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337U - 낚시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시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337U
KR20100000337U KR2020080008844U KR20080008844U KR20100000337U KR 20100000337 U KR20100000337 U KR 20100000337U KR 2020080008844 U KR2020080008844 U KR 2020080008844U KR 20080008844 U KR20080008844 U KR 20080008844U KR 20100000337 U KR20100000337 U KR 201000003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eg
plate
fish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수성
Original Assignee
손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수성 filed Critical 손수성
Priority to KR2020080008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337U/ko
Publication of KR20100000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90)는 사각관으로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만곡된 호형으로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상면(111, 121)에 고정되어 낚시대(F)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헤드(200)와, 상기 바디(100)에 고정되어 지지하는 레그(300)로 구성되고, 상기 레그(300)는 하단에 첨예부(320)가 형성되고, 상단이 폐색되어 탭홀(330)이 형성된 관형상의 바(310)와, 상기 탭홀(330)에 체결되는 볼트(340)로 구성되는 낚시받침대(90)에 있어서; 상기 레그(300)는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100)에 레그(300)가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프(400)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바디(100)는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로 분할되고 상기 일측 바디(110)에 부착되어 상대측 바디(120)를 연결시키는 연결클램프(500)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클램프(500)의 전방에 전방레그(600)가 탈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레그(300)의 길이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바디(100)의 수평 조정이 가능하고, 레그(300)를 땅에 박은 후, 바디(100)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전방레그(600)가 더 구성됨으로써, 전방으로 전복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레그(300)를 회전시켜서 지면에 용이하게 박아넣을 수 있고, 수납이 용이하여 휴대가 편리한 낚시받침대(90)에 관한 것이다.
낚시받침대, 레그, 바디, 클램프

Description

낚시받침대{Fishing tackle supporter}
본 고안은 낚시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레그가 구성되고, 바디를 분리 및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측에 전방레그가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견고하게 낚시대를 지지할 수 있는 낚시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의 바디에 레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낚시받침대(1)는 다수 대의 낚시대(F)를 받치도록 하여 여러 마리의 물고기를 낚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낚시받침대(1)는 사각관으로서 호형으로 형성된 바디(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0)의 상면에 다수 개 배열되어 고정됨으로써 낚시대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헤드(20)가 구성되며, 상기 바디(10)에 고정되어 바디(10)를 지지하는 레그(30)로 구성된다.
상기 레그(30)는 하단에 첨예부(31)가 형성되어 땅에 용이하게 박히도록 하 고, 상단에는 폐색되어 탭홀(33)이 형성된 관형상의 바(35)와, 상기 탭홀(33)에 체결되는 볼트(37)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레그(3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상면에는 볼트(37)가 통과하는 볼트공(11)이 천공되고, 하면에는 상기 레그(30)가 삽입되는 관통구(13)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20)는 낚시대(F)를 끼워서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 기술에 의한 낚시받침대(1)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레그(30)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바(35)를 땅에 해머나 돌 등 중량체로써 타격하여 첨예부(31)가 지면에 박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35)의 상단이 상기 바디(10)의 관통구(13)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37)가 바디(10)의 볼트공(11)을 통과하여 바(35)의 상단에 형성된 탭홀(33)에 체결되도록 하여 레그(30)가 바디(10)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낚시대(F)의 찌를 물에 던져넣은 후, 상기 헤드(20)에 낚시대(F)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낚시받침대(1)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낚시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레그의 길이 조정이 불가하여, 바디의 수평을 맞추기가 곤란함으로써 낚시줄이 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서 지면이 경사진 경우, 각 레그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평을 맞출 수 있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불가하였고, 이로 인해서 바디가 경사지게 되어 다수 대의 낚시대가 경사지게 장착됨으로써, 낚시줄이 서로 얽히는 예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둘째, 레그가 바디에 고정되는 위치의 가변이 불가함으로써, 레그를 박기 좋은 땅에 박은 후, 상기 바디를 고정하게 되면, 바디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이 원하는 방향이 아닌 경우가 많다. 즉, 레그를 땅에 박은 후, 바디의 방향을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세째, 레그가 바디를 따라서만 고정됨으로써 전방으로 쓰러질 염려가 있었다. 일례로서 긴 낚시대가 전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전방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전방으로 쓰러지는 예가 많다.
네째, 레그를 땅에 중량체를 이용해서 박아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들고,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서, 물고기가 도망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상기 바디는 길이가 긴 호형이므로 수납이 불가하여 이송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는 사각관으로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만곡된 호형으로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고정되어 낚시대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헤드와,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바디를 지지하는 레그로 구성되고, 상기 레그는 하단에 첨예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폐색되어 탭홀이 형성된 관형상의 바와, 상기 탭홀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낚시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에 레그가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프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바디는 일측 바디와 상대측 바디로 분할되고 상기 일측 바디에 부착되어 상대측 바디를 연결시키는 연결클램프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클램프의 전방에 전방레그가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레그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여 바디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둘째, 레그를 땅에 박은 후, 바디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세째, 전방레그가 더 구성됨으로써, 전방으로 전복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네째, 레그를 회전시켜서 지면에 박아넣기 때문에, 종전처럼 중량체를 이용하여 가격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물고기가 도망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섯째, 바디가 일측 바디와 상대측 바디로 분할됨으로써 수납이 용이하여 휴대가 편리하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서 일측 바디와 상대측 바디를 결합하는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서 바디에 레그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서 연결 클램프에 전방레그가 장착되는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 구성되는 전방레그를 도시한 것으로서 풋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 구성되는 전방레그의 풋이 회동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 구성되는 전방레그를 도시한 국부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이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이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서 바디에 장착된 클램프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이볼트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서 바디에 장착된 클램프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이볼트가 장착되어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낚시받침대(90)는 다수 대의 낚시대(F)를 받치도록 하여 여러 마 리의 물고기를 낚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각관으로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만곡된 호형으로 형성된 바디(10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00)의 상면에 다수 개 배열되어 고정됨으로써 낚시대(F)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헤드(200)가 구성되며, 상기 바디(100)에 고정되어 바디(100)를 지지하는 레그(3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레그(300)는 하단에 첨예부(320)가 형성되어 땅에 용이하게 박히도록 하고, 상단은 폐색되어 탭홀(330)이 형성된 관 형상의 바(310)와, 상기 탭홀(330)에 체결되는 볼트(3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그(300)는 바디(100)의 수평 조정이 되도록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100)를 따라 레그(300)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레그(300)의 볼트(340)과 관통되는 클램프(400)가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바디(100)는 수납이 용이하도록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로 분할되고 상기 일측 바디(110)에 부착되어 상대측 바디(120)를 연결시키는 연결클램프(50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00)가 전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클램프(500)의 전방에 전방레그(600)가 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레그(300)는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310)를 상부바(311)와 하부바(314)로 분할되고, 하부바(314)가 상부바(311)에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부바(311)의 상방에는, 레그(3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 형상의 핸들(미도시)이 관통하는, 관통구(312)가 일측 외측면(C)에서 내측을 통과하여 상대측 외측면(D)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312) 하방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홀(313)이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홀(313)은 일측 외측면(C)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데, 상기 관통구(312)처럼 일측 외측면(C)에서 내측을 통과하여 상대측 외측면(D)으로 완전히 관통된 것은 아니지만, 상기 관통구(312)처럼 완전히 관통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하부바(314)에는 측방으로 홀(315)이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일측 외측면(S)에서 내측으로만 관통되는데, 상기 관통구(312)처럼 완전히 관통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314)의 내측에서 상기 홀(315)로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313)에 삽입되는 플런저(316)가 구성되는데, 상기 플런저(316)는 전방으로 홀(315)을 빠져나와 이탈하지 않도록 후방에 플랜지(L)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316)를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서 스프링(317)이 하부바(314) 내부에 삽입되어 플런저(316)를 후방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스프링(317)으로서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여 일측 종단이 상기 플런저(316)의 후방에 연결되어 하부바(314)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대측 종단이 하부바(314)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압축스프링을 상기 플런저(316)의 후방에 고정하여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홀(315)이 일측 외측면(S)에서 상대측 외측면(T)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것이면, 양측 대향하는 홀(315)에 상기 플런저(316)를 삽입하고, 각 플런저 (316) 사이에 스프링(317)을 개재하여 양측방으로 팽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첨예부(320)는 외측면에 나사산(323)이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에 의해 땅에 용이하게 박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그(300)를 바디(100)에 고정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바디(100)에 클램프(400)를 더 구성하는데, 상기 클램프(400)는 하방과 양측방이 개방되어 단면이 Π형으로서 내측으로 바디(100)가 끼워지고, 일측면(411)에 볼트공(413)이 형성되고 상대측면(415)에 상기 볼트공(413)에 대향하는 탭홀(417)이 형성된 커버(4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공(413)을 통해 탭홀(417)에 체결되어 커버(410)를 내측으로 수축하도록 하여 바디(100)에 고정되게 하는 아이볼트(420)가 구성되는 데,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이볼트(420)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공(413)이 형성된 커버(410)의 일측면(411)을 외측에서 가압하는 너트(430)가 더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볼트(420)의 헤드(425)에 형성된 홀(427)에 상기 레그(300)의 볼트(340)가 통과하여 바(310)의 탭홀(330)에 체결됨으로써 레그(300)를 바디(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프(400)는 아이볼트(420)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여 해체한 후, 원하는 바디(100)의 요소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디(100)는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바디(110)에 고정된 연결클램프(500)에 의해 상기 상대측 바디(120)가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클램프(500)는 일측 바디(110)가 부착되는 판상의 하판(511)과 상기 하판(511)의 후측(낚시대가 향하는 반대 방향)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판(519) 으로 형성된 브래킷(510)이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510)의 후판(519) 상단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를 가압하는 가압앵글(520)과 상기 브래킷(510)의 하판(511) 전방 종단에 힌지 연결되어 전방레그(600)가 탈착되는 탈착판(530)이 구성된다.
상기 하판(511)의 상면(513)에는 상대측 바디(120)에 삽입되는 돌기(515)가 다수 개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탭홀(5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앵글(520)은 판상으로서 상기 후판(519)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고 하면(522)에 상기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에 삽입되는 돌기(523)가 형성된 상판(521)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521)의 전방 종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의 두께(V) 보다 작게 연장되는 전판(524)과 상기 전판(524)의 하방 종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판(525)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판(525)에는 상기 탭홀(517)에 대응되는 볼트공(526)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공(526)을 관통해서 상기 탭홀(517)에 체결되는 볼트(527)로 구성된다.
상기 탈착판(530)은 상하로 관통되고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슬로트(531)가 형성되고 상기 슬로트(531)의 후방에는 슬로트(531)보다 폭이 큰 확장홀(533)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레그(600)는 상단이 폐색된 관형상의 바(610)와 상기 바(610)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탈착판(530)에 탈착되는 돌출부(640)로 구성되고, 상기 바(610)의 하단에는 땅에 지지되는 풋(630)이 구성된다.
상기 바(610)는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610)를 상부바(611)와 하부 바(615)로 분할되고, 하부바(615)가 상부바(6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바(611)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홀(612)이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홀(612)은 일측 외측면(P)에서 내측으로만 관통되는데, 상기 관통구(312)처럼 일측 외측면(P)에서 내측을 통과하여 상대측 외측면(Q)으로 완전히 관통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하부바(615)에는 측방으로 홀(616)이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일측 외측면(R)에서 내측으로만 관통되는데, 상기 관통(312)구처럼 완전히 관통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615)의 내측에서 상기 홀(616)로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612)에 삽입되는 플런저(617)가 구성되는데, 상기 플런저(617)는 전방으로 홀(616)을 빠져나와 이탈하지 않도록 후방에 플랜지(618)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617)를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서 스프링(619)이 하부바 (615) 내부에 삽입되어 플런저(617)를 후방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스프링(619)으로서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여 일측 종단이 상기 플런저(617)의 후방에 연결되어 하부바(615)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대측 종단이 하부바(615)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압축스프링을 상기 플런저(617)의 후방에 고정하여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방레그(600)에 있어서,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상부바(611)와 하부바(615)를 구성하고, 상부바(611)에 다수 개의 홀(612)을 형성하며, 하부바(615)에 홀(616)을 천공하여 플런저(617)가 스프링(619)에 의해 돌출되게 한 후, 상기 홀(612)로 관통되도록 하는 구성은 상기 레그(300)와 동일하다.
상기 돌출부(640)는 상부바(611)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로트(531)를 관통하는 축(641)과 상기 축(641)의 상단에서 측방으로 확장되는데 상기 확장홀(533)을 통과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슬로트(531)는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헤드(643)가 형성된다.
상기 풋(630)은 관형상인 하부바(615)의 하단에 삽입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탭홀(633)이 가공된 종단축(631)이 구성되고, 상기 종단축(631)의 하단이 통과하는 홀(637)이 상면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서 하단에 첨예한 돌출부(639)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형성된 지지부(635)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635)의 홀(637)을 관통하여 상기 탭홀(633)에 체결되는 볼트(636)로 구성되는데 상기 볼트(636)의 헤드는 상기 홀(637)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단축(631)이 하방으로 지름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종단축(631)의 하단이 지지부(635)의 홀(637)을 관통함으로써, 지지부(635)는 다양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일측 바디(110)는 상기 연결클램프(500)에 구성되는 하판(511)의 상면(513)에 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일측 바디(110)의 상면(111)에는 상기 가압앵글(520)에 구성되는 상판(521)의 돌기(523)가 삽입되는 통공(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대측 바디(120)는 하면(125)에 상기 하판(511)의 상면(513)에 형성된 돌기(515)가 삽입되는 통공(127)이 형성되고 상면(121)에는 상기 상판(521)의 돌기(523)가 삽입되는 통공(123)이 형성된다.
상기 아이볼트(42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도 13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레그(300)에 고정되는 고정부(710)와 상기 고정부(710)에 핀연결되어 상방으로만 회동하는 회동부(7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710)는 볼트(340)가 관통하는 홀(427)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헤드(425)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425)의 외측면에서 전방(낚시대가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네크(711)가 형성되며, 상기 네크(711)의 종단에서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삽입부(713)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713)의 선단(715)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715)의 상부는 모따기 또는 라운딩에 의해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다시 말해서, 선단(715) 상부의 꼭지점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713)의 넓은 면을 통해 관통하는 핀홀(717)이 천공된다.
상기 회동부(720)는 축 형상으로서, 상기 삽입부(713)가 끼워져 회동하도록 상하부 및 후방으로 개방된 홈(727)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717)에 대응되는 핀홀(725)이 측방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바디(721)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721)의 전방으로 나사산(729)이 형성된 나선축(728)이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바디(721)는 상기 커버(410)의 볼트공(413)을 통과하지 않도록 지름이 정해지고 상기 나선축(728)은 지름이 상기 볼트공(413)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핀홀(717, 725)을 관통하는 핀(730)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회동부(720)의 나선축(728)이 볼트공(413)을 지나서 탭 홀(417)에 체결되면, 바디(721)가 볼트공(413)을 통과하지 못함으로써, 커버(410)가 바디(100)를 압박하게 되어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에서 삽입부(713)의 선단(715)은 상기 홈(727)의 바닥면(723)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713)의 전방 상부가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부(720)는 상방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놓게 되면, 삽입부(713)의 선단(715)이 홈(727)의 바닥면(723)에 접하게 되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 바디(110)에 부착된 연결클램프(500)의 가압앵글(520)을 열어젖힌 후, 상대측 바디(120)의 하면(125)에 형성된 통공(127)에 브래킷(510)에 형성된 돌기(515)가 끼워지도록 한 후, 가압앵글(520)을 회전시켜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를 커버하도록 한다. 그러면, 가압앵글(520)의 상판(521)의 하면(522)에 형성된 돌기(523)가 상기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의 상면(111, 121)에 형성된 통공(113, 123)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527)가 연장판(525)의 볼트공(526)을 통과하도록 한 후, 상기 하판(511)의 탭홀(517)에 체결되도록 하면 가압앵글(520)이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하판(511)의 돌기(515)와 상판(521)의 돌기(523)가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의 통공(113, 123, 127)에 삽입됨으로써 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통공(113, 123, 127)에 돌기(515, 523)가 삽입됨으로써 측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전 판(524)이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의 두께(V)보다 짧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나서, 상기 레그(300)의 상부바(311)의 관통구(312)에 핸들(미도시)을 끼운 후, 첨예부(320)가 지면을 가압하도록 한 상태에서 핸들을 돌리게 되면, 첨예부(320)의 나사산(323)에 의해 땅속으로 용이하게 회전하면서 파고들어 가게 된다. 이런 식으로 상기 레그(300)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에 결합된 클램프(500)에 구성된 아이볼트(420)의 헤드(425)에 볼트(340)를 관통시키고 상기 레그(300)의 탭홀(330)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바디(10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레그(300)의 상부를 상부로 당기든지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는 데, 이때 플런저(316)가 수축된 후 팽창하여 상부바(311)의 홀(313)로 관통되어 돌출됨으로써 용이하게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경사진 지면에서도 바디(100)를 수평으로 맞출 수 있다.
또한, 전방레그(600)의 돌출부(640)에 구성된 헤드(643)가 상기 탈착판(530)의 확장홀(533)로 들어가도록 한 후, 전방으로 이송시켜 돌출부(640)에 구성된 축(641)이 슬로트(531)에 끼워지도록 한 후, 풋(630)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레그(300)와 같은 원리로 길이의 가변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탈착판(530) 및 상기 풋(630)을 구성하는 지지부(635)도 회동가능함으로써, 경사진 지면이나 바위에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400)가 바디(100)를 따라 용이하게 이송 가능함으로써, 레그(300)를 지면에 고정한 후, 바디(100)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200)에 낚시대(F)를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본 고안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3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이볼트(420)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720)가 상방으로만 회동됨으로써, 바디(100)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바디(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전방레버(600)를 연결클램프(500)에 장착한 후, 바디(100)를 놓게 되면, 보다 용이하게 연결클램프(500)와 지면 사이에 전방레버(60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바디(100)가 상방으로 회동하지 않는다면, 연결클램프(500) 하부의 지면이 높을 경우, 상기 연결클램프(500)와 지면 사이에 전방레버(600)를 끼워 넣기가 용이하지 않게 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의 바디에 레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서 일측 바디와 상대측 바디를 결합하는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서 바디에 레그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서 연결 클램프에 전방레그가 장착되는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 구성되는 전방레그를 도시한 것으로서 풋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 구성되는 전방레그의 풋이 회동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 구성되는 전방레그를 도시한 국부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이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 한 아이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서 바디에 장착된 클램프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이볼트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 받침대에서 바디에 장착된 클램프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이볼트가 장착되어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바디 200: 헤드
300: 레그 310, 610: 바
311, 611: 상부바 314, 615: 하부바
320: 첨예부 323: 나사산
340: 볼트 400: 클램프
410: 커버 420: 아이볼트
430: 너트 500: 연결클램프
510: 브래킷 511: 하판
519: 후판 520: 가압앵글
521: 상판 524: 전판
525: 연장판 530: 탈착판
531: 슬로트 533: 확장홀
600: 전방레버 630: 풋
631: 종단축 635: 지지부

Claims (6)

  1. 사각관으로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만곡된 호형으로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상면(111, 121)에 고정되어 낚시대(F)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헤드(200)와,
    상기 바디(100)에 고정되어 바디(100)를 지지하는 레그(300)로 구성되는 낚시받침대(90)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에 레그(300)가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프(400)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400)는 하방과 양측방이 개방되어 단면이 Π형으로서 내측으로 바디(100)가 끼워지며, 일측면(411)에 볼트공(413)이 형성되고 상대측면(415)에 상기 볼트공(413)에 대향하는 탭홀(417)이 형성된 커버(410)와,
    상기 볼트공(413)을 통해 탭홀(417)에 체결되는 아이볼트(420)가 구성되고,
    상기 레그(300)는 하단에 첨예부(320)가 형성되고, 상단이 폐색되어 탭홀(330)이 형성된 관 형상의 바(310)와,
    상기 아이볼트(420)의 헤드(425)를 관통하여 상기 탭홀(330)에 체결되는 볼트(340)가 구성되고,
    상기 레그(300)는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300)는 상기 바(310)가 상부바(311)와 하부바(314)로 분할되고, 하부바(314)가 상부바(3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바(311)의 상방에 관통구(312)가 일측 외측면(C)에서 내측을 통과하여 상대측 외측면(D)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312) 하방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홀(313)이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바(314)에 측방에서 내측으로 홀(315)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바(314)의 내측에서 상기 홀(315)로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313)에 삽입되는 플런저(316)가 구성되고,
    상기 플런저(316)는 후방에 플랜지(L)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316)를 가압하는 스프링(317)이 하부바(314) 내부에 삽입되어 구성되고,
    상기 첨예부(320)는 외측면에 나사산(3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3. 사각관으로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만곡된 호형으로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상면(111, 121)에 고정되어 낚시대(F)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헤드(200)와,
    상기 바디(100)에 고정되어 바디(100)를 지지하는 레그(300)로 구성되는 낚 시받침대(90)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는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로 분할되고 상기 일측 바디(110)에 부착되어 상대측 바디(120)를 연결시키는 연결클램프(5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램프(500)는 일측 바디(110)가 부착되는 판상의 하판(511)과 상기 하판(511)의 후측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판(519)으로 형성된 브래킷(510)이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510)의 후판(519) 상단에 힌지 연결되어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를 가압하는 가압앵글(520)이 구성되고,
    상기 하판(511)의 상면(513)에 상대측 바디(120)에 삽입되는 돌기(515)가 다수 개 형성되고 전방에 상하로 관통되는 탭홀(517)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앵글(520)은 판상으로서 상기 후판(519)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고 하면(522)에 상기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에 삽입되는 돌기(523)가 형성된 상판(521)이 구성되고,
    상기 상판(521)의 전방 종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일측 바디(110)와 상대측 바디(120)의 두께(V) 보다 작게 연장되는 전판(524)이 구성되고,
    상기 전판(524)의 하방 종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판(525)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판(525)에는 상기 탭홀(517)에 대응되는 볼트공(526)이 천공되고,
    상기 볼트공(526)을 통해 상기 탭홀(517)에 체결되는 볼트(527)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램프(500)의 전방에 전방레그(600)가 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510)의 하판(511) 전방 종단에 힌지 연결되어 전방레그(600)가 탈착되는 탈착판(530)이 구성되고,
    상기 탈착판(530)은 상하로 관통되고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슬로트(531)가 형성되고,
    상기 슬로트(531)의 후방에는 슬로트(531) 보다 폭이 큰 확장홀(533)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레그(600)는 상단이 폐색된 관형상의 바(610)와,
    상기 바(610)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슬로트(531)를 통해 확장홀(533)에 끼워지는 돌출부(6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볼트(420)는 상기 레그(300)에 고정되는 고정부(710)와,
    상기 고정부(710)에 핀연결되어 상방으로만 회동하는 회동부(720)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710)는 볼트(340)가 관통하는 홀(427)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헤드(425)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425)의 외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네크(711)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711)의 종단에서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삽입부(713)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713)의 선단(715)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715)의 상부는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720)는 축 형상으로서, 상기 삽입부(713)가 끼워져 회동하도록 홈(727)이 형성된 바디(721)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721)의 전방으로 나사산(729)이 형성된 나선축(728)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디(721)는 상기 커버(410)의 볼트공(413)을 통과하지 않도록 지름이 정해지고,
    상기 나선축(728)은 지름이 상기 볼트공(413)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KR2020080008844U 2008-07-02 2008-07-02 낚시받침대 KR201000003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44U KR20100000337U (ko) 2008-07-02 2008-07-02 낚시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44U KR20100000337U (ko) 2008-07-02 2008-07-02 낚시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37U true KR20100000337U (ko) 2010-01-12

Family

ID=4419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844U KR20100000337U (ko) 2008-07-02 2008-07-02 낚시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337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77A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마그마 수상 좌대용 폴대
KR102356665B1 (ko) * 2021-03-17 2022-02-08 임정희 상판 연결용 브라켓에 의해 인접한 상판들이 연결된 상판 조립체
KR20220041423A (ko) 2020-09-25 2022-04-01 김현진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KR20220002383U (ko) * 2021-03-29 2022-10-06 신정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US20220378031A1 (en) * 2021-06-01 2022-12-01 John William Hayes Fishing Rod Holder
KR20230009556A (ko) 2021-07-09 2023-01-17 최홍준 자립식 낚시받침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77A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마그마 수상 좌대용 폴대
KR20220041423A (ko) 2020-09-25 2022-04-01 김현진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KR102356665B1 (ko) * 2021-03-17 2022-02-08 임정희 상판 연결용 브라켓에 의해 인접한 상판들이 연결된 상판 조립체
KR20220002383U (ko) * 2021-03-29 2022-10-06 신정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받침대
US20220378031A1 (en) * 2021-06-01 2022-12-01 John William Hayes Fishing Rod Holder
KR20230009556A (ko) 2021-07-09 2023-01-17 최홍준 자립식 낚시받침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0337U (ko) 낚시받침대
US8033046B2 (en) Fishing rod holder
CA2578645C (en) Hockey stick rack system
US6338465B1 (en) Fishing rod holder
US3990537A (en) Portable seat
US8240079B2 (en) Fishing pole tender system
US10724672B2 (en) Auger support stand
US9426972B2 (en) Self hook setting rod holder
KR101961403B1 (ko) 낚싯대 받침용 지지구
US7743548B1 (en) Fishing pole holder
US2984039A (en) Hook setting mechanism for fishing rods and poles
KR200428736Y1 (ko) 낚싯대 받침구
US20200404893A1 (en) Dip net provided with lockable and foldable handle
KR101289476B1 (ko) 보트용 낚싯대 받침틀 어셈블리
KR101357831B1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KR200458634Y1 (ko)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JP2009195252A (ja) 釣竿受具の使用方法
KR200496798Y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낚시대 받침대
KR200327124Y1 (ko) 낚싯대 받침구
US8381428B2 (en) Portable fishing pole holder
JP3224646U (ja) 釣り竿ホルダ
JP4401903B2 (ja) 釣竿受具
KR200361577Y1 (ko) 낚시대용 받침대
CN211129488U (zh) 钓竿支架
KR200459298Y1 (ko)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