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905B1 -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 Google Patents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905B1
KR101817905B1 KR1020170096323A KR20170096323A KR101817905B1 KR 101817905 B1 KR101817905 B1 KR 101817905B1 KR 1020170096323 A KR1020170096323 A KR 1020170096323A KR 20170096323 A KR20170096323 A KR 20170096323A KR 101817905 B1 KR101817905 B1 KR 101817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shing
groove
lower body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한일
오명식
Original Assignee
오한일
오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한일, 오명식 filed Critical 오한일
Priority to KR102017009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7Reel 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격 공구 및 선상 핸드레일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한 탈착수단이 함께 구비되어 바다 낚시를 위한 갯바위는 물론 선상에도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지폴;상기 지지폴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하부몸체;상기 하부몸체의 설치공간 상에서 하부몸체의 선,후단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축 결합된 상부몸체;상기 상부몸체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낚싯대 손잡이 선단부가 거치되는 제1거치홈이 형성된 고정거치부재;상기 하부몸체의 후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거치부재와 대향되며, 낚싯대 손잡이 후단부가 거치되는 제2거치홈이 형성된 분할거치부재;상기 지지폴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방을 향해 타격면을 제공하는 히팅부재;상기 히팅부재의 상방에서 지지폴을 따라 승강되며, 승강을 통해 상기 히팅부재를 타격하면서 지지폴에 타격 압력을 제공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며, 상부몸체에는 릴 낚싯대가 거치되고, 상기 상부몸체에는 릴 낚싯대의 릴 부가 거치되는 릴 거치대가 결합되며, 상기 릴 거치대는 상부몸체 상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A fishing rod base for a sea fishing}
본 발명은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 낚시를 위한 낚시 받침대 고정 및 낚싯대 거치와 챔질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고, 경질 지반 및 선상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레저생활로 낚시를 즐기는 동호인들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낚시는 강,호수나 바다로 나가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일상에 지친 도시인들에게 휴식 및 안식을 주는 등의 매우 건전한 레저로 자리 매김 한 상태이다.
이러한 낚시는 오랜 시간 인내를 필요로 하는 레저로서, 물고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낚싯대를 수면과 일정한 각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낚싯대에 물고기가 걸릴 때까지 일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이때, 사용자는 낚싯대를 장시간 동안 주시하고 있어야 하므로, 몸에 피로가 발생하게 되는바, 이러한 피로를 줄이기 위해서 낚싯대를 강가나 바닷가의 지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낚싯대를 지면에 일정 위치로 지지시켜주는 부속장비가 바로 받침대이다.
한편, 바다 낚시의 경우에는 선상 낚시 또는 바닷가의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게 되는데, 낚싯대를 거치할 만한 여건이 여의치 않는 문제가 있었다.
민물 낚시의 경우에는, 낚시 환경이 주로 노지나 연약지반 등이어서 낚시 받침대 고정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다 낚시의 경우에는 주변 환경이 선상, 갯바위 등 주로 경질의 곳이어서 낚시 받침대를 거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앗던 것이다.
물론, 낚시 받침대의 하단부가 침봉 구조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갯바위 틈새 등에 고정시킬 수는 있으나, 안정감 있는 고정이 어려울 뿐만아니라 선상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선상에 낚시 받침대를 고정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갯바위에 낚싯대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연약지반과는 달리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낚시 받침대의 고정력이 견고하게 제공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물론 별도의 공구를 소지하여, 낚시 받침대를 갯바위에 타격하여 고정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별도의 공구를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분실의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1994-0023868호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1992-001440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격 공구 및 선상 핸드레일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한 탈착수단이 함께 구비되어 바다 낚시를 위한 갯바위는 물론 선상에도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낚싯대의 손잡이 무게중심 변화를 이용해 낚싯대의 구속 및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낚싯대 거치 및 챔질 과정에 대한 편의성 및 신속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폴;상기 지지폴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하부몸체;상기 하부몸체의 설치공간 상에서 하부몸체의 선,후단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축 결합된 상부몸체;상기 상부몸체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낚싯대 손잡이 선단부가 거치되는 제1거치홈이 형성된 고정거치부재;상기 하부몸체의 후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거치부재와 대향되며, 낚싯대 손잡이 후단부가 거치되는 제2거치홈이 형성된 분할거치부재;상기 지지폴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방을 향해 타격면을 제공하는 히팅부재;상기 히팅부재의 상방에서 지지폴을 따라 승강되며, 승강을 통해 상기 히팅부재를 타격하면서 지지폴에 타격 압력을 제공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며, 상부몸체에는 릴 낚싯대가 거치되고, 상기 상부몸체에는 릴 낚싯대의 릴 부가 거치되는 릴 거치대가 결합되며, 상기 릴 거치대는 상부몸체 상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지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지지폴을 타격할 수 있는 중량물의 타격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공구없이도 지지폴을 갯바위나 경질의 지반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선상에 핸드레일에 탈착되는 탈착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선상 낚시에 있어서도 받침대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낚싯대 손잡이의 위치 변화에 따른 무게 중심 변화에 의해 낚싯대 손잡이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낚싯대 거치 및 챔질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에서 낚싯대의 무게중심 이동으로 인해 낚싯대의 거치가 구속되고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가 선상의 핸드레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에 릴 낚싯대의 릴 부가 릴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에 낚싯대가 구속수단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이하, '낚시 받침대'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낚시 받침대는 낚싯대를 거치하기 위한 구성을 일체화하고, 낚싯대 손잡이의 무게 중심 이동을 통해 낚싯대 구속 및 해제를 위한 구성의 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낚시 받침대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낚싯대 거치 및 챔질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낚시 받침대는 갯바위 등의 경질 지반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타격공구가 일체로 구비되고, 선상 낚시를 위해 핸드레일 등의 구조물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탈착수단을 구비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낚시 받침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폴(100)과, 하부몸체(200)와, 상부몸체(300)와, 고정거치부재(400)와, 분할거치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폴(100)은 지반에 박혀 낚시 받침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다 낚시는 주로, 갯바위 등의 경질 지반이나 선상에 낚싯대가 고정되므로, 통상은 타격을 통해 지지폴(10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폴(100)은 바 형태로 이루어지되 지지폴(100)의 상단부에는 나사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10)는 후술하는 하부몸체(200)와의 나사 결합과 더불어, 낚시 받침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나사부(110)는 지지폴(100)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사부(1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구속링이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폴(100)의 하단부는 지반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폴(100)에는 히팅부재(120)와 타격부재(130)가 설치된다.
히팅부재(120)는 지지폴(100)에 일체로 형성되며, 히팅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히팅부재(120)는 지지폴(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히팅부재(120)는 상기 타격부재(130)의 타격에 의해 지지폴(100)에 하강 압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타격부재(130)는 히팅부재(120)를 타격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폴(100)에 결합된다.
타격부재(130)는 히팅부재(120)의 상방에서, 지지폴(100)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히팅부재(120) 타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량감 있는 무게를 갖는 것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성을 위해 금속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격부재(130)는 지지폴(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中空)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타격부재(130)의 직경은 히팅부재(120)의 직경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13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수단(미도시)이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구성의 타격부재(130)는 지지폴(100)의 직경과 타격부재(130)의 내경차로 인해 발생한 유격때문에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타격부재(130)의 원활한 승강을 위해 상기 타격부재(130)의 내주면에 베어링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하부 몸체(200)는 낚싯대 거치를 위한 상부몸체(300)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며, 지지폴(10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하부몸체(200)는 상부몸체(30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상부몸체(300)가 축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한편, 하부몸체(200)는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로 구성된다.
제1몸체(210)는 지지폴(100)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며, 제2몸체(220)는 상부몸체(3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즉, 하부몸체(200)의 하방으로는 지지폴(100)이 위치되고, 하부몸체(200)의 상방으로는 상부몸체(300)가 위치되는 것이다.
제1몸체(210)의 상부에는 안착홈(211)이 형성되고, 제1몸체(210)의 상부 양측면에는 제2몸체(220)의 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축공(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몸체(210)의 저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홈(213)이 형성된다.
나사홈(213)은 지지폴(100)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나사홈(213)은 지지폴(100)의 나사부(1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제1몸체(210)의 저면에 요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나사홈(213)과 나사부(110)는 나사 조절을 통해 승강될 수 있으므로, 낚시 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이때, 지지폴(100)의 나사부(110)에는 구속링(230)이 더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구속링(230)은 지지폴(100)의 나사부(110)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지지폴(100)과 제1몸체(210) 간에 결합력을 높여주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낚시 받침대의 높이 조절을 위해, 나사부(110)와 제1몸체(210) 간에 높이 조절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구속링(230)은 나사부(110)를 감싸 결합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몸체(21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각도조절공(214)이 형성된다.
각도조절공(214)은 제1몸체(210)의 안착홈(211)에 축 결합된 제2몸체(2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몸체(210)의 안착홈(211) 일측에 형성된다.
즉, 각도조절공(214)에 각도조절볼트(215)를 나사 결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볼트(215)의 하단부가 제2몸체(220)를 밀어올리도록 함으로써, 제1몸체(210)에 축 결합된 제2몸체(220)는 회동되면서 설치각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몸체(210)의 안착홈(211) 타측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S)이 설치된다.
이는, 각도조절볼트(215)의 간섭에 의해 설치각이 변환된 제2몸체(220)가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는 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몸체(210)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상 구조물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한 탈착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탈착수단은 제1몸체(210)에 형성된 수용홈(240)과, 개폐부재(250)와, 구속수단(260)을 포함한다.
수용홈(240)은 제1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선상의 구조물에 낚시 받침대가 원활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낚시 받침대를 거치할 수 있는 선상 구조물은 주로 핸드레일을 말한다.
이에 따라, 수용홈(240)은 핸드레일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수용홈(240)의 하단부에는 밀착홈(241)이 형성된다.
밀착홈(241)은 후술하는 개폐부재(250)의 단부가 출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개폐부재(250)가 수용홈(240)측에 결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개폐부재(250)는 상기 수용홈(240)의 개구된 일측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1몸체(210)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수용홈(240)을 향해 회동된다.
상기 개폐부재(250) 역시, 수용홈(240)에 대응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개폐부재(250)의 하단부는 수용홈(240)의 밀착홈(241)에 출입하는데, 후술하는 구속수단(26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부재(250)의 하단부에는 개방홈(251)이 형성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폐부재(250)와 수용홈(240)의 내주면에는 연질의 밀착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구속수단(260)은 수용홈(240)을 폐쇄하는 개폐부재(250)를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수용홈(240)의 밀착홈(241)에 개폐부재(250)의 하단부를 압착하여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속수단(26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61)와 압착부재(26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회동부재(261)는 수용홈(240)의 밀착홈(241)상에서 수용홈(240)의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축 결합된다.
이때, 회동부재(261)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부재(262)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압착부재(262)는 회동부재(261)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며, 나사 조임을 통해 개폐부재(250)의 하단부를 수용홈(240)에 압착하여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압착부재(262) 역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재(261)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압착부재(262)의 일단부에는 누름편(262b)이 마련된다.
누름편(262a)은 개폐부재(250)의 단부를 압착하는 부위로서, 개폐부재(250)에 형성된 개방홈(2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압착부재(262)와 회동부재(261)의 나사 조임시, 압착부재(262)는 개폐부재(250)의 개방홈(251)을 향해 접근하게 되는데, 개방홈(2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누름편(262a)이 개방홈(251) 주변의 개폐부재(250) 단부를 간섭하여 압착함으로써 개폐부재(250)의 구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압착부재(262)의 타단부에는 거치링(262c)이 형성된다.
거치링(262b)은 낚싯대의 손잡이를 삽입하여 거치시키기 위함이다.
즉, 휴식시간에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를 세워 낚싯대의 손잡이를 상기 거치링(262b)에 꽂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몸체(220)는 상부몸체(300)가 축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몸체(210)에 축 결합된다.
상기 제2몸체(220)는 제1몸체(210)와 축 결합됨으로써,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낚싯대 거치각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몸체(220)의 일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설치바(221)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바(221)는 분할거치부재(500)의 축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부몸체(300)는 분할거치부재(500) 및 고정거치부재(400)에 거치된 낚싯대 손잡이를 지지하며, 하부몸체(200)의 제2몸체(220)에 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부몸체(300)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제2몸체(220)의 선단부 및 후단부를 향해 자유 회동된다.
이와 같은 상부몸체(300)의 회동 작용에 의해, 상부몸체(300)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분할거치부재(500)의 분할몸체 사이를 승강하면서 분할거치부재(500)의 회동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부몸체(300)의 후단부에는 웨이트(310)가 설치된다.
웨이트(310)는 중량물로서, 상부몸체(300)의 무게중심이 후단부측으로 치우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부몸체(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을 중심으로 후단부에 치우쳐 제2몸체(220)의 후단부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웨이트(310)의 무게는 한정되지 않으며, 자중에 의해 상부몸체(300)를 제2몸체(220)의 후단부로 치우치게 하되, 낚싯대 손잡이의 무게에 비해 가볍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낚싯대 손잡이의 무게 중심 이동에 따라, 상부몸체(300)는 축을 중심으로 제2몸체(220)의 선,후단부를 향해 회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몸체(300)는 축을 중심으로의 회동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제2몸체(220)와의 간격이 확보될 수 있도록 그의 측면 형태는 양측이 상향 절곡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부몸체(300)의 측면은 'V'형태와 유사한 것이다.
한편, 상부몸체(30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거치대(32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릴 거치대(320)는 릴 낚싯대의 릴 부를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휴식동안 릴 낚싯대를 용이하게 거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릴 거치대(320)는 상부몸체(300)에 결합되며, 상부몸체(300) 상에서 양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릴 부가 거치 위치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릴 거치대(320)의 구성은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릴 부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고정거치부재(400)는 낚싯대 손잡이의 일부가 거치되는 구성이며, 상부몸체(300)의 선단부에 설치된다.
낚시 방향 즉, 물가 측이 하부몸체(200) 및 상부몸체(300)의 선단부임을 감안할 때, 상기 고정거치부재(400)는 낚싯대 손잡이의 선단부가 거치되는 구성이다.
고정거치부재(400)는 낚싯대 손잡이의 곡률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며, 상방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고정거치부재(400)는 호(arc)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고정거치부재(400)에 형성된 호 형태의 내주면은 제1거치홈(410)이라 한다.
이때, 제1거치홈(410)에는 그 내주면 곡률을 따라 유동방지부재(42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낚싯대 손잡이의 유동을 억제하여 받침대 상에 낚싯대가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동방지부재(420)는 연질의 고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분할거치부재(500)는 고정거치부재(400)와 함께 낚싯대 손잡이가 거치되도록 한 구성이며, 제2몸체(220)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분할거치부재(5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20) 후단부의 설치바(221)에 축 결합된다.
분할거치부재(500)는 설치바(221)의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회동되면서 낚싯대 손잡이의 양측을 감싸는 작용을 한다.
즉, 분할거치부재(500)는 낚싯대 손잡이의 후단부에 대응되며, 회동 작용을 통해 낚싯대 손잡이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분할거치부재(500)는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분할몸체(510)로 구성된다.
상기 각 분할몸체(510)의 상단부는 낚싯대 손잡이 곡률에 대응되는 호(arc)를 형성하고, 각 분할몸체(510)의 하단부는 외향 경사진 경사면(T)을 형성한다.
이때, 각 분할몸체(510)의 상단부에 형성된 호가 형성하는 공간은 낚싯대 손잡이의 후단부가 거치되는 제2거치홈(511)이라 한다.
그리고, 각 분할몸체(5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면(T)은,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이 된다.
이에 따라, 분할몸체(510)의 하단부가 형성하는 경사면(T) 사이는 상부에서 하부롤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T) 사이의 공간에는 상부몸체(300)의 후단부 및 웨이트(310)가 위치된다.
이때, 웨이트(310)의 외측면은 상기 경사면(T)의 경사각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사면(T)을 따라 웨이트(31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분할몸체(510)의 하단부 무게는 분할몸체(510) 상단부의 무게에 비해 무겁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분할몸체(510)의 무게중심은 하방으로 치우치기 때문에, 한 쌍의 분할몸체(510)는 축을 중심으로 자연적으로 회동되어 한 쌍의 분할몸체(510) 상단부가 서로 맞닿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평상시에는 분할몸체(510)가 회동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거치홈(511)을 항상 개방시키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사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 받침대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상기 낚시 받침대를 갯바위 등의 낚시터 주변의 경질 지반에 밖아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지지폴(100)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타격부재(130)를 승강시키면서 히팅부재(120)를 타격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폴(100) 하방으로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경질 지반에도 원활하게 지지폴(100)이 박힐 수 있게 된다.
특히, 별도의 공구 없이도 낚시 받침대의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지반이 아닌 선상 낚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낚시 받침대를 선상 구조물에 고정시키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선상 핸드레일에 낚시 받침대를 고정시키는 것을 예로 한다.
압착부재(262)를 회동하여 회동부재(261)로부터 풀어내면, 누름편(262a)은 개폐부재(250)의 개방홈(251)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회동부재(261)는 자유로운 회동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회동부재(261)를 회동하여 개폐부재(250)의 구속을 해제시키고, 상기 개폐부재(250)를 회동하여 수용홈(240)을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에 수용홈(240)을 밀착시킨 후, 역순으로 개폐부재(250)를 회동하여 압착부재(262)를 나사 조임시킴으로써, 상기 핸드레일에 낙시 받침대의 고정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경질의 지반 또는 선상의 핸드레일에 낚시 받침대의 고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각도조절볼트(215)를 회전하여 제2몸체(220)의 선단부를 밀어올리거나 하강시켜 제1몸체(210)를 기준으로 제2몸체(220)의 설치각을 가변시킨다.
제2몸체(220)의 설치각이 가변됨에 따라, 제2몸체(220)에 설치된 상부몸체의 각도도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낚싯대 거치각도의 가변을 의미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낚시 받침대의 설치가 완료되면, 낚싯줄을 물에 던지고 낚싯대 손잡이를 상부몸체(300)의 거치부재(400,500)에 거치시킨다.
이때, 상부몸체(300)의 후단부는 웨이트(310)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고, 상부몸체(300)의 선단부는 상승된 상태이다.
또한, 분할거치부재(500)는 분할몸체(510)의 자중에 의해 회동된 상태이므로, 제2거치홈(511)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낚싯대 손잡이는 제1거치홈(410) 및 제2거치홈(511)에 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낚싯대 손잡이의 선단부가 제1거치홈(410)에 거치되면, 낚싯대의 손잡이 무게에 의해 상부몸체(300)는 축을 중심으로 제2몸체(220)의 선단부를 향해 회동된 상태가 된다.
즉, 상부몸체(300)의 선단부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되며, 상부몸체(300)의 후단부는 상승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몸체(300) 후단부의 웨이트(310)는 분할몸체(510)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되면서, 한 쌍의 분할몸체(510)를 강제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분할몸체(510)의 상단부는 서로 맞닿게 되어 낚싯대 손잡이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을 시키게 된다.
이로써, 낚시 받침대에 낚싯대의 거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낚싯대의 거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입질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낚시 받침대로부터 낚시대를 들어올려 챔질을 한다.
이를 위해, 낚싯대의 손잡이의 선단부를 제1거치홈(410)으로부터 들어올리면, 웨이트(310)에 의해 상부몸체(300)의 무게중심은 후단부로 가변되어 상기 상부몸체(300)의 후단부는 하강을 하게 된다.
이때, 분할몸체(510) 역시 웨이트(310)의 들어올리는 힘이 해제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회동되면서 제2거치홈(511)을 개방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낚싯대 손잡이를 들어올려 챔질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바다 낚시 도중, 사용자가 휴식을 위해 낚싯대를 바다로부터 회수하여 거치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따로 거치할 구조물이 마땅치 않아 갯바위 주변 또는 선상 주변에 낚싯대를 세워 놓았으나,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 받침대에 낚싯대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가 있다.
바다 낚시의 경우에는 통상 릴 낚싯대가 사용되며, 릴 낚싯대를 낚시 받침대에 거치하고자 할 경우 낚싯대의 릴 부 위치를 고정거치부재(400)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릴 부는 릴 거치대(320)에 거치되므로, 낚싯대는 낚시 받침대에 안정감 있게 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릴 부는 릴 거치대(320)에 안착이 되되, 고정거치부재(400)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릴 부가 낚시 받침대의 전방으로 움직이지 않아 더욱 안정감 있는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의 손잡이를 압착부재(262)의 거치링(262b)에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거치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지지폴 110 : 나사부
120 : 히팅부재 130 : 타격부재
200 : 하부몸체 210 : 제1몸체
211 : 안착홈 212 : 축공
213 : 나사홈 214 : 각도조절공
215 : 각도조절볼트 220 : 제2몸체
221 : 설치바 230 : 구속링
240 : 수용홈 241 : 밀착홈
250 : 개폐부재 251 : 개방홈
260 : 구속수단 261 : 회동부재
262 : 압착부재 262a : 누름편
262b : 거치링 300 : 상부몸체
310 : 웨이트 320 : 릴 거치대
400 : 고정거치부재 410 : 제1거치홈
420 : 유동방지부재 500 : 분할거치부재
510 : 분할몸체 511 : 제2거치홈
S : 스프링 T : 경사면

Claims (7)

  1. 지지폴;
    상기 지지폴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설치공간 상에서 하부몸체의 선,후단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축 결합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낚싯대 손잡이 선단부가 거치되는 제1거치홈이 형성된 고정거치부재;
    상기 하부몸체의 후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거치부재와 대향되며, 낚싯대 손잡이 후단부가 거치되는 제2거치홈이 형성된 분할거치부재;
    상기 지지폴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방을 향해 타격면을 제공하는 히팅부재;
    상기 히팅부재의 상방에서 지지폴을 따라 승강되며, 승강을 통해 상기 히팅부재를 타격하면서 지지폴에 타격 압력을 제공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며,
    상부몸체에는 릴 낚싯대가 거치되고,
    상기 상부몸체에는 릴 낚싯대의 릴 부가 거치되는 릴 거치대가 결합되며,
    상기 릴 거치대는 상부몸체 상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일측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에 축 결합되어 상시 수용홈을 향해 회동되면서 상기 수용홈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를 하부몸체에 압착하여 구속시키는 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수용홈 단부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단부가 밀착되는 밀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밀착홈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회동부재가 축 결합되어 밀착홈 상에서 회동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단부는 상기 나사홈을 개방시키는 개방홈을 형성하며,
    상기 구속수단은 개방홈을 통해 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제공되되, 상기 고정볼트에는 개방홈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간섭편이 형성되어 고정볼트의 나사 조임시 개폐부재의 단부에 밀착되어 하부몸체에 개폐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거치부재는,
    제2거치홈을 양측에서 분할하여 형성하는 한 쌍의 분할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몸체는 하부 몸체의 후단부에 축 결합되어 그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2거치홈을 개폐시키되,
    상기 상부몸체는 고정거치부재 및 분할거치부재에서의 낚싯대 손잡이 무게중심이 가변됨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하부몸체의 선,후단부로 회동하면서 상부몸체의 후단부로 하여금 분할몸체 사이를 승강하도록 하면서 상기 분할몸체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치홈은 각 분할몸체의 상단부를 구성하고,
    각 분할몸체의 하단부 중, 서로 대향하는 면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외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부몸체의 후단부는 상기 경사면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몸체는 자중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회동되어 제2거치홈이 개방될 수 있도록, 분할몸체의 하단부 무게는 분할몸체의 상단부 무게에 비해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KR1020170096323A 2017-07-28 2017-07-28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KR10181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323A KR101817905B1 (ko) 2017-07-28 2017-07-28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323A KR101817905B1 (ko) 2017-07-28 2017-07-28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905B1 true KR101817905B1 (ko) 2018-01-19

Family

ID=6102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323A KR101817905B1 (ko) 2017-07-28 2017-07-28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991A (ko) 2018-09-13 2020-03-23 손수성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낚시 받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853Y1 (ko) * 2006-06-29 2006-11-27 대한민국 얼음낚시용 천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853Y1 (ko) * 2006-06-29 2006-11-27 대한민국 얼음낚시용 천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991A (ko) 2018-09-13 2020-03-23 손수성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낚시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59211A1 (en) Adjustable rod holder
KR101817905B1 (ko) 바다 낚시용 낚시 받침대
US20130031712A1 (en) In Swimming Pool Chair with Adjustable Angle and Height
US5937564A (en) Game fish landing seat assembly
US3516190A (en) Fishing rod holder
US6253484B1 (en) Fishing rod holder
US20100299988A1 (en) Rod holder
KR100693476B1 (ko) 낚시대용 받침대
KR101909422B1 (ko) 낚싯대용 거치대
KR101817904B1 (ko) 민물 낚시용 낚시 받침대
JP6265510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US2749067A (en) Support for fishing rod
KR200497491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KR102089168B1 (ko) 낚시 받침대 고정장치
KR200490275Y1 (ko) 낚시대용 다용도 거치대
KR102112196B1 (ko) 낚싯대 거치장치
JP6928736B2 (ja) リハビリ器具
KR200490705Y1 (ko) 낚싯대 거치구
KR20170002936U (ko) 낚시용 좌대
KR200408339Y1 (ko) 낚시대용 팔걸이대
JP2002176895A (ja) 釣り竿保持具
KR200221827Y1 (ko) 낚싯대 이탈 방지용 고정 장치
KR200415611Y1 (ko) 낚시대용 받침대
KR102140839B1 (ko) 낚시받침대
JP2006025759A (ja) 釣り竿受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