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741B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741B1
KR101003741B1 KR1020040000767A KR20040000767A KR101003741B1 KR 101003741 B1 KR101003741 B1 KR 101003741B1 KR 1020040000767 A KR1020040000767 A KR 1020040000767A KR 20040000767 A KR20040000767 A KR 20040000767A KR 101003741 B1 KR101003741 B1 KR 101003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ar
rod
diameter
f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4220A (ko
Inventor
하라다타카후미
오타아키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6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원대와 연신 장대 간에 낚싯대 전체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장대끼리의 충분한 감착력(嵌着力)을 유지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낚싯대는, 원대(1)와, 원대(1)의 장대 기단(基端)측에 원대 내로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고, 원대(1) 내에 수납된 수납 상태와, 원대(1)의 장대 기단측으로 뽑힌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서도 원대(1)에 고정할 수 있는 연신 장대(2)를 가진다. 이 원대(1)는, 전체로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가 행해지고 또한 축 방향 중앙 부근의 내면에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X)이 형성되어 있고, 장대 기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端部)로 삽입되는 파이프상 부재이며, 그 내주면(內周面)에 역테이퍼 부분을 가지는 뒷마개(4)를 가지고 있다. 한편, 연신 장대는, 수선측 단부(端部) 외주면(外周面)에 다른 부분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되는 감합웅부(6a)가 형성되어 원대(1) 내로 출입되는 삽입부(6)와, 삽입부(6)의 장대 기단측에 연결되는 그립부(7)를 가지고 있다.
Figure R1020040000767
원대, 연신 장대, 삽입부, 그립부, 도료층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원대(1) 및 연신 장대(2)를 도시한 도.
도 2는 수납 상태에서의 연신 장대(2)의 수선측을 도시한 도.
도 3은 연신 상태에서의 연신 장대(2)의 수선측을 도시한 도.
도 4는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부근을 도시한 도.
도 5는 수납 상태에서의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부근을 도시한 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원대(1)를 도시한 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연신 장대(2)를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대 2: 연신 장대
3: 후미 링 4: 뒷마개
6: 삽입부 7: 그립부
9: 나사 쇠구(다조 나사) 10: 도료층
본 발명은, 낚시에 이용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원대의 장대 기단(基端)측으로 뽑거나 넣을 수 있게 연결되는 연신 장대를 가지고, 낚싯대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는 복수의 장대를 뽑이식 또는 병계(竝繼) 형식 등에 따라 연결하여 한 자루의 낚싯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용도에 맞추어 여러 가지 타입의 낚싯대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은어 낚시용의 은어 낚싯대나 계류 낚싯대 등의 연장 장대에 있어서는, 채비에 걸린 물고기를 쉽게 거두어들이기 위해서, 낚싯대 전체 길이를 낚시 조작시에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종류의 종래의 은어 낚싯대 등은,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端部)에 별도 연신 장대가 연결되어 있다. 이 연신 장대는 원대 내에 수납한 상태 (수납 상태)와, 원대 내에서 손잡이측으로 뽑은 상태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원대에 연결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낚시 조작의 한창에 상황에 따라 낚시꾼은 연신 장대를 뽑거나 넣어 낚싯대 전체 길이를 조정하여 낚시를 행한다 (특허 문헌 1 등 참조).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이와 같이 낚싯대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낚싯대에서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내주면(內周面)과 연신 장대의 장대 기단측의 둘레면에서 서로 감착(嵌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 3022411호 공보(도 2, 도 3)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종류의 낚싯대에서는 낚시 조작의 한창에 (특히, 은어 낚싯대 등에서는 강 가운데에서) 상황에 따라 연신재를 원대로 넣거나 뽑기 때문에, 원대의 장대 기단측이나 연신 장대의 장대 기단측에는 쓰레기나 작은 돌·물 등이 부착하기 쉽다. 이 때문에, 조작 중에 충분한 감착력(嵌着力)을 확보할 수 없어지고 또는 반대로 고착 등이 생기고 쉽다. 나아가, 반복하여 사용하면 감착력이 저하하기 쉽다.
본 발명의 과제는, 원대와 연신 장대의 사이에서 낚싯대 전체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장대끼리의 충분한 감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 1의 낚싯대는, 통상체(筒狀體)인 복수의 장대를 순차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원대와, 원대의 장대 기단측에 상기 원대 내로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고, 원대 내에 수납된 수납 상태, 원대의 장대 기단측으로 뽑힌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원대에 고정할 수 있는 연신 장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원대는, 전체로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가 행해진 통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장대 기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서 삽입되는 파이프상의 부재이고, 그 내주면에 역테이퍼 부분을 가지는 뒷마개를 가지고 있다.
한편, 연신 장대는, 수선측 단부 외주면에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다른 부분 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되는 감합웅부(嵌合雄部)가 형성되어 원대 내에 출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장대 기단측에 연결되는 그립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원대의 본체부 및 뒷마개가 감합웅부에 감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낚싯대의 연신 장대는 원대 내에 수납한 상태 (수납 상태)와 원대 내에서 손잡이측으로 뽑은 상태 (연신 상태)와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원대에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낚시를 한창 하고 있을 때, 연신 장대를 원대로부터 손잡이측으로 뽑아 연신 상태로 하여, 또는, 연신 장대를 원대 내로 밀어 넣어 수납 상태로 하여, 상황에 따라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낚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상태에 있어서 원대와 연신 장대는 이하와 같은 모양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우선, 수납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 내에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연신 장대가 삽입되어, 연신 장대의 수선측 단부의 감합웅부가 원대의 본체부의 축 방향 중앙 부근의 내주면에 감착한다. 한편,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 내에서 장대 기단측으로 연신 장대가 뽑히면, 연신 장대의 수선측 단부의 감합웅부는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이르러 파이프상의 뒷마개 내주면에 감착한다.
이와 같이, 수납 상태에서, 원대의 축 방향 중앙 부근 내주면에 연신 장대의 감합웅부를 감착시키고, 또한, 연신 상태에서도, 원대의 장대 기단측 내부에 연신 장대의 감합웅부를 감합시킨다. 따라서, 감합 부분에 쓰레기나 물 등이 부착하기 어렵고, 감합력의 저하나 고착 등도 생기기 어렵다.
발명 2의 낚싯대는, 발명 1의 낚싯대에 있어서, 원대는 그 본체부의 축 방향 중앙 부근의 내주면에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뒷마개는 내 주면에 장대 기단측 정도로 직경이 작아지는 역테이퍼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신 장대 삽입부의 감합웅부는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과 그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여 장대 기단측 정도로 직경이 작아지는 역테이퍼 부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원대 본체부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과 감합웅부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 감착 가능하고, 뒷마개의 역테이퍼 부분과 감합웅부의 역테이퍼 부분이 감착 가능해진다.
이 낚싯대에서는, 이른바 수납 상태와 연신 상태에 있어서, 각각 감착하는 부분을 달리하는 것으로, 각각의 상태에 따른 양호한 감착 상태를 연출하고 있다. 또한, 탈착을 반복하여도, 상호의 감착 부분의 열화 정도도 경감한다.
덧붙여, 여기서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라고 하는 것은, 축 방향의 일정 범위에서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 또는 극히 미묘하게 직경이 변화하는 것에 지나지 않은 부분이다. 역테이퍼 부분이라는 것은 손잡이측 정도로 소경화하는 테이퍼를 의미한다.
발명 3의 낚싯대는, 발명 1 또는 발명 2의 낚싯대에 있어서, 원대의 뒷마개는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연신 장대는 삽입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의 암나사부에 나착(螺着) 가능한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이 낚싯대에서는, 연신 장대의 감합웅부가 원대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에 감합한 수납 상태에 있어서, 나아가, 원대와 연신 장대를 완전히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 수나사부를 암나사부에 나착한다.
발명 4의 낚싯대는, 발명 3의 낚싯대에 있어서, 연신 장대는 삽입부의 장대 기단측 외주면에 도장층(塗裝層)을 가지고, 도장층은 상기 원대의 뒷마개 내주면에 가감착(假嵌着)한다.
이 낚싯대에서는, 삽입 장대의 삽입부가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로부터 삽입되면, 우선, 도장층이 뒷마개의 내주면에 임시로 감착한다. 그 후, 필요에 따라서,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를 나착하여 본고정 상태로 한다. 낚시를 한창 하고 있을 때, 상황에 따라 가고정 상태와 본고정 상태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고정 상태에서는 감착하는 부분이 2점으로 되기 때문에 덜걱거림이 생기기 어렵다.
발명 5의 낚싯대는, 발명 3의 낚싯대에 있어서,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는 다조(多條) 나사이다.
이 낚싯대에서는, 특히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에 다조 나사를 이용하고 있어, 원대와 연신 장대를 서로 약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를 나착할 수 있다. 또한, 낚시를 끝내고 완전히 낚싯대를 수납했을 때에도, 다조 나사로 장대 상호를 충분히 고정할 수 있어 부주의로 연신 장대가 원대로부터 튀어 나와버리는 일도 없다.
<실시예>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는, 은어 낚시 등에 이용되는 낚싯대이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대(1)와, 원대(1)의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뽑거 나 넣을 수 있게 연결되는 연신 장대(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원대(1)의 수선측에도, 복수의 장대 (중대, 초릿대 등)가 연결된다 (도시하지 않음). 이들 각 장대는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프리프레그(prepreg) 소재를 소성(燒成)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대(1)로부터 수선측의 각 장대는 이른바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수선측 장대로부터 순차로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장대 내에 뽑거나 넣을 수 있다. 각각 수선측에 위치하는 장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을 장대 기단측에 인접하는 장대의 수선측 내주면에 감착시켜 서로 고정할 수 있다. 가장 수선측에 위치하는 초릿대의 수선측 단부에는 낚싯줄 계지구(係止具)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대(1)와 그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연신 장대(2)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신 상태, 수납 상태의 어느 쪽 상태에서도, 서로 연결 고정이 가능해지고 있다.
(원대(1)에 대해서)
원대(1)는 전체로서 수선측 정도로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이다. 가장, 축 방향 중앙 부근의 내주면에서는, 부분적으로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도 2:(X)범위 참조). 즉, 원대(1)는, 수선측으로부터 순차로 장대 기단측을 향하여 내경도 지름이 확대해 가는 테이퍼가 행해지고 있다 ((A)범위 참조). 그 중의 일부분에서는, 그 내경이 부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X)범위). 그리고, (X)범위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는 부분에서는, (A)범위의 테이퍼에 다시 합치하도록, 급테이퍼 부분이 형성된다 ((B)범위). 이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 후술하는 연신 장대(2)의 수선측 단부와 수납 상태에서 감착한다 (도 2 참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후미 링(3)과 뒷마개(4)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후미 링(3)은, 금속 (알루미늄 합금)제의 원통형의 부재이고,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은 나사 홈이 형성되어 제1 암나사 부분으로 되어 있다.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외주면은, 장대 기단측 끝 둘레에서 일부가 깎여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이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후미 링(3)이 덮도록 하여, 후미 링(3)의 수선측이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후미 링(3)의 외경은 원대(1)의 외경에 합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뒷마개(4)는 경질 합성 수지제의 원통형의 부재이다. 수선측은 외경이 일단 소경화한 삽입 부분으로 되어 있고, 장대 기단측 단부는 외경이 상술한 후미 링(3)의 외경에 합치하도록 일단 대경화한 머리 부분으로 되어 있다. 삽입 부분은 원대(1)의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그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외주면은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면이고, 내주면은 장대 기단측 정도 소경화하는 역테이퍼 부분과 그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는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뒷마개(4)의 내주면의 역테이퍼 부분이, 후술하는 연신 장대(2)의 수선측 단부와 연신 상태에서 감착하고,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 삽입 상태에서 연신 장대와 감착한다 (도 3 참조). 또한, 삽입 부분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머리 부분과의 단차 부근에는, 상술한 후미 링(3)의 제1 암나사 부분에 나합하는 나사 홈이 형 성되어 제1 수나사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뒷마개(4)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 (머리 부분의 내주)에서는, 내경이 일단 대경화하여 나사 홈이 형성되어 제2 암나사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암나사 부분의 나사 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이 뒷마개(4)는 제1 수나사 부분을 후미 링(3)의 제1 암나사 부분에 나착하는 것으로, 후미 링(3)을 통하여 원대(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신 장대(2)에 대해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신 장대(2)는, 원대(1)의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그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6)와, 삽입부(6)의 장대 기단측에 연결되는 태경(太徑)의 파이프상 부재인 그립부(7)로 이루어진다.
삽입부(6)는 원대(1)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외경의 통상체이다. 삽입부(6)는, 직경의 변화가 없는 것 또는 장대 기단측 정도로 소경화하도록 역테이퍼를 행하여 둔다. 가장, 수선측 단부의 외주면은, 축 방향의 일정 범위에서 외경이 직경이 변화하지 않고 다른 부분보다 대경화된 부분과 (이 부분은 도장되어 있다), 그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여 장대 기단측 정도로 소경화하는 역테이퍼 부분을 가진다. 그리고, 여기가 감합웅부(6a)로 되어 있다 (도 2, 3 참조). 이 감합웅부(6a)의 외경은,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 상술한 원대(1)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X)과, 역테이퍼 부분이 뒷마개(4)의 역테이퍼의 내경에 합치한다.
이 삽입부(6)는, 수선측 단부에 배치되는 고무 커버(8)와,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나사 쇠구(9)를 가진다. 또한, 나사 쇠구(9)의 수선측에 인접하는 둘레면에는 도료층(10)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 커버(8)는 주지의 탄성 고무로부터 형성되어 축 방향으로 중공(中空)이 관통하는 원통형의 부재이다. 장대 기단측의 외주면이 일부 깎여, 여기가 삽입부(6)의 수선측 단부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고무 커버(8)의 수선측의 내경은 수선측 단부를 향하여 지름이 확대하는 테이퍼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수선측의 단부로부터는 축 방향으로 「슬릿」도 형성한다. 이 고무 커버(8)는, 원대(1)의 수선측에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중대 등을 원대(1) 내에 수납할 때, 원활히 중대 등을 삽입부 내에 이끌기 위한 것이다.
나사 쇠구(9)는, 삽입부(6)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외주면에 (그립부(7)의 수선측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있는 링상의 부재이다. 삽입부(6)에 대해서 접착 또는 나착 등 주지의 수법으로 장착된다. 나사 쇠구(9)의 외주면에는 다조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다조 나사의 나사 폭이나 조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조수는 4 ~ 6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 나사 쇠구(9)의 리드나 나사 폭도 여러 가지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는데, 나착을 위한 회전각이 50 ~ 150도 정도로, 더 바람직하게는 70 ~ 115도 정도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나사 쇠구(9)는 상술한 제2 암나사부에 나착하는데, 소정의 회전각으로 설정하는 것이 조작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다조 나사로 하는 것에 의하여,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나착을 위한 회전각을 작게 할 수 있다. 통상의 나사 (1조 나사)의 경우, 서로 맞물릴 때까지 최대 360도 회전할 필요가 있다.
도료층(10)은, 삽입부(6)의 나사 쇠구(9)의 수선측 둘레면에, 예를 들면, 우레탄 도료를 도포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도료층(10)은, 뒷마개(4)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의 내경에 대략 합치하는 「덜걱거림」이 없을 정도의 외경이 되도록 도포하여 형성하면 무방하다.
그립부(7)는, 삽입부(6)보다 대경이고 또한 원대(1)의 외주면에 합치하도록 하는 직경의 파이프상 부재이다. 원대(1)나 삽입부(6)와 같이 섬유 강화 수지 등으로부터 구성해도 무방하지만, 별도 금속 소재 등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삽입부(6)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삽입부(6)가 수선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 등의 수법에 의하여 그립부(7)는 연결되어 있다. 그립부(7)는 삽입부(6)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라도, 그립부(7)의 수선측 단부에 삽입부(6)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라도 무방하다.
(원대(1)와 연신 장대(2)의 연결 고정에 대해서)
이 낚싯대의 연신 장대(2)는 원대(1) 내에 수납한 상태 (수납 상태:도 2, 도 5)와, 원대(1) 내에서 손잡이측으로 뽑은 상태 (연신 상태:도 3)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원대(1)에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낚시를 한창 하고 있을 때, 연신 장대(2)를 원대(1)로부터 손잡이측으로 뽑아 연신 상태로 하여, 또는, 연신 장대(2)를 원대(1) 내에 밀어 넣어 수납 상태로 하여, 상황에 따라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낚시를 행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상태에서는, 원대(1) 내에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연신 장대(2)가 삽입되고, 연신 장대(2)의 삽입부(6)의 수선측 단 부의 감합웅부(6a)가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가운데 일부분 직경이 변화하지 않은 일부분(X)에 이르고, 여기서 감합웅부(6a)가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X)에 감착한다.
이러한 수납 상태에서는, 나아가, 가고정 상태와 본고정 상태의 어느 쪽도 가능하다. 즉, 감합웅부(6a)를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X)에 감착시키면, 삽입부(6)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도료층(10)도 뒷마개(4)의 내주면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도 충분히 원대(1)와 수납 장대(2)는 서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가고정 상태). 그러나, 원대(1)와 연신 장대(2)를 더 완전하게 연결 고정하기 위해서, 원대(1)와 연신 장대(2)를 서로 둘레 방향으로 회동시켜, 뒷마개(4)의 제2 암나사 부분과 나사 쇠구(9)를 나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고정 상태). 이러한 본고정 상태에 있어서는, 2점으로써 서로 감착하므로 덜걱거림 정도도 작아진다. 또한, 낚시를 끝내 낚싯대를 완전히 정리했을 때에도, 부주의로 연신 장대(2)가 원대(1)으로부터 튀어나와버리는 일도 없다.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원대(1) 내로부터 장대 기단측으로 연신 장대(2)가 뽑히면, 연신 장대(2)의 삽입부(6)의 수선측 단부의 감합웅부(6a)는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이르러 파이프상의 뒷마개(4)의 내주면 역테이퍼 부분에 감착한다.
이상과 같이, 이 낚싯대에서는, 수납 상태에서, 원대(1)의 축 방향 중앙 부근 내주면에서 연신 장대(2)의 감합웅부(6a)를 감착시키고, 또한, 연신 상태에서도, 원대(1)의 장대 기단측의 내부에서 연신 장대(2)의 감합웅부(6a)를 감합시킨 다. 따라서, 낚싯대를 강의 중간 등에서 사용하고 있을 때 연신 장대(2)를 원대(1)로부터 넣거나 뽑아도, 상호의 감합 부분에 쓰레기나 물 등이 부착하기 어렵고, 감합력의 저하나 고착 등도 생기기 어렵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 대신하여, 이하와 같은 변형예도 제안할 수 있다.
(a)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원대(1)에 있어서는, 축 방향 중앙 부근의 내주면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을 별도의 부재로 구성한다. 즉, 원대(1)를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행해진 통상체로서, 원대(1) 자체에는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것에 대신하여, 별도로 소정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을 내주면에 행한 파이프상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20)를 배치한다. 이 부재는, 원대(1)의 장대 기단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한다.
(b)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연신 장대(2)에 있어서는, 연신 장대(2) 자체에 감합웅부(2)를 형성하지 않는다. 연신 장대(2)의 수선측에 연결되는 고무 커버(30)를 감합웅부로서 이용한다. 즉, 연신 장대(2)의 수선측에 연결하는 고무 커버(30)의 외주면을 연신 장대(2)의 수선측과 비교하여 태경으로 설정하여 수선측으로 연신한다. 그리고, 이 고무 커버(30)의 외주면을 원대(1)의 내주면 등에 감착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에서는, 원대와 연신 장대 사이에서 낚싯대 전체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장대끼리의 충분한 감착력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통상체(筒狀體)인 복수의 장대를 순차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원대와, 상기 원대의 장대 기단(基端)측에 상기 원대 내로 출입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원대 내에 수납된 수납 상태와, 상기 원대의 장대 기단측으로 뽑힌 연신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상기 원대에 고정할 수 있는 연신 장대를 구비하고,
    상기 원대는, 전체로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가 행해진 통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장대 기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端部)로 삽입되는 파이프상 부재인 뒷마개를 가지고,
    상기 연신 장대는, 수선측 단부 외주면(外周面)에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다른 부분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되는 감합웅부(嵌合雄部)가 형성되고 상기 원대 내로 출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장대 기단측에 연결되는 그립부를 가지고,
    상기 원대의 본체부 및 뒷마개가 상기 감합웅부에 감착(嵌着) 가능한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대는 그 본체부의 축 방향 중앙 부근의 내주면(內周面)에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뒷마개는 내주면에 장대 기단측 정도로 직경이 작아지는 역테이퍼 부분을 가지고,
    상기 연신 장대의 삽입부의 감합웅부는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과 그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여 장대 기단측 정도로 직경이 작아지는 역테이퍼 부분을 가지며,
    상기 원대의 본체부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과 상기 감합웅부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 감착 가능하고, 상기 뒷마개의 역테이퍼 부분과 상기 감합웅부의 역테이퍼 부분이 감착 가능한 낚싯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대의 뒷마개는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연신 장대는 삽입부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나착(螺着) 가능한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는 낚싯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장대는 삽입부의 장대 기단측 외주면에 도장층(塗裝層)을 가지고, 상기 도장층은 상기 원대의 뒷마개 내주면에 가감착(假嵌着)하는 낚싯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는 다조(多條) 나사인 낚싯대.
KR1020040000767A 2003-01-09 2004-01-06 낚싯대 KR101003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3397 2003-01-09
JP2003003397A JP4111323B2 (ja) 2003-01-09 2003-01-09 釣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220A KR20040064220A (ko) 2004-07-16
KR101003741B1 true KR101003741B1 (ko) 2010-12-24

Family

ID=3289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767A KR101003741B1 (ko) 2003-01-09 2004-01-06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11323B2 (ko)
KR (1) KR101003741B1 (ko)
CN (1) CN100409743C (ko)
TW (1) TW2004159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383U (ko) * 2021-03-29 2022-10-06 신정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1063A (zh) * 2015-01-28 2015-05-20 李维明 增强钓竿承载力的方法
CN106665516A (zh) * 2017-01-18 2017-05-17 夏金利 一种筏钓钓竿
JP7080468B2 (ja) * 2018-01-24 2022-06-06 メガバス株式会社 釣竿の可変長グリップ
FR3089752B1 (fr) * 2018-12-18 2021-03-05 Ctfi Canne a peche telescopique fil interieur
JP7355595B2 (ja) * 2019-10-21 2023-10-03 株式会社シマノ 並継釣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895A (ja) * 1994-08-12 1996-02-27 Daiwa Seiko Inc 振出式中通し釣竿
JP4678659B2 (ja) * 2000-05-10 2011-04-27 株式会社シマノ 竿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383U (ko) * 2021-03-29 2022-10-06 신정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KR200497491Y1 (ko) 2021-03-29 2023-11-29 신정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220A (ko) 2004-07-16
CN1517012A (zh) 2004-08-04
JP2004215511A (ja) 2004-08-05
TW200415986A (en) 2004-09-01
TWI293020B (ko) 2008-02-01
CN100409743C (zh) 2008-08-13
JP4111323B2 (ja)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4956A1 (en) Fishing rod including a hook receptacle
US4077150A (en) Fishing rod handle assembly
KR101003741B1 (ko) 낚싯대
US20040144016A1 (en) Fishing rod holder
EP1872656B1 (en) Fishing pole
KR100998891B1 (ko) 낚싯대
KR100998892B1 (ko) 낚싯대
JP2012130281A (ja) バット及びフィッシングロッド
US7225581B1 (en) Fishing rod repair kit
JP2000279064A (ja) 釣 竿
JP4436167B2 (ja) 釣具用グリップ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釣具
JP6936094B2 (ja) 釣竿
US20060242885A1 (en) Convertible fly rod
JP3955833B2 (ja) 釣竿
JP2004215508A (ja) 釣竿
JP2539316Y2 (ja) 釣 竿
JP2004344142A (ja) 釣竿
JP2024030712A (ja) タモの柄
JP2004024162A (ja) 釣竿
JP2005065537A (ja) 玉網の柄
JP2003235406A (ja) 釣 竿
KR20060020654A (ko) 낚싯대
JP2004254653A (ja) 玉網の柄
JP2003310099A (ja) 玉網の柄
JP2003289753A (ja) 玉網の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