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83U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83U
KR20220002383U KR2020210000965U KR20210000965U KR20220002383U KR 20220002383 U KR20220002383 U KR 20220002383U KR 2020210000965 U KR2020210000965 U KR 2020210000965U KR 20210000965 U KR20210000965 U KR 20210000965U KR 20220002383 U KR20220002383 U KR 202200023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nchor
holder
mounting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491Y1 (ko
Inventor
신정식
Original Assignee
신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식 filed Critical 신정식
Priority to KR2020210000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9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은 모래에 박히기 쉽게 일측으로 사선 절단되도록 하여 날카로운 단부를 이루는 일정 길이의 관형 앵커부; 상기 앵커부의 상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은 일측으로 반경보다 작지 않게 개방되도록 하며,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 하부에는 직경방향으로 수평 관통되도록 고정핀이 연결되어 상단부로부터 삽입되는 낚싯대의 하단부가 걸려지도록 하는 관형의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단부에 맞춤결합되어 고정되면서 그 하부에서 편심 회전하도록 축결합되는 회전부의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앵커부의 내주면과 밀착에 의해 상기 앵커부와 상기 거치부가 고정 연결되도록 하는 높이 조정구로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A fishing support adjustable in heigh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사장에서 장거리 투척을 위한 원투낚시에 사용하는 낚싯대를 좀더 안전하고, 챔질이 용이한 높이에 거치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잡고자 하는 어종과 장소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그에 따른 낚시 장비 또한 매우 다양하다.
낚시를 위해 사용하는 낚싯대는 크게 릴을 사용하는 릴 낚싯대와 릴을 사용하지 않는 민낚싯대(대낚싯대)로서 나누어지며, 이들 낚싯대를 들고 하기도 하지만 장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는 낚시에서는 통상 낚시 받침대를 사용하게 된다.
즉, 비교적 가벼운 하나의 낚싯대만으로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관계없지만 하나의 낚싯대라도 들고 있기 힘겨운 중량을 갖고 있거나 한번에 2 이상의 낚싯대로서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낚시 받침대를 이용하여 낚싯대가 거치되도록 한다.
낚싯대를 거치하는 방식에서도 낚시 장소에 따라 낚시 받침대의 형상은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즉, 민물 대낚시와 선상 낚시에서의 낚시 받침대가 전혀 상이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먼거리를 투척하는 원투낚시에서의 낚시 받침대는 또한 형상적 차이가 매우 크다.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8204호(2009.08.17.)의 낚시받침대는 지면에 박을 수 있도록 끝단이 첨단으로 이루어지는 앵커와 이 앵커에 대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낚싯대가 거치되도록 하는 낚싯대지지수단 및 낚싯대지지수단을 상하로 각도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에서 낚싯대지지수단을 링형상으로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고리와 이 고정고리 사이에 끼워지는 회전고리와 좌우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낚싯대고정부 및 낚싯대고정부를 좌우 회전되게 하는 좌우조절장치로서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끝단이 첨단인 앵커가 지면에 일정 깊이로 박히도록 하여 지면에 고정되게 하면서 낚싯대는 손잡이측 단부가 낚싯대지지수단의 낚싯대고정부에 연결되면서 자중에 의해 걸쳐지도록 하고, 이렇게 낚싯대가 고정되도록 한 낚싯대고정부는 좌우조절장치에 의해 좌우로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각도조절수단에 의해서는 상하로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낚시받침대는 비교적 짧은 낚싯대를 거치하거나 지면상태가 매우 견고한 응집력을 갖는 조건에서 안정된 지지력을 갖게 되지만 지면의 응집력이 강하면 앵커를 깊게 박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타격 공구를 사용해야만 견고하게 박힐 수가 있으며, 비교적 길이가 길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낚싯대는 지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백사장과 같은 모래로 이루어지는 연약지반에는 종래 기술의 낚시받침대로는 낚싯대를 지지할 수가 없으며, 이를 위해서 일정 높이를 갖는 봉형상의 앵커가 제안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봉형상의 앵커는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지반에 깊이 박게 되면 낚싯대를 지지하는 부위가 너무 낮게 형성되어 챔질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8204호(2009.08.17.)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모래 속에 일정 길이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앵커부로부터 일정 높이가 상향 인출될 수 있도록 거치부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조작하기 쉽고 편리한 높이로 낚싯대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는, 하단은 모래에 박히기 쉽게 일측으로 사선 절단되도록 하여 날카로운 단부를 이루는 일정 길이의 관형 앵커부; 상기 앵커부의 상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은 일측으로 반경보다 작지 않게 개방되도록 하며,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 하부에는 직경방향으로 수평 관통되도록 고정핀이 연결되어 상단부로부터 삽입되는 낚싯대의 하단부가 걸려지도록 하는 관형의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단부에 맞춤결합되어 고정되면서 그 하부에서 편심 회전하도록 축결합되는 회전부의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앵커부의 내주면과 밀착에 의해 상기 앵커부와 상기 거치부가 고정 연결되도록 하는 높이 조정구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앵커부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모래의 배출을 위한 배출홀이 복수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은 카라비너가 연결될 수 있도록 아이볼트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의 고정핀 상부측 내주면에는 낚싯대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보호패드가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높이 조정구는 상부의 일정 높이가 상기 거치부의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에 억지끼움에 의해 맞춤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거치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거치부의 외경과 같거나 근사한 직경으로 외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일정 두께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하부에서 상기 걸림부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로서 구비되면서 상기 고정부와 편심의 위치에 축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로부터 편심의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가 축결합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걸림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각각 두께 중간 높이에 형성한 보다 외경이 축소되도록 형성한 링홈에 각각 결합되는 오링과, 상기 거치부의 외주면에 축결합되어 상기 앵커부의 상단부와 나사결합되는 고정 캡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오링은 상기 거치부의 내경보다는 큰 외경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에 의해서 낚시 중 낚싯대를 거치하거나 챔질하기 가장 적절한 높이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과 함께 조작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의 앵커부 하단을 확대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에서 높이 조정구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의 사용 상태도를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에서 높이 조정구의 회전에 의해 앵커부와 거치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을 예시한 수평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의 앵커부와 거치부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관형상의 앵커부(10)와 거치부(20) 및 높이 조정구(3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앵커부(10)는 도 2에서와 같이 하단이 모래에 박히기 쉽게 일측으로 사선 절단되도록 하여 날카로운 단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일정 길이의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앵커부(10)는 해변의 모래 사장에 일정 깊이가 매설되도록 하여 하단부가 첨단을 이루도록 하면서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백사장과 같은 지면이 모래로 이루어지는 지중으로 일정 깊이를 고정되는 고정수단이다.
따라서, 앵커부(10)를 모래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가 빈 원형관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특히 내부로 채워지는 모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앵커부(10)의 주면으로는 다양한 형상으로 배출홀(1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앵커부(10)의 상부에는 앵커부(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거치부(20)가 연결되도록 한다.
즉, 거치부(20)는 앵커부(10)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상단부에 낚싯대의 손잡이측 단부가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거치부(20)는 앵커부(10)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앵커부(10)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가 인출입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거치부(20)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는 낚싯대의 그립부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이 일측으로 반경 보다는 작지 않게 개방되도록 하면서 낚싯대의 그립부 외경보다는 큰 내경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거치부(20)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하부에는 거치부(20)를 수평 관통하도록 고정핀(21)이 연결되도록 한다.
즉, 관형의 거치부(20)에 삽입 거치되는 낚싯대의 그립부는 거치부(20)를 수평 관통시킨 고정핀(21)까지만 하강하게 된다.
다만, 고정핀(21)은 카라비너가 연결될 수 있도록 아이볼트로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낚시에 필요한 쪽집게나 가위 등과 같은 다양한 도구들이 연결된 카라비너가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핀(21)에 의해서는 미끼 등을 얹을 수 있는 받침대가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고정핀(21)은 어느 방향에서도 연결이 가능하지만 특히 아이볼트로서 고정핀(21)을 형성하게 될 때에는 거치부(20)의 상단부에서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한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아이볼트가 형성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거치부(20)의 고정핀(21) 상부측 내주면에는 삽입될 낚싯대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하여 보호패드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거치부(20)는 도 3에서와 같이 거치부(2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높이 조정구(30)에 의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높이 조정구(30)는 상부의 일정 높이가 거치부(20)의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에 억지끼움에 의해 맞춤 결합되도록 고정부(31)를 형성하며, 고정부(31)의 하단부는 거치부(20)의 하단부에서 거치부(20)의 외경과 같거나 근사한 직경으로 외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일정 두께로서 걸림부(3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걸림부(32)의 하부에는 걸림부(32)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로서 회전부(33)가 형성되도록 하며,회전부(33)는 고정부(31)의 상부로부터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의 위치에 축결합되는 회전축(34)에 축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부(32)와 회전부(33)의 두께 중간 부위는 중간 높이에서 일정 높이에 보다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링홈(320)(330)을 형성하고, 이들 링홈(320)(330)에는 각각 오링(35)이 결합되도록 한다.
다만, 오링(35)은 외경이 앵커부(10)의 내경과 같거나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높이 조정구(30)에서 회전부(33)는 회전축(34)을 축으로 미세하게 편심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앵커부(10)의 상단부에는 일정 높이에 나선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거치부(20)의 외주면에는 압착링(36)이 구비되도록 하고, 그 상부에는 고정 캡(37)이 축결합되도록 한다.
즉, 앵커부(10)의 상단부에 고정 캡(37)이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써 앵커부(10)와 거치부(2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 캡(37)을 앵커부(10)에 결합 시 앵커부(10)의 상단면에는 압착링(36)이 안착되면서 고정 캡(37)과의 사이에서 압착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거치부(20)는 앵커부(10)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거치부(20)의 하단부가 앵커부(10)의 상단에서 이탈 방지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를 이용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의 사용 상태도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는 모래로 이루어지는 연약지반에 앵커부(10)가 일정 깊이로 매설되도록 하면서 이 앵커부(10)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부(20)의 상단부에 낚싯대(40)가 안전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본 고안은 앵커부(10)의 첨단의 하단부가 모래에 일정 깊이로 박아 넣고, 앵커부(10)의 상부에 고정 연결된 거치부(20)에는 원하는 거리에 미끼가 투척되도록 한 낚싯대(40)의 하단부를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거치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앵커부(10)와 거치부(20)의 연결은 앵커부(10)로부터 분리된 거치부(20)를 연결하거나 앵커부(10)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일정 길이로서 거치부(20)가 연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거치부(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높이에서 앵커부(10)와 거치부(20)는 견고하게 고정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즉, 앵커부(10)에 거치부(20)가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앵커부(10)로부터 일정 높이로서 거치부(20)를 인출시킨 후 도 5에서와 같이 앵커부(10)에 대해서 거치부(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부(32)에 대해서 회전부(33)가 편심 회전하면서 회전부(33)에 감겨진 오링(35)이 앵커부(1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렇게 앵커부(10)와 거치부(20)는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필요로 하는 길이로서 형성한 후 앵커부(10)에 대해서 거치부(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앵커부(10)와 거치부(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상태에서 앵커부(10)와 거치부(20)는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거치부(20)에 축결합되도록 한 고정 캡(37)의 안쪽으로 압착링(36)이 삽입되게 한 후 도 6에서와 같이 고정 캡(37)을 거치부(2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게 함으로써 앵커부(10)와 거치부(20)의 고정 상태가 더욱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상태에서 고정 캡(37)을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 캡(37)은 앵커부(10)로부터 분리되며, 이 상태에서 앵커부(10)와 거치부(20)를 고정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편심 회전되었던 회전부(33)가 걸림부(32)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되면서 앵커부(10)와 거치부(2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앵커부(10)와 거치부(2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앵커부(10)로부터 거치부(20)를 축 방향으로 쉽게 인출입시킬 수도 있고, 분리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낚싯대의 거치 높이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춰 자유자재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가장 쉽고 편하게 낚싯대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신속하게 챔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거치부(20)의 고정핀(21)을 아이볼트로서 형성하게 되면 낚시에 사용하는 포섭이나 커터 등과 같은 다양한 도구를 매달아 놓을 수도 있고, 미끼를 준비해 놓고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낚싯대 근처에서 이동 방경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낚시에 따른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앵커부
11 : 배출홀
20 : 거치부
21 : 고정핀
30 : 높이 조정구
31 : 고정부 32 : 고정부
33 : 회전부 34 : 회전축
35 : 오링 36 : 압착링
37 : 고정 캡 320, 330 : 링홈
40 : 낚시대

Claims (6)

  1. 하단은 모래에 박히기 쉽게 일측으로 사선 절단되도록 하여 날카로운 단부를 이루는 일정 길이의 관형 앵커부;
    상기 앵커부의 상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은 일측으로 반경보다 작지 않게 개방되도록 하며,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 하부에는 직경방향으로 수평 관통되도록 고정핀이 연결되어 상단부로부터 삽입되는 낚싯대의 하단부가 걸려지도록 하는 관형의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단부에 맞춤결합되어 고정되면서 그 하부에서 편심 회전하도록 축결합되는 회전부의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앵커부의 내주면과 밀착에 의해 상기 앵커부와 상기 거치부가 고정 연결되도록 하는 높이 조정구;
    로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모래의 배출을 위한 배출홀이 복수로 형성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카라비너가 연결될 수 있도록 아이볼트로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고정핀 상부측 내주면에는 낚싯대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보호패드가 부착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구는 상기 높이 조정구는 상부의 일정 높이가 상기 거치부의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에 억지끼움에 의해 맞춤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거치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거치부의 외경과 같거나 근사한 직경으로 외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일정 두께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하부에서 상기 걸림부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로서 구비되면서 상기 고정부와 편심의 위치에 축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로부터 편심의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가 축결합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걸림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각각 두께 중간 높이에 형성한 보다 외경이 축소되도록 형성한 링홈에 각각 결합되는 오링과, 상기 거치부의 외주면에 축결합되어 상기 앵커부의 상단부와 나사결합되는 고정 캡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오링은 상기 거치부의 내경보다는 큰 외경으로 형성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KR2020210000965U 2021-03-29 2021-03-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KR200497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65U KR200497491Y1 (ko) 2021-03-29 2021-03-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65U KR200497491Y1 (ko) 2021-03-29 2021-03-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83U true KR20220002383U (ko) 2022-10-06
KR200497491Y1 KR200497491Y1 (ko) 2023-11-29

Family

ID=8359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65U KR200497491Y1 (ko) 2021-03-29 2021-03-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1865A1 (en) * 2021-02-05 2022-08-11 Jarred Reinhardt Sand anchor utilizing compressed ga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755U (ko) * 1983-07-23 1985-03-30 조기호 제빵기의 열순환장치
KR930010166B1 (ko) * 1986-06-02 1993-10-15 가부시끼가이샤 사다께세이사꾸쇼 가변속 유도전동기
KR20090008204A (ko) 2006-04-06 2009-01-2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효소 검출 기법
KR20100000337U (ko) * 2008-07-02 2010-01-12 손수성 낚시받침대
KR101003741B1 (ko) * 2003-01-09 2010-12-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
KR20160054791A (ko) * 2014-11-07 2016-05-17 권관혁 낚시대 클램프
KR20180017398A (ko) * 2016-08-09 2018-02-21 박영태 길이조절이 가능한 낚싯대의 앞 받침대
KR20180086910A (ko) * 2017-01-24 2018-08-01 전종훈 낚싯대 받침대의 각도조정장치 및 이를 적용한 좌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755U (ko) * 1983-07-23 1985-03-30 조기호 제빵기의 열순환장치
KR930010166B1 (ko) * 1986-06-02 1993-10-15 가부시끼가이샤 사다께세이사꾸쇼 가변속 유도전동기
KR101003741B1 (ko) * 2003-01-09 2010-12-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
KR20090008204A (ko) 2006-04-06 2009-01-2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효소 검출 기법
KR20100000337U (ko) * 2008-07-02 2010-01-12 손수성 낚시받침대
KR20160054791A (ko) * 2014-11-07 2016-05-17 권관혁 낚시대 클램프
KR20180017398A (ko) * 2016-08-09 2018-02-21 박영태 길이조절이 가능한 낚싯대의 앞 받침대
KR20180086910A (ko) * 2017-01-24 2018-08-01 전종훈 낚싯대 받침대의 각도조정장치 및 이를 적용한 좌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1865A1 (en) * 2021-02-05 2022-08-11 Jarred Reinhardt Sand anchor utilizing compressed gas
US11814857B2 (en) * 2021-02-05 2023-11-14 Jarred Reinhardt Sand anchor utilizing compressed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491Y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7595A (en) Portable fishing rod holder and stand
US4850564A (en) Windproof umbrella holder
US5524855A (en) Umbrella post sand anchor
KR20220002383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CA2880535C (en) Ice fishing tip up fishing line system
CN108104589A (zh) 一种防倾倒的围栏
US2211278A (en) Fishing rod support
US3001326A (en) Cemetery vase unit
CN110053422B (zh) 一种带快速制动功能的输液架及其调节方法
US20190059318A1 (en) Anchoring stake
KR20150001377U (ko) 파라솔 고정장치
US10575511B2 (en) Self-enclosed ice fishing tip-up fishing line system
KR101492319B1 (ko) 파라솔 고정장치
US5546693A (en) Hinged fishing rod holder
CN104969994A (zh) 一种仰角可调式鱼竿固定装置
CN109611023A (zh) 用于高空作业的安全立式钻具
US6651373B2 (en) Ice fishing device for increasing the effective radial fishing range beyond the radius of a fishing hole
CN211342730U (zh) 简易梯
CN109113027B (zh) 一种可调式系缆桩及其调节方法
CN207633859U (zh) 一种防倾倒的围栏
CN208184186U (zh) 便携式三脚支架
CN111802339A (zh) 一种捕鱼工具
KR20220001787U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낚시대 받침대
CN102278578A (zh) 一种太阳伞底座
JPH1084833A (ja) 釣り竿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