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654A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654A
KR20060020654A KR1020057023074A KR20057023074A KR20060020654A KR 20060020654 A KR20060020654 A KR 20060020654A KR 1020057023074 A KR1020057023074 A KR 1020057023074A KR 20057023074 A KR20057023074 A KR 20057023074A KR 20060020654 A KR20060020654 A KR 20060020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ishing rod
taper
repai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5714B1 (ko
Inventor
쇼타로 타니가와
키요히코 마츠모토
야스유키 오소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02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이 낚싯대는 예를 들어, 선측 단부 내주면(內周面)에 감합자부(2a, 嵌合雌部)를 가지는 원상대(2)와, 원상대(2)의 수선(穗先) 측에 연결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상체(筒狀體)이며, 장대 기단 측 단부 외주면(外周面)에 다른 부분보다 일단 대경화(大徑化)하고 있고 또한 감합자부(2a)의 테이퍼에 정합(整合)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는 감합웅부(3a, 嵌合雄部)를 가지는 중대(3)를 구비한다. 원상대(2)의 수선 측 외주면에는, 수선 측 단가장자리로부터 감합자부(2a)의 영역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수선 측만큼 외경이 소경화(小徑化)하는 모따기 부분(10)이 형성된다. 또한, 원상대(2)의 수선 측 외주면에는, 수선 측 단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감합자부(2a)의 영역을 넘어 장대 기단 측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 도포되고 또한 모따기 부분(10)의 장대 기단 측의 영역에서는 축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변화하지 않도록 도포되어 있는 도막층(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대(3)의 감합웅부(3a)는, 원상대(2)의 수선 측으로 중대(3)가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원상대(2)의 내부에 완전하게 수납되어 있다.
낚싯대, 원상대, 중대, 도막층, 초릿대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본 발명은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되어 있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근시(近時)의 많은 낚싯대는,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긴 낚싯대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뽑이 형식으로 불리는 연결 수법을 채용한 낚싯대는, 수선(穗先) 측 단부 내주(內周)를 감합자부(嵌合雌部)로 하는 대경(大徑) 장대와, 장대 기단 측 단부 외주(外周)를 감합웅부(嵌合雄部)로 하여 대경 장대의 수선 측에 연결되는 소경(小徑) 장대를 가지고 있다. 이 뽑이 형식의 낚싯대에서는, 대경 장대 내에 수선 측으로부터 소경 장대가 삽입되어 뽑고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낚시를 행할 때에는 각 장대를 순차로 수선 측으로 뽑아내어 감합 고정하여 한 개의 장대로서 이용한다. 한편, 수납 시에는 수선 측의 장대를 순차로 장대 기단 측의 장대 내에 수납하여 컴팩트한 상태로 한다.
또한, 병계(竝繼) 형식으로 불리는 연결 수법을 채용한 낚싯대도, 상기의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대경 장대와 소경 장대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수법에서는, 소경 장대는 대경 장대의 내부에 뽑고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 않다. 개개의 장대를 사용 시에 순차로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한다. 그 외, 인롱(印籠, 접합부의 재(材)의 한쪽 단의 일부를 돌출시키고, 다른쪽 단의 일부를 움푹 패게 하여 연결하는 것) 이음으로 불리는 연결 수법도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수법으로 복수의 장대가 연결되어 한 개의 낚싯대가 구성되어 있지만,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는 낚싯대에서 생기는 문제에, 낚싯대의 구부러짐이 연속적인 것이 되기 어렵다고 하는 것이 있다.
즉,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는 경우, 장대끼리의 연결 부분에서는 2개의 장대가 서로 겹치게 된다. 그리고 장대가 2중으로 겹치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구부러지기 어려워진다. 낚싯대는, 채비에 물고기가 걸렸을 때에, 손잡이 측의 장대로부터 수선 측의 장대까지 연속적으로 깨끗한 호를 그리도록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며, 물고기를 낚아 올릴 때의 조작성도 양호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장대끼리의 연결 부분에서의 구부러짐을 양호하게 하여, 낚싯대 전체적으로 연속적으로 깨끗한 호를 그릴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궁리가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장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의 소재의 탄성을 조정하고, 혹은 연결 부분을 구성하는 섬유 강화 수지 소재의 섬유의 배향 방향을 조정하는 등의 궁리가 제안되어 왔다 (일본국 특허 : 공개특허공보 2000-236782호 공보 등 참조).
이와 같이, 장대의 소재의 특성 등에 관하여 여러 가지 궁리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반드시 낚시꾼의 요청에 충분히 응할 수 있을 만한 낚싯대는 아직도 제공되고 있지 않으며, 새로운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전체의 구부러짐으로서 연속적인 깨끗한 호를 그릴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장대를 구성하는 소재 자체의 탄성·강성 등의 특성을 조정하는 것은 다른 관점에서, 낚싯대의 연속적인 구부러짐을 확보하는 수법도 예리 연구하고, 장대의 연결 부분의 형상·도장 수법 등을 설정하는 것으로, 외관상·시각적으로도 낚싯대가 연속적인 깨끗한 호를 그릴 수 있는 것을 지견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싯대는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상체(筒狀體)이며, 수선 측 단부 내주면에 감합자부를 가지는 제1 장대와, 제1 장대의 수선 측에 연결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상체이며, 장대 기단 측 단부 외주면에 다른 부분보다 일단 대경화하고 있고 또한 감합자부의 테이퍼에 정합(整合)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는 감합웅부를 가지는 제2 장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장대의 수선 측 외주면에는, 수선 측 단가장자리로부터 감합자부의 영역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수선 측만큼 외경이 소경화하는 모따기 테이퍼가 시행되어 있으며, 제1 장대의 수선 측 외주면에는, 수선 측 단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감합자부의 영역을 넘어 장대 기단 측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 도포되고 또한 모따기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 측의 영역에서는 축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변화하지 않도록 도포되어 있는 도막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장대의 감합웅부는, 제1 장대의 수선 측으로 제2 장대가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제1 장대의 내부에 완전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낚싯대에서는, 제1 장대와 제2 장대를 연결할 때에는, 제1 장대의 감합자부에 제2 장대의 감합웅부가 감착(嵌着)한다. 제1 장대와 제2 장대가 뽑이 형식인 경우에는, 제2 장대를 제1 장대의 내부로부터 뽑아내어 상호 연결한다. 제1 장대와 제2 장대가 병계 형식인 경우에는, 제2 장대의 감합웅부를 제1 장대의 수선 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상호 연결한다.
여기에서는, 감합웅부와 감합자부의 테이퍼를 통일화하고, 제1 장대와 제2 장대가 연속적으로 둘레면에서 접촉하고 있다. 이어서, 제1 장대의 수선 측 외주면의 수선 측만큼 외경이 소경화하는 모따기 테이퍼가, 제1 장대의 수선 측과 제2 장대의 장대 기단 측의 단차를 가급적으로 억제한다. 나아가, 제1 장대의 수선 측 외주면의 도막층이 시각적으로 장대의 구부러짐의 연속성을 연출한다. 이 도막층은 가급적으로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면 시각 효과가 보다 커진다. 적어도, 수선 측 단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감합자부의 영역을 넘어 장대 기단 측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서는 도막층을 형성한다. 또한, 이 제2 장대의 감합웅부는, 제1 장대의 수선 측에 제2 장대가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제1 장대의 내부에 완전하게 수납되어 있어 감합웅부의 둘레면이 외관상 나타나지 않는다.
이 제2 장대의 감합웅부는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둘레 방향은, 장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혹은 다소 축 방향으로 경사한 나선(螺旋) 방향을 포함한다. 축 방향으로 배향되는 강화 섬유는 축 방향의 구부러짐 강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술의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배향한다.
나아가, 제2 장대가 제1 장대의 수선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장대의 감합웅부의 수선 측 단가장자리와 제1 장대의 수선 측 단가장자리의 거리를 0 ~ 5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거리를 짧게 설정하는 것으로 장대의 구부러짐이 보다 깨끗하게 보인다.
또한, 제1 장대의 수선 측 단부의 모따기 테이퍼의 축 방향의 경사각은 축 방향에 대하여 45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가 크고 급경사의 테이퍼로 하면, 제1 장대와 제2 장대의 연결 부분에서의 구부러짐이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덧붙여, 수선 측 단부에 모따기 테이퍼가 시행된 제1 장대의 수선 측 단가장자리의 두께는, 모따기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 측 단부의 두께의 1/2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채용한 중통 낚싯대의 전체도.
도 2는 도 1의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중대(3)와 원상대(2)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원상대(2)의 수선 측 단부의 확대도.
도 4는 중대(3)의 감합웅부(3a) 부근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원상대(2)의 감합자부(2a) 부근의 변형예.
도 6은 실시예 1의 #4와 #5의 연결 부분의 사진 (경사각 30도).
도 7은 실시예 1의 #4와 #5의 연결 부분의 사진 (경사각 40도).
도 8은 비교예 1의 #4와 #5의 연결 부분의 사진 (경사각 30도).
도 9는 비교예 1의 #4와 #5의 연결 부분의 사진 (경사각 40도).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낚싯대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대(1)와, 원대(1)의 수선 측에 순차로 연결되는, 원상대(2), 중대(3), 초릿대(4)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각 장대는, 각각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프리프레그(prepreg) 소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상 부재이다.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들 각 장대는 이를 테면 뽑이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수선 측에 위치하는 장대는 순차로 장대 기단 측에 위치하는 장대 내부에 수납 가능하다.
원대(1)는 전체적으로 장대 기단 측만큼 대경화하도록 한 테이퍼가 시행된 통상체이다. 장대 기단 측 둘레면에 릴을 탈착(脫着)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릴 시트(5)를 가지며, 장대 기단 측 단부에는 뒷마개(9)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원대(1)의 수선 측의 외주면에는 릴로부터의 낚싯줄을 장대 내에 도입하기 위한 낚싯줄 도입구(6)가 설치되고, 낚싯줄 도입구(6) 부근에는 릴로부터의 낚싯줄을 도입구 내로 안내하기 위한 도입 가이드(7)가 장착되어 있다.
원상대(2) ~ 초릿대(4)도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시행된 통상체이며, 내부는 낚싯줄이 통하기 위한 낚싯줄 통로로 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낚싯줄 통로로 되는 각 장대의 내주면에는 낚싯줄과 내주면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기 위한 낚싯줄 지지 돌기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가장 수선 측에 위치하는 초릿대(4)의 수선 측 단부에는 톱 가이드(8)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낚싯줄은 톱 가이드(8)로부터 외부로 도출되게 된다.
이어서, 각 장대끼리의 연결 부분에 대하여, 원상대(2)와 중대(3)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대(2)와 중대(3)는, 중대(3)가 원상대(2)의 내부에 수선 측으로부터 뽑고 넣는 것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원상대(2)는, 그 수선 측 단부의 축 방향의 일정한 범위에서 그 내주면이 감합자부(2a)로 되어 있다. 감합자부(2a)는,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테이퍼 경사가 완만하게 수선 측만큼 소경화하고 있다. 다만, 감합자부(2a)의 테이퍼는 이와 같은 케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부분과 균일한 테이퍼 경사로 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역으로 이 감합자부(2a)를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테이퍼 경사가 급하게 되도록 수선 측만큼 소경화시켜도 무방하다. 나아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대(2)는 수선 측을 향하여 일정한 테이퍼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되고, 수선 측에서 한 번 급테이퍼로 되며, 그 후 다시 완만한 테이퍼로 되어 수선 측 단에 이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재차 완만한 테이퍼로 된 부분을 감합자부(2a)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2 및 도 3에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대(2)의 수선 측 외주면에는, 수선 측 단가장자리로부터 장대 기단 측을 향하여, 감합자부(2a)의 영역을 넘 지 않는 범위에서, 수선 측만큼 외경이 소경화하는 모따기 테이퍼가 시행된 모따기 부분(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모따기 부분(10)의 형성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이 모따기 부분(10)을 가지는 원상대(2)의 수선 측 단가장자리의 두께를, 모따기 부분(10)의 장대 기단 측 단부의 두께의 1/2로 되도록 설정한다 (도 3의 A/2 및 A를 참조). 수선 측 단부의 두께를 장대 기단 측 단부의 두께의 1/2로 하는 것으로, 원상대(2)의 소재 자체의 강도를 담보(擔保)하면서, 원상대(2)와 중대(3)의 둘레면의 단차를 외관상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또한, 이 모따기 부분(10)을 원상대(2)의 수선 측 단부에 형성할 때에는, 축 방향의 경사각 α(도 3 참조)는 축 방향에 대하여 45도 이하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 α를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하는 것으로, 구부러짐이 자연스럽게 보이게 된다. 나아가, 모따기 부분(10)에 대하여 상술의 두께의 설정을 하는 것과 함께 경사각 α를 45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을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원상대(2)의 수선 측 외주면에는, 수선 측 단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감합자부(2a)의 영역을 넘어 장대 기단 측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한 도막층(15)이 형성되어 있다. 도막층(15)은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등에 소정의 도료 등을 혼입(混入)시킨 도료로 이루어진다. 도막층(15)은 원상대(2)의 수선 측 단부로부터 가급적으로 장대 기단 측으로 길게 도포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5 ~ 150mm정도의 축 방향 길이로 도막층(15)을 형성한다.
이 도막층(15)은 원상대(2)의 수선 측 단가장자리에서부터 형성되어 있고, 원상대(2)의 모따기 부분(10) 영역 내에서는 모따기 부분(10)의 직경 변화와 마찬 가지로 수선 측만큼 직경이 소경화하도록 도포되어 있다. 한편, 모따기 부분(10)의 장대 기단 측의 영역에서는 축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변화하지 않도록 도포되어 있다. 즉, 원상대(2)는 수선 측만큼 소경화하는 테이퍼가 시행되어 있지만, 도막층(15)은, 모따기 부분(10)의 장대 기단 측의 영역에서는 장대 기단 측만큼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도포되고, 축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균일하게 되도록 도포되어 있다.
한편, 중대(3)는 원상대(2)의 수선 측에 연결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상체이다. 중대(3)는 장대 기단 측 단부 외주면에 다른 부분보다 일단 대경화한 감합웅부(3a)를 가진다. 중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소 섬유 강화 수지 등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세하게는 중대(3)의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배향한 축 방향 프리프레그층과, 축 방향 프리프레그층의 둘레면에 적층된 중대(3)의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배향한 둘레 방향 프리프레그층으로 이루어진다. 이 둘레 방향 프리프레그층에 의하여 감합웅부(3a)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심재의 둘레면에 시트상으로 가공한 축 방향 프리프레그를 권회(卷回, 돌려 감음)하고, 그 장대 기단 측의 둘레면에 시트상 혹은 테이프상으로 가공한 둘레 방향 프리프레그를 권회한다. 그 후, 이들을 소성(燒成)하여 중대(3)를 제조한다. 둘레 방향 프리프레그로서 테이프상의 소재를 나선상(螺旋狀)으로 권회한 경우, 섬유 방향은 엄밀하게는 중대(3)의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약간 경사하게 된다. 덧붙여, 이 감합웅부(3a)는 감합자부(2a)의 테이퍼에 정합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즉, 원상대(2)의 감합자부(2a)의 테이퍼와 중대(3)의 감합웅부(3a)의 외경은 일치하도록 설정되고, 감합자부(2a)와 감합웅부(3a)가 축 방향으로도 둘레 방향으로도 연속적으로 전 둘레면에서 접촉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대(2)의 수선 측으로 중대를 뽑아낸 상태에서도, 중대(3)의 감합웅부(3a)는 원상대(2)의 내부에 완전하게 수납되어 있다. 즉, 중대(3)를 원상대(2)의 수선 측으로 뽑아낸 상태에서도, 중대(3)의 감합웅부(3a)의 수선 측 단부는 원상대(2)의 수선 측 단가장자리로부터 그 내부에 ΔX만큼 내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감합웅부(3a)가 부당하게 외관상 나타나지 않고, 쓰레기 등이 들어가기 어렵다. 또한, 이 ΔX는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하는 것이 낚싯대의 구부러짐을 연속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특히, ΔX는 5mm정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원상대(2)와 중대(3)를 예로 하여 각 장대의 연결 부분에 관한 구조를 설명하고 있지만, 그 외의 장대에 대해서도 각각 같은 구조를 채용한다.
이와 같은 낚싯대에서는, 각 장대가 순차로 수선 측으로 뽑아내지고, 초릿대(4), 중대(3), 원상대(2), 원대(1)에 있어서, 장대 기단 측에 위치하는 장대의 감합자부에 수선 측에 인접하는 장대의 감합웅부가 감착한다. 예를 들어, 중대(3)를 원상대(2)의 내부로부터 수선 측으로 뽑아내어 상호 연결한다. 이 중대(3)와 원상대(2)에서는, ① 감합웅부(3a)와 감합자부(2a)의 테이퍼가 통일화되어 있고, 또한 ② 원상대(2)의 수선 측 외주면의 수선 측만큼 외경이 소경화하는 모따기 부분(10) 이 형성되어 있으며, ③ 원상대(2)의 수선 측 외주면의 도막층(15)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채비에 물고기가 걸려 낚싯대가 크게 구부러질 때에, 장대의 연결부에서도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연속적으로 만곡(彎曲)하고, 또한 시각적으로도 장대의 구부러짐의 연속성이 연출된다.
[다른 실시 형태]
(a)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고 있는 경우, 특히 장대끼리의 연결 부분에서의 연속적인 구부러짐이 손상되는 것은, 장대 기단 측에 위치하는 태경(太徑)의 장대이다. 그래서, 상기 장대의 연결 부분에 관한 구조는, 특히 가장 장대 기단 측에 위치하는 원대와 원상대에만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뽑이 형식의 낚싯대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병계 형식의 낚싯대에서도 본건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중통 낚싯대뿐만 아니라, 그 외의 잇지 않은 긴 낚싯대 등에서 적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원대(#8)로부터 초릿대(#1)까지의 8개의 장대를 연결한 낚싯대를 작성하였다. 이 낚싯대 중에서, 초릿대 1(#1)로부터 4번째에 위치하는 장대(#4)와 그 장대 기단 측에 연결되는 장대(#5)에 관하여, 이하와 같은 조건으로 연결 부분을 형성하였다 (각 수치의 의의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를 참조).
Figure 112005070478319-PCT00001
Figure 112005070478319-PCT00002
이와 같은 낚싯대를, 수평 방향에서 30도 방향으로 수선 측을 경사시켜, 원대(#8)의 장대 기단 측 단부를 고정하고, 초릿대(#1)의 수선 측 단부에 200g의 추를 장착하여, 낚싯대의 만곡 상태를 관찰하였다. #4와 #5의 연결 부분을 도 6에 도시한다.
또한, 같은 낚싯대에서, 수평 방향에서 40도 방향으로 초릿대를 경사시켜, 초릿대(#1)의 장대 기단 측 단부를 고정하고, 원대(#8)의 수선 측 단부에 200g의 추를 장착하여, 낚싯대의 만곡 상태를 관찰하였다. #4와 #5의 연결 부분을 도 7에 도시한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의 장대(#4)(#5)를 대신하여, 이하와 같은 조건으로 연결 부분을 형성하였다.
Figure 112005070478319-PCT00003
Figure 112005070478319-PCT00004
이와 같은 낚싯대를, 수평 방향에서 30도 방향으로 수선 측을 경사시켜, 원대(#8)의 장대 기단 측 단부를 고정하고, 초릿대(#1)의 수선 측 단부에 200g의 추를 장착하여, 낚싯대의 만곡 상태를 관찰하였다. #4와 #5의 연결 부분을 도 8에 도시한다.
나아가 이와 같은 낚싯대를, 수평 방향에서 40도 방향으로 수선 측을 경사시켜, 원대(#8)의 장대 기단 측 단부를 고정하고, 초릿대(#1)의 수선 측 단부에 200g의 추를 장착하여, 낚싯대의 만곡 상태를 관찰하였다. #4와 #5의 연결 부분을 도 9에 도시한다.
이와 같이, 도 6과 도 8, 혹은 도 7과 도 9를 비교하면, 도 6·도 7에 도시하는 실시예 쪽이 장대끼리의 구부러짐이 부드럽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인 깨끗한 호를 그릴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상체(筒狀體)이며, 수선(穗先) 측 단부 내주면(內周面)에 감합자부(嵌合雌部)를 가지는 제1 장대와,
    상기 제1 장대의 수선 측에 연결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상체이며, 장대 기단 측 단부 외주면(外周面)에 다른 부분보다 일단 대경화(大徑化)하고 있고 또한 상기 감합자부의 테이퍼에 정합(整合)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는 감합웅부(嵌合雄部)를 가지는 제2 장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장대의 수선 측 외주면(外周面)에는, 수선 측 단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감합자부의 영역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수선 측만큼 외경이 소경화(小徑化)하는 모따기 테이퍼가 시행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장대의 수선 측 외주면에는, 수선 측 단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상기 감합자부의 영역을 넘어 장대 기단 측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 도포되고 또한 상기 모따기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 측의 영역에서는 축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변화하지 않도록 도포되어 있는 도막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장대의 감합웅부는, 상기 제1 장대의 수선 측으로 상기 제2 장대가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제1 장대의 내부에 완전하게 수납되어 있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대의 수선 측 단부의 모따기 테이퍼의 축 방향의 경사각은 축 방향에 대하여 45도 이하인 낚싯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선 측 단부에 모따기 테이퍼가 시행된 제1 장대의 수선 측 단가장자리의 두께는, 모따기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 측 단부의 두께의 1/2인 낚싯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대의 감합웅부는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대가 상기 제1 장대의 수선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장대의 감합웅부의 수선 측 단가장자리와 상기 제1 장대의 수선 측 단가장자리의 거리가 0 ~ 5mm인 낚싯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대의 수선 측 단부의 모따기 테이퍼의 축 방향의 경사각은 축 방향에 대하여 45도 이하인 낚싯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선 측 단부에 모따기 테이퍼가 시행된 제1 장대의 수선 측 단가장자리의 두께는, 모따기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 측 단부의 두께의 1/2인 낚싯대.
KR1020057023074A 2003-06-17 2004-03-22 낚싯대 KR101005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2137 2003-06-17
JPJP-P-2003-00172137 2003-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654A true KR20060020654A (ko) 2006-03-06
KR101005714B1 KR101005714B1 (ko) 2011-01-05

Family

ID=3353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074A KR101005714B1 (ko) 2003-06-17 2004-03-22 낚싯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63203B2 (ko)
KR (1) KR101005714B1 (ko)
CN (1) CN100418414C (ko)
TW (1) TW200500003A (ko)
WO (1) WO2004112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8235B2 (ja) * 2016-03-31 2019-09-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改善された魚信伝達性を有するグリップ及び当該グリップを備えた釣竿
JP7176995B2 (ja) * 2019-04-05 2022-11-22 株式会社シマノ 振出式釣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15811Y (zh) * 1994-04-22 1995-12-27 陈国良 一种内置导线环式可放线钓鱼竿
CN2207066Y (zh) * 1994-11-24 1995-09-13 陈国良 能调整钓鱼手竿长短的副竿体
JP3638339B2 (ja) * 1995-06-16 2005-04-1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
JPH10201401A (ja) * 1997-01-20 1998-08-04 Hamada Shokai:Kk 振出式中通し竿
JP2000060370A (ja) * 1998-08-17 2000-02-29 Ryobi Ltd 中通し釣竿
JP3716135B2 (ja) * 1998-12-25 2005-11-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
JP2001231411A (ja) * 2000-02-25 2001-08-28 Daiwa Seiko Inc 振出釣竿
TW523397B (en) * 2001-05-02 2003-03-11 Shimano Kk Fishing rod with plug-in fishing line
JP2003009727A (ja) * 2001-06-29 2003-01-14 Shimano Inc 竿体の嵌合構造
JP2003158962A (ja) * 2001-11-27 2003-06-03 Shimano Inc 釣 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63203B2 (ja) 2010-05-19
WO2004112474A1 (ja) 2004-12-29
TWI302439B (ko) 2008-11-01
KR101005714B1 (ko) 2011-01-05
CN1809272A (zh) 2006-07-26
JPWO2004112474A1 (ja) 2006-08-03
CN100418414C (zh) 2008-09-17
TW200500003A (en) 200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1334B1 (en) Fishing rod
JP4326467B2 (ja) 釣竿
KR101005714B1 (ko) 낚싯대
KR101198119B1 (ko) 초릿대
KR101286026B1 (ko) 초릿대
EP0610037A1 (en) A joint type fishing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8126451A (ja) 中通し釣竿
KR20070011067A (ko) 초릿대
JP2000217472A (ja) 中実竿杆を使用した継式釣竿
JP4026748B2 (ja) 釣竿
JP6433331B2 (ja) 釣竿及び穂先竿
JP4292318B2 (ja) 竿体の連結構造
JP3977777B2 (ja) 釣竿
KR20030097709A (ko) 낚싯대 및 이를 구성하는 장대의 제조방법
KR100998891B1 (ko) 낚싯대
JPH11289925A (ja) 竿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0880891A1 (en) Fishing rod
JP3949467B2 (ja) 釣竿
JP4149321B2 (ja) 釣竿
JP2000295946A (ja) 竿体の連結構造
JPH10178976A (ja) 中通し釣竿における合わせ部構造
JP2001238574A (ja) 釣 竿
JP4702760B2 (ja) 玉網
JP2001314139A (ja) 竿 体
JP4225535B2 (ja) 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