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634Y1 -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634Y1
KR200458634Y1 KR2020100009285U KR20100009285U KR200458634Y1 KR 200458634 Y1 KR200458634 Y1 KR 200458634Y1 KR 2020100009285 U KR2020100009285 U KR 2020100009285U KR 20100009285 U KR20100009285 U KR 20100009285U KR 200458634 Y1 KR200458634 Y1 KR 200458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shing
fitting piece
angl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산
Original Assignee
박동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산 filed Critical 박동산
Priority to KR2020100009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6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634Y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 형성되어 고정못에 의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지지대의 끼움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는 회동핀에 의하여 일측이 관통되는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의 상단에 구비된 연결부로 이루어진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연결부 상단에 구비되어 낚시받침대가 끼움되는 홀딩관과;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고 나선이 형성된 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삽입홀에 나선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편의 타측을 관통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선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편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2결합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로 낚시받침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시받침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시받침대 거치장치{Apparatus for mounting of Fishing rod supporter}
본 고안은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구조로 낚시받침대를 견고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낚시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강이나 호수, 바다로 나가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일에 찌든 도시인들에게 휴식 및 안식을 주는 등 매우 건전한 레저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낚시는 오랜 시간 인내를 필요로 하는 레저생활로서, 물고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낚싯대를 수면과 일정한 각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낚싯대에 물고기가 걸릴 때까지 일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앞서 말한 것처럼 물고기를 잡기 위해서는 찌를 단 낚싯대를 물에 던져 잠기게 한 후 손으로 장시간 동안 낚싯대를 잡고 있어야만 한다. 이렇게 장시간동안 낚싯대를 잡고 유지하는 행위는 사람의 몸에 큰 피로를 가져오게 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낚싯대를 고정하기 위한 장비가 사용된다.
낚싯대를 고정하기 위해 통상적으로는 낚싯대의 중간부분을 받쳐주는 낚시받침대와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꽂이를 한 쌍으로 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낚시받침대는 종래에도 많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에 출시된 제품들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거나 낚시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낚싯대가 거치되는 낚시받침대의 각도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받침대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는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 형성되어 고정못에 의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지지대의 끼움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는 회동핀에 의하여 일측이 관통되는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의 상단에 구비된 연결부로 이루어진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연결부 상단에 구비되어 낚시받침대가 끼움되는 홀딩관과;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고 나선이 형성된 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삽입홀에 나선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편의 타측을 관통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선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편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2결합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딩관의 상단에는 제1,2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홀에는 가압볼트와 뒷꽂이가 각각 나선결합되어 홀딩관에 끼움되는 낚시받침대의 표면을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낚시받침대 거치장치는 조절볼트를 회전하는 동작만으로 회동부의 각도가 조절되므로 낚시받침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압볼트와 뒷꽂이에 의하여 낚시받침대의 표면이 가압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낚시받침대를 홀딩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에 거치된 낚시받침대의 각도조절모습을 보인 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에 거치된 낚시받침대의 각도조절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A1)는 수면과 평행이 되거나 수면에서 약 15ㅀ~30ㅀ 정도의 경사각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며, 이러한 낚싯대(A1)의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낚싯대(A1)의 중간부분을 하부에서 받치는 낚시받침대(A2)와 낚싯대(A1)의 손잡이에 가까운 부분을 받치는 뒷꽂이(45)를 쌍으로 구성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낚시받침대(A2)를 거치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판(20)과, 상기 지지대(10)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회동부(30)와, 상기 회동부(30)의 상단에 구비되어 낚시받침대(A2)가 끼움되는 홀딩관(40)과, 상기 회동부(3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일방향 길이가 타방향 길이보다 긴 직사사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그 전체적인 형상이 아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대(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11)이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부분을 회동핀(12)이 관통한다.
상기 고정판(20)은 상기 지지대(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판(20)에는 고정홀(21)이 형성되고, 이 고정홀(21)에는 고정못(22)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못(22)은 바닥면에 박혀서 고정판(20)이 바닥면으로부터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동부(30)는 상기 지지대(10)의 끼움홀(11)에 삽입되는 끼움편(31)과, 상기 끼움편(31)의 상단에 구비되는 연결부(32)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편(31)은 상기 지지대(10)의 끼움홀(11)에 삽입되되, 일측에 상기 지지대(10)의 회동핀(12)에 관통되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편(31)은 상기 회동핀(12)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32)는 상기 끼움편(3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은 움푹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딩관(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부(32)는 내부에 복수개의 연결홀(3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딩관(40)에도 상기 연결홀(32a)과 연통되는 연통홀(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홀(32a)과 연통홀(41)에 동시에 삽입되는 연결봉(33)에 의하여 회동부(30)의 연결부(32)와 홀딩관(40)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 홀딩관(40)은 상기 회동부(30) 연결부(32)의 상단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낚시받침대(A2)가 내부에 끼움된다.
이러한 홀딩관(40)의 상단 일측에는 제1결합홀(42)이 형성되고, 상단 타측에는 제2결합홀(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홀(42)에는 가압볼트(44)가 나선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결합홀(43)에는 뒷꽂이(45)가 나선결합되어 설치된다. 이렇게 제1결합홀(42)과 제2결합홀(43)에 각각 설치된 가압볼트(44)와 뒷꽂이(45)는 홀딩관(40)에 끼움되는 낚시받침대(A2)의 표면을 가압하여 낚시받침대(A2)가 홀딩관(4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각도조절부(50)는 상기 회동부(30)의 끼움편(31) 타측에 결합되어 회동부(3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고정봉(51)과, 상기 고정봉(51)에 나선결합되는 조절볼트(52)와, 상기 조절볼트(52)에 나선결합되는 제1,2결합너트(53,5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봉(51)은 상기 지지대(10)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그 위치는 상기 회동핀(12)과 상기 지지대(10)의 끝단 사이를 관통한다. 이러한 고정봉(51)의 중앙에는 나선이 형성된 삽입홀(51a)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볼트(52)는 머리부가 상기 지지대(1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나선이 형성된 기둥부가 상기 고정봉(51)의 삽입홀(51a)에 나선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부(30) 끼움편(31)의 타측을 관통한다.
상기 제1결합너트(53)는 상기 조절볼트(52)의 기둥부에 나선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위치는 상기 고정봉(51)과 상기 회동부(30)의 끼움편(31) 사이에 위치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결합너트(53)는 조절볼트(52)에 나선결합되되, 상기 끼움편(31)의 타측 상면에 접촉된다.
상기 제2결합너트(54)는 상기 조절볼트(52)의 기둥부에 나선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위치는 상기 회동부(30) 끼움편(31)의 저면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제1결합너트(53)와 제2결합너트(54)는 상기 회동부(30) 끼움편(31)의 타측을 위/아래에서 잡아주므로, 상기 조절볼트(52)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회동부(30)가 회동핀(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절볼트(52)의 머리부가 상기 지지대(10) 쪽으로 가깝게 가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부(30)의 끼움편(31) 타측은 상기 제1결합너트(53)에 밀려서 일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홀딩관(40)이 일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낚시받침대(A2)의 각도가 조절된다.
반대로, 상기 조절볼트(52)의 머리부가 상기 지지대(10)에서 멀어지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부(30)의 끼움편(31) 타측은 상기 제2결합너트(54)에 밀려서 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홀딩관(40)이 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낚시받침대(A2)의 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관(40) 복수개를 병렬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한 번의 조절볼트(52) 조작만으로 여러 개의 낚시받침대(A2)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홀딩관(40)을 병렬연결하는 경우에는 회동부(30)의 끼움편(31)과 연결부(32) 사이에 안착패널(34)을 구비시키고, 그 안착패널(34) 위에 복수개의 홀딩관(40)을 배치하면 된다. 이러한 안착패널(34)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낚시받침대 거치장치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다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10: 지지대 11: 끼움홀
12: 회동핀 20: 고정판
21: 고정홀 22: 고정못
30: 회동부 31: 끼움편
32: 연결부 32a: 연결홀
33: 연결봉 34: 안착패널
40: 홀딩관 41: 연통홀
42: 제1결합홀 43: 제2결합홀
44: 가압볼트 45: 뒷꽂이
50: 각도조절부 51: 고정봉
51a: 삽입홀 52: 조절볼트
53: 제1결합너트 54: 제2결합너트
A1: 낚싯대 A2: 낚시받침대

Claims (3)

  1.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11)이 형성된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양단에 형성되어 고정못(22)에 의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판(20)과;
    상기 지지대(10)의 끼움홀(1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10)를 관통하는 회동핀(12)에 의하여 일측이 관통되는 끼움편(31)과, 상기 끼움편(31)의 상단에 구비된 연결부(32)로 이루어진 회동부(30)와;
    상기 회동부(30)의 연결부 상단에 구비되어 낚시받침대(A2)가 끼움되는 홀딩관(40)과;
    상기 회동부(30)의 끼움편(31) 타측에 결합되어 회동부(3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50)는 상기 지지대(10)를 관통하고 나선이 형성된 삽입홀(51a)이 형성되는 고정봉(51)과;
    상기 고정봉(51)의 삽입홀(51a)에 나선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편(31)의 타측을 관통하는 조절볼트(52)와;
    상기 조절볼트(52)에 나선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편(31)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2결합너트(53,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딩관(40)의 상단에는 제1,2결합홀(42,43)이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홀(42,43)에는 가압볼트(44)와 뒷꽂이(45)가 각각 나선결합되어 홀딩관(40)에 끼움되는 낚시받침대(A2)의 표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KR2020100009285U 2010-09-03 2010-09-03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KR200458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285U KR200458634Y1 (ko) 2010-09-03 2010-09-03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285U KR200458634Y1 (ko) 2010-09-03 2010-09-03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634Y1 true KR200458634Y1 (ko) 2012-03-07

Family

ID=7307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285U KR200458634Y1 (ko) 2010-09-03 2010-09-03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6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327B1 (ko) * 2012-06-21 2012-12-18 문병진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KR200479588Y1 (ko) 2014-05-07 2016-02-15 박현철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
KR102237476B1 (ko) 2020-05-11 2021-04-06 전기숙 낚싯대 받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608A (ja) 1998-05-06 2000-01-25 Hiroshi Okada 竿掛け装置
KR200189384Y1 (ko) 2000-02-15 2000-07-15 장영기 낚시받침대의 각도조절장치
KR200212241Y1 (ko) 2000-08-18 2001-02-15 이만수 각도조절이 용이한 낚싯대용 받침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608A (ja) 1998-05-06 2000-01-25 Hiroshi Okada 竿掛け装置
KR200189384Y1 (ko) 2000-02-15 2000-07-15 장영기 낚시받침대의 각도조절장치
KR200212241Y1 (ko) 2000-08-18 2001-02-15 이만수 각도조절이 용이한 낚싯대용 받침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327B1 (ko) * 2012-06-21 2012-12-18 문병진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KR200479588Y1 (ko) 2014-05-07 2016-02-15 박현철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
KR102237476B1 (ko) 2020-05-11 2021-04-06 전기숙 낚싯대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634Y1 (ko)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CA2578645C (en) Hockey stick rack system
KR101699411B1 (ko) 낚시대용 받침장치
US8033046B2 (en) Fishing rod holder
US8800196B2 (en) Multi-application, portable fishing rod holder
KR101213327B1 (ko)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US9426972B2 (en) Self hook setting rod holder
US20200269114A1 (en) Adjustable hanging assembly for flow generating device
KR20160120595A (ko) 낚시 좌대 장착용 낚시대받침구 지지장치
KR20180115483A (ko) 낚시받침대 받침틀
KR200439232Y1 (ko) 낚시대 받침구
US20080295382A1 (en) Portable Fishing Pole Holder
KR20100000337U (ko) 낚시받침대
KR200460462Y1 (ko)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US6467110B1 (en) Dock post supported hammock
US2561046A (en) Fishing rod holder
KR101357831B1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US7700864B1 (en) Lockable throw-off for snare drum
EP2918209A1 (en) Ham stand
KR101901785B1 (ko) 양봉 계상통 내검기용 위치 조정구
KR101289476B1 (ko) 보트용 낚싯대 받침틀 어셈블리
EP1969973A3 (fr) Dispositif de réglage du niveau vertical d'un élément support de type latte ou plateau pour sommier ou siège
KR200327124Y1 (ko) 낚싯대 받침구
CN203762107U (zh) 一种垂钓用鱼竿支架
US8381428B2 (en) Portable fishing pol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326

Effective date: 201303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411

Effective date: 201309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