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970A -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970A
KR20040023970A KR1020020055429A KR20020055429A KR20040023970A KR 20040023970 A KR20040023970 A KR 20040023970A KR 1020020055429 A KR1020020055429 A KR 1020020055429A KR 20020055429 A KR20020055429 A KR 20020055429A KR 20040023970 A KR20040023970 A KR 20040023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wl
sliding bar
base bracket
inclined surfac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116B1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11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external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 바아가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베이스 브라켓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어퍼 브라켓의 섹터 기어와 선택적으로 록킹이 이루어지는 폴이 베이스 브라켓상에서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경사면에 상시 밀착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폴이 슬라이딩 바아의 전후 이동에 따른 경사면상에서의 회전동작으로 섹터 기어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파단시까지는 상기 폴이 슬라이딩 바아의 경사면상에 지지된 상태로 록킹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충돌시 시트백의 갑작스런 록킹 해제에 따른 착좌자 부상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Locking device of seat reclin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 바아가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베이스 브라켓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어퍼 브라켓의 섹터 기어와 선택적으로 록킹이 이루어지는 폴이 베이스 브라켓상에서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경사면에 상시 밀착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폴이 슬라이딩 바아의 전후 이동에 따른 경사면상에서의 회전동작으로 섹터 기어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파단시까지는 상기 폴이 슬라이딩 바아의 경사면상에 지지된 상태로 록킹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충돌시 시트백의 갑작스런 록킹 해제에 따른 착좌자 부상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쿠션과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백으로 이루어진 시트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은 리클라이너(recliner)를 매개로 하여 시트쿠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리클라이너에 의해 착좌자의 체형이나 편의에 따라 시트백의 전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클라이너에서는 레버 조작에 연동하는 록킹 장치가 설치되어,이 록킹 장치의 해제작동시에만 시트백이 시트쿠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리클라이너는 시트백(10) 하단과 시트쿠션(20) 후단을 서로 연결하게 되는데, 시트백(10) 회전에 연동하는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31)(이하 '어퍼 브라켓'으로 약칭함)과 시트쿠션(20)측에 고정 설치된 리클라이너 베이스 브라켓(33)(이하 '베이스 브라켓'으로 약칭함) 사이에는 시트백(10)의 탄성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나선형 스프링(34)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예시한 바의 리클라이너에서는 어퍼 브라켓(31)의 하단부가 섹터 기어(sector gear)(32)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 섹터 기어(32)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폴(pawl)(37)이 베이스 브라켓(33)상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수단(38)에 의해 상하 안내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폴(37)의 양측으로는 이 폴(37)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두 개의 복원 스프링(39a,39b)이 설치되는 바, 결국 상기 폴(37)은 가이드 수단(38)에서 복원 스프링(39a,39b)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하 작동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섹터 기어(32)에 치합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착좌자의 레버 조작에 따라 폴(37)이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될 수 있도록 폴(37)의 하단에는 작동 케이블(35)이 연결되는 바, 이 작동케이블(35)은 시트 측방에 설치된 조작 레버(36)와 연결되며, 결국 착좌자가 조작 레버(36)를 상측으로 당겨주게 되면 작동 케이블(35)에 의해 폴(37)이 복원 스프링(39a,39b)을 인장시키면서 하방으로 당겨져 어퍼 브라켓(31)의 섹터 기어(32)와 폴(37)의 치형부(37a)간 물림이 해제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어퍼 브라켓(31)이 베이스 브라켓(33)에 록킹 해제된 상태이므로 시트백(1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후 착좌자가 조작 레버(36)의 당김작동을 해제하게 되면 폴(37)이 양쪽의 두 복원 스프링(39a,39b)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원복되면서 폴(37)의 치형부(37a)가 어퍼 브라켓(31)의 섹터 기어(32)에 다시 치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어퍼 브라켓(31)이 베이스 브라켓(33)에 록킹된 상태이므로 시트백(10)의 회전이 불가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서는 폴(37)의 양쪽으로 위치된 복원 스프링(39a,39b)의 스프링력에 의해 조작 레버(36)의 당김작동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폴(37)의 치형부(37a)가 어퍼 브라켓(31)의 섹터 기어(32)에 치합된 상태가 되어 록킹상태가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두 복원 스프링(39a,39b)의 스프링력에 의해서만 폴(37)의 록킹상태가 지속되도록 구성된 종래의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서는 충돌 등의 강한 힘이 작용할 경우 폴(37)이 순간적으로 하향 동작되어 어퍼 브라켓(31)과 베이스 브라켓(33)간 록킹이 뜻하지 않게 해제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충돌시 강한 충격에 의해 치합된 상태의 두 기어(32,37)끼리 서로 밀쳐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충돌시 시트백(10)의 갑작스런 록킹 해제에 따른 착좌자 부상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었는 바, 그 대처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 바아가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베이스 브라켓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어퍼 브라켓의 섹터 기어와 선택적으로 록킹이 이루어지는 폴이 베이스 브라켓상에서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경사면에 상시 밀착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폴이 슬라이딩 바아의 전후 이동에 따른 경사면상에서의 회전동작으로 섹터 기어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파단시까지는 상기 폴이 슬라이딩 바아의 경사면상에 지지된 상태로 록킹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충돌시 시트백의 갑작스런 록킹 해제에 따른 착좌자 부상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서 슬라이딩 바아의 전후 동작에 따른 폴의 록킹/해제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4는 종래의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백20 : 시트쿠션
31 : 어퍼 브라켓32 : 섹터 기어
33 : 베이스 브라켓33a : 핀 가이드 홈
35 : 작동 케이블36 : 조작 레버
41 : 폴41a : 치형부
42 : 힌지부43 : 슬라이딩 바아
43a : 경사면44 : 복원 스프링
45 : 가이드 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트쿠션(20)측의 베이스 브라켓(33)상에 설치된 폴(41)이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시트백(10)측의 어퍼 브라켓(31)에 구비된 섹터 기어(32)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짐으로써 시트백(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록킹시키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33)상에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내려간 형태의 경사면(43a)을 가지며 조작 레버(36)로부터 연결된 작동 케이블(35)과 베이스 브라켓(33)상에 설치된 복원 스프링(44)이 전후로 연결된 슬라이딩 바아(43)가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폴(41)이 베이스 브라켓(33)상에서 힌지부(42)에 내장된 복원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바아(43)의 경사면(43a)에 상시 밀착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폴(37)이 슬라이딩 바아(43)의 전후 이동에 따른 경사면(43a)상에서의 회전동작으로 섹터 기어(32)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 바아(43)는 그 전후 소정 위치에서 돌출되게 설치된 가이드 핀(45)이 베이스 브라켓(33)상에 전후로 길게 구비된 핀 가이드 홈(33a)에 삽입 안내되면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동작하는 폴이 복원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던 종래의 구조 대신, 경사면(43a)을 갖는 슬라이딩 바아(bar)(43)가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베이스 브라켓(33)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어퍼 브라켓(31)의 섹터 기어(32)와 선택적으로 록킹이 이루어지는 폴(41)이 베이스 브라켓(33)상에서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바아(43)의 경사면(43a)에 상시 밀착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폴(41)이 슬라이딩 바아(43)의 전후 이동에 따른 경사면(43a)상에서의 회전동작으로 섹터 기어(32)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그 구성을 살펴보면,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내려간 형태의 경사면(43a)을 갖는 슬라이딩 바아(43)가 베이스 브라켓(33)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바아(43)의 전단부에는 조작 레버(36)로부터 연결된 작동 케이블(35)의 일단이 연결되는 동시에 후단부에는 베이스 브라켓(33)상에 설치된 복원 스프링(44)의 일단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바아(43)에는 그 전후 소정 위치에 베이스 브라켓(33)상의 핀 가이드 홈(33a)을 따라 전후로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 핀(45)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핀 가이드 홈(33a)은 전후로 길게 구비되어 슬라이딩 바아(43)에 설치된 가이드 핀(45)이 삽입 안내되는 홈이다.
결국, 상기 슬라이딩 바아(43)는 레버 조작에 따라 작동 케이블(35)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질 경우 복원 스프링(44)을 인장시키면서 핀 가이드 홈(33a)을 따라 전방으로 수평 이동되며, 작동 케이블(35)의 당김작동이 해제될 경우 복원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핀 가이드 홈(33a)을 따라 후방으로 원복되어진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바아(43)의 경사면(43a)에는 베이스 브라켓(33)상에서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폴(41)이 밀착 지지되고 있는 바, 상기 폴(41)의 일측으로는 어퍼 브라켓(31)의 섹터 기어(32)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치형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41)은 그 힌지부(42)에 복원 스프링(미도시됨)이 내장되어 슬라이딩 바아(43)의 방향으로 상시 복원성을 갖도록 설치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서 슬라이딩 바아의 전후 동작에 따른 폴의 록킹/해제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착좌자가 시트백(10)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작 레버(36)를 당기게 되면 작동 케이블(35)에 의해 슬라이딩 바아(43)가 그 후방의 복원 스프링(44)을 인장시키면서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 바(43)의 경사면(43a)상에 힌지부(42)에 내장된 복원 스프링에 의해 상시 밀착 지지되고 있는 폴(41)이 힌지부(42)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폴(41)의 치형부(41a)와 어퍼 브라켓(31)의 섹터 기어(32)간 물림이 해제되어지므로 어퍼 브라켓(31)과 베이스 브라켓(33)간 록킹이 해제되고, 결국 시트백(1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후 착좌자가 조작 레버(36)의 당김을 해제하게 되면 슬라이딩 바아(43)가 그 후방의 복원 스프링(44)에 의해 탄력적으로 후방 이동되면서 그 경사면(43a)에 밀착 지지된 폴(41)을 밀어 올리게 된다.
즉, 상기 폴(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그 치형부(41a)가 어퍼 브라켓(31)의 섹터 기어(32)에 다시 치합되는 바, 이에 어퍼 브라켓(31)과 베이스 브라켓(33)간 록킹이 이루어지고, 결국 시트백(10)의 회전이 불가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 따르면, 회전됨에 따라 어퍼 브라켓(31)의 섹터 기어(32)와 선택적으로 록킹되도록 구비된 상기 폴(41)이 어퍼 브라켓(31)의 섹터 기어(32)와 치합된 상태에서 그 하측의 슬라이딩 바아(43)에 의해 상시 밀착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충돌시와 같은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파단시까지는 어퍼 브라켓(31), 즉 시트백(10)의 록킹이 지속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 의하면,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동작하는 폴이 복원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던 종래의 구조 대신,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 바아가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베이스 브라켓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어퍼 브라켓의 섹터 기어와 선택적으로 록킹이 이루어지는 폴이 베이스 브라켓상에서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경사면에 상시 밀착 지지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파단시까지는 상기 폴이 슬라이딩 바아의 경사면상에 지지된 상태로록킹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충돌시 시트백의 갑작스런 록킹 해제에 따른 착좌자 부상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트쿠션(20)측의 베이스 브라켓(33)상에 설치된 폴(41)이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시트백(10)측의 어퍼 브라켓(31)에 구비된 섹터 기어(32)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짐으로써 시트백(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록킹시키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33)상에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내려간 형태의 경사면(43a)을 가지며 조작 레버(36)로부터 연결된 작동 케이블(35)과 베이스 브라켓(33)상에 설치된 복원 스프링(44)이 전후로 연결된 슬라이딩 바아(43)가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폴(41)이 베이스 브라켓(33)상에서 힌지부(42)에 내장된 복원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바아(43)의 경사면(43a)에 상시 밀착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폴(37)이 슬라이딩 바아(43)의 전후 이동에 따른 경사면(43a)상에서의 회전동작으로 섹터 기어(32)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아(43)는 그 전후 소정 위치에서 돌출되게 설치된 가이드 핀(45)이 베이스 브라켓(33)상에 전후로 길게 구비된 핀 가이드 홈(33a)에 삽입 안내되면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KR10-2002-0055429A 2002-09-12 2002-09-12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KR10046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29A KR100461116B1 (ko) 2002-09-12 2002-09-12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29A KR100461116B1 (ko) 2002-09-12 2002-09-12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970A true KR20040023970A (ko) 2004-03-20
KR100461116B1 KR100461116B1 (ko) 2004-12-14

Family

ID=3732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429A KR100461116B1 (ko) 2002-09-12 2002-09-12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1641A (zh) * 2018-10-16 2019-03-22 日照国峤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座椅
CN111231796A (zh) * 2019-09-09 2020-06-05 佛吉亚(中国)投资有限公司 汽车座椅及其电动执行装置
CN114771368A (zh) * 2022-05-17 2022-07-22 诺博汽车系统有限公司 座椅靠背调节机构及座椅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021Y2 (ja) * 1990-01-29 1994-08-17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座席装置
JPH05176819A (ja) * 1991-12-27 1993-07-20 Tokyo Seat Kk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229442B1 (ko) * 1996-12-27 1999-11-01 정몽규 자동차용 리어 시트 접힘 장치
KR200237317Y1 (ko) * 1997-12-08 2001-10-25 이계안 자동차용시트백의고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1641A (zh) * 2018-10-16 2019-03-22 日照国峤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座椅
CN111231796A (zh) * 2019-09-09 2020-06-05 佛吉亚(中国)投资有限公司 汽车座椅及其电动执行装置
CN114771368A (zh) * 2022-05-17 2022-07-22 诺博汽车系统有限公司 座椅靠背调节机构及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116B1 (ko)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9146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4781354A (en) Seat slide device for car
WO2017110438A1 (ja) 自動車用シート
EP3565733B1 (en) Adjustable seat with entry tip slide plus pitch slide
JP494603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0461116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CZ2004949A3 (cs) Zámkový systém pro operadla zadních sedadel vozidel
KR101062549B1 (ko) 차량용 시트
US2828806A (en) Latchable tilting seat back
JP3431129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JP4410439B2 (ja) 車両用シートの乗降及びスライド装置
KR10046111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록킹 장치
KR102350611B1 (ko)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록킹 장치
JP3419681B2 (ja) 自動車のシート
KR100786894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장치
KR20240066725A (ko)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S635944Y2 (ko)
KR100503448B1 (ko)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KR100410730B1 (ko)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레버 록킹장치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JP2594897Y2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KR100366578B1 (ko) 차량용 점프 시트의 잠금장치
JP3121670B2 (ja) シート装置
JPH0535455U (ja) 車両用座席
JP3140263B2 (ja) 格納式ヘッドレス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