합자부를 가지는 원대와,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제1 감합웅부를 가지면서 긴 쪽 방향 중앙 부근의 외주면에 제2 감합웅부를 가지는 원상대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낚싯대에서는, 원대의 수선측에 연결되는 원상대가 수선측으로 뽑힌 상태 (이하 「연신 상태」라고 한다)에서는, 감합자부를 제1 감합웅부와 감착(嵌着)시키고, 원상대가 원대 내에 삽입된 상태 (이하 「수납 상태」라고 한다)에서는, 감합자부를 제2 감합웅부와 감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이렇게 하여, 원대와 원상대와는 「연신 상태」, 「수납 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서로 감합 고정이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켜 낚시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0-262189호 공보 (제1 내지 제2란, 도면 1, 도면 2)
이러한 종래의 낚싯대에서는, 원대 내에 수납되는 원상대의 축 방향 길이가, 「연신 상태」와「수납 상태」의 길이 차이 (이하, 「줌 길이」라고 한다)가 되어 나타난다. 즉, 원대의 축 방향 길이가 줌 길이를 좌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원대에는 그 수선측 둘레면에 릴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를 배치하고, 장대 기단측 단부에 낚시꾼이 파지(把持)하기 위한 그립 부분 등을 설치하기 때문에, 그 축 방향 길이는 어느 정도의 길이로 제한된다. 이와 같이 원대의 축 방향 길이에 규제가 걸리므로, 줌 길이 설계의 자유도도 저하하여 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원활한 낚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낚싯대에 있어서, 그 줌 길이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장대끼리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전체도.
도 2는 도 1의 원대(1) 내지 원상 상대(3)의 수납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도 1의 원대(1) 내지 원상 상대(3)의 수납에 이르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도 1의 원대(1) 내지 원상 상대(3)의 연신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밑마개(1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뒷마개(20)와 밑마개(21)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대
2: 원상대
3: 원상 상대
10, 20: 뒷마개
11, 21: 밑마개
발명 1의 연결 구조는, 장대 기단측 단부에 제1 장대 유지 수단을 가지는 원대와, 원대의 수선측에 원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고 장대 기단측 단부에 제2 장대 유지 수단을 가지는 원상대와, 원상대의 수선측에 원상대 내에 출입 가능하게연결되는 원상 상대를 구비한다.
이들 3칸의 장대는, 원상 상대, 원상대를 차례로 원대의 수선측으로 완전히 뽑은 연신 상태와, 원상 상대, 원대를 차례로 원대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된 수납 상태의 양 상태에 있어서 서로 연결 고정이 가능하고, 각 상태에서의 구체적 모양은 이하와 같다.
우선,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의 수선측으로 원상대가 뽑히고,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과 원대의 수선측 내주면이 감착한다. 나아가, 원상 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과 원상대의 수선측 단부 내주면이 감착한다. 그리고, 각각 수선측에 위치하는 장대를 뽑아 고정하는 것이 규제됨과 함께, 상호의 장대가 연결 고정된다.
한편, 원상 상대가 원상대 내에 수선측으로부터 수납되어, 원상 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이르면, 원상 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원상대의 제2 장대 유지 수단에 유지된다. 제2 장대 유지 수단에 유지된 원상 상대와 원상대는, 나아가, 원대 내에 수선측으로부터 수납된다.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이르면,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원대의 제1 장대 유지 수단에 유지된다 (수납 상태).
이와 같이 하여, 이 장대의 연결 구조에서는, 연신 상태, 수납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서로 장대를 연결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원상대를 개재(介在)시키는 것에 의하여, 원대의 축 방향 길이에 줌 길이가 제약받지 않고, 자유도가 향상된다.
발명 2의 연결 구조는, 발명 1의 구조에 있어서, 제2 장대 유지 수단은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밑마개이다. 이 밑마개는 원상 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를 수납하여 유지하기 위해서 수선측으로 개구(開口)하고, 또한, 원상 상대의 장대 기단측으로의 통과를 규제하기 위해서 장대 기단측이 폐색(閉塞)하는 수납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원상 상대의 원상대로의 수납 조작 시에 있어서는, 원상 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밑마개의 개구로부터 그 수납 오목부에 수납되어 유지된다. 수납 오목부는 장대 기단측으로는 폐색하고 있어, 원상 상대가 밑마개를 통과하여 장대 기단측으로 돌출하여 버리는 일은 없다. 그리고, 원상 상대의 수납에 수반하여, 반드시 원상대도 원대 내에 수납되게 된다.
발명 3의 연결 구조는, 발명 1 또는 발명 2의 구조에 있어서, 제1 장대 유지 수단은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뒷마개이다. 이 뒷마개는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를 수납하여 유지하기 위해서 수선측으로 개구하는 수납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원상대의 원대로의 수납 조작 시에 있어서는,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뒷마개의 개구로부터 그 수납 오목부에 수납되어 유지된다.
발명 4의 연결 구조는, 발명 1 내지 발명 3 중 어느 하나의 구조에 있어서, 원상대의 축 방향 길이는 원대의 축 방향 길이보다 짧고, 원상 상대의 축 방향 길이는 원대의 축 방향 길이보다 길다.
이렇게 장대의 축 방향 길이를 설정하는 것으로, 수납 상태에 있어서 원상대가 원대 내에 완전히 수납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면에 릴(R)을 탈착할 수 있게 장착 가능한 릴 시트(6)를 가지는 원대(1)와, 원대(1)의 수선측에 차례로 뽑이식으로 연결되는 원상대(2), 원상 상대(3), 중대(4) 및 초릿대(5)를 가지고 있다. 이들 원대(1) 내지 초릿대(5)는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 등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로부터 형성되는 앞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모양 부재에 있어서, 원상대(2) 내지 초릿대(5)는 수선측으로부터 차례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부에 삽입되어 출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원상대(2) 내지 초릿대(5)를 수선측으로 뽑았을 때에는, 각각의 장대가 수선측에 위치하는 장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과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장대의 수선측 단부 내주면 간에 서로 감착하여, 수선측으로 뽑아 고정하고, 또한, 상호의 연결 고정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특히, 원상 상대(3) 내지 원대(1)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신 상태, 수납 상태의 어느 쪽의 상태에 있어서도, 서로 연결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원상 상대(3)의 수선측의 둘레면에는, 릴(R)로부터의 낚싯줄(L)을 장대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낚싯줄 도입구(7)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낚싯줄 도입구(7)를 축 방향으로 덮도록 낚싯줄 도입 가이드(8)가 장착되어 있다. 이 낚싯줄 도입구(7)로부터 도입되는 낚싯줄(L)은 원상 상대(3) 내지 초릿대(5)의 내부 낚싯줄 통로를 관통한다. 그리고, 초릿대(5)의 수선측 단부에 장착된 탑 가이드(9)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장대의 칸수를 5칸으로 하고 있지만, 장대의 칸수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원대(1) 내지 원상 상대(3)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대(1) 내지 원상 상대(3)는 각각 일정한 앞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筒狀體)이다. 3칸 장대에 있어서는, 원상 상대(3)가 가장 긴 축 방향 길이를 가진다. 원상대(2)가 가장 짧아 원대(1)의 축 방향 길이보다 짧다. 한 일례를 들자면, 원대(1)의 축 방향 길이를 50 내지 70cm라고 하면, 원상대(2)의 축 방향 길이는 20 내지 30cm 정도이고, 원상 상대(3)은 100 내지 140cm 정도의 축 방향 길이로 된다.
이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뒷마개(1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뒷마개(10)는 감착식·나착(螺着)식 등 공지한 수법으로 원대(1)에 장착한다. 나착식으로 할 때에는,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에 나사 홈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 뒷마개(10)는 그 수선측의 일부가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에 삽입되는 마개로서, 그 내부는 수선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수납 오목부로 되어 있다. 이 수납 오목부 내에 수선측으로부터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삽입되어 감착한다 (도면 2 참조).
이러한 뒷마개(10)는 전체를 고무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경질 합성 수지 등으로 뒷마개(10)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수납 오목부는 그 내주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감착 돌기를 복수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감착 돌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원상대(2)와의 고착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대(1)와 원상대(2)와는 이른바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원상대(2)가 원대(1)의 수선측으로 뽑힐 때에는, 원대(1)의 수선측 단부 내주면과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이 감착하고 있다 (도면 3, 4 참조).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밑마개(11)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밑마개(11)도 뒷마개(10)와 같이 감착식·나착식 등의 공지한 수법에 의하여 원상대(2)에 장착되어 있다. 나착식으로 할 때에는,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에 나사 홈을 형성하면 되는 점도 뒷마개(10)와 같다. 이 밑마개(11)도 그 수선측의 일부가 원상대(2)의 수선측 단부 내에 삽입되는 마개로서, 그 내부는 수선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수납 오목부이다. 밑마개(11)의 장대 기단측의 단면은 폐색되어 있고, 수납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오는 원상 상대(3)가, 밑마개(11)를 관통하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또한, 밑마개(1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장대 기단측 단면에 복수의 통기 구멍(11a)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통기 구멍(11a)을 수납 오목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원상대(2)로의 원상 상대(3)의 수납·원상대(2) 내지 원상 상대(3)의 뽑기 조작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이 밑마개(11)에 대해서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오목부의 내주면에 감착돌기(11a)를 복수 형성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상대(2)와 원상 상대(3)와는 이른바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원상 상대(3)가 원상대(2)의 수선측으로 뽑힐 때에는, 원상대(2)의 수선측 단부 내주면과 원상 상대(3)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이 감착하고 있다 (도면 4 참조).
이 원상 상대(3)의 소정 둘레면에는, 탈착 가능하게 보조 링(S)을 장착해도 무방하다 (도면 2 참조). 즉, 원상 상대(3)가 원대(1) 내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의 원대(1)의 수선측 단부에 발생하는 간극(間隙)을 메우고, 또한, 원상 상대(3)와 원대(1)와의 감착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원상 상대(3)의 소정 축 방향 위치의 둘레면에 고무제의 링 등을 장착해도 무방하다. 이 보조 링(S)은 접착식 또는 나합식 등 공지한 수법으로 원상 상대(3)의 둘레면에 고정한다. 보조 링(S)을 탈착식으로 하는 것은, 원상 상대(3)를 원대(1)의 장대 기단측에서 떼어내기 위함이다. 또한, 나아가, 원상 상대(3)의 타 위치의 둘레면 (원상 상대(3)가 원대(2) 내에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의 원상대(2)의 수선측 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도, 같은 보조 링(S)을 장착하고, 또는, 원상대(2)의 둘레면에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을 행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원대(1), 원상대(2), 원상 상대(3)에 있어서는, 원상 상대(3) 및 원상대(2)를 원대(1)의 수선측으로 완전히 뽑은 연신 상태 (도면 4 참조)와 원대(1)의 내부에 원상대(2), 원상 상대(3)를 완전히 수납한 수납 상태 (도면 2 참조)의 양 상태에 있어서 서로 장대를 연결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1)의 수선측으로 차례로 뽑힌 원상대(2)와 원상 상대(3)가, 각각의 장대 수선측 단부 외주면·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에서 감착하여 뽑혀 고정됨과 함께, 상호의 장대가 연결 고정된다.
연신 상태로부터, 원상 상대(3)를 원상대(2) 내로 수납하여 가면, 원상 상대(3)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밑마개(11)에 이르고, 원상 상대(3)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원상대(2)의 밑마개(11)의 수납 오목부에 유지된다 (도면 3 참조). 밑마개(11)의 수납 오목부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고, 원상 상대(3)를 더 장대 기단측으로 밀어 넣으면, 원상대(2)와 원상 상대(3)가 이어져 원대(1) 내에 삽입된다.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이르면,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원대의 뒷마개(10)에 유지된다 (수납 상태).
이상과 같이, 원대(1) 내지 원상 상대(3)에 있어서, 연신 상태, 수납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서로 장대를 연결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낚시 상황에 따라 낚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원상대(2)를 개재시키는 것으로, 원대(1)의 축 방향 길이에 줌 길이가 제약받는 일도 없기 때문에, 원상대(2)의 축 방향 길이를 적당히 설정하는 것으로, 임의의 줌 길이를 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뒷마개(20)와 밑마개(21)를 채용하고, 원대(1)과원상대(2)와의 상호의 감착을, 뒷마개(20)와 밑마개(21)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뒷마개(20)는 원대(1)의 장대 기단측에 나착하는 타입의 것이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수선측으로 개구하는 수납 오목부(20a)를 내부에 가진다. 한편, 밑마개(21)도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에 나착하는 타입의 것이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수선측으로 개구하는 수납 오목부(21a)를 가지지만, 나아가, 장대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감합웅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감합웅부(21b)는 장대 기단측을 향하여 약간 앞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기둥 모양 부분이다. 이 감합웅부(21b)가 뒷마개(20)의 수납 오목부(20a)에 수납되어 감착된다.
덧붙여, 밑마개(21)의 감합웅부(21b)와 뒷마개(20)의 수납 오목부(20a)와의 감착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감합 돌기를 수납 오목부(20a) 내에 형성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낚싯대에서는,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상황에 맞추어 낚시 조작을 할 수 있다. 이 때, 원대의 길이에 줌 길이가 제약받는 일도 없다.

Claims (4)

  1. 장대 기단(基端)측 단부에 제1 장대 유지 수단을 가지는 원대와,
    상기 원대의 수선측으로 상기 원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장대 기단측 단부에 제2 장대 유지 수단을 가지는 원상대와,
    상기 원상대의 수선측으로 상기 원상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는 원상 상대(元上 上竿)
    를 구비하는 장대의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장대 유지 수단은 상기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밑마개에 있어서, 상기 밑마개는 상기 원상 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를 수납하여 유지하기 위해서 수선측으로 개구(開口)하고, 또한, 상기 원상 상대의 장대 기단측으로의 통과를 규제하기 위하여 장대 기단측이 폐색(閉塞)하는 수납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장대의 연결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대 유지 수단은 상기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뒷마개에 있어서, 상기 뒷마개는 상기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를 수납하여 유지하기 위해서 수선측으로 개구하는 수납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장대의 연결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상대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원대의 축 방향 길이보다 짧고, 상기 원상 상대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원대의 축 방향 길이보다 긴 장대의 연결 구조.
KR1020030076593A 2002-11-06 2003-10-31 장대의 연결 구조 KR200400403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2353A JP4067092B2 (ja) 2002-11-06 2002-11-06 竿体の連結構造
JPJP-P-2002-00322353 2002-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351A true KR20040040351A (ko) 2004-05-12

Family

ID=3280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593A KR20040040351A (ko) 2002-11-06 2003-10-31 장대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67092B2 (ko)
KR (1) KR20040040351A (ko)
CN (1) CN100362914C (ko)
TW (1) TWI2753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39364A1 (en) * 2018-12-18 2022-02-10 Ctfi Internal line telescopic fishing r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7906B2 (ja) * 1998-05-15 2007-03-28 株式会社がまかつ 尻栓構造
JP2001128594A (ja) * 1999-11-09 2001-05-15 Shimano Inc 竿体の嵌合構造
JP4382237B2 (ja) * 2000-03-09 2009-12-09 株式会社シマノ 竿体の嵌合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39364A1 (en) * 2018-12-18 2022-02-10 Ctfi Internal line telescopic fishing r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2914C (zh) 2008-01-23
JP2004154041A (ja) 2004-06-03
CN1518865A (zh) 2004-08-11
TW200421973A (en) 2004-11-01
JP4067092B2 (ja) 2008-03-26
TWI275348B (en) 200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964Y1 (ko) 통형릴시트
KR101133909B1 (ko) 낚싯대
KR20040040351A (ko) 장대의 연결 구조
KR101003741B1 (ko) 낚싯대
JP4498790B2 (ja) 釣竿
KR20030097709A (ko) 낚싯대 및 이를 구성하는 장대의 제조방법
JP2007330107A (ja) 釣り竿
KR100998892B1 (ko) 낚싯대
KR100998891B1 (ko) 낚싯대
KR20030003007A (ko) 장대의 감합 구조
JP3977777B2 (ja) 釣竿
JP2587091B2 (ja) 釣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02340B2 (ja) 竿体の嵌合構造
JP4785101B2 (ja) 竿体の保持構造
JP4225535B2 (ja) 釣竿
JP4251625B2 (ja) 釣竿
KR100864064B1 (ko) 중통 낚싯대
JP4179603B2 (ja) 釣竿
JP4371533B2 (ja) 竿体の嵌合構造
JP3911170B2 (ja) 釣竿
JP2000295945A (ja) 竿体の嵌合構造
JP2001028973A (ja) 竿体の嵌合構造
JP2005102586A (ja) 釣竿
JP4029019B2 (ja) 中通し竿
JP4064231B2 (ja) 中通し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