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709A - 낚싯대 및 이를 구성하는 장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낚싯대 및 이를 구성하는 장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709A
KR20030097709A KR10-2003-0039961A KR20030039961A KR20030097709A KR 20030097709 A KR20030097709 A KR 20030097709A KR 20030039961 A KR20030039961 A KR 20030039961A KR 20030097709 A KR20030097709 A KR 2003009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ishing rod
repair
axia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862B1 (ko
Inventor
마츠모토키요히꼬
타니구치카즈마
타니가와쇼타로
시오타니유키노부
하라다타까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3009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7Parts immersed or impregnated in a matrix
    • B32B2305/076Prepre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어서, 그 길이 변화의 정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이 낚싯대는, 수선측 단부 내주면에 감합웅부(1a)를 갖추는 원대(1)와, 원대(1)에 수선측으로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선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 감합웅부(2a)를 갖추는 것과 함께, 수선측의 외주면에 제 2 감합웅부(2b)를 갖추는 원상대(2)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원상대(2)의 제 2 감합웅부(2b)의 수선측에 근접하는 외주면에는, 원대(1) 및 원상대(2)를 그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슬리브(15)가 연결된다.

Description

낚싯대 및 이를 구성하는 장대의 제조방법 { Fishing Ro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복수의 장대를 이른바 진출형식으로 연결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특정한 장대끼리를 수납상태, 연신(延伸)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서로 연결 고정 가능하여, 장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켜 낚시를 할 수 있도록 고안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켜 낚시를 할 수 있도록 낚싯대를 구성하기 위한 장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진출형식의 낚싯대는 복수의 통모양의 장대가 수선측의 장대부터 순차적으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낚시를 할 때에는 각 장대를 순차적으로 수선측에서부터 꺼내고 감합 고정하여 한 자루의 장대로서 이용한다. 한편, 수납시에는 수선측의 장대를 순차적으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에 수납하여 컴팩트한 상태로 되게 한다.
또한, 종래 진출형식의 낚싯대에는 장대 전체길이를 변화시켜 낚시를 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이 고안된 낚싯대는 예를 들면, 수선측 단부 내주면에 감합자부를 가지는 원대와,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제 1 감합웅부를 가지면서 긴 방향 중앙부근의 외주면에 제 2 감합웅부를 가지는 원상대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등 참조).
그리고, 이런 종류의 낚싯대에서는, 원대의 수선측에 연결되는 원상대가 수선측으로부터 꺼내진 상태 (이하 「연신상태」라고 한다)에서는, 감합자부를 제 1 감합웅부와 감착시키고, 원상대가 원대 내에 삽입된 상태 (이하 「수납상태」라고 한다)에서는, 감합자부를 제 2 감합웅부와 감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원대와 원상대는 「연신상태」, 「수납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서로 감합 고정이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켜 낚시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0-262189호 공보(제 1~ 제 2란, 도 1, 도 2)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낚싯대에 있어서 「연신상태」, 「수납상태」의 각 상태로 상호 변환할 때에는, 낚시꾼은 일반적으로 한 쪽 손으로 원대의 장대 기단측 혹은 릴 시트 부근을 쥐면서, 다른 편 손으로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의 수선측 부근을 쥐어, 원상대를 원대로부터 꺼내거나 혹은 수납한다. 이 때문에, 원상대의 꺼내지는 길이에는 제약이 발생한다.
우선, 제 1의 제약은 낚시꾼의 손 길이에 의한 제약이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상대(102)를 원대(101)로부터 꺼냈을 때의 「꺼내지는 길이」 (릴 시트 부근에서부터 연신상태에 있는 원상대(102)의 제 2 감합웅부(102b)의 수선측까지의 거리:도 19의(X)참조)를, 낚시꾼이 손을 뻗을 때의 거리 이상으로 길게 설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고안한 낚싯대는, 수납상태와 연신상태의 낚싯대 전체길이의 변화, 즉, 원상대를 원대로부터 꺼냈을 때의 「꺼내지는 길이」를 크게 설정하여, 상황에 따라 낚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수납상태와 연신상태의 낚싯대 전체길이 변화를 보다크게 할 수 있는 고안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제 2의 제약은 구조상의 제약이다.
즉,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하도록 한 이런 종류의 낚싯대에 있어서 「꺼내지는 길이」 (도 19의 (X))는, 일반적으로, 원대로부터 꺼내는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와 원상대의 수선측의 주면에 태경(太徑)화하여 형성되는 감합웅부 사이의 길이와 일치한다. 왜냐하면, 상술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와 이 감합웅부가 원대의 수선측 단부의 감합자부에 감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상의 제약은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꺼내지는 길이」가 제한을 피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연신상태에 있어도 원상대의 전부가 원대의 수선측에 노출하지 않도록, 원상대와 원대와의 감합부분을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원상대에 적용할 경우, 그 원상대의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의 영역은, 원대가 외부에 노출하는 일 없이 항상 원대 내에 위치하고, 수납상태에 있어서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와의 감착을 위한 것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영역은, 낚싯대의 강도나 강성(剛性) 등을 연출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낚싯대 전체 구부러지는 곡선· 휘어짐의 밸런스를 손상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어서, 그 길이 변화 정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전체도.
도 2는 도 1의 낚싯대의 원대(1)과 원상대(2)를 도시한 도.
도 3(a)는 도 1의 원대(1)과 원상대(2)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도
도 3(b)는 도 1의 원대(1)과 원상대(2)의 연신상태를 도시한 도.
도 4는 도 1의 낚싯대의 초릿대(5)를 도시한 도.
도 5는 도 4의 초릿대(5)의 중실장대(92)와 중공장대(93)의 연결부분의 단면 참고도.
도 6은 도 1의 초릿대(5) 중실장대(92)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확대도.
도 7은 도 1의 낚싯대에 이용하는 탑 커버(20)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VIII-VIII 단면도.
도 9는 탑 커버(20)의 주요부 평면도.
도 10은 각 장대를 수납하여 탑 커버(20)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에 있어서,
도 11(a)는 원대(51)과 원상대(52)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도,
도 11(b)는 원대(51)과 원상대(52)의 연신상태를 도시한 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에 있어서, 원대(51)과 원상대(52)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도,
도 12(b)는 원대(51)과 원상대(52)의 연신상태를 도시한 도.
도 13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원대(71)과 원상대(72)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도.
도 14는 도 13의 원대(71)과 원상대(72)의 연신상태를 도시한 도.
도 15는 원상대(72)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릿대를 도시한 도.
도 17은 도 16의 초릿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도 18은 다른 초릿대(80)을 도시한 도.
도 19 종래 낚싯대의 일례를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1, 61: 원대1a: 감합자부
2, 52, 62: 원상대2a: 제 1 감합웅부
2b: 제 2 감합웅부`3: 제 1중대
4: 제 2중대5, 80: 초릿대
6: 릴 시트7: 저전
9: 고정 가이드10: 슬라이드 가이드
15: 보조 슬리브16: 슬리브용 가이드
20: 탑 커버21: 장착 기부
22: 가이드 보호부23: 보관 유지부
25: 가이드 지지부재27: 고정 밴드
29: 돌기30: 관통공
31: 기부32: 삽입부
40: 프레임41: 가이드 링
42: 환상부91, 96: 장대
92, 97: 중실장대93, 98: 연결부
94, 99: 수납부95: 고무계 도료
100: 심재P1: 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
P2: 축방향 프리프레그 시트
P2a: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
P2b: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
P3: 보조 프리프레그 시트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는 통상체인 복수의 장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로서, 수선측 단부 내주면에 감합자부를 가지는 원대와, 원대 내에 수선측으로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 감합웅부를 갖춤과 동시에, 수선측의 외주면에 제 2 감합웅부를 가지는 원상대와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의 수선측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수선측 단부가 연결되어, 원대 및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슬리브를 갖춘다.
원상대가 원대의 수선측에 완전하게 꺼내진 연신상태와, 원상대가 원대의 내부에 완전하게 수납된 수납상태에 있어서, 이 원상대와 원대와는 서로 연결 고정 가능하고, 각 상태에 있어서 구체적 모양은 이하와 같다.
우선, 연신상태에 있어서, 원대의 감합자부와 원상대의 제 1 감합웅부가 서로 감착한다. 이러한 감합부분이 원상대의 원대에 대한 이탈방지가 되는 것과 동시에, 상호의 장대를 연결 고정한다. 한편, 수납상태에 있어서는, 원대의 감합자부와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가 서로 감착한다. 그리고, 상호의 장대가 연결 고정된다.
이러한 연신상태 및 수납상태의 상호 변환시에는, 낚시꾼은, 한 쪽 손으로 릴 시트 부근을 쥐면서, 다른 편 손으로 보조 슬리브의 장대 기단측 외주면을 쥐어 해당 조작을 행한다. 해당 보조 슬리브가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낚시꾼은 양손의 간격을 과도하게 넓히는 일 없이 해당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상대를 원대로부터 꺼냈을 때의 「꺼내지는 길이」를, 보조 슬리브의 축방향 길이분만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낚싯대는, 통상체인 복수의 장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로서, 축방향 중앙부근의 내주면에 제 1 감합자부를 갖춤과 함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내주면에 제 2 감합자부를 가지는 원대와 원대 내에 수선측을 향하여 출입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감합웅부를 가지는 원상대와 원상대의 외주면에 그 수선측 단부가 연결되어 원대 및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슬리브를 갖추고 있다.
이 원상대와 원대는, 감합웅부가 제 1 감합자부에 감착하는 연신상태와 감합웅부가 상기 제 2 감합자부에 감착하는 수납상태를 가진다. 또한, 보조 슬리브는, 수납상태로 원대 및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하고 있어, 연신상태로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한편 장대 기단측 단부에 있어서 원대의 수선측 단부를 가리고 있다.
원대의 제 1 감합자부에 원상대의 감합웅부가 서로 감착한 연신상태에서는, 감합부분이 원상대의 원대에 대한 이탈방지가 되는 것과 동시에, 상호의 장대를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상태로, 보조 슬리브는 원상대의 일부를 내부에 수납함과 동시에, 원대의 수선측 단부도 커버 한다. 원대와 원상대의 외경차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연신상태에서의 원대의 수선측 단부와 원상대 주면과의 단차를 보조 슬리브가 덮어서 가림으로써, 그 틈새로 쓰레기가 들어가는 것을 막아 외형의 나쁨 등도 방지한다.
한편, 원대의 제 2 감합자부와 원상대의 감합웅부가 서로 감착한 수납상태에서도, 상호의 장대가 연결 고정된다. 이 상태로, 보조 슬리브는 원상대와 함께 원대도 내부에 수납한다.
이러한 연신상태 및 수납상태의 상호 변환 시에는, 낚시꾼은, 한쪽 손으로 릴 시트 부근을 쥐면서, 다른 편 손으로 보조 슬리브의 외주면을 쥐어 해당 조작을 행한다. 해당 보조 슬리브가 원상대 주면에 장대 기단측으로 늘어나고 있어, 낚시꾼은 양손의 간격을 과도하게 넓히는 일 없이 해당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상대를 원대로부터 꺼냈을 때 「꺼내지는 길이」를, 임의의 보조 슬리브의 축방향 길이에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낚싯대는, 통상체인 복수의 장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로서, 수선측 단부 내주면에 감합자부를 가지는 원대와, 원대 내에 수선측을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감합웅부, 및 축방향 중간의 외주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부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제 2 감합웅부를 가지는 원상대와,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의 수선측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수선측 단부가 연결되어, 원대 및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원상대의 수선측 단부에서 제 2 감합웅부까지의 영역은, 제 2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 영역과 비교하여 두꺼운 한편 휘는 강성이 높다. 원상대와 원대는, 감합웅부가 제 1 감합자부에 감착하는 연신상태와 감합웅부가 제 2 감합자부에 감착하는 수납상태를 갖는다. 그리고, 보조 슬리브는, 수납상태로 원대 및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하고 있어, 연신상태로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한편 장대 기단측 단부에 있어 원대의 수선측 단부를 가리고 있다.
이 원상대는, 원대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 1 감합웅부와 제 2 감합웅부가 각각 수납상태와 연신상태로 원대에 감착한다. 이 경우, 제 2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의 영역은, 원대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 없이 항상 원대 내에 위치하여, 수납상태에 있어서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와의 감착을 위한 것으로만 이용되는 부분이 된다. 이 영역은, 수선측 영역과 비교하여 얇은 한편 휘는 강성이 낮게 되어 있어, 낚싯대 전체 휘어짐의 밸런스를 손상하는 일이 없다.
덧붙여 원상대의 수선측 단부에서 제 2 감합웅부까지의 영역에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지고 있어,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의 영역은, 그 수선측 단부에서 제 2 감합웅부까지 영역과 비교하여 작은 지름이 되도록 설정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설정한 경우, 연신상태 및 수납상태의 어느 것인가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어 낚싯대 전체 강성의 변화 내지 밸런스를 연출하는 부분인 수선측 단부에서 제 2 감합웅부까지의 영역은, 일반적인 앞 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부분이 된다. 한편, 제 2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의 영역은, 수선측 단부에서 제 2 감합웅부까지의 영역과 비교하여 작은 지름으로 하여 가급적 그 낚싯대 전체 밸런스에의 기여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의 영역은, 수선측 단부에서 제 2 감합웅부까지의 영역과 비교하여 한단 작은 지름이 되도록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소정의 영역을 한단 작은 지름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 영역의 낚싯대 전체 밸런스의 기여를 최소한도로 억제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낚싯대는, 상술한 원대 및 원상대에 더하여, 수선측을 향하여 출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대와, 중대 내에 수선측을 향하여 출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초릿대를 더 갖추고 있다.
이 초릿대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중실장대와, 중실장대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수선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가 수납부에 삽입되어 접착 고정되어 있는 중공장대로 이루어진다. 이 중실장대의 연결부는, 장대 기단측 만큼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행해진 테이퍼부와 테이퍼부의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축방향에 있어 지름이 변화하지 않는 연신부를 가져, 중실장대의 본체부와 연결부의 테이퍼부의 경계 및 / 또는 연신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바깥쪽을 향하여 부풀어 오른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의 수선측 단부 내면은 테이퍼부에 일치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낚싯대의 초릿대는, 중공장대 내에 삽입되어 있는 중실장대의 연결부에 있어서, 소정의 부분을 곡면화하고 있다. 채비에 물고기가 걸리는 등에 의해 낚싯대 전체가 크게 휘어져, 초릿대에 있어서도, 중실장대와 중공장대가 크게 휘어, 연결부와 중공장대의 수납부의 내주면의 접촉부분에 큰 부하가 걸려도, 연결부 지름의 변화하는 부분으로서, 외측에 돌출하는 부분이 곡면화 되어있어, 이러한 부분으로부터 수납부 혹은 연결부의 파손이 진행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덧붙여 연결부의 연신부에는, 테이퍼부보다 완만하게 장대 기단측 만큼 소경화하는 테이퍼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테이퍼를 행할 경우, 해당 낚싯대의 초릿대에서는, 연신부를 테이퍼면으로서 중공장대 내주면으로의 접촉을 가급적 억제하여 중실장대와 중공장대의 연결력은 오로지 테이퍼부에 있는 접착에 맡기게 된다. 연신부의 중공장대 내에서의 자유도를 어느 정도 확보하는 것으로, 수납부 혹은 연결부에 부하가 걸렸을 때 양자의 파손 진행을 억제한다.
또한 이 중실장대는 연결부 부근에 있어서 장대 기단측 단면으로부터 수선측 방향을 향하여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중실장대의 연결부 부근의 공간이, 중실장대의 자유도를 어느 정도 확보하여, 수납부 혹은 연결부에 부하가 걸렸을 때 양자의 파손 진행을 억제한다.
덧붙여 이런 종류의 낚싯대의 초릿대에서는, 중실장대와 중공장대와의 연결부분의 주면을 고무계 도료로 코팅하여도 무방하다. 이 고무계 도료가,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중실장대와 중공장대와의 연결부분, 특히, 양 장대 연결부분의 주면의 미세한 어긋남 등을 흡수하여, 표면 도료층에서 크랙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보조 슬리브의 주면에 릴을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를 배치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낚싯대는, 중대 및 초릿대의 주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와 보조 슬리브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리브용 가이드, 각 장대를 수납할 때에 이용되는 탑 커버를 더 갖추고 있다.
이 탑 커버는, 초릿대 및 중대를 원상대 내에 수납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원상대의 수선측 단부 주면에 당접되는 장착 기부와 장착 기부의 수선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둘러싸서 보관 유지하는 가이드 보호부와 장착 기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설치되어 슬리브용 가이드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낚싯대가 수납상태가 되었을 때, 각 슬라이드 가이드는 낚싯대의 축방향을 따라 각 장대의 수선측에 정렬된다. 이 상태로, 장착 기부가 원상대의 선단부 주면을 따라 배치되면, 각 슬라이드 가이드는 가이드 보호부에 의해 둘러쌓여 보관 유지된다. 또한, 장착 기부가 원상대의 선단부 주면에 배치되면, 슬리브용 가이드도 수선측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보관 유지부가 슬리브용 가이드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슬리브용 가이드는, 낚싯대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위치를 결정하여 보관 유지되게 된다.
또한, 슬리브용 가이드는 보조 슬리브의 주면에 서로 끼워지는 환상부를 갖춘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는 가이드 링을 가지고, 보관 유지부는 원상대의 수선측 주면과 환상부 내주면과의 사이에 압입(壓入)되는 삽입부분을 가지는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슬리브용 가이드는 그 프레임의 원환부가 보조 슬리브에 서로 끼워지는 것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고 보조 슬리브에 계합된다.
낚싯대가 수납상태가 되었을 때, 슬리브용 가이드는 보조 슬리브의 수선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원상대의 수선측 주면에 이른다. 원상대는 보조 슬리브보다도 그 외지름이 후단부의 외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슬리브용 가이드가 선단부측에게 슬라이드 이동되면, 원환부의 내주면과 원상대 주면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 틈새에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이것에 의해 슬리브용 가이드가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되어 탑 커버에 장착되게 된다.
덧붙여 보관 유지부의 삽입부분은 탄성고무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에서는 이하와 같이 다른 초릿대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이 다른 초릿대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중실장대와 중실장대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수선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가 수납부에 삽입되어 접착 고정되어 있는 중공장대로 이루어진다.
이 중실장대의 연결부는, 장대 기단측정도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행해진 테이퍼부와 테이퍼부의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축방향에 있어 지름이 변화하지 않는 연신부를 가지고 있다. 한편, 중공장대의 수선측의 내면은, 수선측 단부로부터 형성되는 테이퍼부에 합치하는 장대 기단측정도 소경화하는 제 1 테이퍼면과 제 1 테이퍼면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는 연신부보다 축방향 길이가 짧은 축방향 범위에 있어 지름이 변화하지 않는 스트레이트면과 스트레이트면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는 장대 기단측정도 태경화하는 제 2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낚싯대의 초릿대에서는, 중공장대 내에 삽입되어 있는 중 실장대의 연결부가, 이하와 같이 수납부에 당접하고 있다. 우선, 연결부의 테이퍼부는 수납부의 제 1 테이퍼면에 당접하고 있다. 연결부의 연신부는 수납부의 스트레이트면에 당접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의 연신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는 스트레이트면에서 장대 기단측으로 밀려나와 수납부의 제 2 테이퍼면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채비에 물고기가 걸리는 등으로 낚싯대 전체가 크게 휘어, 초릿대에 있어서도, 중실장대와 중공장대가 크게 휘어 연결부와 중공장대의 수납부의 내주면과의 접촉부분에 큰 부하가 걸려도, 연결부의 장대 기단측 단테두리는 수납부에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연결부의 장대 기단측 단테두리에 응력이 집중하여, 연결부의 장대 기단측 단테두리로부터 수납부 혹은 연결부의 파손이 진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이 가지는 방법은,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한다. 심재(芯材)에, 심재의 주방향으로 강화섬유가 배향되는 주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를 1 프라이 권회하는 공정. 주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의 외주에, 심재의 축방향으로 배향되는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를 2~4 프라이 권회하는 공정.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 외주의 소정의 축방향 위치에 보조용 프리프레그 소재를 부분적으로 권회하는 공정. 이러한 프리프레그를 소성(燒成)하여, 심재를 탈심(脫芯)하는 공정.
그리고, 이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는, 수선측에 배치되는 고탄성율의 강화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와 장대 기단측에 배치되는 저탄성률의 강화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는 수선측 심재의 주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변을 단변, 장대 기단측의 변을 장변으로 하는 대략 사다리꼴형태이다. 한편, 제 2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는 수선측, 장대 기단측의 상기 심재의 주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변을 대략 동일하게 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인 한편 변의 길이는 제 1 프리프레그 소재의 단변보다 짧다. 게다가 보조용 프리프레그는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와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가 연결되는 영역에서, 그 외주에 권회(卷回)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보조용 프리프레그가 감합웅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은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에 의해 강성이 낮게 억제된 부분으로 구성된다. 한편, 감합웅부에서 수선측은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에 의해 강성이 높게 구성되는 것이 된다. 또한, 내층으로서 위치하게 되는 주방향 프리프레그 소재가 장대의 축방향 전체에 있어 필요한 부러지는 강도를 담보하고 있다.
또한, 다른 제조방법에서는,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의 수선측 변은 3 프라이분, 장대 기단측의 변은 4 프라이분이고,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의 양변은 각각 2 프라이분이다.
이와 같이 해서 제조되는 장대는 수선측 단부로부터 서서히 두껍게 강성도 커져, 축방향 도중부터 강성을 낮게 억제된 것이 된다.
다른 제조방법에서는,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와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는 그 연결부분에 있어 심재의 축방향으로 사행 하도록 재단되어 이 사행하는 부분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자를 사행시킨 상태로 연결하면, 장대의 축방향에서의 강성의 변화를 가급적 작게 억제할 수 있어 파단 등이 좀처럼 발생하지 않는다.
또 다른 제조방법에서는, 주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와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가 미리 적층되어 있어 심재에 주방향 프리프레그 소재가 접하도록, 이러한 적층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심재에 권회한다.
미리 주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와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를 적층시켜 둔 것으로, 권회공정이 간략화되어 또한, 2종의 프리프레그 소재를 연결하는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 연결의 안정성도 향상한다.
<실시예>
[제 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낚싯대 전체 구조)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면에 릴 (도시하지 않음)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6)을 가지는 원대(1)과 원대(1)의 수선측에 순차 진출형식으로 연결되는, 원상대(2), 제 1중대(3), 제 2중대(4) 및 초릿대(5)를 가지고 있다. 이들 원대(1)~초릿대(5)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 섬유 등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소재로 형성되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상 부재이다. 이들은 이른바 진출형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원상대(2)~초릿대(5)는 수선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부에 삽입되어 출납이 가능하다. 또한, 원상대(2)에는 보조 슬리브(15)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원상대(2)~초릿대(5)를 수선측으로 꺼냈을 때에는, 각각의 장대가, 수선측에 위치하는 장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과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장대의 수선측 단부 내주면이 서로 감착하여, 수선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상호 연결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로, 낚시꾼은 이 낚싯대를 이용하여 낚시를 행하게 된다. 한편, 낚시를 끝냈을 때에는, 초릿대(5)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로 장대를 수납하여 컴팩트한 상태가 되게 한다. 게다가, 특히, 원상대(2)와 원대(1)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연신상태, 수납상태 어느 쪽 상태에 있어서도, 서로 연결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낚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중대(3), 제 2중대(4), 초릿대(5)에는, 가장 수선측에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는 고정 가이드(9)와, 그 장대 기단측의 주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편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계지 가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10)이 필요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초릿대(5)에 있어서 고정 가이드(9)는 탑 가이드이다. 슬라이드 가이드(10)은, 소경화하는 각 장대의 주면에 있어서 소정의 축방향 위치에서 장대의 주면에 감착하고 또한, 수선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슬리브(15)의 주면에도 슬리브용 가이드(16)이 배치된다. 슬리브용 가이드(16)도 상술한 슬라이드 가이드(10)과 같은 모양으로 보조 슬리브(15)의 주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계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나아가 보충 슬리브(15)로부터 수선측으로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대의 갯수를 5개로 하고 있지만, 장대의 수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대(1)과 원상대(2)에 대하여)
다음으로, 원대(1)과 원상대(2)의 연결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대(1)및 원상대(2)는 각각 일정하게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이다.
이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탈착 가능하도록 저전(7)이 장착되어 있다. 원대(1)은 내부에 원상대(2)를 수납할 수 있는 통상체이고, 그 수선측 단부 외주 둘레에는 필요에 따라 보호용의 금속 링이 장착된다. 또한, 수선측 단부의 내주면이 감합자부(1a)가 되어 있다. 이 감합자부(1a)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필요에 따라 소경화하여 형성하는 부분이다.
한편, 원상대(2)는,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감합웅부(2a)와 그 수선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감합웅부(2b)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각 부분은, 원상대(2)의 통상 부분과 일체적으로 이하와 같이 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원상대(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소섬유등의 강화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시켜 이루어지는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통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통상체를 제조할 때에, 필요한 소정의 개소에 보조용 프리프레그 소재를 통상체 형성용의 프리프레그 소재 외주면에 감아 두어 이들 각 소재를 전체로 하여 소성한다. 덧붙여, 이 때 이용하는 보조용 프리프레그는 장대의 축방향으로 강화섬유가 배향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낚싯대의 원대(1)과 원상대(2)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원상대(2)를 원대(1)의 수선측으로 꺼낸 연신상태 (도 3(b) 참조)와, 원상대(2)를 원대(1)내에 수납한 수납상태 (도 3(a) 참조)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서로 연결 고정 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슬리브(15)는, 원대(1)보다 큰 지름의 통모양 부재이다. 원대(1) 등의 각 장대와 같은 모양으로 소정의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형성하거나 경질 합성수지 혹은 금속 등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보조 슬리브(15)는 원상대(2)의 제 2 감합웅부(2b)의 수선측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수선측 단부가 연결되어, 원대(1) 및 원상대(2)의 제 2 감합웅부(2b)에서 장대 기단측을 그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장대 기단측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 보조 슬리브(15)를 원상대(2)에 고정하는 방법은 공지한 방법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 슬리브(15)를 접착 등에 의해 원상대(2)의 주면에 고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원상대(2)의 소정 위치의 주면에 암나사 부분을 형성하여, 보조 슬리브(15)를 나착(螺着)시키는 수법을 이용하여, 보조 슬리브(15)를 원상대(2)에서 탈착 가능하게 해도 무방하다.
덧붙여, 이 보조 슬리브(15)의 축방향 길이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적어도 원대(1)의 수선측 단부에서 릴 시트(6)에 이르는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그외주면에는 사용자가 꼭 쥐기 쉽게 미끄럼방지용의 요철을 마련하거나, 우레탄 고무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립을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보조 슬리브(15)상에 배치되는 슬리브용 가이드(16)은, 다리를 구성하는 프레임(40)과 가이드 링(41)을 갖추고 있다. 프레임(40)은, 환상부(42)를 갖추고, 이 환상부(42)가 보조 슬리브(15)의 외측에 끼워넣어지고 있다 (도 10 참조).
환상부(42)의 내경 치수는, 보조 슬리브(15)의 소정 축방향 위치의 외경 치수로 대응되어 있다. 슬리브용 가이드(16)이 보조 슬리브(15)상의 소정 위치에 슬라이드 되는 것에 따라, 환상부(42)의 내경과 보조 슬리브(15)의 외경과의 관계 (끼워넣은)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슬리브용 가이드(16)은 수선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원상대(2)와 원대(1)의 조작에 대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낚싯대에서는 초릿대(5)에서 순차적으로 각 장대를 수선측으로 꺼내 한 자루의 긴 장대로 만들어 낚시를 행한다. 낚시를 끝낸 후에는, 초릿대(5)에서 순차적으로 각 장대를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부에 수납하여 컴팩트한 상태가 되게 한다. 나아가 원상대(2)가 원대(1)의 수선측으로 완전하게 꺼내진 상태 (연신상태)와 원상대(2)가 원대(1)의 내부에 완전하게 수납된 상태 (수납상태)에 있어서, 이 원상대(2)와 원대(1)은 서로 연결 고정 가능하고,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낚시를 할 수 있다. 즉, 5개의 장대 모두를 편 상태와 4개만 편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낚시질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각 상태에 있어서의구체적 모양은 이하와 같다.
연신상태에 있어서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대(1)의 감합자부(1a)와 원상대(2)의 제 1 감합웅부(2a)가 서로 감착한다. 한편, 수납상태에 있어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대(1)의 감합자부(1a)와 원상대(2)의 제 2 감합웅부(2b)가 서로 감착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신상태 및 수납상태의 상호 변환 시에는, 낚시꾼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 손으로 릴 시트 부근 등을 꼭 쥐면서, 다른 편 손으로 보조 슬리브(15)의 장대 기단측 외주면을 쥐어, 원상대(2)의 출납 조작을 행한다. 이 보조 슬리브(15)가 원상대(2)의 제 2 감합웅부(2b)에서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낚시꾼은 양손의 간격을 과도하게 넓히는 일 없이, 원상대(2)의 출납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상대(2)를 원대(1)로부터 꺼냈을 때의 「꺼내지는 길이」를, 보조 슬리브(15)의 축방향 길이 분만 크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릿대(5)에 대하여)
다음으로, 초릿대(5)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릿대(5)는 수선측 중실장대(92)와 장대 기단측의 중공장대(91)을 연결하고 접착 고정하여 한 자루의 장대로 된 것이다. 초릿대(5)에서는 그 수선측 단부 (즉, 중실장대(92)의 수선측 단부)에는 상술한 고정 가이드(9) (탑 가이드)가 장착되어 있어 그 장대 기단측 단부 (즉, 중공장대(91)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다른 장대와 연결하기 위한 감착부분(91a)가 형성된다. 또한, 축방향으로 간격을 멀리하여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10)도장착되어 있다.
중실장대(92)는, 전체가 수선측만큼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행해진 막대형·중실의 솔리드체이다. 예를 들면, 탄소섬유를 축방향으로 혼합하고 열강화성수지를 함침시킨 탄소섬유 강화수지를 가압 가열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중실장대(92)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소경으로 연결부(9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93)은, 장대 기단측정도 급격하게 소경화하는 역테이퍼부(X1)과 그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축방향에 있어 지름이 변화하지 않는 연신부(Y1)와의 2단계 구조가 되어 있다 (도 6 참조). 예를 들어, 하나의 예를 나타내면, 중실장대(92)의 최대 외경은 2.10mm정도로 한다. 그리고, 역테이퍼부(X1)의 그 테이퍼율은 50/1000 정도로 설정된다. 역테이퍼부(X1)의 축방향 길이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10mm 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무방하다. 연신부(Y1)은 축방향에 있어 지름의 변화가 없는 혹은 대부분 지름의 변화가 인정되지 않는 부분이다. 연신부(Y1)의 외경은 1.55 ~ 1.58mm 정도로 하여, 그 축방향 길이도 상술의 역테이퍼부(X)와 같게 10mm 정도의 길이 혹은 그 이상의 길이 (예를 들면, 15mm)로 하는 것이 무방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연결부(93)에 있어서, 중실장대(92)의 연결부(93) 이외의 부분 (본체부)와 연결부(93)의 역테이퍼부(X1)과의 경계(P1)과 연신부(Y1)의 장대 기단측 단부(P2)가 각각 바깥쪽으로 부풀어 오른 곡면 (R면)이 되어 있다. 이 곡면은 연결부(93)을 형성한 후에 연마 등을 하여 형성하면 충분하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P1), (P2) 어느 쪽에 있어서도 곡면화를 행하고 있지만어느 쪽인가 임의의 한편만을 곡면화해도 무방하다.
한편, 중공장대(91)은 전체로서 수선측만큼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행해진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모양 부재이다. 탄소섬유 강화수지 등의 소재를 소성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선측 단부의 내주가 상술한 연결부(93)을 받는 수납부(94)로 되어 있다. 이 수납부(94)는, 상술한 연결부(93)의 역테이퍼부(X1) 및 연신부(Y1)에 대응하도록 그 내경이 설정되어 2단 테이퍼 구조가 된다. 이 수납부(94)는 리머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그 내경은, 연신부(Y1)의 외경 1.55 ~ 1.58mm 정도에 대해 약간 큰 1.57 ~ 1.60mm 정도로 설정한다. 접착제를 틈새에 개재 시키기 때문이다.
이 중실장대(92)와 중공장대(91)은, 연결부(93)을 수납부(94)로 수선측으로부터 삽입한 다음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실장대(92)와 중공장대(91)과의 경계면부분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로, 고무계 도료(95)가 그 양 장대의 주면에 도포된다. 고무계 도료(95)의 도포 후에는, 나아가 초릿대(5)의 주면 전체에 주면 도장을 하여, 중실장대(92)와 중공장대(91)과의 연결부분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초릿대(5)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공장대(91)내에 삽입되어 있는 중실장대(92)의 연결부(93)에 있어서, 소정의 부분을 곡면화하고 있다. 채비에 물고기가 걸리는 등으로 낚싯대 전체가 크게 휘어져, 초릿대(5)에 있어서도, 중실장대(92)와 중공장대(91)이 크게 휘어, 연결부(93)과 중공장대(91)의 수납부(94) 내주면과의 접촉부분에 큰 부하가 걸려도, 연결부(93) 지름의 변화하는 부분에 있어, 외측에 돌출하는 부분이 곡면화 되어 있어 이러한 부분에서 수납부(94) 혹은 연결부(93)의 파손이 진행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특수한 초릿대(5)를 이용하고 있지만, 그 외의 일반적인 초릿대(5)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탑 커버(20)에 대하여)
 계속해서 본 발명의 낚싯대에 있어, 각 장대를 컴팩트하게 수납한 상태를 설명한다.
도 7~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싯대를 구성하는 각 장대를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에 수납한 상태로, 원상대(2)의 수선측에 탑 커버(20)이 장착된다 (특히, 도 10 참조). 이 탑 커버(20)은,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 및 각종의 낚시줄 가이드 (슬라이드 가이드(10)등)를 대략 위치를 결정하는 상태로 보관 유지하여, 반송 시 등에 있어서의 낚시줄 가이드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탑 커버(20)은, 장착 기부(21)과 가이드 보호부(22)와 보관 유지부(23)을 갖추고 있다. 장착 기부(21)과 가이드 보호부(22)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 기부(21)은, 탑 커버(20)이 낚싯대에 장착될 때, 각 장대가 수납된 원상대(2)의 수선측 주면에 당접하도록 배치된다. 이 장착 기부(21)은 곧은 판 모양에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이 원상대(2)의 선단부 주면의 축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또한, 장착 기부(21)의 내면(24)는, 만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내면(24)의 곡율 반경은, 낚싯대의 선단부의 외경 치수로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기부(21)은 안정된 상태로 원상대(2)의 주면에 접촉한다.
가이드 보호부(2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보호부(22)는, 장착 기부(21)이 원상대(2)의 선단부 주면에 장착된 상태로, 각 낚시줄 가이드 (슬라이드 가이드(10)이나 고정 가이드(9))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보호부(22)는 가이드 지지부재(25)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 지지부재(25)는, 가늘고 긴 막대모양(針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지지부재(25)는, 가이드 보호부(22)의 저면에 이른바 편지(片持)형으로 고정되어 있어 가이드 보호부(22)의 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가이드 지지부재(25)는 예를 들면, 수지 혹은 굴곡 가능한 금속선 등에 의해 구성된다. 가이드 지지부재(25)는, 각 낚시줄 가이드에 관통되도록 되어 있어 가이드 지지부재(25)가 관통되는 것에 따라, 각 낚시줄 가이드는, 대략 위치를 결정하는 상태로 보관 유지된다. 덧붙여 가이드 지지부재(25)의 선단부에는 작은구멍(26)이 설치되어 있어 낚시줄이 각 낚시줄 가이드에 관통될 때의 이른바 실의 통로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착 기부(21)은, 나아가 고정 밴드(27)을 가지고 있다. 이 고정 밴드(27)은, 예를 들면 고무에 의하여 구성되어 엷은 살색 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밴드(27)은, 그 기단부가 장착 기부(21)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그 선단부에는 관통공(3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장착 기부(21)의 외면(28)에는, 돌기(29)가 돌설(突設)되어 있다.
이 고정 밴드(27)은 장착 기부(21)이 낚싯대의 선단부 주면을 따른 상태로 양자로 돌려 감아져, 고정 밴드(27)의 상기 관통공(30)으로 상기 돌기(29)가 끼워넣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장착 기부(21)은 낚싯대에 묶여 확실히 고정된다.
보관 유지부(23)은, 예를 들어 고무에 의하여 구성된다. 무엇보다, 보관 유지부(23)을 구성하는 재료는 고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지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다만, 보관 유지부(23)은, 고무등의 탄성이 많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관 유지부(23)은, 전체로서 가늘고 긴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기부(31)과 삽입부(32) (삽입부재)를 갖추고 있다.
기부(31)은, 상기 장착 기부(21)의 내면(24)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기부(31)은, 예를 들면,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하여 장착 기부(21)에 고착되어 있다.
삽입부(32)는, 본 실시예에서는 기부(3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기부(31)에 연속하여 장착 기부(21)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삽입부(32)의 선단부의 두께 치수(d)는, 소정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어 낚싯대의 사양에 따라 적당하게 1.5mm ~ 6.0mm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삽입부(32)는, 이른바 쐐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삽입부(32)의 아래쪽 면(33)은, 표면(34)에 대해서 경사하고 있어, 이것에 의하여, 삽입부(32)의 두께 치수는, 선단부로부터 기부(31) 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덧붙여 삽입부(32)의 최대 두께 치수는, 3mm ~ 8mm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덧붙여 이 탑 커버(20)에서는, 삽입부(32)는 기부(3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삽입부(32)가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기부(31)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 경우, 삽입부(32)는 고무등의 탄성이 많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 커버(20)의 장착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낚싯대의 각 장대를 수납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이 탑 커버(20)을 원상대(2)로 장착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를 끝낸 사용자는, 초릿대(5), 제 2중대(4), 제 1중대(3)의 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가이드(10)을 순차적으로 수선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다음, 수선측의 장대로부터 원상대(2)까지를 순차적으로 원대(1)내에 수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탑 커버(20)의 장착 기부(21)을 원상대(2)의 수선측 주면을 따라 당접시키면서 가이드 보호부(22)내에 초릿대(5)등을 수납한다. 또한 사용자는 가이드 지지부재(25)로 각 낚시줄 가이드 (고정 가이드(9)및 슬라이드 가이드(10))를 관통시킨다.
나아가 사용자는 보조 슬리브(15)상의 슬리브용 가이드(16)을 수선측에 슬라이드 이동시켜, 원상대(2)의 주면으로 슬리브용 가이드(16)을 이끈다. 슬리브용 가이드(16)의 환상부(52)의 내주면과 원상대(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지름의 차이로부터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 틈새에 보관 유지부(23)이 계합한다. 즉, 슬리브용 가이드(16)은, 보관 유지부(23)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어 보관유지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낚싯대 전체의 일반적인 구조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같고,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원대(51)과 원상대(52)는 연신상태·수납상태 어느 쪽에 있어서도 서로 연결 고정 가능하다.
이 원대(51)의 주면에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릴 시트(6)이 배치된다. 또한,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끝마개(7)이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됨과 함께, 이 바닥마개(7)의 수선측에 인접하여 원대(51)의 내부에 스톱퍼 링(53) (제 2 감합자부에 상당한다)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톱퍼 링(53)은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통형부재이고, 내주면에 지름 내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가 주방향으로 간격을 멀리하여 축방향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 스톱퍼 링(53)은 원대(51)의 장대 기단측 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예를 들면, 접착제등으로 고정된다. 필요에 따라서 떼어냄이 가능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 돌기에 후술하는 원상대(52)의 감합웅부(52a)가 수선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감착한다 (도 11(b) 참조).
또한, 원대(1)의 축방향 중앙부근의 내주면도, 후술하는 원상대(52)의 감합웅부(52a)가 감착하는 부분이고, 제 1 감합자부(51a)가 되어 있다 (도 11(a) 참조). 제 1 감합자부(21a)는, 다른 부분과는 별도로 내경을 소경화시켜도 무방하지만, 원대(51)의 테이퍼와 후술하는 원상대(52) 감합웅부의 외경과의 관계에 의하여, 원대(51)의 소정의 축방향 위치의 내주면에 감착할 수 있도록 해도 무방하다.이 제 1 감합자부(51a)와 스톱퍼 링(53)의 축방향 거리가 「꺼내지는 길이」에 상당한다. 적당한 「꺼내지는 길이」는 500 ~ 600mm 정도이다. 
원상대(52)도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이다. 장대 기단측 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태경화 된 감합웅부(52a)가 설정된다. 이 감합웅부(52a)가 원대(51)의 소정의 부분에 감착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했던 대로이다.
이 원상대(52)의 주면에도 보조 슬리브(15)가 배치된다. 보조 슬리브(15)는 원대(21)보다 큰 지름의 통모양 부재이다.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소정의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형성하거나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 보조 슬리브(15)의 장착 위치는 이하와 같다.
원대(51)의 제 1감합(51a)에 원상대(52)의 감합웅부(52a)가 감착하는 연신상태 (도 11(a))에 있어서, 보조 슬리브(15)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원대(51)의 수선측 단부를 가리는 위치에서, 보조 슬리브(15)의 수선측 단부가 원상대(52)의 외주면에 연결된다. 이 보조 슬리브(15)의 축방향 길이는, 원대(51)의 수선측 단부로부터 릴 시트(6)에 이르는 길이보다 짧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는, 보조 슬리브(15)의 축방향 길이가 상술한 「꺼내지는 길이」에 상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낚싯대에 있어서도, 연신상태·수납상태 어느 쪽에 있어도, 원상대(52)와 원대(51)을 서로 연결 고정 가능하고,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낚시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신상태 및 수납상태의 상호 변환 시에는, 낚시꾼은 제 1실시예와 같이, 한쪽의 손으로 릴 시트 부근등을 쥐면서, 다른 편의 손으로 보조 슬리브(15)의 장대 기단측 외주면을 쥐어 원상대(52)의 출납 조작을 할 수 있다.
특히,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신상태에 있어서, 보조 슬리브(15)가 원상대(52)의 일부를 내부에 수납함과 동시에, 원대(51)의 수선측 단부도 커버 한다. 그리고, 원대(51)과 원상대(52)와의 외경차이로부터 생길 수 있는 연신상태에서의 원대(51)의 수선측 단부와 원상대(52) 주면과의 단차를 보조 슬리브(15)가 덮어서 가려 그 틈새에 쓰레기가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여 외형의 나쁨 등도 막는다. 또한, 원상대(52)를 원대(51)으로부터 꺼냈을 때의 「꺼내지는 길이」를 임의의 보조 슬리브(15)의 축방향 길이에 설정할 수 있다. 즉, 「꺼내지는 길이」에 관한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제 3실시예]
나아가 제 2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 3실시예를 도 12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낚싯대에 있어서의 원대(51)과 원상대(52)와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 2실시예와 같다. 즉, 원대(51)은 장대 기단측 단부에 스톱퍼 링 (도시하지 않음)을 갖추어 축방향 중앙부근의 내주면을 제 1 감합자부(51a)로 하고 있다. 한편, 원상대(52)는 장대 기단측 단부에 감합웅부(52a)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2실시예에 있어 설명 한 것과 같은 위치에 있어서 원상대(52)의 주면에 보조 슬리브(15)가 연결되어 있다.
이 낚싯대에서는 릴 시트(6)이 보조 슬리브(15)의 주면에 배치되어 있다.릴 시트(6)은 주지의 별도 부재를 장착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권사등으로 릴 시트(6)을 돌려 감아 수지코팅 등을 행한다. 혹은, 보조 슬리브(15)의 주면에 파이프 모양의 릴 시트(6)을 배치하여 일체로 성형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보조 슬리브(15)상에 릴 시트(6)을 배치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상태·수납상태 상호의 상태 변화에 의하여, 릴 시트(6)으로부터 낚싯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까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변화한다. 낚시 조작의 상황에 맞추어, 이 릴 시트(6)으로부터 낚싯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까지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낚시꾼이 원하는 릴 시트(6) 위치에서 낚는 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연신상태로 하여 겨드랑이에 원대(51)을 끼워 넣어 가면서 낚는 조작을 행하려는 것도 가능하다.
[제4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낚싯대의 구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기본적인 구조는, 제 1실시예와 같다. 원대(61)과 원상대(62)가, 이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3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대(61)은 일정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이다. 이 원대(61)의 장대 기단측의 주면에는 릴을 달기 위한 릴 시트(6)이 또한,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탈착 가능하도록 끝마게(7)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점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다. 또한, 수선측 단부 바깥 둘레에는 감합 링(71)이 장착되어 있다. 감합 링(71)은 원상대(62)의 연신상태에 있어서 보조 슬리브(15)의 장대 기단측 단부와 감착하여, 멈춤 작용을 상주한다 (도 14 참조). 한편, 원대(61)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은 나사 홈이 형성되어, 여기에 끝마게(7)이 나착하고 있다. 이 바닥마게(7)은 원상대(62)의 장대 기단측 단부를 수납하여 내감(內嵌) 가능한 감합자부를 갖춘다 (도 13 참조).
원상대(62)도 필요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이다.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인접하는 부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제 1 감합웅부(62a)를 가진다. 또한, 그 수선측의 외주면에도 인접하는 부분보다 한단 큰 지름으로 제 2 감합웅부(62b)가 형성되고 또한 그 수선측의 외주면에도 인접하는 부분보다 한단 큰 지름인 태경부(6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 부분은, 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원상대(62)의 통 모양 부분과 일체적으로 소정의 프리프레그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감합웅부(62a)는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원대(61)의 바닥마게 감합자부에, 제 2 감합웅부(62b)는 연신상태에 있어 원대(61)의 수선측 단부 내주면에 감착하는 부분이다 (도 13·14 참조).
이 원상대(62)는, 자세하게는, 수선측 단부보다 제 2 감합웅부(62b)까지 영역은 고강성의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상체이고, 제 2 감합웅부(62b)에서 장대 기단측의 영역은 그 수선측보다 한단 저강성·작은 지름의 것이다. 제 2 감합웅부(62b)에서 장대 기단측의 영역은 축방향에 있어 지름의 변화가 없는 부분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보조 슬리브(15)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원대(61)보다 큰 지름의 통모양 부재이다. 원대(61) 등의 각 장대와 같이 소정의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형성해도, 경질 합성수지 혹은 금속 소재로부터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 보조 슬리브(15)는, 원상대(62)의 제 2 감합웅부(62b)의 수선측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형성된 태경부(62c)에 있어, 그 수선측 단부가 원상대(62)로 연결 고정되어 원대(61)및 원상대(62)를 그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장대 기단측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 보조 슬리브(15)의 원상대(62)에의 고정 방법은 주지의 방법을 이용하면 충분하며 예를 들면, 접착, 나사 나합 등의 수법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이 점도 제 1실시예와 같다.
(원상대(62)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상술한 원상대(62)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심재(100)에 필요한 이형재 등을 도포하여, 심재(100)의 주면에 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1)을 권회한다. 이 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1)은, 심재(100)의 주방향으로 강화섬유가 배향되도록, 탄소섬유나 유리섬유를 혼합한 위에 엑폭시 수지 등을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소재를 시트상에 가공한 것이다. 이 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1)는, 각각 권회 길이를 수선측 및 장대 기단측에 있어서 1프라이가 되도록 설정한다. 심재(100)으로 일정한 테이퍼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수선측 변과 장대 기단측의 변의 길이가 그 테이퍼분과 다르게 된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1)를 이용할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테이프에 가공한 프리프레그 소재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강화섬유를 배향한다. 그리고, 테이프형의 프리프레그 소재를 심재(100)에 대하여 나선 모양으로 틈없이 권회하여 간다.
다음에,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2)를 권회한다. 이 축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2)는, 2종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붙여 맞추어 연결한 것이다. 즉, 축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2)는, 수선측에 배치되는 고탄성율의 강화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a)와 장대 기단측에 배치되는 저탄성률의 강화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 (P2b)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a)는 강화섬유로서 탄소섬유를 이용하고 그 인장 탄성률이 40t/mm2인 한편, 그 탄소섬유가 심재(100)의 축방향으로 혼합하여 배향되어 있다. 그 형상은, 수선측을 단변에, 장대 기단측을 장변으로 하는 대략 사다리꼴형태이다. 자세하게는, 수선측의 단변이 3프라이분, 장대 기단측의 장변이4 프라이분의 권회 길이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이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b)와의 연결부분을 사행시키고 있으므로, 장변측 부분의 일부는 비스듬하게 잘려지고 있다.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a)로서는, 이러한 기울기의 잘려진 부분을 형성하는 일 없이, 대략 사다리꼴형태인 채로 이용해도 무방하다. 덧붙여 이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a)의 대략 사다리꼴형태의 높이 (축방향 길이에 상당)는, 원상대(62)의 수선측 단부로부터 제 2 감합웅부(62b)까지의 길이에 대응한다.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b)는, 강화섬유로서 탄소섬유를 이용하고 그 인장 탄성률이 20t/mm2인 한편, 그 탄소섬유가 심재(100)의 축방향으로 혼합해 배향되어 있다. 그 형상은, 수선측, 장대 기단측의 양변을 원칙적으로 같게하는 대략 구형형태이다. 자세하게는, 심재(100)의 테이퍼에 맞추어 수선측의 단변이 2 프라이분, 장대 기단측의 장변도 2 프라이 분의 권회 길이를 가지도록 설정하므로, 양자의 길이가 완전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a)와의 연결부분을 사행시키고 있으므로, 수선측의 옆의 일부는 비스듬하게 수선측으로 나오고 있다 (상기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a)의 노치 부분에 상당).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a)로서 이러한 기울기의 잘려진 부분을 형성하는 일 없이, 대략 사다리꼴형태인 채로 이용할 경우에는,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b)도 대략 구형(矩形) 형태인 채로 된다.
이러한 2 종류의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를 사행한 부분에서 붙여 맞추어 연결하여, 하나의 축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2)라고 한 것을 상술한 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1)의 외주에 권회한다. 덧붙여 양자의 연결 시에는, 권회 개시측을 가지런히 하여 (도 15(b)의 아래 쪽의 옆) 연결한다.
계속하여,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2)의 외주의 소정 축방향 위치에, 보조용 프리프레그 시트(P3)를 권회한다. 여기에서는, 2개의 보조용 프리프레그 시트(P3)를 권회한다. 한편의 보조용 프리프레그 시트(P3)는, 상술한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a)와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b)와의 연결부분에 권회한다. 이것이 원상대(62)의 제 2 감합웅부(62b)를 형성하게 된다. 다른 편의 보조용 프리프레그 시트(P3)는, 보다 수선측의 주면에 권회한다. 이것이 원상대(62)의 태경부(62c)를 형성한다. 덧붙여 게다가 제 1 감합웅부(62a)를 형성하기 위한 보조용 프리프레그 시트(P3)를 상술한 축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2)의 장대 기단측 단부 주면에 권회하여도 무방하다.
그 후, 필요에 따라서, 이러한 각종 프리프레그의 주면에 폴리프로필렌등으로 이루어지는 성형용 테이프를 돌려 감아, 화로내에 두고 소성한다. 그리고, 심재(100)을 탈심하여 주면의 성형용 테이프를 박리하고, 나아가 주면을 연마 가공 내지 지름 조정하여, 필요한 도장(塗裝)등을 행하여, 원상대(62)를 제조한다.
덧붙여 이 방법에서는, 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1)과 축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2)를 순차적으로 돌려 감고 있지만, 양자를 미리 적층 하게 하여, 1회적으로 심재(100) 권회하여도 무방하다. 이 때도, 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1)가 심재(100) 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 에 있어서는, 한편의 보조 프리프레그 시트(P3)가 제 2 감합웅부(2a)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부분보다 장대 기단측은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b)에 의해 강성을 낮게 억제할 수 있던 부분으로서 또한 작은 지름의 영역으로서 구성된다. 한편, 제 2 감합웅부(62a)보다 수선측은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P2a)에 의해 강성이 높고, 또한, 장대 기단측 정도 큰 지름이 되는 테이퍼 영역으로서 구성되게 된다. 게다가 내층으로서 위치하게 되는 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P1)가 원상대(62)의 축방향 전체에 있어서 필요한 무너지는 강도를 담보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제조되는 원상대(62)에서는, 제 2 감합웅부(62a)보다 장대 기단측의 영역이 육박(肉薄)·작은 지름인 한편 저강성이고, 낚싯대 전체의 휘어짐의밸런스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2종의 다른 인장 탄성률의 강화섬유를 연결하여 장대를 제조하고 있지만, 양자의 연결부분에서의 부당한 파단 등도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원상대(2)의 제조방법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여기서 특정한 수치등으로 제조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해야 할 원상대(62)의 지름, 필요로 하는 강도 등의 조건을 따라 임의로 조정 변경해야 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
(a) 나아가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한 초릿대(5)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초릿대도, 상기 제 1실시예와 같게 2개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자루의 장대로 한 것이다. 즉,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초릿대는, 수선측에 위치하는 중실장대(96)과 그 장대 기단측에 위치 하는 중공장대(97)의 2개의 장대를 연결하여 고정한 것이다.
중실장대(96)및 중공장대(97)의 구성은, 원칙적으로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은 것이다. 즉, 중실장대(96)은 장대 기단측 단부에 연결부(98)을 갖추고, 중공장대(97)은 수선측 단부 내주가 수납부(99)가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부(98)을 수납부(99)로 삽입한 다음 접착제에 의하여 서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무엇보다, 이 중실장대(96)의 연결부(98)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달리, 장대 기단측정도 급격하게 소경화하는 역테이퍼부(X2)만은 아니고, 그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는 연신부(Y2)도 장대 기단측 만큼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행해지고 있다. 역테이퍼부(X2)는 그 테이퍼율은 50/1000 정도로 설정되지만, 연신부(Y2)의 테이퍼는 보다 완만한 테이퍼로, 1~10/1000 정도로 설정하면 충분하다. 게다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게, 중실장대(20)의 연결부(98) 이외의 부분 (본체부)와 연결부(98)의 역테이퍼부(X2)의 경계와 연신부(Y2)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각각 바깥쪽을 향하여 부풀어 오른 곡면(R면)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이 중실장대(96)의 연결부(98)에 있어서, 장대 기단측 단면으로부터 수선측 방향을 향하여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은 대략 연결부(98)의 역테이퍼부(X2)의 수선측 부근까지 형성되면 충분하다. 그리고, 이 공간의 수선측은 확경하고 있어, 입구측 (장대 기단측 단부)와 비교하여 큰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부(98)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중실장대(96)은, 예를 들면, 장대 기단측 단부에 공동(空洞)을 형성한 좌우 한 쌍의 반으로 나뉜 부재를 붙여 맞추어 그 붙여 맞춘 세로 반나누기부재의 외주면에, 프리프레그 시트 혹은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권회하고, 소성하여 일체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중공장대(97)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은 종류의 것이고, 전체로서 수선측만큼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행해진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모양 부재이다. 탄소섬유 강화수지 등의 소재를 소성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선측 단부의 내주가 상술한 연결부(98)을 받는 수납부(99)가 되어 있지만, 수납부(99)는, 상술한 연결부(98)의 역테이퍼부(X2)에 대응하도록 그 내경이 설정되어 있어 연신부(Y2)와의 접촉은 예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중공장대(97)과 중실장대(96)은, 연결부(98)을 수납부(99)로 삽입한 다음, 오로지 역테이퍼부(X2)에서의 양자의 접착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덧붙여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중공장대(97)과 중실장대(98)과의 외주면에는 고무계 도료를 도포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연신부(Y2)를 테이퍼면으로서 중공장대(97)의 내주면에의 접촉을 가급적 억제하여 중실장대(96)과 중공장대(97)의 연결력은 오로지 역테이퍼부(X2) 에 있어서 접착에 맡긴다. 그리고, 연신부(Y2)의 중공장대(97)내에서의 자유도를 어느 정도 확보하는 것으로, 수납부(99) 혹은 연결부(98)에 부하가 걸렸을 때의 양자 파손의 진행을 한층 더 억제하고 있다.
(b) 게다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실장대(96)의 연신부(Y2)는 축방향으로 지름이 대략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특히, 이 중실장대(96)의 연결부에 장대 기단측 단면에서 공간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연신부(Y2)의 영역내에만 있어서 공간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c) 상기 각 실시예에 이용하는 초릿대에서는, 중실장대와 중공장대의 연결부분 외주면에 고무계 도료를 도포하려는 경우에는 예시하고 있지만, 양자의 경계면에 다른 프리프레그 시트를 돌려 감아 소성하여 일체화시켜, 한층 더 주면 도장을 행하여 외관을 정돈하는 수법도 채용할 수 있다. 혹은, 프리프레그 시트에 대신하여, 엑폭시 수지등을 함침시킨 뉴체를 돌려 감아, 소성하여 일체화시키려는 수법도 채용할 수 있다.
(d) 게다가 상기 각 실시예에 채용할 수 있는 다른 초릿대(80)을 도 18에 나타낸다.
이 초릿대(80)도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2개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자루의 장대로 한 것이다. 즉,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초릿대(80)은 수선측에 위치하는 중실장대(81)과 그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중공장대(82)의 2개의 장대를 연결하여 고정한 것이다.
중실장대(81)및 중공장대(82)의 구성은 원칙으로서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은 것이다. 즉, 중실장대(81)은 장대 기단측 단부에 연결부(83)을 가지고, 중공장대(82)는 수선측 단부 내주가 수납부(82)가 되고 있다.
연결부(83)은 장대 기단측정도 소경화하는 역테이퍼 부분(X3)와 그 장대 기단측으로 연속하는 축방향에 있어서 지름이 변화하지 않는 연신부(Y3)를 가진다. 예를 들면, 역테이퍼 부분(X3)는 10mm 정도, 연신부(Y3)는 17mm 정도로 설정한다.
한편, 중공장대(82)의 내주면은 수선측 단부로부터 순서대로, 제 1 테이퍼 부분(L), 스트레이트 부분(M), 제 2 테이퍼 부분(N)의 3개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테이퍼 부분(L)은 장대 기단측정도 소경화하는 부분이고, 상술의 역테이퍼 부분(X3)에 합치되도록 조정된다. 스트레이트 부분(M)는 축방향으로 내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다. 상술의 연신부(Y3)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어 예를 들면, 상기 연신부(Y3)의 예에 대응시키면 15mm 정도로 설정한다. 제 2 테이퍼 부분(N)는 장대 기단측정도 태경화하는 테이퍼면이다. 그리고, 중공장대(82)와 중실장대(81)는, 중실장대(81)의 역테이퍼 부분(X3) 및 연신부(Y3)의 주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1 테이퍼 부분(L)과 스트레이트 부분(M)이 수납부(84)가 된다.
이러한, 스트레이트 부분(M), 제 2 테이퍼 부분(N)에 의하여 연신부(Y3)의 장대 기단측 단부는 스트레이트 부분(M)보다 장대 기단측으로 돌출하며, 연신부(Y3)의 장대 기단측 단테두리와 제 2 테이퍼 부분(N)과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가 발생한다. 이 클리어런스에 의하여, 초릿대(80)이 크게 휘어져, 연결부(83)과 중공장대(82)의 수선측의 내주면과의 접촉부분에 큰 부하가 걸려도, 연결부(83)의 장대 기단측 단테두리는 중공장대(82)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연결부(83)의 장대 기단측 단테두리에 응력이 집중하여, 연결부(83)의 장대 기단측 단테두리로부터의 파손이 진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어서, 그 길이 변화 정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Claims (20)

  1. 통상체(筒狀體)인 복수의 장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수선측 단부 내주면에 감합자부를 갖추는 원대;
    상기 원대 내에 수선측으로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 감합웅부를 갖춤과 동시에, 수선측 외주면에 제 2 감합웅부를 갖춘 원상대; 및
    상기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의 수선측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수선측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원대 및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슬리브
    를 구비하는 낚싯대.
  2. 통상체인 복수의 장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축방향 중앙부근 내주면에 제 1 감합자부를 갖춤과 동시에,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에 제 2 감합자부를 갖추는 원대;
    상기 원대 내에 수선측으로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감합웅부를 갖추는 원상대; 및
    상기 원상대의 외주면에 그 수선측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원대 및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원상대와 원대는, 상기 감합웅부가 상기 제 1 감합자부에 감착하는 연신(延伸)상태와, 상기 감합웅부가 상기 제 2 감합자부에 감착하는 수납상태를 가지며,
    상기 보조 슬리브는, 상기 수납상태에서 상기 원대 및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하고 있어, 상기 연신상태로 상기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한편 장대 기단측 단부에 있어서 상기 원대의 수선측 단부를 가리고 있는 낚싯대.
  3. 통상체인 복수의 장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수선측 단부 내주면에 감합자부를 갖추는 원대;
    상기 원대 내에 수선측으로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감합웅부 및 축방향 중간 외주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부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제 2 감합웅부를 갖추는 원상대; 및
    상기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의 수선측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수선측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원대 및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원상대 수선측 단부에서 상기 제 2 감합웅부까지의 영역은, 상기 제 2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의 영역과 비교하여 두께가 굵은 한편 휘는 강성(剛性)이 크고,
    상기 원상대와 원대는 상기 감합웅부가 상기 제 1 감합자부에 감착하는 연신상태와 상기 감합웅부가 상기 제 2 감합자부에 감착하는 수납상태를 가지고,
    상기 보조 슬리브는 상기 수납상태에서 상기 원대 및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하고 있어, 상기 연신상태로 상기 원상대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한편 장대 기단측 단부에 있어서 상기 원대의 수선측 단부를 가리고 있는 낚싯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상대의 수선측 단부에서 제 2 감합웅부까지의 영역에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지고 있고, 상기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의 영역은 그 수선측 단부에서 제 2 감합웅부까지의 영역과 비교하여 작은 지름인 장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상대의 제 2 감합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의 영역은, 상기 수선측 단부에서 상기 제 2 감합웅부까지의 영역과 비교하여 일단(一段) 작은지름인 장대.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상대 내에 수선측으로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대; 및
    상기 중대 내에 수선측으로 향하여 출납 가능하게 연결되는 초릿대를 더 갖추고,
    상기 초릿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갖추는 중실장대와, 상기 중실장대 연결부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수선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접착 고정되어 있는 중공장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실장대의 연결부는 장대 기단측정도 소경화(小徑化)하는 테이퍼가 행해진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축방향에 있어서 지름이 변화하지 않는 연신부를 갖추고,
    상기 중실장대의 본체부와 연결부의 테이퍼부 경계 및/ 또는 상기 연신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른 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의 수선측 단부 내면은 상기 테이퍼부에 합치하는 테이퍼면이 되어있는 낚싯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연신부에는, 상기 테이퍼부보다 완만하게 장대 기단측정도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행해지고 있는 낚싯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실장대는 상기 연결부 부근에 있어 장대 기단측 단면에서 수선측 방향으로 향하여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슬리브의 주면에 릴을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가배치되어 있는 낚싯대.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 및 초릿대의 주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
    상기 보조 슬리브상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슬리브용 가이드; 및
    각 장대를 수납할 때 이용되는 탑 커버를 더 갖추고,
    상기 탑 커버는 상기 초릿대 및 중대를 상기 원상대 내에 수납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원상대의 수선측 단부 주면에 당접되는 장착 기부와, 상기 장착 기부의 수선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둘러싸서 보관 유지하는 가이드 보호부와, 상기 장착 기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용 가이드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부를 갖추고 있는 낚싯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용 가이드는 상기 보조 슬리브의 주면에 서로 끼워지는 환상부를 갖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가이드 링을 갖추고,
    상기 보관 유지부는 상기 원상대의 수선측 주면과 상기 환상부의 내주면의 사이에 압입(壓入)되는 삽입부분을 갖추고 있는 낚싯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유지부의 삽입부분이 탄성고무로 이루어지는 낚싯대.
  1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상대 내에 수선측으로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대; 및
    상기 중대 내에 수선측으로 향하여 출납 가능하게 연결되는 초릿대를 더 갖추고,
    상기 초릿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갖춘 중실장대와, 상기 중실장대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수선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접착 고정되어 있는 중공장대로 이루어져,
    상기 중실장대의 연결부는 장대 기단측정도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행해진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축방향에 있어서 지름이 변화하지 않는 연신부를 가지며,
    상기 중공장대의 수선측의 내면은 수선측 단부로 형성되는 상기 테이퍼부에 합치하는 장대 기단측정도 소경화하는 제 1 테이퍼면과, 상기 제 1 테이퍼면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는 상기 연신부에서 축방향 길이가 짧은 축방향 범위에 있어서 지름이 변화하지 않는 스트레이트면과, 상기 스트레이트면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는 장대 기단측정도 태경화하는 제 2 테이퍼면을 갖추고 있는 낚싯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 및 초릿대의 주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
    상기 보조 슬리브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리브용 가이드; 및
    각 장대를 수납할 때에 이용되는 탑 커버를 더 구비하여;
    상기 탑 커버는 상기 초릿대 및 중대를 상기 원상대 내에 수납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원상대의 수선측 단부 주면에 당접되는 장착 기부와, 상기 장착 기부의 수선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복수 슬라이드 가이드를 둘러싸서 보관 유지하는 가이드 보호부와, 상기 장착 기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용 가이드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부를 갖추고 있는 낚싯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용 가이드는 상기 보조 슬리브의 주면에 서로 끼워지는 환상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가이드 링을 가지고,
    상기 보관 유지부는 상기 원상대의 수선측의 주면과 상기 환상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압입되는 삽입부분을 갖추고 있는 낚싯대.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유지부의 삽입부분은 탄성고무로 이루어지는 낚싯대.
  17.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재(芯材)에는, 상기 심재의 주방향으로 강화섬유가 배향되는 주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를 1 프라이 권회하는 공정;
    상기 주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의 외주에, 상기 심재의 축방향으로 배향되는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를 2 내지 4 프라이 권회하는 공정;
    상기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 외주의 소정의 축방향 위치에 보조용 프리프레그 소재를 부분적으로 권회하는 공정; 및
    이러한 프리프레그를 소성(燒成)하여, 심재(芯材)를 탈심(脫芯)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상기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는 수선측에 배치되는 고탄성율의 강화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含浸)시킨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와, 장대 기단측에 배치되는 저탄성률의 강화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는 수선측의 상기 심재의 주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변을 단변, 장대 기단측의 변을 장변으로 하는 대략 사다리꼴형태로서, 상기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는 수선측, 장대 기단측의 상기 심재의 주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변을 대략 동일하게 하는 대략 구형(矩形) 형태인 한편 상기 변의 길이는 상기 제 1 프리프레그 소재의 단변보다 짧고,
    상기 보조용 프리프레그는 상기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와 제 2 축방향프리프레그 소재가 연결되는 영역에서 그 외주에 감겨지고 있는
    장대의 제조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의 수선측의 변은 3 프라이분, 장대 기단측의 변은 4 프라이분이고, 상기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의 양변은 각각 2 프라이분인 제조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와 제 2 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와는 그 연결부분에 있어 상기 심재의 축방향으로 사행하도록 재단되어 이 사행하는 부분에서 연결되어 있는 장대의 제조방법.
  20. 제 17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향 프리프레그 소재와 상기축방향 프리프레그 소재가 미리 적층되어 있어 심재에 상기 주방향 프리프레그 소재가 접하도록, 이러한 적층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심재에 권회(卷回)하는 방법.
KR1020030039961A 2002-06-19 2003-06-19 낚싯대 및 이를 구성하는 장대의 제조방법 KR100970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77978 2002-06-19
JPJP-P-2002-00177978 2002-06-19
JPJP-P-2002-00306024 2002-10-21
JP2002306024 2002-10-21
JPJP-P-2003-00060160 2003-03-06
JP2003060160 2003-03-06
JP2003101914 2003-04-04
JPJP-P-2003-00101914 2003-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709A true KR20030097709A (ko) 2003-12-31
KR100970862B1 KR100970862B1 (ko) 2010-07-20

Family

ID=3419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961A KR100970862B1 (ko) 2002-06-19 2003-06-19 낚싯대 및 이를 구성하는 장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70862B1 (ko)
CN (1) CN100534300C (ko)
TW (1) TWI26427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969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유정피싱 릴낚시대용 가변형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릴낚시대
KR20190002360U (ko) * 2018-03-14 2019-09-24 김승모 낚시대용 가이드 및 가이드를 구비한 낚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0353B2 (ja) * 2005-01-06 2010-08-25 株式会社シマノ 印籠継式釣竿
JP4726112B2 (ja) * 2005-04-07 2011-07-20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KR102462069B1 (ko) * 2020-08-13 2022-11-03 이정휴 조립 구조가 개선된 낚시대
CN112997978B (zh) * 2021-02-23 2023-01-20 威海市新会渔具有限责任公司 一种轻质高强度实心鱼竿及鱼竿环氧布的缠绕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329Y1 (ko) * 1996-07-16 1998-12-01 김태훈 낚시대
JP3119355B2 (ja) 1999-02-17 2000-12-1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JP2001157533A (ja) 1999-12-02 2001-06-12 Shimano Inc 釣 竿
JP2002361029A (ja) * 2001-06-12 2002-12-17 Dai-Dan Co Ltd ガスイオン化分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969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유정피싱 릴낚시대용 가변형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릴낚시대
KR20190002360U (ko) * 2018-03-14 2019-09-24 김승모 낚시대용 가이드 및 가이드를 구비한 낚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862B1 (ko) 2010-07-20
CN1471816A (zh) 2004-02-04
CN100534300C (zh) 2009-09-02
TWI264276B (en) 2006-10-21
TW200400791A (en)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7709A (ko) 낚싯대 및 이를 구성하는 장대의 제조방법
KR101133909B1 (ko) 낚싯대
KR101286026B1 (ko) 초릿대
JP3977777B2 (ja) 釣竿
JP2009039011A (ja) 船竿用の穂先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03227A (ja) 釣竿
KR20030028432A (ko) 낚싯대
KR20030084679A (ko) 낚싯대
TW552110B (en) Tip rod
JP4179603B2 (ja) 釣竿
TW523397B (en) Fishing rod with plug-in fishing line
KR20070008378A (ko) 초릿대
JP3949467B2 (ja) 釣竿
KR100998891B1 (ko) 낚싯대
JP4671466B2 (ja) 竿体
KR101005714B1 (ko) 낚싯대
KR100998892B1 (ko) 낚싯대
JP2000295946A (ja) 竿体の連結構造
CN113558017B (zh) 钓竿用卷线器座及钓竿
JP4371561B2 (ja) 釣竿
JP4371533B2 (ja) 竿体の嵌合構造
JP4131563B2 (ja) 釣竿
JP4027811B2 (ja) 釣竿
JP4514003B2 (ja) 竿体の製造方法
JP2002101788A (ja) 釣 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