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588Y1 -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 - Google Patents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588Y1
KR200479588Y1 KR2020140003546U KR20140003546U KR200479588Y1 KR 200479588 Y1 KR200479588 Y1 KR 200479588Y1 KR 2020140003546 U KR2020140003546 U KR 2020140003546U KR 20140003546 U KR20140003546 U KR 20140003546U KR 200479588 Y1 KR200479588 Y1 KR 200479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circular
rubber
boat
rubber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124U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박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철 filed Critical 박현철
Priority to KR2020140003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58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5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고무보트 튜브면에 접착고정되는 접착결합수단과 접착결합 위에 설치되면서 접착결합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지지수단과 지지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낚시대 삽입수단으로 구성되는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 {Putting appliance injecting fishing rod for rubber boat}
본 고안은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낚시대를 펼친상태로 하시라도 즉시 사용할 수 있게하는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로서 고무보트의 튜브 상면에 접착고정되는 접착결합수단과 접착결합수단에 의하여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측부에 대칭되게 양측으로 확장시킨 단부에 낚시대를 삽입하는 원통상 관체를 결합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지지수단과 지지수단에 결합 고정되는 원통관체의 낚시대 삽입수단으로 구성된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고무보트는 한 평 이하의 1인용 또는 2인용의 고무보트로서 장소가 협소하여 낚시대를 펼친 상태로 둘 수 없으므로 접은 상태로 두었다가 사용시에 펼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으나 낚시대를 접은 상태에서 펼치는 작업에는 시간이 소요되므로 각각 다른 기능을 갖는 낚시대나 다른 치수의 낚시대 다수 개를 펼쳐서 보트 내의 적당한 장소에 끼워 걸쳐 두었다가 상황에 맞게 적기, 적소에서 보트 내의 적당한 장소에 끼워 걸쳐두는 경우는 노를 사용하거나 장착된 모터에 의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보트가 요동하게 됨으로써 끼워 걸쳐 두었던 낚시대가 이탈하여 수중으로 떨어져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 밖에도 낚시대를 펼친 상태로 좁은 보트 내에 놓아두는 것은 복잡하고 겉치장 서러우며 특히 낚시대에 걸린 물고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일어서는 동작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동작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균형을 잃게 되면 펼쳐진 낚시대를 밟아 부러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심하던 중 고무보트 제작자인 본 고안자는 고무보트의 좁은 공간을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낚시대를 펼친 상태에서 필요시에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를 고안하게 되었다.
종래 낚시대 거치대는 뭍에서 낚시줄을 드리운 상태의 낚시대를 거치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낚시대 거치 받침대로서 V자 또는 U형으로 구부린 철사의 하단 중심부에서 연장되는 철사를 대나무 상단에 꽂아 고정시키고 대나무의 하단을 철재로 된 날카로운 꽂이부의 캡에 꽂아 고정시킨 낚시대 거치구(대)로서 낚시대 거치구의 꽂이부 홈에 낚시대의 중심이 앞쪽으로 오도록 하여 낚시대의 전단을 땅에 놓아 거치하는 낚시대 거치대라할 수 있고 뭍에서 사용하는 낚시대 거치대의 다른 예로서 일정길이의 반원형 관상체의 하측 원주면 중심부에 구멍 뚫린 결합편을 돌출시켜 꽂이봉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 뚫린 U자형 결합편 사이에 원주면에 형성된 결합편을 삽입하여 구멍에 나사로 체결하여 반원형 관상체가 전후 일정각도를 회전하게 되어 있는 구성의 삽입거치구가 있다.
상술한 낚시대 거치구(거치대)는 뭍에서는 사용할 수 있지만 고무보트에는 낚시 거치대를 꽂을 수 없으므로 사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 고무보트에서는 펼친 낚시대를 의자와 튜브 사이나 보트 내에 있는 적당한 홈에 끼워 비스듬하게 거치해 둘 수밖에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낚시대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끈이 달린 벨크로 커버로 낚시대의 손잡이를 고정 시키고 벨크로 커버에 연결된 끈을 보트 내의 적당한 곳에 묶어 두는 것이 고작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고무보트의 좁은 공간을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하고 낚시대를 펼친 상태에서 필요시에 즉시 사용할 수 있고 낚시대의 유실이나 손상 없이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접착 결합수단 (A)로서 고무보트(R)의 원주면의 곡면과 일치하는 곡면을 갖는 곡면 고정판(A1)의 상면 중심부에 터널형 공간부(A2)가 형성되어 있고 터널형 공간부(A2)에는 너트(A3)가 삽입고정되어 있으며 이 너트(A3)와 체결되는 고정링(A4)을 구비한 볼트(A5)가 마련되어 있어 지지수단(B)인 지지체(B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B2)을 너트(A3)와 볼트(A5) 사이에 체결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지지체의 중간에는 수평으로 꺾임선(B3)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체(B1)의 상측부에 대칭되게 양측으로 확장시킨 단부에는 각각 원형공(B4)이 형성되어 있고 낚시대 삽입수단(C)으로 앞쪽의 원형관체(C1)의 후단에는 숫나선(C2)이 형성되어 있고 뒤쪽 원형관체(C3)의 전단에는 암나선(C4)이 형성되어 있어 원형관체(C1)와 원형관체(3C) 사이에 지지체의 원형공(B4)을 삽입시켜 원형관체(C1)와 원형관체(C3)를 체결하므로서 하나의 낚시대 삽입관체가 형성되며 원형관체(C3) 후단에는 낚시대(D)중심 돌출부(D1)를 삽입하는 삽입편(C5)이 결합되어 있는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F)를 제공함으로써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본 고안의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는 고무보트 내에 설치된 탄성의자 바로 뒤쪽 양측으로 고무튜브 상면에 고무보트 길이 방향으로 낚시대가 약간 경사지게 놓이도록 고정되어 설치됨으로써 고무보트의 좁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낚시질을 함에 있어 삽입거치구에 삽입되어 펼쳐진 낚시대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으며 필요시에는 즉시 낚시대를 빼내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시대의 유실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거치구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거치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거치구 지지체의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거치구에 낚시대를 삽입 거치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낚시대 삽입거치구를 고무보트에 설치한 상태도
본 고안은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거치구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무보트(R)의 튜브(R1) 위에 접착결합수단(A)으로서 고무보트(R)의 고무튜브(R1) 원주면의 곡면과 일치하는 곡면을 갖는 곡면 고정판(A1)의 상면 중심부에 터널형 공간부(A2)가 형성되어 있고 터널형 공간부(A2)에는 너트(A3)가 삽입고정되어 있으며 이 너트(A3)와 체결되는 고정링(A4)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A5)가 마련되어 있어 지지수단(B)인 지지체(B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B2)을 너트(A3)와 볼트(A5) 사이에 체결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지지체의 중간에는 수평으로 꺾임선(B3)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체(B1)의 상측부에 대칭되게 양측으로 확장시킨 단부에는 각각 원형공(B4)이 형성되어 있고 낚시대 삽입수단(C)으로 앞쪽의 원형관체(C1)의 후단에는 숫나선(C2)이 형성되어 있고 뒤쪽 원형관체(C3)의 전단에는 암나선(C4)이 형성되어 있어 원형관체(C1)와 원형관체(C3) 사이에 지지체의 원형공(B4)을 삽입시켜 원형관체(C1)와 원형관체(C3)를 체결함으로써 연결된 하나의 낚시대 삽입관체가 형성되며 원형관체(C3) 후단에는 낚시대(D)의 중심돌출부(D1)를 삽입하는 삽입편(C5)이 결합되어 있는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F)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서 지지체(B1)에 있는 꺾임선은 원래 수직 평판인 지지체(B1)를 꺾임선을 따라 내측으로 15°~30°범위로 꺾임으로써 생성된 꺾임선으로 내측각은 150°~165°범위의 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꺾임선을 기준하여 내측으로 꺾임으로써 낚시대가 바깥쪽으로 빠지지않게 경사각을 준 것이고 꺾임각을 크게 하면 낚시대의 끝이 높아져 좁은 수로를 통과할 시 수로 내측으로 드리워진 나뭇가지 등에 걸릴 수 있고 낚시질을 하고 있는 낚시줄을 던질 때나 들어올리는 낚시줄과 펼쳐진 낚시줄이 걸리거나 엉킬 수 있다. 반면에 꺾임각이 없으면 펼쳐진 낚시대가 수평으로 놓이게 되어 낚시대가 빠져나와 유실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지지체(B)의 상측부의 양측으로 확장되는 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원형공(B4)이 형성되어 모두 2개의 낚시대를 삽입 거치 할 수 있는 지대의 구성이고 도 2에서와 같이 좌우측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공(B4)이 2개씩 모두 4 개의 원형공이 형성됨으로써 4개의 원형공에 원형관체(C1) 및 원형관체(C3)를 결합시키면 4개의 낚시대를 삽입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의 지지체가 된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한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F)는 도4에서와 같이 낚시꾼이 앉는 의자(R3) 바로 뒤쪽 양측으로 고무튜브(R1) 상면에 고무보트(R)의 길이 방향으로 낚시대(D)가 놓이도록 설치함으로써 고무보트의 좁은 내측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낚시질을 함에 있어 펼쳐진 낚시대에 의해 방해를 받지않고 필요시에는 즉시 낚시대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시대의 유실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라 할 수 있다.
A……접착결합수단 D……낚시대
A1……곡면고정판 D1……낚시대 중심돌출부
A2……터널공간부 D2……손잡이
A3……너트 F……낚시대 삽입거치구
A4……고정링 R……고무보트
A5……볼트 R1……고무튜브
B……지지수단 R2……바닥면
B1……지지체 R3……의자
B2……체결홈 R4……끈 안내구
B3……꺾임선 R5……끈
B4……원형공
C……낚시대 삽입수단
C1……앞측 원형관체
C2……숫나선
C3……후측 원형관체
C4……암나선
C5……삽입편

Claims (2)

  1. 곡면고정판(A1)의 상면 중심부에 터널형 공간부(A2)가 형성되어 있고 터널형 공간부(A2)에는 너트(A3)가 삽입고정되어 있으며 이 너트(A3)와 체결되는 고정링(A4)을 구비한 볼트(A5)가 마련되어 있어 지지체(B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B2)을 너트(A3)와 볼트(A5) 사이에 체결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지지체의 중간에는 수평으로 꺾임선(B3)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체(B1)의 상측부에 대칭되게 양측으로 확장시킨 단부에는 각각 원형공(B4)이 형성되어 있고 낚시대 삽입수단으로 앞쪽의 원형관체(C1)의 후단에는 숫나선(C2)이 형성되어 있고 뒤쪽 원형관체(C3)의 전단에는 암나선(C4)이 형성되어 있어 원형관체(C1)와 원형관체(C3) 사이에 지지체의 원형공(B4)을 삽입시켜 원형관체(C1)와 원형관체(C3)를 체결하므로서 일체로 된 낚시대 삽입관체가 형성되며 원형관체(C3)의 후단에는 낚시대 중심돌출부(D1)를 삽입하는 삽입편(C5)이 결합되어 있는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거치구.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B1)가 상측부에 대칭되게 양측으로 확장시킨 단부에 원형공(B4)이 각각 2개씩 4개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거치구.
KR2020140003546U 2014-05-07 2014-05-07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 KR200479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546U KR200479588Y1 (ko) 2014-05-07 2014-05-07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546U KR200479588Y1 (ko) 2014-05-07 2014-05-07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24U KR20150004124U (ko) 2015-11-17
KR200479588Y1 true KR200479588Y1 (ko) 2016-02-15

Family

ID=5486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546U KR200479588Y1 (ko) 2014-05-07 2014-05-07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58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981Y1 (ko) 2003-05-20 2003-08-09 서울전력주식회사 보트의 낚시대 거치 구조
KR200447541Y1 (ko)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200458634Y1 (ko) 2010-09-03 2012-03-07 박동산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KR200460462Y1 (ko) 2010-06-07 2012-05-29 문병진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981Y1 (ko) 2003-05-20 2003-08-09 서울전력주식회사 보트의 낚시대 거치 구조
KR200447541Y1 (ko)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200460462Y1 (ko) 2010-06-07 2012-05-29 문병진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KR200458634Y1 (ko) 2010-09-03 2012-03-07 박동산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24U (ko)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6009B2 (en) Hanger strap and shoulder covers
US20140366427A1 (en) Hose Holder and Method
US8869998B2 (en) Equipment support system for vessels
US9115948B2 (en) Support apparatus
US7246463B1 (en) Christmas tree support assembly
KR101839928B1 (ko) 낚시대 거치구
CA2871810A1 (en) Upright garment bag with an interior and exterior hanging system
US8839549B2 (en) Hose holder and method
US20160114734A1 (en) Equipment Support System For Vessels
KR200479588Y1 (ko) 고무보트용 낚시대 삽입 거치구
JP2016047218A (ja) ハンガー吊り具
US20180070568A1 (en) Top water lure bait
KR102075116B1 (ko) 낚시용 루어
KR100792228B1 (ko) 낚싯대용 받침대
US8317147B1 (en) Solar light stick holder device
JP5296943B2 (ja) 歩行しながら魚釣りをするための釣り竿ホルダ
KR100866996B1 (ko) 낚싯대용 받침대
US2765926A (en) Newspaper and magazine rack
US613543A (en) James m
KR20150068562A (ko) 낚시용 받침대
KR20110001820U (ko) 바지 걸이대의 걸이봉
US20060231038A1 (en) Bird feeder accessory
KR102539831B1 (ko)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USD842461S1 (en) Sleeve for securing intravenous tubes on a patient
US11344013B1 (en) Fishook and line holder, fishing pole with holder, kit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