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448B1 -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448B1
KR100503448B1 KR10-2002-0067463A KR20020067463A KR100503448B1 KR 100503448 B1 KR100503448 B1 KR 100503448B1 KR 20020067463 A KR20020067463 A KR 20020067463A KR 100503448 B1 KR100503448 B1 KR 10050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rail
locking
ca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496A (ko
Inventor
최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10-2002-006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448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10)과, 이 고정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시켜 상면에 브라켓(30)이 연결된 후 시트가 안치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송되는 이송레일(2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의 일면에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을 잠금 및 해제시켜 주는 록킹부재(40)가 돌기수용홈(11)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41)와, 작동캠의 작용에 의해 힌지(44)를 매개로 록킹부재를 회동시키도록 형성된 작동로드(42)와, 작동캠의 하단면과 면접하여 록킹부재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면(43)을 갖추게 되는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40)의 작동 및 잠금작용을 하는 작동캠(50)이 작동로드(42)의 내측에 설치되되, 브라켓(30)의 안내홀(31)을 따라 움직이면서 작동캠의 이동을 담당하는 작동레버(51)와, 브라켓(30)에 작동캠을 연결하여 작동캠을 회동하게 하는 힌지(52)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재(40)를 작동시키면서 록킹부재와 면접하고 있는 작동캠(50)에 의해 록킹부재가 록킹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의 충격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지 않게 되고 이것에 의해 차량내에서 2차 충돌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부재(40)의 이탈에 의한 록킹부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locking device of seat-track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록킹부재를 작동시키면서 록킹부재와 면접하고 있는 작동캠에 의해 록킹부재가 록킹된 상태에서 전방의 충격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지 않도록 된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하므로서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이트중 차량의 앞 열에 배치되어 있는 운전석 및 조수석은 체형에 맞게 시이트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 안락함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운전석의 경우 운전자는 신체적인 조건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운전자가 시이트에 앉은 상태에서 핸들과 악셀레이터, 브레이크 등의 조작이 가장 편리하도록 시트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 맞추어준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고 자세 불안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종래 시트이송트랙을 고정하고 해제시키는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100)과, 이 고정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시켜 상면에 브라켓(300)이 연결된 후 시트가 안치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송되는 이송레일(20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의 일면에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을 잠금 및 해제시켜 주는 록킹부재(400)로 형성되며, 이링(511, E-RING)에 의해 힌지(310)에 연결되어 이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면서, 푸시너트(512)를 매개로 상기 작동레버(420)와 고정하게 되는 타울바브라켓(510)과, 이 타울바브라켓과 연결,고정되는 타울바(50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부재(400)는 다수개(여기서는 3개)의 걸림돌기(4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울바(500)를 상단으로 잡아당겨 타울바브라켓(510)이 힌지(310)를 매개로 회동하게 되면, 작동레버(420)가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고정레일(100)의 돌기수용홈(110)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때 고정레일을 따라 이송레일(200)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탑승자는 자기 체형에 맞게 시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잡고 있던 상기 타울바(500)를 놓게 되면 작동레버(420)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걸림돌기(410)가 고정레일(100)의 돌기수용홈(110)에 끼워져 수용되고 결국 고정레일(100)에 이송레일(200)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록킹부재(400)의 고정돌기(410)가 돌기수용홈(110)에 수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하여 즉 후방에서 강한 충격력이 전달되면 록킹부재의 힌지와 걸림돌기의 수용면과의 단차에 의해 록킹부재에서 회전모멘트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고정돌기(410)가 돌기수용홈(110)으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되고, 이것에 의해 시트에 착석하고 있던 승객이 차량내에서 2차 충돌을 일으킬 수 있게 되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록킹부재를 잡아주는 기능이 추가되어 즉 록킹부재를 작동시키면서 록킹부재와 면접하고 있는 작동캠에 의해 록킹부재가 록킹된 상태에서 전방의 충격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지 않게 되고 이것에 의해 차량내에서 2차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과, 이 고정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시켜 상면에 브라켓이 연결된 후 시트가 안치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송되는 이송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의 일면에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을 잠금 및 해제시켜 주는 록킹부재가 돌기수용홈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와, 작동캠의 작용에 의해 힌지를 매개로 록킹부재를 회동시키도록 형성된 작동로드와, 작동캠의 하단면과 면접하여 록킹부재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면을 갖추게 되는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작동 및 잠금작용을 하는 작동캠이 작동로드의 내측에 설치되되, 브라켓의 안내홀을 따라 움직이면서 작동캠의 이동을 담당하는 작동레버와, 브라켓에 작동캠을 연결하여 작동캠을 회동하게 하는 힌지를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이송트랙의 전방에서 충격력이 전달되었을 때의 록킹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10)과, 이 고정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시켜 상면에 브라켓(30)이 연결된 후 시트가 안치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송되는 이송레일(2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의 일면에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을 잠금 및 해제시켜 주는 록킹부재(40)로 이루어지는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40)가 돌기수용홈(11)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41)와, 작동캠의 작용에 의해 힌지(44)를 매개로 록킹부재를 회동시키도록 형성된 작동로드(42)와, 작동캠의 하단면과 면접하여 록킹부재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면(43)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40)의 작동 및 잠금작용을 하는 작동캠(50)이 작동로드(4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동캠(50)은 브라켓(30)의 안내홀(31)을 따라 움직이면서 작동캠의 이동을 담당하는 작동레버(51)와, 브라켓(30)에 작동캠을 연결하여 작동캠을 회동하게 하는 힌지(52)를 갖추게 된다.
또한 이링(72, E-RING)에 의해 힌지(32)에 연결되어 이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면서, 푸시너트(73)를 매개로 상기 작동레버(51)와 고정하게 되는 타울바브라켓(71)과, 이 타울바브라켓과 연결,고정되는 타울바(70)를 갖추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레일(10)에 이송레일(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즉 록킹부재(40)의 고정돌기(41)가 이송레일(10)의 돌기수용홀(11)에 수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타울바(70)를 상단으로 당겨 타울바브라켓(71)이 힌지(32)를 매개로 회동되어 결국 작동레버(51)가 시계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이 작동캠(50)이 힌지(52)를 매개로 회동하게 되며, 이 작동캠(50)과 면접하고 있던 록킹부재(40)의 작동로드(42)를 밀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록킹부재(40)는 힌지(44)를 매개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따라서 걸림돌기(41)가 돌기수용홀(11)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즉 이송레일(20)이 고정레일(10)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고, 이때 탑승자는 시트를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트를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킨 후, 잡고 있던 상기 타울바(70)를 하단으로 놓게 되면 다시 타울바브라켓(71)이 힌지(32)를 매개로 아래로 회동되어 결국 작동캠(50)의 작동레버(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작동캠(50)이 다시 힌지(52)를 매개로 회동되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때 록킹부재의 작동로드(4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걸림돌기(41)가 돌기수용홀(11)로 다시 수용되어, 결국 고정레일(10)에 이송레일(20)이 고정되어 시트의 움직임이 더이상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시트의 전방에서 충돌이 일어났을 때, 즉 전방 또는 후방에서 강한 충격력이 전달되었을 때 작동캠(50)이 고정면(43)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록킹부재(40)에서 회전모멘트가 발생하여도 이 회전모멘트를 작동캠(50)이 흡수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록킹부재(40)가 고정레일(10)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더 이상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서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록킹부재와 면접하고 있는 작동캠에 의해 록킹부재가 록킹된 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되지 않게 된다. 즉 록킹부재를 잡아주는 작동캠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지 않게 되고 종래 록킹해제에 의한 차량내에서의 2차 충돌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부재(40)의 이탈에 의한 록킹부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이송트랙의 전방에서 충격력이 전달되었을 때의 록킹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로서 도 1에 대응되는 록킹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로서 도 2에 대응되는 록킹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레일, 11 --- 돌기수용홀,
20 --- 이송레일, 30 --- 브라켓,
31 --- 안내홀, 40 --- 록킹부재,
41 --- 걸림돌기, 42 --- 작동로드,
43 --- 고정면, 50 --- 작동캠,
51 --- 작동레버, 52 --- 힌지,
60 --- 이송부재, 70 --- 타울바.

Claims (2)

  1.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10)과,이 고정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시켜 상면에 브라켓(30)이 연결된 후 시트가 안치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송되는 이송레일(2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의 일면에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을 잠금 및 해제시켜 주는 록킹부재(40)가 돌기수용홈(11)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41)와, 작동캠의 작용에 의해 힌지(44)를 매개로 록킹부재를 회동시키도록 형성된 작동로드(42)와, 작동캠의 하단면과 면접하여 록킹부재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면(43)을 갖추게 되는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40)의 작동 및 잠금작용을 하는 작동캠(50)이 작동로드(42)의 내측에 설치되되, 브라켓(30)의 안내홀(31)을 따라 움직이면서 작동캠의 이동을 담당하는 작동레버(51)와, 브라켓(30)에 작동캠을 연결하여 작동캠을 회동하게 하는 힌지(52)를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2. 삭제
KR10-2002-0067463A 2002-11-01 2002-11-01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KR10050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63A KR100503448B1 (ko) 2002-11-01 2002-11-01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63A KR100503448B1 (ko) 2002-11-01 2002-11-01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755U Division KR200302783Y1 (ko) 2002-11-01 2002-11-01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496A KR20040038496A (ko) 2004-05-08
KR100503448B1 true KR100503448B1 (ko) 2005-07-25

Family

ID=3733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463A KR100503448B1 (ko) 2002-11-01 2002-11-01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86B1 (ko) * 2007-07-13 2008-10-13 주식회사 캄코 차량용 시트 이송 기어박스
KR200448983Y1 (ko) * 2009-11-04 2010-07-02 지이티플러스(주) 듀얼 인덕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139U (ko) * 1992-07-18 1994-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트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139U (ko) * 1992-07-18 1994-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트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496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889B1 (ko)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의 록킹장치
EP1974984B1 (en)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CN108349412B (zh) 车辆座椅
JP4143264B2 (ja) 出入りしやすい中間位置メモリーシート
JPH0445380B2 (ko)
EP1757484A3 (en) Child car seat
CN109070769B (zh) 乘客支承件
KR100503448B1 (ko)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KR200302783Y1 (ko)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JP3833419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KR100487161B1 (ko) 차량의 시트이송트랙용 이중록킹장치
KR100503454B1 (ko) 차량의 시트이송트랙용 록킹장치
KR200324044Y1 (ko)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의 록킹장치
KR200237042Y1 (ko) 자동차용시트의안전이송장치
KR200313598Y1 (ko) 차량의 시트이송트랙용 이중록킹장치
GB2410057A (en) Inertia controlled seat track locking mechanism
KR100461116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JP4011223B2 (ja) 車両用シート
JPH05300821A (ja) 自動車のアームレスト構造
KR200313599Y1 (ko) 차량의 시트이송트랙용 록킹장치
KR100241036B1 (ko)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너
JP5347364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KR100366578B1 (ko) 차량용 점프 시트의 잠금장치
KR100341901B1 (ko) 등받이시트의 각도조절용 리클라이닝 레버의 설치구조
JP4354481B2 (ja) 自動車座席用スライド部材、このスライド部材を備えた車両用座席及び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