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480A -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및게이트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및게이트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480A
KR20040024480A KR1020030062490A KR20030062490A KR20040024480A KR 20040024480 A KR20040024480 A KR 20040024480A KR 1020030062490 A KR1020030062490 A KR 1020030062490A KR 20030062490 A KR20030062490 A KR 20030062490A KR 20040024480 A KR20040024480 A KR 20040024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unit
information processing
gatewa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무라마사또시
야마자끼도시끼
스즈끼수이찌
사꾸마시게오
요시모또요시야
오까모또히로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4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공간 절약화 및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퍼스널 컴퓨터부(520)에 접속되고, 다른 네트워크 사이(WAN(200) 및 LAN(400))에서 통신 프로토콜의 조정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510)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부(520) 및 게이트웨이 카드(510)와 공용 HDD(540)와의 사이에 구비된 전환부(517)와,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전환부(517)를 퍼스널 컴퓨터부(520)측으로 전환시키고,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절약 전력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전환부(517)를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시키는 주 제어부(515)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및 게이트웨이 장치{GATEWAY CARD, GATEWAY CONTROL PROGRAM AND GATEWAY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정에 설치되고, 다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을 조정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및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간 절약화 및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및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터넷의 보급에 수반되어, 각 가정에서도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전화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한 기기를 새롭게 구입한 경우, 각각의 기기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각 기기를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 설정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시간이 걸린다.
또한, 이들 기기는 가정 내에서 통신 회선의 배선을 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기기의 대수가 증가할수록 배선도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최근, 홈 게이트웨이 등으로 불리우는 게이트웨이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이 게이트웨이 장치는, 각 가정에 1대 설치되고, 가정 내의 네트워크와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의 차이를 조정하여, 상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각 기기는, 모두 이 게이트웨이 장치에 접속된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공중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인터넷에의 접속에 관한 시스템 데이터의 설정을 행하면, 게이트웨이 장치에 접속된 각 기기에서는, 개개로 인터넷에의 접속 설정을 행하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인터넷에의 접속 설정 등에 걸리는 수고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가정 내에서의 배선 등을 집약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편리성이 대폭 높아진다. 그 결과,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이들 기기의 보급에도 박차가 가해지리라 기대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평11-5841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평10-25463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평11-249967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평7-56694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평10-320259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2000-267928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소61-275945호 공보
그런데, 종래에, 게이트웨이 장치를 가정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이 크고, 전기 요금을 될 수 있는 한 절약한다는 관점에서 장치의 용적이나 소비 전력이 문제가 된다. 즉, 신뢰성이 중시되는 기업용 게이트웨이 장치와 달리,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에서는 공간 절약화나, 운용 비용으로서의 전기 요금을 어떻게 절감시킬 수 있는지 등의 점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공간 절약화 및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및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환부(517)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환부(517)의 전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시퀀스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부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의 각종 메시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서의 섹터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시퀀스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서의 전환부(517)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RAM(6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주 제어부(613)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 및 제2 실시예의 제4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WAN
400 : LAN
500, 600 :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
510, 610 : 게이트웨이 카드
511 : WAN 인터페이스부
512 : LAN 인터페이스부
513 :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514 : 통신 프로토콜 제어부
515, 522, 613, 621 : 주 제어부
516 : 메모리
517 : 전환부
518, 527 : IDE 버스
520, 620 : 퍼스널 컴퓨터부
521 : 삽입부
523 : 전력 제어부
530 : 전원 유닛
540 : 공용 HDD
613a : CPU
613c : 표준 IDE 드라이버
613d : 의사 IDE 드라이버
613e : 통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며,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로서,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 전환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며,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에 적용되는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 전환 수단,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처리부와, 이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고,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를 구비한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는,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 전환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소정의 이행 요인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가동 상태를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부 및 게이트웨이 카드에서 기억 수단을 공용시키고,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전환 수단을 정보 처리부와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공간 절약화 및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및 게이트웨이 장치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는 통신 프로토콜이나 규격이 다른 WAN(Wide Area Netwrok)(200)과 LAN(Local Area Network)(400)이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500)를 통하여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500)에서는, 공간 절약화를 목적으로 하여 공용 HDD(540)가, 게이트웨이 카드(510) 및 퍼스널 컴퓨터부(520)에 공용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WAN(200)은 인터넷, 공중 회선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CATV(CAble TeleVision) 네트워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역 네트워크로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끼리 상호 접속한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WAN(200)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서버(1001∼100n)는 메일 서버, WWW(World Wide Web) 서버 등이며, WAN(200)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서버(1001∼100n)는, 후술하는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500) 및 LAN(400)을 경유하여 클라이언트(3001∼3003)에 메일 서비스, WWW 사이트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3001∼3003)는, 예를 들면, 가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퍼스널 컴퓨터나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구비한 전화 제품(텔레비전, 전화기, 오디오 기기 등)이다.
이들 클라이언트(3001∼3003)는, 가정에 부설된 LAN(400)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LAN(400), 게이트웨이 카드(510) 및 WAN(200)을 경유하여 서버(1001∼100n)에 액세스하고, 상술한 각종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3001∼3003)는 LAN(400) 및 게이트웨이 카드(510)를 경유하여 퍼스널 컴퓨터부(520)에 액세스하고,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는 등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3001∼3003)는 외부 장치로서의 서버(1001∼1OOn)에 액세스하는 경우와, 내부 장치로서의 퍼스널 컴퓨터부(520)에 액세스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WAN(200) 및 LAN(400)에서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이 각각 채용되어 있다.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500)는, 예를 들면, 가정에 설치되고, (홈)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예를 들면, 라우터 기능, 브릿지 기능 등)을 제공하기 위한 전용의 퍼스널 컴퓨터로서, 통신 프로토콜이 다른 WAN(200)과 LAN(400)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게이트웨이는, WAN(200)과 LAN(400)과의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의 차이를 조정하여 상호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총칭이다.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500)는 게이트웨이 카드(510), 퍼스널컴퓨터부(520), 전원 유닛(530) 및 공용 HDD(Hard Disk Drive)(540)로 구성되어 있다.
게이트웨이 카드(510)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삽입부(52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카드형의 게이트웨이 장치이고, 상술한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제공한다.
퍼스널 컴퓨터부(520)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전원 유닛(530)은 게이트웨이 카드(510) 및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각 부로 전력을 공급한다.
공용 HDD(540)는 게이트웨이 카드(510) 및 퍼스널 컴퓨터부(520)에서 공용되는 대용량 기억 장치이고, 게이트웨이 카드(510) 및 퍼스널 컴퓨터부(520)에서 각각 이용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이 공용 HDD(540)에서의 전환은 후술하는 전환부(517)에 의해 실행된다.
게이트웨이 카드(510)에서, WAN 인터페이스부(511)는 WAN(200)에 접속되어 있으며, WAN(200)과의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취한다. LAN 인터페이스부(512)는 LAN(400)에 접속되어 있으며, LAN(400)과의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취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513)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삽입부(52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퍼스널 컴퓨터부(520)와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취한다.
통신 프로토콜 제어부(514)는, WAN(200)과 LAN(400)과의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통신 프로토콜의 해석 등)를 행하고, 상호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주 제어부(515)는 전환부(517)의 전환 제어나, 퍼스널 컴퓨터부(520)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이 주 제어부(515)의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메모리(516)는 백업 전원이 불필요하며, 기억한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소거할 수 있는 재기입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이고, 플래시 EPR0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말한다.
이 메모리(516)에는 시스템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게이트웨이 카드(510)가, 예를 들면, 라우터의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시스템 데이터는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데이터, 회선 데이터, 필터링 데이터, 펌웨어 등이다.
전환부(51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공용 HDD(540)를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 또는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환부(517)는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 버스로서의 IDE(Integrated Device Electronica) 버스(518)와 IDE 버스(527)를 전환함으로써,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 또는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IDE 버스(518)는 게이트웨이 카드(510)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IDE 버스(527)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에 설치되어 있다.
전환부(517)가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 공용HDD(540)는 게이트웨이 카드(510)로부터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한편, 전환부(517)가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 공용 HDD(540)는 퍼스널 컴퓨터부(520)로부터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또한, 전환부(517)가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되고 있는 경우, 게이트웨이 카드(510)는 퍼스널 컴퓨터부(520)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도 1로 되돌아가, 퍼스널 컴퓨터부(520)에서, 삽입부(521)에는 게이트웨이 카드(5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부(513)가 삽입된다. 주 제어부(522)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각 부를 제어한다. 이 주 제어부(522)의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력 제어부(523)는 전원 유닛(530)으로부터의 전력을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각 부로 공급할 때에, 통상 전력 모드 또는 전력 절약 모드에 따른 제어를 행한다.
상기 통상 전력 모드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각 부로 정격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모드이다. 전력 절약 모드는, 퍼스널 컴퓨터부(520) 중 필요 최저한의 각 부로 정격 전력보다도 낮은 전력을 공급하고,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전력 모드이다.
또한, 전력 절약 모드는, 스탠바이 모드 및 중지 모드 등의 2종류로 대별된다. 스탠바이 모드와 중지 모드는, 작업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장소가 서로 다르다. 스탠바이 모드는 작업 데이터의 기억처가 메모리(524)이고, 메모리(524)에 전력을 계속해서 공급할 필요가 있다.
한편, 중지 모드는, 작업 데이터를 공용 HDD(540)에 기억하여 전원을 오프 상태로 하기 때문에, 스탠바이 모드에 비하여 소비 전력이 매우 적다. 또, 이하에서는, 전력 절약 모드를 스탠바이 모드 또는 중지 모드라고 한다.
전력 제어부(523)는 이행 요인이 발생된 경우에 전력 모드를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시키거나, 복귀 요인이 발생된 경우에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이행 요인은, 클라이언트(3001∼3003)로부터 퍼스널 컴퓨터부(520)에의 액세스가 종료된 경우 등이다. 한편, 복귀 요인은 클라이언트(3001∼3003)로부터 퍼스널 컴퓨터부(520)에의 액세스 요구가 있는 경우 등이다.
메모리(524)에는 각종 데이터가 기억된다. 입력부(525)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고, 각종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된다. 표시부(526)는 CRT(Cathode Ray Tube)나 LCD(Liquid Crystal Display)이고, 주 제어부(522)의 제어하에서 각종 화면이나 데이터를 표시한다.
계속해서, 제1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환부(517)의 전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처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전환부(517)의 전환 동작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게이트웨이 카드(510) 및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쌍방이 기동된 후에서, 도 3에 도시한 단계 SA1에서는, 전환부(517)는 주 제어부(515)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부(520)는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510)(주 제어부(515))는 퍼스널 컴퓨터부(520),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단계 SA2에서는, 주 제어부(515)는 퍼스널 컴퓨터부(520)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의 이행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아니오"로 하여, 동일한 판단을 반복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부(520)로부터 게이트웨이 카드(510)에 대하여,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의 이행 통지가 있으면, 주 제어부(515)는 단계 SA2의 판단 결과를 "예"로 한다.
단계 SA3에서는, 전환부(517)는 주 제어부(515)에 의해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웨이 카드(510)(주 제어부(515))는 IDE 버스(518)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또,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부(520)는 공용 HDD(540)에 액세스 불가로 된다.
단계 SA4에서는, 주 제어부(515)는 퍼스널 컴퓨터부(520)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의 복귀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아니오"로 하여, 동일한 판단을 반복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부(520)로부터 게이트웨이 카드(510)에 대하여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의 복귀 통지가 있으면, 주 제어부(515)는 단계 SA4의 판단 결과를 "예"로 한다.
단계 SA1에서는, 전환부(517)는 주 제어부(515)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부(520)는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510)(주 제어부(515))는 퍼스널 컴퓨터부(520),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이후, 단계 SA2의 판단이 행해진다.
계속해서, 도 4에 도시한 시퀀스도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4에 도시한 단계 SB1에서 전원이 투입되면,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500)의 각 부(게이트웨이 카드(510), 퍼스널 컴퓨터부(520) 및 공용 HDD(540))에는, 전원 유닛(530)으로부터 전력이 각각 공급된다.
즉, 전원 투입에 의해, 게이트웨이 카드(510), 퍼스널 컴퓨터부(520) 및 공용 HDD(540)가 동시에 기동 개시된다.
단계 SB2에서는, 주 제어부(515)는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 제어하기 위한 전환 제어 신호를 전환부(517)로 출력한다. 단계 SB3에서는, 전환부(517)는 주 제어부(515)로부터의 전환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웨이 카드(510)(주 제어부(515))는 IDE 버스(518)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또,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부(520)는 공용 HDD(540)에 액세스 불가로 된다.
단계 SB4에서는, 주 제어부(515)는 게이트웨이 카드(510)를 기동시키기 위한 게이트웨이 카드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단계 SB5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주 제어부(522)는, 단계 SB4의 게이트웨이 카드 기동 처리에 병행하여, 퍼스널 컴퓨터부(520)를 기동시키기 위한 퍼스널 컴퓨터부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전력 모드는 통상 전력 모드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단계 SC1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전원 투입을 받아, POST(Power 0n Self Test) 처리를 개시하고, 메모리(524)의 용량 확인, 표시부(526)의 초기화 등을 행한다. 단계 SC2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를 인식 가능한지의 여부, 즉, 전환부(517)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의 전환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C2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 SC3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게이트웨이 카드(510)를 인식 가능한지의 여부, 즉, 삽입부(521)에 입출력 인터페이스부(513)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예"로 한다. 또, 단계 SC2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주 제어부(522)는 단계 SC9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C4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서버기능을 기동 중인 것을 나타내는 기동중 메시지 A를 표시부(526)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기동 중인 것을 인식한다.
단계 SC5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공용 HDD(540)를 인식하기까지의 재시도 시간(=n분(예를 들면, 2분))을 설정한다. 단계 SC6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를 인식 가능한지의 여부, 즉, 전환부(517)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의 전환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C6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 SB7(도 4 참조)에서의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하는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재시도 시간 분만큼, 공용 HDD(540)를 인식하기 위한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C7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공용 HDD(540)를 인식하는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재시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즉, 타임아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아니오"로 하여, 단계 SC6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단계 SB6에서는, 주 제어부(515)는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 제어하기 위한 전환 제어 신호를 전환부(517)로 출력한다. 단계 SB7에서는, 전환부(517)는 주 제어부(515)로부터의 전환 제어 신호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주 제어부(522)는 도 5에 도시한 단계 SC6의 판단 결과를 "예"로 한다. 단계 SC9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POST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단계 SC7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즉, 전환부(517)가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용 HDD(540)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단계 SC8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러가 발생된 것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 B를 표시부(526)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에러가 발생된 것을 인식한다.
도 4에 도시한 단계 SB8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주 제어부(522)는 상술한 전력 모드의 이행 요인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아니오"로 하여, 동일한 판단을 반복한다.
그리고, 전력 모드의 이행 요인이 발생되면, 주 제어부(522)는 단계 SB8의 판단 결과를 "예"로 한다. 단계 SB9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게이트웨이 카드(510)에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의 이행을 통지한다.
단계 SB11에서는, 게이트웨이 카드(510)의 주 제어부(515)는 상기 이행 통지에 대응하여,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주 제어부(522)에 응답을 통지한다.
단계 SB10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주 제어부(522)는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의 이행을 전력 제어부(523)에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 전력 제어부(523)는 전력 모드를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시킨다.
단계 SB12에서는, 주 제어부(515)는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 제어하기 위한 전환 제어 신호를 전환부(517)로 출력한다. 단계 SB13에서는, 전환부(517)는 주 제어부(515)로부터의 전환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웨이 카드(510)(주 제어부(515))는 IDE 버스(518)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또,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부(520)는 전력 절약 모드로 대기 상태에 있으며, 공용 HDD(540)에 액세스 불가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퍼스널 컴퓨터부(520) 및 게이트웨이 카드(510)에서 공용 HDD(540)를 공용시키고,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전환부(517)를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하게 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공간 절약화 및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퍼스널 컴퓨터부(520) 및 게이트웨이 카드(510)가 동시 기동된 경우, 전환부(517)를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하여 게이트웨이 카드(510)의 기동이 완료된 후에, 전환부(517)를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하게 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게이트웨이 카드(510)와 퍼스널 컴퓨터부(520)를 정상적으로 순차 기동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
그런데,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게이트웨이 카드(510)와 퍼스널 컴퓨터부(520)와의 사이에서, 공용 HDD(540)에서의 이용 영역의 구분에 대하여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전환부(517)의 전환에 대응하여,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을 전환하는 구성예로 하여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 구성 예를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로서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섹터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는, 공용 HDD(540)(도 1 참조)의 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541)에서의 섹터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디스크(541)는 MBR(Master Boot Record)(542)과, 4개의 기본 영역(5461∼ 5464)으로 구획되어 있다. MBR(542)은 디스크(541)의 선두 섹터(512바이트)이고,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기동 시에 판독되는 영역이다.
기본 영역(5461, 5462)은 게이트웨이 카드(510)에서 사용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기본 영역(5461, 5462)에는 게이트웨이 카드(510)에서 사용되는 파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기본 영역(5463, 5464)은 퍼스널 컴퓨터부(520)에서 사용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기본 영역(5462, 5464)에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에서 사용되는 파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MBR(542)에는, 기동 프로그램으로서의 부트 스트랩 로더(543), 구획 정보(5441∼5444), 서명 정보(545)가 저장되어 있다. 구획 정보(5441∼5444)는 기본 영역(5461∼5464)에 대응하고 있으며, 기동 플래그, 개시 위치, 종료 위치, 상대 섹터, 섹터 총수 등의 정보이다.
기동 플래그는, 80(기동 가능: 유효) 또는 00(기동 불가: 무효)이 설정된다. 도 1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로서,전환부(517)가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구획 정보(5441)의 기동 플래그에 80(기동 가능)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밖의 구획 정보(5442∼5444)의 각 기동 플래그에 00(기동 불가)이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기본 영역(5461∼5464) 중 퍼스널 컴퓨터부(520)에 대응하는 기본 영역(5461)만이 기동 가능으로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한 상태에서는, 구획 정보(5441)의 기동 플래그가 80(기동 가능)으로부터 00(기동 불가)으로, 구획 정보(5442)의 기동 플래그가 00(기동 불가)으로부터 80(기동 가능)으로 설정 변경된다.
이 경우에는, 기본 영역(5461∼5464) 중 게이트웨이 카드(510)에 대응하는 기본 영역(5462) 만이 기동 가능으로 된다.
계속해서,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동작에 대하여 도 8에 도시한 시퀀스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이고, 전환부(517)가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되어 있다고 하면, 도 7에 도시한 MBR(542)에서는, 구획 정보(5441)의 기동 플래그에 80(기동 가능)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밖의 구획 정보(5442∼5444)의 각 기동 플래그에 00(기동 불가)이 설정되어있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한 단계 SD1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주 제어부(522)는 상술한 전력 모드의 이행 요인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아니오"로 하여, 동일한 판단을 반복한다.
그리고, 전력 모드의 이행 요인이 발생되면, 주 제어부(522)는 단계 SD1의 판단 결과를 "예"로 한다. 단계 SD2에서는, 주 제어부(522)는 게이트웨이 카드(510)에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의 이행을 통지한다.
단계 SD3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주 제어부(522)는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의 이행을 전력 제어부(523)에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 전력 제어부(523)는 전력 모드를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시킨다.
단계 SD4에서는, 주 제어부(515)는 도 7에 도시한 구획 정보(5441)의 기동 플래그를 80(기동 가능)으로부터 00(기동 불가)으로, 구획 정보(5442)의 기동 플래그를 00(기동 불가)으로부터 80(기동 가능)으로 설정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기본 영역(5461∼5464)에서는, 기동 가능한 기본 영역이 퍼스널 컴퓨터부(520)에 대응하는 기본 영역(5461)으로부터 게이트웨이 카드(510)에 대응하는 기본 영역(5461)으로 변경된다.
단계 SD5에서는, 주 제어부(515)는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 제어하기 위한 전환 제어 신호를 전환부(517)로 출력한다. 단계 SD6에서는, 전환부(517)는 주 제어부(515)로부터의 전환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웨이 카드(510)(주 제어부(515))는, IDE 버스(518)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 가능으로 된다. 이 경우, 주 제어부(515)는 도 7에 도시한 구획 정보(5441∼5444)를 참조하여, 기동 플래그가 80(기동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기본 영역(5462)에 액세스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르면,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도 7에 도시한 구획 정보(5441)의 기동 플래그를 80(기동 가능)으로부터 00(기동 불가)으로, 구획 정보(5442)의 기동 플래그를 00(기동 불가)으로부터 80(기동 가능)으로 설정 변경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환의 전후에서 구획 정보(5441) 및 구획 정보(5442)가 퍼스널 컴퓨터부(520) 및 게이트웨이 카드(510)에 정확하게 할당되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
그런데,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IDE 버스(518))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IDE 버스(527))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차가 있는 경우에는, 전환부(517)의 전환 전후에서 공용 HDD(540)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공용 HDD(540)로부터 보면, 전환부(517)에서의 전환에 의해, 상대 장치의 전송 속도가 변화(예를 들면, 저속으로부터 고속)된 경우에, 이 변화에 추종할 수 없게 되어, 데이터의 누락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 예를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로서 설명한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서의 전환부(517)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서, 도 1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또, 도 9에 도시한 게이트웨이 카드(510) 및 퍼스널 컴퓨터부(520)에서는, 주 제어부(515), 전환부(517), IDE 버스(518) 및 IDE 버스(527) 이외의 구성 요건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전환부(517)에서, 리세트 회로(517a)는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각 부로 공급되는 전원 전압 PC_Vcc이 임계값 미만(전력 절약 모드)인 경우에 "1"의 리세트 신호 S1을 출력하고, 한편, 전원 전압 PC_Vcc이 임계값 이상(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O"의 리세트 신호 S1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즉, 리세트 회로(517a)는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한 경우에, "1"의 리세트 신호 S1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AND 회로(517b)는 리세트 신호 S1과 주 제어부(515)로부터의 전환 제어 신호 S2와의 AND를 취하고, 신호 S3을 출력한다. 또, 전환 제어 신호 S2는 풀업되어 있다.
신호 S3은 주 제어부(515)에도 입력된다. 주 제어부(515)는 신호 S3이 "0"인 경우, 통상 전력 모드로서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부(517)가 전환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 한편, 신호 S3이 "1"인 경우, 주 제어부(515)는 전력 절약 모드로서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부(517)가 전환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
버스 스위치(517c) 및 버스 스위치(517d)는 IDE 버스(518), IDE 버스(527) 중 어느 한쪽을 공용 HDD(540)에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배타 제어된다.
즉, 버스 스위치(517c)는 신호 S4가 "1"인 경우에 온 상태로 되고, "1"의 신호 S5를 출력한다. 한편, 신호 S4가 "0"인 경우, 버스 스위치(517c)는 오프 상태로 되고, "0"의 신호 S5를 출력한다.
여기서, "1"의 신호 S5는 전환부(517)가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IDE 버스(518))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0"의 신호 S5는 전환부(517)가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IDE 버스(527))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신호 S4는, 신호 S3이 반전 회로(517e 및 517f)에 의해 각각 반전된 신호이다.
버스 스위치(517d)는 신호 S6이 "1"인 경우에 온 상태로 되고, 신호 S6이 "0"인 경우 오프 상태로 된다. 신호 S6은 신호 S3이 반전 회로(517g)에 의해 반전되는 신호이다.
엣지 검출 회로(517h)는 신호 S3이 "1"로부터 "0"으로의 변화, 또는 "0"으로부터 "1"로의 변화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엣지 검출 회로(517h)의 출력 신호는,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0"으로 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 "1"로 된다.
또한, 엣지 검출 회로(517h)의 출력 신호는 반전 회로(517i)에 의해 반전되고, 신호 S7로 된다. AND 회로(517j)는 신호 S7과 신호 S5와의 AND를 취하고, 초기화 신호 S8을 공용 HDD(540)로 출력한다.
초기화 신호 S8은, 전환부(517)가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부터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될 때에, 전송 속도를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에 맞추도록, 공용 HDD(540)를 초기화하기 위한 신호이다.
계속해서, 제2 변형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 전원 전압 PC_Vcc이 임계값 이상이기 때문에, 리세트 회로(517a)에서는 "0"의 리세트 신호 S1이 출력된다.
이 경우, 신호 S3이 "0"으로 되고, 신호 S6이 "1"(신호 S4가 "0")로 되기 때문에, 버스 스위치(517d)가 온(버스 스위치(517c)가 오프) 상태로 되고, 전환부(517)는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으로 전환되어 있다. 따라서, 공용 HDD(540)는 퍼스널 컴퓨터부(520) 측의 전송 속도로 동작하고 있다.
그리고, 전력 모드의 이행 요인이 발생되면,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되기 때문에, 전원 전압 PC_Vcc이 임계값 미만이 되기 때문에, 리세트 회로(517a)로부터의 리세트 신호 S1이 "O"으로부터 "1"로 변화한다.
이 경우, 신호 S3이 "1"로 되고, 신호 S4가 "1"(신호 S6이 "0")로 되기 때문에, 버스 스위치(517c)가 온(버스 스위치(517d)가 오프) 상태로 되며, 전환부(517F),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된다.
또한, 버스 스위치(517c)로부터는 "1"의 신호 S5가 출력되고, 엣지 검출 회로(517h)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반전 회로(517i)에 의해 반전되고, "1"의 신호 S7로 된다. 이것에 의해, AND 회로(517j)로부터는, "1"의 초기화 신호 S8이 공용 HDD(540)로 출력된다.
공용 HDD(540)에서는,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의 전송 속도에 맞추기 위한 초기화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전환 후에서도, 공용 HDD(540)가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르면,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되었을 때, 게이트웨이 카드(510) 측으로 전환됨과 함께, 전환 후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맞추기 위해 공용 HDD(540)를 초기화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이에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그런데,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게이트웨이 카드(510)의 주 제어부(515), 퍼스널 컴퓨터부(520)의 주 제어부(522)의 상세한 구성(특히, 공용 HDD(540)의 드라이버 관련)에 대하여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도 10에 도시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 구성 예를 제2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서, 도 1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500)(게이트웨이 카드(510) 및 퍼스널 컴퓨터부(520)) 대신에,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600)(게이트웨이 카드(610) 및 퍼스널 컴퓨터부(620))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600)에서는, 공간 절약화를 목적으로 하여, 공용 HDD(540)가, 게이트웨이 카드(610) 및 퍼스널 컴퓨터부(620)에 공용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600)의 기본적인 기능(하드디스크의 공용 등)은,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500)와 거의 동일하다. 게이트웨이 카드(61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메모리(516) 대신에, ROM(Read 0nly Memory)(611) 및 RAM(Random Access Memory)(612)이 설치되어 있다.
ROM(611)은 판독 전용의 메모리이다. 이 ROM(611)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커넬이나, 기동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란, 파일 관리, 메모리 관리, 입출력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등을 행하는 기본 프로그램을 말한다. 커넬이란, 메모리 관리나 태스크 관리 등,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본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기동 프로그램이란, 네트워크(LAN(630)이나 LAN(400))나 DHCP를 기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말한다. DHCP란, LAN 상의 컴퓨터에 동적으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말한다.
RAM(612)은 판독/기입을 행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이 RAM(612)에는 ROM(611)으로부터 판독된 기동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또한, RAM(612)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퇴피(退避) 영역(612a)이 설정되어 있다.
이 메모리 퇴피 영역(612a)은 후술하는 주 제어부(613)가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의 데이터의 기입에 실패한 경우에, 이 데이터를 퇴피 데이터로서 저장(퇴피)시키기 위한 영역이다. 퇴피 데이터는, 파일(메모리 퇴피 파일(612F1∼612F3))의 형태로 메모리 퇴피 영역(612a)에 저장되고, 재시도 요구에 따라서, 공용 HDD(540)에 재차 기입된다.
여기서, 1대의 컴퓨터로 1대의 HDD를 전유시키는 시스템에서는, 통상적으로 HDD에 퇴피 영역(이하, HDD 퇴피 영역이라 함)을 설정하고, HDD에의 기입에 실패한 데이터를 퇴피 데이터로서 HDD 퇴피 영역에 저장(퇴피)시킨다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600)에 적용한 경우에는, 퇴피 데이터를 공용 HDD(540)에 저장(퇴피)시키고 있는 도중에, 전환부(517)의 전환이 발생되면, 전환 동안, 공용 HDD(540)에의 저장(퇴피)이 중단되고, 퇴피 데이터가 파괴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상 연속적인 액세스가 가능한 RAM(612)에 메모리 퇴피 영역(612a)을 형성하고, 퇴피 데이터를 메모리 퇴피 영역(612a)에 저장(퇴피)시키는 구성에 의해 전환부(517)의 전환에 수반되는, 퇴피 데이터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 퇴피 파일(612F1∼612F3)에는,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RAM(612)의 잔류 용량이 근소하게 남게 된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낮은 메모리 퇴피 파일이 삭제된다.
도 10으로 되돌아가, 게이트웨이 카드(61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주 제어부(515)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부(513) 대신에 주 제어부(613)가 설치되어 있다.
주 제어부(613)는 주 제어부(515)(도 1 참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전환부(517)의 전환 제어나, 퍼스널 컴퓨터부(620)와의 사이에서의 통신 제어,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 제어 등을 행한다.
주 제어부(613)에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613a)는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오퍼레이팅 시스템, 기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실행에 의해 전환 제어, 통신 제어 등을 행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13b)은 CPU(613a)로 실행되고, 특정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표준 IDE 드라이버(613c)는 게이트웨이 카드(610)에 표준 실장되는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용의 드라이버이고, IDE 버스(518)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의사 IDE 드라이버(613d)는 표준 IDE 드라이버(613c)와 유사한 드라이버 기능과, CPU(613a)로부터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를 표준 IDE 드라이버(613c) 또는 통신부(613e)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부(620)가 상술한 전력 절약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전환부(517)가 게이트웨이 카드(610) 측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의사 IDE드라이버(613d)는 CPU(613a)로부터의 액세스를 표준 IDE 드라이버(613c)로 분류한다. 이 경우, CPU(613a)는 의사 IDE 드라이버(613d), 표준 IDE 드라이버(613c), IDE 버스(518)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부(620)가 상술한 통상 전력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전환부(517)가 퍼스널 컴퓨터부(620) 측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의사 IDE 드라이버(613d)는 CPU(613a)로부터의 액세스를 통신부(613e)에 분류한다. 이 경우, CPU(613a)는 의사 IDE 드라이버(613d), 통신부(613e), LAN(630), 통신부(621d), 표준 IDE 드라이버(621c),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통신부(613e)는 LAN(630)을 경유하여 통신부(621d)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부(62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삽입부(521) 및 주 제어부(522) 대신에, 주 제어부(621)가 설치되어 있다. 주 제어부(621)는 게이트웨이카드와의 사이의 통신 제어,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 제어 등을 행한다.
주 제어부(621)에서, CPU(621a)는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오페레이팅 시스템, 기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실행에 의해 전환 제어, 통신 제어 등을 행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21b)은 CPU(621a)로 실행되고, 특정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표준 IDE 드라이버(621c)는 퍼스널 컴퓨터부(620)에 표준 실장되는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용의 드라이버이고, IDE 버스(527) 및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통신부(621d)는 LAN(630)을 경유하여 통신부(613e)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여기서, 퍼스널 컴퓨터부(620)가 상술한 통상 전력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전환부(517)가 퍼스널 컴퓨터부(620) 측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CPU(621a)는 표준 IDE 드라이버(621c),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또한, 통상 전력 모드에서, 게이트웨이 카드(610)의 주 제어부(613)는 LAN(630), 통신부(621d), 표준 IDE 드라이버(621c),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계속해서, 제2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에 설명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주 제어부(613)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600)의 전원이 투입되면, 전원 유닛(530)으로부터 각 부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단계 SE1에서는, 주 제어부(613)의 CPU(613a)는 각 부를 기동하기 위한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한 단계 SF1에서는, CPU(613a)는 ROM(611)으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커넬을 판독한다. 단계 SF2에서는, CPU(613a)는 상기 커넬을 실행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기동한다.
단계 SF3에서는, CPU(613a)는 ROM(611)으로부터 기동 파일을 판독한 후, 이기동 파일을 RAM(612)에 저장한다. 단계 SF4에서는, CPU(613a)는 기동 파일을 실행하여, 네트워크(LAN(630), LAN(400))이나 DHCP를 기동한다.
단계 SF5에서는, CPU(613a)는 의사 IDE 드라이버(613d)를 초기화한다. 단계 SF6에서는, CPU(613a)는 퍼스널 컴퓨터부(62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예"로 한다. 단계 SF7에서는, CPU(613a)는 전환부(517)를 퍼스널 컴퓨터부(620) 측으로 전환한다.
단계 SF8에서는, CPU(613a)는 퍼스널 컴퓨터부(620) 경유, 즉, 의사 IDE 드라이버(613d), 통신부(613e), LAN(630), 통신부(621d), 표준 IDE 드라이버(621c) 및 IDE 버스(527)를 경유하여 전환부(517)를 초기화한다.
단계 SF9에서는, CPU(613a)는 의사 IDE 드라이버(613d), 통신부(613e), LAN(630), 통신부(621d), 표준 IDE 드라이버(621c),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한편, 단계 SF6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 SF10에서는, CPU(613a)는 전환부(517)를 게이트웨이 카드(610) 측으로 전환한다.
단계 SF11에서는, CPU(613a)는 직접, 즉, 의사 IDE 드라이버(613d), 표준 IDE 드라이버(613c) 및 IDE 버스(518)를 경유하여 전환부(517)를 초기화한다.
단계 SF12에서는, CPU(613a)는 표준 IDE 드라이버(613c)를 초기화한다. 단계 SF9에서는, CPU(613a)는 의사 IDE 드라이버(613d), 표준 IDE 드라이버(613c), IDE 버스(518)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도 12로 되돌아가, 단계 SE2에서는, CPU(613a)는 퍼스널 컴퓨터부(620)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의 이행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아니오"로 한다.
단계 SE3에서는, CPU(613a)는 퍼스널 컴퓨터부(620)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의 복귀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아니오"로 한다. 이후, 단계 SE2 또는 단계 SE3의 판단 결과가 "예"가 될 때까지, 단계 SE2 및 단계 SE3의 판단이 반복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부(620)로부터 게이트웨이 카드(610)에 대하여,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의 이행 통지가 있으면, CPU(613a)는 단계 SE2의 판단 결과를 "예"로 한다.
단계 SE4에서는, CPU(613a)는 전환부(517)를 게이트웨이 카드(610) 측으로 전환한다. 단계 SE5에서는, 의사 IDE 드라이버(613d)는 통신부(613e)로부터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의 분류처를 표준 IDE 드라이버(613c)로 전환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카드(610)로부터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 요구(예를 들면, 데이터의 기입)가 발생하면, CPU(613a)는 의사 IDE 드라이버(613d), 표준 IDE 드라이버(613c), IDE 버스(518)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하고, 데이터를 공용 HDD(540)에 기입한다.
여기서,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하면, CPU(613a)는 해당 데이터를 퇴피 데이터로서, RAM(612)(도 11 참조: 예를 들면, 메모리 퇴피 파일(612F1))에 저장(퇴피)시킨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부(620)로부터 게이트웨이 카드(610)에 대하여,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의 복귀 통지가 있으면, CPU(613a)는 단계 SE3의 판단 결과를 "예"로 한다.
단계 SE6에서는, CPU(613a)는 전환부(517)를 퍼스널 컴퓨터부(620) 측으로 전환한다. 단계 SE7에서는, 의사 IDE 드라이버(613d)는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의 분류처를 표준 IDE 드라이버(613c)로부터 통신부(613e)로 전환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카드(610)로부터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 요구(예를 들면, 데이터의 기입)가 발생되면, CPU(613a)는 의사 IDE 드라이버(613d), 통신부(613e), LAN(630), 통신부(621d), 표준 IDE 드라이버(621c),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액세스하고, 데이터를 공용 HDD(540)에 기입한다.
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CPU(613a)는 해당 데이터를 퇴피 데이터로서, RAM(612)에 저장(퇴피)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의사 IDE 드라이버(613d)를 설치하여, 퍼스널 컴퓨터부(620)의 전력 모드가 전력 절약 모드인 경우, 전환부(517) 경유로 공용 HDD(540)에 액세스를 분류하고, 퍼스널 컴퓨터부(6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 퍼스널 컴퓨터부(620) 및 전환부(517) 경유로 공용 HDD(540)에 액세스를 분류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1대의 공용 HDD(540)를 퍼스널 컴퓨터부(620)와 게이트웨이 카드(610)와의 사이에서 공유 가능해져서, 공간 절약화 및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RAM(612)(도 11 참조)에 퇴피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환에 수반되는 퇴피 데이터의 파괴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
그런데,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부(620)의 전력 모드가 통상 전력 모드 및 전력 절약 모드인 경우의 전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 중에 전환이 발생되면, 전환되는 동안에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를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데이터가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동작표에 기초하여, 전환 시에 정밀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데이터의 파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는, 이 경우를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로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동작표에서,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는, 도 10에 도시한 게이트웨이 카드(610)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에서, 온은 게이트웨이 카드(610)에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이다. 오프는 게이트웨이 카드(610)에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는 퍼스널 컴퓨터부(620)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낸다. 이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에서, 온은 상술한 통상 전력 모드를 나타낸다. 오프는 상술한 전력 절약 모드를 나타낸다.
게이트웨이 카드(610)의 주 제어부(613)는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 및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의 조합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인 경우, 주 제어부(613)의 CPU(61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부(517)를 퍼스널 컴퓨터(620) 측으로 전환하고, 퍼스널 컴퓨터부(620) 경유로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오프 상태인 경우, CPU(61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부(517)를 게이트웨이 카드(610) 측으로 전환하고, 직접(의사 IDE 드라이버(613d), 표준 IDE 드라이버(613c), IDE 버스(518) 및 전환부(517) 경유),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이행한 경우, CPU(613a)는 퍼스널 컴퓨터부(620) 경유로 공용 HDD(540)에 액세스 중의 데이터 및 디스크 캐시(RAM(612)에 캐시되어 있는 데이터)를 클리어하고, 재차, 직접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즉,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이행하면, CPU(613a)는 전환부(517)를 퍼스널 컴퓨터부(620) 측으로부터 게이트웨이 카드(610) 측으로 전환한다.
계속해서, CPU(613a)는 전환 전까지의 데이터 등을 클리어한 후, 직접, 공용 HDD(540), 즉, 의사 IDE 드라이버(613d), 표준 IDE 드라이버(613c), IDE 버스(518) 및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 재차 액세스한다.
이 액세스에서는, 공용 HDD(540)에 관한 데이터의 기입(또는 판독)이 처음부터 실행된다. 따라서, 전환 중의 데이터 파괴 등의 폐해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오프로부터 온 상태로 이행한 경우, CPU(613a)는 전환부(517)를 게이트웨이 카드(610) 측으로부터 퍼스널 컴퓨터부(620) 측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CPU(613a)는 전환 직후의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 처리가 종료된 후, 데이터 및 디스크 캐시를 클리어한다.
계속해서, CPU(613a)는 전환 전까지의 데이터 등을 클리어한 후, 퍼스널 컴퓨터부(620) 경유, 즉, 의사 IDE 드라이버(613d), 통신부(613e), LAN(630), 통신부(621d), 표준 IDE 드라이버(621c), IDE 버스(527) 및 전환부(517) 경유로 공용 HDD(540)에 재차 액세스한다.
이 액세스에서는, 공용 HDD(540)에 관한 데이터의 기입(또는 판독)이 처음부터 실행된다. 따라서, 전환 중의 데이터 파괴 등의 폐해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오프로부터 온 상태(전원 투입 직후의 기동 도중)로 이행한 경우, CPU(613a)는 전환부(517)를 게이트웨이 카드(610) 측으로부터 퍼스널 컴퓨터부(620) 측으로 전환한다.
계속해서, CPU(613a)는 퍼스널 컴퓨터부(620)가 온 상태(또는 타임아웃)로되기까지의 동안, 퍼스널 컴퓨터부(620) 경유에서의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를 재시도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종료 처리 중)로 이행한 경우, CPU(613a)는 퍼스널 컴퓨터부(620) 경유로 액세스를 재시도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부(620)의 오프 후, CPU(613a)는 전환부(517)를 퍼스널 컴퓨터부(620) 측으로부터 게이트웨이 카드(610) 측으로 전환한 후, 직접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리세트)로 이행하고,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인 경우, CPU(613a)는 퍼스널 컴퓨터부(620) 경유로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리세트)로 이행하고,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오프 상태인 경우, CPU(613a)는 직접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기동)로 이행하고,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오프 상태인 경우, CPU(613a)는 직접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카드 스테이터스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기동)로 이행하고, 퍼스널 컴퓨터부 스테이터스가 온 상태인 경우, CPU(613a)는 퍼스널 컴퓨터부(620) 경유로 공용 HDD(540)에 액세스한다. 또, 게이트웨이 카드(610)가 오프상태인 경우에 대해서는, 상정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르면,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 도중에 전환부(517)의 전환이 발생된 경우, 전환 후에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를 재시도하도록 하였으므로, 전환에 수반되는 데이터 파괴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
그런데,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RAM(612)에만 메모리 퇴피 영역(612a)을 형성하고, 퇴피 데이터를 메모리 퇴피 영역(612a)에 저장(퇴피)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RAM(612) 및 공용 HDD(540)의 쌍방에 퇴피 데이터를 저장(퇴피)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 구성 예를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로서 설명한다.
도 15는,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서, 도 11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5에서는, RAM(612) 외에 공용 HDD(540)에도 공용 HDD 퇴피 영역(540a)이 설정되어 있다.
이 공용 HDD 퇴피 영역(540a)은, 주 제어부(613)가 전환부(517)를 경유하여 공용 HDD(540)에의 데이터의 기입에 실패한 경우에, 해당 데이터를 퇴피 데이터로서 저장(퇴피)시키기 위한 영역이다. 퇴피 데이터는 공용 HDD 퇴피 파일(540F)의 형태로 공용 HDD 퇴피 영역(540a)에 저장된다.
여기서, 공용 HDD(540)의 공용 HDD 퇴피 영역(540a)에의 퇴피 데이터를 저장(퇴피)하고 있는 도중에, 전환부(517)의 전환이 수회에 걸쳐 발생되면, 전환동안, 공용 HDD 퇴피 영역(540a)에의 저장(퇴피)이 중단되어, 공용 HDD 퇴피 파일(540F)에 공백 부분(540D1∼540D3)이 생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서는, 주 제어부(613)는 전원 모드의 이행을 트리거로 하여, 전환부(517)의 전환 동안, 공백 부분(540D1∼540D3)에 대응하는 각 퇴피 데이터를, RAM(612)의 메모리 퇴피 영역(612a)(메모리 퇴피 파일(612F1∼612F3))에 저장(퇴피)한다. 이들 메모리 퇴피 파일(612F1∼612F3)은, 공백 부분(540D1∼540D3)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주 제어부(613)는, RAM(612)의 메모리 퇴피 영역(612a)으로부터 메모리 퇴피 파일(612F1∼612F3)에 대응하는 각 퇴피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들을 공용 HDD(540)의 공용 HDD 퇴피 영역(540a)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주 제어부(613)는 메모리 퇴피 파일(612F1∼612F3)에 대응하는 각 퇴피 데이터를 공용 HDD 퇴피 파일(540F)의 공백 부분(540D1∼540D3)에 머지시키고, 완전한 공용 HDD 퇴피 파일(540F)을 작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르면,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공용 HDD(540)에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전환부(517)의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전환 동안의 데이터를 RAM(612)에 퇴피시킨 후, 공용 HDD(540)에 퇴피된 데이터와 RAM(612)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환에 수반되는 퇴피 데이터의 파괴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
그런데,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부(517)의 전환 동안, RAM(612)에 퇴피 데이터를 저장(퇴피)시킨 후, 퇴피 데이터를 공용 HDD 퇴피 파일(540F)과 머지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전환 여부에 상관없이, 공용 HDD(540) 및 RAM(612)의 쌍방에 동일한 퇴피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저장(퇴피)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 구성 예를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로서 설명한다.
도 16은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에서, 도 15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5에서, 주 제어부(613)로부터 공용 HDD(540)에의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하면, 주 제어부(613)는 해당 데이터를 퇴피 데이터로 하고, 공용 HDD(540)의 공용 HDD 퇴피 영역(540a)에 저장(퇴피)한다. 이것에 의해, 공용 HDD 퇴피 영역(540a)에는 공용 HDD 퇴피 파일(540F)이 저장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주 제어부(613)는 기입에 실패한 데이터를 퇴피 데이터로하여, RAM(612)의 메모리 퇴피 영역(612a)에 저장(퇴피)한다. 이것에 의해, 메모리 퇴피 영역(612a)에는 메모리 퇴피 파일(612F)이 저장된다.
그리고, 공용 HDD 퇴피 영역(540a) 및 메모리 퇴피 영역(612a)에의 퇴피 데이터의 저장(퇴피) 중에, 전환부(517)가 전환되면,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용 HDD 퇴피 파일(540F)에 공백 부분이 생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서는, 주 제어부(613)는 전원 모드의 이행을 트리거로 하여, 전환부(517)의 전환이 발생된 경우, RAM(612)의 메모리 퇴피 영역(612a)으로부터 메모리 퇴피 파일(612F)에 대응하는 퇴피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공용 HDD(540)의 공용 HDD 퇴피 영역(540a)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주 제어부(613)는 메모리 퇴피 파일(612F)에 대응하는 퇴피 데이터를 공용 HDD 퇴피 파일(540F)과 머지시키고, 완전한 공용 HDD 퇴피 파일(540F)을 작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르면, 공용 HDD(540)에의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공용 HDD(540) 및 RAM(612)의 쌍방에 병렬적으로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전환부(517)의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공용 HDD 퇴피 영역(540a)에 퇴피된 데이터와 RAM(612)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환에 수반되는 퇴피 데이터의 파괴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를 포함함) 및 제2 실시예(제1 변형예 내지 제3 변형예를 포함함)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 예는 이들의 제1 실시예 및 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제3 변형예(제1 실시예) 또는 제4 변형예(제2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한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500)(게이트웨이 카드(510), 퍼스널 컴퓨터부(520))나, 도 10에 도시한 게이트웨이 퍼스널 컴퓨터(600)(게이트웨이 카드(610), 퍼스널 컴퓨터부(620))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도 17에 도시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800)에 기록하여, 이 기록 매체(800)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도 17에에 도시한 컴퓨터(700)에 판독하게 하고, 실행함으로써 각 기능을 실현하여도 된다.
도 17에 도시한 컴퓨터(7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710)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720)와,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730)과,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AM(740)과, 기록 매체(800)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판독 장치(750)와,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의 출력 장치(760)와, 장치 각 부를 접속하는 버스(770)로 구성되어 있다.
CPU(710)는 판독 장치(750)를 경유하여 기록 매체(800)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기능을 실현한다. 또, 기록 매체(800)로서는, 광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
(부기 1)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며,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로서,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 전환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카드.
(부기 2)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가 모두 기동 도중에 있는 경우,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카드.
(부기 3)
상기 기억 수단에서는,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이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에서 이용되는 제2 영역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영역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을 유효로부터 무효로 설정 변경하고, 상기 제2 영역을 무효로부터 유효로 설정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카드.
(부기 4)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차가 있는 경우,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되었을 때,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됨과 함께, 해당 제어 후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맞추기 위해서 상기 기억 수단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3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카드.
이 부기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되었을 때,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됨과 함께, 제어 후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맞추기 위해서 기억 수단을 초기화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이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부기 5)
상기 기억 수단에의 액세스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상기 전력 절약 모드인 경우, 상기 전환 수단 경유로 상기 기억 수단에 액세스를 분류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전환 수단 경유로 상기 기억 수단에 액세스를 분류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4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카드.
(부기 6)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된 경우, 전환 후에 상기 기억 수단에의 액세스를 재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카드.
(부기 7)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퇴피 메모리에 퇴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 또는 부기 6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카드.
(부기 8)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전환되는 동안의 데이터를 퇴피 메모리에 퇴피시킨 후,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된 데이터와 상기 퇴피 메모리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 또는 부기 6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카드.
(부기 9)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 및 퇴피 메모리의 쌍방에 병렬적으로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된 데이터와 상기 퇴피 메모리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 또는 부기 6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카드.
(부기 10)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며,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에 적용되는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부기 11)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며,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에 적용되는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 전환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부기 12)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가 모두 기동 도중에 있는 경우,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부기 13)
상기 기억 수단에서는,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이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에서 이용되는 제2 영역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영역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을 유효로부터 무효로 설정 변경하고, 상기 제2 영역을 무효로부터 유효로 설정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또는 부기 12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부기 14)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차가 있는 경우,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되었을 때,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됨과 함께, 전환 후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맞추기 위해서 상기 기억 수단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또는 부기 13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부기 15)
상기 컴퓨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의 액세스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상기 전력 절약 모드인 경우, 상기 전환 수단 경유로 상기 기억 수단에 액세스를 분류하여,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전환 수단 경유로 상기 기억 수단에 액세스를 분류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또는 부기 14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부기 16)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된 경우, 전환 후에 상기 기억 수단에의 액세스를 재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부기 17)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퇴피 메모리에 퇴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또는 부기 16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부기 18)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했을 때, 전환되는 동안의 데이터를 퇴피 메모리에 퇴피시킨 후,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된 데이터와 상기 퇴피 메모리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 또는 부기 16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부기 19)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 및 퇴피 메모리의 쌍방에 병렬적으로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된 데이터와 상기 퇴피 메모리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 또는 부기 16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부기 20)
정보 처리부와, 해당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며,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를 구비한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는,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전환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소정의 이행 요인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가동 상태를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부기 21)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가 모두 기동 도중에 있는 경우,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0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장치.
(부기 22)
상기 기억 수단에서는,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이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에서 이용되는 제2 영역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영역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을 유효로부터 무효로 설정 변경하고, 상기 제2 영역을 무효로부터 유효로 설정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0 또는 부기 21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장치.
(부기 23)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의 데이터 전송 속도과 차가 있는 경우,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되었을 때,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됨과 함께, 전환 후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맞추기 위해서 상기 기억 수단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0 또는 부기 22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장치.
(부기 24)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에 설치되고, 상기 기억 수단에의 액세스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상기 전력 절약 모드인 경우, 상기 전환 수단 경유로 상기 기억 수단에 액세스를 분류하여,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전환 수단 경유로 상기 기억 수단에 액세스를 분류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20 또는 부기 23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장치.
(부기 25)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된 경우, 전환 후에 상기 기억 수단에의 액세스를 재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4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장치.
(부기 26)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퇴피 메모리에 퇴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4 또는 부기 25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장치.
(부기 27)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했을 때, 전환되는 동안의 데이터를 퇴피 메모리에 퇴피시킨 후,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된 데이터와 상기 퇴피 메모리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4 또는 부기 25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장치.
(부기 28)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 및 퇴피 메모리의 쌍방에 병렬적으로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된 데이터와 상기 퇴피 메모리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24 또는 부기 25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장치.
(부기 29)
정보 처리부와, 해당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며,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를 구비한 게이트웨이 장치에 적용되는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에서는,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공정이 실행되며,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는,
소정의 이행 요인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가동 상태를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 공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부기 30)
상기 전환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가 모두 기동 도중에 있는 경우,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9에 기재된 게이트웨이제어 방법.
(부기 31)
상기 기억 수단에서는,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이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에서 이용되는 제2 영역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영역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환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을 유효로부터 무효로 설정 변경하고, 상기 제2 영역을 무효로부터 유효로 설정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9 또는 부기 30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부기 32)
상기 전환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정보 처리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의 데이터 전송 속도과 차가 있는 경우,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되었을 때,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전환 후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맞추기 위해서 상기 기억 수단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9 또는 부기 31에 기재된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부 및 게이트웨이 카드에서 기억 수단을 공용시키고,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전환 수단을 정보 처리부와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상태로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공간 절약화 및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부 및 게이트웨이 카드가 모두 기동 도중에 있는 경우, 전환 수단을 정보 처리부와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게이트웨이 카드와 정보 처리부를 정상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제1 영역을 유효로부터 무효로 설정 변경하고, 제2 영역을 무효로부터 유효로 설정 변경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환의 전후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정보 처리부 및 게이트웨이 카드에 정확하게 할당되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전력 절약 모드인 경우, 전환 수단 경유로 기억 수단에 액세스를 분류하고,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 정보 처리부 및 전환 수단 경유로 기억 수단에 액세스를 분류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하나의 기억 수단을 정보 처리부와 게이트웨이 카드와의 사이에서 공유 가능해져서, 공간 절약화 및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도중에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된 경우, 전환 후에 기억 수단에의 액세스를 재시도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환에 수반되는 데이터 파괴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퇴피 메모리에 퇴피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환에 수반되는 퇴피 데이터의 파괴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전환되는 동안의 데이터를 퇴피 메모리에 퇴피시킨 후, 기억 수단에 퇴피된 데이터와 퇴피 메모리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환에 수반되는 퇴피 데이터의 파괴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기억 수단 및 퇴피 메모리의 쌍방에 병렬적으로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기억 수단에 퇴피된 데이터와 퇴피 메모리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환에 수반하는 퇴피 데이터의 파괴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0)

  1.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며,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로서,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전환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카드.
  2.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며,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에 적용되는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 전환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3. 정보 처리부와, 해당 정보 처리부에 접속되며,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카드를 구비한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는,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기억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된 전환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소정의 이행 요인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가동 상태를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가 모두 기동 도중에 있는 경우, 상기 전환 수단을 상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억 수단을 결합하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서는,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이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에서 이용되는 제2 영역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영역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가동 상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된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을 유효로부터 무효로 설정 변경하고, 상기 제2 영역을 무효로부터 유효로 설정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에 설치되고, 상기 기억 수단에의 액세스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상태가 상기 전력 절약 모드인 경우, 상기 전환 수단 경유로 상기 기억 수단에 액세스를 분류하여, 상기 정보 처리부의 가동 형태가 상기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전환 수단 경유로 상기 기억수단에 액세스를 분류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된 경우, 전환 후에 상기 기억 수단에의 액세스를 재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퇴피(退避) 메모리에 퇴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했을 때, 전환되는 동안의 데이터를 퇴피 메모리에 퇴피시킨 후,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된 데이터와 상기 퇴피 메모리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액세스 도중에 데이터의 기입이 실패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 및 퇴피 메모리의 쌍방에 병렬적으로 퇴피시키고, 퇴피 중에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기억 수단에 퇴피된 데이터와 상기 퇴피 메모리에 퇴피된 데이터를 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KR1020030062490A 2002-09-13 2003-09-08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및게이트웨이 장치 KR200400244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9257 2002-09-13
JPJP-P-2002-00269257 2002-09-13
JPJP-P-2003-00029923 2003-02-06
JP2003029923A JP3895691B2 (ja) 2002-09-13 2003-02-06 ゲートウェイカード、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480A true KR20040024480A (ko) 2004-03-20

Family

ID=3203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490A KR20040024480A (ko) 2002-09-13 2003-09-08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및게이트웨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225351B2 (ko)
EP (1) EP1408645B1 (ko)
JP (1) JP3895691B2 (ko)
KR (1) KR20040024480A (ko)
CN (1) CN1301476C (ko)
DE (1) DE6031481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5691B2 (ja) * 2002-09-13 2007-03-22 富士通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カード、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
JP3989383B2 (ja) 2003-02-06 2007-10-10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ゲートウェイカード、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JP2005132052A (ja) * 2003-10-31 2005-05-26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US7237054B1 (en) * 2004-02-27 2007-06-2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witching interfaces in external disk drives
JP2005316890A (ja) * 2004-04-30 2005-11-10 Sony Corp 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データ処理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4483694B2 (ja) * 2004-06-22 2010-06-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通信システム
US20060274764A1 (en) * 2005-06-02 2006-12-07 Mah Donald T Power saving methods in gateway
JP4786371B2 (ja) * 2006-02-27 2011-10-05 アラクサラ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
KR101111906B1 (ko) * 2006-11-15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8276201B2 (en) * 2007-03-22 2012-09-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ity protection in data processing systems
JP2007209037A (ja) * 2007-05-14 2007-08-16 Fujitsu Ltd ゲートウェイカード、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US20100037071A1 (en) * 2008-08-05 2010-02-11 Hsiang-Li Chang Using Internet to control delivery of power to a set of remote loads(devices)
CN101997715A (zh) * 2009-08-25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网关的软件升级管理方法
JP2011154556A (ja) * 2010-01-27 2011-08-11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8806501B2 (en) * 2010-03-31 2014-08-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dictive dynamic system scheduling
CN102480398A (zh) * 2010-11-29 2012-05-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家庭网关节能方法及家庭网关
EP2717533A4 (en) * 2011-07-19 2015-01-07 Huawei Tech Co Ltd METHOD, NETWORK CARD, AND HARD DISK CARD FOR ACCESSING HARD DISK
CN102681649B (zh) * 2012-05-08 2014-11-1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多智能设备延长电池续航能力的装置及方法
US9509717B2 (en) * 2014-08-14 2016-11-29 Masergy Communications, Inc. End point secured network
CN112684734B (zh) * 2020-12-10 2022-04-22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网卡ncsi功能自适应系统、方法与集成芯片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5945A (ja) 1985-05-31 1986-12-06 Toshiba Corp パ−ソナルコンピユ−タにおける共用デイスク管理方式
US5247164A (en) * 1989-01-26 1993-09-21 Hitachi Maxell, Ltd. IC card and portable terminal
US5410713A (en) * 1992-01-02 1995-04-25 Smith Corona/Acer Power-management system for a computer
US5485625A (en) * 1992-06-29 1996-01-16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xternal events during a microprocessor's sleep mode
JPH06301631A (ja) 1993-04-09 1994-10-28 Sharp Corp メモリ制御回路
JPH0756694A (ja) 1993-08-19 1995-03-03 Fuji Xerox Co Ltd ディスクアレイ装置
US5572683A (en) * 1994-06-15 1996-11-05 Intel Corporation Firmware selectable address location and size for cis byte and ability to choose between common memory mode and audio mode by using two external pins
FI111309B (fi) * 1996-01-03 2003-06-30 Nokia Corp Tietoliikenneverkkoon radioteitse liitettävä päätelaite
DE19620756A1 (de) * 1996-05-23 1997-11-27 Wirth Co Kg Masch Boh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im Boden verankerten Rohren oder Pfeilern
JP2790134B1 (ja) 1997-03-11 1998-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アレイシステム
US6247079B1 (en) * 1997-05-13 2001-06-12 Micron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omputer implemented hot-swap and hot-add
JPH10320259A (ja) 1997-05-20 1998-12-04 Ricoh Co Ltd 追記型cd共有システム
US6449348B1 (en) * 1997-05-29 2002-09-10 3Com Corporation Power transfer apparatus for use by network devices including telephone equipment
JP3226835B2 (ja) * 1997-06-20 2001-1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ドレス設定方法、及びこのアドレス設定方法が適用される通信システム
JPH1158412A (ja) 1997-08-26 1999-03-02 Okamoto Ind Inc 弾性成形型の離型装置
US6438684B1 (en) * 1997-11-03 2002-08-20 3Com Corporation Push button shutdown and reset of embedded systems
JPH11249967A (ja) 1998-02-27 1999-09-17 Fanuc Ltd Ncデータの不正複写防止方法
DE19818986C1 (de) * 1998-04-28 1999-05-27 Siemens Nixdorf Inf Syst Verfahren und Anordnung zum Bewerkstelligen eines unterbrechungsfreien Stromversorgungsbetriebs einer Systemeinheit
US6122713A (en) * 1998-06-01 2000-09-19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Dual port shared memory system including semaphores for high priority and low priority requestors
JP2000267928A (ja) 1999-03-15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モリ制御装置
JP2000285090A (ja) 1999-03-31 2000-10-13 Canon Aptex Inc データ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AU2001245827A1 (en) * 2000-03-17 2001-10-03 America Online, Inc. Home-networking
US6715091B1 (en) * 2000-04-10 2004-03-30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rearranging plurality of memory storage elements in a computer process to different configuration upon entry into a low power mode of operation
CN1143930C (zh) * 2000-07-18 2004-03-31 松下电工株式会社 复合梁与柱子的接合结构
JP4652640B2 (ja) 2000-10-17 2011-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機能を有する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4102018B2 (ja) * 2000-11-30 2008-06-18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カードおよびシステム
JP4523150B2 (ja) * 2000-12-27 2010-08-11 レノボ シンガポール プライヴェート リミテッド データサーバ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装置、記憶媒体
JP3612033B2 (ja) * 2001-04-20 2005-01-19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ホーム・ゲートウェイ装置
JP2003058285A (ja) * 2001-08-10 2003-02-28 Fujitsu Ten Ltd 制御システム
US6993571B2 (en) * 2001-08-16 2006-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conservation in a server cluster
JP4369101B2 (ja) * 2002-09-04 2009-11-18 富士通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カード、ゲートウェイ装置、ゲートウェイ制御方法およ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JP4157347B2 (ja) * 2002-09-13 2008-10-01 富士通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カード、ゲートウェイ装置、ゲートウェイ制御方法およ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JP3895691B2 (ja) * 2002-09-13 2007-03-22 富士通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カード、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
JP4149221B2 (ja) * 2002-09-13 2008-09-10 富士通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カード、ゲートウェイ装置、ゲートウェイ制御方法およ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KR100481873B1 (ko) * 2003-02-04 2005-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모드를 갖는 매체 엑세스 제어기
JP3989383B2 (ja) * 2003-02-06 2007-10-10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ゲートウェイカード、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25351B2 (en) 2007-05-29
EP1408645B1 (en) 2007-07-11
US20040107371A1 (en) 2004-06-03
DE60314817T2 (de) 2008-03-20
US7814352B2 (en) 2010-10-12
US20070192644A1 (en) 2007-08-16
US8862915B2 (en) 2014-10-14
JP3895691B2 (ja) 2007-03-22
JP2004159279A (ja) 2004-06-03
DE60314817D1 (de) 2007-08-23
CN1301476C (zh) 2007-02-21
US20100332881A1 (en) 2010-12-30
CN1487439A (zh) 2004-04-07
EP1408645A1 (en)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4480A (ko)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및게이트웨이 장치
US6282646B1 (en) System for real-time adaptation to changes in display configuration
JP4164073B2 (ja) 多機能電源ボタンを有するコンピューター及び関連方法
JP4268210B2 (ja) 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情報表示の管理システム
KR20030083743A (ko) 라이트 백 캐시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20070169083A1 (en) Method for secure in-service software upgrades
JP201005518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メモリ管理方法
KR20080103476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프로그램, 게이트웨이 카드, 게이트웨이 장치 및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그램
US20040053643A1 (en) Gateway card, gateway device, gatew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duct
KR100605031B1 (ko)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장애복구 및 업그레이드 방법
US20030145068A1 (en) Appliance server configuration recovery for a highly optimized server configuration profile image
CN100343839C (zh) 一种用于把外部存储器访问转换成处理核心中局部存储器访问的方法和设备
JPH11184683A (ja) 電子機器
US7917837B2 (en) Providing a blade center with additional video output capability via a backup blade center management module
JP3508595B2 (ja) マイクロ命令記憶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H02201671A (ja) Icメモリカード
JPH11345040A (ja) ドッキングユニット
JP2007209037A (ja) ゲートウェイカード、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KR20080000857A (ko) 무선 네트워크 연결 복원 기능을 갖는 컴퓨터, 그의 무선네트워크 연결 복원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20008595A (ko)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040209A (ja) 電子装置
JP2002288126A (ja) 情報処理装置
JPH08235041A (ja) データベースバックアップ方式
JPH1131085A (ja) 二重化システム
KR20040053660A (ko) 샌스위치를 이용한 데이터 백업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